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6998A - 인트라넷 관리를 위한 구성관리 컴포넌트 설계 및구현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트라넷 관리를 위한 구성관리 컴포넌트 설계 및구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6998A
KR20020076998A KR1020010041116A KR20010041116A KR20020076998A KR 20020076998 A KR20020076998 A KR 20020076998A KR 1020010041116 A KR1020010041116 A KR 1020010041116A KR 20010041116 A KR20010041116 A KR 20010041116A KR 20020076998 A KR20020076998 A KR 20020076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network
layer
function
intra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1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8917B1 (ko
Inventor
라연경
서승호
Original Assignee
라연경
서승호
김영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연경, 서승호, 김영탁 filed Critical 라연경
Priority to KR10-2001-0041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8917B1/ko
Publication of KR20020076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6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8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89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4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Landscapes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질적인 통신망의 효율적으로 관리를 위해 ITU와 코바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전송기술과 장비로 구성된 인트라넷의 복잡성을 줄이고, 일관된 망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단으로는, 인트라넷 망 관리를 위한 구성관리 컴포넌트 설계 및 구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망 자원의 상태를 감시하고 네트워크의 최상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타 관리 기능과 연계하여 상태를 변경하는 제 1기능과, 오브젝트의 상태를 세팅하여 객체의 동작을 준비하는 제 2기능 및 망 자원이 새롭게 추가되었을 때 관리 객체를 생성하는 제 3기능을 갖도록 GUI로부터 출력되는 관리객체로 망 자원인 관리객체의 생성 및 삭제 기능을 수행하고, MIT의 구조로 분산하기 위해 관리객체의 상태변경기능을 제공하는 동시에 생성된 관리객체를 SNMP를 통해 망 자원의 속성 값을 읽어 올 수 있도록 SNMP어텁터와 연동되도록 매니저 오브젝트를 관리하는 TC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트라넷 관리를 위한 구성관리 컴포넌트 설계 및 구현시스템{Design and implementation system of configuration management component for intranet management}
본 발명은 인트라넷 관리를 위한 구성관리 컴포넌트 설계 및 구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망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ITU(Interne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와 코바(common object request broker architecture)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전송기술과 장비로 구성된 인트라넷의 복잡성을 줄이고, 일관된 망 관리를 가능하도록 한 인트라넷 관리를 위한 구성관리 컴포넌트 설계 및 구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구성관리의 기능을 토대로 망의 초기 설치방안과 각 계층별 관리객체를 정의하여 계층 망별 MIT(management interface tree)구조를 제시함으로써, 설계된 구성관리 기능을 기반으로 타 관리기능과의 연동 시나리오를 설계하였다.
일반적으로, 인트라넷(intranet)은 웹기반의 사내 네트워크로, 웹 기술을 사용해 어떤 한 조직의 정보를 공유에 이용하는 네트워크를 말하는 것이며, 기업활동에 관한 업무 정보나 기술 정보, 고객 정보 등을 부문간에 공유하는데 주로 사용되고 기업 정보 시스템의 중요한 기반이 되고 있다.
상기 인트라넷은 라우터, 스위치를 백본(backbone) 장비로 허브, 브리지, 서버, PC 등의 다양한 장비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내외 인트라넷 망들은 망의 확장과 기능 개선을 위해 지속적으로 새로운 망 구성 장치를 추가하거나 교체하게 되므로, 그 결과 인트라넷 망들은 다양한 업체들의 이질적인 망 구성 장치로 구성하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인트라넷을 구성하는 망 구성 장치들은 서로 다른 업체에서 제조되어 ITU-TDML TMN(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 IETE의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혹은 업체 고유의 관리 체계 등 서로 상이한 관리 표준을 따르고 있다. 게다가 현재의 인트라넷들은 초고속화로 진행되고 있다. 상기 초고속화를 하기 위한 전송 기술로 IP-over-ATM/SONET, MPOA(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등 차세대 초고속 전송 기술이 채택되어 사용되거나 고려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장비와 전송 기술로 표준화되고 있지만, 그에 비해 망의 구성과 유지, 관리를 지원해 주는 기술은 미흡한 상태에 있다.
