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6202A - Pda를 이용한 주차요금 결제장치 및 결제방법 - Google Patents

Pda를 이용한 주차요금 결제장치 및 결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6202A
KR20020076202A KR1020020044741A KR20020044741A KR20020076202A KR 20020076202 A KR20020076202 A KR 20020076202A KR 1020020044741 A KR1020020044741 A KR 1020020044741A KR 20020044741 A KR20020044741 A KR 20020044741A KR 20020076202 A KR20020076202 A KR 20020076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pda
data
parking fe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4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3031B1 (ko
Inventor
조영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알에프
한국알에프판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알에프, 한국알에프판매(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알에프
Priority to KR10-2002-0044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3031B1/ko
Publication of KR20020076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6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3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30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inductive or magnetic dete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40/00Transportation facility access, e.g. fares, tolls or pa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DA를 이용한 주차요금 결제장치 및 결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1)각 주차영역에서 차량(44)의 입고 및 출고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수단; (2-1)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입고 또는 출고가 감지될 때, 해당 주차영역의 번호 및 시간 데이터를 검출하여 저장하는 저장수단; (2-2)상기 시간데이터에 기초하여 주차시간 및 주차요금을 산출하는 산출수단; 및 (2-3)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상기 일련번호와 시간데이터 및 상기 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된 주차시간 및 주차요금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는 무선통신모듈(12);을 포함하는 주차기기(10); 및 (3) 상기 무선통신모듈(12)과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으며, 차량번호 및 주차요금 정산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을 갖는 PDA(50);가 제공된다.

Description

PDA를 이용한 주차요금 결제장치 및 결제방법{A Parking Fee Settlement Apparatus Using A PDA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PDA를 이용한 주차요금 결제장치 및 결제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PDA를 활용하여 주차관리의 효용성 및 주차요금에 관한 투명성을 높일 수 있는 PDA를 이용한 주차요금 결제장치 및 결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료로 운영되는 국영 또는 시영 주차장(일명 노외주차장)은 주차장의 입구에 차단기 및 주차 관리원을 두고 운영되는 형태였다. 또한, 도로변을 구획하여 마련된 노상주차장의 경우에는 차단기를 설치할 수 없어 주차관리원의 노력만으로 운영되는 실정이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주차시스템에서는 주차 관리원의 임의성이 높아 주차요금에 관한 시비가 끊이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노상 주차장의 경우에는 주차 관리원이 이석하거나 한눈을 파는 사이에 주차요금을 내지 않고 도주하는 미납차량이 발생하는 사례도 있다.
또한, 종래에는 각 주차영역마다 기립할 수 있는 플랩을 설치하여 주차된 차량만이 출고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설치상의 고비용과 안전성 등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각종 공공주차장 또는 유료주차장에서, 주차시설의 설비를 최소화하면서도 주차관리를 투명하고 효율적으로 전산화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유료주차장, 노상주차장, 이면도로 주차장의 관리를 전산화함으로써, 주차요금에 관한 시비를 없앨 수 있는 PDA를 이용한 주차요금 결제장치 및 결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시내 전역에 분포하는 유료주차장의 관리를 중앙에서 일괄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PDA를 이용한 주차요금 결제장치 및 결제방법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1)각 주차영역에서 차량(44)의 입고 및 출고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수단; (2-1)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입고 또는 