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7377A - 디바이스들의 원격 그룹들의 상호동작을 위한 브리징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바이스들의 원격 그룹들의 상호동작을 위한 브리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7377A
KR20020077377A KR1020027008662A KR20027008662A KR20020077377A KR 20020077377 A KR20020077377 A KR 20020077377A KR 1020027008662 A KR1020027008662 A KR 1020027008662A KR 20027008662 A KR20027008662 A KR 20027008662A KR 20020077377 A KR20020077377 A KR 20020077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way
devices
bus
proxy
avail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8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루드란드필립에이.
존다그에듀드지.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20077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737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5Home Audio Video Interoperability [HAVI]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2Interconnection of the control functionalities between home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04L12/4604LAN interconnection over a backbone network, e.g. Internet, Frame Relay
    • H04L12/462LAN interconnection over a bridge based backbone
    • H04L12/4625Single bridge functionality, e.g. connection of two networks over a single brid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41Directories for service dis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a format for calling an appliance service function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Transmitter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을 위한 브리징 시스템은 서로 통신하도록 배열된 제 1 게이트웨이(107)와 제 2 게이트웨이(108)를 포함한다. 각 게이트웨이(107, 108)는 통신 시스템의 상이한 버스(100, 105)에 접속될 수 있다. 제 1 게이트웨이(107)는 그 각 버스(100)상의 이용 가능한 디바이스들(102, 103)의 세부사항들을 제 2 게이트웨이(108)에 통신하도록 동작한다. 제 2 게이트웨이(108)는 상기 이용 가능한 디바이스들(102, 103)의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록시 소자를 생성하도록 동작한다. 각 프록시 소자는 제 2 게이트웨이(108)의 버스(105)상의 디바이스들(130)과 프록시 소자에 대응하는 제 1 게이트웨이(100)상의 디바이스 사이에서 데이터 및 메시지들을 통신하도록 동작한다.

Description

디바이스들의 원격 그룹들의 상호동작을 위한 브리징 시스템{Bridging system for interoperation of remote groups of devices}
통상적인 가정용 시청각 시스템은 다수의 디바이스들, 예로서, 라디오 수신기, 튜너/디코더, CD 플레이어, 한쌍의 스피커들, 텔레비젼, VCR, 테이프 데크 등등을 포함한다. 이런 디바이스들을 그룹으로 상호연결하여 하나의 디바이스, 예로서 텔레비젼이 다른 디바이스, 예로서, VCR를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점점 보편화되어가고 있다. 예로서, 텔레비젼 같은 하나의 디바이스는 이용자가 주로 통신하게 되는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이 디바이스는 그룹내의 다른 디바이스들을 통해 중앙 액세스 및 제어까지도 제공될 수 있다. 제어 버튼들 및 스위치들은 일반적으로 중앙 디바이스의 전면과 수조작 원격 제어 유니트상에 위치된다. 이용자는 중앙 디바이스 또는 원격 제어 유니트에 의해 모든 디바이스들을 제어할 수 있다. 디바이스들이 보다 다기능화 되고, 보다 복잡해져 가기 때문에, 단순한 수동 제어로는 이제 불충분하다.
더욱이, 점점 더 많은 디바이스들이 이용 가능해지기 때문에, 상호 동작성이문제시 되기 시작한다. 다수의 판매업자들은 그 디바이스들이 상호작용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그 자체의 통신 프로토콜들을 이용하지만, 그러나, 서로 다른 판매업자들로부터의 디바이스들은 상호작용할 수 없다. 이들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서, 몇가지 상호 동작성 표준들이 디바이스들이 상호제어 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개발되어왔다. 한가지 널리 공지된 표준은 가정용 오디오-비디오 상호동작성(HAVi : Home Audio-Video Interoperability) 표준이며, 그 표준의 1.0 버전이 2000년 1월에 공개되었고, 이는 인터넷상에서 주소 http://www.havi.org에서 입수할 수 있다. 다른 널리 공지된 표준은 IEC 1030에 기술된 통신 프로토콜인 도메스틱 디지털 버스(D2B) 표준이다. 이런 표준에 따르는 시스템에서, 디바이스들은 표준 버스, 예로서, IEEE 1394(1394라 지칭됨) 직렬 통신 버스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내에서 상호접속되고, 메시지들 같은 정보, 데이터 및 명령들을 이 표준에 따라 이 네트워크에 걸쳐 교환한다. HAVi 같은 표준들은 이런 교환을 위한 프로토콜을 정의하고, 서로 다른 판매업자들로부터의 디바이스들이 상호작용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용자들은 새로운 디바이스들을 네트워크에 추가할 수 있고, 이들은 즉시 다른 디바이스들에 대해 이용 가능하게 된다. 이런 새로운 디바이스를 "발견(discovering)"하기 위한 프로토콜도 표준화되어 있다. 하나의 디바이스가 제어 디바이스로서 작용하여 피제어 디바이스라 지칭되는 다른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예로서, 튜너/디코더는 증폭기 또는 스피커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 제어 유형은 일반적으로 판매업자 지정 형식(vendor-specific fashion)으로 이루어지며, 그 이유는 이것이 피제어 디바이스들의 내부적 하드웨어에 대한 액세스를 필요로하기 때문이다. 임의의 디바이스들이 다른 디바이스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HAVi 또는 D2B 같은 표준들은 추상 표현(AR : Abstract Representation )의 개념을 정의하며, 이는 피제어 디바이스의 기능성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피제어 디바이스와 상호작용하기를 원하는 어플리케이션 디바이스들은 이제 피제어 디바이스 그 자체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대신 제어 디바이스상에 설치되어 있는 AR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그후, 제어 디바이스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전용의 형태일 수 있는 명령들로 변환하고, 이것이 피제어 디바이스에 송신된다. 피제어 디바이스로부터의 소정의 피드백은 다시 변환되고, 어플리케이션 디바이스에 송신된다.
