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0045A - 통신회선 제어기 - Google Patents

통신회선 제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0045A
KR20020080045A KR1020010019098A KR20010019098A KR20020080045A KR 20020080045 A KR20020080045 A KR 20020080045A KR 1020010019098 A KR1020010019098 A KR 1020010019098A KR 20010019098 A KR20010019098 A KR 20010019098A KR 20020080045 A KR20020080045 A KR 20020080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line
controller
time
inpu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9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철호
Original Assignee
장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철호 filed Critical 장철호
Priority to KR1020010019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0045A/ko
Publication of KR20020080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004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3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lawful interception, monitoring or retaining of communications or communication related information
    • H04L63/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lawful interception, monitoring or retaining of communications or communication related information intercepting circuit switched data commun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81Configuration of triggering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 인터넷을 포함하는 데이터통신을 할 수 있는 통신회선을 통제, 제어할 목적으로 개발된 통신회선 제어기에 대한 것이다.
전화회선, 인터넷 회선 및 전용회선 등의 통신회선에 본 발명품인 통신회선 제어기를 연결시켜 설정한 일정시간 동안만 통신회선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동안 문제되어 왔던 청소년층의 무제한적이고 무절제한 전화나 인터넷 등의 사용을 방지하고, PC방이나 사무실 등의 통신회선 사용을 통제, 관리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그리고 설정자가 원하는 사용시간을 제어기에 있는 타이머에 입력하여 조정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으며, 이 설정시간의 변경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야만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인터넷 등의 데이터통신을 하기 위하여 PC나 정보단말기에서 정보 검색 시 폭력물, 음란물 등의 단어나 용어 및 문장 등을 통신회선 제어기의 저장장치에 사전에 입력시킴으로써 원천적인 유해정보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통신회선 제어기{Telecommunication Line Controller}
본 발명은 최근 사회 문제화되고 있는 무분별, 무차별, 무제한적인 전화나 인터넷 사용을 일정시간(기간)을 지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통제하거나 특정 전화번호나 데이터 검색을 제어할 수 있도록 가입자 전화회선이나 데이터통신회선에 연결시켜 주기 위한 통신회선 제어기의 개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화, 인터넷 및 전용회선 등 통신회선의 사용을 통제할 수 있도록 개발된 제어기와 관련된 기술 분야이다.
종래의 제어기는 시외전화 또는 국제전화를 통제하기 위하여 지역 또는 국가 식별번호만을 감지하여 전화를 차단하였으며, 청소년층의 인터넷 폭력물, 음란물의 접속을 차단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개발되어 PC 등에 설치 ·사용함으로써 전화나 인터넷 등의 이용시간(기간)을 통제하기가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화나 PC 등에 연결되는 통신회선이 제어기의 입 ·출력 단자를 경유하도록 하고 제어기 내부에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로 회선을 제어하여야 한다. 또한, 사용시간(기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타이머가 필요하며, 아무나 사용시간 변경을 할 수 없도록 비밀번호 입력기능과 유해정보를 차단하기 위하여 문자 검색 저장장치가 내장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전화사용을 통제하기 위한 시외전화, 국제전화 식별번호나 지정하는 특정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이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기능이 채용된 제어기의 발명을 위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주변회로 부품 및 회선 접속을 단속할 수 있는 스위치 등의 전자부품 등을 사용하여 그 기능을 실현하였다. 통신회선 제어기를 필요에 따라 접속할 수 있도록 통신회선에 직접 연결시키는 외장형, 전화기 및 PC 내의 보드에서 통제 가능하도록 한 내장형 형태로 개발하였다.
