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6579A - Filter for washing machine - Google Patents

Filter for wash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6579A
KR20020076579A KR1020010016551A KR20010016551A KR20020076579A KR 20020076579 A KR20020076579 A KR 20020076579A KR 1020010016551 A KR1020010016551 A KR 1020010016551A KR 20010016551 A KR20010016551 A KR 20010016551A KR 20020076579 A KR20020076579 A KR 20020076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washing
inlet
water
water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65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74511B1 (en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6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4511B1/en
Publication of KR20020076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65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4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4511B1/en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6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estroying sc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PURPOSE: A nap collecting device for a washing machine is provided to collect the impurities contained in the washing water effectively by introducing the water stream into the filtering part via introduction holes of a cover and water stream guides. CONSTITUTION: A nap collecting device for a washing machine includes a cover(50) having a plurality of introduction holes(52) opened upwardly for the introduction of washing water, a plurality of water stream guides(55) protruded on the top surface of the cover and having a plurality of introduction holes(56) opened i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over for introducing the water, and a fixing case mounted with the cover and having a filtering part inside for filtering impurities contained in the water which passed the introduction holes of the cover and the water stream guides to discharge the impurities to a washing tub.

Description

세탁기의 보푸라기 채집장치{Filter for washing machine}Lint collecting device for washing machine {Filter for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물을 세탁할 때 발생되는 실밥이나 보푸라기 등과 같은 찌꺼기를 채집하여 세탁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세탁기의 보푸라기 채집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nt collecting device of the washing machine to maximize the washing efficiency by collecting the residues such as seams or lint generated when washing the laundry.

도 1에는 일반적인 전자동 세탁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절단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아웃케이스(1)가 세탁기의 외관을 구성하고, 상기 아웃케이스(1)의 내부에는 저수조(3)가 설치된다. 상기 저수조(3)에는 세탁을 위한 세탁수가 채워진다.1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general automatic washing machine. As shown, the outer case 1 constitutes the exterior of the washing machine, and the reservoir 3 is provided inside the outer case 1. The reservoir 3 is filled with washing water for washing.

상기 저수조(3)의 내부에는 세탁조(5)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세탁조(5)에는 다수개의 통공(5h)이 형성되어 상기 저수조(3)에 채워진 세탁수가 세탁조(5)의 내부로 자유롭게 유동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세탁조(5)의 내벽에는 또한 엠보싱(5e)이 형성되어 비벼빠진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다.The washing tank 5 is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water tank 3.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5h are formed in the washing tank 5 to allow the washing water filled in the water storage tank 3 to flow freely into the washing tank 5. Embossing 5e is also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washing tub 5 to obtain a lightening effect.

상기 세탁조(5)의 바닥면에는 세탁날개(6)가 설치되어 있어, 세탁포와 세탁수를 함께 휘저어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세탁날개(6)의 중앙에는 상기 세탁조(5) 내에서 세탁수에 섞이게 되는 실밥이나 보푸라기를 채집하기 위한 채집장치(7)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채집장치(7)는 상기 세탁조(5)와 회전되거나 상기 세탁날개(6)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The washing wing 6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shing tub 5, and serves to stir the washing cloth and the washing water together. In the center of the washing blade (6) is provided with a collecting device (7) for collecting seams or lint to be mixed in the wash water in the washing tank (5). Such a collecting device 7 may be rotated with the washing tank 5 or with the washing blade 6.

한편, 상기 외부케이스(1)의 상단에는 상기 세탁조(5)의 내부를 외부와 선택적으로 연통되게 하는 커버(9)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케이스(1)의 상단 후단에는 세탁기의 조작을 위한 각종 버튼 등이 구비되는 조작패널(11)이 설치된다. 도면 부호 13은 세탁을 마친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이다.On the other hand, a cover 9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outer case 1 to selectively communicate the inside of the washing tank 5 with the outside. And the upper end of the outer case (1)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panel 11 is provided with various buttons for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Reference numeral 13 is a drain pipe for discharging the wash water after washing to the outside.

다음으로 도 2를 참고하여 보푸라기 채집장치(7)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채집장치(7)는 상기 세탁조(5)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크게 고정케이스(20), 채집구(30) 및 덮게(40)로 구성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lint collecting device 7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The collecting device 7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shing tub 5 and is composed of a fixed case 20, a collecting port 30, and a cover 40.

상기 고정케이스(20)는 상기 세탁조(5)나 세탁날개(6)에 고정되는 부분으로 그 내부에 필터링쳄버(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필터링쳄버(22)의 내부에는 상기 채집구(30)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케이스(20)의 바닥면에는 상기 필터링쳄버(22)를 통과한 세탁수가 채집장치(7)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배출공(24)이 다수개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케이스(20)의 외주면을 따라서는 다수개의 걸림공(26)이 형성된다.The fixing case 20 is a portion fixed to the washing tank 5 or the washing blade 6, the filtering chamber 22 is formed therein. The collection port 30 is installed inside the filtering chamber 22.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24 through which the wash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ing chamber 22 exits to the outside of the collecting device 7 are dri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ed case 20. A plurality of locking holes 26 ar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case 20.

