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9709A - 광결제시스템을 위한 카드 발급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광결제시스템을 위한 카드 발급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9709A
KR20020079709A KR1020020059520A KR20020059520A KR20020079709A KR 20020079709 A KR20020079709 A KR 20020079709A KR 1020020059520 A KR1020020059520 A KR 1020020059520A KR 20020059520 A KR20020059520 A KR 20020059520A KR 20020079709 A KR20020079709 A KR 20020079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information
terminal
card issuing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9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9317B1 (ko
Inventor
박경양
김철기
정훈준
고정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73659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2007970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Publication of KR20020079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9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9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93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3Payments by cards read by M-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Abstract

광결제시스템을 위한 카드 발급방법 및 시스템은 광송수신기를 내장한 개인 휴대단말기를 카드 대용의 지불수단으로 이용하여 광결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무선 및 인터넷망을 통해 카드발급신청을 접수받아 발급자격을 확인하여 만족하면 카드번호생성프로그램에 의해 카드번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카드번호를 포함하는 카드정보를 암호화하여 카드발급신청 접수시 지정된 휴대폰이나 PDA등 광송수신기를 내장한 개인 휴대단말기로 전송하여 휴대단말기의 내장메모리 또는 SIM, USIM, UIM방식의 착탈식 IC카드에 카드정보를 저장시켜 발급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개인 휴대단말기에 카드정보를 입력하여 현금이나 카드를 소지하지 않아도 휴대단말기를 지불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하고 신뢰성있는 신용거래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광결제시스템을 위한 카드 발급방법 및 시스템{Card issue method and system for optical payment system}
본 발명은 IPC 분류 H04Q7/24에 속하는 광결제시스템을 위한 카드 발급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송수신기가 부착된 휴대단말기를 통해 제반 거래의 비용을 결제할 수 있도록 그 휴대단말기에 지불정보를 내장시켜 카드 발급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결제수단으로 현금보다 사용 및 휴대가 간편한 카드(card)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 카드종류로는 신용카드(credit card), 현금카드, 직불카드, 교통카드 등 결제종류에 따라 다양하다. 예를 들면, 일반상점이나 백화점 등에서 물품 구매에 대한 대금 결제로 카드를 많이 사용한다. 그리고, 주유소에서 기름을 넣거나 레스토랑 등에서 음식을 먹고 나서의 요금 지불도 카드를 사용한다. 근래에는, 택시나 지하철, 버스 등의 교통비에 대해서도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뿐 아니라 온라인(on-line)상에서의 전자상거래 및 현금자동입출기(ATM/CD) 등도 카드사용이 가능한 분야이다. 이처럼, 카드 가맹점이 늘어나고, 카드로 결제할 수 있는 종류도 다양해졌다. 물론, 톨케이트나 터널 통행료, 자판기, 무인자동판매기(kiosk) 등과 같이 아직 카드가 사용되지 않는 분야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신용카드 결제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일반상점에서 물건을 구입하여 대금을 지불해야 할 경우를 보여준다.
구매자는 소지하고 있는 신용카드(11)를 판매자에게 전달한다. 신용카드(11)는 고유번호와 사용자이름이 새겨져 있는 마그네틱형태의 카드이다. 판매자는 신용카드조회기(12)의 마그네틱카드리더기를 통해 신용카드정보를 인식시킨다. 신용카드조회기(12)는 인식된 신용카드정보를 밴(VAN)사시스템(13)으로 전달하여 승인요청을 한다. 신용카드조회기(12)와 밴사시스템(13)간에는 전용선을 통해 연결된다. 밴사시스템(13)은 접수한 승인요청을 해당 카드사시스템(14)으로 승인 신청을 한다. 밴사시스템(13)으로부터 승인신청을 수신한 카드사시스템(14)은 해당 신용카드가 불량카드인지 여부, 신용카드 소지자의 신용상태, 사용하고자 하는 신용카드의 사용한도등을 확인하고 승인 결과를 밴사시스템(13)으로 송신한다. 카드사시스템(14)으로부터 승인결과를 수신한 밴사시스템(13)은 최초에 승인 신청이 접수된 상점의 신용카드조회기(12)로 승인여부를 통보한다. 상점 판매자는 승인 결과를 확인한 후 구매자에게 통보하고, 승인 결과가 정상인 경우 구매자에게 매출전표를 제시하여 서명을 받음으로써 신용카드를 이용한 결제가 완료된다.
도 2는 일반적인 전자상거래에서 신용카드 결제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물건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버 쇼핑몰(23), 쇼핑몰(23)에 인터넷 접속하여 물건 또는 서비스를 구매하는 고객의 단말기(22), 제품에 대한 금전관계에 관여하는 지불게이트웨이(24)와 밴사(25) 및 카드사(26)로 구성된다.
고객은 컴퓨터 등 인터넷에 연결된 단말기(22)로 사이버 쇼핑몰(23)에 접속하여 쇼핑을 한다. 구매를 원하는 제품을 발견하면 쇼핑몰(23)에 구매의사를 전달한다. 고객은 쇼핑몰(23)측이 제공한 화면에 소지한 신용카드(21)의 정보 즉, 고객이름, 카드번호, 비밀번호, 유효기간등의 카드정보를 입력한다. 쇼핑몰(23)은 고객이 제시한 카드정보를 지불게이트웨이(24)로 전달한다. 지불게이트웨이(24)는 전달된 카드정보에 대해 결제기관인 카드사(26) 또는 밴사(25)를 통해 승인을 요청한 후 확인받아 그 결과를 거래가 발생한 쇼핑몰(23)로 전달한다. 쇼핑몰(23)측은 지불게이트웨이(24)로부터 정상적으로 결제처리가 이루어졌음을 통지받으면, 해당 고객이 구입한 물품을 배달함으로써 거래를 완료시킨다.
한편, 현금이나 카드 이외에 새로운 지불수단으로 전자화폐를 사용한다. 전자화폐는 네트워크형, IC형, 그리고 전화번호를 이용한 소액전자화폐로 구분할 수 있다. 네트워크형은 실질적인 화폐의 가치를 네트워크상의 특정 데이터베이스에저장해놓고 온라인(on-line)상에서 지불이 필요할 때 필요한 만큼의 가치를 이전시키는 방법으로서 오프라인(off-line)상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IC카드형 전자화폐는 대표적 예로 몬덱스카드를 들 수 있다. 전화번호를 이용한 소액결제용 전자화폐는 해당 전자화폐 판매업체에 등록후 인터넷상에서 어떤 재화나 용역을 구매시 신용카드등의 지불정보 대신 개인의 휴대전화번호를 입력하면 정산처리가 되고 지불대금은 다음달 본인의 이동통신 사용요금에 합산하여 부가되는 방식이다.
