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2065A - 액정표시장치를 부가한 휴대폰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를 부가한 휴대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2065A
KR20020072065A KR1020010012035A KR20010012035A KR20020072065A KR 20020072065 A KR20020072065 A KR 20020072065A KR 1020010012035 A KR1020010012035 A KR 1020010012035A KR 20010012035 A KR20010012035 A KR 20010012035A KR 20020072065 A KR20020072065 A KR 20020072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main body
mobile terminal
wireless mobile
digital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2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5070B1 (ko
Inventor
장익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2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5070B1/ko
Publication of KR20020072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2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5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50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추가적인 디스플레이를 부착함으로써 대용량 멀티미디어 정보를 구현할 수 있는 휴대폰이 개시되어 있다. 휴대폰은 소용량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1 표시부 및 대용량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2 표시부로 구성되는 표시부와 송수신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다이얼 패드 및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본체, 음성 정보 교환을 위한 송수신부 그리고 전원 공급부로 구성된다. 이때, 대용량 화상정보를 표시하는 제2 표시부는 휴대폰의 측면이나 배면에 착탈 방식으로 부착된다. 이에 따라, 종전의 휴대폰을 이용하여 높은 해상도로서 편리하게 대용량 화상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를 부가한 휴대폰 {A cellular phone having an addition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개인 휴대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표시장치와 별도로 영상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추가적인 표시장치를 구비한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통신산업은 급격한 발전을 거듭하여 새로운 통신매체들이 대거 출현하고 있다. 초기의 인쇄매체를 대체하고 등장하여 산업화의 진전과 함께 통신 인프라의 근간을 이루었던 전기 통신은 전신, 전화, 데이터 통신이 각기 별개의 통신망을 형성하고 있었으나, 최근들어 초고주파 및 광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여러 형태의 정보를 종합하여 전송하는 종합정보통신망(ISDN, 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을 구축하는 것으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통신선로를 사용하여 통신망을 형성하고 구축된 통신망을 통해서만 정보를 교환하는 유선통신은 주파수 변조과정을 통하여 대기중으로 신호를 전송하고 이를 수신하는 방식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무선통신 방식으로 발전하여 통신망에 의한 제약을 벗어나고 있으며, 반도체 및 컴퓨터 산업의 발달에 따라 기존의 아날로그 신호를 일련의 부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디지털 통신 방식으로 급속히 옮겨가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최근에는 다양한 정보를 이동간에도 신속하게 전달될 것을 요구하는 정보화 사회로 급속하게 진전됨에 따라 디지털 이동통신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아날로그 통신과 비교하여 디지털 통신의 주요 장점은 주파수 대역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정보신호를 원래 상태대로 손상됨이 없이 주고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에 의한 이동통신(제1세대 이동통신)은 CDMA 방식을 채택하는 디지털방식에 의한 이동통신(제2세대 이동통신)으로 급격하게 전환되고 있다.
최근에는 컴퓨터와 인터넷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음성통신이나 간단한 데이터 통신만 가능한 제1세대 이동통신으로부터 보다 높고 넓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함으로써 간단한 화상정보까지 주고 받을 수 있는 제2세대 이동통신으로의 전환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이라고 알려져 있는 개인휴대통신(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단말기(이하, 휴대폰)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제2세대 이동통신 방법으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게 하는 장치이다. 휴대폰은 CDMA 방식에 따라 각 단말기마다 고유번호를 할당해 주고 이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간섭에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전술한 종래의 휴대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를 참조하면, 종래의 휴대폰은 구동회로를 구비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부에서 개폐 가능한 구조를 갖는 덮개부(20) 및 전원공급부(3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상부 표면에 데이터 입력수단인 다이얼 패드(12) 및 송신부(42)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휴대폰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미도시)가 위치한다. 상기 다이얼 패드(12)는 다이얼링을 위한 다수의 숫자키, 단말기 구동전원을 온/오프 시키기 위한 전원키 및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기능키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키들의 입력동작으로 데이터가 원하는 데로 입력된다. 상기 송신부(42)는 단말기 주위의 소리신호를 받아들여 무선신호로 변조함으로써 상대방에 전달하기 위한 마이크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0)의 최하단에 위치한다.
