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7714A - A tamper evident closure and a mould assembly for moul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 tamper evident closure and a mould assembly for moul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7714A
KR20020077714A KR1020010017454A KR20010017454A KR20020077714A KR 20020077714 A KR20020077714 A KR 20020077714A KR 1020010017454 A KR1020010017454 A KR 1020010017454A KR 20010017454 A KR20010017454 A KR 20010017454A KR 20020077714 A KR20020077714 A KR 20020077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ure
tamper
tab
tamper evidence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74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하긴스 필립
Original Assignee
암코 패키징 오스트레일리아 피티와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암코 패키징 오스트레일리아 피티와이 엘티디 filed Critical 암코 패키징 오스트레일리아 피티와이 엘티디
Priority to KR1020010017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7714A/en
Publication of KR20020077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7714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42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rigid bead or projections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and coacting with bead or projections on the container
    • B65D41/344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rigid bead or projections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and coacting with bead or projections on the container the tamper element being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losure by means of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0033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onstructed for making articles provided with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07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by flexible movement of undercut portions of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23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 B65D41/3428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the tamper element being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losure by means of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56Stoppers or lids for bottles, jars, or the like, e.g. closures
    • B29L2031/565Stoppers or lids for bottles, jars, or the like, e.g. closures for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PURPOSE: Provided is a tamper evident closure and a mold assembly for molding the same, which is produced at a reduced amount of raw material, thereby reducing production cost. CONSTITUTION: The tamper evident closure is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and includes an upper wall(3); a skirt part(5)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wall(3) and having a spiral line(7) to be fastened to a spiral line on the outer surface of a neck part(13) of a container(11); and a tamper evident member(9) having bridges(21) to connect the tamper evident member(9) to the skirt part(5) and side walls; The side walls of the tamper evident member(9) have serial openings(21) and a plurality of tab members(33) extending inward and upward in a space defined by the closure and extending to the inside of the openings(21).

Description

탬퍼 에비던트 클로우저와 이를 몰딩하기 위한 몰드 어셈블리{A tamper evident closure and a mould assembly for moulding the same}Tamper evident closure and a mold assembly for molding the same

본 발명은 용기용 탬퍼 에비던트 클로우저(tamper evident closure)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mper evident closure for a container.

또한, 본 발명은 탬퍼 에비던트 클로우저를 몰딩하기 위한 몰드 어셈블리와 이를 이용한 몰딩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old assembly for molding a tamper secondary closure and a molding method using the same.

플라스틱 재료로 몰딩 제작되는 공지된 바의 탬퍼 에비던트 클로우저는 유연한(flexible) 힌지부를 통해 탬퍼 에비던트 밴드의 하단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밴드의 상측 및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일련의 탭(종종 "페틀(petal)"이라고도 불리는)들에 의하여 특징지어지고 있다.A known bar, which is molded from plastic material, is a series of tabs (often called "petal"), which are connected to the bottom edge of the tamper evidence band and extend in the upper and inward directions of the band via a flexible hinge. Also referred to as ")".

상기 탬퍼 에비던트 밴드는 브릿지(bridge)를 거쳐 클로우저의 나머지 부분에 연결된다. 클로우저가 닫혀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탭들은 용기의 목부상에서 외측 비드(bead)의 언더컷면(undercut surface)을 구속하도록 구비된다.The tamper evidence band is connected to the rest of the closure via a bridge. When the closure is in the closed state, the tabs are provided to restrain the undercut surface of the outer bead on the neck of the container.

이러한 배치구조에 의하여, 용기로부터 최초로 클로우저를 돌려 푸는 동작은 상기 탭들이 외측 비드에 접촉하도록 하고, 상기 비드는 상기 탭들이 더이상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게 된다. 이 위치를 지나 상기 클로우저를 계속해서 돌려 풀게 되면 브릿지를 점차 장력상태에 놓이게 하고, 결국, 브릿지를 절단시키게 되는데, 이로써 탬퍼 에비던트 밴드를 클로우저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분리시키게 되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된 탬퍼 에비던트 클로우저는 종종 J-밴드형 클로우저라 불리기도 한다.With this arrangement, the first rotation of the closure from the container causes the tabs to contact the outer bead, which prevents the tabs from moving upwards. Continued rotation of the closure past this position causes the bridge to gradually become in tension and ultimately break the bridge, which separates the tamper-evidence band from the rest of the closure. The tamper incident closure described above is often referred to as a J-band type closure.

상기 J-밴드형 클로우저의 이전 형태였던 또 다른 형태의 공지된 탬퍼 에비던트 클로우저는 비드나, 탬퍼 에비던트 밴드의 하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 일련의 탭들을 포함하고 있다.Another form of known tamper-evidence closure, formerly the J-banded closure, includes a series of tabs extending inwardly from the bottom of the bead or tamper-evidence band.

J-밴드형 클로우저와 마찬가지로, 상기 비드나 탭들은 용기의 목부상에서 외측 비드의 언더컷면에 접촉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J-밴드형 클로우저와 마찬가지로, 상기 탬퍼 에비던트 밴드는 브릿지를 거쳐 클로우저의 나머지 부분에 연결되고 있다.As with the J-banded closure, the beads or tabs are provided to contact the undercut surface of the outer bead on the neck of the container. In addition, like the J-band type closure, the tamper evidence band is connected to the rest of the closure via a bridge.