도1은 본 발명의 통신회선 제어기에 대한 하드웨어적인 블록다이어그램을 나타낸 것이며,
도2는 통신회선 제어기에 내장되는 시간 통제 기능을 하도록 구현된 소프트웨어적인 프로그램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3은 통신회선 제어기에 내장되는 소프트웨어로 검색어, 문장, 특정 전화번호 등 저장장치에 입력된 사항을 검색하여 통신회선을 통제하는 프로그램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4와 도5는 통신회선 제어기를 회선에 접속시켜 유선이나 무선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운용관리를 할 수 있도록 나타낸 망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하드웨어 부문으로 통신회선 제어기에 대한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낸 것으로, 프로세서부(1)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어드레스, 데이터 버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버스 인터페이스 버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동작은 메모리부(2)에 프로그램 되어 있는 소프트웨어 명령에 따라 기능을 처리한다. 메모리부(2)는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소프트웨어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롬(ROM)과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롬(ROM)으로부터 데이터를 읽어 오거나 쓸 수 있도록 하는 램(RAM), 전원이 꺼져도 설정일시, 통제어 및 회선의 탈장 등의 상태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메모리로 구성되어 있다. PC내장형의 경우에는 PC내의 프로세서가 제어하며, 시간 설정도 PC내의 타이머로 제어한다.
키보드제어부(3)는 문자,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PC호환용 키보드 접속용 포트와 콘트롤러로 구성되어 있으며, 리모콘제어부(4)는 키보드 대신에 리모콘을 이용하여 입력하도록 하였다. 키패드제어부(5)는 본 통신회선 제어기 자체에 포함되어 있는 키패드나 명령키를 프로세서부(1)와 접속시키기 위하여 제어부를 내장하였다.
디스플레이부(6)는 액정패널과 액정패널 콘트롤러로 이루어져 있으며, 키보드 또는 리모콘 또는 키패드나 명령키로 문자나 숫자 등을 입력하면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입력 확인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회신제어부(7)는 통신회선 접속 포트와 프로세서부(1)의 제어로 회선의 온/오프 동작을 하도록 하는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어기가 동작되는 동안 통신회선을 제어기 입출력단에서 분리하였을 경우 내장되어 있는 스피커를 통해서 경보음을 출력하게 되고, 그리고 설정된 통신회선의 사용 종료시간이 임박할 경우에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갖도록 하였다. 또한, 무선모뎀부(10)는 통신회선 제어기와 PC방이나 사무실 등에 설치된 운용관리시스템 간에 무선망으로 접속을 구성하기 위하여 채용함으로써 운용관리시스템에서 직접 통신회선 제어기의 원격관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컴퓨터연결부(8)는 통신회선 제어기와 PC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포트를 구현하였다. 전원부(9)는 일반 상용 교류전원인 AC110V/220V를 직류전원인 DC로 변환하여 본 발명의 기기에 공급하는 전원장치이며, 정전 시에도 기기가 동작하도록 배터리 장치를 두었다.
도2는 본 발명의 기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로 도1의 메모리부(2)에 채용된 프로그램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통신회선의 사용시간을 통제하지 않을 경우에는 설정시간 입력없이 통신회선에 정상적으로 접속시켜주는 기능(S8)을 수행하게 되며, 통제할 경우에는 임의의 설정시간을 입력(S2)한 후 비밀번호를 입력(S3)시킴으로써 전화나 인터넷 사용자 등이 임의로 설정시간 등을 변경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또한 비밀번호 입력이 틀릴 경우에는 본 기기가 동작하지 않도록 하여 회선 접속이 원천적으로 안되도록 하였으며, 통신회선 제어기를 재동작시키거나 초기화할 경우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동작을 시작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회선접속 프로그램(S4)은 비밀번호를 확인하여 일치할 경우 설정시간 동안 통신회선 사용(S5)이 가능하도록 동작(S6)한다. 그리고 설정시간 내에 통신회선을 다시사용(S7)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두었다. 또한 이 설정시간은 전원공급의 유무에 상관없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매일 동일 시간에 회선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설정시간의 입력은 사용자가 원하는 횟수, 시간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의 입출력단에 연결되는 통신회선을 분리하였을 경우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통신회선 제어기의 메모리부(2)에 저장하여 상태관리를 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통신회선 제어기의 액정화면에서 설정시간 및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메뉴 드리븐(Menu Driven) 방식으로 프로그램화하였다. 통신회선 제어기의 전원을 온(on)하였을 경우, 액정화면에는 "비밀번호 입력", "시작시간 입력", "종료시간 입력" 및 다시 "비밀번호 입력"이라는 메뉴가 표시되어 사용자는 명령에 따라 입력하여 통신회선 제어기를 셋팅하도록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하여 구현하였다. 또한 여러 개의 설정시간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3은 전화나 인터넷 사용 시에 통제하고자 입력한 특정 전화번호, 단어나 문장 등을 통제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통신 회선 사용에 있어서 지정한 검색어를 통제(S9)하기 위해서 검색 프로그램 기능(S10)을 구현하였다. 특정 전화번호인 국제전화 식별번호, 시외전화 지역번호, 700번 서비스 등의 전화 부가서비스 전화번호나 별도로 지정한 전화번호, 그리고, 음란물 또는 폭력물 등에 사용되는 단어나 문장 등을 저장한 통제어 저장장치(S11)인 메모리 내의 데이터(S12)를 검색하여 그에 해당되는 전화번호나 단어 등이 있을 경우 통신회선은 오프(SD13)되어 회선의 사용이 중지되는 기능을 갖도록 하였다. 검색 후 통제어가 아닐 경우(S12)에는 정상적으로 회선 접속(S8)이가능하도록 하였다.
