KR20020080696A - Portable supporting stand for a camera - Google Patents

Portable supporting stand for a camer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0696A
KR20020080696A KR1020010020429A KR20010020429A KR20020080696A KR 20020080696 A KR20020080696 A KR 20020080696A KR 1020010020429 A KR1020010020429 A KR 1020010020429A KR 20010020429 A KR20010020429 A KR 20010020429A KR 20020080696 A KR20020080696 A KR 20020080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fixing
bar
bracket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04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태섭
백수경
정인영
정기영
Original Assignee
정태섭
백수경
정인영
정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섭, 백수경, 정인영, 정기영 filed Critical 정태섭
Priority to KR1020010020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0696A/en
Publication of KR20020080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0696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4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spreading of the l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repositionable

Abstract

PURPOSE: A portable image device stand is provided to maintain constant number of picture element of digital image, and to make database of the digital image easily. CONSTITUTION: A portable image device stand comprises a main shaft having a main frame(6), and a moving frame(9) inserted slidingly into the main frame. A first supporting bar has a fixing bar connected to a fixing bracket of the main frame and a moving bar slidingly inserted to the fixing bar. A second supporting bar comprises a fixing bar and a moving bar slidingly inserted to the fixing bar. A left and right support are hingedly connected in the fixing bracket of the main frame. A fixing arm(56) and a moving arm(59) are connected to the fixing bracket of the moving frame. A head fixing arm(60) are connected to the fixing arm, and a head(70) is fixed to the head fixing arm to fix an image device.

Description

휴대용 영상기기 스탠드 {PORTABLE SUPPORTING STAND FOR A CAMERA}Portable Video Equipment Stand {PORTABLE SUPPORTING STAND FOR A CAMERA}

본 발명은 카메라를 고정시키는 휴대용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stand for fixing a camera,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탈 카메라 및 캠코더 등의 각종 영상기기를 설치하여 전방 뿐 만 아니라 하방으로의 근접촬영도 가능하게 하며, 일정한 사이즈로 형성된 다수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는 한번의 세팅만으로 별다른 조절 없이 흔들림 없이 정밀하게, 연속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영상기기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by installing various video devices such as digital cameras and camcorders, it is possible to take close-up shots as well as downwards as well as forward, and when shooting a large number of subjects formed in a certain size, only one setting shakes without any adjustm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imaging device stand that enables continuous, continuous shooting.

일반적으로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 사진 및 동영상을 촬영할 경우에는, 카메라를 직접 들고 촬영하는 방법과 다양한 종류의 카메라용 삼각대 또는 스탠드에 카메라를 고정한 상태에서 촬영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삼각대의 사용은 사용자 스스로가 자신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과 더불어 카메라 자체를 고정시켜 줌으로써 셔터 작동 시 카메라의 떨림을 방지하여 피사체를 좀더 정밀하게 촬영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In general, when taking pictures and videos with a camera or a camcorder, there are methods of holding the camera directly and shooting while fixing the camera on a tripod or stand for various types of cameras. The use of the tripod provides the advantage of allowing the user to photograph themselves as well as fixing the camera itself, thereby preventing the camera from shaking when the shutter is activated, so that the subject can be photographed more precisely.

근래 들어 디지탈 카메라 및 디지탈 캠코더 등의 디지탈 영상장비들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많은 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10cm 이하의 근접촬영이 가능하며, 일반 카메라의 필름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300만 화소 이상의 CCD (Charge coupled device: 고체촬상소자)를 구비하고, 2048*1536 이상의 해상도를 구비하는 고성능의 촬영장비들이 출시됨에 따라, 이들 장비를 이용하여 종래 문서의 형태로만 보관됨으로써 관리를 위해 많은 공간과 인력을 요했던 자료들을 스캐너로 스캔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디지탈 이미지로 제작하여 DATABASE를 구축하는 작업등에 사용하고 있다.Recently,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imaging equipment such as digital cameras and digital camcorders, it has been used for various purposes in many fields. In particular, close-up photography of less than 10cm is possible, and as a film of a general camera, high-performance photographing equipment having a charge coupled device (CCD) of 3 million pixels or more and a resolution of 2048 * 1536 or more As it is released, these devices are stored only in the form of conventional documents, and are used for data base construction by producing digital images in the same way as scanning a document that required a lot of space and manpower for management. .

예를 들어, 병원에서는 X-ray, CT, MRI, 초음파촬영기 등의 다양한 의료영상기기들을 사용하여 촬영한 필름들을 진단을 위한 필수적 요건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방대한 양의 필름을 관리하고, 필요시 일일이 찾으러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수반되어 상당히 비효율적이었다.For example, hospitals use films taken using various medical imaging devices such as X-rays, CT, MRI, and ultrasonography as essential requirements for diagnosis. It was inefficient due to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go looking for it.

인터넷의 보급과 병원의 전산화가 급속도로 진행됨에 따라 상기 의료영상기기들 자체도 디지탈 영상으로 표현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촬영자료들을 필름상태로 보관하는 것이 아니라 DATABASE화하여 디지탈 이미지로 보관함으로써 인터넷 및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컴퓨터가 있는 곳이라면 촬영된 영상자료들을 언제나 볼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As the spread of the Internet and computerization of hospitals are rapidly progressing, the medical imaging devices themselves also have interfaces that can be expressed as digital images, so that the photographed data are stored as digital images instead of storing them in a film state. And wherever there is a computer using a network, the work is being progressed so that you can always see the video material.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작업이 고가의 장비를 필수적으로 구비해야함에 따라 아직 보편적으로 이루어지지는 못하여 극소수의 대형병원에만 이루어지고 있으며, 또한, 이미 디지탈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의료영상기기들을 사용하는 병원의 경우에도, 교육적, 치료적 용도로 귀중하게 사용될 수 있는 방대한 양의 촬영자료들이 여전히 필름상태로 보관되다 보니, 이들 자료에 대상으로 하는 DATABASE 구축 또한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as the above work is required to be equipped with expensive equipment, it is not yet universally performed in only a few large hospitals, and also in the case of a hospital that already uses medical imaging equipment having a digital interface. As a result, the vast amount of photographic material that can be used for educational and therapeutic purposes is still stored in the film state, and the construction of DATABASE for these materials is also required.

따라서, 창고 등에 보관되던 필름들을 후방에 조명장치를 구비한 판독대(VIEW BOX)에 고정한 후, 디지탈 카메라로 근거리에서의 촬영을 통해 디지탈 이미지로 제작하여 컴퓨터에 저장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는데,Therefore, after fixing the films stored in the warehouse to the VIEW BOX equipped with a lighting device in the rear, using a digital camera can be used to produce a digital image and store it in a computer through a near-field shooting,

상기와 같이 방대한 양의 필름자료들을 대상으로 하는 작업에 있어서, 디지탈 카메라 등의 영상기기를 고정수단 없이, 맨손으로 파지하여 촬영하게 됨으로써 영상기기가 흔들려 피사체를 정밀하게 촬영하지 못하게 되고, 촬영을 통해 제작된 디지탈 이미지의 픽셀(Picture element)수를 제어할 수 없어서, 모니터 등의 출력장치에 디스플레이 될 시에 그래픽 화면의 크기 또한 모두 다르게 되기 때문에, 자료적 가치를 부여하기 힘들었고,In the work on a large amount of film materials as described above, the image device such as a digital camera is grasped and photographed with bare hands without fixing means, so that the image device is not shaken to accurately photograph the subject. Since it is impossible to control the number of pixels (Picture element) of the produced digital image, the size of the graphic screen is also different when it is displayed on an output device such as a monitor, it is difficult to give a data value,

따라서, 무게가 가볍고 보관시의 부피가 적어, 휴대가 편리하며 취급이 간편한 디지탈 카메라 등을 고정할 용도의 휴대용 영상기기 스텐드의 필요성이 절실하였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portable video device stand for fixing a digital camera, which is light in weight and small in storage, which is convenient to carry and easy to handle.