출고가 감지될 때, 해당 주차영역의 번호 및 시간 데이터를 검출하여 저장하는 저장수단; (2-2)상기 시간데이터에 기초하여 주차시간 및 주차요금을 산출하는 제 1 산출수단; 및 (2-3)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상기 일련번호와 시간데이터 및 상기 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된 주차시간 및 주차요금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는 무선통신모듈(12);을 포함하는 주차기기(10); 및 (3) 상기 무선통신모듈(12)과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으며, 차량번호 및 주차요금 정산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 및 제 1 산출수단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제 2 산출수단을 갖는 PDA(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A를 이용한 주차요금 결제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각 주차영역의 바닥면에 내설되어 자기장을 감지하는 루프 코일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넷(30)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수단; 및 상기 인터넷(30)과 연결되어 있고, 데이터베이스 장치가 내장되어 상기 주차요금 결제장치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전송받아 저장할 수 있는 서버장치(20)를 더 포함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PDA(50)에는 영수증(56)을 인쇄하기 위한 프린터(57)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1-1) 각 주차영역에 내설된 감지수단을 이용하여 차량(44)의 입고상태를 감지하는 단계(S10); (1-2)해당 주차영역의 번호 및 시간 데이터를 검출하여 저장하는 단계(S14); (1-3)저장된 데이터를 무선통신모듈(12)을 통해 PDA(50)로 전송하고, 인터넷(30)을 통해 서버장치(20)로 전송하는 단계(S16); (1-4)상기 PDA(50)를 통해 입고된 차량번호를 입력하는 단계(S17); 및 (1-5)상기 차량번호를 PDA(50)로부터 상기 무선통신모듈(12)로 전송하여 주차기기(10)에 저장하는 단계(S18)로 이루어지는 차량 입고단계; 및 (2-1)상기 감지수단을 이용하여 차량(44)의 무단출차상태를 감지하는 단계(S30); (2-2)해당 주차영역의 번호 및 시간 데이터를 검출하여 저장하는 단계(S32); (2-3)상기 S14단계의 시간데이터 및 상기 S32단계의 시간데이터로부터 주차시간을 산출하고, 주차시간으로부터 주차요금을 산정하는 단계(S33); (2-4)상기 주차시간과 주차요금 데이터를 상기 무선통신모듈(12)을 통해 상기 PDA(50)로 전송하는 단계(S34); 및 (2-5)상기 PDA(50)를 통해 주차요금의 정산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S35);로 이루어지는 무단출고 차량의 주차요금 징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A를 이용한 주차요금 결제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35단계후, 상기 PDA(50)의 프린터(57)를 통해 영수증을 발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정산데이터를 상기 PDA(50)로부터 상기 무선통신모듈(12)로 전송하여 주차기기(10)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정산데이터를 상기 주차기기(10)로부터 인터넷(30)을 통해 서버장치(20)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PDA를 이용한 주차요금 결제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PDA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서버장치(20) 내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PDA를 이용한 주차요금 결제장치에 있어서, 차량이 입고되었을 때 처리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도 4에 따라 입고된 차량이 정상적으로 출고될 때 주차요금을 정산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는 도 4에 따라 입고된 차량이 무단출차될 때 주차요금을 정산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주요 도면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 주차장치,12 : 무선통신모듈,
14 : ISDN,20 : 서버장치,
30 : 인터넷,40 : 루프 코일센서,
42 : 주차장,44 : 차량,
50 : PDA,52 : 무선통신팩,
56 : 영수증,57 : 프린터,
60 : 테이블,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PDA를 이용한 주차요금 결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변 또는 이면도로에는 공간에 따라 5개 내지 12개 정도의 노상주차장(42)이 있다. 그리고, 주차장(42)의 각 주차영역에는 차량(44)의 입고 또는 출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루프 코일센서(40)가 설치되어 있다.
루프 코일(loop coil)센서(40)는 각 주차영역의 바닥면에 미세한 홈을 파고, 사각형 또는 8각형의 형태로 매설한 것으로써, 금속으로 된 차량(44)의 입고 또는 출고로 인한 자기장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루프 코일 센서(40)의 출력신호는 해당 노상 주차창(42)에 설치된 주차기기(10)로 집중된다.
주차기기(10)는 내부에 퍼스널 컴퓨터와 유사한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즉, CPU(미도시), RAM(미도시), 하드디스크(미도시), 랜카드(미도시), 무선통신모듈(12), 루프센서 인터페이스(미도시) 등을 구비하고 있다.