상기 필터링쳄버(22)에 설치되는 채집구(30)는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32)에 채집망(34)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채집망(34)은 일종의 그물망으로서 상기 프레임(32)에 의해 상기 필터링쳄버(22)의 내부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게 된다.The collecting port 30 provided in the filtering chamber 22 is provided with a collecting network 34 in a frame 32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The collecting network 34 is a kind of mesh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shape of the filtering chamber 22 by the frame 32.

상기 고정케이스(20)의 상단에는 덮게(40)가 설치된다. 상기 덮게(40)는 그 저면에 상기 채집구(30)의 프레임(32)의 상단 내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삽입리브(42)를 구비한다. 상기 삽입리브(42)는 상기 프레임(32)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덮게(40)를 통과한 세탁수와 보푸라기가 상기 채집망(34)의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A cover 40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fixing case 20. The cover 40 has an insertion rib 42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frame 32 of the collecting port 30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The insertion rib 42 is inserted into the frame 32 to prevent the wash water and lint from passing through the cover 40 from leaking to the outside of the collecting net 34.

상기 덮게(40)에는 그 상하로 관통되게 다수개의 유입공(43)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유입공(43)은 상기 삽입리브(42)가 형성되어 있는 내측에 대응되는 위치에만 형성되어 유입공(43)을 통해 상기 필터일쳄버(22)로 세탁수와 보푸라기가 안내되도록 한다. 상기 덮게(40)의 양단에는 상기 걸림공(26)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걸림돌기(45)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45)는 그 형상과 재질의 특성에 따라 탄성을 가지게 되고, 상기 탄성을 이용하여 걸림돌기(45)가 상기 걸림공(26)에 체결된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45)의 탄성을 이용하기 위해 상기 걸림돌기(45)와 연결되도록 누름편(47)이 형성된다.The cover 40 has a plurality of inlet holes 43 to be penetrated up and down. The inlet hole 43 is formed onl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ner side in which the insertion rib 42 is formed to guide the wash water and lint to the filter chamber 22 through the inlet hole 43. Both ends of the cover 40 are formed with a locking projection 45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 26 and fastened. The locking protrusion 45 has elasticity according to its shape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the locking protrusion 45 is fastened to the locking hole 26 by using the elasticity. At this time, the pressing piece 47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locking projection 45 in order to use the elasticity of the locking projection 45.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서 보푸라기가 채집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It will be described that the lint is collected in the prior ar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상기 세탁조(5)와 상기 세탁날개(6)가 회전되면서 세탁이 진행되면 상기 세탁조(5)의 내부에서는 세탁수가 회전하면서 수류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수류중 상기 세탁날개(6)의 회전에 의해 도 1에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수류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세탁조(5)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도 1에 화살표 B방향으로 형성되는 승강수류가 형성된다. 상기 승강수류는 상기 세탁조(5)의 벽면을 타고 세탁수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였다가 세탁조(5)의 중앙으로 낙하되는 것이다. 그리고 전체적으로는 상기 회전수류와 승강수류가 복합되면서 복합수류가 형성되어 세탁이 진행된다.When washing proceeds while the washing tank 5 and the washing blade 6 rotate, the washing water rotates inside the washing tank 5 to form a stream of water. Rotational water flow is formed in the direction of arrow A in FIG. 1 by the rotation of the washing blade 6 during the water flow. And the lifting and lowering flow which is formed in the arrow B direction in FIG. 1 by the centrifugal force by the rotation of the said washing tank 5 is formed. The lifting and lowering flow of the washing water flows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of the washing tank 5 and then falls to the center of the washing tank 5. And as a whole, the complex water flow is formed while the rotational water flow and the lifting water flow are combined, and washing proceeds.