종래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는 여러 종류의 카메라용 스탠드 또는 삼각대를 상기와 같은 용도에 사용할 경우에는 영상기기를 고정함으로써 흔들림 없는 정밀한 촬영은 가능하지만, 촬영 시에 매번 많은 조절과정을 수반함으로써 연속촬영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며, 직하방 촬영이 곤란하고, 촬영되는 그래픽 이미지의 픽셀을 제어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서, 상기와 같은 용도에는 적용이 어려웠던 실정이다.When using various types of camera stand or tripod, which are conventionally used and widely used for the above applications, it is possible to precisely shoot without shaking by fixing the video device, but it is easy to continuously shoot by accommodating many adjustment processes each time. It is not possible to shoot directly and down, and difficult to control the pixels of the graphic image to be photographed, it is difficult to apply to the above application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탈 카메라 등의 영상기기를 고정하여, 전방 또는 하방 어느 쪽으로든지 촬영이 가능하고, 최초의 세팅 후에는 일정한 크기로 규격화된 다수의 피사체들을 흔들림 없이 정밀하게, 별도의 조절작업 없이 연속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며, 디지탈 이미지의 픽셀(Picture element)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여, 많은 양의 자료를 디지탈 이미지로 제작하여 DATABASE를 구축하는 작업등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ix the image device, such as a digital camera, it is possible to shoot in the forward or downward direction, and after the initial setting of a number of subjects standardized to a certain size without shaking, without any additional adjustment It is designed to allow continuous shooting, and to maintain a constant number of pixels (picture elements) of a digital image, so that a large amount of data can be produced as a digital image and used easily for data base construction.

촬영대상이 되는 자료들의 크기에 적합하게 좌·우지지대를 조절하여 고정하고, 헤드고정암과 주축대를 조절하여 고정함으로써 최초 세팅을 완료한 후에는 추가적인 세팅작업을 할 필요 없이, 근거리에, 특히 직하방의 좌·우지지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촬영대상을 순서대로 위치시키면서, 셔터를 누르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연속적으로 근접·정밀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용 영상기기 스탠드를 제공하는데 있다.By adjusting the left and right supports to fit the size of the material to be photographed and adjusting the head fixing arm and the headstock to fix them, after completing the initial setting, there is no need for additional setting work.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imaging device stand which allows continuous close-up and precise photographing with a simple operation of pressing a shutter while positioning photographing objects in a space formed between left and right supporters directly below.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보관을 위한 절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for the storage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다기능 힌지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the multifunctional hinge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다기능 힌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multifunctional hinge that is the mai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인 고정브라켓과 연결브라켓을 도시한 확대사시도.Figure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ing bracket and a connecting bracket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인 고정브라켓과 연결브라켓 및 다기능 힌지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fixing bracket and the connecting bracket and the multi-function hinge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사용 예들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8 to 1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examples of use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6: 메인프레임 9: 이송프레임6: mainframe 9: transport frame

10: 주축대 14,24,34,44: 고정바10: headstock 14, 24, 34, 44: fixed bar

19,29,38,48: 이송바 20,30: 제 1지지대19,29,38,48: Transfer bar 20,30: First support

40,50: 제 2지지대 56: 고정암40, 50: second support 56: fixed arm

59: 이송암 60: 헤드고정암59: transfer arm 60: head fixed arm

70:헤드 2,4,8,18,28: 고정브라켓70: head 2, 4, 8, 18, 28: fixed bracket

12,22,32,42,54: 연결브라켓 7,16,26,36,46,52: 로커12,22,32,42,54: Connecting bracket 7,16,26,36,46,52: Locker

131,132,133,134,135: 힌지131,132,133,134,135: hinge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is,

일측단의 좌우 양 측면에 고정브라켓이 부설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외삽되어 슬라이딩되며 일측의 전면에 고정브라켓을 구비하는 이송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주축대;A main frame including a main frame having fixed brackets attached to left and right sides of one side end, and a transport frame which is extrapolated to the main frame and has a fixed bracket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frame;

상기 메인프레임에 부설된 상기 고정브라켓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서,As each coupled to the fixed bracket attached to the main frame,

각각, 일측단에 연결브라켓을 구비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에 외삽되어 슬라이딩되며 일측단에 고정브라켓을 구비하는 이송바를 포함하여 2단으로 구성되는 제 1지지바와,Respectively, the first support bar consisting of two stages, including a fixed bar having a connecting bracket on one side, and a transfer bar which is extrapolated and slid to the fixed bar and has a fixed bracket on one side;

일측단에 상기 제 1지지바의 상기 이송부에 부설된 고정브라켓과 힌지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브라켓을 구비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에 외삽되어 슬라이딩되는 이송바를 포함하여 2단으로 구성되는 제 2지지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A second support bar having two stages including a fixing bar having a connecting bracket for connecting to a hinge and a fixing bracket attached to the conveying part of the first supporting bar at one side, and a conveying bar that is extrapolated and slid to the fixing bar; Including,

각각 상기 제 1지지바의 고정바에 구비하는 연결브라켓을 상기 메인프레임 일측의 좌우 양 측면에 부설된 각각의 고정브라켓에 힌지로 연결함으로써 좌우대칭의 형태로 결합되는 좌·우지지대;Left and right supports coupled in the form of left and right symmetry by connecting hinges to the respective fixing brackets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one side of the main frame, respectively;

상기 이송프레임에 부설된 고정브라켓에 결합되는 것으로서,As coupled to the fixed bracket attached to the transfer frame,

일측단은 개구로 형성되며 다른 일측단에 연결브라켓을 구비하는 고정암과, 상기 고정암의 개구측으로 일측단이 내삽되어 슬라이딩되며 다른 일측단에 헤드고정부를 구비하는 이송암을 포함하여 구성되어,One end is formed of an opening and comprises a fixed arm having a connection bracket on the other end, and a transfer arm having one end interpolated and sliding to the opening side of the fixed arm and having a head fixing on the other end ,

상기 고정암에 부설된 연결브라켓을 상기 이송프레임의 전면에 부설된 고정브라켓에 힌지로 연결하여 결합되는 헤드고정암;A head fixed arm coupled to the connection bracket attached to the fixed arm by a hinge connected to the fixed bracket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transfer frame;

상기 헤드고정암의 이송암에 구비된 헤드고정부에 고정되어 디지탈 카메라 등의 영상기기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용 영상기기 스탠드를 제공한다.Provided is a portable imaging device stand comprising a head which is fixed to the head fixing unit provided in the transfer arm of the head fixing arm to fix the imaging device such as a digital camera.

