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4545A - Apparatus of cassette tape type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udio signal and audio system suitable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of cassette tape type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udio signal and audio system suitable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4545A
KR20020074545A KR1020010014299A KR20010014299A KR20020074545A KR 20020074545 A KR20020074545 A KR 20020074545A KR 1020010014299 A KR1020010014299 A KR 1020010014299A KR 20010014299 A KR20010014299 A KR 20010014299A KR 20020074545 A KR20020074545 A KR 20020074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ignal
recording
reproducing apparatus
cassette tape
tape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42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두열
Original Assignee
이두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두열 filed Critical 이두열
Priority to KR1020010014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4545A/en
Publication of KR20020074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4545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37A/D conversion, D/A conversion, sampling, slicing and digital quantisation or adjusting parameter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41Details
    • G11B23/046Indicating means, e.g. quantity of ta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11B2020/00014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the compressed signal being an audio sign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46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92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multichannel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PURPOSE: A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reproducing device and an audio system proper to the device are provided to improve the reproduced sound quality by minimizing the loss of audio signals by transmitting the audio signal digitally. CONSTITUTION: A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processing/reproducing device includes a control part(210) for setting audio signal transmitting mode between the device and an audio system as the device is inserted into the audio system, a memory part(215) for storing at least one digital audio file, a modulation part(220) for modulating the digital audio file read from the memory part as the digital audio signal transmitting mode is set by the control part, and a head part(201) for transmitting the digital au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dulation part to the audio system after modulating the digital audio signal to a magnetic signal.

Description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와 그에 적합한 오디오 시스템{Apparatus of cassette tape type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udio signal and audio system suitable thereof}Apparatus of cassette tape type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udio signal and audio system sui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와 그에 적합한 오디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할 수 있는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와 그에 적합한 오디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an audio system suitable theref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capable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digital audio signals and an audio system suitable for the same.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는 MP3(MPEG Layer 3) 플레이어와 같이 대용량의 음악 데이터를 음질 저하 없이 압축하여 기록하고 재생할 수 있는 것으로서, 카세트 플레이어와 같은 오디오 시스템(이하 오디오 시스템이라 함)에 카세트 테이프와 같이 삽입(insert)하여 오디오를 기록 및 재생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이다.The cassette tape-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is capable of compressing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a large amount of music data such as an MP3 (MPEG Layer 3) player without degrading sound quality. It is implemented to record and play back audio by inserting like a cassette tape.

따라서 카세트 플레이어가 장착된 차량이나 그와 유사한 환경에서 MP3 플레이어에서 제공하는 것과 같은 대용량의 고품위의 음악 데이터를 청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해당되는 오디오 시스템이 녹음(REC) 기능을 구비한 경우에, 오디오 시스템을 통해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압축하여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This makes it possible to listen to a large amount of high quality music data such as that provided by an MP3 player in a vehicle equipped with a cassette player or the like. In addition, when the corresponding audio system has a recording (REC) function, it is possible to compress and record the audi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udio system.

그러나, 현재 제안된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는, 오디오 시스템의 자기 헤드와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자기 헤드를 직접 접촉시켜 오디오 신호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구현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현재 제안된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owever, the presently proposed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is implemented in such a manner as to directly transmit an audio signal by directly contacting the magnetic head of the audio system and the magnetic head provided in the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have. Referring to FIG. 1, the operation of a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currently proposed is as follows.

센서부(100)에 구비되어 있는 재생용 센서(101)를 통해 현재의 동작 모드를 재생모드로 인식하면, 제어부(110)는 메모리부(115)에 압축된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리드하여 디코더(120)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디코더(120)는 압축된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복원하여 D/A변환부(125)로 전송한다. D/A변환부(125)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하여 스피커(135)와 헤드부(130)로 각각 전송한다. 헤드부(130)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자기 신호의 형태로 변환하여 미 도시된 오디오 시스템의 자기 헤드로 전송한다.When the current operation mode is recognized as the playback mode through the playback sensor 101 included in the sensor unit 100, the controller 110 may store the digital audio file stored in a compressed form in the memory unit 115. The decoder 120 reads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decoder 120. The decoder 120 restores the compressed digital audio file to the D / A converter 125. The D / A converter 125 converts the digital audio signal into an analog form and transmits the digital audio signal to the speaker 135 and the head 130, respectively. The head unit 130 converts the analog audio signal into a magnetic signal form and transmits the analog audio signal to the magnetic head of the audio system.

스피커(135)는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가 오디오 시스템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 사용자가 재생되는 음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재생용 센서(101)는 미 도시된 오디오 시스템에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기록 및 재생장치를 삽입하였을 때, 오디오 시스템의 재생 버튼이 눌려지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부분이나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에 장착된 재생 버튼(미 도시됨)이 눌려지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부분에 장착된다.The speaker 135 allows the user to listen to the reproduced sound when the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is not inserted into the audio system. The reproducing sensor 101 is a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or a portion capable of detecting the pressing of the play button of the audio system when the cassette tape type audio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is inserted into the audio system (not shown). The playback button (not shown) mounted on the is mounted to a portion capable of detecting the pressing.

한편, 센서부(100)에 구비되어 있는 녹음용 센서(102)를 통해 현재의 동작 모드를 녹음 모드로 인식하면, 제어부(110)는 헤드부(130) 또는 마이크(150)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A/D 변환부(145)에서 디지털 형태로 변환시켜 인코더(140)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인코더(140)는 인가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정해진 압축률에 따라 압축하여 메모리부(115)로 전송하고, 메모리부(115)는 이를 파일 형태로 저장한다.Meanwhile, if the current operation mode is recognized as the recording mode through the recording sensor 102 provided in the sensor unit 100, the control unit 110 receives the audio received through the head unit 130 or the microphone 150. The A / D converter 145 converts the signal into a digital form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encoder 140. The encoder 140 compresses the applied digital audio sig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mpression rate and transmits it to the memory unit 115, and the memory unit 115 stores the file in the form of a file.

