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0172A - 인체의 전기적 특성 측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체의 전기적 특성 측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0172A
KR20020080172A KR1020010019571A KR20010019571A KR20020080172A KR 20020080172 A KR20020080172 A KR 20020080172A KR 1020010019571 A KR1020010019571 A KR 1020010019571A KR 20010019571 A KR20010019571 A KR 20010019571A KR 20020080172 A KR20020080172 A KR 20020080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characteristics
sensor unit
electromagnetic wave
electrical
poi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9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병
윤길원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9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0172A/ko
Publication of KR20020080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017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1Measuring skin imped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54Diagnosis based on concepts of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5Details of analog processing, e.g. isolation amplifier, gain or sensitivity adjustment, filtering, baseline or drift compen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09Special features of electrodes classified in A61B5/24, A61B5/25, A61B5/283, A61B5/291, A61B5/296, A61B5/053
    • A61B2562/0215Silver or silver chloride cont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4Arrangements of multiple sensors of the same type
    • A61B2562/046Arrangements of multiple sensors of the same type in a matrix arra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인체의 전기적 특성 측정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인체내의 경혈에 전기적인 특성 변화를 측정하는 이 장치는, 경혈과 경혈의 주변을 포함하는 2차원적인 경혈 영역내에 존재하는 다수개의 지점들 각각에 대한 전기적 특성을 센싱하는 센서부 및 센서부를 제어하고, 센서부에서 센싱된 전기적 특성들을 정규화하고, 전기적 특성들의 상대적 분포를 계산하는 제어 연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측정 에러에 영향을 덜 받고, 진단의 지표로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보다 풍부하게 얻을 수 있어 인체의 기능 평가 및 질병 진단을 위하여 보다 정확하게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가전 제품이나 통신 기기와 통합되어 가정용 의료기기로 이용될 수도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인체의 전기적 특성 측정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electrical characteristic of human body}
본 발명은 인체의 전기적 특성의 측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체에서 경혈의 전기적인 특성을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의학에서 인체 표면에 분포하는 각 경혈은 인체 내부에 위치한 장기들의 상태 및 몸 전체의 상태를 나타내는 반사(reflexion)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경혈에 대한 물리적 자극 인가를 통해 인체 내부에 해당 장기 상태의 이상 및 몸 전체의 기능 상태의 불균형을 치료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을 이용한 치료법은 한의학에서는 침구학의 형태로, 서양 의학에서는 반사요법(reflexotherapy)의 형태로 발전되고 있다. 결국, 경혈에 대한 치료뿐만 아니라 경혈에 의한 질병의 진단 역시 경혈의 전기적 특성 변화 계측을 통해 가능해진다. 종래에 경혈의 전기적 특성 진단 기술은 경혈에서 전극으로 측정한 전기 전도도가 평상시에 주위 조직보다 높고, 질환 상태에서는 평상시의 값(nominal value)으로부터 편차를 보인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질병 진단의 지표를 구한다. 그러나, 종래의 진단 기술은 경혈이라고 생각하는 한 지점의 전기 전도도만을 측정하므로 경혈을 중심으로 한 근방 영역의 전기 전도도 분포를 알 수 없으므로, 측정 에러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문제점을 가질 뿐만 아니라, 다른 물리적 자극에 대한 응답 특성을 고려하지 않으므로 진단의 지표로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풍부하게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갖는다.
전술한 종래의 진단 기술들중 하나가 미국 특허 번호 US4940060(1990)에 "Apparatus for detecting bioelectric signals"라는 제목으로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 개시된 종래의 기술은 0.5 내지 3.0 볼트(Volt) 영역의 전압을 기준 경혈에 인가하고 여러 지점의 경혈에서 10-11~ 10-4암페어(Amp) 레벨의 전류를 검출하고, 검출된 레벨을 갖는 전류의 시간 응답(time response)을 이용하여 질병 진단 및 치료 효과 검증에 유용한 정보를 추출한다.