그런데, 위와 같은 신용카드는 비용지불을 위해 항상 소지해야 하고, 분실시 부당하게 사용될 우려가 있다. 또한, 신용카드 사용시 개인의 신용정보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어 항상 부당 사용에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카드조회를 위하여 카드를 판매자에게 건네주는 행위로 인하여 손쉽게 카드복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와 카드업체의 분쟁이 증가하고 사용자에게 모든 책임이 전가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신용카드는 마그네틱으로 되어 있어 판독이 용이하고, 손상될 염려가 많다. 또한, 사용유효기간이 정해져 있어 신용도가 정상인 회원이라 할지라도 3∼5년마다 카드를 재발급하여 송달해주어야 하므로 영업비용이 상승한다. 카드는 통상 지갑에 넣어 보관하므로, 카드를 분실한 경우 카드를 다시 사용하기 전까지는 분실을 확인하기 곤란하여 도난, 분실로 인한 부정사용의 우려가 있다. 또, 기존의 마그네틱카드는 수용할 수 있는 정보량이 작아 다양한 응용분야를 모두 수용할 수 없었으며 출입카드, 증권카드, 서비스 카드 등의 각 카드의 발급주체가 틀려 개인이 여러장의 복수의 카드를 가지고 있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소지한 카드수가 증가하고 카드 사용이 늘어남에 따라 카드 분실이나 도난 등의 사고가 자주 일어나 카드를 거래정지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체납된 카드사용대금으로 인하여 신용불량거래자로 등록될 경우 그 카드 사용을 정지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카드 거래정지를 위해, 종래에는 카드사시스템에서 도난, 분실 및 신용불량에 속하는 카드에 대한 블랙리스트(black list; B/L) 정보를 관리하면서 가맹점으로부터 카드거래 승인요청이 수신되면 정지여부를 체크하는 방법과, 지하철이나 버스이용시 지하철개찰구 또는 버스 출입구에 설치된 카드리더기에 카드사시스템으로부터 유선으로 일괄 다운로드받아 저장된 블랙리스트 정보를 일일이 대조하여 체크하는 방법이 사용중이다.
하지만, 위와 같은 종래 카드 거래중지방법은 다량의 자료를 각 카드리더기에 저장하여야 하는 운영상의 어려움과 블랙리스트 체크 소요시간이 길어지면서 카드리더기의 반응시간이 늦어져 서비스의 불만이 나타날 문제가 있다.
이처럼, 분실 및 부당 사용될 우려가 있는 신용카드 대용으로, 사용자가 항상 소지하고 있는 휴대폰이나 PDA등의 휴대단말기에 광송수신기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결제시스템이 동일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특허 제 2000-13426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광결제시스템을 위해, 카드 신청인에게 마그네틱카드 대신 휴대폰이나 PDA등의 무선통신단말기와 같이 신청인이 소지한 휴대기기에 카드정보를 입력시켜 그 휴대기기를 카드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카드발급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신용카드를 이용한 결제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일반적인 전자상거래에서 신용카드 결제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결제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드발급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도 4 시스템의 카드발급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드발급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도 6 시스템의 카드발급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광지불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정보 암호화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다종의 지불정보 저장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정보를 내장한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결제시스템의 보안성 증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광지불에 의한 결제시스템에 제공되는 카드정보 변경 서비스시스템 및 그 동작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거래 중지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15는 도 14 시스템에서 카드의 블랙리스트 등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6은 도 14 시스템에서 카드거래 정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광지불에 의한 결제시스템에 제공되는 카드 분실 서비스시스템 및 그 동작 흐름도,
도 19 및 20은 본 발명의 광지불에 의한 결제시스템에 제공되는 사용내역 무선전달시스템 및 그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휴대단말기 32 : 광수신기
33 : 신용조회단말기 34,37 : 중계소
35 : 밴사 36 : 카드사
38 : 이동통신망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카드를 발급하는 방법에 있어서, (1) 유무선 및 인터넷망을 통해 카드발급신청을 접수받는 단계와, (2) 카드번호생성프로그램에 의해 카드번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카드번호를 포함하는 카드정보를 암호화하는 단계와, (3) 암호화된 카드정보를 카드발급신청 접수시 지정된 휴대단말기로 전송하여 휴대단말기에 저장시키는 단계, 및 (4) 저장완료되면 정상작동상태를 확인하고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카드정보가 저장된 휴대단말기를 카드로 사용토록 한 카드발급방법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은, 카드 발급을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카드발급신청서를 접수받아 발급자격을 확인하여 만족하면, 카드정보를 암호화하여 신청인이 지정한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카드사, 및 수신되는 카드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이를 화면에 표시하여 카드발급이 되었음을 신청인에게 확인시켜주는 휴대단말기를 포함하는 카드발급시스템에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지불에 의한 결제시스템의 기본적인 개념도로, 크게 카드발급시스템과 결제시스템으로 구분된다. 카드발급시스템은 카드사의 카드발급단말기에 광송수신기를 부착하여 데이터 광송수신으로 광송수신기가 부착된 카드 신청인의 휴대단말기에 신용카드의 정보를 입력시키는 방식, 휴대단말기의 배터리팩에 카드의 정보를 입력시키는 방식, 그리고 유무선 망을 통해 휴대단말기에 카드의 정보를 다운로드시키는 방식 등을 통해 카드를 발급한다. 카드발급시스템은 카드 신청인(31), 카드를 발급하는 카드사(36) 및 발급된 카드의 정보를 앞서 언급된 방식들을 사용하여 신청인(31)이 소지한 휴대단말기에 전달하는 중계소(37)로 구성된다. 물론, 중계소(37)의 역할을 카드사(36)에서 직접 수행할 수도 있다. 중계소(37)와 신청인(31) 사이에는 카드정보를 신청인(31)이 소지한 휴대단말기에 RF 전송하기 위해 그 휴대단말기에 해당하는 이동통신사의 통신망(38)이 연결된다. 카드사(36)와 중계소(37) 사이에는 전화망(X.25)을 통해 연결된다. 결제시스템은 발급받은 신용정보를 광송신하는 휴대단말기(31), 가맹점에 설치되며 광수신기(32)를 부착하여 송신되는 고객 신용정보신호를 수신하여 신용조회하기 위한 신용조회단말기(33), 및 신용거래확인 및 거래승인을 위한 결제기관(36)으로 구성된다. 결제기관(36)은 은행이나 카드사가 되며, 밴사(35)를 통해 거래승인요청이 이루어진다. 