J-밴드형 클로우저와 다르게, 상기 비드나 탭들은 힌지부에 의해서 탬퍼 에비던트 밴드에 연결되지는 않고 있다. 결국, 상기 비드나 탭들은 상대적으로 잘 휘지 않고 뻣뻣한 형태로 된 것이다. J-밴드형 클로우저의 상기한 힌지부 연결구조는 상기 탭들이 상대적으로 유연하도록 하고, 내용물인 제품을 용기의 충진라인까지 채운 후 클로우저를 용기의 목부에 끼우는데 있어서 적은 힘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이것은 상기한 다른 공지된 클로우저에 대하여 J-밴드형 클로우저의 장점이 되고 있다.Unlike J-banded closures, the beads or tabs are not connected to the tamper evidence band by the hinge portion. As a result, the beads or tabs are relatively inflexible and stiff. The hinged connection structure of the J-banded closure allows the tabs to be relatively flexible and requires less force to fit the closure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after filling the product with the contents to the filling line of the container. As it is meant, this is an advantage of the J-banded closure over the other known closures described above.

본 출원인이 알고 있는 한에서, 동작 가능한 위치에 있는 탭들을 가진, 즉 상측 및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탭들을 가진 J-밴드형 클로우저를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몰딩하는 공지된 방법들은 없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a)하측 및 내측 방향의 탭들을 가지는 클로우저를 몰딩하는 단계와; (b)몰드로부터 몰딩된 클로우저를 탈형하는 단계와; (c)이후, 탭들을 상측 및 내측 방향으로 폴딩(folding)하여 동작 가능한 위치가 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J-밴드형 클로우저의 몰딩방법만을 알고 있을 뿐이다.To the best of the applicant's knowledge, there are no known methods of molding a J-banded closure from plastic material with tabs in the operable position, ie with tabs formed in the upper and inward directions. Accordingly, Applicant further includes: (a) molding a closure having tabs in the downward and inward directions; (b) demolding the molded closure from the mold; (c) After that, only the molding method of the J-band-type closure including; step of folding the tab in the upper and inward direction to be in an operable position.

일반적으로, 상기 탭들을 폴딩하는 단계(c)의 필요는 탭들과 클로우저에 있어서 구조적으로 무리함을 주게 된다. 또한, 상기 폴딩 단계는 추가적인 제조 단계가 되는 것이며, 이러한 기준에서 단점이 되는 것이다.In general, the need for step (c) of folding the tabs is a structural burden on the tabs and the closure. In addition, the folding step is an additional manufacturing step, which is a disadvantage in this criter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J-밴드형 탬퍼 에비던트 클로우저의 향상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proved structure of a J-band type tamper secondary closur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J-밴드형 탬퍼 에비던트 클로우저를 몰딩하기 위한 향상된 몰딩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It is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proved mol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olding a J-band tamper secondary closure.

본 발명에 따르면, (a)상부 벽면과; (b)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면에 용기 목부의 외면상의 나선줄에 체결되도록 된 나선줄을 갖는 스커트부와; (c)탬퍼 에비던트 부재를 스커트부에 연결하는 브릿지들과, 측부 벽면을 포함한 탬퍼 에비던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측부 벽면은 일련의 개구공들과, 상기 측부 벽면으로 연결되고 클로우저에 의해 한정된 공간 내에서 그 상측 및 내측 방향과 상기 개구공들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클로우저를 그 외측에서 보았을 때) 다수개의 탭 부재들을 갖는 플라스틱 재료로 성형된 탬퍼 에비던트 클로우저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 the upper wall; (b) a skirt portion extending downwardly and having a spiral line on an inner surface thereof and fastened to a spiral file on an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neck; (c) a bridge that connects the tamper evidence member to the skirt portion, and a tamper evidence member comprising a side wall surface, the side wall surface being connected to the side wall surface and connected to a series of openings. There is provided a tamper secondary closure molded from a plastics material having a plurality of tab members formed (viewed from the outside thereof) formed in the space defined by the upper and inward directions and inwards of the opening holes.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구공들은 상기 측부 벽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떨어진 채 형성된다.Preferably, the opening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side wall.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부 벽면은 상기 개구공들의 하단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밴드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side wall surface includes a band forming the bottom edge of the opening holes.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부 벽면은 상기 밴드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개구공들의 측부 가장자리를 한정하는 다수개의 기둥들을 포함한다.Preferably, the side wall surface includes a plurality of pillars formed extending upward from the band and defining side edges of the opening holes.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릿지는 상기 기둥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Preferably, the bridge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pillar.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탭 부재는 탭 부재를 측부 벽면에 연결하는 기부(基部)를 가진다.Preferably, each tab member has a base connecting the tab member to the side wall.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탭 부재는 상기 기부가 유연하도록 하여 상기 기부에서 상기 탭 부재들이 상측 및 내측 방향의 성형된 위치로부터 외측으로 굽혀질 수 있도록 성형된다.Preferably, each tab member is shaped so that the base is flexible so that the tab members can be bent outward from the molded position in the upper and inward directions at the base.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기부는 탭 부재들의 나머지 부분에 비하여 보다 얇은 두깨를 가지며,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는 상기 각 기부를 유연하게 한다.Preferably, each base has a thinner thickness than the rest of the tab members, and the relatively thin thickness makes each base flexible.

바람직하게는, 상기 탭 부재들은 상기 개구공들의 하단 가장자리에 연결된다.Preferably, the tab members are connected to the bottom edge of the opening holes.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로우저는 폴리올레핀(polyolefin)을 몰딩하여 제작된다.Preferably, the closure is produced by molding a polyolefin (polyolefin).