녹음용 센서(102)는 상기 재생용 센서(101)와 같이 미 도시된 오디오 시스템에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를 삽입하였을 때, 오디오 시스템의 녹음 버튼이 눌려지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부분이나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에 장착된 녹음 버튼(미 도시됨)이 눌려지는 것을 감지할 수있는 부분에 장착된다.The recording sensor 102 is a part capable of detecting that the recording button of the audio system is pressed when the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is inserted into an audio system not shown as the reproducing sensor 101. In addition, the recording button (not shown) mounted on the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is mounted on a portion capable of detecting the pressing.

그리고, 센서부(100)에 구비되어 있는 FF(Fast Forward)용 센서(103)와 REW(REWind)용 센서(104)는 선곡할 때 이용된다. 즉, FF용 센서(103)는 미 도시된 오디오 시스템의 감기릴의 속도를 감지하여 그 속도에 상응하는 감지 출력을 제어부(110)로 발생하고, REW용 센서(104)는 미 도시된 오디오 시스템의 되감기릴의 속도를 감지하여 그 속도에 상응하는 감지 출력을 제어부(110)로 발생한다.The FF (Fast Forward) sensor 103 and the REW (REWind) sensor 104 included in the sensor unit 100 are used for selection. That is, the FF sensor 103 detects the speed of the winding reel of the audio system, not shown, and generates a sensing output corresponding to the speed to the controller 110, and the REW sensor 104 is an audio system, not shown. Detect the speed of the rewind reel of to generate a detection output corresponding to the speed to the controller 110.

따라서 FF용 센서(103)의 감지 출력에 의해 제어부(110)는 메모리부(115)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에 대해 전방향 서치를 하도록 제어하고, REW용 센서(104)의 감지 출력에 의해 제어부(110)는 현재 재생되는 디지털 오디로 파일의 역방향 서치를 하도록 제어한다.Therefore,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omnidirectional search for the digital audio file stored in the memory unit 115 by the sensing output of the sensor FF 103, and by the sensing output of the sensor 104 for REW.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reverse search of the file to the currently reproduced digital audio.

그러나 이 때, 제어부(110)는 미 도시된 오디오 시스템의 FF용 버튼 또는 REW 버튼의 제어 회수에 따라 곡을 서치한다. 예를 들어 첫 번째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고 있는 상태에서 6번째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서치하고자 할 때, 오디오 시스템의 FF용 버튼과 재생용 버튼 또는 FF용 버튼과 정지(stop) 버튼이 각각 6회 제어되어야 한다. 역방향으로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서치할 때에도 REW용 버튼과 재생용 버튼 또는 REW용 버튼과 정지 버튼이 현재 재생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기준으로 역방향으로 몇 번째에 위치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이냐에 따라 해당되는 버튼이 제어되어야 하므로 디지털 오디오 파일 서치시 제어가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At this time, however, the controller 110 searches for the music according to the control number of the FF button or the REW button of the audio system, not shown. For example, if you are playing the first digital audio file and you want to search for the sixth digital audio file, the FF button and the play button or the FF button and the stop button of the audio system are controlled six times. Should be. When searching for a digital audio file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buttons for REW and play, or for the REW and stop buttons are the digital audio file in the reverse direction based on the digital audio file currently playing.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control of digital audio file search is cumbersome since it must be controlled.

또한, 헤드부를 통해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가 아날로그 형태로 이루어짐에따라 노이즈에 민감하여 전송손실이 발생되므로 재생 음질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as the audio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head portion is made in an analog form, transmission loss is generated due to sensitivity to noise, and thus, playback sound quality is degrad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 장치와 오디오 시스템간에 디지털 형태의 오디오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와 그에 적합한 오디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capable of transmitting digital audio signals between a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an audio system and an audio system suitable therefor To provi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헤드부를 통해 전송할 수 있도록 구현된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와 그에 적합한 오디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a suitable audio system, which are implemented to transmit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through the head portion.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 장치는, 카세트 플레이어와 같은 구조로 구성된 오디오 시스템에 삽입되어 구동되는 것이 가능한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에 있어서, 오디오 시스템에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가 삽입되면,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와 오디오 시스템간의 오디오 신호 전송모드를 설정하는 제어부; 적어도 1개의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제어부에 의해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가 디지털 오디오 신호 전송 모드로 설정되면, 메모리부로부터 리드된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변조하는 변조부; 및 변조부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자기 신호로 변환하여 오디오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a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which can be inserted and driven in an audio system having a structure such as a cassette player. A control unit for setting an audio signal transmission mode between the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the audio system when the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is inserted into the system; A memory unit for storing at least one digital audio file; A modulator for modulating the digital audio file read from the memory unit when the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is set to the digital audio signal transmission mode by the control unit; And a head unit for converting the digital au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dulator into a magnetic signal and transmitting the magnetic signal to the audio system.

또한, 헤드부는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다른 채널을 통해 오디오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head portion preferably further has a function of receiv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from the audio system through a channel different from the digital audio signal.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은,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를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카세트 플레이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오디오 시스템에 있어서,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변조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헤드부; 헤드부로부터 전송되는 변조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 복조부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더; 디코더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an audio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dio system having a structure such as a cassette player capable of driving a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 head unit for receiving a modulated digital audio signal to be transmitted; A demodulator for demodulating a modulated digital audio signal transmitted from a head unit; A decoder for decoding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demodulator;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for converting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decoder into an analog signal and output.