이런 종류의 통신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 버스와 함께 이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종종 클러스터들(clusters)이라 지칭되는 두 개의 이런 시스템들과 상호접속되는 것이 필요하게 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게이트웨이 디바이스가 각 클러스터에 추가될 수 있고, 이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들은 하나의 클러스터로부터의 메시지들이 다른 클러스터로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호접속된다.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들은 예로서, 무선 링크를 거쳐 통신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이용자가 새로운 배선을 추가하지 않아도 되게 한다. 또한,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들은 두 클러스터들이 메시지들, 데이터 및 명령들을 교환하기 위한 상이한 표준들을 이용할 때에도 이용될 수 있다. 그다음,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들은 통신 프로토콜들의 첫번째 세트로부터 다른 세트로 정보를 변환하고, 그 반대로도 변환한다. 이런 구조들은 종종 두 클러스터들 사이에서, 게이트 디바이스들에 의해 형성된, 브리지라지칭된다. 그러나, 이런 형태로 두 클러스터들을 상호접속할 때, 대부분의 표준들이 단지 단일 클러스터가 이용된다는 것을 가정하며, 제 1 클러스터내의 AR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제 2 클러스터내의 디바이스를 위한 어떠한 준비도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과거에, 이런 문제점은 제 2 클러스터내의 다른 디바이스상에 AR을 설치하고, 그래서, 상호작용하기를 희망하는 디바이스가 특별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필요로하지 않고도 그렇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극복되어 왔다. AR을 보유하는 다른 디바이스는 상호작용하기를 원하는 디바이스와 피제어 디바이스 사이의 무결절성(seamless) 상호작용을 제공하기 위해 제 1 클러스터내의 피제어 디바이스와 통신한다. AR을 보유하는 디바이스는 상호작용하기를 희망하는 디바이스와 피제어 디바이스 사이의 프록시로서 기능하도록 상기한 바와 같이 될 수 있다. 이 접근법의 단점은 그 클러스터상의 다른 디바이스들이 이를 이용할 수 있기 이전에, 제 2 클러스터내의 디바이스상에 AR이 반드시 설치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AR들과 연계된 다수의 클러스터들 또는 다수의 디바이스들이 존재할 때, 모든 클러스터내의 일부 디바이스상의 모든 AR들을 설치하는 것은 실용적이지 못하다. 실제로, 각 클러스터내의 각 디바이스를 위해 대형 프록시를 설치하는 것은 소수의 클러스터들에 대해서도 지루하고, 시간 소모적인 일이다. 규칙적 기반상의 클러스터들로부터 디바이스들이 도입 및 제거되는 경우에는 이 문제점이 더욱 심화된다. 더욱이, 제어 디바이스가 피제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피제어 디바이스를 가지는 클러스터와, 이 피제어 디바이스를 이용하기를 희망하는 디바이스를 가지는 클러스터 사이의 직접적 링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하나의 클러스터상의 디바이스들이 유연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다른 클러스터내의 디바이스들상의 기능성을 액세스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추구한다.
본 발명은 디바이스들, 특히, 시청각 디바이스들의 원격 그룹들이 상호동작하는 것을 허용하는 브리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브리징 시스템을 통합하는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브리징 시스템들을 통합하는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선택된 소자들을 보다 상세히 예시하는 도 2의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한측면에 따라서, 서로 통신하도록 배열된 제 1 게이트웨이와 제 2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위한 브리징 시스템으로서, 각 게이트웨이는 통신 시스템의 서로 다른 버스에 접속될 수 있고, 제 1 게이트웨이는 그 각 버스상의 이용 가능한 디바이스들의 세부사항들을 제 2 게이트웨이에 통신하도록 동작하고, 제 2 게이트웨이는 상기 이용 가능한 디바이스들의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록시 소자를 생성하도록 동작하며, 각 프록시 소자는 제 2 게이트웨이의 버스상의 디바이스들과, 상기 프록시 소자에 대응하는 제 1 게이트웨이상의 디바이스 사이에서 데이터 및 메시지들을 통신하도록 동작하는 브리징 시스템이 제공된다.
제 2 게이트웨이는 그 각 버스상의 이용 가능한 디바이스들의 세부사항들을 상기 제 1 게이트웨이에 통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고, 제 1 게이트웨이는 상기 이용 가능한 디바이스들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록시 소자를 생성하도록 동작하며, 각 프록시 소자는 상기 제 1 게이트웨이의 버스상의 디바이스들과, 상기 프록시 소자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게이트웨이상의 디바이스 사이에서 데이터 및 메시지들을 통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각 게이트웨이는 단지 이용 가능한 디바이스들의 선택된 세부사항들만이 다른 게이트웨이에 통신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각 게이트웨이는 단지 선택된 이용가능한 디바이스들의 세부사항들만이 다른 게이트웨이에 통신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각 버스는 그 버스상에서 이용 가능한 디바이스들의 세부사항들이 등록되어 있는 레지스트리를 관리한다. 각 게이트웨이는 상기 버스상에서 이용 가능하게 된 디바이스들의 새로운 세부사항들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레지스트리와 정합하도록 동작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용 가능한 디바이스의 세부사항들은 기능 콤포넌트 모듈들을 포함하고, 생성된 프록시 소자는 프록시 기능 콤포넌트 모듈을 포함한다.
이용 가능한 디바이스의 세부사항들은 케이블 플러그들을 포함하고, 생성된 프록시 소자는 프록시 케이블 플러그를 포함한다.
이용 가능한 디바이스의 세부사항들은 디바이스 제어 모듈들을 포함하고, 프록시 소자는 상기 디바이스 제어 모듈의 이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이용 가능한 디바이스의 세부사항들은 등시성 데이터 전송들(isochronous data transmissions)을 포함하고, 프록시 소자는 프록시 등시성 접속을 포함한다. 프록시 등시성 접속은 수신된 등시성 데이터 전송들을 디코딩하고, 원격 버스상의 전송을 위해 상기 등시성 데이터를 다시 인코딩하도록 동작한다. 등시성 데이터 접속은 수반된 게이트웨이 접속들과 모든 버스들상에서 충분한 자원들이 이용 가능한 경우에만 셋업된다. 등시성 데이터 접속은 그 버스들의 각 스트림 관리자에게 접속 요청을 발령하는 프록시된 소자 또는 각 프록시 소자에 의해 셋업된다.
프록시 소자는 게이트웨이에 의해 유지되는 데이터 테이블의 적어도 일부와,코드를 포함한다. 각 버스상의 각 프록시 소자는 새로운 id를 할당 받는다. 상기 데이터 테이블은 프록시 소자의 id를 다른 버스상의 프록시된 소자의 id에 맵핑하는 라우팅 테이블이다.
상기 제 1 및 제 2 게이트웨이들은 단일 디바이스내에서 구현된다.