도4와 도5는 PC방이나 사무실 등 그룹으로 통신회선을 사용하는 장소에서 통신회선 제어기를 이용하여 운용관리시스템과의 무선망 또는 유선망으로 구성하여 각각의 사용 중인 통신회선의 시간 설정 및 운용관리 등을 하기위한 통신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운용관리자는 무선망이나 유선망을 이용하여 각각의 회선 사용을 제어기에서 별도로 관리하지 않고 운용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집중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의성을 제공하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절제한 전화 사용이나 인터넷의 유해 사이트 접속으로부터 청소년층을 보호할 수 있으며, 컴퓨터 온라인게임 등의 사용시간을 통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PC방이나 사무실의 회선의 운용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어 편의성 및 경제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Claims (12)

  1. 통신회선 사용에 있어서 통신회선 제어기를 전화나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에 연결하여 원하는 임의의 시간 동안 회선의 단속을 통제할 수 있는 방법
  2. 청구항 1을 실현하기 위한 외장형 통신회선 제어기에 대한 설계 및 구현
  3. 청구항 1을 실현하기 위한 PC 내장형 통신회선 제어기에 대한 설계 및 구현
  4. 청구항 2에 있어서 컴퓨터 내장형과 외장형의 ADSL, VDSL 등의 DSL모뎀, 케이블모뎀 및 공중통신용 모뎀 등의 전자회로에 포함하여 구현하는 방법
  5. 청구항 2에 있어서 통신회선 제어기를 구현하기 위한 제어방식 및 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통신회선 제어기에 임의의 시간을 입력하기 위한 방법중 컴퓨터에 연결된 키보드나 제어기의 키패드 및 리모콘을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는 방법
  7. 청구항 1, 2항에 있어서 임의의 시간 입력은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이나 횟수를 정하여 입력할 수 있는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시간 입력 사항을 변경하기 위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변경이 가능하도록 한 방법
  9. 인터넷 및 데이터 등의 정보 검색 시 통신회선 제어기의 저장장치에 입력한 단어, 문장 등을 검색하여 통신회선의 사용을 통제하는 방법
  10. 통신회선의 사용 중 설정된 시간이 종료되기 전에 경보음을 발생하여 종료시간이 임박하였음을 전달하는 방법
  11. 통신회선 제어기의 회선 입력단이나 출력단에서 회선 분리 시 경보음의 발생 및 시간을 저장하는 방법
  12. 제어기와 운용관리시스템 간에 유선망 또는 무선망을 구성하여 통신회선 사용을 통제, 관리하는 방법
KR1020010019098A 2001-04-10 2001-04-10 통신회선 제어기 KR200200800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9098A KR20020080045A (ko) 2001-04-10 2001-04-10 통신회선 제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9098A KR20020080045A (ko) 2001-04-10 2001-04-10 통신회선 제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0045A true KR20020080045A (ko) 2002-10-23

Family

ID=27700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9098A KR20020080045A (ko) 2001-04-10 2001-04-10 통신회선 제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00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3593A (ko) * 2001-07-03 2003-01-10 (주) 해커스랩 제한조건 동안 특정 보안정책을 적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보안장치 및 네트워크 보안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6410A (ko) * 1995-03-07 1996-10-28 장기휘 단말기의 사용제한방법 및 그 장치