이와 같은 세탁이 진행되는 중에 상기 승강수류는 상기 채집장치를 통과하게 된다. 즉, 상기 세탁조(5)의 중앙으로 낙하되는 승강수류는 상기 채집장치(7)의 내부로 들어가서 상기 세탁조(5)의 바닥면 가장자리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While the washing is in progress, the lift flows through the collecting device. That is, the lifting and lowering flow falling to the center of the washing tub 5 enters the inside of the collecting device 7 and moves toward the bottom edge of the washing tub 5.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채집장치(7)의 덮게(40)에 형성되어 있는 유입공(43)을 통해 상기 필터링쳄버(22)로 세탁수가 유입된다. 상기 필터링쳄버(22)로 유입된 세탁수는 상기 채집망(34)을 통과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세탁수에 섞여 있는 보푸라기나 실밥 등은 채집망(34)에 채집된다. 그리고 상기 세탁수는 상기 배출공(24)을 통해 필터링쳄버(22)를 빠져나가서 세탁조(5)를 순환하게 된다.In detail, the washing water flows into the filtering chamber 22 through the inflow hole 43 formed in the cover 40 of the collecting device 7. The washing water introduced into the filtering chamber 22 passes through the collecting network 34, and in this process, lint and seams mixed in the washing water are collected in the collecting network 34. The washing water circulates through the washing tank 5 by passing through the filtering chamber 22 through the discharge hole 24.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즉, 종래 기술에 의한 채집장치(7)에서는 대체로 승강수류에 섞여 있는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은 채집될 수 있으나, 회전수류에 섞여 있는 보푸라기는 채집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상기 필터링쳄버(22)의 내부로 세탁수가 유입될 수 있는 경로는 상기 유입공(43)이다. 하지만 상기 유입공(43)은 상기 덮게(40)의 상면에 상부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있어 승강수류만이 상기 유입공(43)으로 유입될 수 있고 회전수류는 제대로 상기 유입공(43)의 내부로 유입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보푸라기의 채집능력이 떨어져 세탁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in the collecting device 7 according to the prior art, foreign matters such as lint and the like mixed in the lifting water flow can be collected, but the lint and the mixed water in the rotational water are not collected. In other words, the path through which the wash water flows into the filtering chamber 22 is the inflow hole 43. However, the inflow hole 43 is formed to be opened upwar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40 so that only the lifting flow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flow hole 43 and the rotational flow is properly inside the inflow hole 43. It cannot be flowed into. Therefore, the collection capacity of the lint is relatively poo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ashing efficiency is lowered.

그리고 상기 필터링쳄버(22)로 세탁수를 유입시키는 유입공(43)은 삽입리브(42)의 내측에 해당되는 부분에만 형성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유입되는 세탁수의 양이 적은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the inflow hole 43 into which the washing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filtering chamber 22 is formed only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insertion rib 42,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mount of the washing water is relatively small.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세탁조 내에 형성되는 다양한 수류에 섞여 있는 보푸라기가 채집될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t is to be able to collect lint mixed in various water flows formed in the washing tank.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채집장치의 내부로 세탁수를 유동시키는 유입면적을 최대로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ximize the inflow area for flowing the wash water into the collection apparatus.

도 1은 일반적인 전자동 세탁기를 부분 절단한 상태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general automatic washing machine cut.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세탁기의 보푸라기 채집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int collecting device of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의 보푸라기 채집장치를 구성하는 덮게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ver constituting the lint collecting device of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저면 사시도.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도 5는 도 3의 덮게에 형성된 수류가이드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부분사시도.Figure 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water flow guide formed in the cover of Figure 3;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형성하는 덮게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ver form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5: 세탁조6: 세탁날개5: washing tank 6: washing wing

7: 채집장치50,150: 덮게7: collecting device 50,150: covering

52,152: 유입공55,155: 수류가이드52,152: Inlet hole 55,155: Water flow guide

55L,155L: 수류가이드 선단55T,155T: 수류가이드 후단55L, 155L: Water flow guide end 55T, 155T: Water flow guide end

56,156: 유입구60: 체결부56,156: inlet 60: fastening portion

62: 삽입가이드64: 삽입리브62: Insertion guide 64: Insertion rib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세탁조 내에서 수류를 형성하는 세탁수가 유입되도록 상부를 향해 개구되는 유입공을 구비하는 덮개와, 상기 덮개의 상면에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덮게의 회전방향으로 개구되어 세탁수를 덮게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구가 성형되어 있는 수류가이드와, 상기 덮게가 장착되고 상기 유입공과 유입구를 통과한 세탁수의 이물질이 걸러지는 필터링부를 내부에 구비하여 세탁수에 섞인 이물질을 걸러서 세탁조로 배출하는 고정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ver having an inlet opening that is opened toward the upper portion so that the washing water forming the water flow in the washing tank, and protrude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A water flow guide having an inlet formed therein and being open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cover to introduce the wash water into the cover, and a filtering part to which the cover is mounted and to filter foreign materials of the wash water passing through the inlet and the inle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xed case for filtering the foreign matter mixed in the wash water and discharged to the washing tank.

상기 수류가이드는 상기 덮게의 상면에 그 가장자리부가 내측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장자리부의 돌출 높이는 적어도 10mm이상 돌출된다.The water flow guid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so that the edge portion is more protruded relative to the inner portion,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edge portion is protruded at least 10mm.

상기 수류가이드는 상기 덮게의 회전방향 선단에서 후단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선단에 상기 덮게의 회전방향으로 개구되게 유입구가 형성된다.The water flow guide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cover to the rear end, the inlet is formed in the front end to open i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over.