원격 버스상의 디바이스들 사이의 접속은 게이트웨이에 의한 내부적 접속으로서 나타내질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은 HAVi 순응적인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 도면들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다른 브리징 시스템을 통합하는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이 통신 시스템은 디바이스들의 제 1 클러스터와 제 2 클러스터를 포함한다. 제 1 클러스터내의 디바이스들은 동일한 보다 높은 레벨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예로서, IEEE 1394에 기반한 통신 네트워크(100)를 거쳐 상호접속된다. 제 2클러스터내의 디바이스들은 유사하게, 각 통신 네트워크(105)를 통하여 접속된다. 제 1 및 제 2 통신 네트워크들(100, 105)은 두 개의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들(107, 108)을 포함하는 브리징 시스템을 통하여 그들 자체가 상호접속되며, 여기서, 게이트웨이 디바이스(107)는 제 1 네트워크(100)내에 존재하고, 게이트웨이 디바이스(108)는 제 2 네트워크(105)내에 존재한다.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들(107 및 108) 사이에 소정 종류의 통신 네트워크가 존재하며, 이를 거쳐 메시지들, 데이터들 및 명령들이 하나의 클러스터로부터 다른 클러스터에게로 송신될 수 있다. 이 네트워크는 소정 유형의 네트워크, 예로서, 무선 링크일 수 있다. 클러스터들이 그 각 통신 네트워크들내에서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들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런 경우에,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들은 반드시 전송 클러스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들을 수신 클러스터내에서 이용되는 프로토콜로 변환되도록 배열되어야 하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가 되도록 배열되어야 한다. 제 1 클러스터는 다른 디바이스들 중에, 제어 디바이스(102)와, 피제어 디바이스(103)를 가진다. 피제어 디바이스(103)의 기능성이 추상 표현(AR)라 지칭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용 가능하게 된다. 이 인터페이스는 제어 디바이스(102)상에 설치된다. 이 인터페이스는 AR의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용 가능하게 된다. 이 API는 피제어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위한 액세스 지점이다. 예로서, 거실의 지능형 텔레비젼은 다수의 피제어 디바이스들을 위한 제어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피제어 디바이스는 피제어 디바이스를 위한 이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고, 피제어 디바이스의 외부적 제어를 허용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디바이스가 최초로 접속될 때, 제어 디바이스, 예로서, 상기 지능형 텔레비젼은 제어될 수 있는 소정의 이용 가능한 디바이스들을 위한 제어 코드 및 이용자 인터페이스를 획득한다. 그후, 피제어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텔레비젼 스크린상에 나타날 수 있고, 이 아이콘을 조작하는 것이 제어 코드의 소자들이 사전정의된 방식으로 표시된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들을 작동시키게 할 수 있다. 피제어 디바이스(103)와 제어 디바이스(102)는 하나의 물리적 디바이스내에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한다. 실제로, 여기에 알려진 것 보다 매끄러운 디바이스 성능들의 연속이 존재하기는 하지만, 하기의 분류는 이 시스템의 모델을 이해하는데 유용하다. 본 일반적인 실시예의 디바이스들의 통신 성능들은 상이한 수준의 정교성을 가진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브리징 시스템들을 통합하는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며, 이 통신 시스템은 디바이스들의 제 1 클러스터, 제 2 클러스터 및 제 3 클러스터를 포함한다. 제 1 클러스터내의 디바이스들은 동일한 보다 높은 수준의 통신 프로토콜들을 이용하여, 예로서, IEEE 1394에 기반한 통신 네트워크(100)를 통하여 상호 접속된다. 제 2 및 제 3 클러스터들내의 디바이스들은 유사하게 각 통신 네트워크들(105, 110)을 통하여 접속된다. 제 1 및 제 2 클러스터들과, 제 2 및 제 3 클러스터들은 각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들(107, 108, 112, 113)을 포함하는 각 브리징 시스템을 통하여 그들 자체가 상호접속되며, 여기서, 게이트웨이 디바이스 107은 제 1 네트워크(100)내에 존재하고,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들 108 및 112는 제 2 네트워크(105)내에 존재하며, 게이트웨이 디바이스 113은 제 3 네트워크내에 존재한다.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들(107, 108, 112, 113) 사이에는 소정 종류의 통신 네트워크가 존재하며, 이를 거쳐 메시지들, 데이터들 및 명령들이 하나의 클러스터로부터 다른 클러스터에게로 송신될 수 있다. 앞서와 마찬가지로, 제 1 네트워크(100)는 다른 디바이스들 중에, 제어 디바이스(102)와, 피제어 디바이스(103)를 가진다. 피제어 디바이스(103)의 기능성이 추상 표현(AR)라 지칭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용 가능하게 된다.
그 통신 성능들에 의존하여, 디바이스들은 하기의 클래스들 중 하나에 따라 분류된다.
제어 디바이스들 : 하기의 두 가지 유형의 제어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구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완전 AV 디바이스(FAV : Full AV Device) - 풍부한 자원들의 세트를 가지며, 복잡한 소프트웨어 환경을 지원할 수 있다. FAV 디바이스의 주된 특징적 특성은 피제어 디바이스를 위해 추상 표현(AR)를 실행하기 위한 구동시간 환경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는 FAV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들로부터 또는 다른 로컬 영역이나 와이드 영역 통신 네트워크들을 통하여 AR을 업로드할 수 있게 하며, 그래서, 그 제어를 위한 향상된 성능을 제공하는 것을 허용한다. 또한, FAV 디바이스는 어플리케이션들 및 특성들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다운로드된 코드는 가상 기기의 실행 가능한 코드형태, 예로서, 자바나 유사한 바이트 코드들의 형태이다. FAV 디바이스들을 위한 가능한 후보들은 셋톱 박스들(STB), 디지털 TV 수상기들(DTV), 범용 목적 가정용 제어 디바이스들 및 심지어 가정용 PC들이다.
중간 AV 디바이스(IAV : Intermediate AV Device) - 중간 AV 디바이스들은 일반적으로 FAV 디바이스들 보다 가격이 저렴하며, 자원들이 보다 제한되어 있다. 이들은 다운로드 가능한 AR들을 위한 구동 환경을 제공하지 않으며, 그래서, 시스템내의 임의의 디바이스들을 위한 제어 디바이스들로서 작용할 수 없다. 그러나, IAV 디바이스는 시스템내의 특정 피제어 디바이스(들)의 제어를 위한 원시 지원(native support)을 제공한다.
피제어 디바이스들 : 하기의 두가지 유형의 피제어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구분이 이루어진다.
기본 AV 디바이스(BAV : Base AV Device) - 이들은 사업 또는 자원적 사유들을 위해, 업로드 가능한 AR을 제공하는 디바이스들이지만, 이 디바이스들 그자체는 AR을 실행하지 않는다. 이들 디바이스들은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업로드 가능한 바이트코드를 통하여 FAV 디바이스에 의해, 또는, 원시 코드를 통하여 IAV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BAV 디바이스와 그 제어 디바이스 사이의 프로토콜은 통상적으로 전용식이다. 제어 디바이스와 BAV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은 AR을 위한 명령들이 BAV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되는 명령 프로토콜로 변환되고, 그 명령 프로토콜로부터 변환되는 것을 필요로 한다. 변환은 AR을 실행하는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된다.