특히, 무선통신모듈(12)은 무선 LAN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것으로써, 주로 PDA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한다. 그리고, 주차기기(10)는 인터넷(30)과의 통신을 위해 ISDN(14)망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중앙의 서버장치(20)는 www을 기반으로 하여 인터넷(30)과 접속되어 있다. 즉, 서버장치(20)는 시내 전역에 설치된 다수의 주차기기(10)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PDA(50)는 해당 노상주차장(42)을 관리하는 주차 관리원이 휴대하는 휴대단말로써, 주차기기(10)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이러한 PDA(50)에 관한 상세한 구조는 도 2에서 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PDA(5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PDA(50)의 후면에는 무선통신팩(52)을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무선통신팩(52)은 내부에 무선 LAN 모듈이 내장되어 있어, 주차기기(10)의 무선통신모듈(12)과 양방향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화면(54)에는 날짜, 시간, 주차장(42)의 이름(예를 들어, 공덕1동 주차장), 주차영역의 일련번호(예를들어, No. 4), 차량번호 입력화면, 주차관리원의 성명 등이 표시된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화면(54)의 터치 또는 다수의 입력버튼(55)을 통해 실행된다.
PDA(50)의 하단에는 영수증(56)을 출력하기 위한 프린터(57)가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프린터(57)는 일예로 소형의 도트매트릭스 방식의 프린터 또는 열전사방식의 프린터가 채택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서버장치(20) 내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60)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의 서버장치(20)는 시내 전역에서 발생하는 주차 이벤트를 일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적어도 도 3과 같은 테이블(60)을 갖는 데이터베이스 장치를 포함한다. 만약, 데이터의 양이 많거나 엑세스가 많은 경우에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서버(미도시)를 병설할 수도 있다.
테이블(60) 내에 정의된 필드를 살펴보면, 주차장의 이름(예를 들어, 공덕1동 주차장), PDA일련번호(No. 1345), 주차 안내원(홍길동), 영수증 발급번호(N0. 31245), 차량번호(서울11가 1111), 주차장 일련번호(No.4), 입차 년월일시간(2002년05월12일13시:45분:12초), 출차 년월일시간(2002년05월12일14시:45분:12초), 주차시간(60분), 주차요금(6000원), 받은돈(10000원), 거스름돈(4000원), 결과(정산완료) 등과 같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PDA를 이용한 주차요금 결제장치의 동작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빈 주차장(42)에 차량(44)이 입고될 때의 처리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PDA를 이용한 주차요금 결제장치에 있어서, 차량이 입고되었을 때 처리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44)은 주차장(42)중 빈곳에 차량을 주차하여 입고한다(S10).
그러면, 해당 주차영역의 루프센서(40)가 자기장의 변화를 일으키고, 이러한 변화를 출력하게 된다. 출력된 신호는 주차기기(10)로 전송되어 주차기기(10)가 차량(44)의 입고를 감지하게 된다(S12). 입고가 감지되면, 해당 주차영역의 일련번호 및 감지되는 시점의 년월일시분초를 내장된 클럭(미도시)을 이용하여 검출한 뒤, 저장한다(S14).
이와 같이 저장된 데이터는 무선통신모듈(12)을 통해 PDA(50)로 전송되고, ISDN(14)을 통해 인터넷(30)을 경유하여 서버장치(20)로 전달되어 저장된다(S16). 무선통신모듈(12)로부터 입고 데이터를 전송받은 PDA(50)는 이를 화면(54)에 표시하여 주차관리원이 인지하도록 한다. 이를 인지한 주차관리원은 입고된 차량의 번호를 육안으로 판독하여 PDA(50)에 입력한다(S17).
PDA(50)를 통해 입력된 차량의 번호는 다시 무선통신모듈(12)을 통해 주차기기(10)로 전송되어 저장된다(S18). 이 때, 주차기기(10)는 필요에 따라 전송받은 차량번호를 서버장치(20)로 전송하여 저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차량의 입고단계가 완료된다. 만약 고객이 입차시간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입차 입력 완료후 주차권을 발행하여 차량유리 앞면에 비치하는 방법도 병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주차장(42)에 차량(44)이 출고될 때의 처리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4에 따라 입고된 차량(44)이 정상적으로 출고될 때 주차요금을 정산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은 출차를 위채 자신의 차량으로 접근하면서 손짓등을 통해 주차관리원을 부르게 된다(S20). 그 다음 주차관리원은 자신의 PDA(50)에 주차장의 일련번호를 입력하여 출차를 입력하게 된다(S21).