본 발명에 따르면, 또한, 위에서 설명한 형태의 클로우저를 몰딩하기 위한 몰드 어셈블리가 제공되고, 이 몰드 어셈블리는 중앙의 코어와, 중앙 코어와 함께 탬퍼 에비던트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성형하기 위한 몰드 캐비티(mould cavity)를 한정하는 몰딩 위치로 이동 가능하도록 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삽입 슬라이더를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re is also provided a mold assembly for molding a closure of the type described above, the mold assembly having a central core and a mold cavity for form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tamper evidence member together with the central core. at least two insertion sliders adapted to be movable to a molding position defining a mold cavity.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 코어는 직립된 형태이고, 상기 삽입 슬라이더는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Preferably, the center core is upright, and the insertion slider is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탬퍼 에비던트 부재의 탭 부재들 중 하나를 성형하기 위한 몰드 캐비티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코어의 각 부분은 하측 및 내측 방향으로 테이퍼진 제1면과, 상기 제1면의 하측에서 그 하측 및 외측 방향으로 테이퍼진 제2면을 포함한다. 상기 제2면은 이용시 탭 부재의 내면을 성형하는 몰드 캐비티 표면을 한정한다. 상기 제1면은 몰드 캐비티 내에 몰딩되어 있는 탭 부재가 탈형될 수 있도록 하는 표면을 한정한다. 특히, 이용시, 코어로부터 클로우저를 탈형시키기 위하여 클로우저 스트리퍼 어셈블리(closure stripper assembly)가 몰딩된 클로우저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동안, 상기 탭 부재는 탈형을 위한 상기 표면에 접촉하여 이동하게 된다. 상기 탭 부재가 테이퍼진 상기 탈형면에 접촉하도록 된 것은 코어로부터 클로우저를 용이하게 탈형할 수 있도록 상기 탭 부재를 외측으로 휘게 한다.More preferably, each portion of the core forming part of the mold cavity for forming one of the tab members of the tamper evidence member has a first surface tapered in the lower and inward directions, and a lower side of the first surface. A second surface tapered in its lower and outward direction. The second surface defines a mold cavity surface that forms the inner surface of the tab member when in use. The first face defines a surface that allows the tab member molded in the mold cavity to be demolded. In particular, in use, the tab member move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for demolding, while the closure stripper assembly moves the molded closure upwards to demold the closure from the core. The tab member being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tapered release surface deflects the tab member outward to facilitate demoulding of the closure from the core.

바람직하게는, 탭 부재들 중 하나를 성형하기 위한 몰드 캐비티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각 삽입 슬라이더의 각 부분은 (a)중앙 코어의 탈형면에 상보(相補)적인 형태로 하측 및 외측 방향으로 테이퍼지고, 삽입 슬라이더가 몰딩 위치에 있을 때 탈형면에 접촉하는 제1면과; (b)상기 제1면에서 하측 및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이용시, 탭 부재의 외면을 성형하는 몰드 캐비티 표면을 한정하도록 된 제2면과; (c)상기 제1면의 하단 가장자리와 상기 제2면의 상단 가장자리를 서로 연결하고, 이용시, 탭 부재의 상단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몰드 캐비티 표면을 한정하도록 된 중간면;을 포함한다.Preferably, each portion of each insertion slider that forms part of the mold cavity for forming one of the tab members is (a) tapered in the lower and outward direction in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demolding surface of the central core. A firs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demolding surface when the insertion slider is in the molding position; (b) a second surface extending from the first surface in the lower and outward directions, the second surface being configured to define a mold cavity surface for forming an outer surface of the tab member when in use; and (c) an intermediate surface configured to connect the lower edge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upper edge of the second surface to each other and define a mold cavity surface that, when used, defines the upper edge of the tab member.

본 발명에 따르면, 또한, 위에서 설명된 몰드를 이용하여 위에서 설명된 형태의 클로우저를 몰딩하는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re is also provided a method of molding a closure of the type described above using the mold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다음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한 실시예로써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The invention is explained in greater detail by way of exampl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도 1은 닫혀진 상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탬퍼 에비던트 클로우저의 일 구현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tamper secondary clo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closed state.

도 2는 열려진 상태로서, 용기의 목부상에 남겨진 탬퍼 에비던트 부재와 용기로부터 탈형된 나머지 부분을 갖는 본 발명의 클로우저의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pen state, having a tamper evidence member left on the neck of the container and the remainder demodulated from the container.

도 3은 용기상에서 닫혀진 상태로 있는 본 발명의 클로우저의 평면도이다.3 is a plan view of a 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losed state on a container;

도 4는 도 3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3.

도 5는 용기상에서 닫혀진 상태로 있는 본 발명의 클로우저의 측면도이다.5 is a side view of the 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losed state on a container;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클로우저의 사시도이다.6 and 7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클로우저의 측면도이다.8 is a side view of the 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제거되는 측부 벽면을 갖는 클로우저의 평면도로서, 도시된 화살표는 플라스틱 재료로 탬퍼 에비던트 부재를 몰딩하기 위한 3방향 분할의 삽입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을 지시한다.Fig. 9 is a plan view of a closure with side walls removed, with the arrows shown indicative of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insertion slider of the three-way split for molding the tamper evidence member with plastic material.

