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0409A - 공기총 - Google Patents

공기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0409A
KR20020070409A KR1020020045780A KR20020045780A KR20020070409A KR 20020070409 A KR20020070409 A KR 20020070409A KR 1020020045780 A KR1020020045780 A KR 1020020045780A KR 20020045780 A KR20020045780 A KR 20020045780A KR 20020070409 A KR20020070409 A KR 20020070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hammer
air
barrel
bu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5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0092B1 (ko
Inventor
김재홍
Original Assignee
김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홍 filed Critical 김재홍
Priority to KR10-2002-0045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0092B1/ko
Publication of KR20020070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0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0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00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1/0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 F41B11/50Magazines for compressed-gas guns; Arrangements for feeding or loading projectiles from magaz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1/0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 F41B11/6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characterised by the supply of compressed gas
    • F41B11/68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characterised by the supply of compressed gas the gas being pre-compressed before fi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1/0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 F41B11/70Details not provided for in F41B11/50 or F41B11/6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총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전반부에 두 개의 압축공기통과 그 위에 총열이 있는 구조와 달리 보조공기총 아래에 주공기통이 개머리판 속으로 삽입되고 삽입된 주공기통 전반부에 직선 밸브를 설치하여 발사하는 구조이다. 기존의 압축공기가 180도 방향을 바꾸어서 나가는 구조보다 효율이 좋아 같은 공기 사용량으로도 탄속 증가가 기대된다. 또 공기통의 위치 분배가 효과적이어서 개머리의 무게가 가벼워지고 균형도 잘 잡혀 있다. 탄창은 장전손잡이 속으로 들어가서 총열 길이가 60cm 임에도 전체 총의 길이가 90cm로 기존의 같은 급(총열길이 60cm, 공기통 부피 300cc)의 공기총에 비하여 길이가 17~18cm정도 축소되었으며, 장전레버 회전으로 장전과 장전해제를 반복할 수 있다. 또한 렌즈를 통하여 장전 유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총열의 휨 방지를 위하여 총열 보호 덮개도 마련되었다.

Description

공기총{An air gun}
본 발명은 공기의 압력으로 탄환을 발사하는 공기총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의 공기총은 총구 부근에 두 개의 압축공기통이 접합되고 그 위쪽에 총열이 있어서 총의 무게가 앞쪽으로 쏠리며 부피가 커서 외관도 좋지 않았다. 또 총열 아래부분의 공기통에 밸브를 장치하였으므로 격발시 압축공기가 공기통에서 나온 후 180도 방향을 바꾸어 총열 방향으로 나가게 됨에 따라 압축공기의 에너지손실이 많았다.
탄환은 약실에 노리쇠를 이용하여 밀어 넣는 방법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노리쇠로 인하여 압축공기의 유로가 좁아져 빠른 탄속을 낼 수 없었다. 또한, 약실에 탄이 들어가면 발사를 하지 않고는 탄을 빼낼 수 없어서 장전을 하고 총을 휴대하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되고, 헤머 스프링이 약해지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에 의해 안출한 본 발명의 공기총은 공기통의 위치조정에 의해 공기총의 무게 균형이 잘 잡히게 하면서 공기총 전체의 무게도 가볍게 하며, 탄환 발사 장치는 압축공기가 부드러운 곡선 모양으로 흐르도록 유도하여 압축공기의 에너지 손실을 줄여 탄속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약실은 착탈이 가능케 하여 안전성을 높였고 장전해제도 가능하며, 공기통의 용적 및 총열의 길이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총 전체 길이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장전레버를 탄창 뭉치에 부착하여 기관부 부품을 줄이고, 외관이 수려하며 고장의 원인을 줄이도록 하였다.