그러면, PDA(50)의 제 2 산출수단에서는 입고시간과 출고시간의 차이로부터 주차시간을 산출하고, 미리 정해진 분당 주차요금을 곱해서 총 주차요금을 산정하게 된다(S22). 산정된 주차요금을 차량의 운전자에서 통보하고, 주차요금을 받는다. 주차요금의 입금이 확인되면, 확인 사실을 PDA(50)로 입력하여 영수증(56)을 인쇄하도록 한다. 인쇄된 영수증(56)은 차량의 운전자에게 전달된다(S23).
영수증(56)이 정상적으로 발급되면, PDA(50)는 받은돈, 주차요금, 거스름돈, 처리결과 등을 포함한 정산데이터를 주차기기(10)로 전송한다(S24). 주차기기(10)는 전송받은 정산데이터를 저장한 뒤, 인터넷(30)을 통해 서버장치(20)로 전송하여 저장한다(S27).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PDA(50), 주차기기(10) 및 서버장치(20)에는 모두 동일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도 6는 도 4에 따라 입고된 차량이 무단출차될 때 주차요금을 정산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주차요금을 정산하지 않거나, 주차관리원이 한눈을 파는 사이를 틈타 차량을 무단으로 출차한다(S30). 차량(44)이 해당 주차영역을 빠져 나오면(S30) 루프 센서(40)가 이를 감지하여(S31)주차기기(10)에 전송한다. 이와 같은 출력신호를 입력받은 주차기기(10)는 해당 주차영역에서 차량의 출고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 때, 해당 주차영역의 일련번호 및 감지되는 시점의 년월일시분초를 내장된 클럭(미도시)을 이용하여 검출한 뒤, 저장한다(S32).
그 다음, 주차기기(10)의 제 1 산출수단은 입고시간과 출고시간의 차이로부터 주차시간을 산출하고, 미리 정해진 분당 주차요금을 곱해서 총 주차요금을 산정하게 된다(S33). 그 다음, 주차기기(10)는 해당 주차영역의 번호, 주차시간 및 주차요금 등 무단출차 관련 데이터를 무선통신모듈(12)을 통해 PDA(50)로 전송한다(S34).
PDA(50)는 전송받은 데이터를 화면(54)에 표시하여 주차관리원이 인지하도록 한다. 이때, PDA(50)에서 출고 경고음을 출력하게 할 수도 있다. 주차관리원은 무단으로 출고되는 차량(44)으로 접근하여 운전자에게 무단출차 차량임을 고지하고 주차요금을 납부할 것을 종용한다(S35). 이 때, 무단 출차 차량에 대해서는 별도의 벌금을 추가로 부과할 수 있다.
차량(44)의 운전자가 주차요금을 내면, 주차관리원은 입금내역을 PDA(50)에 입력하고 영수증(56)을 발급한다(S36). 영수증(56)이 정상적으로 발급되면, PDA(50)는 받은돈, 주차요금, 거스름돈, 처리결과 등을 포함한 정산데이터를 주차기기(10)로 전송한다(S37). 주차기기(10)는 전송받은 정산데이터를 저장한 뒤, 인터넷(30)을 통해 서버장치(20)로 전송하여 저장한다(S38).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PDA(50), 주차기기(10) 및 서버장치(20)에는 모두 동일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만약 무단 출고에 따른 경고음이 출력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주차요금이 정상적으로 납부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며, PDA는 결과필드에 해당 차량을 "미납징수차량"으로 판정하게 된다. 또한, 주차요금을 미납한 채 도주하는 차량이 발견할 경우, 주차관리원이 PDA(50)상에서 결과필드를 "미납징수차량"으로 입력할 수도 있다. "미납징수차량"데이터는 같은 방식으로 주차기기(10) 뿐만 아니라 서버장치(20)에도 똑같이 전송되어 입력된다. 따라서, 일정기간(예를 들어, 일주일)마다, 미납차량의 차량번호를 조회하여 주차요금, 벌금 등을 청구할 수 있고, 담당기관에 보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PDA와 주차기기간에 무선 LAN 방식을 통한 무선통신방식을 도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이나, 다른 방식의 통신(예를 들어, CDMA, TDMA, 유선, 블루투스)을 채택할 수도 있다. 또한, 주차기기와 서버장치간의 인터넷 통신 역시 무선인터넷을 응용할 수도 있고, 별도의 전용선, 전화선 등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특히, 주차기기와 서버장치간의 데이터 통신은 실시간으로 처리하지만, 서버장치가 관리하는 주차장의 갯수가 많거나 회선의 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일정시간(예를 들어, 1시간 간격 또는 4시간 간격)마다 서버장치에 엑세스하여 데이터를 업로드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용이한 변형이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로는 PDA(50)를 적용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휴대가 가능한 핸드헬드 기기(예를 들어, 핸드폰, 노트북 등)라면 어떤 것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PDA(50)에 신용카드 결제모듈을 부착하거나 주차관리원이 무선 신용카드 결제장치를 별도로 휴대하는 경우에는 중앙의 서버장치와 은행의 서버를 연동시켜 주차요금을 신용카드로도 결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 밖에 본원의 시스템을 주차정산기기가 설치된 주차장에서 병용할 수도 있다.