레가시 AV 디바이스(LAV : Legacy AV Device) - LAV 디바이스들은 설명된 시스템 아키텍쳐와 통신 프로토콜들에 따르지 않는 디바이스들이다. 통상적으로, 이런 디바이스들은 표준이 합의되기 이전에 만들어진 것이다. 이들 디바이스들은 그제어를 위해 전용 프로토콜들을 이용하며, 통상적으로 단순한 제어 전용 프로토콜들을 가진다. 이런 디바이스들은 가정용 네트워크내에서 동작할 수 있지만, 그러나, 게이트웨이로서 작용하는 FAV 또는 IAV 디바이스들을 필요로 한다. 완전 또는 중간 AV 디바이스와 레가시 AV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은 명령들이 레가시 명령 프로토콜로 변환되고, 레가시 명령 프로토콜루부터 변환되는 것을 요구한다.
도 3은 선택된 소자들을 보다 상세히 예시하는 도 2의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상호작용의 경과 동안, 디바이스들은 피어-투-피어(peer-to-peer)식으로 메시지들, 명령들 및 데이터들을 교환한다. 이는 통신 레벨에서, 어떠한 디바이스도 시스템을 위한 마스터 또는 제어기로서 작용할 필요가 없게 되는 것을 보증한다. 그러나, 이는 또한, 로컬 마스터 또는 제어기가 기본 피어-투-피어 통신 모델상에 제어 구조를 부여하는 것을 허용한다. AR은 제어 디바이스에 이용되는 소프트웨어 소자이다. AR은 AR 그 자체를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는 피제어 디바이스내의 각 기능 콤포넌트들을 위한 기능 콤포넌트 모듈들(FCM들 : Functional Component Modules)을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FCM들은 하나의 디바이스상의 기능성을 나타내며, 일부 디바이스들은 몇 개의 FCM들을 가지며, 그 예로서, 캠코더(150)는 카메라 기능성을 나타내기 위한 카메라 FCM(151)과,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기능을 나타내기 위한 VCR FCM(153)을 가질 수 있다. FCM은 그 기능 콤포넌트의 기능성을 제공하는 기능 콤포넌트의 소프트웨어 요약체이다. 다른 디바이스들은 AR과 직접적으로 통신하지 못하며, 단지 FCM을 통해서만 통신한다. FCM은 요청들을 수신할 수 있고, 메시징 시스템을 통하여 다른 객체들과 통신할 수있다. 예로서, VCR(130)을 위한 AR은 테이프 데크 및 튜너를 위한 별개의 FCM들(131, 132)을 포함할 수 있고, TV(120)를 위한 AR은 모니터, PIP(화상 디스플레이내의 화상) 및 튜너를 위한 별개의 FCM들(121, 122, 12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AR은 디바이스 및 그 기능적 콤포넌트들의 이용자 제어를 허용하는 소프트웨어 소자인, 디바이스 제어 모듈 또는 DCM(Device Control Module)이라 지칭되는 디바이스 제어 어플리케이션(124, 133, 153)을 포함할 수 있다. 클러스터내의 다른 디바이스들이 AR내에 포함된 기능성들을 배치 및 액세스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각 클러스터는 그 클러스터내의 모든 디바이스들을 배치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식별자들을 포함하는 레지스트리(101, 106, 111)를 관리한다. 디바이스들은 디바이스들 및 이용 가능한 기능 콤포넌트들을 발견하기 위해 레지스트리에 문의할 수 있고, DCM들 및 FCM들을 통하여 디바이스와 상호작용시키기 위해 소프트웨어 식별자를 취득하기 위해서 레지스트리에 문의할 수 있다. 레지스트리는 클러스터내의 각 FAV와 IAV에 걸쳐 분포될 수 있다.
HAVi내의 디바이스들 사이의 접속들은 "플러그들(plugs)"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이들은 접속 데이터를 설립 및 유지하기 위하여 디바이스들에 의해 관리되는 소프트웨어 데이터 구조들이다. 세 가지 플러그들의 유형들, 즉, FCM 플러그들, 케이블 플러그들 및 레크플러그들(lecPlugs)이 존재한다.
FCM들은 종종 데이터의 스트림들을 입력 및 출력하기 위한 기능을 가지며, 카메라와 VCR FCM들을 가지는 상술한 캠코더의 예에서는 카메라 FCM은 비디오 스트림을 출력할 수 있고, VCR은 비디오 스트림을 입력하고, 그후, 이를 추후 다시 출력할 수 있다. FCM 플러그들은 데이터 스트림을 소스 또는 싱크하기 위한 기능을 나타내기 때문에, 카메라 FCM은 하나의 FCM 플러그를 가질 수 있고, VCR FCM은 하나의 입력 FCM 플러그와, 하나의 출력 FCM 플러그를 가질 수 있다.
SCART, 사운드 및 비디오 리드들 같은 1394 유형의 접속들이 아닌 소정의 가능한 외부적 접속은 케이블 플러그에 의해 나타내진다. 캠코더는 단일 합성 비디오 출력을 가지며, 어떠한 입력들도 갖지 않고, 그래서, 이는 하나의 출력 케이블 플러그와 0개의 입력 케이블 플러그들을 가진다. 화상이 우리의 합성 비디오 인출 라인에 연결된 TV상에 나타나는 시점에서, 캠코더(150)가 그 카메라의 출력 플러그를 출력 케이블 플러그에 접속하는 것을 추후 요청(전용 버스상의 HAVi를 통하여)하게 될 수 있다.
1394 프로토콜 스택의 상부에는 1883(IEC61883의 약어)으로 공지된 층이 있다. 이 층은 메시지들을 저레벨 1394 패킷들내에 집어넣어 메시지들을 숨기는 방법들을 포함하고, 또한,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들을 정의한다.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PCR : Plug Control Register)는 iPCR(입력) 또는 oPCR(출력)일 수 있고, 우리의 캠코더는 하나의 oPCR과 0개의 iPCR들을 가진다. 디바이스의 외관은 10개의 iPCR들을 가지는 경우에도 동일하지만, 이때, 1394상의 다른 디바이스들에게 이 디바이스가 10개의 별개의 스트림들을 싱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게 된다. PCR들은 다양한 다른 속도 제어 등의 플레그들과 함께, 방송 비트 및 그들을 통하여 접속된 스트림들의 수의 카운터를 포함한다. 레지스터들이 PCR에 아무것도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낼 때, 하드웨어는 그 스트림을 오프상태로 전환한다. 그 수가증분되거나, 방송 비트가 설정될 때, 디바이스는 등시성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한다. iPCR들은 데이터 스트림들을 전송하지 않으며, 대신, 그들은 관련 채널상에 데이터 스트림이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할 때, 데이터 스트림내에서 판독을 시작한다. iPCR들과 oPCR들은 케이블 플러그들과 동일한 방식으로 FCM 플러그들에 접속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요청들은 HAVi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레크플러그들은 디바이스상의 PCR들을 나타낸다.