상기 각각의 고정바 및 고정프레임에 외삽되어 슬라이딩되는 이송바 및 이송프레임과, 상기 이송암을 내삽시켜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고정암에는 각각 적절한 길이로 조절된 상태에서 길이변화를 제한하기 위한 로커가 구비되며,Transfer bars and transfer frames that are extrapolated and slid to each of the fixed bars and the fixed frame, and the fixed arms for interpolating the transfer arms to be slid, are provided with a rocker for limiting the length change in a state adjusted to an appropriate length, respectively. ,

상기 각각의 고정브라켓과 연결브라켓을 연결하고 있는 상기 힌지는 자체를기준으로 자유로운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제 1모드와, 일정위치에 확고히 고정시킴으로써 어떠한 회전운동도 불가능하게 하는 제 2모드로 구분되는, 두 가지 역할을 수행하는 힌지로 구비되는 특징을 가진다.The hinges connecting the respective fixing brackets and the connecting brackets are divided into a first mode which enables free rotation based on its own, and a second mode which does not allow any rotational movement by fixing it firmly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t has a feature provided by a hinge that performs two role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보관을 위한 절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folded state for storage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다기능 힌지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다기능 힌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인 고정 브라켓과 연결브라켓을 도시한 확대사시도 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인 고정브라켓과 연결브라켓 및 다기능 힌지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the multi-function hinge that is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multi-function hinge that is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connected to the fixing bracket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racket,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a fixing bracket, a connecting bracket, and a multifunctional hinge, which are main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사용 예들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8 to 1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examples of use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영상기기 스탠드는,1 to 2, the portable video device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일측단의 좌우 양 측면에 고정브라켓(2,4)이 부설된 메인프레임(6)과,A main frame 6 in which fixing brackets 2 and 4 are attached to left and right sides of one side end,

일측단이 개구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6)의 일측으로 외삽됨으로써 슬라이딩되고, 상기 개구측 후면에 위치하며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한 슬라이딩을 제한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고정용의 로커(7: 도 10에 도시됨)를 구비하며, 일측 전면에 고정브라켓(8)을 구비하는 이송프레임(9)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주축대(10);One side end is formed by the opening and sliding by extrapolating to one side of the main frame 6, the fixing rocker (7: Fig. 10)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opening side and provided to limit the sliding to the main frame A main shaft frame 10 including a transport frame 9 having a fixing bracket 8 on one front surface thereof;

각각, 일측단에 연결브라켓(12,22)을 구비하는 고정바(14,24)와, 일측단이 개구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바(14,24)의 일측으로 외삽됨으로써 슬라이딩되며, 상기 개구측 상면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바에 대한 슬라이딩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로커(16,26)를 구비하고, 다른 일측단의 전면에 고정브라켓(18,28)을 구비하는 이송바(19,29)를 포함하여 2단으로 구성되는 제 1지지바(20,30)와,Each of the fixing bars 14 and 24 having connecting brackets 12 and 22 at one end thereof, and one side of the fixing bars 14 and 24 are formed by openings, and are slid by being extrapolated to one side of the fixing bars 14 and 24, respectively.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and provided with a rocker (16, 26) to limit the sliding to the fixed bar, and the transfer bar (19, 29) having a fixing bracket (18, 28) on the front side of the other end First support bars (20, 30) consisting of two stages,

일측단에 상기 제 1지지바(20,30)의 상기 이송바(14,24)에 부설된 고정브라켓(18,28)과 힌지(133,134))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브라켓(32,42)을 구비하는 고정바(34,44))와, 일측단이 개구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바(34,44)의 일측으로 외삽됨으로써 슬라이딩되며, 상기 개구측 상면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바(34,44)에 대한 슬라이딩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로커(36,46)를 구비하는 이송바(38,48)를 포함하여 2단으로 구성되는 제 2지지바(40,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Connecting brackets 32 and 42 for connecting the fixing brackets 18 and 28 and the hinges 133 and 134 attached to the transfer bars 14 and 24 of the first support bars 20 and 30 at one end thereof. Fixing bars (34, 44) provided, and one side end is formed by the opening and sliding by extrapolating to one side of the fixing bars (34, 44), the fixing bar (34, 44)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opening side It includes a second support bar (40, 50) consisting of two stages including a transfer bar (38, 48) having a rocker (36, 46) to limit the sliding to,

상기 주축대(10)의 상기 메인프레임(6) 일측 좌우 양 측면에 부설된 두 개의 고정브라켓(2,4)에 각각 상기 제 1지지바(20,30)의 상기 고정바(14,24)에 구비되는 연결브라켓(12,22)을 힌지(131,132)로 연결함으로써 좌우대칭의 형태로 결합되는 좌·우지지대;The fixing bars 14 and 24 of the first support bars 20 and 30 on the two fixing brackets 2 and 4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frame 6 of the main shaft 6, respectively. Left and right support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ymmetrical form by connecting the connecting brackets (12, 22) provided in the hinge (131, 132);

일측단은 개구로 형성되며, 상기 개구측 하면에 위치하여 하기와 같이 내삽되는 이송암(59)의 슬라이딩을 제한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로커(52: 도 3에 도시됨)를 구비하고, 다른 일측단에 연결브라켓(54)을 구비하는 고정암(56)과,One end is formed with an opening, and is provided with a rocker 52 (shown in FIG. 3) position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ing side and provided to limit sliding of the feed arm 59 interpolated as follows. A fixed arm 56 having a connecting bracket 54 at the end thereof,

상기 고정암(56)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일측단이 상기 고정암(56)에 내삽되어 슬라이딩되며 다른 일측단에 헤드고정부(58)를 구비하는 이송암(59)을 포함하여 구성되어,Through an opening formed in the fixed arm 56, one side end is inserted into the fixed arm 56 and slides, and comprises a transfer arm 59 having a head fixing portion 58 at the other end,

상기 주축대(10)의 이송프레임(9)에 부설된 고정브라켓(8)에 상기 고정암(56)에 부설된 연결브라켓(54)을 힌지(135)로 연결함으로써 결합되는 헤드고정암(60);Head fixed arm (60) coupled by connecting the connecting bracket (54) attached to the fixed arm (56) with the hinge (135) attached to the fixed bracket (8) attached to the transport frame (9) of the headstock (10). );

상기 헤드고정암(60)의 이송암(59) 일측단에 구비된 헤드고정부(58)에 고정되어 디지탈 카메라 등의 영상기기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며, 2자유도의 회전운동이 가능한 헤드(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용 영상기기 스탠드로 제공한다.It is fixed to the head fixing part 58 provided at one end of the transfer arm 59 of the head fixing arm 60 to fix an imaging device such as a digital camera, and the head 70 capable of rotating freedom of two degrees of freedom. Provided as a portable video device stand comprising a).

필요시에 각 이송부들의 슬라이딩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는 상기 로커들(7,16,26,36,46,52)은 모두 동일한 형태의 것으로 구비되며,The rockers (7, 16, 26, 36, 46, 52) provided to be able to limit the sliding of each of the transfer parts when necessary, all of the same type,

상기 이송프레임(9)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메인프레임(6)과, 각각의 이송바(19,29,38,48) 내측에 위치하는 각각의 고정바(14,24,34,44) 및 고정암(56)의 내측에 위치하는 이송암(59)의 일측 표면에 필요시에 죔력을 가함으로써 슬라이딩을 제한하게 된다.A main frame 6 positioned inside the transfer frame 9, respective fixing bars 14, 24, 34, 44 positioned inside the transfer bars 19, 29, 38, and 48, and Sliding is limited by applying a clamping force to one surface of the transfer arm 59 located inside the fixed arm 56 when necessary.

또한, 상기와 같이 내측에 위치하는 메인프레임(6), 각각의 고정바(14,24,34,44) 및 이송암(59)의 표면에는 스케일을 구비하여 길이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main frame 6, the fixing bars 14, 24, 34, 44, and the transfer arm 59, which are located on the inner side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with scales to facilitate length adjustment. .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용 영상기기 스탠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로, 촬영할 피사체의 크기에 적당하게 상기 좌·우지지대가 구비된 각 부분의 길이를 조절하여 'ㄷ'자 형상으로 촬영범위를 한정하고,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video device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hape as illustrated in FIG. 2, by adjusting the length of each part provided with the left and right supports appropriately to the size of the subject to be photographed. Limit the shooting range

상기 주축대(10)의 전면 일측에 연결되어 수평으로 연장된 헤드고정암(60)에 설치되는 영상기기의 렌즈가 상기와 같이 좌·우지지대로 한정되는 촬영범위 정 중앙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고정한 후,The lens of the imaging device installed on the head fixed arm 60 horizont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ront of the main shaft 10 is fixed so as to be locat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shooting range defined by the left and right support as described above. after,

상기 주축대(10)의 이송프레임(9)을 상하로 이송하여 적당한 위치에 고정함으로써 세팅을 완료하여 하방 근접촬영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The transport frame 9 of the headstock 10 is transported up and down and fix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so that the setting can be completed and used for down close photographing.