또한, 각 주차영역에서 차량의 입고 및 출고를 감지하기 위하 루프 코일 센서 역시 기계식 센서(차량과의 접촉을 통한 검출방식, 차량의 하중을 감지하는 방식), 광센서(빛의 전달 및 차단 여부에 따른 검출방식), 전기식 센서(자기장을 이용하는 방식) 등 다양한 센서의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PDA를 이용한 주차요금 결제장치 및 결제방법에 의하면, 유료주차장, 노상주차장, 이면도로 주차장의 관리를 전산화함으로써, 주차요금에 관한 시비를 없앨 수 있다. 따라서, 주차관리의 투명성이 높아질 수 있다.
이로써, 본원발명은 주차요금의 미납방지를 위한 원천적인 해결방안이 될 수 있고, 플랩방식에 비해, 저비용, 고효율의 성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시내 전역에 분포하는 유료주차장의 관리를 중앙에서 일괄적으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주차상황, 주차실적, 주차통계, 주차비용 등에 관한 각종 통계데이터를 중앙에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각 주차장의 고장, 유지보수, 수리 등에 필요한 정보, 인력 등을 중앙에서 손쉽게 지시할 수도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차량의 번호가 중앙의 서버장치에 실시간으로 저장되기 때문에, 세금 미납차량, 도난차량, 수배차량 등을 순식간에 파악하여 대처할 수도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7)

  1. (1)각 주차영역에서 차량(44)의 입고 및 출고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수단;
    (2-1)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입고 또는 출고가 감지될 때, 해당 주차영역의 번호 및 시간 데이터를 검출하여 저장하는 저장수단;
    (2-2)상기 시간데이터에 기초하여 주차시간 및 주차요금을 산출하는 제 1 산출수단; 및
    (2-3)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상기 일련번호와 시간데이터 및 상기 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된 주차시간 및 주차요금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는 무선통신모듈(12);을 포함하는 주차기기(10); 및
    (3) 상기 무선통신모듈(12)과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으며, 차량번호 및 주차요금 정산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 및 제 1 산출수단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 2 산출수단을 갖는 PDA(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A를 이용한 주차요금 결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각 주차영역의 바닥면에 내설되어 자기장을 감지하는 루프 코일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A를 이용한 주차요금 결제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인터넷(30)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수단; 및
    상기 인터넷(30)과 연결되어 있고, 데이터베이스 장치가 내장되어 상기 주차요금 결제장치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전송받아 저장할 수 있는 서버장치(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A를 이용한 주차요금 결제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PDA(50)에는 영수증(56)을 인쇄하기 위한 프린터(57)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A를 이용한 주차요금 결제장치.