가맹점의 신용조회단말기(33)와 밴사(35) 사이에는 중계소(34)가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우선, 개인 휴대 정보기기(휴대폰, PDA)에 신용카드, 지불카드, 전자화폐, 상품권 등의 지불정보를 내장시켜 카드 대용으로 발급하는 카드발급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드발급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낸 시스템은 카드신청인(41)과, 자격심사 및 본인확인을 하여 카드를 발급하는 카드사(42)로 구성된다. 중계소(44)는 발급된 카드의 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신청인(41)이 지정한 휴대단말기에 전달한다. 또한, 도 4 시스템은 카드발급신청인(41)과 휴대단말기 소지자가 동일인임을 인증하는 이동통신사(43)와, 휴대단말기를 판매 및 가입권유하고 접수하는 이동통신사대리점(45)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도 4 시스템의 카드발급에 대한 동작을 도 5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카드신청인(41)은 이동통신사대리점(45)에서 광지불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는 휴대단말기(휴대폰, PDA 등)를 구입하고 카드발급을 신청한다(단계 51). 본 실시예의 카드는 카드정보를 송출할 수 있는 광송수신기가 내장된 휴대폰이나 PDA형태의 이동통신단말기이다. 이동통신사대리점(45)은 접수받은 카드발급신청서를 카드모집인(46)을 통해 카드사(42)에 전달한다. 카드사(42)는 카드발급신청서상의 본인이 신청한 것인가를 확인하고 카드발급자격 여부를 심사한다(단계 52). 단계 52의 심사결과 카드발급자격을 상실한 신청서는 카드모집인(46) 또는 카드신청인(41)에게 반송한다. 카드발급심사를 통과한 신청서는 직원에 의해 기재된 내용이 카드사(42) 서버에 전산입력되고, 카드번호생성프로그램에 의해 카드번호를 생성한다(단계 53). 카드사(42)는 계약에 의거 이미 설치된 전용선을 통해 이동통신사(43)의 전산서버에 카드발급신청인의 주민번호와 카드정보가 저장될 휴대단말기가 카드신청인의 소유인지를 확인요청한다(단계 54). 단계 54의 확인결과 양자간의 주민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카드발급신청서를 반송한다. 휴대단말기가 카드신청인(41)의 소유로 확인되면 카드사(42) 서버는 생성된 카드번호를 포함하는 신용카드정보를 암호화하여 휴대단말기 번호와 함께 전용선을 통해 중계소(44)로송신한다(단계 55). 중계소(44)에서는 암호화된 카드정보를 휴대단말기 번호와 함께 수신한다. 중계소(44)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휴대단말기의 번호를 가지는 휴대단말기를 호출하여 접속된 상태에서 신용카드정보를 송신한다(단계 56). 휴대단말기는 수신되는 신용카드정보를 사용자가 접근할 수 없는 메모리영역에 저장하고, 사용자 확인을 위한 메시지를 화면에 현시한다(단계 57). 휴대단말기의 화면상에는 "000손님 카드가입을 축하합니다. 사용이 가능한 한도는 ‥"라고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본인이름과 사용한도액등을 확인케 하여 오류정보가 입력되었는 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확인 후, 휴대단말기는 정상 종료여부를 체크하여(단계 58), 수신정보가 정상적으로 입력을 종료하지 못했으면 비정상적으로 입력되었음을 통지하여 중계소(44)에서 재전송할 수 있도록 단계 56으로 돌아가 단계를 다시 수행한다.
여기서 언급된 카드발급체계를 푸쉬(push)방식이라 칭한다. 이는 개인의 접속여부에 무관하게 카드신청인이 발급자격을 만족하면 카드 신청시 지정한 휴대단말기를 호출하여 카드정보를 전송하여 내장시킨 후, 카드신청인에게 카드가 발급되었음을 알려주면 된다. 그 밖에도,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하여 중계소(44)에 접속된 상태에서 카드를 발급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증계소(44)는 카드사(42)로부터 카드정보를 수신한 상태에서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휴대단말기에 카드발급통보를 송신한다. 카드발급통보를 휴대단말기를 통하여 확인한 고객은 휴대단말기의 키패드를 조작하여 중계소(44)와 무선인터넷으로 연결한다. 무선인터넷 접속상태에서 중계소(44)는 고객에게 본인확인데이타를 요구하는 메세지를 송신한다. 본인확인데이타는 요구 메세지를 수신받은 고객은, 휴대단말기의 키패드를 조작하여 본인확인데이타를 중계소(44)로 송신한다. 본인확인데이타를 수신한 중계소(44)는 현재 연결되어 있는 고객의 본인여부를 판단한 후, 본인이면 신용카드정보를 휴대단말기로 전송한다. 휴대단말기는 수신되는 신용카드정보를 내장메모리에 저장하고, "정상수신되었습니다."라는 메세지를 화면에 현시시킨 후 종료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정상입력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중계소(44)는 본인이 아니면 휴대단말기 화면에 "본인이 아니므로 카드정보를 발급할 수 없습니다."라는 메세지를 현시시킨 후 종료하도록 한다. 이처럼, 인터넷을 통한 카드발급은, 카드신청인에게 발급후 통지하지 않고 발급의사를 물은 후 원할 경우에 발급하게 된다.
그 밖에도,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IM(user identity module)등의 방식을 이용한 착탈식 IC카드를 휴대단말기에 장착시켜 카드정보를 다운로드받아 저장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카드신청인이 카드사에 방문하여 휴대단말기에 카드정보를 직접 입력시킬 수 있다. 이를 키패드(keypad)방식이라 칭한다. 키패드방식에 의한 카드발급시스템을 도 6에 도시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드발급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낸 시스템은 광송수신기(62)가 부착되며 발급된 카드의 정보를 입력받아 광지불수단으로 사용하기 위한 휴대단말기(61)를 구비한다. 카드발급단말기(64)는 광송수신기(63)가 부착되며 카드 신청인이 소지한 휴대단말기(61)에 발급된 카드의정보를 입력한다. 휴대단말기(61)와 카드발급단말기(64) 사이에는 유무선으로 연결된다. 도 6의 시스템은 또한, 카드발급 관련 금융기관의 전산망(65)과 주전산기(66)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도 6 시스템의 카드발급에 대한 동작을 도 7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카드 신청인은 본인의 휴대단말기를 갖고 직접 카드발급사를 방문한다. 그리고, 카드발급신청서를 작성하여 제출한다(단계 71). 카드발급자는 제출된 신청서에 기재된 내용을 카드발급단말기(64)를 통해 전산 입력한다(단계 72). 전산 입력된 내용은 전산망(65)을 통해 주전산기(66)로 전송된다. 그리고, 신분증등을 통해 신청자 본인임을 신분확인한다(단계 73). 신분이 확인되면, 카드발급자는 카드발급단말기(64)를 입력모드로 전환시킨 후(단계 74), 카드정보 입력 대상이 되는 휴대단말기(61)의 번호와 제출된 휴대단말기가 일치하는 지를 확인한다(단계 75). 여기서는 이동통신회사에 문의하거나 전화를 걸어 휴대단말기를 확인한다. 그런 다음, 제출된 휴대단말기(61)을 카드 입력모드로 전환시킨다(단계 76). 단계 74 및 단계 76을 통해 각각 카드발급단말기(64)와 휴대단말기(61)가 입력모드상태가 되면, 카드발급단말기(64)에 부착된 광송수신기(63)와 휴대단말기(61)에 부착된 광송수신기(62)가 서로 마주보도록 하여 카드정보를 광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카드발급단말기(64)와 휴대단말기(61)를 케이블로 직접 연결하여 카드정보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카드발급자는 카드발급단말기(64) 키보드상에 미리 약정된 입력버튼을 눌러 기록해야 할 개인의 카드정보, 이름, 기타 금융기관이 필요로 한 정보를 휴대단말기(61)를 향해 송신한다(단계 77). 이때, 송신되는 정보는 휴대단말기(61)뿐 아니라 전산망(65)을 통해 주전산기(66)로도 입력되어 기록된다. 휴대단말기(61)는 부착된 광송수신기(62)를 통해 카드발급단말기(64)의 광송수신기(63)로부터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받아 기록해놓는다(단계 78). 입력이 끝나면 카드발급단말기(64)의 정상작동상태 확인모드에서, 광송수신기(63)를 향하게 한 후 휴대단말기(61)의 키패드상의 미리 약정된 버튼을 눌러 작동상태를 확인한 후(단계 79), 이상이 없으면 개인의 카드정보 입력을 최종 승인한다(단계 80).