다른 클러스터내의 디바이스들을 제어하는 하나의 클러스터로부터 디바이스들을 투과적으로 수용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원격, 클러스터, 게이트웨이 디바이이스들은 프록시 FCM들을 생성하고, 그들이 존재하는 클러스터내의 디바이스들에게 제공하도록 구현된다. 프록시 FCM들은 게이트웨이가 통신하는 클러스터내의 이용 가능한 디바이스들의 FCM들에 대응한다. 예로서, 지능형 TV(120)는 가옥의 중앙 난방 시스템(140)과, 다른 방에 있는 캠코더(150)와 VCR(130)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프록시 FCM들(107a-107e)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 프록시 FCM들은 실제 FCM들(151, 152, 131, 132 및 141)에 각각 대응한다. 프록시 FCM들은 주로 메시지 송달자(forwarder)들로서 동작하며, 그들이 나타내는 디바이스에게 어드레스된 메시지들을 수신하며, 대응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를 통하여 상대 버스(opposite bus)에게 동일한 메시지를 그대로 반복한다. 상술한 실시에에서, VCR(130)과 캠코더(150)는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들(107 및 113)내의 프록시 FCM들을 가지며, 중앙 난방 시스템(140)은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들(112 및 107)내의 프록시 FCM들을 가진다. TV(120) 또는 TV(120)를 제어하는 이용자에게, VCR(130)과, 캠코더(150) 및난방 시스템(140)은 게이트웨이(107)의 일부인 것으로 보여진다. 사실, TV(120)로부터 VCR(130)의 튜너 FCM(132)에게로의 메시지는 게이트웨이 107에 있는 프록시 FCM(107b)에 의해 수신되고, 게이트웨이 108에게 전송되며, VCR(130)의 FCM(132)에 의한 수신을 위해 버스(105)상으로 방송된다. 동등하게, TV(120)로부터 난방 시스템 FMC(141)에게로의 메시지는 게이트웨이(107)의 FCM(107e)에서 수신되고, 게이트웨이 108에게로 전송되며, 게이트웨이 108은 순차적으로 이 메시지를 게이트웨이(112)의 프록시 FCM(112a)에게 전송한다. 게이트웨이(112)는 이 메시지를 게이트웨이(113)에게 전송하고, 이는 이 메시지를 난방 시스템 FMC(141)에게로 통과시킨다.
프록시 FCM 같은 프록시 소자는 통상적으로, 코드 및 데이터 테이블 같은 게이트웨이의 원시 환경에서 구현된다.
각 게이트웨이는 IAV 또는 FAV로서 구현되는 것이 적합하다. 각 프록시 소자가 게이트웨이에 의해 동일한 방식으로 취급되기 때문에, 이는 예로서, 게이트웨이 디바이스 처리 복합 루틴 환경 및 처리 성능들이 없는 자바 바이트코드로서 생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각 게이트웨이는 게이트웨이의 제어를 허용하는 그 부착 버스상에서 구동하며, 무엇보다도, FCM들 및 다른 소자들을 상대 버스상에 제공하기 위한 DCM(107z, 108z, 112z 및 113z)을 가진다. 이용 가능한 옵션들은 하기의 것들을 포함한다.
전부
일부(혼잡 회피를 위해)
전무(예로서, 비밀유지를 위해)
일부, 패스워드 보호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는 그것이 연결된 버스의 레지스트리로부터 이용 가능하게 되는 새로운 FCM들 및 DCM들의 통지를 수신하기 위한 등록에 의해 동작한다. 이런 새로운 FCM이 이용 가능하게 되었을 때,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는 이 이용 가능성을 그 상대 게이트웨이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상대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는 각 FCM을 위한 새로운 식별자와 함께 프록시 FCM을 생성하고, 그것이 부착되어 있는 버스의 레지스트리와 함께 새로운 식별자를 이용하여 프록시 FCM을 등록한다. 새로운 식별자는 게이트웨이 디바이스와 프록시 FCM을 연계시킨다. 새로운 식별자를 가진 게이트웨이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메시지들은 원본 식별자에 의해 대체된 새로운 식별자를 가진다. 그후, 메시지들은 전진 전송을 위해 상대 게이트웨이에 전송된다. 프록시 FCM의 식별자 및 그 대응 원본 식별자는 게이트웨이에서 참조표내에 유지된다.
새로운 DCM이 이용 가능하게 되었을 때, DCM의 식별자가 상대 게이트웨이로의 송신을 위해 게이트웨이에 의해 저장된다. 게이트웨이에서 수신된 DCM들은 게이트웨이의 DCM의 하위메뉴로서 그 버스상에 제공된다.
메시지들이 다수의 버스들을을 거쳐 다수의 게이트웨이들을 통과할 수 있으며, 각 FCM은 각 원격 버스상에 프록시 FCM을 가지고, 프록시 FCM들은 각 버스를 위한 상이한 식별자를 가진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한다. 순환 버스 접속들이 회피되는 한, 라우팅은 자동적이고, 완전히 스케일화될 수 있다.
상술한 시스템이 비등시 통신들에 대하여 양호하게 동작하지만, 시청각 매체 스트림 전송들 같은 등시성 채널들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부가적인 기능성이 필요하다. 어떠한 특별한 배열들도 없는 상태에서, 소스는 그 로컬 버스상으로만 전송한다.
등시성 스트림들내의 데이터는 1394 포맷 패킷들로서 1394 버스를 거쳐 전송된다. 이들 패킷들은 비등시 패킷들에 매우 유사하다. 버스들상에 보증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기 위해서, 전송들은 대역폭의 사전예약에 의해 제어된다. 각 버스상의 하나의 디바이스는 등시성 자원 관리자(IRM : Isochronous Resource Manager)로서 설정된다. 등시성 스트림은 예약 채널상에서 예약 대역폭으로 송신되어야만 한다. 이들은 각 IRM과의 통신들을 통하여 예약된다. 일단 채널과 충분한 대역폭이 예약되고나면, 디바이스는 등시성 데이터를 버스상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 순번일 때, 전송이 허용되고, 모든 다른 HAVi 메시지들과 같이 버스상의 모든 디바이스들에게로 진행하는 표준 1394 패킷을 전송한다.
그 디바이스가 패킷 헤더내에 착신지로서 지정된 것인 경우에, 또는, 패킷이 방송인 경우에, 디바이스는 비등시 패킷만을 판독한다. 디바이스는 등시성 패킷 헤더내에 지정된 채널 번호로부터 판독되도록 구성된 입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iPCR)를 가지는 경우에 등시성 패킷을 판독한다.