보관 시에는 2단으로 구성된 모든 부분의 길이를 최단 길이로 줄여서 로커(7,16,26,36,46,52)로 고정하고,When storing, reduce the length of all parts consisting of two stages to the shortest length and fix with lockers (7, 16, 26, 36, 46, 52),

상기 좌·우지지대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제 2지지바(40,50)를 제 1지지바(20,30)의 전면과 각각 면 접촉하도록 힌지(133,134)를 축으로 회전시켜 절첩하고, 상기 각각의 제 1지지바(20,30)의 상면이 상기 주축대(10)의 양 측면과 면 접촉하도록 힌지(131,132)를 축으로 회전시켜 절첩하며,The hinges 133 and 134 are pivotally rotated so that the second support bars 40 and 50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upports ar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s of the first support bars 20 and 30, respectively. Fold the hinges (131, 132) by rotating the shaft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bar (20, 30) of the surfac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headstock (10),

상기 헤드고정암(60)을 상기 주축대(10)의 전면과 면 접촉하도록 힌지(135)를 축으로 회전시켜 절첩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보관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By folding the hinge 135 to the shaft so that the head fixed arm 60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headstock 10, as shown in Figure 3,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storage by minimizing the volume. .

본 발명의 휴대용 영상기기 스탠드는 사용상태에서나 보관상태에서나 상기 고정브라켓(2,4,8,18,28), 연결브라켓(12,22,32,42,54) 및 힌지 (131,132,133,134,135)로 구성되는 각 연결부의 확고부동한 위치유지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특히 사용상태에서 상기 연결부들의 위치유지가 불안하다면 주 사용목적인 영상기기의 지지가 불안정해 진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더욱 필수적으로 요구된다.The portable video device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he fixing brackets (2, 4, 8, 18, 28), the connecting brackets (12, 22, 32, 42, 54) and the hinge (131, 132, 133, 134, 135) in use or storage. Firmly maintaining the position of each connection is essential, especially if the position maintenance of the connection is unstable in the use state means that the support of the main purpose of the imaging device is unstable.

따라서 본 발명에 구비되어 상기한 바와 같이 연결부를 구성하는 상기 고정브라켓(2,4,8,18,28)과 연결브라켓(12,22,32,42,54) 및 힌지(131,132,133,134,135)는 각각 특수한 구조로 형성되고, 상호간의 특수한 조합을 통해 확고부동한 위치유지기능을 구비하게 된다.Therefore, the fixing brackets (2, 4, 8, 18, 28), the connecting brackets (12, 22, 32, 42, 54) and the hinges (131, 132, 133, 134, 135), which ar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constitute a connection part as described above, are each special. It is formed in a structure, and has a unique position holding function through a special combination of each other.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4 to 5,

상기 각각의 힌지(131,132,133,134,135)는,Each of the hinges (131, 132, 133, 134, 135),

일측의 외주면에 키홈(71)을 구비하고, 일측단의 내주면에 암나사(72)를 구비하며, 상기 암나사(72)가 구비되는 측단에서 부터 축방향으로 가공되는 두개의 가이드부(73)를 상호 대항하는 위치에 구비하는 원통형의 고정하우징(75)과;A key groove 71 is provided on on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n internal thread 72 is provi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side end, and the two guide parts 73 are axially processed from a side end provided with the female thread 72. A cylindrical fixed housing 75 provided at an opposite position;

중심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그 내주면에 암나사(77)를 구비하며, 외주면의 양측으로 돌출하는 판상의 돌기(79)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하우징(75)에 구비된 가이드부(73)에 상기 돌기(79)를 일치시킴으로써 상기 고정하우징(75)의 내부로 삽입되는 걸림부재(80)와;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and an inner thread 77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includes a plate-like protrusion 79 protruding to both side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guide part 73 provided in the fixed housing 75. A locking member (80) inserted into the fixed housing (75) by matching the protrusion (79) with the protrusion;

일측 끝단면에 드라이버홈(82)을 구비하고, 다른 일측의 외주면에 수나사(84)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하우징(75)의 키홈(71)이 구비된 측의 개구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재(80)에 구비된 암나사(77)와 나사결합 하게 되는 푸쉬볼트(85)와;A driver groove 82 is provided at one end surface, and a male screw 84 is provided at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side, and the locking member is inserted through an opening at a side where the key groove 71 of the fixing housing 75 is provided. Push bolts 85 to be screwed with the female screw 77 provided in the (80);

상기 고정하우징(75)과 동일한 외경으로 구비되며, 일측이 밀폐된 중공실린더 형상으로 공간부(87)를 형성되며, 개구측 외주면에 상기 고정하우징에 구비된 암나사(72)와 결합되는 수나사(88)를 구비하고, 상기 밀폐측의 바닥면에 드라이버홈(89)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체결하우징(90)과;It is provided with the same outer diameter as the fixed housing 75, the one side is formed in the hollow cylinder shape in the shape of the space 87, the male thread 88 is coupled to the female screw 72 provided in the fixed housing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pening side A fastening housing 90 including a driver groove 89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ling side;

상기 체결하우징(90)의 개구를 통해 상기 공간부(87)에 삽입되는 압축스프링(92)과;A compression spring (92) inserted into the space portion (87) through the opening of the fastening housing (90);

상기 압축스프링(92)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삽입되는 푸쉬플레이트(94)를 포함하여 특수하게 구성되는 힌지로 제공된다.It is provided with a hinge that is specially configured, including a push plate 94 inserted to be positioned above the compression spring 92.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In addition, as shown in FIG.

상기 모든 고정브라켓(2,4,8,18,28)은, 힌지가 관통할 수 있도록 하는 삽입공을 각각 구비한 두 개의 돌출판(102,104)으로 구성되고,All the fixing brackets (2, 4, 8, 18, 28) is composed of two protruding plates (102, 104) each having an insertion hole for the hinge to penetrate,

상기 두 돌출판 중, 일 개의 돌출판(104)에 구비된 삽입공 내주면의 상하좌우 4극점에는 축방향으로 가공된 걸림홈(106)을 각각 구비하며,Among the two protruding plates, the upper and lower left and right four poles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provided in one protruding plate 104 are provided with locking grooves 106 processed in the axial direction, respectively.

각각의 돌출판(102,104)의 일측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된 형태로 형성되고;One edge of each protruding plate 102, 104 is formed in a rounded shape;

상기 모든 연결브라켓(12,22,32,42,54)은, 힌지가 관통할 수 있도록 하는 삽입공을 각각 구비한 두개의 돌출판(107,108)으로 구비되고,All of the connecting brackets 12, 22, 32, 42 and 54 are provided with two protruding plates 107 and 108 having insertion holes for allowing the hinge to penetrate, respectively.

상기 두 돌출판 중, 일 개의 돌출판(107)에 구비된 삽입공 내주면의 한 위치에 상기 힌지의 고정하우징(75)에 구비되는 키홈(71)과 한 쌍을 이루는 키홈(109)을 구비하며,Among the two protruding plates, a key groove 109 paired with a key groove 71 provided in the fixing housing 75 of the hinge at a posit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provided in one protruding plate 107 and ,

상기 각각의 돌출판(107,108) 일측 모서리가 라운드 형태로 형성되고;One edge of each protruding plate (107, 108) is formed in a round shape;

상호 결합 시에 상기 고정브라켓이 내부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연결브라켓은 외부에서 상기 고정브라켓을 감싸는 형태로 위치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힌지가 결합하여 연결부를 형성하도록 제공된다.When the fixing bracket is located inside the mutual coupling, the connecting bracket is located in a form surrounding the fixing bracket from the outside, in this state the hinge is provided to combine to form a connection.