광송수신 대신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외부통신포트를 통해 카드발급단말기와 케이블 접속하여 휴대단말기에 카드정보를 내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드정보 이외에도 앞서 언급된 수단에 의하여 다양한 정보를 내장할 수 있다. 즉, 기존에 티켓 혹은 쿠폰 형태를 가진 사은품 등의 정보와 각 서비스카드 등의 정보를 내장하여 광송수신기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이러한 광지불수단의 구성도로, 전기적인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광송신부(81),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광수신부(82), 및 입력되는 카드정보를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83)로 구성된다. 제어부(84)는 입력되는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지불정보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각 구성을 제어한다. 광송수신부(81,82)에는 변복조부(85,86)가 각각 연결되어 송수신되는 신호에 대해 변복조한다. 인터페이스부(87,88)는 변복조부(85,86)와 제어부(84) 사이에서 인터페이스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광지불수단은 광송수신기가 부착된 이동통신단말기인 휴대폰에 한정되지 않고 키체인(key-chain), 시계, 전자수첩, PDA등에 적용하여 다양한 형태의휴대기기(mobile unit; MU)로 제작되며, 사용자 편의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지불수단은 적외선으로 카드정보를 전달한다. 이때, 카드정보의 보안을 위해 암호화할 필요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정보 암호화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보면, 카드번호는 카드사에서 부여하는 실제 카드번호와 인증번호가 하나의 셋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카드번호는 대략 40바이트(byte)정도이다. 중계소(210)는 이 카드번호를 수신하여 압축부(211)에 설정된 압축알고리즘을 실행시켜 압축한다. 이때, 압축부(211)는 압축테이블(212)을 사용하여 휴대단말기(215)에 내장할 수 있는 카드정보로 변환한다. 압축된 카드정보는 대략 20바이트정도이다. 이렇게 변환된 카드정보는 카드ID할당부(213)에서 할당되는 카드ID와 한쌍이 되어 휴대단말기(215)로 전달된다. 여기서, 카드ID는 해당 카드정보의 카드종류를 구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휴대단말기(215)는 중계소(210)로부터 카드ID가 포함된 카드정보를 전달받는다. 휴대단말기(215)의 저장인덱스부(216)는 전달된 카드정보에 포함된 카드ID를 인덱스로 하여 등록하고, 카드정보를 메모리(217)에 저장한다. 저장인덱스부(216)는 또한, 사용자가 본인이 선택한 카드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메모리(217)에 저장된 카드정보에 해당되는 카드명을 화면표시용 메모리(218)에 저장한다. 사용자가 카드 선택시 화면표시용 메모리(218)에 저장된 해당 카드명을 화면상에 표시하여 선택된 카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저장인덱스부(216)는 도 10a에 보여진 바와 같은 인덱스메모리를 갖는다. 인덱스메모리는 인덱스가 저장된 총길이(①), 다종의 지불정보중 사용자가 선택한 지불정보의 ID(②), 그리고 지불정보들이 실제 저장되어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인덱스정보(③)로 구성된다. 카드정보메모리(217)는 도 10b에 보여진 바와 같이, 지불정보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카드ID(①)와 이에 대응하는 실제 카드정보(②)가 쌍을 이루어 다수개 저장된다. 화면표시용 메모리(218)는 도 10c에 보여진 바와 같이, 지불정보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카드ID(①)와 이에 대응하는 실제 카드종류를 화면에 나타내기 위한 문자 또는 로고데이터(②)가 저장된다. 화면 로고는 카드사로고나 협력사의 로고등이 될 수 있다. 카드정보메모리(217)와 화면표시용 메모리(218)에 각기 저장되는 카드ID는 동일한 값이다.
이렇게 휴대단말기(215)에 카드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해놓은 상태에서, 카드정보를 송수신한다.
위와 같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신용카드, 선불카드, 은행결제카드등 마그네틱형태의 카드 대용으로 휴대단말기에 카드정보를 내장하여 사용한다. 이때, 휴대단말기 내부에 카드정보가 변형없이 내장되면 복제 사용 우려가 있다. 특히, 직접 휴대단말기의 메모리에 카드정보를 입력시키는 경우 휴대단말기 개발자가 전문적인 장비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 메모리를 복제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그래서, 카드사나 은행등 카드발급기관은 현재 마그네틱카드에 내장된 정보와 동일한 형태로 휴대단말기에 내장시키는 것을 피하려 하고 있다. 하지만, 불특정 다수가 사용하는 금융거래에서 개인별 비대칭키를 이용하는 암호화시스템 등은 계산속도가 많이 걸리게 되므로 고객을 현재의 시스템보다 불편하게 만들게 된다. 또한, 대칭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많은 POS터미널에 입력된 대칭키가 동일하므로 키 보호에 많은 어려움이 있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새로운 IC카드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으나 인프라 구축비용 등의 이유로 확산되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현재의 시스템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보안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지정한 비밀번호를 암호화알고리즘의 키로 사용한다. 이에 대해 도 11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정보를 내장한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결제시스템의 보안성 증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고객은 휴대단말기의 카드 사용을 위한 서류를 작성하여 해당 금융기관에 신청한다. 고객은 카드의 비밀번호도 같이 기입한다(단계 241). 금융기관은 이를 심사 후 승인이 나면 고객이 신청한 비밀번호를 암호키로 사용하여 카드번호와 유효기간등의 카드정보를 암호화한다(단계 242). 암호화 방법은 본인의 암호를 모르면 풀수 없는 대칭키 형태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휴대단말기 내부의 카드정보를 읽어내어도 사용할 수 없게 한다. 여기서, 카드정보의 일부만 암호화할 수도 있다. 암호화된 카드정보는 휴대단말기에 입력한다. 안전을 위하여 해당 금융기관을 방문하는 고객은 휴대단말기의 하단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정보를 입력한다. 고객의 선택에 따라 무선망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에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이때, 비밀번호는 비가역함수와 같은 형태로 암호화할 경우 보안성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발급된 카드 대용 휴대단말기를 사용시 고객은휴대단말기의 키패드 조작으로 결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결제모드를 선택한다(단계 243). 결제모드에서, 고객은 사용할 카드의 종류를 선택하고 송신버튼을 누름에 의하여 휴대단말기에 내장된 카드정보 및 비밀번호가 적외선의 형태로 전송된다(단계 244). 가맹점의 POS터미널과 연결되어 있는 광수신기는 고객의 휴대단말기로부터 카드정보 및 비밀번호를 수신하여 가맹점 POS터미널로 전달한다. 여기서, 휴대단말기와 광수신기 사이의 거리는 대략 1m이내의 짧은 거리이고, 광을 이용하여 직진성이 있으므로 정보가 녹취될 가능성이 없어 안전한다. POS터미널은 별도의 암호화키를 보관할 필요없이 복호화알고리즘만 동작시키고, 수신된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카드정보를 복호화한다(단계 245). 이후로는 기존의 금융거래시스템과 마찬가지로 밴사를 거쳐서 카드사의 전산망에서 승인여부를 결정한다(단계 246). 만약, 수신된 비밀번호가 틀리면 수신되어 복호화된 카드정보 자체가 틀리므로 승인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휴대단말기의 결제모드에서 고객이 자신의 카드정보를 알고자 할 경우 카드정보확인메뉴를 선택하면 휴대단말기내의 복호화프로그램이 동작하여 화면에 카드번호와 유효기간등의 정보가 표시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광지불에 의한 결제시스템을 위한 카드정보 변경, 카드 해지/정지/분실 및 거래정지의 부가적인 서비스 제공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광지불에 의한 결제시스템에 제공되는 카드정보 변경 서비스시스템 및 그 동작 흐름도이다.