상기 유입구는 다수개가 메쉬구조로 형성되고, 유입구의 입구에서 출구를 향해 점차로 유동단면적이 좁아지게 형성된다.The inlet is formed of a plurality of mesh structure,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is gradually narrowed toward the outlet from the inlet of the inlet.

상기 수류가이드는 상기 덮게의 회전방향 선단에서 후단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수류가이드의 후단에는 다시 하향으로 급경사지게 형성된다.The water flow guide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rear end at the front en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cover, and is formed to be steeply downward again at the rear end of the water flow guide.

상기 유입구는 상기 수류가이드의 선단에서 후단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에 다수개가 천공된다.The inlet is perforated a plurality of portions formed inclined upward toward the rear end from the front end of the water flow guide.

상기 수류가이드의 내면은 상기 필터링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inner surface of the water flow guide is inclined toward the filtering unit.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세탁조 내에 형성되는 회전수류와 승강수류에 섞인 이물질을 보다 효율적으로 채집할 수 있고, 채집장치의 내부로 세탁수가 보다 많이 전달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more efficiently collect the foreign matter mixed in the rotating water and the lifting water is formed in the washing tank, there is an advantage that more washing water can be delivered to the interior of the collecting devic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의 보푸라기 채집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lint collecting device of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에서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채집장치를 구성하는 덮게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고정케이스(20)와 채집구(30)는 종래 기술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3 to 5 show the cover constituting the collecting devic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ixing case 20 and the collecting port 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ior art drawings.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고정케이스(20)의 상단에 설치되는 덮게(5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유입공(52)이 덮게(50)의 상부를 향해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유입공(52)은 덮게(50)의 중앙에 집중적으로 형성되고, 일부가 덮게(50)의 가장자리부분까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유입공(52)은 그 입구가 출구에 비해 단면적이 넓게 형성된다. 이는 일단 유입공(52)으로 들어온 세탁수가 역류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유입공(52)을 통해서는 대체로 세탁조(5) 내에 형성되는 승강수류가 채집장치의 내부로 전달된다.As shown in the figure, a plurality of inflow holes 52 are formed to be opened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5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50 installed on the top of the fixed case 20. The inlet 52 is formed centrally in the cover 50, a part is formed to the edge of the cover 50. The inlet 52 is formed such that the inlet is wider in cross section than the outlet. This serves to prevent backwashing the water once entering the inlet 52. Through such an inlet hole 52, the lifting water flow which is generally formed in the washing tank 5 is transmitted to the inside of the collecting device.

상기 덮게(5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수류가이드(55)가 구비된다. 상기 수류가이드(55)는 상기 덮게(50)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되어 장착될수 있는데, 다수개가 덮게(50)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A plurality of water flow guides 55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50. The water flow guide 55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cover 50 or may be separately formed and mounted along the edge of the top surface of the cover 50.

상기 수류가이드(55)는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선단(55L) 가장자리가 가장 높게 돌출된다. 이때 수류가이드(55)의 돌출 높이는 적어도 10mm이상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수류가이드(55)는 그 선단(55L)에서 덮게(50)의 중심을 향해 점차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류가이드(55)의 후단(55T)을 향해서 또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인접한 수류가이드(55)의 후단(55T)가 서로 연결되게 형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water flow guide 55 protrudes the edge of the tip 55L the highest. At this time,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water flow guide 55 should be at least 10 mm. The water flow guide 55 is formed to gradually lower toward the center of the cover 50 at its tip 55L. It is also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rear end 55T of the water flow guide 55, and the rear end 55T of the adjacent water flow guide 55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와 같이 수류가이드(55)가 덮게(50)의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됨에 의해 상기 수류가이드(55)는 일종의 세탁날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채집장치가 세탁조나 세탁날개와 함께 회전하면서 세탁수를 휘저어주고 세탁포에 충격을 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As the water flow guide 55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50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flow guide 55 serves as a kind of washing wing. That is, the collecting device whirls the washing water while rotating together with the washing tub or the washing blade and serves to impact the washing cloth.