종래의 진단 기술들중 다른 하나가 미국 특허 번호 US3971366(1974)에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condition of the meridians and the corresponding internal organs of the living body"라는 제목으로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 개시된 종래의 진단 기술은 공통 전위 전극을 신체의 일부분에 부착하고 14개의 쌍으로 이루어지는 전극을 통하여 손가락과 발가락의 특정점을 지정하여 전기적 저항을 측정하며, 특정점에서 검출된 전기적 저항의 최대치와 평균치를 분석하여 인체의 자율신경 및 내부장기의 기능적 상태를 진단한다. 이러한 종래의 진단 기술은 전기 저항 측정을 이용한 경혈 진단 분야의 초기 원천 특허들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전술한 미국에서 출원된 종래의 진단 기술들은 하나의 경혈에서 한 지점의 전기 전도도만을 측정하므로 경혈 근방 2차원 좌표 영역에서의 전기 전도도 분포를 알 수 없으며 전기 이외의 다른 물리적 자극에 대한 응답 특성 측정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들을 갖는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경혈 뿐만 아니라 경혈 근방 영역의 전기적인 특성을 측정할 수 있고 다른 물리적 자극에 대한 응답 특성도 측정할 수도 있는 인체의 전기적 특성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인체의 전기적 특성 측정 장치에서 수행되는 인체의 전기적 특성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체의 전기적 특성 측정 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적 특성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3 (a) 및 (b)는 도 1에 도시된 센서부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외관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4 (a) 및 (b)는 도 3 (a) 및 (b)에 도시된 센서부들의 본 발명에 의한 단면도들이다.
도 5 (a) 및 (b)들은 종래와 본 발명에 의해 측정된 인체의 전기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인체내의 경혈에 전기적인 특성 변화를 측정하는 본 발명에 의한 인체의 전기적 특성 측정 장치는, 상기 경혈과 상기 경혈의 주변을 포함하는 2차원적인 경혈 영역내에 존재하는 다수개의 지점들 각각에 대한 전기적 특성을 센싱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를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에서 센싱된 상기 전기적 특성들을 정규화하고, 상기 전기적 특성들의 상대적 분포를 계산하는 제어 연산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인체내의 경혈에 전기적인 특성 변화를 측정하는 본 발명에 의한 인체의 전기적 특성 측정 방법은, 상기 경혈과 상기 경혈의 주변을 포함하는 2차원적인 경혈 영역내에 존재하는 다수개의 지점들에 대한 전기적 특성들을 센싱하는 단계 및 센싱된 상기 전기적 특성들을 정규화하고, 상기 전기적 특성의 분포를 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인체의 전기적 특성 측정 장치의 구성 및 동작과, 그 측정 장치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에 의한 인체의 전기적 특성 측정 방법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체의 전기적 특성 측정 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블럭도로서, 센서부(10), 센서 구동부(20), 증폭부(30), 잡음 제거부(40),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50), 제어 연산부(60) 및 디스플레이부(70)로 구성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적 특성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로서, 전기적 특성과 그의 상대적 분포를 구하는단계(제80 및 제82 단계들)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인체의 전기적 특성 측정 장치는 인체내의 경혈에 전기적인 특성 변화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센서부(10)는 경혈과 경혈의 주변(또는, 근방)을 포함하는 2차원적인 경혈 영역내에 존재하는 다수개의 지점들 각각에 대한 전기적 특성을 센싱(sensing)한다(제80 단계).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개의 지점들은 경혈 영역내에서 일정 간격으로 조밀하게 위치한다.
제80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센서부(10)는 측정 전극들(14) 및/또는 전자기파 측정부(18)를 필수적으로 마련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인가 전극(12)과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파 인가부(16)중 적어도 하나를 마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센서부(10)는 적어도 하나의 인가 전극(12), 측정 전극들(14),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파 인가부(16) 및 전자기파 측정부들(18)을 모두 마련한다고 가정한다.