그리고 격발장치의 헤머는 장전과 장전해제를 반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격하기 전 포획물을 놓치게 되면 장전해제를 하여 안전한 상태에서 공기총을 휴대 할 수 있게 하는 등의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총 외관의 입체적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총의 전체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총의 뭉치별 분해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총의 주공기통에 삽입된 뭉치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 분해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총의 밸브뭉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총의 약실과 헤머부분의 단면도(헤머의 전진으로 밸브가 개방<격발>된 상태)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총의 탄창뭉치에 포함된 약실뭉치 분해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총의 약실회전막대가 90도 회전하여 탄환이 탄창에서 약실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
도 4-c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총의 약실회전막대가 복귀하여 발사가능한 상태가 된 것을 보여주는 약실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총의 방아틀뭉치의 분해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총의 탄창뭉치에서 분리된 장전레버 뭉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총의 장전레버 회전시 장전슬라이더와 약실회전막대 구동링크의 위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d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총의 장전레버 후퇴시 장전슬라이더가 헤머를 후퇴시키고 약실회전막대 구동링크가 약실을 회전시키는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절개 및 분해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총의 약실회전막대 구동링크와 약실회전막대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총의 약실회전막대 구동링크와 약실회전막대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6-c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총의 약실회전막대 구동링크와 약실회전막대의 모습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사시도
도 6-d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총의 약실회전막대 구동링크의 하한 제한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총의 헤머뭉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총의 비장전시 헤머와 단발자의 관계를 보여주는 요부 사시도
도 7-c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총의 장전시 헤머와 단발자의 관계를 보여주는 요부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총의 총열보호덮개를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분해사시도
도 9-a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총의 주공기통에서 방아틀뭉치를 분해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분해사시도
도 9-b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총의 장전시 헤머와 장전확인렌즈의 위치를 보여주는 부분 정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조준장치 110: 주공기통 115: 공기통로
120: 보조공기통 150: 총열보호덮개 200: 개머리뭉치
300: 밸브뭉치 310: 밸브몸체 311: 약실몸체홈
314: 면 315: 밸브구멍 320: 밸브
321: 안내돌기 325: 밸브개방막대 330: 밸브밀폐고무
340: 밸브스프링 341: 막대 342: 밸브스프링캡
350: 총열 400: 헤머뭉치 410: 헤머몸체
415: 빗면 421: 돌기 422: 스프링구멍
430: 헤머전반부 440: 헤머후반후 442: 헤머회전멈치
443: 스프링구멍 445: 헤머장전핀 449: 밝은 색 부분
450: 헤머스프링 500: 방아틀뭉치 510: 방아틀몸체
511: 방아쇠핀 구멍 520: 장전레버홈 521: 구멍
530: 방아쇠 531: 방아쇠스프링 533: 턱
535: 방아쇠핀 540: 단발자 몸체 541: 단발자
542: 단발자스프링 543: 턱 550: 장전레버
551: 구멍 561: 핀 570: 장전슬라이더
571: 장전슬라이더핀 575: 장전돌기 580: 약실회전막대 구동링크
581: 약실회전막대 구동돌기 582: 약실회전막대 구동돌기 588: 돌기
589: 스프링 590: 장전확인렌즈 600: 탄창뭉치
610: 약실몸체 611: 약실전 공기통로 612: 약실후 공기통로
613: 탄창구멍 620: 약실 621: 약실내부
630: 약실회전막대 640: 탄환 미끄럼방지고무 650: 약실고정기
670:탄환장진막대 700: 탄환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체적으로 도 1a와 도 1b를 통해보면, 주공기통(110)은 개머리뭉치(200)에 삽입되고 주공기통(100) 속에 밸브뭉치(300), 헤머뭉치(400), 총열(350) 등 도 2a의 부품 뭉치들이 결합되어 도 1a와 같은 작고 가벼운 외형을 가지며, 보조공기통(120)의 상부에 조준장치(100)를 구성한다.
주공기통(110)과 보조 공기통(120) 사이에는 공기통로(115)가 있어 두 공기통을 연결한다.
도 2a 및 도 2b에서 볼 수 있듯이, 주공기통(110)에 삽입되는 밸브뭉치(300) 중 밸브 몸체(310)는 주 공기통(110)에 고정된다. 헤머스프링 캡(455)는 주공기통에 고정되어 헤머스프링(450)을 지지한다. 헤머뭉치(400)는 주공기통(110) 내벽보다 조금 작아 내벽을 따라 직선운동을 하며 장전하지 않은 경우 헤머스프링(450)에 밀려서 밸브개방막대(325)를 밀고 있지만, 밸브스프링(340)과 압축공기의 편압을 받는 밸브(320)가 미는 힘 보다 약하여 도 2b의 상태를 유지한다.
도 3a는 밸브의 분해도인데 도 3b와 같이 살펴보면, 밸브몸체(310)는 주공기통(110)의 내벽에 고정된다. 총열(350)의 끝은 밸브몸체의 면(314)에 일치되어 있어 탄창뭉치(600) 삽입시 약실몸체(610)와 부착된다.
약실몸체홈(311)은 탄창의 약실몸체(610)의 크기보다 약간 커서 약실몸체(610)가 삽입된다. 밸브개방막대(325)는 밸브(320)에 고정되어밸브몸체(310)를 관통하는 구멍(312)을 통해 헤머뭉치(400)와 접해 있다(도 2b). 밸브 스프링(340)은 밸브몸체(310)의 구멍(313)에 고정된 막대(341)의 외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밸브스프링캡(342)에 의해 지지되며 밸브(320)를 밀어준다.
밸브밀폐고무(330)는 밸브가 닫힐 경우 밸브구멍(315)과 밸브개방 막대 구멍(312) 및 밸브몸체(310)와 주공기통(110) 사이에 공기가 새는 것을 막는다. 격발로 인해 응축된 헤머스프링(450)이 팽창하면서 헤머뭉치(400)가 밸브개방막대 (325)에 충격을 가해, 밸브(320)는 짧은 시간 개방되고, 부드러운 곡선형상을 가진 안내돌기(321)와 밸브구멍(315)을 통해 운동에너지 손실이 최소화 된 압축공기가 탄환을 발사 시킨다. 따라서 기존의 압축공기가 아랫부분의 공기통에서 나와 위에 있는 총열의 약실로 180도 방향을 바꾸고 탄을 발사하는 구조보다 탄속이 빠르다.