주소, 비밀번호, 연락처, 청구지의 변경 등 카드정보의 변경사유가 발생하면, 카드회원(661)은 해당 카드사(663) 또는 중계소(662)에 전화, 유무선 인터넷,직접방문을 통해 카드정보 변경신청을 한다(단계 671). 카드정보 변경신청을 접수한 중계소(662)는 신청자가 카드회원(661) 본인임을 확인하기 위한 자료를 청구한 후, 변경할 카드정보의 내용 및 변경 대상 카드사를 확인한다. 중계소(662)는 대상 카드사(663)에 대해 전용선을 통해 카드회원(661)을 대리하여 카드정보를 변경신청한다(단계 672). 이때, 중계소(662)는 카드사(663)에 본인 확인에 필요한 인증자료(비밀번호 일부, 주민번호, 최종 매출승인내역 등)를 함께 전달한다. 카드사(663)는 접수된 신청이 본인이 신청한 것인가를 중계소(662)에서 넘겨받은 본인 인증자료로써 검증한다. 카드회원(661)이 해당 카드사에 카드정보를 변경신청한 경우, 카드사(663)는 카드회원(661)으로부터 본인 인증자료를 넘겨받는다. 카드사(663)는 본인임이 확인되었으면, 카드사 서버(663)에 등록되어 있는 회원전산원장의 카드정보와 변경할 카드정보를 비교한다(단계 673). 단계 673의 비교결과 양쪽 카드정보에 상이한 점이 없으면, 카드사(663)는 변경사항이 없음을 중계소(662)로 통지한다. 중계소(662)는 카드사(663)의 통지내용을 무선 데이터 양식 으로 카드회원(661)에게 전송한다. 단계 673의 비교결과 상이한 점이 있으면, 카드사(663)는 회원의 요청대로 회원전산원장의 카드정보 내용을 변경한다(단계 674). 변경이 완료되면, 카드사(663)는 카드정보를 변경 완료했음을 중계소(662)로 통지한다. 중계소(662)는 카드사의 통지에 따라 '카드정보 변경 완료'라는 메시지를 해당 카드회원의 카드 대용 휴대폰에 전송한다(단계 675). 카드회원이 소지한 카드 대용 휴대폰은 화면에 카드정보 변경 완료 메시지를 표시하여 카드정보가 변경되었음을 알려준다(단계 676). 그래서, 타인이 임의로 카드정보를변경하더라도 카드 소지인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카드 분실이나 도난, 체납된 카드사용대금으로 인하여 신용불량거래자로 등록된 경우 그 카드를 거래정지시킬 필요가 있다. 이때, 카드 거래정지를 체크하는 기존 방법에는 두가지가 있다. 하나는, 카드 거래정지시켜야 할 필요가 있을 경우 카드사 서버에서 거래정지가 필요한 카드에 대한 블랙리스트(B/L; black list) 정보를 관리하면서 가맹점으로부터 카드거래 승인요청이 수신되면 정지여부를 체크하는 방법이다. 다른 하나는, 지하철이나 버스이용시 지하철 개찰구 또는 버스 출입구에 설치된 카드리더기에 카드사서버로부터 유선으로 일괄 다운로드받아 저장된 블랙리스트(B/L) 정보를 일일이 대조하여 체크하는 방법이 사용중이다. 이러한 방법들은 블랙리스트(B/L) 체크 소요 시간이 길고, 지하철이나 버스 카드리더기에 데이터 저장부담을 주게 된다. 그래서, 거래정지가 요구되는 카드의 경우 카드사에서 이동통신을 이용하여 무선 데이터 방식으로 거래정지정보를 전송하여 광지불수단으로 사용되는 휴대폰에 그 정보를 등록시켜 거래정지하도록 한다. 이를 도 14에 도시하였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거래 중지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4에 나타낸 시스템은 크게 카드회원(681), 카드사(682), 중계소(683), 그리고 이동통신망(684)으로 구성된다. 카드회원(681)은 금융결제를 위한 휴대용 무선통신단말기(휴대폰, PDA등)를 구입하여 카드회사의 카드회원으로 가입한 자이다. 카드사(682)는 직불카드, 선불카드, 신용카드 및 전자화폐 업체를 포함한다. 중계소(683)는 카드사(682)와 기타 금융기관과 계약을 체결하여 카드회원(681)에게 카드정보 및 기타 금융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카드회원(681)으로부터 동의를 얻은 업체이다. 이동통신망(684)은 이동통신사가 중계소(683)와 체결한 계약에 의해 중계소(683)로부터 전용선을 통해 데이터를 중계소(683)가 지정한 특정 유,무선통신단말기에 전송하기 위한 망이다. 이러한 시스템상에서 거래정지사유가 발생한 카드를 거래정지 등록시키기 위한 블랙리스트(B/L)를 카드회원이 소지한 단말기에 등록하여 단말기 사용시 그 거래를 정지시키는 동작에 대해 도 15 및 도 16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고객이 해지, 정지를 신청하거나(단계 691), 카드사(682)의 자체 신용평가결과 불량거래자(B/L)로 등재되면(단계 692), 그 카드가 휴대폰이나 PDA등의 휴대단말기에 내장된 카드인가를 판단한다(단계 693). 단계 693의 판단결과 휴대용 카드이면, 카드사(682)는 해당 카드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확인하고(단계 694), 중계소(683)로 카드거래정지정보를 전용선을 통해 송신한다(단계 695). 중계소(683)는 확인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이동통신망(684)을 통해 해당 휴대단말기(681)를 호출한 후 거래정지정보를 전송한다(단계 696). 여기서, 거래정지정보는 무선 데이터 방식으로 전송한다. 해당 휴대단말기(681)는 이 거래정지정보를 수신하여 내장메모리 또는 탈착식 IC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카드정보에 블랙리스트(B/L) 등록한다(단계 697). 거래정지정보를 수신받는 휴대단말기(681)는 그에 대한 응답신호를 카드사(682)측에 보내어 카드사(682)에서 거래정지정보가 정상적으로 입력되었는 지를 판단할 수 있게 한다. 카드사(682)는 휴대단말기(681)에 거래정지정보가 정상적으로 입력되었는 지를 판단하여(단계698), 정상적으로 입력되지 않았으면 카드 거래정지정보가 재전송되도록 단계 696부터 단계를 반복수행한다. 반면, 단계 693의 판단결과 휴대용 카드가 아니면, 카드사(682)는 기존과 동일하게 처리한다(단계 699). 즉, 카드사 승인서버에 카드거래정지를 등록한다.