등시성 스트림은 일반적으로, 오디오 또는 비디오(예로서, MPEG2 또는 DVC)이지만 소정의 포맷일 수 있다. 그 각 버스로부터 모든 등시성 스트림들에서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를 판독하고, 이들을 모두 상대측으로 재전송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다수의 점들에서 이것은 비실용적이다. 특히, 게이트웨이들 사이의 접속들이 통상적으로 한정된 대역폭으로 이루어져 있고, 빈번히 아무것도 필요하지 않을 때, 이 접속을 통해 모든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선택 프로세스가 이용되어 어떤 스트림들이 게이트웨이를 통해 송신되어야 하는지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에서, 등시성 통신을 수신하는 게이트웨이는 소스 버스로부터의 스트림을 판독하고, 이를 원격버스상의 새로운 스트림으로서 전달한다.
등시성 스트림들이 시간에 민감하기 때문에,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두 버스들이 상이한 속도들로 구동될 가능성을 검토하여야만 한다. 게이트웨이 디바이스가 선택된 등시성 스트림 패킷과, 상대 버스상의 전송을 위한 셋업을 수신할 때, 이는 패킷을 MPEG 또는 DVC 같은 미가공 데이터 스트림(raw data stream)으로 디코딩한다. 미가공 데이터는 상대 게이트웨이에 전송되고, 이 상대 게이트웨이는 MPEG2/DVC 스트림을 다시 1394 등시성 패킷들로 재인코딩하여 이들을 새로운 헤더, 그리고, 가능하게는, 새로운 시간 날인과 함께 원격 버스상으로 전송한다. 이는 데이터가 전용의 포맷으로 정확하게 전달되는 한, 재전송된 패킷들이 동일한 유형으로 이루어지거나, 제 1 버스상의 것과 동일한 전송율을 가질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스트림을 제안하는 디바이스는 로컬 스트림 관리자를 통하여 제 1 버스상에 접속을 형성한다. 다른 버스들상에서, 프록시들은 로컬 스트림 관리자에 대한 대응 접속을 제안하기 위해 설정되어야만 한다. 그후, 프록시와 디바이스 또는 부가적인게이트웨이 사이에 접속이 형성될 수 있다.
접속 요청이 게이트웨이의 DCM에 의해 수신될 때, 게이트웨이는 스트림 접속 요청을 상대 게이트웨이에게로 송신한다. 상대 게이트웨이는 필요 채널과 대역폭을 그 로컬 버스상의 IRM으로부터 예약하기를 시도한다. 또한, 두 개의 게이트웨이들은 스트림 전송을 지원하기 위해 그 브리지 접속상에 전용 자원들을 할당하기를 시도한다. 또한, 원격 게이트웨이는 그 목표 DCM에 접속 요청을 송신한다. 예약들 또는 할당 중 소정의 것이 실패하는 경우에, 실패를 인지한 게이트웨이는 이를 상대 게이트웨이에 통신하고, 상대 게이트웨이는 접속 중 성공적인 부분(들)을 접속해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리징 시스템은 버스상의 이용 가능한 케이블 플러그들을 외부로 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부로 전해진 케이블 플러그는 프록시 FCM들과 유사한 방식으로 상대 게이트웨이의 프록시 케이블 플러그에 의해 나타내진다. 원격 버스상의 디바이스가 원격 버스상의 디바이스와 접속을 성립하기 위해 통신할 때, 1883 접속이 최초로 시도된다. 이것이 실패하는 경우에, 케이블 접속이 시도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상의 케이블 플러그와 목표 디바이스상의 케이블 플러그의 호환성 조합이 발견되는 경우에,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버스상에서 접속은 소스 및 싱크 케이블 플러그들 사이의 케이블식 접속에 의해 나타내지며, 그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프록시일 수 있다. 로컬 버스상에서, 개시 디바이스가 접속을 요청하고, 자동적으로 로컬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상대 게이트웨이가 상대 버스상에 접속을 형성할 것을 요청받는다. 각 버스들상의 통신들은 그들이 로컬 게이트웨이에 있는 프록시로부터 발령된 것으로 보여지도록 재날인된다.
상술한 브리징 시스템은 다른 디바이스들에 대해 투과적이도록 구현된다. 게이트웨이에 의해 호스팅된 소정의 프록시 소자는 버스상의 디바이스들로부터 게이트로 볼 때, 로컬 버스상에 존재하는 경우의 실제 소자와 동일한 방식으로 기능한다. 각 경우에, 프록시 소자는 로컬 버스로부터의 통신들이 어드레스되는 치환 식별자를 소유한다. 프록시 소자에 어드레스된 게이트에서 수신된 통신은 상대 게이트웨이로 전송되고, 실제 소자들 식별자로 재날인되고, 소자에 의한 수취를 위해 버스상에서 전송된다.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웨이가 각 버스에 의해 호스팅될 수 있으며, 소자는 적어도 하나의 버스만큼 이격되어 있는 디바이스들에 의해 보여질 수 있다.
상술한 설명이 등시성 스트림 전송들과 DCM 인터페이스들의 외부로의 전달을 지원하기 위한 적절한 소자들과, FCM들 및 케이블 플러그들을 위한 프록시 소자들에 관한 것이지만, 본 발명의 원리들을 다른 소자들에 적용될 수 있다. 예로서, 소프트웨어 알고리즘들 또는 유사한 것들을 구현하는 어플리케이션 모듈들(AM들)이 프록시될 수 있다. 다른 버스상에 프록시 및 등록된 소자들은 그 버스상의 디바이스들에 의해 보여질 수 있고, 메시지들을 송신할 수 있다. 프록시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메시지는 실제 디바이스로 포워딩된다. 반대 방향의 통신들은 실제 디바이스로부터, 이를 통신 디바이스에 포워딩하는 실제 디바이스의 로컬 버스상의 통신 디바이스의 프록시에 안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HAVi 같은 통신 시스템들에서, 통신들은 모든 이용 가능한 디바이스들 및 그들이 어드레스되거나 통신들이 그들을 판독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들에게 방송된다. 명백하게, 버스들 사이의 다수의 브리지들이 구현되고나면, 이 트래픽은 모든 링크된 버스들에 걸쳐 확산된다. 스트림들의 선택적 라우팅 및 FCM들 같은 소자들의 선택적 브리징의 개념이 상술되었다. 이는 원격 버스상의 디바이스들 사이의 접속이 게이트웨이 그 자체내의 두 FCM들 사이의 접속으로서 게이트웨이내에서 나타내지도록 확장될 수 있다. 이는 로컬버스상에 나타나는 트래픽을 방지한다.