상기 덮개부(20)는 본체(10)의 상측단에 힌지로 고정되어 힌지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여 개폐된다. 상기 덮개부(20)에는 문자 및 화상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22) 및 소리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44)를 구비한다. 상기 표시부(22)는 액정표시장치로 구성되어 다이얼 패드(12)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나 수신되는 문자 및 영상정보를 표시한다. 한편, 상기 수신부(44)는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복조하여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스피커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전원공급부(30)는 단말기의 각 구성부품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본체(10)의 배면에 위치하는 충전용 밧데리(32)로 구성된다. 송수신 신호의 변복조와 상기 다이얼 패드(12)에 의한 입력 데이터 및 상기 표시부(22)에의 출력정보는 본체(10)내의 구동회로에 의해 제어되고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휴대폰 시스템을 형성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휴대폰은 표시부(22)의 크기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대용량 화상정보를 구현하는데 많은 제약이 따른다. 최근의 디지털 무선통신분야의 기술현안은 전자 제품간의 통합과 사용자 편리성이 부가된 휴대폰의 개발로 압축되고 있다. 이에 따라, 휴대폰과 개인정보 단말기(PDA)가 결합된 PDA 폰이 개발되어 휴대폰으로 인터넷은 물론 개인 스케쥴 관리, 주소록 관리 등 개인의 정보관리가 가능한 복합 휴대폰이 출시되고 있으며, TV 폰, 카메라 폰 등과 같이 화상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성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IMT-2000 서비스가 본격화 될 경우, 현재의 음성 및 문자위주의 정보를 대신하여 멀티미디어 정보가 이동통신 정보의 주류를 이룰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동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휴대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멀티미디어 정보의 구현이라는 휴대폰 사용환경의 변화를 충족하기에는 종래 휴대폰 표시부의 크기가 너무 작고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정보를 구현하기 위해 충분한 화면 해상도를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화면 표시부외에 멀티미디어 정보를 구현하기 위한 추가적인 표시장치를 구비하는 휴대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휴대폰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추가적인 표시부를 갖는 휴대폰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에 제시된 휴대폰의 배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추가적 표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c는 휴대폰의 본체와 추가적 표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추가적인 표시부를 갖는 휴대폰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4에 제시된 휴대폰의 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추가적 표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추가적인 표시부를 갖는 휴대폰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a는 도 6에 제시된 휴대폰의 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추가적 표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휴대폰 본체120 : 다이얼 패드
140 : 본체용 연결포트142 : 접속홀
200 : 덮개부 220 : 제1 표시부
300 : 전원공급부320 : 충전용 밧데리
420 : 송신부440 : 수신부
520 : 제2 표시부525 : 접속수단
526 : 데이터 전송라인 540 : 제2 표시부용 연결포트
560 : 슬라이딩 가이드610 : 상단 지지부
620 : 하단 지지부720 : 연성 평면 케이블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용량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1 표시부 및 대용량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2 표시부를 구비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송수신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다이얼 패드 및 상기 표시부와 다이얼 패드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를 구비하는 본체; 음성 정보 교환을 위한 송수신부; 및 상기 표시부, 본체 및 송수신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S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2 표시부는 상기 본체의 측면이나 배면에 위치하며, 본체의 구동회로부와 전기적인 신호를 교환할 수 있는 접속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휴대폰에 소정의 크기를 갖는 표시장치를 부가함으로써 표시장치의 크기를 확대하고, 멀티미디어 정보를 구현하기에 적합한 해상도를 갖춤으로써 멀티미디어 구현능력을 향상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추가적인 표시부를 갖는 휴대폰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추가적인 표시부를 갖는 휴대폰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a는 도 2에 제시된 휴대폰의 배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b는 본 실시예에 의한 추가적 표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c는 휴대폰의 본체와 본 실시예에 의한 추가적 표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도 3a,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은 구동회로를 구비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서 개폐 가능한 구조를 갖는 덮개부(200) 및 전원공급을 위한 충전용 밧데리(320)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100)는 상부 표면에 데이터 입력수단인 다이얼 패드(120) 및 송신부(420)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휴대폰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미도시)가 위치한다. 상기 다이얼 패드(120)는 다이얼링을 위한 다수의 숫자키, 단말기 구동전원을 온/오프 시키기 위한 전원키 및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기능키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키들의 입력동작으로 데이터가 원하는 데로 입력된다. 상기 송신부(420)는 단말기 주위의 소리신호를 받아들여 무선신호로 변조함으로써 상대방에 전달하기 위한 마이크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00)의 최하단에 위치한다.