이렇게 블랙리스트(B/L)로 등록된 휴대단말기(681)를 카드 대용으로 사용시 그 거래를 정지시키는 방법에 대해 도 16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카드 대용 휴대단말기(681) 소지자가 서비스의 대가를 지불하기 위하여 그 휴대단말기(681)의 신용카드 사용버튼을 눌러 신용정보를 전달하려 하면(단계 701), 휴대단말기(681)내의 제어부에서 블랙리스트(B/L) 등록여부를 확인한다(단계 702). 블랙리스트(B/L) 등록이 되어 있으면, 휴대단말기(681) 제어부는 휴대단말기(681)의 표시창에 에러메시지 표시로 거부처리를 한 후(단계 704), 종료한다. 단계 702의 확인결과 블랙리스트(B/L) 등록이 되어 있지 않으면, 휴대단말기(681)는 내장되어 있는 신용정보를 카드정보수신측으로 전달하고(단계 703), 종료한다.
위와 같은 거래정지방법의 사용으로, 거래승인 없이 사용되는 소액거래 즉, 교통(유효도로, 버스, 지하철, 주창장), 자판기, 소액전자상거래 등에서 신용카드 이용시 블랙리스트 체크를 카드 대용 휴대단말기에서 함으로써 카드리더기가 카드사서버로부터 유선으로 일괄 다운로드받은 블랙리스트 명단을 일일이 대조하는 것 보다 그 처리속도면에서 빠르고, 또한 시스템 운영비용면에서 저렴하게 된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광지불에 의한 결제시스템에 제공되는 카드 분실 서비스시스템 및 그 동작 흐름도이다.
카드회원 본인의 과실 또는 무과실에 의해 카드를 분실하거나 본인이 소유한 카드의 종류 및 개수를 알지 못하나 카드가 분실되었음을 인지하면(단계 721), 카드회원은 중계소(712)로 카드분실을 신고한다(단계 722). 중계소(712)는 신고한 사람이 실제 분실한 카드의 소유자임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비밀번호 일부분, 주민번호, 최근승인내역 등)를 징수한다. 중계소(712)는 징수한 자료중 주민번호를 근거로 해당 카드회원이 발급받은 모든 카드번호중 유효기간이 경과하지 않은 카드번호를 추출한다. 중계소(712)는 추출한 카드번호중 카드회원이 분실하지 않은 카드를 제외한 카드를 발행 카드사(713)에게 카드가 분실하였다는 정보를 본인 인증정보와 함께 전용선으로 전송한다(단계 723). 카드사(713)는 수신된 정보중 본인 인증정보를 확인하여 본인임을 확인한 경우, 카드사(713)의 전산DB(714)에 분실사유로 거래정지를 등재하고, 등재정보를 중계소(712)로 전송한다(단계 724). 중계소(712)는 카드사(713)로부터 전송받은 거래정지 정보를 무선전송방식으로 카드회원이 지정한 무선단말기(711)에 전송한다(단계 725). 무선단말기(711)는 화면에 분실로 인한 거래정지 완료 표시를 하여 카드회원으로 하여금 분실 신고가 처리되었음을 알 수 있도록 한다(단계 726). 카드회원은 표시된 내용에 이상이 있으면, 카드사(713)나 중계소(712)에 이의신청한다(단계 727).
이처럼, 카드분실로 거래정지되면 분실된 휴대단말기의 지불정보 송출을 정지시킨다. 또한, 이동통신사를 통해 그 휴대단말기의 통신기능을 정지시켜 근본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런데, 카드 분실이나 도난등을 신고하기 전의 부정 사용에 대해 카드회원이 이의신청을 제기하여도 카드사에서 이를 받아들이지 않아 분쟁사유가 되고 있다. 이러한 분쟁 사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휴대단말기에 내장된 각종 지불정보를 사용하여 이루어진 내역을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의 휴대단말기로 전달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광지불에 의한 결제시스템에 제공되는 사용내역 무선전달시스템 및 그 동작 흐름도이다.
고객이 가맹점에서 물품, 용역을 구입하고(단계 741), 광결제를 위한 지불정보가 전달되면 카드조회기(732)는 카드사(733)에 승인요청을 한다. 카드사(733)는 승인요청한 카드의 잔여한도 및 거래정지를 점검한 후 이상이 없을 경우 승인내역을 카드조회기(732)로 전송한다(단계 742). 카드사(733)는 또한, 승인 요청된 카드번호의 회원이 승인내역을 무선으로 전달받기 신청한 회원인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743). 비신청 회원으로 확인되면 그대로 종료한다. 신청 회원으로 확인되고 신청후 처음으로 발생한 승인이면, 이동통신사(735)와 연결된 전용선을 통해 카드회원이 수신받기 원하는 무선데이터송수신기(휴대폰, PDA, 호출기 등)(731)의 소유자인가를 확인한다(단계 744). 소유자로 확인되면, 카드사(733)는 중계소(734)로 승인받은 내역(매출발생시각, 매출금액, 가맹점명, 카드번호의 일부분 등)을 전용선을 통해 송신한다(단계 745). 중계소(734)는 이동통신사(735)의 통신망(736)을 이용하여 카드사(733)에서 송신된 승인내역을 이메일(e-mail) 및 무선전송방식에 의해 송신한다(단계 746). 카드회원이 수신받기로 약속한 무선데이터송수신기(731)는 이메일 및 무선데이터방식 또는 WAP을 통해 승인내역을수신하여 기록하고(단계 747), 그 승인내역을 화면 표시하여 카드회원으로부터 확인받는다(단계 748). 카드회원은 사용한 사실이 없음에도 승인관련 내역이 전달되었으면, 중계소(734) 또는 카드사(733)에 미사용으로 인한 부정 매출임을 이의신청하고 적의조치를 요구한다(단계 749). 중계소(734)는 이의신청이 접수되면 즉시 카드사(733)로 전송한다. 카드사(733)는 접수된 이의신청에 대해 조사에 착수한다(단계 75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결제시스템을 위한 카드 발급방법 및 시스템은, 카드발급신청시 지정된 휴대단말기의 번호를 가지는 휴대단말기와 무선인터넷 접속하거나 케이블 연결하여 카드정보를 전달하거나 키패드를 통해 카드정보를 직접 입력 또는 카드사측의 카드발급단말기에 광송수신기를 부착하여 카드정보를 광송신하여 휴대단말기의 내장메모리 또는 착탈식 IC카드에 카드정보를 저장시켜 발급하므로써 간편하고 안전한 거래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카드를 재발급하거나 새로운 카드를 발급할 때 휴대단말기에 내장된 카드정보만을 바꾸면 되므로 계속적으로 발급해야 하는 플라스틱 카드의 비용을 줄일 수 있어 경제성이 증대된다. 이외에도, 카드 거래정지분야에서 카드리더기가 카드사로부터 블랙리스트명단을 일괄 다운로드받아 일일이 대조하지 않고 휴대단말기에 블랙리스트를 등록시켜 휴대단말기 자체에서 광지불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므로써 블랙리스트 처리 속도면에서 빠르고 시스템 운영비용면에서 저렴하다.

