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3734A - 저주파 다이어트용 압박밴드 - Google Patents

저주파 다이어트용 압박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3734A
KR20020073734A KR1020010013490A KR20010013490A KR20020073734A KR 20020073734 A KR20020073734 A KR 20020073734A KR 1020010013490 A KR1020010013490 A KR 1020010013490A KR 20010013490 A KR20010013490 A KR 20010013490A KR 20020073734 A KR20020073734 A KR 20020073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frequency
diet
skin
band
compression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3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뷰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뷰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뷰닉스
Priority to KR1020010013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3734A/ko
Publication of KR20020073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373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20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continuous direct currents
    • A61N1/22Electromedical belts, e.g. neck chains, armb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breast or abdomen
    • A61F13/148Abdomen bandages or bandaging gar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도록 착용하는 저주파 자극용 패드를 통해 전달되는 저주파에 의한 물리적인 자극으로 인체내에 축적된 불필요한 지방 성분의 칼로리 소모를 강제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사용자의 허리부위에 착탈가능하게 착용되는 압박밴드와, 압박밴드에 고정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전원공급부로 부터 전류 인가시 저주파를 발생하는 저주파 발생기와, 전원공급부로 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며, 저주파 발생기로 부터 저주파를 발생하는 작동시간 및 저주파 발생강도를 조절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저주파 발생기에 직,병렬형으로 적어도 1열 이상으로 연결되어 압박밴드에 고정되며, 저주파 발생기로 부터 전달되는 저주파를 사용자의 피부에 전달하여 물리적인 자극을 반복하는 저주파 자극용 패드를 제공한다.
이로 인해, 압박밴드에 부착되어 직,병렬형으로 접속된 실린콘 패드를 통해 피부에 전달되는 저주파 파형에 의해 사용자의 허리 및 뱃살부위의 살을 집중적으로 요동시켜 그 피하 지방층의 칼로리 소모를 강제적으로 촉진시켜 피부하층에 산재된 지방 성분을 연소시키며,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않고 남여노소 누구나 사용할 수 있고 혼자서 실천할 수 있고, 값비싼 운동장비, 다이어트 기구 및 의약품을 이용하지않고 이들의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소요된다.