도 1에 도시된 적어도 하나의 인가 전극(12)은 경혈 영역상에 존재하는 다수개의 지점들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지점으로 출력단자 OUT1을 통해 전류를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인가 전극(12)은 염화 은 따위로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어레이(array) 형태로 마련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측정 전극들(14) 각각은 경혈 영역상의 해당하는 지점에 흐르는 전류를 입력단자 IN1을 통해 입력하고, 입력한 전류로부터 그 지점에 대한 전기 전도도를 전기적 특성으로서 센싱하고, 센싱된 전기 전도도를 출력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파 인가부(16)는 경혈 영역상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으로 출력단자 OUT2를 통해 전자기파를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어레이 형태로 마련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전자기파 측정부들(18) 각각은 다수개의 지점들중 해당하는 지점으로부터 전자기파를 입력단자 IN2를 통해 입력하고, 입력한 전자기파의 응답 특성을 전기적 특성으로서 센싱하고, 센싱된 전자기파 응답 특성을 출력한다. 여기서, 전자기파는 그의 파장 대역에 따라 빛이나 마이크로(RF:Radio Frequency)파가 될 수 있다. 만일, 전자기파가 빛인 경우 광 반사율이 전자기파 응답 특성으로서 얻어지고, 전자기파가 마이크로파인 경우 RF파 반사율이 전자기파 응답 특성으로서 얻어진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센서부(10)의 본 발명에 의한 외관 및 내관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3 (a) 및 (b)는 도 1에 도시된 센서부(10)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외관들(10A 및 10B)을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도 3 (a)는 전자기파가 RF파인 경우 센서부(10)의 외관(10A)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 (b)는 전자기파가 빛인 경우 센서부(10)의 외관(10B)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센서부(10)의 전자기파 인가부(16)로부터 인체로 인가되는 전자기파가 RF파일 경우, 도 3 (a)에 도시된 센서부(10A)는 인가 전극(12) 또는 측정 전극(14)이 될 수 있는 어레이 형태의 전극(), 전자기파 인가부(16)가 될 수 있는 하나의 마이크로파 인가부(o) 및 전자기파 측정부들(18)이 될 수 있는 어레이 형태의 마이크로파 수신 안테나()로 구성된다.
이 때, 도 1에 도시된 센서부(10)의 전자기파 인가부(16)로부터 인체에 인가되는 전자기파가 빛일 경우, 도 3 (b)에 도시된 센서부(10B)는 인가 전극(12) 또는 측정 전극(14)이 될 수 있는 어레이 형태의 전극(■), 전자기파 인가부(16)가 될 수 있는 하나의 광 조사 광 섬유(●) 및 전자기파 측정부들(18)이 될 수 있는 어레이 형태의 광 검출 광 섬유()로 구성된다.
도 4 (a) 및 (b)는 도 3 (a) 및 (b)에 도시된 센서부들(10A 및 10B)의 본 발명에 의한 단면도들로서, 도 4 (a)는 도 3 (a)에 도시된 센서부(10A)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4 (b)는 도 3 (b)에 도시된 센서부(10B)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센서부(10)의 전자기파 인가부(16)로부터 인체에 인가되는 전자기파가 RF파일 경우, 도 4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10A)는 인체(96)와 전자기파 및 전류를 주고 받는다. 먼저, 센서부(10A)에서, 인가 전극(12)이나 측정 전극(14)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는 전극(90)은 인체(96)의 각 지점으로 전류를 흘려 주거나 인체의 각 지점으로부터 전류를 센싱한다. 센서부(10A)의 마이크로파 인가부(92)는 인체(96)로 마이크로파를 화살표 방향으로 인가하고, 마이크로파 수신 안테나(94)는 인체(96)로부터 화살표 방향으로 방사되는 마이크로파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도 1에 도시된 센서부(10)의 전자기파 인가부(16)로부터 인체에 인가되는 전자기파가 빛일 경우, 도 4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10B)는 인체(110)와 빛 및 전류를 주고 받는다. 먼저, 센서부(10B)에서, 인가 전극(12)이나 측정 전극(14)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는 전극(102)은 인체(110)로 전류를 흘려주거나 인체(110)로부터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센서부(10B)에서 광 섬유 하우징(housing)(108) 내부의 광 섬유 서포트(suppport)(106)에 의해 지지되는 광 조사 광 섬유(100)는 인체(110)로 빛을 화살표 방향으로 인가하고, 광 검출 광 섬유(104)는 인체(110)로부터 화살표 방향으로 방사되는 빛을 수신한다.