도 10a로부터 도 10d는 도 1로부터 도 9까지 도시된 클로우저를 몰딩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몰드 어셈블리에 의한 몰딩 공정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0A through 10D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sequence of molding processes by the mold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molding the closures shown in FIGS. 1 through 9.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몰드 어셈블리에 의하여 성형된 클로우저의 다른 구현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11에 도시된 화살표는 플라스틱 재료로 탬퍼 에비던트 부재를 몰딩하기 위한 2방향 분할의 삽입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을 지시한다.11 and 1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losure formed by the mold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arrow shown in FIG. 11 shows a two-way split insertion slider for molding the tamper evidence member from plastic material. It indicates the direction of movement.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로우저의 다른 구현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13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lo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로우저의 다른 구현예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도 13의 클로우저가 90°회전된 측면도이다.14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lo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ide view in which the closure of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 : 상부 벽면5 : 스커트부3: upper wall surface 5: skirt part

7 : 나선줄9 : 탬퍼 에비던트 부재7: Spiral file 9: Tamper Evidence member

11 : 용기13 : 용기 목부11: container 13: neck of the container

15 : 나선줄21 : 개구공15: spiral line 21: opening hole

23 : 밴드25 : 기둥23: band 25: pillar

27 : 브릿지(bridge)33 : 탭 부재27 bridge 33 tab member

41 : 삽입 슬라이더51 : 코어41: Insertion Slider 51: Core

55 : 캐비티(cavity)79 : 기부(基部)55: cavity 79: base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도 1에서 도 9까지 도시된 클로우저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플라스틱 재료로 몰딩하여 제작될 수 있다.The closures shown in FIGS. 1-9 can be manufactured by molding from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or any other suitable plastic material.

상기 클로우저는 용기(11)를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용기(11)는 외면상의 나선줄(15)과, 상기 나선줄이 형성된 부분의 하측에서 외면의 원주를 따라 형성된 비드(17)를 갖는 목부(13)를 포함한다. 상기 비드(17)는 이용시 용기의 목부(13) 상에서 클로우저의 탬퍼 에비던트 부재를 구속하는 도 4의 언더컷면(19)을 가진다.The closure is such that the container 11 can be closed. The vessel 11 includes a spiral line 15 having a spiral line 15 on the outer surface and a bead 17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surface under the portion where the spiral line is formed. The beads 17 have an undercut face 19 of FIG. 4 which restrains the tamper-evidence member of the closure on the neck 13 of the container when in use.

도 1에서 도 9에 관련하여, 상기 클로우저는 상부 벽면(3)과,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도 6에 도시된 내면의 나선줄(7)을 갖는 스커트부(5)와, 전체가 숫자 9의 도면부호로써 나타내지고 있는 탬퍼 에비던트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1 to 9, the closure comprises an upper wall 3, a skirt portion 5 which extends downwardly and has a spiral line 7 of the inner surface shown in FIG. It includes a tamper-evidence member, indicated by 9.

상기 탬퍼 에비던트 부재(9)는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일련의 개구공(21)들을 갖는 측부 벽면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개구공들은 임의의 적절한 크기와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부 벽면은 개구공(21)의 하단가장자리(29)를 한정하는 하측의 밴드(23)와, 상기 밴드(23)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고 개구공(21)의 측부 가장자리(31)를 한정하는 일련의 기둥(25)들을 포함한다.The tamper-evidence member 9 is formed extend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includes a side wall surface having a series of opening holes 21. The openings may be formed at any suitable size and spacing. The side wall surface is formed with a lower band 23 defining a lower edge 29 of the opening 21 and extending perpendicular to the band 23 and defining a side edge 31 of the opening 21. It includes a series of pillars (25).

또한, 상기 탬퍼 에비던트 부재(9)는 기둥(25)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탬퍼 에비던트 부재를 스커트부(5)에 연결하는 일련의 브릿지(27)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배치로써 스커트부(5)의 하단 가장자리는 개구공(21)들의 상단 가장자리를 한정하게 된다.The tamper evidence member 9 also comprises a series of bridges 27 extending from the top edge of the pillar 25 and connecting the tamper evidence member to the skirt portion 5. With this arrangement, the bottom edge of the skirt portion 5 defines the top edge of the opening holes 21.

또한, 상기 탬퍼 에비던트 부재(9)는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클로우저에 의해 정해지는 공간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 다수개의 탭(33)들을 포함한다. 도 4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탭(33)들은 개구공(21)의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각각의 탭(33)은 그 탭(33)을 개구공(21) 하나의 하단 가장자리(29)에 연결하는 기부(79)를 가진다. 상기 탭(33)은 테이퍼가 진 형상으로서, 그 두께가 그것의 기부(79)로부터 그것의 끝단부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형상이다. 상기 각 기부(79)의 두께가 탭(33)의 나머지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된 것은 각 탭(33)이 첨부한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 형성된 위치로부터 기부(79)에서 외측으로 유연해질 수 있도록 한다. 이것은 클로우저를 용기(11) 상에서 초기의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는 중요한 형상이 된다. 상기 탭(33)의 갯수는 개구공(21)의 갯수와 동일하고, 클로우저를 외측에서 보았을 때 하나의 탭(33)이 각 개구공(21)의 내측으로 위치된다. 본 발명은 각 개구공(21)에 대해 하나의 탭(33)만이 있어야 한다는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데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상기 탭(33)들은 용기의 목부(13) 상에 형성된 비드(17)의 언더컷면(19)에 접촉하도록구비되고, 이것에 의하여 탬퍼 에비던트 부재(9)가 용기의 목부(13)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탭(33)들은 그 탭(33)들이 개구공(21)들과 동일한 크기로 되거나 보다 작은 크기로 되어야 한다는 조건에 맞추어 임의의 적절한 크기와 형태가 될 수 있다.The tamper evidence member 9 also includes a plurality of tabs 33 extending upwardly and extending inwardly of the space defined by the closure. As best shown in FIG. 4, the tabs 33 extend from the bottom edge of the opening hole 21. Each tab 33 has a base 79 that connects the tab 33 to the bottom edge 29 of one opening hole 21. The tab 33 is tapered in shape, the thickness of which becomes thicker from its base 79 to its end. The thickness of each base 79 is relatively thin compared to the rest of the tab 33 is flexible from the base 79 to the outside from its formed position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figures. Make it happen. This is an important shape for positioning the closure in an initial position on the container 11. The number of the tabs 33 is equal to the number of the opening holes 21, and one tab 33 is positioned inside each opening hole 21 when the closer is viewed from the outsid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that only one tab 33 exist for each opening hole 21. The tabs 33 are provided to contact the undercut face 19 of the bead 17 formed on the neck 13 of the container, whereby the tamper evidence member 9 is removed from the neck 13 of the container. To prevent it. The tabs 33 may be of any suitable size and shape, subject to the requirement that the tabs 33 be the same size or smaller than the openings 21.