도 1은 기존의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의 블록 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의 블록 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의 블록 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n audio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 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apparatus illustrated in FIG. 2.

도 5는 상시 녹화모드 요구시,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의 동작 흐름 도이다.Fig. 5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when the continuous recording mode is requested.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오디오 시스템의 동작 흐름 도이다.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audio system shown in FIG. 3.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화면 예이다.FIG. 7 is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illustrated in FIG. 3.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200)의 블록 도로서, 헤드부(201), 복조부(205), 제어부(210), 메모리부(215), 변조부(220) 및 도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센서부(100), 디코더(120), D/A변환부(125), A/D변환부(135), 스피커(135), 인코더(140), 마이크(150)로 구성된다.2 is a block diagram of a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cludes a head portion 201, a demodulation portion 205, a control portion 210, a memory portion 215, and a modulation portion ( 220 and the sensor unit 100, the decoder 120, the D / A converter 125, the A / D converter 135, the speaker 135, the encoder 140, and the microphone as shown in FIG. 1 ( 150).

헤드부(201)는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200)의 동작모드가 디지털 오디오 신호 전송모드로 설정된 경우에, 그에 적합한 오디오 시스템(미 도시됨)으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거나 상기 오디오 시스템(미도시됨)으로부터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이 때,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제어신호는 서로 다른 채널을 통해 전송된다. 예를 들어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R-CH를 통해 전송되고, 제어신호는 L-CH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The head unit 201 transmits a digital audio signal or transmits a digital audio signal to an appropriate audio system (not shown)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200 is set to the digital audio signal transmission mode. Receives digital audio signals and control signals from a system (not shown). At this time, the digital audio signal and the control signal are transmitted through different channels. For example, the digital audio signal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R-CH, and the control signal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L-CH.

상기 동작모드가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전송모드로 설정된 경우에, 상기 오디오 시스템(미 도시됨)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오디오 시스템은 카세트 플레이어와 같은 구조를 갖은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200)를 구동시킬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된 것이다.When the operation mode is set to an analog audio signal transmission mode, an analog audio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audio system (not shown). The audio system has a structure such as a cassette player, and has a function capable of driving the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복조부(205)는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200)의 동작 모드가 디지털 오디오 신호 전송모드이면서 녹음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 헤드부(201)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제어신호를 설정된 방식에 따라 복조한다. 복조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메모리부(215)로 전송하고, 제어신호는 제어부(21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신호는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200)가 디지털 오디오 신호 전송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녹음모드이외의 모드에서도 복조부(205)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복조방식은 상기 오디오 시스템(미 도시됨)에서 이루어지는 변조방식과 역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알려진 디지털 오디오 신호 변복조방식에서의 복조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The demodulator 205 receives the digital audio signal and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head unit 201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200 is set to the recording mode as well as the digital audio signal transmission mode. Demodulate according to the set method. The demodulated digital audio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emory unit 215, and th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210. The control signal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demodulator 205 even in a mode other than a recording mode when the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200 is set to the digital audio signal transmission mode. The demodulation method is the reverse of the modulation method performed in the audio system (not shown), and a demodulation method of a generally known digital audio signal modulation and demodulation method can be used.

메모리부(215)는 리드(read) 및 라이트(write)가 가능한 것으로, 1개 이상의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The memory unit 215 is capable of reading and writing, and is configured to store one or more digital audio files.

변조부(220)는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200)의 동작모드가 디지털 오디오 신호 전송모드이면서 재생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메모리부(201)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설정된 방식에 따라 변조한다. 변조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헤드부(201)로 전송된다.The modulator 220 is configured to set the digital audio file transmitted from the memory unit 201 in the set manner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200 is set to the reproduction mode while being the digital audio signal transmission mode. Modulate accordingly. The modulated digital audio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head portion 201.

제어부(210)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센서부(100)에 구비되어 있는 센서들(101∼104)의 출력신호 또는 복조부(205)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제어부(210)의 동작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he controller 210 records a cassette tape-type audio signal by an output signal of the sensors 101 to 104 provided in the sensor unit 100 or a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the demodulator 205.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layback apparatus 200.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2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즉, 임의의 오디오 시스템(미 도시됨)에 도 2에 도시된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200)가 삽입되면, 제어부(210)는 해당되는 오디오 시스템과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을 체크하기 위한 신호를 해당되는 오디오 시스템(미 도시됨)으로 송출한다(제 401 단계). 이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가 해당되는 오디오 시스템(미 도시됨)으로부터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210)는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200)가 기존과 같은 방식으로 운영되도록, 기존 운영모드로 진행된다(제 403 단계). 기존과 같은 방식은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200)와 해당되는 오디오 시스템간에 도 1에 설명한 바와 같이 아날로그 형태의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That is, when the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200 shown in FIG. 2 is inserted into an arbitrary audio system (not shown), the control unit 210 transmits an audio signal with a corresponding audio system. The signal for checking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audio system (not shown) (step 401). If the corresponding response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corresponding audio system (not shown), the controller 210 returns to the existing operation mode so that the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200 operates in the same manner as before. It proceeds (step 403). As described above, an analog audio signal is transmitted between the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200 and the corresponding audio system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그러나, 이에 대응되는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210)는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200)의 동작 모드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 전송모드로 설정한다(제 404 단계). 그리고, 제 405 단계에서 제어부(210)는 자동 재생모드를 설정하여 메모리부(215)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순차적으로 리드하고, 변조부(220)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변조부(220)는 인가된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변조하여 헤드부(201)로 전송하고, 헤드부(201)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자기 신호로 변환하여 해당되는 오디오 시스템(미 도시됨)으로 전송하도록 한다.However, when a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is received, the controller 210 sets the operation mode of the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200 to the digital audio signal transmission mode (step 404). In operation 405, the controller 210 sets the automatic play mode to sequentially read the digital audio file stored in the memory unit 215 and transmit the digital audio file to the modulator 220. Accordingly, the modulator 220 modulates the applied digital audio file and transmits it to the head unit 201, and the head unit 201 converts the digital audio data into a magnetic signal to a corresponding audio system (not shown). Send it.