상기에서 고정브라켓 및 연결브라켓에 구비된 돌출판들의 일측 모서리만 라운드형으로 형성하는 것은 각 연결부의 회전범위를 0。 내지 90。로 한정하고, 0。 및 90。상태에서의 위치유지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Forming only one corner of the protruding plates provided in the fixing bracket and the connection bracket in a round shape limits the rotation range of each connection portion to 0 ° to 90 ° and reinforces the position maintenance at 0 ° and 90 °. It is for.

상기 연결부의 조립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When explaining the assembly of the connection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ure 4 to 7,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기 삽입공 내주면에 걸림홈(106)이 구비된 돌출판(104)과 상기 연결브라켓의 상기한 키홈(109)이 구비된 돌출판(107)이 서로 면 접촉하게 되며, 각각 구멍만 구비된 나머지 돌출판들(102,108)이 또한 서로 면 접촉하는 상태에서,The protrusion plate 104 having the locking groove 106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and the protrusion plate 107 having the key groove 109 of the connection bracket ar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With the remaining protruding plates 102 and 108 provided only in face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힌지의 고정하우징(75)을 상기 연결브라켓에 키홈(109)이 구비된 돌출판(107) 측의 삽입공을 통해 상기 고정브라켓의 걸림홈(106)이 구비된 돌출판(104)의 삽입공 까지만 밀어 넣은 후,Insertion of the protruding plate 104 with the locking groove 106 of the fixing bracket through the insertion hole of the hinge housing in the hinge bracket housing 75 is provided with a key groove 109 on the connecting bracket. Push it all the way to the ball,

상기 고정브라켓의 두 돌출부(102,104)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를 통하여, 상기 힌지의 상기 걸림부재(80)에 구비된 판상의 두 돌기(79)를 상기 고정하우징(75)의 가이드부(73)와 고정브라켓에 구비된 걸림홈(106)의 위치가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하우징(75)의 내부로 삽입하고,The two plate-like protrusions 79 provided on the locking member 80 of the hinge are fixed to the guide portion 73 of the fixing housing 75 through a space formed between the two protrusions 102 and 104 of the fixing bracket. Insert into the inside of the fixed housing 75 in the state that the position of the locking groove 106 provided in the bracket is matched,

이어서 상기 고정하우징(75)을 계속해서 밀어 넣으면 상기 연결브라켓과 고정하우징에 각각 구비되어 한 쌍을 이루는 키홈(71,109)이 일치하게 되고,Subsequently, when the fixed housing 75 is continuously pushed in, the pair of key grooves 71 and 109 provided in the connection bracket and the fixed housing are respectively matched.

이 상태에서 압축스프링(92)과 푸쉬플레이트(94)를 내측 공간부(87)에 삽입한 상기 힌지의 체결하우징(90)을 반대측 삽입공을 통해 밀어 넣고 구비된 드라이버 홈(89)에 공구를 삽입하여 고정하우징(75)에 구비된 암나사(72)와 나사결합하며,In this state, the compression housing 92 and the push plate 94 ar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87, and the hinge housing 90 of the hinge is pushed through the opposite insertion hole to insert the tool into the driver groove 89 provided therein. Inserted and screwed with the female screw 72 provided in the fixed housing (75),

상기한 바와 같이 상호 일치시킨 상기 연결브라켓과 고정하우징에 구비된 키홈(71,109)에 묻힘키(120)를 억지끼워맞춤으로 삽입하여 단단히 고정한 다음,Insert the buried key 120 into the key grooves 71 and 109 provided in the connecting bracket and the fixed housing, which are mutually matched as described above, and firmly insert the buried key 120 into place.

상기 고정하우징(75)의 키홈(71) 측의 개구를 통해 푸쉬볼트(85)를 삽입하여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걸림부재(80)에 구비된 암나사(77)와 나사결합 시킴으로써 결합을 완성한다.Insertion of the push bolt 85 through the opening of the key groove 71 side of the fixed housing 75 is screwed with the female screw 77 provided in the locking member 80 located therein to complete the coupling.

상기와 같이 각각의 고정브라켓(2,4,8,18,28)과 연결브라켓(12,22,32,42,54)을 상기 힌지(131,132,133,134,135)를 매개로 하여 결합을 완성시킨 상태의 근접촬영용 영상기기 스텐드를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fixing brackets (2, 4, 8, 18, 28) and the connecting brackets (12, 22, 32, 42, 54) through the hinge (131, 132, 133, 134, 135) for close-up photography The imaging device stand is shown in FIG.

상기한 바와 같이, 각각의 고정브라켓과 연결브라켓을 연결하고 있는 상기 힌지는 자체를 축으로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제 1모드와, 어떠한 회전운동도 불가능하도록 확고부동한 위치유지를 가능하게 하는 제 2모드로 구분되는, 두 가지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As described above, the hinge connecting each of the fixing brackets and the connecting brackets has a first mode that enables rotation about its own axis, and a second mode that enables firmly maintained positions so that no rotational movement is possible. Are divided into two roles,

상기 제 1모드는, 푸쉬볼트(85)를 가압 함으로써, 상기 걸림부재의 돌기(77)가 상기 고정하우징(75)의 외주면에 구비된 가이드부(73)에 의해 가이드 되는 상태로, 상호 나사결합된 상기 푸쉬볼트(85)와 상기 걸림부재(80)가 동시에 이동하게 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의 두 돌출부(102,104)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상기 돌기(77)가 위치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하며;In the first mode, by pushing the push bolt 85, the projection 77 of the engaging member is guided by the guide portion 73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ed housing 75, mutually screwed together The push bolt 85 and the locking member 80 are moved at the same time, the projection 77 is located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two protrusions (102, 104) of the fixing bracket, the rotation in this state Makes this possible;

상기 제 2모드는, 상호간의 위치를 일치시킨 키홈(71,109)에 묻힘키(120)를삽입시킴으로써 상기 연결브라켓의 키홈(109) 측 돌출판(107)에 상기 힌지를 단단하게 고정하고,In the second mode, the hinge is firmly fixed to the protruding plate 107 on the key groove 109 side of the connecting bracket by inserting the buried key 120 into the key grooves 71 and 109 in which the mutual positions coincide with each other.

상기 힌지의 내부에 구비되는 압축스프링(92)의 탄성에 의한 압축력을 전달받는 푸쉬플레이트(94)가 푸쉬볼트(85)의 일측 끝단면을 밀게 됨으로써, 이 상태에서 푸쉬볼트(85)와 나사결합되어 있는 상기 걸림부재(80)의 외주면 양측으로 돌출 구비된 돌기(79)가 상기 고정브라켓의 일측 돌출판(107)에 구비된 걸림홈(109)에 걸리게 됨으로써 힌지를 축으로 하는 어떠한 움직임도 허용하지 않는 확고한 고정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push plate 94, which receives the compressive force by the elasticity of the compression spring 92 provided in the hinge, pushes one end surface of the push bolt 85, thereby screwing the push bolt 85 and the screw in this state. The projections 79 protruding on both sides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cking member 80 are caught by the locking grooves 109 provided on one side protruding plate 107 of the fixing bracket, thereby allowing any movement about the hinge axis. Make sure that you are not firmly fixed.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용 영상기기 스탠드는,The portable video device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디지탈 카메라를 이용하여 일정한 규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피사체들을 연속으로 촬영해야 할 경우에,When using a digital camera to shoot a plurality of subjects formed in a certain standard in succession,