이러한, 망의 통합된 관리 솔루션의 요구에 따라 본 발명은 코바(CORBA)를 이용하여 망 구성 장치들을 통합 관리할 수 있으며, 초고속 전송 기술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동시에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가 대다수인 인트라넷에서 프로토콜 계층을 형성하여 확정성을 항상 시키도록 한 망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질적인 통신망의 효율적으로 관리를 위해 ITU와 코바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전송기술과 장비로 구성된 인트라넷의 복잡성을 줄이고, 일관된 망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발명에 따른 인트라넷 관리를 위한 구성관리 컴포넌트 설계 및 구현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2는 발명에 따른 인트라넷 관리를 위한 구성관리 컴포넌트 설계 및 구현시스템을 CORBA 기반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 관리 기능과의 성능관리 컴포넌트를 위한 연결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리계층의 관리객체의 생성과정을 보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링크 계층과 IP계층 관리객체 생성과정을 보인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GUI200 : TC
300 : SNMP어뎁터400 : MIT
본 발명을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는, 인트라넷 망 관리를 위한 구성관리 컴포넌트 설계 및 구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망 자원의 상태를 감시하고 네트워크의최상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타 관리 기능과 연계하여 상태를 변경하는 제 1기능과, 오브젝트의 상태를 세팅하여 객체의 동작을 준비하는 제 2기능 및 망 자원이 새롭게 추가되었을 때 관리 객체를 생성하는 제 3기능을 갖도록 GUI로부터 출력되는 관리객체로 망 자원인 관리객체의 생성 및 삭제 기능을 수행하고, MIT의 구조로 분산하기 위해 관리객체의 상태변경기능을 제공하는 동시에 생성된 관리객체를 SNMP를 통해 망 자원의 속성 값을 읽어 올 수 있도록 SNMP어텁터와 연동되도록 매니저 오브젝트를 관리하는 TC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구성관리 기능의 컴포넌트를 레이어 네트워크(later network) 별로 PTC(physical layer topological configurator), DLTC(datalink layer topological configurator) 및 IPTC(IP topological configurator)로 나누어 관리하는 구조이며, 계층 망은 OSI 환경에서 자원의 모니터링(monitoring)과 컨트롤(control), 상호작용을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하기 위해 각 레이어별 관리객체를 설계하고 해당 계층 망의 전송기술에 맞는 관리 기능을 제공하므로 일괄성 있는 관리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구성관리에 있어서, 해당 망의 구성정보를 관리자나 타 관리기능(성능, 장애, 연결)과 연계하여 구성정보를 신속하게 전달하는 기능을 위하여 상기 해당 계층망 별 관리객체를 구성하고, 상기 관리 객체들의 MIB(management information base)/MIT(management interface tree)로 구성되어 관리기능을 수행하는 컨피그레이터(configurator)를 통한 관리 객체의 생성과 삭제, 망의 초기 구성 방안, 타 관리 기능과의 연동하도록 한다.
도 1은 발명에 따른 인트라넷 관리를 위한 구성관리 컴포넌트 설계 및 구현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구성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트라넷 관리를 위한 구성관리 컴포넌트 설계 및 구현시스템의 TC(Topology Configurator:200)는 각 요소의 컨피그레이블(configurable)을 통해서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형성하기 위해 같은 컴퓨터에 있거나 또는 네트웍 상의 다른 컴퓨터에 있는 컴포넌트들과 조합될 수 있도록 관리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관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GUI(Graphical user interface:100)로부터 출력되는 관리객체로 망자원인 관리객체의 생성과 삭제 기능을 수행하고, MIT(management interface tree:400)의 구조로 분산하기 위해 관리객체의 상태변경기능을 제공하는 동시에 생성된 관리 객체는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를 통해 망 자원의 속성 값을 읽어 올 수 있도록 SNMP어텁터(300)와 연동하게 구성된다.