KR19990027166A (ko) * 1997-09-29 1999-04-15 구자홍 웹사이트 접속 제한방법
KR20000012713A (ko) * 1999-12-20 2000-03-06 이문자 컴퓨터 상 음란, 폭력물 등 유해 정보의 차단 방법 및 장치
KR20000036511A (ko) * 2000-03-18 2000-07-05 한정룡 다기능 인터넷 웹브라우저
KR200193569Y1 (ko) * 2000-04-01 2000-08-16 주식회사팻토리닷컴 인터넷 불건전정보 차단시스템
KR200216643Y1 (ko) * 2000-08-12 2001-03-15 주식회사플랜티넷 유해사이트의 접속차단 서비스 제공 장치
KR200221976Y1 (ko) * 2000-12-12 2001-04-16 리노공업주식회사 인터넷 접속제어 타이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6410A (ko) * 1995-03-07 1996-10-28 장기휘 단말기의 사용제한방법 및 그 장치
KR19990027166A (ko) * 1997-09-29 1999-04-15 구자홍 웹사이트 접속 제한방법
KR20000012713A (ko) * 1999-12-20 2000-03-06 이문자 컴퓨터 상 음란, 폭력물 등 유해 정보의 차단 방법 및 장치
KR20000036511A (ko) * 2000-03-18 2000-07-05 한정룡 다기능 인터넷 웹브라우저
KR200193569Y1 (ko) * 2000-04-01 2000-08-16 주식회사팻토리닷컴 인터넷 불건전정보 차단시스템
KR200216643Y1 (ko) * 2000-08-12 2001-03-15 주식회사플랜티넷 유해사이트의 접속차단 서비스 제공 장치
KR200221976Y1 (ko) * 2000-12-12 2001-04-16 리노공업주식회사 인터넷 접속제어 타이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3593A (ko) * 2001-07-03 2003-01-10 (주) 해커스랩 제한조건 동안 특정 보안정책을 적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보안장치 및 네트워크 보안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82554B1 (en) Keyboard arrangements
KR20020056774A (ko) 엠베드 시스템의 타임정보 관리방법 및 시스템
KR100202142B1 (ko) 분리형 키패드 전화기 및 그 운용방법
KR20020080045A (ko) 통신회선 제어기
KR20020080729A (ko) 통신 회선 제어 방법 및 제어기기
JP3434765B2 (ja) 携帯電話装置用キーボード装置及びその電源制御方法
US20030182385A1 (en) Portable terminal equipment, notifying method and its program
KR101215312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방법
KR100478365B1 (ko) 컴퓨터 원격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02983A (ko) 단어의 초성을 이용한 단어 검색이 가능한 통신단말기와이를 적용한 단어검색 방법
JP4523210B2 (ja) Phs構内無線システム及びパラメータ変更方法
KR100530650B1 (ko)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 네비게이션 키를 이용한 사칙연산 수행 방법
KR100191820B1 (ko) 보조 단축 다이얼 장치
KR20030095609A (ko) Lcd 화면에 한글 메뉴를 표시하여 기능버튼을공용화하는 홈오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0143318B1 (ko) 키폰시스템에서 전원절약 운영방법 및 회로
JP3281909B2 (ja) 電話切替装置
WO2008018598A1 (fr) Terminal portable et procédé de commande de mode d'entrée
JP2907633B2 (ja) 電子交換機を介した多機能電話機の外部指定方法
JPH06282506A (ja) 通信プロトコル
KR20020067815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전화번호 검색장치 및 방법
CN1713682B (zh) 使用公共通信网络进行铃音控制的方法
KR20040105937A (ko) 매크로 기능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 방법
JP2000253126A (ja) 電話装置
CN2498799Y (zh) 市话图文信息终端设备
KR19990024653A (ko) 전화 카드를 사용하는 전화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