이와 같은 수류가이드(55)의 일측면에는 채집장치의 회전방향으로 개구되게 길게 유입구(56)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구(56)는 주로 회전수류를 채집장치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채집장치는 세탁조(5)나 세탁날개(6)의 회전과 함께 정역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입구(56)의 형성방향은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수류가이드(55)에서 각각 선택적으로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모두 4개의 수류가이드(55)가 형성되어 있는데, 각각 2개의 수류가이드(55)의 선단(55L)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One side of the water flow guide 55 is formed with an inlet 56 long to open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collecting device. The inlet 56 mainly serves to introduce the rotational water flow into the collection device. Here, the collection device may be rotated forward and backward with the rotation of the washing tank (5) or washing blade (6). Accordingly, the direction of formation of the inlet port 56 is selectively select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water flow guides 55 as shown in FIG. 3.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ll four water flow guides 55 are formed, and the front ends 55L of the two water flow guides 55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수류가이드(55)에 형성된 유입구(56)에는 격자 형상으로 구획벽(57)이 형성된다. 상기 구획벽(57)은 상기 유입구(56)를 통해 세탁포가 채집장치의 내부로 빨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구획벽(57)은 상기 유입구(56)의 내부로 들어갈수록 좁게 형성되어 세탁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구획벽(57)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유입구(56)의 내부 유로는 그 입구에서 출구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필터링쳄버(22)로 세탁수를 안내하기 위한 구성이다.In addition, a partition wall 57 is formed in a lattice shape at an inlet 56 formed in the water flow guide 55. The partition wall 57 serves to prevent the laundry cloth from being sucked into the collecting device through the inlet 56. In addition, the partition wall 57 is formed narrower as it enters the inlet port 56 to prevent the wash water from flowing back. In addition, the internal flow path of the inlet 56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57 is inclined downward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This is a configuration for guiding the wash water to the filtering chamber 22.

이제 상기 덮게(50)의 저면의 구성을 살펴본다. 먼저, 상기 덮게(50)의 저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고정케이스(20)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60)가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덮게(50)의 저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체결부(60)의 사이에 삽입가이드(62)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가이드(62)는 상기 덮게(50)가 상기 고정케이스(20)에 정확하게 안착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Now look at the configura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50. First, a fastening part 60 for fastening with the fixing case 20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bottom edge of the cover 50 is symmetric with each other. And the insertion guide 62 is formed between the fastening portion 60 at the bottom edge of the cover 50. The insertion guide 62 serves to guide the cover 50 to be accurately seated on the fixing case 20.

한편, 상기 덮게(50)의 하면 내측에는 상기 채집구(30)의 내부에 끼워지는 삽입리브(64)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리브(64)는 상기 채집구(3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유입공(52)이나 유입구(56)를 통해 유입된 세탁수가 필터링쳄버(22)외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in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50, the insertion rib 64 which is fitted into the interior of the collecting port 30 is formed. The insertion rib 64 is inserted into the collecting port 30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52 or the inlet 56 from leaking out of the filtering chamber 22.

다음으로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고정케이스(20)의 상단에 설치되는 덮게(15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유입공(152)이 덮게(150)의 상부를 향해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유입공(152)은 아래에서 설명될 수류가이드(155)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덮게(150)의 상면에 다수개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유입공(152)을 통해서는 대체로 세탁조(5) 내에 형성되는 승강수류가 채집장치의 내부로 전달된다. 상기 유입공(152)은 그 입구가 출구에비해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도록 하여, 일단 유입된 세탁수가 역류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As shown in the figure, a plurality of inflow holes 152 are formed to be opened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15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150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fixed case 20. The inlet hole 15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150 is not formed water flow guide 155 to be described below. Through such an inlet hole 152, the lifting water flow which is generally formed in the washing tank 5 is transmitted to the inside of the collecting device. The inlet hole 152 is preferably such that the inlet is formed to have a wid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outlet, so that the wash water introduced once does not flow back.

상기 덮게(15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수류가이드(155)가 구비된다. 상기 수류가이드(155)는 상기 덮게(150)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되어 장착될 수 있는데, 다수개가 상기 덮게(150)의 가장자리 쪽이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A plurality of water flow guides 155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150. The water flow guide 155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150 or may be separately formed and mounted, and a plurality of the water guides 155 are formed so that the edge of the cover 150 is further protruded.

이와 같은 수류가이드(155)는 그 선단(155L)이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고 후단(155T)이 상대적으로 높게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선단(155L)에서 후단(155T)을 연결하는 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이에 세탁조(5)에서 발생되는 회전수류를 필터링쳄버(22)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구(156)가 천공된다. 상기 유입구(156)는 상기 경사진 면에 형성되어 있어 채집장치의 회전에 따라 회전수류를 내부로 유입시키게 된다.The water flow guide 155 is formed such that the front end 155L is relatively low and the rear end 155T is relatively high. In this case, the surface connecting the rear end 155T from the front end 155L is formed to be inclined, and the inlet 156 for introducing the rotational flow generated in the washing tank 5 into the filtering chamber 22 is punctured. The inlet 156 is 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 to allow the inflow of rotational water into the interior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ollecting device.

한편 상기 수류가이드(155)는 본 실시예에서 그 후단(155T)이 서로 마주보도록 쌍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유입구(156)는 인접하는 수류가이드(155)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Meanwhile, the water flow guides 155 are formed in pairs so that the rear ends 155T face each other in this embodiment. Therefore, the inlet 156 is formed to be ope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each other in the adjacent water flow guide 155.