Claims (18)

  1. 서로 통신하도록 배열된 제 1 게이트웨이와 제 2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위한 브리징 시스템에 있어서,
    각 게이트웨이는 상기 통신 시스템의 서로 다른 버스에 접속될 수 있고,
    상기 제 1 게이트웨이는 그것의 각 버스상의 이용 가능한 디바이스들의 세부사항들을 제 2 게이트웨이에 통신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제 2 게이트웨이는 상기 이용 가능한 디바이스들의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록시 소자를 생성하도록 동작하며,
    각 프록시 소자는 상기 제 2 게이트웨이의 버스상의 디바이스들과 상기 프록시 소자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게이트웨이상의 디바이스 사이에서 데이터 및 메시지들을 통신하도록 동작하는, 브리징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게이트웨이는 그것의 각 버스상의 이용 가능한 디바이스들의 세부사항들을 상기 제 1 게이트웨이에 통신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제 1 게이트웨이는 상기 이용 가능한 디바이스들의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록시 소자를 생성하도록 동작하며,
    각 프록시 소자는 상기 제 1 게이트웨이의 버스상의 디바이스들과 상기 프록시 소자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게이트웨이상의 디바이스 사이에서 데이터 및 메시지들을 통신하도록 동작하는, 브리징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 게이트웨이는 이용 가능한 디바이스들의 선택된 세부사항들만이 다른 게이트웨이에 통신되도록 제어될 수 있는, 브리징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각 게이트웨이는 선택된 이용 가능한 디바이스들의 세부사항들만이 상기 다른 게이트웨이에 통신되도록 제어될 수 있는, 브리징 시스템.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버스는 그 버스상에서 이용 가능한 디바이스들의 세부사항들이 등록되어 있는 레지스트리를 유지하고,
    각 게이트웨이는 상기 버스상에서 이용 가능하게 된 디바이스들의 새로운 세부사항들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레지스트리록 등록하도록 동작하는, 브리징 시스템.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용 가능한 디바이스의 세부사항들은 기능 콤포넌트 모듈들을 포함하고,
    상기 생성된 프록시 소자는 프록시 기능 콤포넌트 모듈을 포함하는, 브리징 시스템.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용 가능한 디바이스의 세부사항들은 케이블 플러그들을 포함하고,
    상기 생성된 프록시 소자는 프록시 케이블 플러그를 포함하는, 브리징 시스템.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용 가능한 디바이스의 세부사항들은 디바이스 제어 모듈들을 포함하고,
    상기 프록시 소자는 상기 디바이스 제어 모듈의 이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브리징 시스템.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용 가능한 디바이스의 세부사항들은 등시성 데이터 전송들을 포함하고,
    상기 프록시 소자는 프록시 등시성 접속을 포함하는, 브리징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록시 등시성 접속은 수신된 등시성 데이터 전송들을 디코딩하고, 원격 버스상의 전송을 위해 상기 등시성 데이터를 다시 인코딩하도록 동작하는, 브리징 시스템.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등시성 데이터 접속은, 수반된 게이트웨이 접속들과 모든 버스들상에서 충분한 자원들이 이용 가능한 경우에 단지 셋업되는, 브리징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등시성 데이터 접속은, 그것의 버스들의 각 스트림 관리자에게 접속 요청을 발령하는 프록시된 소자 또는 각 프록시 소자에 의해 셋업되는, 브리징 시스템.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록시 소자는 게이트웨이에 의해 유지되는 데이터 테이블의 적어도 일부 및 코드를 포함하는, 브리징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각 버스상의 각 프록시 소자에는 새로운 id가 할당되는, 브리징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테이블은 상기 프록시 소자의 id를 다른 버스상의 상기 프록시된 소자의 id에 맵핑하는 라우팅 테이블인, 브리징 시스템.
  16.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게이트웨이들은 단일 디바이스내에서 실행되는, 브리징 시스템.
  17. 제 1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격 버스상의 디바이스들 사이의 접속은 게이트웨이에 의한 내부적 접속으로서 표현되는, 브리징 시스템.
  18. 제 1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시스템은 HAVi 순응적인, 브리징 시스템.
KR1020027008662A 2000-11-04 2001-10-23 디바이스들의 원격 그룹들의 상호동작을 위한 브리징 시스템 KR200200773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026981.1 2000-11-04
GBGB0026981.1A GB0026981D0 (en) 2000-11-04 2000-11-04 Bridging system for interoperation of remote groups of devices
PCT/EP2001/012398 WO2002037750A2 (en) 2000-11-04 2001-10-23 Bridging system for interoperation of remote groups of devi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7377A true KR20020077377A (ko) 2002-10-11

Family

ID=9902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8662A KR20020077377A (ko) 2000-11-04 2001-10-23 디바이스들의 원격 그룹들의 상호동작을 위한 브리징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925518B2 (ko)
EP (1) EP1330895B1 (ko)
JP (1) JP2004513562A (ko)
KR (1) KR20020077377A (ko)
CN (1) CN1416628A (ko)
AT (1) ATE326099T1 (ko)
DE (1) DE60119559T2 (ko)
GB (1) GB0026981D0 (ko)
WO (1) WO2002037750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797B1 (ko) * 2007-07-20 2010-11-23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원격 장치에 의해 네트워크상에서 프록시 장치를 제어하기위한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91224B2 (en) * 2002-02-13 2007-03-13 Sas Institute Inc. Computer-implemented data messaging ring
EP1396962A1 (en) * 2002-08-05 2004-03-10 Sony International (Europe) GmbH Bus service interface
JP3655604B2 (ja) * 2002-08-09 2005-06-02 株式会社東芝 ネットワーク中継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中継方法
US8356067B2 (en) * 2002-10-24 2013-01-15 Intel Corporation Servicing device aggregates
US7428222B1 (en) * 2003-02-28 2008-09-23 Entropic Communications Inc. Method of bus configuration to enable device bridging over dissimilar buses
FR2856874B1 (fr) * 2003-06-24 2005-09-23 Canon Europa Nv Procede et systeme de reservation d'au moins une ressource d'un appel controlable par un controleur au sein d'un reseau, programme d'ordinateur correspondant
US7251703B1 (en) * 2004-02-27 2007-07-31 Entropic Communications, Inc. Method of time stamping to enable device bridging over dissimilar buses
GB2418268A (en) * 2004-09-15 2006-03-22 Ibm Method for monitoring software components using native device instructions
CN100579022C (zh) * 2005-08-05 2010-01-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桥接设备的管理方法
US8966545B2 (en) * 2006-09-07 2015-02-24 Porto Vinci Ltd. Limited Liability Company Connecting a legacy device into a home entertainment system using a wireless home entertainment hub
US9233301B2 (en) * 2006-09-07 2016-01-12 Rateze Remote Mgmt Llc Control of data presentation from multiple sources using a wireless home entertainment hub
US9386269B2 (en) 2006-09-07 2016-07-05 Rateze Remote Mgmt Llc Presentation of data on multiple display devices using a wireless hub
US9319741B2 (en) * 2006-09-07 2016-04-19 Rateze Remote Mgmt Llc Finding devices in an entertainment system
US8607281B2 (en) 2006-09-07 2013-12-10 Porto Vinci Ltd. Limited Liability Company Control of data presentation in multiple zones using a wireless home entertainment hub
US8935733B2 (en) * 2006-09-07 2015-01-13 Porto Vinci Ltd. Limited Liability Company Data presentation using a wireless home entertainment hub
US8005236B2 (en) 2006-09-07 2011-08-23 Porto Vinci Ltd. Limited Liability Company Control of data presentation using a wireless home entertainment hub
US8977710B2 (en) * 2008-06-18 2015-03-10 Qualcomm, Incorporated Remote selection and authorization of collected media transmission