상기 TC(200)에는 물리계층(210)과 데이터링크계층(220) 및 IP계층(230)으로 각각 컨피그레이블들을 관리한다.
구성관리 기능별 관련 모델은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3가지 기능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상기 제 1기능(status and control)은 망 자원의 상태를 감시하고 네트워크의 최상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타 관리 기능과 연계하여 상태를 변경하고, 제 2기능(provisioning)은 오브젝트(object)의 상태를 세팅하여 객체의동작을 준비하며, 제 3기능(installation support)은 망 자원이 새롭게 추가되었을 때 관리 객체를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 3기능의 초기에는 인트라넷을 구성하는 망 자원에 대하여 관리객체를 생성하고 타 관리객체 기능을 초기화로 수행한다. 상기 제 3기능에 의해 생성된 망 자원에 대해 생성된 객체는 코바(CORBA)의 네임서비스(naming service)를 사용하여 객체를 네임 트리(naming tree)에 등록된다. 이렇게 생성된 객체는 관리정보를 가지지 않은 상태에서 관리기능 수행 요청이 들어오면 중복수행을 막기 위해 관리 객체의 상태를 변경시켜준다. 또한, 제 1기능은 관리객체의 정보 변경을 감시하고 있으며, 네트웍 상의 다른 컴퓨터에 있는 컴포넌트들과 조합될 수 있도록 관리 기능에서의 컴포넌트를 수행하도록 요구하는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계층별 관리 매니저 오브젝트는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객체의 계층망 특징은 물리계층과 데이터링크 계층 및 IP계층으로 구분되며, 상기 물리계층은 링크와 노드로 구성된 하부 망의 특징을 반영할 수 있도록 링크와 노드의 종류별로 관리객체를 포함하여 IP나 이더넷 주소를 가지지 않는 허브와 같은 장비에 대해서도 물리계층에서 관리객체를 생성해 줌으로 관리대상에 포함하며, 장비의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링크 계층을 포함하는 2계층으로 구성된다.
또한, IP계층은 물리적인 링크 정보를 가지지 않고 IP주소를 중심으로 하부망에 독립적인 특징을 가지며, IP계층 망에서 나타나는 관리객체는 서브 네트워크와 NWCTP(network connection termination point), NWTTP(network trail termination point)로 나타난다. 상기 IP계층의 SNW는 IP 도메인을 기준으로 구분되며, 해당 도메인 장비의 IP 주소별 종단점을 관리객체로 모델링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트라넷 관리를 위한 구성관리 컴포넌트 설계 및 구현시스템을 코바 기반의 상세 구성도 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바의 네임서비스(naming service)를 이용하여 물리계층 레이어 네트워크(PhysicalLNW)는 제 2호스트에서, 데이터링크 계층 레이어 네트워크(DatalinkLNW)와 IP레이어 네트워크(IPLNW)는 제 3호스트에서 각각 관리되고, Sub_MIT는 제 1호스트를 통하여 총괄 관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코바 네임서비스를 이용한 분산 MIT(management interface tree:400)는 서로 상이한 위치에 여러 MIB(management information base)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상기 MIB(management information base)는 전체 망관리 시스템의 관점에서 하나로 통합되어 관리되도록 하며, 분산되어진 컴포넌트의 연동을 위해서도 효율적인 MIB/MIT로 구성하고 운용되도록 한다.
또한, 코바의 네임서비스는 여러 네임트리(naming tree)의 페터레이션(Federation)을 지원하므로, 전체 MIT(400)는 보다 작은 네임트리들로 분할되어 구성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분산 MIT(400)는 관리 네트워크가 커지더라도 MIT(400) 확장을 쉽게 하고, MIT(400)운용 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 관리 기능과의 성능관리 컴포넌트를 위한 연결 구성도 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능관리 컴포넌트에서 물리계층은 실제 링크에 대한 성능관리를 시행하므로 CP(Connection perfermer:240)와의 연결성을 제외하고 연결하고, 상기 성능관리에서 요청하는 구성정보는 성능을 측정을 위한 해당 객체의 레퍼런스와 IP 주소, 성능파라미터(대역폭, QoS, etc)를 요청한다.