그리고 상기 수류가이드(155)는 상기 덮게(150)의 상면 중앙에서 가장자리를 향해 점차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덮게(150)의 가장자리에서 가장 돌출되었다가 급경사지게 상기 덮게(150)의 측면과 연결된다.The water flow guide 155 is formed to be gradually inclined upward toward the edge from the center of the top surface of the cover 150 so as to protrude from the edge of the cover 150 to be steeply inclined and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cover 150.

여기서 상기 수류가이드(155)는 상기 덮게(150)의 상면에 상대적으로 높게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류가이드(155)는 일종의 세탁날개의 역할도 하게 된다. 즉, 채집장치가 세탁날개나 세탁조와 함께 회전함에 의해 수류를 형성하고 세탁포에 충격을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Here, the water flow guide 155 is formed to protrude relatively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150. Therefore, the water flow guide 155 also serves as a kind of washing blade. In other words, the collecting device rotates with the washing blade or the washing tank to form a stream of water and impact the washing cloth.

이제 상기 덮게(150)의 저면의 구성을 살펴본다. 먼저, 상기 덮게(150)의 저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고정케이스(20)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160)가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덮게(150)의 저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체결부(160)의 사이에 삽입가이드(162)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가이드(162)는 상기 덮게(150)가 상기 고정케이스(20)에 정확하게 안착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Now look at the configuration of the bottom of the cover 150. First, fastening portions 160 for fastening with the fixing case 20 are formed at positions where the bottom edges of the cover 150 are symmetric with each other. And the insertion guide 162 is formed between the fastening portion 160 on the bottom edge of the cover 150. The insertion guide 162 serves to guide the cover 150 to be seated correctly on the fixing case 20.

한편, 상기 덮게(150)의 하면 내측에는 상기 채집구(30)의 내부에 끼워지는 삽입리브(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리브는 상기 채집구(3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유입공(152)이나 유입구(156)를 통해 유입된 세탁수가 필터링쳄버(22) 외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inner side of the lower cover 150 is formed with an insertion rib (not shown) to be fitted inside the collecting port 30. The insertion rib is inserted into the collecting port 30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52 or the inlet 156 from leaking out of the filtering chamber 22.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의 보푸라기 채집장치의 작용을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lint collecting device of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본 발명에서는 세탁조(5)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류를 채집장치의 내부로 안내하도록 하기 위해 유입공(52)과 유입구(56)를 형성하고 있다. 즉 회전수류를 필터링쳄버(22)의 내부로 안내하기 위해 유입구(56)를 형성하고, 승강수류를 안내하기 위해 유입공(52)을 형성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 hole 52 and the inlet port 56 are formed to guide the water flow formed in the washing tank 5 to the inside of the collecting device. That is, the inlet port 56 is formed to guide the rotational water flow into the filtering chamber 22, and the inlet hole 52 is formed to guide the lifting water flow.

따라서, 상기 유입공(52)을 통해 승강수류가 채집장치의 내부로 유입되어 채집구(30)에서 보푸라기나 이물질이 걸러지게 되고, 상기 유입구(56)를 통해 회전수류가 유입되어 채집구(30)에서 보푸라기나 이물질이 걸러지게 된다.Therefore, the lift flow is introduced into the collecting device through the inlet 52 to filter lint or foreign matter from the collecting port 30, and the rotating water flow i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56 to collect the collecting port 30. ) Lint or foreign material will be filtered out.

이때, 상기 수류가이드(55)는 상기 세탁조(5)나 세탁날개(6)의 회전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있어, 세탁조(5)나 세탁날개(6)의 회전방향에 따라 형성되는 회전수류를 채집장치의 내부로 유입시키게 된다.At this time, the water flow guide 55 is formed to be open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washing tank 5 or the washing blade 6, and the rotational water flow is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washing tank 5 or the washing blade (6) It will flow into the inside of the collecting device.

그리고 상기 수류가이드(55)는 상기 유입구(56)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높게 돌출되어 있어 상기 유입구(56)로의 세탁수 유입이 원활하게 된다.In addition, the water flow guide 55 has a portion where the inlet port 56 is formed to protrude relatively high, so that washing water flows into the inlet port 56 smoothly.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채집장치의 내부로 유입된 세탁수는 상기 필터링쳄버(22)의 내부에서 채집망(34)에 보푸라기나 이물질이 걸러지고, 다시 세탁조(5)로 배출되어 세탁을 진행하게 된다.In this way, the wash water introduced into the collecting device is filtered lint or foreign matter in the collecting network 34 in the interior of the filtering chamber 22, and discharged again to the washing tank 5 to proceed with the washing.