이와 같이 자동 재생모드가 수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어부(210)는 해당되는 오디오 시스템(미 도시됨)으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는지를 체크한다(제 406 단계). 체크결과, 제어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210)는 제 405 단계로 리턴되어 계속해서 자동 재생모드를 수행한다.In this state in which the automatic playback mode is being performed, the controller 210 checks whether a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a corresponding audio system (not shown) (step 406). If the control signal is not received as a result of the check, the control unit 210 returns to step 405 to continue the automatic playback mode.

그러나, 제 406 단계에서 체크한 결과, 제어신호가 수신되었으면, 수신된 제어신호가 정지 신호인지를 체크한다(제 407 단계). 체크결과, 정지 신호이면,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200)의 동작을 종료한다. 그러나, 정지 신호가 아니면, 제 408 단계에서 해당되는 기능을 수행한다.However, if the control signal is received as a result of checking in step 406, it is checked whether the received control signal is a stop signal (step 407). If the result of the check is a stop signal, the operation of the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200 is terminated. However, if it is not the stop signal, the corresponding function is performed in step 408.

상기 해당되는 기능 수행은, 예를 들어, 인가되는 제어신호가 REW를 요구한 경우에, 제어부(210)는 현재 재생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기준으로 역방향으로 오디오 파일을 서치 하도록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인가되는 제어신호가 FF를 요구한 경우에, 제어부(210)는 현재 재생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기준으로 전 방향으로 오디오 파일을 서치 하도록 한다. 인가되는 제어신호가 REC를 요구한 경우에, 제어부(210)는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200)가 REC모드로 운영되도록 제어한다. 즉, 헤드부(205)를 통해 미 도시된 오디오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복조부(205)에서 복조하도록 제어하고, 복조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메모리부(215)에 기록되도록 제어한다.Performing the corresponding function, for example, when the applied control signal requires REW, the controller 210 records the cassette tape-type audio signal to search the audio file in the reverse direction based on the digital audio file currently being reproduced.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layback apparatus 200. When the applied control signal requires FF, the controller 210 searches the audio file in all directions based on the digital audio file currently being reproduced. When the applied control signal requests REC, the controller 210 controls the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200 to be operated in the REC mode. That is, the demodulator 205 controls the digital audio signal received from the audio system not shown through the head unit 205 to be demodulated, and the demodulated digital audio signal is recorded in the memory unit 215.

또한, 제 406 단계에서 수신된 제어신호가 상시 녹화(이하 REC라고 약함)모드를 요구하는 신호인 경우에 제어부(2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한다.In addition, when the control signal received in step 406 is a signal for requesting a continuous recording (hereinafter, abbreviated as REC) mode, the controller 210 operates as shown in FIG. 5.

즉, 수신된 제어신호가 상시 REC 모드인 지를 체크한다(제 501 단계). 체크결과, 상시 REC 모드가 아니면, 수신된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기능 수행모드로 진행된다(제 502 단계).That is, it is checked whether the received control signal is always in the REC mode (step 501). As a result of the check, if the mode is not the REC mode, the process proceeds to the function execution mod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step 502).

그러나, 체크결과, 상시 REC 모드이면, 제어부(210)는 제 503 단계에서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200)의 동작 모드를 자동 REC모드로 설정한다. 이에 따라 헤드부(201)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복조부(205)를 통해 메모리부(215)로 전송되어 소정의 기억 장소에 기록된다. 이와 같이 녹음모드를 수행하면서 제어부(210)는 정상적인 REC 제어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체크한다(제 504 단계). 정상적인 REC 제어신호는 미 도시된 오디오 시스템에 구비되어 있는 REC 기능키를 제어함에 따라 발생되는 신호이다.However, if the check result shows that the recording mode is always, the control unit 210 sets the operation mode of the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200 to the automatic REC mode in step 503. Accordingly, the digital audio signal received from the head portion 201 is transmitted to the memory portion 215 through the demodulation portion 205 and recorded in a predetermined storage location. In this way, while performing the recording mode, the controller 210 checks whether a normal REC control signal has been received (step 504). A normal REC control signal is a signal generated by controlling a REC function key included in an audio system not shown.

체크결과, 정상적인 REC 제어신호가 수신되었으면, 제어부(210)는 제 505 단계에서 정상적인 REC모드로 진행된다. 이에 따라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200)는 정상적인 REC 제어신호가 인가되기 전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메모리부(215)에 저장하게 된다.As a result of the check, if the normal REC control signal is received, the controller 210 proceeds to the normal REC mode in step 505. Accordingly, the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200 stores the audio signal received before the normal REC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the memory unit 215.