상기 덮개부(200)는 본체(100)의 상측단에 힌지로 고정되어 힌지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여 개폐된다. 상기 덮개부(200)에는 문자 및 소규모 그래픽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1 표시부(220) 및 소리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440)를 구비한다. 상기 제1 표시부(220)는 액정표시장치로 구성되어 다이얼 패드(120)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나 수신되는 문자 및 소규모 용량의 그래픽정보를 표시한다. 한편, 상기 수신부(44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복조하여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스피커 구조를 갖는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일측단에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중심으로 하는 대용량의 동영상정보를 구현하기 위한 추가적인 제2 표시부(520)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제2 표시부(520)는 본체(100)와 동일한 폭과 길이를 가지며 본체(100) 배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설치된 지지부(610,620)에 걸려서 본체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슬라이더 식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대용량의 멀티미디어를 구현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제2 표시부(520)를 본체의 일측방향으로 잡아 당겨서 노출시키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밀어 넣어서 본체(100)의 배면에 고정시킨다.
상기 제2 표시부(520)는 액정표시장치로 구성되며, 본체(100)의 측면 및 제2 표시부(500)의 일측단에는 휴대폰의 구동회로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연결포트(140,54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포트(140,540)는 통신포트로서 마치 컴퓨터 본체와 주변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포트와 같은 기능을 한다. 따라서,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본체의 연결포트(140)와 제2 표시부에 형성된 연결포트(540)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2 표시부(520)는 본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의 일부로 기능하게 되며, 본체(100)내의 구동회로(미도시)에 의해 제어되어 멀티미디어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는 본체(100)와 제2 표시부(520) 사이에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본체(100)와 제2 표시부(520)가 직접 접촉하는 형태를 비롯하여 케이블을 통해 간접적으로 접촉하는 방법까지 다양한 실시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슬라이더 식으로 제2 표시부(520)가 이동하는 구조이므로 연결케이블을 이용한 간접접촉 방식이 추천되며, 바람직하게는 연성 평면케이블(FPC, Flexible Plate Cable)(720)을 이용하여 본체(100)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연결포트(140,540)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본체(100)의 측면에 형성된 연결포트(140)와 제2 표시부(500)의 일측단에 형성된 연결포트(540)의 위치도 다른 곳으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연결부재도 연성 평면케이블(FPC)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본체(100) 배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상기 제2 표시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610,6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610,620)의 상부는 본체(100)의 배면에 고정되어 있고, 하부는 제2 표시부(520)의 슬라이딩 가이드(560)를 지지한다. 상기 제2 표시부(500)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560)면에 고정되어 슬라이딩 가이드(560)가 상기 지지부(610,620)에 끼워져 미끄러짐으로써 상기 본체(100)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충전용 밧데리(320)는 휴대폰의 각 구성부품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본체(10)의 배면 중앙부로부터 상하 측단 방향으로 소정의 영역에 걸쳐 위치한다. 이때, 상기 밧데리(320)는 본체(100)의 배면에 결합된 후 배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한다. 특히, 상기 밧데리(320)의 길이는 상단 지지부(610)와 하단 지지부(620)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하여 상기 본체(100)의배면에 지지부를 형성할 수 있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변복조된 송수신 신호와 상기 다이얼 패드(120)에 의한 입력 데이터 및 상기 표시부(220)로의 출력 데이타는 상기 충전용 밧데리(320)에서 파워를 공급받으며, 상기 본체(100)내의 구동회로에 의해 제어되고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그 전체로서 휴대폰 시스템을 형성하게 된다. 고용량의 멀티미지어 정보나 화상정보가 수신되면, 구동회로는 이를 자체적으로 검출하여 상기 제2 표시부(520)로 데이터를 전송시킨 후, 넓은 면적에서 고해상도로서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좁은 표시부로 인한 디스플레이의 불편 및 해상도 구현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착탈식으로 부착되는 추가적인 표시부를 갖는 휴대폰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4에 제시된 휴대폰의 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b는 본 실시예에 의한 추가적 표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의 제2 표시부(520)가 휴대폰 본체(100)의 일측면에 착탈식으로 부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4, 도 5a 및 도 5b에서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부재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한다.
도 4, 도 5a 및 도 5b에 의하면, 상기 본체(100)의 일측면에 대용량 멀티미디어 정보를 구현할 수 있는 상기 제2 표시부(520)가 착탈식으로 부착되어 있다.