상기 좌·우지지대의 각각에 구비된 제 1지지바(20,30)와 제 2지지바(40,50)의 길이를 조정하여, 상기 제 1 지지바(20,30)와 제 2지지바(40,50)에 각각 구비된 로커(16,26,36,46)를 사용하여 고정하는 방법으로, 상기 좌·우 지지대의 내측에 'ㄷ'자 형으로 형성되는 공간의 사이즈와 촬영할 피사체의 사이즈가 일치하도록 하여, 상기 좌·우지지대가 'ㄷ'자 형으로 촬영공간을 한정하는 틀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고,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first support bar (20, 30) and the second support bar (40, 50) provided i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upport, the first support bar (20, 30) and the second support bar A locker (16, 26, 36, 46) provided at (40, 50), respectively, to be fixed, and the size of the space formed in the 'c' shape inside the left and right supports and the size of the subject to be photographed. In order to match the size, the left and right supports to serve as a frame to limit the shooting space in the '' 'shape,

디지탈 카메라를 헤드(70)에 설치하여,Install the digital camera on the head 70,

상기 주축대(10)의 전면 일측에 연결되어 수평으로 연장된 헤드고정암(60)에 설치되는 디지탈 카메라의 렌즈가 상기와 같이 좌·우지지대로 한정되는 촬영범위정 중앙의 직상방에 위치하도록 고정한 후,The lens of the digital camera, which is connected to one front side of the headstock 10 and installed in the head fixing arm 60 extending horizontally, is located directly above the center of the shooting range defined by the left and right supports as described above. After fixing

상기 주축대(10)의 이송프레임(9)의 위치를 상하로 조절하고, 설치된 영상기기의 렌즈배율을 조절하여 디지탈 카메라에 구비된 투시창의 촬영범위와 상기 좌·우지지대에 의해 한정되는 촬영공간과 일치하도록 하여 일단 세팅을 완료하면,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transfer frame 9 of the headstock 10 up and down, and by adjusting the lens magnification of the installed image device by the shooting range of the viewing window provided in the digital camera and the shooting space limited by the left and right support So that once you have completed the settings,

일정한 규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피사체들을 배열해둔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세팅된 휴대용 영상기기 스탠드를 옮겨가면서 촬영하거나,In the state of arranging a plurality of subjects formed in a predetermined standard, the portable imaging device stand set as described above while moving, or

한 위치에 상기 휴대용 영상기기 스탠드를 설치해 놓은 상태에서, 촬영할 피사체들을 'ㄷ'자 형으로 한정된 촬영공간에 순차적으로 위치시키는 방식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여,In the state where the portable video device stand is installed at one position, the subjects to be photographed are sequentially photographed in a shooting space limited to the 'c' shape.

촬영할 때마다 일일이 디지탈 카메라에 구비된 투시창을 통해 촬영범위를 조정하는 등의 별도의 조절 없이, 단지 피사체의 크기에 맞게 조절된 상기 좌·우지지대가 형성하는 구역에, 피사체를 위치시킴과 동시에 셔터를 누르기만 하는 방식으로 연속적이면서도 흔들림 없는 촬영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상당부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The shutter is positioned at the same time as the subject is located in the area formed by the left and right supports, which are only adjusted to the size of the subject, without any adjustment such as adjusting the shooting range through the viewing window provided in the digital camera. By simply pressing, continuous and steady shooting can be achieved, which greatly improves work efficiency.

또한, 픽셀(Picture element)수가 일정하게 촬영할 수 있고, 모니터 등의 출력장치에서 동일한 크기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컴퓨터에서 후처리 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number of pixels (Picture elements) can be constantly photographed, and the same size can be displayed on an output device such as a monitor, thereby facilitating post-processing work on a computer.

일 사용 예로, 병원 등의 의료기관에서 현물 보관되고 있는 방대한 양의 X-ray, 초음파, CT, MRI 등으로 촬영된 필름들을 디지탈 이미지로 제작하여 DATABASE를 구축함에 있어서,As an example of use, in constructing DATABASE by producing digital images of films taken by a large amount of X-ray, ultrasound, CT, MRI, etc., which are stored in kind in hospitals, etc.

본 발명의 휴대용 영상기기 스탠드에 디지탈 카메라를 설치하여,By installing a digital camera on the portable video device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이 일정한 크기로 규격화되어 있는 상기 필름들의 크기와 상기 좌·우지지대가 한정하는 촬영공간을 일치시킨 후, 설치된 디지털 카메라의 투시창을 통해 카메라의 촬영범위와 상기 촬영공간이 일치하도록 조절하여 최초 세팅하여,After matching the size of the film that is standardized to a certain size and the shooting space defined by the left and right support, adjust the shooting range and the shooting space of the camera through the viewing window of the installed digital camera first Setting

후방에서 조명되는 판독대 등에 다수의 필름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디지탈 카메라에 구비된 투시창을 통해 촬영범위를 조정하는 등의 별도의 조절 없이, 단지 상기 좌·우지지대가 한정하는 촬영공간에 필름이 정확히 위치하도록 본 발명의 휴대용 영상기기 스탠드를 위치시킴과 동시에 셔터를 누르기만 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의 휴대용 영상기기 스탠드를 옮겨가면서 촬영하는 방식이나,In the state where a plurality of films are fixed to a reading light that is illuminated from the rear, the film is accurately placed in the shooting space defined by the left and right supports only without any adjustment such as adjusting the shooting range through a viewing window provided in the digital camera. While positioning the portable video device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s to be positioned and at the same time pressing the shutter, a method of photographing while moving the portable video device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또는, 책상 등의 평평한 바닥에 상기 판독대를 눕힌 상태로 설치하고, 그 위의 일정 위치에 상기와 같이 세팅된 본 발명의 영상기기 스탠드를 설치한 다음, 상기 좌·우지지대가 한정하는 촬영공간에 필름들을 순차적으로 위치시키면서 셔터만 누르는 방식으로 연속적이면서도 흔들림 없는 촬영이 가능하게 되어,Alternatively, the reading stand is placed on a flat floor, such as a desk, and the image device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set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ereon, and then the photographing space defined by the left and right supports is limited. By placing the films in sequence, the shutter is only pressed to allow continuous and steady shooting.

방대한 자료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 상기와 같이 작업함으로써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In the case of a large amount of data, the above operation can maximize efficiency.

본 발명의 휴대용 영상기기 스탠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상 등의 평평한 바닥에 적절하게 조절된 상태로 설치한 다음, 문서나 책 등의 촬영할 자료들을 상기한 바와 같이 좌·우지지대가 한정하는 촬영공간에 순서대로 위치시키면서, 별 다른 조절작업 없이 셔터만 누르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디지탈 카메라를 스캐너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 9, the portable imaging apparatus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flat floor, such as a desk, in an appropriately adjusted state, and then left and right supports are mounted as described above. By placing them in a limited shooting space in order, they can be used by simply pressing the shutter without any adjustments, so that the digital camera can be used as a scanner.

이와 같은 방식으로 관공서나 도서관 등에 현물 보관되고 있는 자료적 가치를 가지는 많은 고문서나 고서들을 디지탈 이미지로 제작하여 DATABASE로 제작하는 작업등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되며,In this way, many old documents and old books with material values that are kept in kind in public offices and libraries can be effectively used in the production of DATABASE by using digital images.