그러나, 체크결과, 정상적인 REC 제어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210)는 제 506 단계에서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체크한다. 소정 시간은 상시 REC 모드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메모리부(215)에 기록된 정보에 대한 존재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However, if a normal REC control signal is not received as a result of the check, the controller 210 checks wheth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in step 506. The predetermined time i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memory unit 215 is present in the continuous REC mode.

체크결과, 소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으면, 제 504 단계로 리턴하여 정상적인 REC 제어신호에 대한 수신여부를 체크한다. 그러나, 체크결과,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으면, 제 507 단계에서 상기 제 503 단계부터 메모리부(215)에 기록되었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지운다(erase). 그 다음, 제 508 단계에서 상시 REC 모드 해제를 요구하는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상시 REC 모드 해제를 요구하는 신호가 수신되었으면, 제어부(210)는 상시 REC 모드를 종료한다. 그러나, 체크결과, 상시 REC 모드 해제를 요구하는 신호가 수신되지 않았으면, 제 503 단계로 리턴되어 상술한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As a result of the check, if the predetermined time has not elapse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504 to check whether the normal REC control signal has been received. However, if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s a result of the check, the digital audio signal recorded in the memory unit 215 from step 503 is erased in step 507. Next, in step 508, it is checked whether a signal for requesting to release the REC mode is received. As a result of the check, if a signal for requesting to release the continuous REC mode is received, the controller 210 terminates the continuous REC mode. However, if a signal for requesting to release the REC mode is not received as a result of the check, the process returns to step 503 and repeats the above-described process.

한편, 도 2에 도시된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200)에 적합한 오디오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오디오 시스템(300)과 같이 구성된다.Meanwhile, an audio system suitable for the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200 shown in FIG. 2 is configured like the audio system 300 shown in FI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300)에 적합한 오디오 시스템(300)의 블록도로서, 카세트 플레이어와 같은 구조를 가지면, 헤드부(301), 복조부(305), 디코더(310), 오디오 신호 처리부(314), 튜너(330), 증폭기(이하 AMP라고 약함)(335), 아날로그/디지탈(A/D) 변환기(337), 인코더(340), 변조부(345), 제어부(350), 기능키 군(360), 표시부(370)로 구성된다.3 is a block diagram of an audio system 300 suitable for a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a structure such as a cassette player, and includes a head portion 301 and a demodulation portion 305. , Decoder 310, audio signal processor 314, tuner 330, amplifier (hereinafter abbreviated as AMP) 335, analog / digital (A / D) converter 337, encoder 340, modulator ( 345, a control unit 350, a function key group 360, and a display unit 370.

헤드부(301)는 도 2에 도시된 헤드부(201)와 접촉되어 자기 신호를 전송하는 자기 헤드로서, 오디오 시스템(300)의 동작 모드가 디지털 오디오 신호 재생모드인 경우에는 헤드부(201)로부터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녹음모드인 경우에는헤드부(201)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발생된 경우에, 헤드부(301)는 헤드부(201)로 해당되는 제어신호를 송신한다.The head part 301 is a magnetic head which contacts the head part 201 shown in FIG. 2 and transmits a magnetic signal.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audio system 300 is a digital audio signal reproduction mode, the head part 201 is used. The digital audio signal is received from the digital audio signal, and the digital audio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head unit 201 in the recording mode. In addition, when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200 is generated, the head unit 301 transmit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head unit 201.

그러나, 오디오 시스템(300)과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200)간에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도록 동작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헤드부(301)는 헤드부(201)와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만 송수신한다.However, when the operation mode is set to transmit the analog audio signal between the audio system 300 and the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200, the head portion 301 is the head portion 201 and the analog audio signal only. Send and receive

복조부(305), 디코더(310) 및 오디오 신호 처리부(314)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 재생모드시 제어부(360)에 의해 제어되어 동작한다. 즉, 기능키 군(360)에 구비되어 있는 재생키가 제어되면, 제어부(350)는 복조부(305)를 제어하여 헤드부(301)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복조하도록 한다. 복조 방식은 도 2의 변조부(220)와 역으로 수행된다. 복조된 오디오 신호는 디코더(310)로 전송된다. 디코더(310)는 복조된 오디오 신호를 원래의 오디오 신호로 복원할 수 있도록 디코딩한다.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314)로 전송된다.The demodulator 305, the decoder 310, and the audio signal processor 314 are controlled and operated by the controller 360 in the digital audio signal reproduction mode. That is, when the playback key included in the function key group 360 is controlled, the controller 350 controls the demodulator 305 to demodulate the digital audi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head unit 301. The demodulation method is performed inversely with the modulator 220 of FIG. 2. The demodulated audio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decoder 310. The decoder 310 decodes the demodulated audio signal so that it can be restored to the original audio signal. The decoded audio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audio signal processor 314.

오디오 신호 처리부(314)는 디지털/아날로그(이하 D/A라고 약함) 변환부(315), AMP(320) 및 스피커(325)로 구성되어, 디코드된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기존의 알려진 방식으로 신호처리 한다.The audio signal processor 314 is composed of a digital / analog conver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D / A) 315, an AMP 320, and a speaker 325, so that a user can listen to a decoded audio signal. Signal in a known manner.

한편, 오디오 시스템(300)과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200)간에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동작모드로 설정된 경우에, 헤드부(301)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AMP(320)로 바로 전송되어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신호 처리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udio system 300 and the cassette tape-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200 is set in the operation mode to transmit the analog audio signal received from the head unit 301 is the AMP 320 It is sent directly to) and signaled for user listening.