도 1에서 도 9까지 도시된 클로우저는 클로우저의 탬퍼 에비던트 부재(9)를 성형하기 위하여 도 10a에서 도 10d까지 도시된 3방향으로 분할되는 삽입 슬라이더(41)들을 이용하여 몰딩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상기 삽입 슬라이더(41)들의 이동방향은 도 9에서 화살표에 의해 지시되고 있다. 상기 삽입 슬라이더(41)들과 클로우저를 몰딩하기 위한 몰드 어셈블리의 나머지 구성요소들의 위치는 연속된 몰딩공정의 시간별로 4지점에서 도 10a에서 도 10d의 도면에 의해 도시되고 있다.The closures shown in FIGS. 1-9 are designed to be molded using the insertion sliders 41 divided in three directions shown in FIGS. 10A-10D to form the tamper-evidence member 9 of the closure. .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insertion sliders 41 is indicated by arrows in FIG. 9. The positions of the insertion sliders 41 and the remaining components of the mold assembly for molding the closure are shown by the figures of FIGS. 10A-10D at four points per time of the continuous molding process.

도 10a에서 도 10d의 각 도면은 상측의 도면과 하측의 도면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도 10c는 도면상의 좌측부분에 대한 확대된 도면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각 도면에서 상측의 도면은 연속된 몰딩공정의 시간별로 각 지점에서 몰드 어셈블리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삽입 슬라이더(41)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각 도면에서 하측의 도면은 상측의 도면에서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연속된 몰딩공정의 시간별로 각 지점에 위치된 몰드 어셈블리의 구성요소들의 위치를 보여주고 있다.In FIG. 10A, each view of FIG. 10D includes an upper view and a lower view. 10C further includes an enlarged view of the left side of the drawing. The upper figure in each figure is a plan view show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insertion slider 41 with respect to the remaining part of the mold assembly at each point in time for successive molding processes. The lower figure in each figure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the upper figure, showing the posi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mold assembly located at each point for each successive molding process.

도 10a는 몰딩된 위치에 있는 몰드 어셈블리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위치에서, 몰드 어셈블리의 구성요소들은 닫혀진 상태의 몰드 캐비티(55)를 형성하고 있다. 몰드 캐비티(55) 내에서 해칭된 단면은 플라스틱 재료가 몰드 캐비티 내로주입되어 클로우저를 성형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몰드 어셈블리 구성요소들은 직립된 형태의 중앙 코어(51)와,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3개의 삽입 슬라이더(41)와, 상부 몰드 커버(53)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몰드 캐비티(55)를 한정하게 된다. 특히, 중앙 코어(51)와 삽입 슬라이더(41)는 클로우저의 탬퍼 에비던트 부재(9)를 성형하기 위한 몰드 캐비티를 한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몰드 어셈블리 구성요소들은 몰드 어셈블리로부터 몰딩된 클로우저를 탈형시키기 위한 수직으로 이동 가능한 스트리퍼(stripper) 부재(57)를 포함한다.10A shows the mold assembly in a molded position. In this position, the components of the mold assembly form the mold cavity 55 in the closed state. The hatched cross section in the mold cavity 55 indicates that the plastic material is injected into the mold cavity to form the closure. The mold assembly components comprise an upright form of a central core 51, three horizontally movable insertion sliders 41, and an upper mold cover 53. These components define the mold cavity 55. In particular, the central core 51 and the insertion slider 41 define a mold cavity for forming the tamper evidence member 9 of the closure. The mold assembly components also include a vertically movable stripper member 57 for demolding the molded closure from the mold assembly.

도 10b는 몰드 어셈블리로부터 몰딩된 클로우저를 탈형하는 초기 단계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이러한 단계는 각 삽입 슬라이더(41)들을 동시에 외측으로 이동시켜 스트리퍼 부재(57)의 상방향 수직경로로부터 벗어나도록 하는 과정과, 몰드 커버(53)를 수직으로 이동시켜 클로우저로부터 떨어지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한다.FIG. 10B shows an initial step of demolding a molded closure from a mold assembly. In particular, this step involves moving the respective insertion sliders 41 outward at the same time so as to deviate from the upward vertical path of the stripper member 57, and moving the mold cover 53 vertically to move away from the closure. Process.