Claims (43)

  1. 카드를 발급하는 방법에 있어서,
    (1) 유무선 및 인터넷망을 통해 카드발급신청을 접수받는 단계;
    (2) 카드번호생성프로그램에 의해 카드번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카드번호를 포함하는 카드정보를 암호화하는 단계;
    (3) 암호화된 카드정보를 카드발급신청 접수시 지정된 휴대단말기로 전송하여 휴대단말기에 저장시키는 단계; 및
    (4) 저장완료되면 정상작동상태를 확인하고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카드정보가 저장된 휴대단말기를 카드로 사용토록 한 카드발급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는
    (2a) 카드번호를 생성하고, 인증번호를 부여하여 하나의 셋으로 구성하는 단계;
    (2b) 인증번호가 부여된 카드번호를 기설정된 압축알고리즘에 따라 압축하는 단계; 및
    (2c) 압축된 카드번호에 카드아이디(ID)를 할당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카드발급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은 상기 지정된 휴대단말기의 번호를 가지는휴대단말기를 호출하여 접속된 상태에서 카드정보를 전송하여 휴대단말기에 저장시키는 카드발급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은
    (3a) 휴대단말기에 카드발급을 통보하여 무선인터넷으로 연결하는 단계;
    (3b) 무선인터넷 접속상태에서 본인확인데이타를 요구하는 메세지를 송신하고, 그에 대응하는 본인확인데이타를 수신하는 단계; 및
    (3c) 수신된 본인확인데이타로부터 현재 연결되어 있는 고객의 본인여부를 판단하여, 본인으로 판단되면 카드정보를 휴대단말기로 전송하여 다운로드하고 본인이 아니면 휴대단말기 화면에 카드정보를 발급할 수 없음을 알리는 메세지를 현시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카드발급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c)는 휴대단말기의 내장메모리에 카드정보를 다운로드하여 발급하는 카드발급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c)는 휴대단말기에 착탈식으로 사용이 가능한 SIM, USIM, UIM방식의 IC카드에 카드정보를 다운로드하여 발급하는 카드발급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은 휴대단말기의 키패드를 통해 카드정보를 직접 입력하는 카드발급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은 카드정보를 무선데이터방식으로 전송하는 카드발급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은 케이블을 통해 카드정보를 전달하는 카드발급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은 휴대단말기에 부착되는 광송수신기를 향하여 카드정보를 광송신하여 입력하는 카드발급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정보의 변경사항이 발생되면 카드정보를 변경하고, 이를 해당 휴대단말기에 메시지 표시하여 확인토록 하는 단계 (5)를 더 포함하는 카드발급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발급된 카드의 거래정지사유가 발생되면 해당 휴대단말기에 블랙리스트를 등록시켜 사용을 정지시키는 단계 (6)를 더 포함하는 카드발급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5)는 거래정지사유가 카드분실이면 지정된 무선데이터수신기에 분실로 인한 거래정지를 표시하여 분실신고가 처리되었음을 알려주는 카드발급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6)은
    (6a) 거래정지사유가 발생된 카드정보에 대응하는 휴대단말기에 블랙리스트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6b) 상기 전송되는 블랙리스트정보를 수신받아 등록하는 단계;
    (6c) 휴대단말기에 내장된 카드 사용시 블랙리스트 등록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6d) 상기 판단결과 블랙리스트 등록이 되어있으면 카드 사용을 거부하고, 블랙리스트 등록이 되어 있지 않으면 내장된 카드정보를 전달하여 사용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카드발급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6a)은 블랙리스트정보를 단문전송(SMS)하는 카드발급방법.
  16. 광송수신기를 내장한 휴대단말기를 카드 대용의 지불수단으로 이용하는 광결제시스템을 위한 카드 발급시스템에 있어서,
    카드발급신청서를 접수받아 발급자격을 확인하여 만족하면, 카드번호생성프로그램에 의해 카드번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카드번호를 포함하는 카드정보를 암호화하여 신청인이 지정한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카드사의 카드발급단말기; 및
    수신되는 카드정보를 입력받아 일반사용자가 접근할 수 없는 메모리영역에 저장하고, 이를 화면에 표시하여 카드발급이 되었음을 신청인에게 확인시켜주는 휴대단말기를 포함하는 카드발급시스템.
  17. 제 16항에 있어서, 카드발급신청인과 휴대단말기 소유자가 동일인임을 인증하기 위한 이동통신사 서버를 더 포함하는 카드발급시스템.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사의 카드발급단말기와 이동통신사 서버 사이에는 전용선으로 연결되는 카드발급시스템.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사의 카드발급단말기와 휴대단말기를 케이블 연결하여 카드정보를 전달하는 카드발급시스템.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발급단말기는 광송수신기가 부착되어 카드정보를 광송신하고,
    상기 휴대단말기는 광송수신기가 부착되어 광송신되는 카드정보를 수신하여 입력하는 카드발급시스템.
  21.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입력되는 카드정보를 내장메모리나 SIM, USIM, UIM방식의 착탈식 IC카드로 다운로드받아 저장하는 카드발급시스템.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카드정보가 정상적으로 입력되지 않았으면 이를 카드사의 카드발급단말기에 통보하는 카드발급시스템.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광송수신기가 부착된 무선통신단말기인 카드발급시스템.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정보는 각 개인의 이름과 신용카드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단말기는 신용카드 대용으로 사용하는 카드발급시스템.
  25.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정보는 개인의 식별정보이고,
    상기 휴대단말기는 출입카드 대용으로 사용하는 카드발급시스템.
  26. 광송수신기를 내장한 휴대단말기를 카드 대용의 지불수단으로 이용하는 광결제시스템을 위한 카드 발급시스템에 있어서,
    카드발급신청서를 접수받아 발급자격을 확인하여 만족하면, 카드정보를 암호화하여 중계소로 전달하는 카드사의 카드발급단말기;
    상기 카드사의 카드발급단말기에서 전달된 카드정보를 다시 암호화하고, 이를 통신망을 통해 신청인이 지정된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중계기; 및
    수신되는 카드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이를 화면에 표시하여 카드발급이 되었음을 신청인에게 확인시켜주는 휴대단말기를 포함하는 카드발급시스템.
  27. 제 26항에 있어서, 카드발급신청인과 휴대단말기 소유자가 동일인임을 인증하기 위한 이동통신사 서버를 더 포함하는 카드발급시스템.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사의 카드발급단말기와 이동통신사 서버 사이에는 전용선으로 연결되는 카드발급시스템.