튜너(330)는 오디오 시스템(300)의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를 기존의 오디오 장치와 같이 수신한다. AMP(335)는 튜너(33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소정치 증폭한다. A/D변환부(337)는 증폭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인코더(340)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정해진 압축률만큼 압축되도록 코딩한다. 압축률은 도 2에 도시된 메모리부(215)의 구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코딩된 오디오 신호는 변조부(345)로 전송된다. 변조부(345)는 정해진 변조방식에 따라 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변조하여 헤드부(301)로 전송한다.The tuner 330 receives an au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of the audio system 300 like an existing audio device. The AMP 335 amplifies the audio signal received from the tuner 330 by a predetermined value. The A / D converter 337 converts the amplified analog audio signal into a digital audio signal. The encoder 340 codes the digital audio signal to be compressed by a predetermined compression rate. The compression rat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memory unit 215 shown in FIG. 2. The coded audio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odulator 345. The modulator 345 modulates the coded audio sig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odulation scheme and transmits the coded audio signal to the head unit 301.

한편, 오디오 시스템(300)과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200)간에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동작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AMP(335)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헤드부(301)로 바로 전송되어 헤드부(201)로 전송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ration mode is set to transmit the analog audio signal between the audio system 300 and the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200,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AMP 335 is the head portion 301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head unit 201.

기능키 군(360)은 오디오 시스템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키들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재생(PLAY) 키, 녹음(REC)키, REW키, FF키, 정지(STOP)키, 상시 REC 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function key group 360 is composed of function keys for controlling the functions of the audio system. For example, it may include a PLAY key, a REC key, a REW key, an FF key, a STOP key, a regular REC key, and the like.

제어부(350)는 오디오 시스템(300)이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200)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제어한다. 도 6을 참조하여 제어부(350)의 동작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troller 350 controls the audio system 300 to drive the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200.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35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as follows.

먼저 제 601 단계에서 임의의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가 삽입되었는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삽입되었으면, 제 602 단계에서 해당되는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로부터 오디오 시스템(300)과의오디오 신호 전송방식을 체크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수신되지 않았으면, 제 603 단계에서 기존 처리모드로 진행된다. 이는 현재 삽입된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가 본 발명에 따른 장치(200)가 아니라 기존의 아날로그 형태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장치라는 의미이다.First, in step 601 it is checked whether any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is inserted. As a result of the check, if inserted, it is checked in step 602 whether a signal for checking the audio signal transmission method with the audio system 300 is received from the corresponding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If it is not checked, the process proceeds to the existing processing mode in step 603. This means that the cassette tape-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currently inserted is not an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udio signals in a conventional analog form.

그러나, 제 602 단계에서 체크한 결과, 전송방식을 체크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350)는 이 때 삽입된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200)로 인식하고 제 603 단계에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응답신호를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응답 신호는 변조부(345)와 헤드부(301)를 통해 도 2에 도시된 헤드부(201)로 전송된다.However, if a signal for checking a transmission method is received as a result of checking in step 602, the controller 350 indicates that the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inserted at this time is the apparatus 200 as shown in FIG. In step 603, a response signal preset in step 603 is transmitted. Accordingly, the respons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head unit 201 shown in FIG. 2 through the modulator 345 and the head unit 301.

응답 신호를 송출한 후, 제어부(350)는 헤드부(301)를 통해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체크한다(제 605 단계). 체크결과,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제 606 단계에서 제어부(350)는 오디오 시스템(300)이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에 대해 재생처리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즉, 헤드부(301)에서 수신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자기신호에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복조부(305)로 전송하도록 하고, 복조부(305)는 인가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복조하고, 디코더(310)는 복조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고, 오디오 신호 처리부(314)는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시켜 사용자가 시청 가능한 형태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After transmitting the response signal, the controller 350 checks whether an audio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head unit 301 (step 605). As a result of the check, when the audio signal is received, in step 606, the controller 350 controls the audio system 300 to perform a reproduction process on the received audio signal. That is, the digital audio signal received from the head unit 301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magnetic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demodulator 305, and the demodulator 305 demodulates the applied digital audio signal, and the decoder ( In operation 310, the demodulated digital audio signal is decoded, and the audio signal processor 314 converts the decoded audio signal into an analog form and controls the decoded digital audio signal to be output in a form that a user can view.

그 다음, 제 607 단계에서 기능키 군(360)에서 기능키가 제어되었는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기능키가 제어되지 않았으면, 제 606 단계로 리턴되어 재생처리를 계속 수행한다. 그러나, 기능키가 제어되었으면, 제어부(350)는 제 608 단계에서 REC키가 제어되었는지 체크한다.Next, in operation 607, it is checked whether the function key is controlled in the function key group 360. As a result of the check, if the function key is not controlled, the flow returns to step 606 to continue the playback process. However, if the function key is controlled, the controller 350 checks whether the REC key is controlled in step 608.

체크결과, REC키가 제어되었으면, 제 609 단계에서 재생처리를 중단시키고, REC 기능키 정보가 송출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350)에서 REC 기능키 정보가 출력되면, 변조부(345)와 헤드부(301)를 통해 헤드부(201)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이 때, REC키는 상시 REC 키를 포함한다.As a result of the check, if the REC key is controlled, the playback processing is interrupted in step 609, and control is performed so that the REC function key information is sent. That is, when the REC function key information is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350, the control unit 350 controls the transmission to the head unit 201 through the modulator 345 and the head unit 301. At this time, the REC key always includes the REC key.