US9100297B2 (en) * 2008-08-20 2015-08-04 Red Hat, Inc. Registering new machines in a software provisioning environment
US8412789B2 (en) * 2008-08-28 2013-04-02 Robert Bosch Gmbh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a security system using a network
US9558195B2 (en) * 2009-02-27 2017-01-31 Red Hat, Inc. Depopulation of user data from network
US20100322236A1 (en) * 2009-06-18 2010-12-2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essage routing between clusters using proxy channels
US8626344B2 (en) * 2009-08-21 2014-01-07 Allure Energy, Inc.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9003466B2 (en) 2010-04-22 2015-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isochronous data stream management in high speed audio/video networks
US8973074B2 (en) * 2010-04-22 2015-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isochronous communication in audio/video networks
US10754813B1 (en) 2011-06-30 2020-08-25 Amazon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block storage I/O operations in a storage gateway
US8806588B2 (en) 2011-06-30 2014-08-12 Amazon Technologies, Inc. Storage gateway activation process
US8601134B1 (en) * 2011-06-30 2013-12-03 Amazon Technologies, Inc. Remote storage gateway management using gateway-initiated connections
US9294564B2 (en) 2011-06-30 2016-03-22 Amazon Technologies, Inc. Shadowing storage gateway
US8706834B2 (en) 2011-06-30 2014-04-22 Amazon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remotely updating executing processes
US8832039B1 (en) 2011-06-30 2014-09-09 Amazon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data restore and recovery from a remote data store
US8639989B1 (en) 2011-06-30 2014-01-28 Amazon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remote gateway monitoring and diagnostics
US8639921B1 (en) 2011-06-30 2014-01-28 Amazon Technologies, Inc. Storage gateway security model
US8793343B1 (en) 2011-08-18 2014-07-29 Amazon Technologies, Inc. Redundant storage gateways
US8789208B1 (en) 2011-10-04 2014-07-22 Amazon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napshot exports
US9635132B1 (en) 2011-12-15 2017-04-25 Amazon Technologies, Inc. Service and APIs for remote volume-based block storage
GB2499281B (en) 2012-09-28 2014-06-25 Imagination Tech Ltd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selecting a device to satisfy a user request
US10880272B2 (en) * 2017-04-20 2020-12-29 Wyse Technology L.L.C. Secure software client
US11196837B2 (en) 2019-03-29 2021-12-07 Intel Corporation Technologies for multi-tier prefetching in a context-aware edge gateway
US11388054B2 (en) 2019-04-30 2022-07-12 Intel Corporation Modular I/O configurations for edge computing using disaggregated chiplets
US11750418B2 (en) * 2020-09-07 2023-09-05 Mellanox Technologies, Ltd. Cross network bridging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406477D0 (en) * 1994-03-31 1994-05-25 D2B Systems Co Ltd Interconnection of local communication bus systems
JP3660443B2 (ja) * 1996-10-15 2005-06-15 株式会社東芝 データ転送制御システム及び中継装置
US6445691B2 (en) 1998-06-08 2002-09-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 V. Wireless coupling of standardized networks and non-standardized nodes
FR2786355B1 (fr) * 1998-11-25 2001-01-12 Thomson Multimedia Sa Procede de gestion de bande passante dans un reseau de communication comportant une liaison sans fil
US6363434B1 (en) * 1999-03-30 2002-03-26 Sony Corporation Of Japan Method of managing resources within a network of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P1058422A1 (en) 1999-06-02 2000-12-06 THOMSON multimedia Methods for bridging a HAVi sub-network and a UPnP sub-network and device for implementing said methods
US6618764B1 (en) 1999-06-25 2003-09-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for enabling interaction between two home networks of different software architectures
GB9921049D0 (en) 1999-09-07 1999-11-10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Clustered networked devices
US20010047431A1 (en) * 2000-02-09 2001-11-29 Eytchison Edward B. HAVi-VHN bridge solution
US20020087964A1 (en) * 2000-12-28 2002-07-04 Gateway, Inc.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HAVi based device implement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797B1 (ko) * 2007-07-20 2010-11-23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원격 장치에 의해 네트워크상에서 프록시 장치를 제어하기위한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30895B1 (en) 2006-05-10
JP2004513562A (ja) 2004-04-30
US6925518B2 (en) 2005-08-02
US20020062417A1 (en) 2002-05-23
DE60119559T2 (de) 2007-02-22
WO2002037750A2 (en) 2002-05-10
DE60119559D1 (de) 2006-06-14
CN1416628A (zh) 2003-05-07
GB0026981D0 (en) 2000-12-20
WO2002037750A3 (en) 2002-11-07
ATE326099T1 (de) 2006-06-15
EP1330895A2 (en) 2003-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30895B1 (en) Bridging system for interoperation of remote groups of devices
CN101094243B (zh) 基于UPnP的不同类型设备间的多媒体适配系统及多媒体内容适配方法
CN102577247B (zh) 使用连接外网的ue从第一本地网ue向第二本地网ue传送媒体会话
EP1286501A1 (en) Method for bridging a UPNP network and a HAVI network
KR20020063799A (ko) 통신 시스템, 제어 장치 및 피제어 장치
JP2001517036A (ja) ディジタルバスを介して周辺電子装置を制御するディジタルテレビジョン装置
US7343427B2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the integration of IP devices into a HAVi network
US7336624B2 (en) Broadcast discovery in a network having one or more 1394 buses
WO2000079729A2 (en) Gathering of device discovery information
EP1315353A1 (en) Methods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a first and a second device over a bridge connecting a HAVi-subnetwork to another sub-network
US20050018696A1 (en) Method for connecting a havi cluster and an ip cluster using a bridge device, and associated bridge device
US7823178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network station in a network of a first type from a network station in a network of a second type, and connection unit for the connection of the networks of the first and second types
EP1419619B1 (en) Method for managing network comprising a bridge between havi clusters
US6959186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EP1427142A1 (en) Home network gateway device
JP4729486B2 (ja) 第1のタイプのネットワーク内のネットワーク局を第2のタイプのネットワーク内のネットワーク局から制御する方法および第1のタイプのネットワークと第2のタイプのネットワークとのコネクション用のコネクションユニット
JP2004505504A (ja) サブネット間ルータを用いたデータ・ネットワーキング・システム
Siebörger Multiprotocol Control of Networked Home Entertainment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