또한 상기 수류가이드(55)는 상기 덮게(50)의 표면에 상대적으로 높게 돌출 형성됨에 의해 일종의 세탁날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세탁중에 세탁수류를 형성함과 동시에 세탁포에 충격을 가해 두드려 빠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승강수류에 의해 세탁포가 뭉처진 상태로 세탁조(5)의 중앙으로 낙하될 때, 상기 세탁포를 풀어헤치면서 이들 사이의 세탁수에 섞여 있는 보푸라기 등을 걸려주게 된다.In addition, the water flow guide 55 is formed to protrude relatively high on the surface of the cover 50 to serve as a kind of washing wing. Therefore, while forming the water flow during the washing and at the same time to the impact on the laundry cloth it is possible to obtain a sucking effect. And when the laundry cloth is dropped into the center of the washing tank 5 in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cloth flows together, the lint and the like mixed with the washing water between them while hanging the laundry cloth.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입구(56)는 상대적으로 높게 돌출된 수류가이드(55)의 선단(55L)측에 그 면적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지만, 그 내부에 구획벽(57)이 형성되어 있어 세탁포가 유입구(56)를 통해 내부로 세탁포가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구획벽(57)에 의해 유입구(56)의 유동단면적이 내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어 세탁수의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let 56 has a relatively large area at the tip 55L side of the water flow guide 55 which protrudes relatively high, but the partition wall 57 is formed therein to wash the inlet 56. The laundry cloth does not flow into the inside through the carriage inlet 56. 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let 56 is gradually narrowed toward the inside by the partition wall 57, thereby preventing backflow of the wash water.

한편,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입구(156)가 수류가이드(155)의경사진 면에 형성되는데, 이와 같이 됨에 의해 채집장치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면서 세탁조 내에 형성된 회전수류를 내부로 유입시키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6, the inlet 156 is 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water flow guide 155, by being rotated with the rotation of the collecting device by this to allow the inflow of the rotational water formed in the washing tank into the inside do.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수류가이드(155)가 덮게(150)의 외주면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어, 세탁중에 세탁날개의 역할을 하면서 세탁효율을 높여주게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water flow guide 155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150, thereby increasing the washing efficiency while serving as a washing blade during washing.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세탁조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류에 맞게 유입구와 유입공을 형성하여 채집장치의 내부로 세탁수가 유입되도록 하여 보다 원활하면서도 많은 양의 세탁수가 채집장치를 통과하도록 하고 덮게의 수류가이드가 세탁날개의 역할도 어느 정도 담당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사상으로 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 and the inlet are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water flow formed in the washing tank so that the wash water flows into the collecting device so that the smooth and large amount of the washing water passes through the collecting device. It is the basic technical idea that the water flow guide of the cover can take on the role of the washing blade to some extent.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ithin the scope of the basic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many other modification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following operational effects can be expected.

먼저, 세탁조 내부에 형성되는 회전수류와 승강수류에 맞게 채집장치의 덮게에 각각 유입구와 유입공을 형성하여 각각의 수류가 적절하게 채집장치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원활하게 보푸라기나 이물질을 채집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First, inlet and inlet holes are formed in the cover of the collecting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al and lifting flows formed in the washing tank, so that each water flow can be properly introduced into the collecting device. The effect of being able to collect can be obtained.

그리고 수류가이드가 덮게의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어 채집장치가 세탁조나 세탁날개와 함께 회전될 때 세탁조 내부의 세탁수와 세탁포를 휘저어주고 세탁포에 충격을 가해 세탁효과를 보다 높여 주도록 하고 있다.And the water flow guide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so that when the collecting device is rotated with the washing tank or the washing wing, the washing water and cloth inside the washing tank is stirred and the washing cloth is shocked to enhance the washing effect. .

또한 본 발명에서는 덮게의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수류가이드에 유입구를 형성하여 보다 많은 양의 세탁수가 채집장치의 내부로 안내되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n inlet is formed in the water flow guide formed to protrud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so that a larger amount of washing water is guided into the collecting device.

따라서 세탁수에 섞여 있는 보푸라기나 이물질을 보다 효율적으로 걸러 낼 수 있게 되어 세탁기의 세탁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more efficiently filter out lint or foreign matter mixed in the wash water, thereby increasing the washing power of the washing machine.

Claims (7)