  29.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휴대단말기에 카드정보를 무선데이터방식으로 단문전송서비스하는 카드발급시스템.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상기 카드사의 카드발급단말기로부터 인증번호가 부여된 카드번호를 입력받고, 기설정된 압축알고리즘을 실행시켜 카드번호를 압축하는 압축부; 및
    압축된 카드번호에 카드아이디(ID)를 할당하는 카드ID할당부를 구비하는 카드발급시스템.
  31.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입력되는 카드정보를 상기 중계기에서 암호화되기 이전 상태로 복호화하여 저장하는 카드발급시스템.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입력되는 카드정보를 일반사용자가 접근할 수 없는 메모리영역에 저장하여 카드 대용으로 사용하는 카드발급시스템.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카드정보가 정상적으로 입력되지 않았으면 이를 중계기에 통보하는 카드발급시스템.
  34.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광송수신기가 부착된 무선통신단말기인 카드발급시스템.
  35.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카드ID가 할당된 카드정보를 전달받아 카드ID를 인덱스로 저장하는 저장인덱스부;
    카드ID와 이에 대응하는 실제 카드정보를 쌍으로 하여 저장하는 카드정보메모리; 및
    카드ID와 이에 대응하는 실제 카드종류를 화면에 나타내기 위한 문자 및 로고데이터를 저장하는 화면표시용 메모리를 구비하는 카드발급시스템.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인덱스부는 인덱스가 저장된 총길이, 다종의 카드정보중 사용자가 선택한 카드정보의 ID, 그리고 카드정보들이 실제 저장되어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인덱스정보로 구성된 인덱스메모리로 이루어진 카드발급시스템.
  37.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정보는 각 개인의 이름과 신용카드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단말기는 신용카드 대용으로 사용하는 카드발급시스템.
  38.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정보는 개인의 식별정보이고,
    상기 휴대단말기는 출입카드 대용으로 사용하는 카드발급시스템.
  39.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사의 카드발급단말기는 거래정지사유가 발생하면, 그 카드에 해당하는 휴대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확인하고 카드거래정지정보를 상기 중계기로 송신하는 카드발급시스템.
  40.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상기 카드사의 카드발급단마기에서 확인한 전화번호의 휴대단말기를 호출하여 카드거래정지정보를 휴대단말기에 블랙리스트 등록시키는 카드발급시스템.
  41.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거래정지정보를 무선데이터방식으로 전송하는 카드발급시스템.
  42.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블랙리스트 등록되면, 카드로 사용시 에러메시지를 표시하고 거부처리하는 카드발급시스템.
  43.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사의 카드발급단말기는 카드정보의 변경신청이 접수되면 본인확인을 하고 중계기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의 카드정보를 변경하는 카드발급시스템.
KR1020020059520A 2000-05-18 2002-09-30 광결제시스템을 위한 카드 발급방법 및 시스템 KR1003593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621 2000-05-18
KR20000026621 2000-05-18
KR1020000073719 2000-12-06
KR20000073719 2000-12-06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3736A Division KR100366060B1 (ko) 2000-03-16 2001-03-16 광지불송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결제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9709A true KR20020079709A (ko) 2002-10-19
KR100359317B1 KR100359317B1 (ko) 2002-11-11

Family

ID=27736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9520A KR100359317B1 (ko) 2000-05-18 2002-09-30 광결제시스템을 위한 카드 발급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931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9294A (ko) * 2004-05-15 2004-08-05 (주)케이비씨 이동단말기에 탑재될 수 있는 디지털 카드 및 상기 디지털카드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43224B1 (ko) * 2002-11-14 2006-01-24 오성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멤버십 카드 발행 및인증 시스템과 그 방법 및 그 방법에 대한 컴퓨터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KR101044030B1 (ko) * 2003-03-19 2011-06-23 소니 주식회사 통신 시스템, 결제 관리 장치 및 방법, 휴대 정보 단말기 및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453450B1 (ko) * 2012-09-03 2014-10-2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카드 발급 시스템 및 방법, 그 장치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20160083747A (ko) * 2015-01-02 2016-07-1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간편 결제 수행을 위한 기록매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3224B1 (ko) * 2002-11-14 2006-01-24 오성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멤버십 카드 발행 및인증 시스템과 그 방법 및 그 방법에 대한 컴퓨터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KR101044030B1 (ko) * 2003-03-19 2011-06-23 소니 주식회사 통신 시스템, 결제 관리 장치 및 방법, 휴대 정보 단말기 및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040069294A (ko) * 2004-05-15 2004-08-05 (주)케이비씨 이동단말기에 탑재될 수 있는 디지털 카드 및 상기 디지털카드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5111882A1 (en) * 2004-05-15 2005-11-24 Kbc Inc. Digital card loaded on mobile device and system for billing using by the digital card and method thereof
KR101453450B1 (ko) * 2012-09-03 2014-10-2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카드 발급 시스템 및 방법, 그 장치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20160083747A (ko) * 2015-01-02 2016-07-1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간편 결제 수행을 위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9317B1 (ko) 2002-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6060B1 (ko) 광지불송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결제시스템
KR100641824B1 (ko) 대칭키 보안 알고리즘을 이용한 금융정보 입력방법 및 그이동통신용 상거래 시스템
US8725657B2 (en) Utility metering system incorporating a transaction authorisation system
KR100276987B1 (ko) 무선통신단말기를이용한무선망전자거래시스템및그시스템을이용한전자거래방법
EP2372628A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enabling purchaser to direct payment approval, settlement, and membership subscription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20038287A1 (en) EMV card-based identification, authentication, and access control for remote access
US20060016878A1 (en) Wireless payment processing system
US20060173790A1 (en) Optical payment transceiver and system using the same
JPWO2002073483A1 (ja) 移動通信端末を用いた電子マネー決済方式
KR101039696B1 (ko) 전화번호를 이용한 모바일 카드 결제시스템, 그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 서비스 방법
WO2003044710A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payment using a mobile device
CA2885435A1 (en) A utility metering system incorporating a transaction authorisation system
JPWO2002027588A1 (ja) 電子商取引システム
KR100359317B1 (ko) 광결제시스템을 위한 카드 발급방법 및 시스템
KR20080079714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신용카드 결제의 사용자인증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40201014A1 (en) Process for payment by cell phone to a merchant object of the invention
TWI226562B (en) Financial information input method using symmetrical key security algorithm and commercial transaction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WO2004075081A1 (ja) モバイル・ネットコマース決済システム
CA2475275C (en) Wireless data processing system for credit payment
KR100431223B1 (ko) 전자상거래상의 광지불에 의한 결제시스템
KR20040072537A (ko) 전자 화폐 및 전자 유가 증권의 환전 시스템
KR20020083527A (ko) 광송수신기를 이용한 출입보안시스템
KR100662278B1 (ko) 전자 지불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1069863A1 (en) An electronic mail service system comprising an internet network
KR20020037186A (ko) 스마트 카드의 에이티알 인증 및 이를 이용한 전자상거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13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1110

Effective date: 20150624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50317

Effective date: 2015073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14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200004736;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0722

Effective date: 20160929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30000017;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300002157;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1018

Effective date: 20170112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30000017;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70125

Effective date: 20170504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16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5000043;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70512

Effective date: 201710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17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200004457;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70627

Effective date: 201806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