제80 단계후에, 제어 연산부(60)는 센서부(10)를 제어하고, 센서부(10)로부터 입력한 센싱된 전기적 특성들을 정규화하고, 전기적 특성들의 상대적 분포를 계산한다(제82 단계).
제80 단계와 제82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센서부(10)와 제어 연산부(60) 사이에 센서 구동부(20), 증폭부(30), 잡음 제거부(40) 및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50)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구동부(20)는 제어 연산부(6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C1 및 C2)에 응답하여 센서부(10)를 제어하여 인체에 제공되는 전류 및 전자기파의 특성을 가변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인체의 전기 특성 측정 장치는, 인체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다양한 크기 및 주파수를 갖는 전류를 인체에 인가할 수 있고, 인체의 전자기파 응답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다양한 파장, 에너지 및 주파수를 갖는 전자기파를 인체에 인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 구동부(20)는 전극 구동부(22) 및 전자기파 발생부(24)로 구성된다. 전극 구동부(22)는 제어 연산부(6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C1)에 응답하여 가변된 크기 및/또는 주파수를 갖는 직류 또는 교류 형태의 전류를 인가 전극(12)으로 출력하고, 전자기파 발생부(24)는 제어 연산부(6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C2)에 응답하여 가변된 파장, 에너지 및/또는 주파수를 갖는 교류 형태의 전류를 전자기파 인가부(16)로 출력한다.
이 때, 증폭부(30)는 센서부(10)에서 센싱된 전기적 특성을 증폭하고, 증폭된 결과를 잡음 제거부(40)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증폭부(30)는 제1 및 제2 증폭기들(32 및 34)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증폭기(32)는 센서부(10)의 측정 전극들(14)에서 센싱된 인체의 전류를 증폭하고, 증폭된 결과를 잡음 제거부(40)의 제1 필터(42)로 출력한다. 제2 증폭기(34)는 센서부(10)의 전자기파 측정부들(18)에서 센싱된 인체의 전자기파를 증폭하고, 증폭된 결과를 잡음 제거부(40)의 제2 필터(44)로 출력한다.
잡음 제거부(40)는 증폭부(30)에서 증폭된 결과를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결과를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50)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잡음 제거부(40)는 제1 및 제2 필터들(42 및 44)로 구성된다. 제1 필터(42)는 제1 증폭기(32)에서 증폭된 결과를 필터링하고, 제2 필터(44)는 제2 증폭기(34)에서 증폭된 결과를 필터링한다.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50)는 잡음이 제거된 결과를 디지탈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이를 위해 제1 및 제2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들(52 및 54)로 구성된다. 제1 ADC(52)는 제1 필터(42)에서 필터링된 결과를 디지탈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 연산부(60)로 출력하고, 제2 ADC(54)는 제2 필터(44)에서 필터링된 결과를 디지탈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 연산부(60)로 출력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인체의 전기적 특성 측정 장치는 디스플레이부(70)를 더 마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0)는 제어 연산부(60)로부터 입력한 정규화된 전기적 특성들 및 전기적 특성들의 상대적 분포를 디스플레이하여 준다. 이를 위해, 제어 연산부(60)가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5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탈 형태의 변환된 결과로부터 계산한 정규화된 전기적 특성들과 전기적 특성의 상대적 분포를 디스플레이부(70)로 출력한다.