상기 휴대폰 본체(100)의 일측면에는 제2 표시부(520)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연결포트(14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포트(140)는 본체(100) 측면의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를 가지며 제2 표시부(520)에 형성된 데이터 전송라인(526)을 포함할 수 있는 접속홀(142)을 다수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2 표시부(520)는 제1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사용목적과 사용환경에 따라 다양한 길이와 폭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연결포트(140)가 형성된 본체(100)의 측면과 대응하는 측면에 데이타 교환을 위한 접속수단(525)이 돌출되어 제2 표시부(5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속수단(525)의 돌출높이는 상기 연결포트(140)의 깊이와 대응하며, 그 내부에는 상기 접속홀(142)에 끼워지는 데이터 전송라인(526)이 접속홀(142)의 개수만큼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속수단(525)이 상기 연결포트(140)에 삽입되면, 접속수단(525)의 돌출부분에 의해 상기 제2 표시부(520)는 상기 본체(100)에 지지,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수단(525)과 연결포트(140)의 접속부위에 고정력 강화를 위한 패킹이나 걸림턱 등을 장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속수단(525)이 제2 표시부(520)와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되는 것을 예로 들었지만,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연성 평면케이블(FPC)을 사용하여 휴대폰의 본체(100)와 제2 표시부(520)를 연결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연결포트(140)와 상기 접속수단(525)은 연성 평면케이블(FPC)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상변경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을 이용함으로써 평상시에는 종래와 같은 형태로 휴대폰을 이용하고, 대용량 화상정보의 구현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제2 표시부(520)를 휴대폰의 측면에 부착함으로써 넓은 화면에서 고해상도로 수신된 대용량 화상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착탈식으로 부착되는 추가적인 표시부를 갖는 휴대폰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a는 도 6에 제시된 휴대폰의 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b는 본 실시예에 의한 추가적 표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2의 제2 표시부(520)가 휴대폰 본체(100)의 하부 측면에 착탈식으로 부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6, 도 7a 및 도 7b에서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부재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한다.
도 6, 도 7a 및 도 7b에 의하면, 휴대폰 본체(100)의 하부 측면에 대용량 멀티미디어 정보를 구현할 수 있는 제2 표시부(520)가 착탈식으로 부착되어 있다.
상기 휴대폰 본체(100)의 하부 측면에는 제2 표시부(520)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연결포트(14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포트(140)는 본체(100) 하부 측면의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를 가지며 제2 표시부(520)에 형성된 데이터 전송라인(526)을 포함할 수 있는 접속홀(142)을 다수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2 표시부(520)는 사용자 편의와 사용환경에 따라 다양한 길이와 폭을 가지며, 상기 연결포트(140)가 형성된 본체(100)의 측면과 대응하는 측면에 데이타 교환을 위한 접속수단(525)이 돌출되어 제2 표시부(5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속수단(525)의 돌출높이는 상기 연결포트(140)의 깊이와 대응하며, 그 내부에는 상기 접속홀(142)에 끼워지는 데이터 전송라인(526)이 접속홀(142)의 개수만큼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속수단(525)이 상기 연결포트(140)에 삽입되면, 접속수단(525)의 돌출부분에 의해 상기 제2 표시부(520)는 상기 본체(100)에 지지,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수단(525)과 연결포트(140)의 접속부위에 고정력 강화를 위한 패킹이나 걸림턱 등을 장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는 폴더형 휴대폰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상기 덮개부(200)가 본체(100)의 하단에 위치하는 플립형 휴대폰의 경우에는 상기 제2 표시부(520)를 본체(100)의 상부 측면에 착탈식으로 부착함으로써 본 실시예에 의한 발명사상을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교환을 위한 연결포트가 휴대폰 본체의 상부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7a에 의한 휴대폰 본체와 다름이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속수단(525)이 제2 표시부(520)와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되는 것을 예로 들었지만,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연성 평면케이블(FPC)을 사용하여 휴대폰의 본체(100)와 제2 표시부(520)를 연결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연결포트(140)와 상기 접속수단(525)은 연성 평면케이블(FPC)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상변경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을 이용함으로써 평상시에는 종래와 같은 형태로 휴대폰을 이용하고, 대용량 화상정보의 구현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제2 표시부(520)를 휴대폰의 측면에 부착함으로써 넓은 화면에서 고해상도로 수신된 대용량 화상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폰 본체의 측면 혹은 배면에 대용량의 동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제2 표시부를 추가적으로 설치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정보 및 화상정보를 보다 높은 해상도로써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소용량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1 표시부 및 대용량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2 표시부를 구비하는 표시부 ;
    상기 표시부에 송수신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다이얼 패드 및 상기 표시부와 다이얼 패드를 작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를 구비하는 본체 ;
    음성 정보 교환을 위한 송수신부 ; 및