세탁조 내에서 수류를 형성하는 세탁수가 유입되도록 상부를 향해 개구되는 유입공을 구비하는 덮개와;A cover having an inlet opening that is opened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washing water to form a water stream in the washing tank; 상기 덮개의 상면에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덮게의 회전방향으로 개구되어 세탁수를 덮게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구가 성형되어 있는 수류가이드와,A water flow guide which protrudes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ver and is opened in a rotational direction of the cover to form an inlet for introducing washing water into the cover; 상기 덮게가 장착되고 상기 유입공과 유입구를 통과한 세탁수의 이물질이 걸러지는 필터링부를 내부에 구비하여 세탁수에 섞인 이물질을 걸러서 세탁조로 배출하는 고정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보푸라기 채집장치.The cover is mounted and provided with a filtering unit for filtering the foreign matter of the wash water passing through the inlet hole and the inlet inside to collect the lint of the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ed case for filtering the foreign matter mixed in the wash water and discharged to the washing tank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가이드는 상기 덮게의 상면에 그 가장자리부가 내측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장자리부의 돌출 높이는 적어도 10mm이상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보푸라기 채집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ter flow guid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so that the edge portion is more protruded relative to the inner portion,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edge portion of the washing machine lint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truding at least 10mm.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수류가이드는 상기 덮게의 회전방향 선단에서 후단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선단에 상기 덮게의 회전방향으로 개구되게 유입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보푸라기 채집장치.The water flow guide is formed inclined down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cover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the lint collecting device of the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let is formed to be open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cover to the front end.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or 3, 상기 유입구는 다수개가 메쉬구조로 형성되고, 유입구의 입구에서 출구를 향해 점차로 유동단면적이 좁아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보푸라기 채집장치.The inlet is formed of a plurality of mesh structure, the lint collecting device of the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is gradually narrowed toward the outlet from the inlet of the inlet.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수류가이드는 상기 덮게의 회전방향 선단에서 후단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수류가이드의 후단에는 다시 하향으로 급경사짐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보푸라기 채집장치.The water flow guide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rear en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cover, the rear end of the water flow guide lint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ep slope downward again. 제 2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5, 상기 유입구는 상기 수류가이드의 선단에서 후단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에 다수개가 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보푸라기 채집장치.The inlet is a lint collecting device of the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erforations are drilled in the portion formed inclined upward toward the rear end from the water flow guid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가이드의 내면은 상기 필터링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보푸라기 채집장치.The lint collecting device of claim 6, wherein an inner surface of the water flow guide is inclined toward the filtering unit.
KR1020010016551A 2001-03-29 2001-03-29 Filter for washing machine KR1007745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6551A KR100774511B1 (en) 2001-03-29 2001-03-29 Filter for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6551A KR100774511B1 (en) 2001-03-29 2001-03-29 Filter for wash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579A true KR20020076579A (en) 2002-10-11
KR100774511B1 KR100774511B1 (en) 2007-11-08

Family

ID=27699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6551A KR100774511B1 (en) 2001-03-29 2001-03-29 Filter for wash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4511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117B1 (en) * 2001-03-29 2007-11-08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ter for washing machine
KR100937412B1 (en) * 2003-04-11 2010-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Washing machine having floating laundry detecting device
KR20160119601A (en) * 2015-04-06 2016-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Device for treating laundry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3893A (en) * 1981-05-07 1982-11-12 Akira Hayashiguchi Jet stream type washing machine
JPS59178986U (en) * 1983-05-18 1984-11-29 三洋電機株式会社 Washing machine lint removal device
JPS6122890A (en) * 1984-07-11 1986-01-31 佐々木 好男 Water purifier of washing machine
KR950014402U (en) * 1993-11-26 1995-06-16 안신호 Impeller with lint filter of washing machine
KR950018834U (en) * 1993-12-31 1995-07-24 안신호 Impeller with lint filter of washing machine
KR100775117B1 (en) * 2001-03-29 2007-11-08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ter for washing machin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117B1 (en) * 2001-03-29 2007-11-08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ter for washing machine
KR100937412B1 (en) * 2003-04-11 2010-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Washing machine having floating laundry detecting device
KR20160119601A (en) * 2015-04-06 2016-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Device for treating laund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4511B1 (en) 2007-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39108B2 (en) Washing machine
JP2954139B2 (en) Filter for washing machine
KR100774511B1 (en) Filter for washing machine
KR100775117B1 (en) Filter for washing machine
KR101115218B1 (en) A filtering apparatus of a washer
KR100215820B1 (en) The filter apparatus of a washing machine
KR100220744B1 (en) The filter apparatus of a washing machine
KR200159028Y1 (en) The filter apparatus of a washing machine
KR100220743B1 (en) The filter apparatus of a washing machine
KR20020045381A (en) Filter for washing machine
KR20000000683A (en) Seam collecting device for washer
KR100220745B1 (en) The filter apparatus of a washing machine
KR101115776B1 (en) A filtering apparatus of a washer
KR200153697Y1 (en) A washing machine
KR100352474B1 (en) Foreign body discharge device of washing machine
JPH09313779A (en) Lint catcher and washing machine provided with it
KR200157114Y1 (en) The filter apparatus of a washing machine
KR102560454B1 (en) Washing Machine
KR100220747B1 (en) The filter apparatus of a washing machine
KR200288763Y1 (en) Foreign body collecting device of washing machine
KR100223417B1 (en) The filter apparatus of a washing machine
JPS5934471Y2 (en) washing machine lint capture device
KR20000013342A (en) Seam collecting device for automatic washing machine
KR100263448B1 (en) Washing machine
KR20030044460A (en) a was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