이 경우에는 스캐너로 한번에 스캔하기 어려운 크기의 촬영대상들을 한번에 촬영할 수 있고, 매우 소형인 것을 대상으로 할 시에도 모눈이 형성된 플레이트를 옵션으로 사용하여 그 위에 본 발명의 휴대용 영상기기 스탠드를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촬영이 가능하며, 또한, 문서 등의 2-D 피사체 뿐 만 아니라 입체의 피사체들도 촬영이 가능하여, 상품의 카탈로그 제작에도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용도로 쓰일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shoot the subjects of size that are difficult to scan with the scanner at once, and even when the target is very small, using the plate formed with the grid as an option to install the portable imaging device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on This allows shooting, and not only 2-D subjects such as documents, but also stereoscopic subjects can be photographed, so that they can be easily used for cataloging products.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스케일을 구비함으로써, 세팅의 재현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되어 여러 종류의 크기로 구비되는 피사체들을 대상으로 반복적으로 작업할 시에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providing the scal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give a reproducibility of the setting can be conveniently used even when repeatedly working on the subjects provided with different types of sizes.

다른 일 예로, 본 발명의 휴대용 영상기기 스텐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헤드고정암(60)을 푸쉬볼트(85)를 눌러 힌지를 축으로 90。 회전시켜 직립시킴으로써 전방에 대한 촬영도 가능하며,As another example, the portable imaging device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0, the head fixed arm 60 by pressing the push bolt 85 to rotate the hinge 90 ° to the axis to shoot up front Also available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주축대(10)의 후면과 상기 좌·우지지대의 각각에 구비된 제 1지지바(20,30)의 후면이 바닥과 접지하는 상태로 설치하여 카메라가 거의 지면에 근접하는 상태로 촬영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11, the rear surface of the headstock 10 and the rear surfaces of the first support bars 20 and 30 provided in the left and right support bars are installed in a state of being grounded to the floor. It is possible to shoot in a state close to the ground.

또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PC의 모니터를 에워싸는 구조로 설치하여, 인터넷을 이용한 화상회의나 화상전화 및 화상채팅 용도로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는PC카메라의 지지대로도 사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2, a PC monitor is provid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used to support a PC camera that is widely used for video conferencing, video telephony, and video chatting using the Interne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only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or changes are pa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long to the claims.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휴대용 영상기기 스탠드는, 디지탈 카메라 등의 영상기기를 이용하여 디지탈 이미지를 제작함에 있어서, 최초의 세팅을 완료한 후에는 일정한 크기로 규격화된 다수의 피사체들을 떨림이 없이 정밀하게, 별도의 조절작업 없이 연속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며, 픽셀 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여 모니터 등의 출력장치에 일정한 크기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게 됨으로써,The portable video device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producing a digital image by using a video device such as a digital camera, after completing the initial setting, a number of subjects standardized to a constant size without being shaken accurately It allows you to shoot continuously without any adjustment, and keeps the number of pixels constant so that it can be displayed in a certain size on an output device such as a monitor.

많은 양의 자료를 디지탈 이미지로 제작하여 DATABASE를 구축하는 작업등에 사용될 경우에 작업시간 및 과정을 상당히 단축할 수 있게 된다.When a large amount of data is produced as a digital image and used for constructing a database, work time and process can be considerably shortened.

특히, 병원 등의 의료기관에 현물자료로 보관되고 있는 방대한 양의 X-ray 필름 등의 각종 진단용 필름들을 디지탈 이미지로 제작하여 DATABASE를 구축하는 작업이나, 관공서나 도서관에 현물자료로 보관되고 있는 각종 고문서나 고서들을 상기와 같이 디지탈 이미지로 제작하여 DATABASE를 구축하는 작업등에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In particular, a large number of diagnostic films such as X-ray films, which are stored in kind in hospitals and other medical institutions, are produced as digital images to build a database, and various kinds of old documents stored in kind in public offices and libraries. It can be used very effectively in the construction of database by producing books as digital image as above.

또한, 인터넷을 이용한 화상전화 또는 화상채팅에 사용되는 PC카메라를 지지할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하며, 실내에서는 일반적인 광학 카메라를 고정하는 용도로도 사용하는 등 다양한 용도에서 사용이 가능한 실용적이고도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In addition, it can be used to support PC cameras used for video telephony or video chat using the Internet, and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fixing a general optical camera indoors. will be.

Claims (6)

일측단의 좌우 양 측면에 고정브라켓이 부설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외삽되어 슬라이딩되며 일측의 전면에 고정브라켓을 구비하는 이송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주축대;A main frame including a main frame having fixed brackets attached to left and right sides of one side end, and a transport frame which is extrapolated to the main frame and has a fixed bracket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frame; 상기 메인프레임에 부설된 상기 고정브라켓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서,As each coupled to the fixed bracket attached to the main frame, 각각, 일측단에 연결브라켓을 구비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에 외삽되어 슬라이딩되며 일측단에 고정브라켓을 구비하는 이송바를 포함하여 2단으로 구성되는 제 1지지바와,Respectively, the first support bar consisting of two stages, including a fixed bar having a connecting bracket on one side, and a transfer bar which is extrapolated and slid to the fixed bar and has a fixed bracket on one side; 일측단에 상기 제 1지지바의 상기 이송부에 부설된 고정브라켓과 힌지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브라켓을 구비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에 외삽되어 슬라이딩되는 이송바를 포함하여 2단으로 구성되는 제 2지지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A second support bar having two stages including a fixing bar having a connecting bracket for connecting to a hinge and a fixing bracket attached to the conveying part of the first supporting bar at one side, and a conveying bar that is extrapolated and slid to the fixing bar; Including, 각각 상기 제 1지지바의 고정바에 구비하는 연결브라켓을 상기 메인프레임 일측의 좌우 양 측면에 부설된 각각의 고정브라켓에 힌지로 연결함으로써 좌우대칭의 형태로 결합되는 좌·우지지대;Left and right supports coupled in the form of left and right symmetry by connecting hinges to the respective fixing brackets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one side of the main frame, respectively; 상기 이송프레임에 부설된 고정브라켓에 결합되는 것으로서,As coupled to the fixed bracket attached to the transfer frame, 일측단은 개구로 형성되며 다른 일측단에 연결브라켓을 구비하는 고정암과, 상기 고정암의 개구측으로 일측단이 내삽되어 슬라이딩되며 다른 일측단에 헤드고정부를 구비하는 이송암을 포함하여 구성되어,One end is formed of an opening and comprises a fixed arm having a connection bracket on the other end, and a transfer arm having one end interpolated and sliding to the opening side of the fixed arm and having a head fixing on the other end , 상기 고정암에 부설된 연결브라켓을 상기 이송프레임의 전면에 부설된 고정브라켓에 힌지로 연결하여 결합되는 헤드고정암;A head fixed arm coupled to the connection bracket attached to the fixed arm by a hinge connected to the fixed bracket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transfer frame; 상기 헤드고정암의 이송암에 구비된 헤드고정부에 고정되어 디지탈 카메라 등의 영상기기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영상기기 스탠드.And a head fixed to the head fixing part provided in the transfer arm of the head fixing arm to fix the imaging device such as a digital camer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연결용의 힌지는,The hinge for the connection, 일측의 외주면에 키홈을 구비하고, 일측단의 내주연에 암나사를 구비하며, 상기 암나사가 구비되는 측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가공되는 두개의 가이드홈을 상호 대항하는 위치에 구비하는 원통형의 고정하우징과;A cylindrical fixed housing having a key groove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side, a female thread on an inner circumference of one side end, and having two guide grooves which are machin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from a side where the female screw is provided; 중심을 관통하는 구멍을 구비하고, 그 내주면에 암나사를 구비하며, 외주면의 양측으로 돌출하는 판상의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하우징에 구비된 가이드홈에 상기 돌기들이 가이드 될 수 있도록 일치시킴으로써 상기 고정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는 걸림부재와;It is provided with a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center, and has a female screw on its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ncludes a plate-like protrusion projecting to both side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by matching the projections to be guided to the guide groove provided in the fixed housing A catching member inserted into the fixed housing; 상기 고정하우징의 키홈이 구비된 측의 개구를 통해 삽입되며, 일측 끝단면에 드라이버홈을 구비하며, 다른 일측의 외주면에 수나사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부재에 구비된 암나사와 나사결합하게 되는 푸쉬볼트와;The push bolt i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of the side of the key housing of the fixed housing, provided with a driver groove on one end surface, a male screw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ther side, and screwed with the female screw provided on the locking member Wow; 상기 고정하우징과 동일한 외경으로 구비되며, 일측이 밀폐된 중공실린더 형상으로 공간부를 형성되며, 개구측 외주면에 상기 고정하우징에 구비된 암나사와 결합되는 수나사를 구비하고, 상기 밀폐측의 바닥면에 드라이버홈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체결하우징과;It is provided with the same outer diameter as the fixed housing, the one side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ollow cylinder sealed, the outer side of the opening has a male screw coupled to the female screw provided in the fixed housing, the driver side on the bottom surface A fastening housing including a groove; 상기 체결하우징의 개구를 통해 상기 공간부에 삽입되는 압축스프링과;A compression spring inserted into the space part through the opening of the fastening housing; 상기 압축스프링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삽입되는 푸쉬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영상기기 스탠드.And a push plate inserted to be positioned above the compression spring.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각각의 고정브라켓은,Each of the fixing brackets, 힌지가 관통할 수 있도록 하는 삽입공을 각각 구비한 두 개의 돌출판으로 구성되고, 일 개의 돌출판에 구비된 삽입공 내주면의 상하좌우 4극점에는 축방향으로 가공된 걸림홈을 각각 구비하며, 각각의 돌출판의 일측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영상기기 스텐드.It consists of two protruding plates each having an insertion hole to allow the hinge to penetrate, and each of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poles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provided in one protruding plate is provided with locking grooves machined in the axial direction, respectively. The one side edge of the protrusion plate of the portable imaging device stand,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form.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각각의 연결브라켓은,Each of the connecting brackets, 힌지가 관통할 수 있도록 하는 삽입공을 각각 구비한 두개의 돌출판으로 구비되고, 일 개의 돌출판에 구비된 삽입공 내주면의 한 위치에 상기 힌지의 고정하우징에 구비되는 키홈과 한 쌍을 이루는 키홈을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돌출판 일측 모서리가 라운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영상기기 스탠드.A key groove paired with a key groove provided in the fixed housing of the hinge at one posi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provided in one of the protrusion plate provided with each insertion hole for the hinge to penetrate And a side edge of each protruding plate is formed in a round shape. 제 1항, 2항 및 4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2 and 4, 상기 힌지는 묻힘키를 사용하여 상기 연결브라켓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영상기기 스탠드.The hinge is a portable video device stand, characterized in that fixed to the connecting bracket using a buried key.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메인프레임과 각각의 고정바 및 이송암의 표면에 스케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영상기기 스탠드.And a scale on the surfaces of the main frame and the fixed bar and the transfer arm.
KR1020010020429A 2001-04-17 2001-04-17 Portable supporting stand for a camera KR2002008069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0429A KR20020080696A (en) 2001-04-17 2001-04-17 Portable supporting stand for a camer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0429A KR20020080696A (en) 2001-04-17 2001-04-17 Portable supporting stand for a camer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0696A true KR20020080696A (en) 2002-10-26