Description

저주파 다이어트용 압박밴드{belt for low pulse diet}
본 발명은 사용자가 허리부위에 압박밴드를 착용한 상태에서 피부에 전달되는 저주파에 의한 물리적인 자극으로 인체내에 축적된 불필요한 지방 성분의 칼로리 소모를 강제적으로 촉진시켜 허리 및 뱃살부위를 정상화시킬 수 있도록 한 저주파 다이어트용 압박밴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압박밴드에 부착되어 직,병렬형으로 접속된 다수개의 저주파 발생용 패드를 통해 피부에 전달되는 저주파 파형에 의해 사용자의 허리 및 뱃살부위를 집중적으로 자극하여 긴장 및 이완의 반복으로 인해 칼로리 소모를 촉진시켜 피부하층에 산재된 지방 성분을 연소시켜 소멸시킬 수 있도록 한 저주파 다이어트용 압박밴드에 관한 것이다.
바쁜 현대인들은 고칼로리의 다양한 음식을 섭취하는 반면에, 최소한의 운동량 부족으로 인해 과체중 현상이 남여노소 누구에게나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발생되는 비만 증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방 성분을 제거한 식이요법 또는 인체에 축적된 지방성분을 칼로리로 소모시키는 운동에 의한 해결방법이 있으나, 이들은 상대방의 도움을 받아야 실천할 수 있는 등 여러가지의 제한요소를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압박밴드에 부착되어 직,병렬형으로 접속된 실린콘 패드를 통해 피부에 전달되는 저주파 파형에 의해 사용자의 허리 및 뱃살부위의 살을 집중적으로 요동시켜 그 피하 지방층의 칼로리 소모를 강제적으로 촉진시켜 피부하층에 산재된 지방 성분을 연소시켜 허리 및 뱃살부위를 정상화할 수 있도록 한 저주파 다이어트용 압박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않고 혼자서 실천할 수 있고, 남여노소 누구나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저주파 다이어트용 압박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값비싼 운동장비, 다이어트 기구 및 의약품을 이용하지않고 이들의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여 제품의 경쟁력을 갖도록 한 저주파 다이어트용 압박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저주파 다이어트용 압박밴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저주파 다이어트용 압박밴드에서 저주파 발생기의 확대발췌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저주파자극용 패드의 부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저주파 다이어트용 압박밴드의 사용상태도 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압박밴드
2; 전원공급부
3; 저주파 발생기
4; 마이크로 컨트롤러
5; 저주파자극용 패드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허리부위에 착탈가능하게 착용되는 압박밴드와, 압박밴드에 고정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전원공급부로 부터 전류 인가시 저주파를 발생하는 저주파 발생기와, 전원공급부로 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며, 저주파 발생기로 부터 저주파를 발생하는 작동시간 및 저주파 발생강도를 조절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저주파 발생기에 직,병렬형으로 적어도 1열 이상으로 연결되어 압박밴드에 고정되며, 저주파 발생기로 부터 전달되는 저주파를 사용자의 피부에 전달하여 물리적인 자극을 반복하는 저주파 자극용 패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다이어트용 압박밴드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저주파 자극용 패드는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어 자극이 가해질 때 불쾌감을 느끼지않도록 피부와 접촉하는 부위가 블록한 돔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압박밴드를 허리부위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수단으로 부직포 또는 화스너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허리부위에 부직포 또는 화스너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압박밴드(1)와, 압박밴드(1)에 고정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배터리가 사용됨)와, 전원공급부(2)로 부터 전류 인가시 저주파를 발생하는 저주파 발생기(3)와, 전원공급부(2)로 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며, 저주파 발생기(3)로 부터 저주파를 발생하는 작동시간 및 저주파 발생강도를 조절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4)와, 저주파 발생기(3)에 신축성을 갖는 전도성의 케이블(8)(또는 전도성의 실린콘 줄이 사용될 수 있음)을 통해 직,병렬형으로 적어도 1열이상으로 연결되어 압박밴드(1)에 고정되며, 저주파 발생기(3)로 부터 전달되는 저주파를 사용자의 피부에 전달하여 물리적인 자극을 반복하는 저주파 자극용 패드(5)를 구비한다.
이때, 바람직하기로는, 전술한 저주파 자극용 패드(5)는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어 자극이 가해질 때 불쾌감을 느끼지않도록 피부와 접촉하는 부위가 블록한 돔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미 설명부호 6은 전원공급부(2)로부터 저주파 발생기(3)에 인가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온/오프 스위치, 7은 저주파 발생기(3)의 작동시간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타이머, 9 및 10은 압박밴드(1)를 허리부위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부직포, 11은 저주파 발생기(3)를 저주파 자극용 패드(5)와 연결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연결포트 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의한 저주파 다이어트용 압박밴드의 사용방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박밴드(1)를 이의 양단부에 부착된 부직포(9,10)(또는 화스너가 사용될 수 있음)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배 및 허리부위를 감싸도록 타이트한 상태로 잡아당겨 고정하되, 저파파 자극용 패드(5)가 사용자의 피부에 완전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고정한다.
전술한 저주파 발생기(3)로 부터 발생하는 다양한 파형을 갖는 저주파는 신축성을 갖는 전도성의 케이블(8)에 의해 직,병렬형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저주파 자극용 패드(5)에 순차적 또는 동시에 전달되어 배 및 허리부위을 물리적으로 자극하게 된다.
이때, 저주파 자극용 패드(5)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를 자극시키는 순서는, A →B →C →D →E →F →G →H순서에 의해 반복적으로 자극하거나, A →B →G/H →E/F →C/D순서에 의해 반복적으로 자극하게 된다.
또는, 전술한 마이크로 컨트롤러(4)에 의해 저주파 자극용 패드(5)에 저주파 강도를 달리하도록 하는 저주파 강도 조절수단을 구비하여 사용하는 경우, 압박밴드(1)가 착용되는 배 및 허리부위의 살이 물결을 이루는 모양으로 움직임에 따라 저주파 자극을 받은 피부는 저주파의 물리적인 힘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움직인다.
이와 같이 피부의 움직임으로 인한 피부 운동으로 그 부위의 피하 지방층의 칼로리 소모를 촉진시키게되어 피부하층에 산재되어 있는 지방 성분을 연소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특히, 저주파 자극용 패드(5)중 B패드는 사용자의 단전 부위를 자극하게 되어 배 하단부위를 특히 긴장시키게됨에 따라 전체적으로 뱃살 및 허리부위의 긴장 및 이완의 반복으로 인하여 칼로리 소모를 더욱 촉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저주파 발생기(3)에 전원스위치(6)의 온(ON)작동시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램프(미도시됨)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저주파 발생기(3)의 작동상태 유무 또는 전원공급부(2)의 소모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저주파 발생기(3)의 작동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타이머(7)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사용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압박밴드(1)는 배 및 허리부위를 포함하여 팔, 다리, 복부, 종아리, 등판 등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압박밴드에 부착되어 직,병렬형으로 접속된 실린콘 패드를 통해 피부에 전달되는 저주파 파형에 의해 사용자의 허리 및 뱃살부위의 살을 집중적으로 요동시켜 그 피하 지방층의 칼로리 소모를 강제적으로 촉진시켜 피부하층에 산재된 지방 성분을 연소시켜 허리 및 뱃살부위를 정상화할 수 있다.
또한,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않고 혼자서 실천할 수 있고, 남여노소 누구나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값비싼 운동장비, 다이어트 기구 및 의약품을 이용하지않고 이들의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여 제품의 경쟁력을 갖게 된다.