도 10c는 역시 몰드 어셈블리로부터 몰딩된 클로우저를 탈형하는 단계로서, 상기한 도 10b의 이후 단계를 보여주고 있다. 이 단계에서는 스트리퍼 부재(57)가 상측으로 수직 이동하게 되고, 상기 스트리퍼 부재(57)가 몰딩된 클로우저의 하단부에 접촉된 채, 클로우저를 상측으로 밀어 코어(51)로부터 떨어지게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클로우저가 스트리퍼 부재(57)로써 상측으로 밀려 올라가게 될 때, 내측을 향하고 있는 클로우저의 몰딩된 탭(33)들은 코어(51) 상에서 걸림 없이 빠져나올 수 있게 몰딩된 위치로부터 외측으로 벗어날 수 있도록 코어(51)가 형성되어 있다. 즉, 클로우저가 밀려 올라감에 따라 상기 탭(33)들은 상기 코어(51)로부터 빠져 나올 수 있는 각도로 세워지게 되는 것이다.FIG. 10C shows demonstrating subsequent steps of FIG. 10B, as described above, demolding the molded closure from the mold assembly. In this step, the stripper member 57 is moved vertically upwards, while the stripper member 57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molded closure, and pushes the closure upwards to be separated from the core 51. In more detail, when the closure is pushed upward with the stripper member 57, the molded tabs 33 of the inwardly facing closure from the molded position can be pulled out on the core 51 without jamming. The core 51 is formed to escape to the outside. That is, as the closure is pushed up, the tabs 33 are erected at an angle that can exit from the core 51.

도 10d는 몰드 어셈블리로부터 몰딩된 클로우저를 탈형하는 최종 단계를 보여주고 있다. 본 도면에 도시한 단계에서, 상기 탭(33)들은 코어(51)로부터 떨어지게 되고, 결국, 플라스틱 재료의 고유한 탄성에 의하여 몰딩된 위치, 즉 상측과 내측을 향하는 위치로 다시 튕겨지게 된다. 본 도면은 몰드 어셈블리로부터 이동시킬 수 있게 탈형된 위치의 클로우저를 보여주고 있다.10D shows the final step of demolding the molded closure from the mold assembly. In the step shown in this figure, the tabs 33 are displaced from the core 51 and, in turn, are bounced back to the molded position, i.e., to the upper and inner sides, by the inherent elasticity of the plastic material. This figure shows the closure in a demolded position so that it can be moved out of the mold assembly.

상기 클로우저에서 탬퍼 에비던트 부재의 개구공(21)들과 탭(33)들을 성형하기 위하여, (a)상기 코어(51)는 그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전체적으로 원통형인 코어(51)의 외주면상에서 소정의 간격을 갖는 일련의 컷-아웃(cut-out)부 또는 노치(notch)부들을 형성하는 일련의 하측 및 내측 방향으로 경사진 표면(71)과 하측 및 외측 방향으로 경사진 표면(73)을 포함하고, (b)삽입 슬라이더(41)에서 상기한 코어(51)의 각 경사진 표면(71,73)에 대응하는 부분은 코어(51)의 경사진 상부면(71)에 상보(相補)적인 형태의 상부면(75)과, 코어(51)의 경사진 하부면(73)에 상보적인 형태의 하부면(77)을 포함한다.In order to form the openings 21 and the tabs 33 of the tamper-evidence member in the closure, (a) the core 51 is a generally cylindrical core 51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surface 71 inclined in the lower and inward direction and a series of inclined in the lower and inward directions forming a series of cut-out or notch portions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nd (b) a portion of the insertion slider 41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inclined surfaces 71 and 73 of the core 51 to the inclined upper surface 71 of the core 51. Complementary shape top surface 75 and the lower surface 77 complementary to the inclined bottom surface 73 of the core 51 is included.

이때, 도면부호 71과 75로 지시된 한 쌍의 표면들과, 도면부호 73과 77로 지시된 한쌍의 표면들에 있어서,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 슬라이더(41)가 몰딩된 위치에 있게 될 때, 함께 쌍을 이루는 71과 75로 지시된 표면은 서로 접촉한다는 의미에서 서로에게 상보적이다는 것이고, 함께 쌍을 이루는 73과 77로 지시된 표면은 각각 탭(33)들을 성형하기 위한 몰드 캐비티의 내측면 및 외측면을 한정한다는 의미에서 서로에게 상보적이다는 것이다.At this time, in the pair of surface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s 71 and 75 and the pair of surface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s 73 and 77, the insertion slider 41 is in the molded position as shown in Fig. 10A. , When the surfaces 71 and 75 paired together ar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in the sense of being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surfaces 73 and 77 paired together are mold cavities for forming tabs 33, respectively. Complementary to each other in the sense of defining the inner side and outer side of the.

또한, 클로우저가 스트리퍼 부재(57)에 의하여 코어(51)로부터 탈형될 때,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코어(51)의 상부면(71)은 몰딩된 클로우저의 탭(33)들이 외측으로 벗어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관련하여, 바람직하게는, 상부면(71)이 수직방향에 대하여 10°에서 40°사이의 각도로 경사지게 한다.In addition, when the closure is demoulded from the core 51 by the stripper member 57, the upper surface 71 of the core 51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may allow the tabs 33 of the molded closure to escape outward. Make sure In this regard, preferably, the upper surface 71 is inclined at an angle between 10 ° and 40 °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도 11에서 도 14까지 도시된 클로우저의 다른 구현예는 도 1에서 도 10까지 도시된 클로우저의 일 구현예에 비하여 구조적으로 매우 단순하다. 2방향으로 분할되는 삽입 슬라이더를 이용하여 몰딩하기 위한 클로우저를 설계한 결과로서 생기는 차이점들만이 존재하게 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closure shown in FIGS. 11 through 14 is very structurally simple compared to one embodiment of the closure shown in FIGS. 1 through 10. Only the differences that arise as a result of designing a closure for molding using an insertion slider divided in two directions are present.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탬퍼 에비던트 클로우저는 다음과 같은 여러 장점들을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tamper evidence clo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several advantages as follows.