Family

ID=27701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0429A KR20020080696A (en) 2001-04-17 2001-04-17 Portable supporting stand for a camer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0696A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752B1 (en) * 2010-06-11 2011-02-08 주식회사 파나시아 A filter for a ballast water treatment
CN102589827A (en) * 2011-01-14 2012-07-1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Fixing device
CN102829296A (en) * 2012-08-27 2012-12-19 北京无线电计量测试研究所 Supporting device for correcting uniformity of transient electromagnetic field
US8821720B2 (en) 2010-06-11 2014-09-02 Panasia Co., Ltd. Filtering apparatus for treating ballast water
CN107071280A (en) * 2017-04-19 2017-08-18 韩瑞丰 The intelligent filming apparatus of sound one zoom
CN109915715A (en) * 2019-03-26 2019-06-21 中再生环境科技有限公司 A kind of integrating device that a variety of monitoring of dangerous waste disposition industry are combined
KR102500763B1 (en) * 2022-10-31 2023-02-16 주토스 주식회사 Lightweight movable frame structure for installing Korean beef growth inspection video information camera
CN116115245A (en) * 2023-02-14 2023-05-16 重庆全景红岭医学影像诊断中心有限公司 Stereotactic frame for fusion of abdominal basin PET, CT and MR imag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7267A (en) * 1984-09-19 1987-04-14 Sachtler Gmbh Filmtechnische Geraete Motion picture or television camera stand
US5421549A (en) * 1993-12-30 1995-06-06 Richards; John W. Support stand for optical equipment
JPH08135894A (en) * 1994-11-02 1996-05-31 Canon Inc Image input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7267A (en) * 1984-09-19 1987-04-14 Sachtler Gmbh Filmtechnische Geraete Motion picture or television camera stand
US5421549A (en) * 1993-12-30 1995-06-06 Richards; John W. Support stand for optical equipment
JPH08135894A (en) * 1994-11-02 1996-05-31 Canon Inc Image input device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752B1 (en) * 2010-06-11 2011-02-08 주식회사 파나시아 A filter for a ballast water treatment
US8821720B2 (en) 2010-06-11 2014-09-02 Panasia Co., Ltd. Filtering apparatus for treating ballast water
CN102589827A (en) * 2011-01-14 2012-07-1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Fixing device
CN102589827B (en) * 2011-01-14 2016-04-06 华北理工大学 Stationary installation
CN102829296A (en) * 2012-08-27 2012-12-19 北京无线电计量测试研究所 Supporting device for correcting uniformity of transient electromagnetic field
CN107071280A (en) * 2017-04-19 2017-08-18 韩瑞丰 The intelligent filming apparatus of sound one zoom
CN109915715A (en) * 2019-03-26 2019-06-21 中再生环境科技有限公司 A kind of integrating device that a variety of monitoring of dangerous waste disposition industry are combined
KR102500763B1 (en) * 2022-10-31 2023-02-16 주토스 주식회사 Lightweight movable frame structure for installing Korean beef growth inspection video information camera
CN116115245A (en) * 2023-02-14 2023-05-16 重庆全景红岭医学影像诊断中心有限公司 Stereotactic frame for fusion of abdominal basin PET, CT and MR imag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rtinez et al. Ten years of art imaging research
JPH08181893A (en) Foldable stand image pickup device
US8781311B1 (en) Document holder for a portable imaging apparatus
US20070146850A1 (en) Electronic imaging apparatus with high resolution and wide field of view and method
KR20020080696A (en) Portable supporting stand for a camera
US20090309964A1 (en) Portable viewing device
US20050128347A1 (en) Tripod of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EP1029415B1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creation and interactive viewing of totally immersive stereoscopic images
KR101297836B1 (en) Mobile phone fixing rig for three-dimensional image photographing
US7409153B2 (en) Stereoscopic universal digital camera adapter
JPH10136237A (en) Image pickup device
JPH0346613Y2 (en)
US20050191048A1 (en) Stereoscopic universal camera apparatus
WO2016123824A1 (en) Photographic apparatus
Longson et al. Adapting traditional macro and micro photography for scientific gigapixel imaging
JPS6136730A (en) Film generating device for color print negative
KR101512407B1 (en) Visual presenter
CN216896661U (en) Device and terminal equipment of adjustable shooting angle
CN215734443U (en) Digital camera
CN220930709U (en) Camera convenient to use
KR200238247Y1 (en) A tree-legged stand for camera which can symmetrical angle
KR102284259B1 (en) System for assistant of art activities
KR101588267B1 (en) Open survey online learn methold to Visual presenter
TWM535011U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H09233373A (en) Image fetch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