도 5 (a) 및 (b)들은 종래와 본 발명에 의해 측정된 인체의 전기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들로서, 도 5 (a)는 종래의 진단 기술에 의해 측정된 인체의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5 (b)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 및 방법에 의해 측정된 인체의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진단 기술은 하나의 경혈(130)에 대해서만 전기적인 특성 즉,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는 반면, 전술한 본 발명에 의한 인체의 전기적 특성 측정 장치 및 방법은 도 5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경혈(130) 뿐만 아니라 그 경혈(130) 근방도 포함하는 경혈 영역(132)에 대해서 전기적인 특성 예를 들면,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예컨데, 본 발명에 의한 장치 및 방법은 여러개의 측정된 전기 전도도들을 이용하여 전기 전도도의 상대적 분포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방법과 달리 본 발명에 의한 장치 및 방법은 도 5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적 특성으로서 전기 전도도 뿐만 아니라, 전자기파 응답 특성의 상대적 분포도 동시에 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인체의 전기적 특성 측정 장치 및 방법은 인체의 경혈과 경혈 근방의 영역상의 다수의 지점들로부터 전기 전도도 또는 전자기파 응답 특성을 측정할 수 있으므로 측정 에러에 영향을 덜 받고, 전기 전도도 뿐만 아니라 전기 이외의 다른 물리적 자극인 전자기파 응답 특성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으므로 진단의 지표로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보다 풍부하게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인체의 기능 평가 및 질병 진단을 위하여 보다 정확하게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가전 제품이나 통신 기기와 통합되어 가정용 의료기기로 이용될 수도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7)

  1. 인체내의 경혈에 전기적인 특성 변화를 측정하는 인체의 전기적 특성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혈과 상기 경혈의 주변을 포함하는 2차원적인 경혈 영역내에 존재하는 다수개의 지점들 각각에 대한 전기적 특성을 센싱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를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에서 센싱된 상기 전기적 특성들을 정규화하고, 상기 전기적 특성들의 상대적 분포를 계산하는 제어 연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의 전기적 특성 측정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어레이 형태의 적어도 둘 이상의 측정 전극들을 구비하고,
    상기 측정 전극들 각각은 상기 지점에 대한 전기 전도도를 상기 전기적 특성으로서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의 전기적 특성 측정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지점에 전류를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가 전극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의 전기적 특성 측정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어레이 형태의 적어도 둘 이상의 전자기파 측정부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전자기파 측정부들 각각은 상기 다수개의 지점들중 해당하는 지점에 대한 전자기파의 응답 특성을 상기 전기적 특성으로서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의 전기적 특성 측정 장치.
  5. 제2 항, 제3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지점에 전자기파를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파 인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의 전기적 특성 측정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전자기파 측정부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전자기파 측정부들 각각은 상기 다수개의 지점들중 해당하는 지점에 대한 전자기파 응답 특성을 상기 전기적 특성으로서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의 전기적 특성 측정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지점에 전류를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가 전극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의 전기적 특성 측정 장치.
  8. 제6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지점에 전자기파를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파 인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의 전기적 특성 측정 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어레이 형태로 상기 다수개 만큼 측정 전극들을 구비하고,
    상기 측정 전극들 각각은 상기 지점에 대한 전기 전도도를 상기 전기적 특성으로서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의 전기적 특성 측정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지점에 전자기파를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파 인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의 전기적 특성 측정 장치.
  11. 제3 항, 제4 항, 제7 항 또는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특성 측정 장치는
    상기 제어 연산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센서부를 제어하여 상기 인체로 인가되는 상기 전류 또는 상기 전자기파의 특성을 가변시키는 센서 구동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의 전기적 특성 측정 장치.
  12. 제2 항, 제3 항, 제4 항, 제6 항, 제7 항, 제9 항 또는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특성 측정 장치는
    상기 센서부에서 센싱된 상기 전기적 특성을 증폭하고, 증폭된 결과를 출력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된 결과를 필터링하는 잡음 제거부;
    상기 잡음이 제거된 결과를 디지탈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 및
    상기 정규화된 전기적 특성들 및 상기 전기적 특성들의 상대적 분포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연산부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탈 형태의 변환된 결과로부터 계산한 상기 정규화된 전기적 특성들과 상기 전기적 특성의 상대적 분포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의 전기적 특성 측정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지점들은 상기 경혈 영역내에서 조밀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의 전기적 특성 측정 장치.
  14. 제4 항, 제7 항, 제9 항 또는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파는 파장 대역에 따라 빛이나 마이크로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의 전기적 특성 측정 장치.