Claims (3)

  1. 사용자의 허리부위에 착탈가능하게 착용되는 압박밴드;
    상기 압박밴드에 고정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로 부터 전류 인가시 저주파를 발생하는 저주파 발생기;
    상기 전원공급부로 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며, 상기 저주파 발생기로 부터 저주파를 발생하는 작동시간 및 저주파 발생강도를 조절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및
    상기 저주파 발생기에 직,병렬형으로 적어도 1열 이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압박밴드에 고정되며, 상기 저주파 발생기로 부터 전달되는 저주파를 사용자의 피부에 전달하여 물리적인 자극을 반복하는 저주파자극용 패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다이어트용 압박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자극용 패드는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어 자극이 가해질 때 불쾌감을 느끼지않도록 피부와 접촉하는 부위가 블록한 돔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다이어트용 압박밴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압박밴드를 허리부위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수단으로 부직포 또는 화스너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다이어트용 압박밴드.
KR1020010013490A 2001-03-15 2001-03-15 저주파 다이어트용 압박밴드 KR200200737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3490A KR20020073734A (ko) 2001-03-15 2001-03-15 저주파 다이어트용 압박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3490A KR20020073734A (ko) 2001-03-15 2001-03-15 저주파 다이어트용 압박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3734A true KR20020073734A (ko) 2002-09-28

Family

ID=27697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3490A KR20020073734A (ko) 2001-03-15 2001-03-15 저주파 다이어트용 압박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373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69854A1 (en) * 2005-12-14 2007-06-21 G-Man Co., Ltd. Microcurrent stimulus apparatus
KR100795826B1 (ko) * 2006-12-11 2008-01-17 주식회사 지맨 미세전류 자극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3746Y1 (ko) * 1999-09-21 2000-03-15 염현직 저주파 미용 압박밴드
KR200199086Y1 (ko) * 2000-04-27 2000-10-02 조재희 저주파 발생용 찜질 패드
KR200216996Y1 (ko) * 2000-10-02 2001-03-15 문명건 미용밸트
KR20020065309A (ko) * 2001-02-06 2002-08-13 황현배 초음파 진동/저주파를 이용한 복부비만 치료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3746Y1 (ko) * 1999-09-21 2000-03-15 염현직 저주파 미용 압박밴드
KR200199086Y1 (ko) * 2000-04-27 2000-10-02 조재희 저주파 발생용 찜질 패드
KR200216996Y1 (ko) * 2000-10-02 2001-03-15 문명건 미용밸트
KR20020065309A (ko) * 2001-02-06 2002-08-13 황현배 초음파 진동/저주파를 이용한 복부비만 치료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69854A1 (en) * 2005-12-14 2007-06-21 G-Man Co., Ltd. Microcurrent stimulus apparatus
KR100795826B1 (ko) * 2006-12-11 2008-01-17 주식회사 지맨 미세전류 자극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0735A (en) Apparatus for electro-stimulation of flexing body portions
US6615080B1 (en)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foot muscles for prevention of deep vein thrombosis and pulmonary embolism
US6226552B1 (en)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for preventing deep vein thrombosis
KR101227749B1 (ko) 골반저근 강화연습용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방법
KR200412781Y1 (ko) 복합 기능 물리치료기
GB2436010A (en) Combined heat therapy and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device
KR101652169B1 (ko) 복부벨트
WO2001070333A1 (fr) Dispositif medical a impulsions
KR100611142B1 (ko) 휴대용 피하 지방 제거기
KR102140081B1 (ko) 반려동물용 저주파 치료기
WO2013124882A1 (ja) 電気刺激用装着具
JP3194492U (ja) 電気刺激用装着具
KR20020073734A (ko) 저주파 다이어트용 압박밴드
TWI610669B (zh) 穿戴式電子骨盆帶
KR20200063532A (ko) 저주파 근육자극장치
KR102645687B1 (ko) 헬스밴드
JP3217355U (ja) 電気刺激用装着具
KR200365815Y1 (ko) 허벅지용 저주파 벨트
CN211584894U (zh) 一种预防血栓治疗仪
KR101110711B1 (ko) 인체동작 기반 운동 보조기구
KR20100049382A (ko) 이코노미 클래스 증후군 예방용 하지 근육 전기자극기
KR200247169Y1 (ko) 건강 벨트
JP7433855B2 (ja) サポーター器具
KR20150013407A (ko) 성장판 자극장치
KR200365814Y1 (ko) 허리용 저주파 벨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