그리고, 해당되는 오디오 신호를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200)로 송출하도록 제어한다(제 610 단계). 즉, 튜너(330)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AMP(335)에서 소정치로 증폭시키고, A/D변환부(337)에서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시키고, 인코더(340)에서 압축시키고, 변조부(345)에서 변조시켜 헤드부(301)를 통해 해당되는 오디오신호를 디지털 신호 형태로 송출한다.Then, the audio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200 (step 610). That is, the audi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tuner 330 is amplified by the AMP 335 to a predetermined value, the A / D converter 337 is converted into a digital audio signal, the encoder 340 is compressed, and the modulator In step 345, the audio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head unit 301 in the form of a digital signal.

그 다음, 제 611 단계에서 REC모드 해제키가 제어되었는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REC모드 해제키가 제어되지 않았으면, 제 610 단계로 리턴되어 REC모드를 계속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REC모드 해제키가 제어되었으면, 제 607 단계로 리턴되어 상술한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Then, it is checked in step 611 whether the REC mode release key is controlled. As a result of the check, if the REC mode release key is not controlled, the flow returns to step 610 to control to continue the REC mode. However, if the REC mode release key is controlle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607 to repeat the above-described process.

한편, 제 608 단계에서 체크한 결과, REC키가 제어되지 않았으면, 제 612 단계에서 재생처리를 중단시키고,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200)로 기능키 정보를 송출한다. 이에 따라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200)에 대해 FF제어를 하거나 REW제어를 할 경우에, 정지키나 재생키를 별도로 제어하지 않고 FF키와 REW키만으로 제어가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f the REC key is not controlled as a result of checking in step 608, the playback process is stopped in step 612, and the function key information is sent to the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200. Accordingly, in the case of performing the FF control or the REW control on the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200, it is possible to control only the FF key and the REW key without separately controlling the stop key or the playback key.

그 다음, 제 613 단계에서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제 606 단계로 리턴되어 상술한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그러나,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지 않았으면, 제 614 단계에서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가 이젝트(eject)되었는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이젝트되지 않았으면, 제 613 단계로 리턴된다. 그러나 이젝트 되었으면, 작업을 종료한다.Next, in step 613, it is checked whether an audio signal has been received. As a result of the check, when the audio signal is receive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606 to repeat the above-described process. However, if no audio signal is received, it is checked in step 614 whether the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has been ejected. If it is not checked, it is returned to step 613. If it is ejected, however, the operation ends.

그리고, 제 605 단계에서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 614 단계로 진행된다.If no audio signal is received in step 605, the flow proceeds to step 614.

표시부(370)는 제어부(350)에 의해 제어되어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200)의 현재 동작상태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하는 것으로, 액정 표시소자(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The display unit 37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350 to display the current operation state of the cassette tape-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200 so that a user can know the display unit 370. The display unit 370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Can be configured. An example display is shown in FIG. 7.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청구범위로 한정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claims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defined within the scope of the detailed description, but will be limited to the claims below.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와 오디오 시스템간의 헤드부를 통해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전송함으로써,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재생되는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헤드부를 통해 전송함으로써,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 장치에 대한 기능 제어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FF나 REW를 제어할 때, 기존에는 릴구동을 감지하여 수행함에 따라 FF제어 후, PLAY 또는 STOP키를 제어하여야 하나,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는 FF키만 제어하거나 REW키를 제어하는 것으로 해당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서치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에 비해 기능 제어가 용이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by transmitting the audio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head portion between the cassette tape-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the audio system in a digital form,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loss of the transmitted audio signal to improve the reproduced sound quality. have. Further, by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through the head por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unction control of the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is easy. For example, when controlling FF or REW, conventionally, the PLAY or STOP key should be controlled after FF control as the reel drive is detected and performed. However, th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only the FF key or REW. Since the corresponding digital audio file can be searched by controlling the key, it is easier to control the function than the conventional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Claims (9)