  15. 인체내의 경혈에 전기적인 특성 변화를 측정하는 인체의 전기적 특성 측정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경혈과 상기 경혈의 주변을 포함하는 2차원적인 경혈 영역내에 존재하는 다수개의 지점들에 대한 전기적 특성들을 센싱하는 단계; 및
    (b) 센싱된 상기 전기적 특성들을 정규화하고, 상기 전기적 특성의 분포를 구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의 전기적 특성 측정 방법.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다수개의 지점들 각각에 대한 전기 전도도를 상기 전기적 특성으로서 센싱하고, 상기 (b) 단계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의 전기적 특성 측정 방법.
  17. 제15 항 또는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다수개의 지점들 각각에 대한 전자기파 응답 특성을 상기 전기적 특성으로서 센싱하고, 상기 (b) 단계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의 전기적 특성 측정 방법.
KR1020010019571A 2001-04-12 2001-04-12 인체의 전기적 특성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0200801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9571A KR20020080172A (ko) 2001-04-12 2001-04-12 인체의 전기적 특성 측정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9571A KR20020080172A (ko) 2001-04-12 2001-04-12 인체의 전기적 특성 측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0172A true KR20020080172A (ko) 2002-10-23

Family

ID=27700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9571A KR20020080172A (ko) 2001-04-12 2001-04-12 인체의 전기적 특성 측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017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650A (ko) * 2002-03-12 2003-09-19 (주)메디드림 진단학에서의 컴퓨터 형태밀도 측정방법
WO2004039246A3 (en) * 2002-10-31 2004-12-23 Gtech Corp Meridian linking diagnostic and treatment system and method for treatment of manifested and latent maladies us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650A (ko) * 2002-03-12 2003-09-19 (주)메디드림 진단학에서의 컴퓨터 형태밀도 측정방법
WO2004039246A3 (en) * 2002-10-31 2004-12-23 Gtech Corp Meridian linking diagnostic and treatment system and method for treatment of manifested and latent maladies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11544B (zh) 使用振荡器对电极-组织接触进行的估计
JP5034028B2 (ja) 肺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US9615766B2 (en) Impedance measurement process
US967529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bioelectric signals
US20150065845A1 (en) Measuring apparatus and its method
KR101345640B1 (ko) 다중 건식전극을 포함하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 생체 임피던스 측정 시스템, 및 생체 임피던스 측정 방법
US9594104B2 (en) Simultaneous impedance testing method and apparatus
KR102528009B1 (ko) 센서를 이용한 전기 자극 장치
KR100438829B1 (ko) 극 초단파 신호를 이용한 생체 진단용 데이타 획득 장치및 방법
RU2732344C2 (ru) Система, регистратор и способ поверхностной электромиографии
KR101324560B1 (ko) 다채널 임피던스 측정방법 및 측정기
MX2011001836A (es) Método y aparato para diagnosticar y detectar enfermedades usando campos electromagnéticos de frecuencia extremadamente baja.
Gargiulo et al. Giga-ohm high-impedance FET input amplifiers for dry electrode biosensor circuits and systems
Ouypomkochagom et al. High-precision 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system using package excitation
KR20020080172A (ko) 인체의 전기적 특성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879634B1 (ko) 심폐혈관 모니터링 시스템
Anas et al. On-line monitoring and analysis of bioelectrical signals
Kadir et al. A multi-frequency focused impedance measurement system based on analogue synchronous peak detection
AU2021104416A4 (en) Device for measuring severity estimation in muscular atrophy & inflammation of muscles.
KR101041943B1 (ko) 전기적 비접촉 심전도를 이용한 체표전위 측정장치
RU2619752C1 (ru) Способ диагностики наполненности мочевого пузыря
RU220903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ценки биоэлектрической активности точек акупунктуры
KR101772202B1 (ko) 생체전극 부착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RU2145792C1 (ru) Медицинский диагностический компьютерный комплекс "полиреокардиограф"
Nair et al. Non invasive sensing and analysis of cardiac electric potential—‘system study, simulation and implemen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