데이터링크 계층과 IP계층의 링크에 대한 연결성은 CP(240)를 통해 확인하고연결성이 있으면 요청한 파라미터의 값을 전달한다. 또한, 장애관리의 정보 요청시 같은 구조를 갖는다.
또한, [표 3]은 계층별 관리객체의 구현한 예로서, 분산객체 환경을 지원하기 위한 오퍼레이션(operation)을 포함한 오브젝트 타입으로 정의되며, 관리객체는 기능 수행을 하는 관리기능과 속성과, 상기 속성은 각 레이어 네트워크 특성을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리계층의 관리객체의 생성과정을 보인 구성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링크 계층과 IP계층 관리객체 생성과정을 보인 구성도 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리계층의 관리객체 생성 절차는 GUI(100) 사용자가 각 장비, 링크별 관리객체의 생성을 PTC(200)에 요청하게 되면 PTC(210)는 각 요소의 컨피그레이블(configurable)을 통해 관리객체(Router1 IOR)를 생성하고, 이를 MIT(400)의 내부 디렉토리에서 해당 관리객체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 MIT(400)에 관리객체가 생성되면 PTC(210)는 GUI(100)로 관리객체(Router1 IOR)의 등록정보를 처리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링크 계층 및 IP 계층은 물리계층에서 생성된 관리객체를 기반으로 맵을 생성하게 된다. 먼저, 물리계층의 서브 네트워크를 각 계층의 서브 네트워크 객체를 생성하여 MIT(400)의 해당 LND(layer network domain)아래 등록하고, 상기 서브 네트워크는 CP(240)에서 모델링 한 것으로 서브 네트워크 당 하나의 CP(240)가 구동하여 연결성을 체크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해당 서브 네트워크의 관리객체들을 데이터링크 계층 및 IP계층의 관리객체로 모델링하여 MIT(400)에 등록한다.
그리고, 생성된 관리객체는 해당 서브 네트워크에 등록한 다음 IP계층 망에도 생성된 관리객체를 해당 서브 네트워크에 등록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트라넷과 같은 다양한 장비로 구성된 망을 통합된 관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코바의 네임서비스 기능을 사용한 분산 MIB/MIT 구조를 도입하여 관리객체의 운용체계를 통합 관리할 수 있으며, 실제 망 장비를 초기화시키는 기능을 갖는 관리객체를 생성하여 생성된 관리객체를 TC와의 연동을 통해 다 관리기능에서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4)

  1. 인트라넷 망 관리를 위한 구성관리 컴포넌트 설계 및 구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망 자원의 상태를 감시하고 네트워크의 최상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타 관리 기능과 연계하여 상태를 변경하는 제 1기능과, 오브젝트의 상태를 세팅하여 객체의 동작을 준비하는 제 2기능 및 망 자원이 새롭게 추가되었을 때 관리 객체를 생성하는 제 3기능을 갖도록 GUI(100)로부터 출력되는 관리객체로 망 자원인 관리객체의 생성 및 삭제 기능을 수행하고, MIT(400)의 구조로 분산하기 위해 관리객체의 상태변경기능을 제공하는 동시에 생성된 관리객체를 SNMP를 통해 망 자원의 속성 값을 읽어 올 수 있도록 SNMP어텁터(300)와 연동되도록 매니저 오브젝트를 관리하는 TC(2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트라넷 관리를 위한 구성관리 컴포넌트 설계 및 구현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MIT(400)의 구조는 코바의 네임서비스를 이용하여 물리계층(210) 레이어네트워크(PhysicalLNW)는 제 2호스트에서 관리하며, 데이터링크(220)계층 레이어네트워크(DatalinkLNW)와 IP계층(230) 레이어네트워크(IPLNW)는 제 3호스트에서 각각 관리하되, 서브 MIT는 제 1호스트를 통하여 총괄 관리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트라넷 관리를 위한 구성관리 컴포넌트 설계 및 구현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물리계층(210) 관리객체 생성은 사용자가 각 장비, 링크별 관리객체의 생성을 PTC로 요청하게 되면 컨피그레이블(configurable)을 통해 관리객체를 생성하고, MIT(400)의 서브네트워크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트라넷 관리를 위한 구성관리 컴포넌트 설계 및 구현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데이터링크계층(220) 및 IP계층(230)은 물리계층(210)의 서브 네트워크를 각 계층의 서브 네트워크 객체를 생성하여 MIT(400)의 해당 레이어 네트워크 도메인 아래 등록한 후, 상기 서브 네트워크는 CP(240)에서 모델링한 후 서브 네트워크 당 하나의 CP(240)가 구동하여 연결성을 체크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해당 서브 네트워크의 관리객체들을 데이터링크계층 및 IP계층의 관리객체로 모델링하여 MIT(400)에 등록하여 해당 서브네트워크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트라넷 관리를 위한 구성관리 컴포넌트 설계 및 구현시스템.