  5. (1-1) 각 주차영역에 내설된 감지수단을 이용하여 차량(44)의 입고상태를 감지하는 단계(S10);
    (1-2)해당 주차영역의 번호 및 시간 데이터를 검출하여 저장하는 단계(S14);
    (1-3)저장된 데이터를 무선통신모듈(12)을 통해 PDA(50)로 전송하고, 인터넷(30)을 통해 서버장치(20)로 전송하는 단계(S16);
    (1-4)상기 PDA(50)를 통해 입고된 차량번호를 입력하는 단계(S17); 및
    (1-5)상기 차량번호를 PDA(50)로부터 상기 무선통신모듈(12)로 전송하여 주차기기(10)에 저장하는 단계(S18)로 이루어지는 차량 입고단계; 및
    (2-1)상기 감지수단을 이용하여 차량(44)의 무단출차상태를 감지하는단계(S30);
    (2-2)해당 주차영역의 번호 및 시간 데이터를 검출하여 저장하는 단계(S32);
    (2-3)상기 S14단계의 시간데이터 및 상기 S32단계의 시간데이터로부터 주차시간을 산출하고, 주차시간으로부터 주차요금을 산정하는 단계(S33);
    (2-4)상기 주차시간과 주차요금 데이터를 상기 무선통신모듈(12)을 통해 상기 PDA(50)로 전송하는 단계(S34); 및
    (2-5)상기 PDA(50)를 통해 주차요금의 정산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S35);로 이루어지는 무단출고 차량의 주차요금 징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A를 이용한 주차요금 결제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S35단계후, 상기 PDA(50)의 프린터(57)를 통해 영수증을 발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A를 이용한 주차요금 결제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산데이터를 상기 PDA(50)로부터 상기 무선통신모듈(12)로 전송하여 주차기기(10)에 저장하는 단계(S37); 및
    상기 정산데이터를 상기 주차기기(10)로부터 인터넷(30)을 통해 서버장치(20)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S3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A를 이용한 주차요금 결제방법.
KR10-2002-0044741A 2002-07-29 2002-07-29 Pda를 이용한 주차요금 결제장치 및 결제방법 KR100393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4741A KR100393031B1 (ko) 2002-07-29 2002-07-29 Pda를 이용한 주차요금 결제장치 및 결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4741A KR100393031B1 (ko) 2002-07-29 2002-07-29 Pda를 이용한 주차요금 결제장치 및 결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202A true KR20020076202A (ko) 2002-10-09
KR100393031B1 KR100393031B1 (ko) 2003-07-31

Family

ID=27727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4741A KR100393031B1 (ko) 2002-07-29 2002-07-29 Pda를 이용한 주차요금 결제장치 및 결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30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296B1 (ko) * 2006-11-13 2008-06-20 주식회사 다래파크텍 피디에이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642B1 (ko) * 2011-03-25 2012-12-07 이정준 노상 및 노외주차장의 노면관리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307Y1 (ko) * 2001-05-07 2001-10-12 주식회사 아토스 광역 주차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296B1 (ko) * 2006-11-13 2008-06-20 주식회사 다래파크텍 피디에이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3031B1 (ko) 200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48683B1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および駐車場管理方法
US6559776B2 (en) Parking status control system and method
US7104447B1 (en) Parking meters, systems and methods of parking enforcement
US10121172B2 (en) Parking lot monitoring system
AU2014209147B2 (en) Parking meter system
US6344806B1 (en) Parking status control system and method
CN103189900B (zh) 通用车辆管理系统
US20110102197A1 (en) Automated parking guidance and management system
KR100400985B1 (ko) 통신망을 이용한 무인주차관리 시스템
EP2973434B1 (en) Parking lot monitoring system
JP2005501350A (ja) 電子決済および料金モニタシステム
KR100393031B1 (ko) Pda를 이용한 주차요금 결제장치 및 결제방법
KR100305919B1 (ko) 주차 관리 시스템
KR100401168B1 (ko)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료 미납차량의 청구서 발송장치 및그 방법
KR20030005711A (ko) 차량 영상기록을 이용한 선불식 무인주차 관리 정산시스템
KR20090102929A (ko)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
WO1999022348A1 (en) A parking meter system
Tung Design of an advanced on-street parking meter
ITGE20110113A1 (it) P.e.p. (pagamento elettronico parcheggio)
ITGE20120006U1 (it) P.e.p. (pagamento elettronico parcheggio)
KR20090062889A (ko) Pda를 이용한 노상 유료주차장 관리시스템
IES980882A2 (en) A parking met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