    상기 표시부, 본체 및 송수신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무선 이동통신용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부는 액정표시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무선 이동통신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부는 상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무선 이동통신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FPC(Flexible Plate Cable)에 의해 상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무선 이동통신 단말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본체와 직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디지털 무선 이동통신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부는 상기 본체의 배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무선 이동통신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부는 상기 본체의 상호 대향하는 양 단부에 설치된 지지홈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무선 이동통신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부는 상기 지지홈을 따라 슬라이더 방식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무선 이동통신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면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무선 이동통신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2 표시부는 이와 대향하여 상기 본체의 하부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무선 이동통신 단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는 상기 본체의 하부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2 표시부는 이와 대향하여 상기 본체의 상부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디지털 무선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10012035A 2001-03-08 2001-03-08 액정표시장치를 부가한 휴대폰 KR100725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2035A KR100725070B1 (ko) 2001-03-08 2001-03-08 액정표시장치를 부가한 휴대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2035A KR100725070B1 (ko) 2001-03-08 2001-03-08 액정표시장치를 부가한 휴대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2065A true KR20020072065A (ko) 2002-09-14
KR100725070B1 KR100725070B1 (ko) 2007-06-08

Family

ID=27696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2035A KR100725070B1 (ko) 2001-03-08 2001-03-08 액정표시장치를 부가한 휴대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507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872A (ko) * 2001-04-11 2002-10-19 김영호 화상통신용 액정표시부를 갖는 셀룰라폰
KR100487618B1 (ko) * 2002-12-11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교환 휴대폰
KR100774477B1 (ko) * 2001-09-07 2007-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디스플레이 수단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US9710022B2 (en) 2014-08-22 2017-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ver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7891B1 (ko) * 1996-12-21 2000-01-15 구자홍 디스플레이 장치 분리형 개인 휴대통신
KR20000052009A (ko) * 1999-01-25 2000-08-16 서평원 확장 액정표시창(엘 씨 디)을 갖는 이동 통신용 단말기
KR19990078832A (ko) * 1999-08-11 1999-11-05 서치교 확장형 디스플레이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872A (ko) * 2001-04-11 2002-10-19 김영호 화상통신용 액정표시부를 갖는 셀룰라폰
KR100774477B1 (ko) * 2001-09-07 2007-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디스플레이 수단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487618B1 (ko) * 2002-12-11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교환 휴대폰
US9710022B2 (en) 2014-08-22 2017-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ver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5070B1 (ko) 2007-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6873B2 (en) Personal digital assistant for connecting with a communtcations module
US7515937B2 (en) Wafer mobile phone platform system
US5898774A (en) Portable telephone having a reversible and sliding card casing
US7298337B2 (en) Antenna device for a mobile phone
KR100617737B1 (ko) 위성 통신용 휴대 단말기
EP0680155A1 (en) Transceiver module and handset
US20020181189A1 (en) Notebook computer with a small display panel
JPH07226807A (ja) 赤外線ポート付電池パックを備えた無線式送受話器
US6731951B1 (en) Portable wireless equipment
KR100487618B1 (ko) 디스플레이장치 교환 휴대폰
KR100725070B1 (ko) 액정표시장치를 부가한 휴대폰
GB2341753A (en) RF interface for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4436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인쇄회로기판
KR10023789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분리형 개인 휴대통신
KR200228333Y1 (ko) 광송수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 전화기
KR100360309B1 (ko) 분리형 송수신 모듈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KR200214954Y1 (ko) 내부에 안테나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단말기
KR100476008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AU719863B3 (en) Data transmission apparatus
KR20020014847A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KR100228903B1 (ko) 휴대용 정보 단말장치와 이동 무선 단말장치 간의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604578B1 (ko) 가변형 파워커넥터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184934Y1 (ko) 다이얼기능을 가지는 휴대폰용 이어폰
KR20080010214A (ko) 휴대 통신 단말기의 보조 장치
KR200214953Y1 (ko) 안테나가 내장된 폴더형 이동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