KR10-2001-0041116A 2001-07-10 2001-07-10 인트라넷 관리를 위한 구성관리 컴포넌트 설계 및 구현 방법 KR100418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1116A KR100418917B1 (ko) 2001-07-10 2001-07-10 인트라넷 관리를 위한 구성관리 컴포넌트 설계 및 구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1116A KR100418917B1 (ko) 2001-07-10 2001-07-10 인트라넷 관리를 위한 구성관리 컴포넌트 설계 및 구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998A true KR20020076998A (ko) 2002-10-11
KR100418917B1 KR100418917B1 (ko) 2004-02-14

Family

ID=27714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1116A KR100418917B1 (ko) 2001-07-10 2001-07-10 인트라넷 관리를 위한 구성관리 컴포넌트 설계 및 구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89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634B1 (ko) * 2001-09-27 2004-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씨오알비에이-에스엔엠피 트랩 서버
KR100433789B1 (ko) * 2001-07-10 2004-06-04 김영탁 차세대 인트라넷을 위한 망 운용관리 시스템
KR100624477B1 (ko) * 2005-02-01 2006-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대표구현객체를 이용한 형상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789B1 (ko) * 2001-07-10 2004-06-04 김영탁 차세대 인트라넷을 위한 망 운용관리 시스템
KR100423634B1 (ko) * 2001-09-27 2004-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씨오알비에이-에스엔엠피 트랩 서버
KR100624477B1 (ko) * 2005-02-01 2006-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대표구현객체를 이용한 형상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8917B1 (ko) 2004-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7320A (en) Network managing method and system
US7293080B1 (en) Automatically discovering management information about services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6101538A (en) Generic managed object model for LAN domain
EP2294792B1 (en) Discovery and visualization of active directory domain controllers in topological network maps
US8977726B2 (en) Logical networks
US7272643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d provisioning virtual routers
US2003023342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torage network management
US20180322118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resource object
US6735626B1 (en) Network managing method and system
WO1998059462A1 (en) Architecture for network manager
Ceccarelli et al. Framework for abstraction and control of TE networks (ACTN)
KR100418917B1 (ko) 인트라넷 관리를 위한 구성관리 컴포넌트 설계 및 구현 방법
EP147919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nfiguration of a network
KR20010083904A (ko)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경로선택 관리
Cisco CiscoWorks Blue Maps and SNA View Features
CN100477599C (zh) 一种针对网络设备的网络管理方法
KR100433789B1 (ko) 차세대 인트라넷을 위한 망 운용관리 시스템
KR100613963B1 (ko) 비동기식 전송 모드 초고속 정보 통신망 구성 장치 및 그구성관리 방법
KR20010080170A (ko)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종단 관리
Zhou et al. A Programmable 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 for Address Driven Network
US7185097B1 (en) Encoding addresses in a communication system
Pavlou et al. Issues in Realising the TINA Network Resource Architecture
Leijon et al. Intent-Based Service Automation for 5G Core Network Function Slicing
Gruschke et al. Managing Groups in Dynamic Networks
CN110166538A (zh) 一种分布式资源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