카세트 플레이어와 같은 구조로 구성된 오디오 시스템에 삽입되어 구동되는 것이 가능한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에 있어서,In a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which can be inserted and driven in an audio system having a structure such as a cassette player, 상기 오디오 시스템에 상기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가 삽입되면, 상기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와 상기 오디오 시스템간의 오디오 신호 전송모드를 설정하는 제어부;A control unit for setting an audio signal transmission mode between the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the audio system when the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is inserted into the audio system; 적어도 1개의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저장하는 메모리부;A memory unit for storing at least one digital audio file;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가 디지털 오디오 신호 전송 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리드된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변조하는 변조부; 및A modulator for modulating the digital audio file read from the memory unit when the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is set to a digital audio signal transmission mode by the controller; And 상기 변조부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자기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오디오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And a head unit for converting the digital au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dulator into a magnetic signal and transmitting the magnetic audio signal to the audio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다른 채널을 통해 상기 오디오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head unit further includes a function of receiv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function of the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from the audio system through a channel different from the digital audio signal.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는, 상기 제어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녹음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헤드부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메모리부로 전송하는 복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The audio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demodulates the control signal and transmits the demodulated signal to the control unit. And a demodulation unit for demodulating and transmitting the demodulation unit to the memory uni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녹음모드가 상시 녹음 모드이면, 정상적인 녹음모드를 제어하는 제어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소정 시간단위로 상기 메모리부에 상기 복조부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기록하고, 상기 기록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지우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4. The digital recording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controller records the digital au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emodulator in a predetermined time unit until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normal recording mode is received when the recording mode is a continuous recording mode. And repeatedly erasing the recorded digital audio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는,Th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가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전송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리드된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복원하기 위하여 디코딩하는 디코더;A decoder which decodes to restore the digital audio file read from the memory unit when the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is set to an analog audio signal transmission mode by the controller; 상기 디코더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헤드부로 전송하는 D/A변환부;A D / A converter converting the digital au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ecoder into an analog audio signal and transmitting the analog audio signal to the head unit; 상기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가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전송모드에서의 녹음 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헤드부로부터 전송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 및An A / D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an analog au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head unit into a digital signal when the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is set to a recording mode in the analog audio signal transmission mode; And 상기 A/D변환부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소정의 압축율에 따라 압축되도록 인코딩하여 메모리부로 전송하는 인코더를 더 포함하는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And an encoder for encoding the digital au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A / D converter to be compress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mpression ratio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a memory unit.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를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카세트 플레이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오디오 시스템에 있어서,In an audio system having a structure such as a cassette player capable of driving a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상기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변조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헤드부;A head unit for receiving a modulated digital au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상기 헤드부로부터 전송되는 변조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A demodulator for demodulating a modulated digital au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head unit; 상기 복조부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더;A decoder for decoding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demodulator; 상기 디코더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오디오 시스템.And an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converting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decoder into an analog signal and outputting the analog signal.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시스템은,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audio system, 상기 오디오 시스템 및 상기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기능키 군;A group of function keys for controlling functions of the audio system and the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상기 기능키 군에 포함되어 기능키를 이용하여 상기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키가 제어되면, 해당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다른 채널을 통해 상기 헤드부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오디오 시스템.When a function key for controlling a function of the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is controlled by using a function key included in the group of function keys,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a channel different from the digital audio signal. The audio system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o the negativ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시스템은,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udio system, 외부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A tuner for receiving an audio signal from the outside; 상기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에 대한 녹음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키가 제어되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튜너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소정의 압축률에 따라 압축하는 인코더;An encoder for controlling the recording mode for the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the encoder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to compress the audio signal received from the tune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mpression ratio; 상기 인코더로부터 전송되는 압축된 오디오 신호를 변조하여 상기 헤드부로 전송하는 변조부를 포함하고,A modulator for modulating the compressed au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ncoder and transmitting the modulated audio signal to the head unit; 상기 헤드부는 상기 녹음모드시 상기 변조부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제어신호를 상기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And the head unit transmits the digital audio signal and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dulator in the recording mode to the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오디오 시스템.8. The audio system of claim 7, wherein the audio system further includes a display unit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to display an operation state of the cassette tape type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1020010014299A 2001-03-20 2001-03-20 Apparatus of cassette tape type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udio signal and audio system suitable thereof KR2002007454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4299A KR20020074545A (en) 2001-03-20 2001-03-20 Apparatus of cassette tape type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udio signal and audio system suitabl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4299A KR20020074545A (en) 2001-03-20 2001-03-20 Apparatus of cassette tape type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udio signal and audio system suitable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4545A true KR20020074545A (en) 2002-10-04

Family

ID=27751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4299A KR20020074545A (en) 2001-03-20 2001-03-20 Apparatus of cassette tape type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udio signal and audio system suitable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4545A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8800A (en) * 1996-08-16 1998-03-24 Shinkonkuochiiyuushienkonshii Cassette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KR20000000480A (en) * 1999-10-27 2000-01-15 김영 the memory device of the cassette type on using a cassette recorder
KR20000051851A (en) * 1999-01-27 2000-08-16 김용대 Digital audio recording/playback device and operating method
KR20000075404A (en) * 1999-05-12 2000-12-15 김문근 Cassette type MP3 player and smart music card
JP2001043669A (en) * 1999-08-03 2001-02-16 Canon Inc Digital audio data reproducing device
JP2001142492A (en) * 1999-11-11 2001-05-25 Sony Corp Portable acoustic apparatu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8800A (en) * 1996-08-16 1998-03-24 Shinkonkuochiiyuushienkonshii Cassette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KR20000051851A (en) * 1999-01-27 2000-08-16 김용대 Digital audio recording/playback device and operating method
KR20000075404A (en) * 1999-05-12 2000-12-15 김문근 Cassette type MP3 player and smart music card
JP2001043669A (en) * 1999-08-03 2001-02-16 Canon Inc Digital audio data reproducing device
KR20000000480A (en) * 1999-10-27 2000-01-15 김영 the memory device of the cassette type on using a cassette recorder
JP2001142492A (en) * 1999-11-11 2001-05-25 Sony Corp Portable acoustic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2492B1 (en) Cassette type audio data or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4003697B2 (en) Video playback device
US7362948B2 (en) Video copying apparatus
JPH0745050A (en) Automatic sorting and recording device
US7639585B2 (en) Reproducing system selecting part of content data from position recorded on one recording medium and recording selected content data at same position on second recording medium
KR20020074545A (en) Apparatus of cassette tape type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udio signal and audio system suitable thereof
JP3614310B2 (en) Recording device
JP3714505B2 (en) Recording apparatus, reproduction record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KR0179113B1 (en) Audio dubbing and reprodu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vcr
JPS637585A (en) Magnetic recorder
KR100258592B1 (en) Device for converting magnetic recording signal and method therefor
JPS6342340B2 (en)
JPH0636531Y2 (en) Recording / playback device
KR0150163B1 (e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0360390B1 (en) MPEG player having a function of a cassette tap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2135728A (en) Video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KR0129624B1 (en) Cassette tape recorder information of song and its reproducing apparatus
JPH06231538A (en) Disk recorder/reproducer
JPH0830743A (en) Audio information transfer system
JP3869646B2 (en) Audio signal recording device
JP2005032357A (en) Instruction input device
JPH05182365A (en) Magnetic tape device
KR19990026007A (en) Synchro recording of disc
JPH0836845A (en) Information processor
KR19980014549A (en) A paus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non-signal section of a video ta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