1. 탬퍼 에비던트 부재(9)의 측부 벽면에 개구공(21)들이 구비됨으로써, 클로우저를 제작하는데 요구되는 재료의 양을 절감할 수 있다.1. By providing the opening holes 21 in the side wall surface of the tamper evidence member 9,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material required for manufacturing the closure.

2. 탭(33)들을 개구공(21)들과 함께 정렬시키는 것은 클로우저를 몰딩하는 관점에서 필요되면서 탭(33)들이 직접적인 접근을 하게 하는 장점을 가진다. 이것은 우유(또는 다른 액체)의 넘침 또는 클로우저를 씻는 동안 물의 고임 등과 같은 액체의 고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요하다.2. Aligning the tabs 33 with the apertures 21 has the advantage of allowing the tabs 33 to have direct access while being required from the standpoint of molding the closure. This is important in order to prevent the overflow of milk (or other liquids) or the accumulation of liquids such as the accumulation of water while washing the closure.

3. 상기 탭(33)들과 개구공(21)들을 정렬하는데 있어 또 하나의 장점은 용기에 제품이 채워진 후 클로우저를 용기의 목부(13)에 끼울 때, 측부 벽면이 탭(33)들의 바깥쪽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러한 형태와, 각 탭(33)의 유연한 기부(79)의 구조에 의하여, 본 발명의 클로우저는 용기의 목부(13)에 끼워질 때 J-밴드형 클로우저에 비하여 훨씬 적은 힘을 필요로 하게 되는 것이다.3. Another advantage in aligning the tabs 33 and the apertures 21 is that when the closure is fitted to the neck 13 of the container after the product is filled into the container, the side walls of the tabs 33 It doesn't limit movement outward. With this configuration and the structure of the flexible base 79 of each tab 33, the 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requires much less force than the J-banded closure when fitted to the neck 13 of the container. Will be.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대한 많은 수정들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만들어질 수 있다.Many modifications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Claims (13)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성형된 탬퍼 에비던트 클로우저는:Tamper Avid Closers molded from plastic materials are: (a)상부 벽면과;(a) an upper wall surface; (b)상기 상부 벽면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내면에 용기 목부의 외면상의 나선줄에 체결되도록 된 나선줄을 갖는 스커트부와;(b) a skirt portion which extends downward from the upper wall surface and has a spiral string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and fastened to a spiral file on an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neck; (c)탬퍼 에비던트 부재를 스커트부에 연결하는 브릿지들과, 측부 벽면을 포함한 탬퍼 에비던트 부재;(c) a tamper evidence member comprising bridges connecting the tamper evidence member to the skirt portion and a side wall; 를 포함하고, 상기 측부 벽면은 일련의 개구공들과, 상기 측부 벽면으로 연결되고 클로우저에 의해 한정된 공간 내에서 그 상측 및 내측 방향과 상기 개구공들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탭 부재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탬퍼 에비던트 클로우저.The side wall surface includes a series of opening holes and a plurality of tab members formed in the space connected to the side wall surface and extending in an upper and inner direction thereof and an inner direction of the opening holes in a space defined by a closure. Tamper Abyss clos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공들은 상기 측부 벽면의 둘레에 소정 간격으로 떨어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탬퍼 에비던트 클로우저.The tamper evidence clos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ning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round the side wall.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벽면은 상기 개구공들의 하단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탬퍼 에비던트 클로우저.3. The tamper evidence closur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ide wall surface includes a band forming the bottom edge of the opening hole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벽면은 상기 밴드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개구공들의 측부 가장자리를 한정하는 다수개의 기둥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탬퍼 에비던트 클로우저.4. The tamper evidence closure of claim 3 wherein said side wall surface comprises a plurality of pillars extending upwardly from said band and defining side edges of said aperture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는 상기 기둥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탬퍼 에비던트 클로우저.5. The tamper incident closure of claim 4, wherein the bridge extends from an upper end of the pilla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탭 부재는 탭 부재를 상기 측부 벽면에 연결하는 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탬퍼 에비던트 클로우저.The tamper evidence closure of claim 1, wherein each tab member has a base that connects a tab member to the side wall.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탭 부재는 상기 기부가 유연하도록 하여 상기 기부에서 상기 탭 부재들이 상측 및 내측 방향의 성형된 위치로부터 외측으로 굽혀질 수 있도록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탬퍼 에비던트 클로우저.7. The tamper secondary closure of claim 6, wherein each tab member is shaped such that the base is flexible such that the tab members can be bent outward from the molded position in the upper and inward directions at the base.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기부는 상기 각 탭 부재의 나머지 부분보다 얇은두께로 형성됨으로써 유연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탬퍼 에비던트 클로우저.8. The tamper secondary closure of claim 7, wherein each of said bases is made flexible by being thinner than the rest of said tab membe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탭 부재들은 상기 개구공들의 하단 가장자리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탬퍼 에비던트 클로우저.The tamper evidence closure of claim 1, wherein the tab members are connected to bottom edges of the opening holes. 제 1 항의 클로우저를 몰딩하기 위한 몰드 어셈블리는:The mold assembly for molding the closure of claim 1 is: 중앙의 코어와;A central core; 상기 중앙 코어와 탬퍼 에비던트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성형하기 위한 몰드 캐비티를 한정하는 몰딩 위치로 이동 가능하도록 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삽입 슬라이더;At least two insertion sliders movable to a molding position defining a mold cavity for form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central core and the tamper evidence membe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어셈블리.Mold assembly comprising a.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코어는 직립된 형태이고, 상기 삽입 슬라이더는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어셈블리.11. The mold assembly of claim 10 wherein the central core is upright and the insertion slider is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탬퍼 에비던트 부재의 탭 부재들 중하나를 성형하기 위한 몰드 캐비티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상기 중앙 코어의 각 부분은 몰드 캐비티 내에 몰딩되어 있는 탭 부재의 탈형을 위한 표면을 한정하도록 하측 및 내측 방향으로 테이퍼진 제1면과, 이용시, 상기 탭 부재의 내면을 성형하는 몰드 캐비티 표면을 한정하도록 상기 제1면의 하측에서 그 하측 및 외측 방향으로 테이퍼진 제2면을 포함하고;12. The method of claim 10 or 11, wherein each portion of the central core forming a portion of a mold cavity for forming one of the tab members of the tamper evidence member is for demoulding a tab member molded into a mold cavity. A first surface tapered in the lower and inward directions to define a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tapered in the lower and outward directions from below the first surface to define a mold cavity surface that, when used, forms an inner surface of the tab member. It includes; 이용시, 상기 중앙 코어로부터 몰딩된 클로우저를 탈형하기 위하여, 클로우저 스트리퍼 어셈블리가 몰딩된 상기 클로우저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동안, 상기 탭 부재는 상기 탈형면에 접촉하여 이동하고, 상기 탭 부재의 테이퍼진 상기 탈형면상에서의 접촉으로 상기 클로우저가 상기 중앙 코어로부터 용이하게 탈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어셈블리.In use, while the closure stripper assembly moves the molded closure upwards to demold the molded closure from the central core, the tab member moves in contact with the release surface and the taper of the tab member. And the closure on the demolding surface allows the closure to be easily demolded from the central cor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탭 부재들 중 하나를 성형하기 위한 몰드 캐비티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각 삽입 슬라이더의 각 부분은: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each portion of each insertion slider forming a portion of a mold cavity for forming one of the tab members is: (a)상기 중앙 코어의 탈형면에 상보적인 형태로 하측 및 외측 방향으로 테이퍼지고, 상기 삽입 슬라이더가 몰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탈형면에 접촉하는 제1면과;(a) a first surface which is tapered in the downward and outward directions in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demolding surface of the central core and in contact with the demolding surface when the insertion slider is in a molding position; (b)하측 및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이용시, 상기 탭 부재의 외면을 성형하는 몰드 캐비티 표면을 한정하는 제2면과;(b) a second surface extending in the lower and outer directions and defining a mold cavity surface which, when in use, forms an outer surface of the tab member; (c)상기 제1면의 하단 가장자리와 상기 제2면의 상단 가장자리를 서로 연결하고, 이용시, 상기 탭 부재의 상단 가장자리를 성형하는 몰드 캐비티 표면을 한정하는 중간면;(c) an intermediate surface connecting the lower edge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upper edge of the second surface to each other and defining a mold cavity surface which, when used, defines a top edge of the tab member;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어셈블리.Mold assembly comprising a.
KR1020010017454A 2001-04-02 2001-04-02 A tamper evident closure and a mould assembly for moulding the same KR2002007771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7454A KR20020077714A (en) 2001-04-02 2001-04-02 A tamper evident closure and a mould assembly for moul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7454A KR20020077714A (en) 2001-04-02 2001-04-02 A tamper evident closure and a mould assembly for mould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7714A true KR20020077714A (en) 2002-10-14

Family

ID=37490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7454A KR20020077714A (en) 2001-04-02 2001-04-02 A tamper evident closure and a mould assembly for moul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771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38900A1 (en) * 2019-05-14 2020-11-18 Gerresheimer Boleslawiec Spolka Akcyjna Container, especially for medicin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38900A1 (en) * 2019-05-14 2020-11-18 Gerresheimer Boleslawiec Spolka Akcyjna Container, especially for medicin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8066A (en) Container with a unitary closure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20010015341A1 (en) Tamper evident closure
US10272599B2 (en) One-piece hinged closure for equipping a container
US6328175B2 (en) Mould for producing bottle caps with tucked-in tabs, and resulting cap
US4117950A (en) Plastic closure
US3443005A (en) Plural part molding
CA2527007A1 (en) Method of joining separable components and container closure system formed by the same
EP3083429B1 (en) Valvular closure element, closure cap comprising the valvular closure element, and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valvular closure element
US5086938A (en) Pilfer-proof closure for containers and injection mould for producing the closure
RU2314981C2 (en) Plastic sealing device produced in closed state
EP1905566A1 (en) Mould for manufacturing sealing caps
MX2014000973A (en) Container closure.
US5526954A (en) Injection molded plastic bucket with an integrally moulded carry handle
US4564113A (en) Injection molded plastic closure
KR20020077714A (en) A tamper evident closure and a mould assembly for moulding the same
JP4446900B2 (en) Filter mold
JP3570531B2 (en) Injection mold for synthetic resin cap
CN107257723B (en) Injection molding method for forming a closure
KR100366218B1 (en) Moulding method for manufacturing so as to easily a mold by double moulding in a horizontal type injection moulder and product manufactured by the method thereof
JP2003155020A (en) Injection molded synthetic resin container and production equipment for its mold structure
JP7458070B2 (en) cap and mold
US4518143A (en) Mold for forming a container having a pivot means
JP7253142B2 (en) Cap body and cap
JP2590925Y2 (en) Injection mold
CA105792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ulding plastics covers for contai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