도 4a는 탄창에 부착된 약실뭉치의 분해 모습이고, 도 4b와 도 4c는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약실몸체(610)는 밸브몸체(310)의 약실몸체홈(311)에 삽입되어 약실전 공기통로(611)과 밸브몸체(310)의 밸브구멍(315)과 일치되고 약실후 공기통로(612)는 총열(350)과 접하게 된다. 약실전 공기통로(611)는 탄환의 직경보다 조금 작아서 탄환이 뒤로 빠지는 것을 막아준다. 약실후 공기통로(612)는 탄환(700)의 직경보다 조금 커서 손상없이 총열(350) 내부로 들어가도록 한다. 약실(620)에는 직경이 작아지는(부분의 부호: 641) 탄환미끄럼방지고무(640)가 있어서 탄환(700)이 총열(350) 쪽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막아준다.
장전레버(550)가 후퇴하면 약실(620)은 약실회전막대(630)에 의하여 90도 회전을 하며, 도 4b 상태에서 탄환장진막대(670)에 의하여 밀려오는 탄환(700)이 약실내부(621)로 삽입된다.
장전레버(550)가 복귀하면 약실(620)은 다시 90도 역회전하여 원래의 발사 가능위치(도 4c)가 된다. 이때, 약실내부(621)와 약실후 공기통로(612)는 탄환(700)의 직경보다 조금 커서 발사시 탄환의 훼손을 막는다.
약실후 공기통로(612)와 접합되는 총열(350) 시작부는 탄환(700)보다 조금 큰 직경에서 점차 줄어들어 탄환이 강선과 무리 없이 물리도록 한다.
약실고정기(650)는 구멍(653)에 삽입되어 스프링(652)의 힘을 받아 약실의 홈(651a)과 접촉하여 공기통로(611, 612)와 약실 내부(621)가 일치하도록 하고, 탄환(700)이 약실에 삽입시는 홈(651b)와 접촉하여 약실내부(621)와 탄창구멍(613)이 일치하게 된다.
도 5a는 방아틀 뭉치(500)의 분해 모습, 도 5b는 장전레버 뭉치, 도 5c는 방아틀 몸체와 장전레버의 결합상태, 도 5d는 밸브와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방아틀몸체(510)에는 격발부와 장전레버부 두 부분이 삽입된다. 격발부는 방아쇠(530)에 단발자몸체(540)가 삽입되어 방아쇠핀(535)에 의해 방아쇠핀 구멍(511)에 연결되고 방아쇠의 턱(533)이 단발자몸체(540)의 턱(543)을 누르게 된다. 단발자(541)는 단발자몸체(540)에 고정되고, 단발자스프링(542)에 의해 지지된다. 방아쇠(530)는 방아틀몸체(510)의 홈(512)에 삽입되며 방아쇠스프링(531)에 의해 지지된다.
장전레버(550)는 장전레버홈(520)에 삽입되어 장전레버(550)의 구멍(551)과 방아틀몸체(510)의 구멍(521)이 핀으로 연결되어 회전이 가능하다. 그리고 링크(560)와 핀 연결(561)되어 있다. 장전슬라이더핀(571)은 장전슬라이더(570)를 링크(560) 및 약실회전막대 구동링크(580)와 핀연결 시킨다.
약실회전막대 구동링크(580)의 돌기(588)는 장전슬라이더(570)에 의해 지지되는 스프링(589)의 힘을 받아 약실회전막대 돌기(581, 582) 부분이 주공기통(110) 하단부에 접촉되도록 한다.
장전슬라이더핀(571)은 장전슬라이더핀 이동홈(522)을 따라 장전레버(550)의 회전에 구속을 받으면서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장전슬라이더(570)의 장전돌기(575)는 방아틀몸체(510)의 홈(523)에 삽입되어 헤머의 장전핀(445)을 구동시킨다.
도 5b에서는 약실회전막대 구동링크(580)의 약실회전막대 돌기(581, 582)가 탄창 쪽에서 본 모습이 나타나 있다.
도 6a~6c는 돌기(581, 582)와 약실회전막대의 기구학적 관계를 나타내기 위하여 약실회전막대 구동링크(580) 일부분을 자른 단면이다(돌기가 보이도록 자른 것임).
도 6a~6b에서 약실회전막대 구동돌기(581, 582)는 스프링(589)의 힘을 받아 주공기통(110) 아랫부분에 접촉되어 있다가 장전레버(550) 회전으로 인하여 슬라이더가 총구 쪽으로 이동하면서 일측의 약실회전막대 구동돌기(581)의 경사면이 약실회전막대(630)의 끝단부와 접촉하게되나(도 6a), 구동링크(580)가 상하로 탄성력을 갖음으로써 회전막대(630)의 끝단부는 일측 약실회전막대 구동돌기(581)의 경사면을 미끄러져 넘어가고 다른 약실회전막대 구동돌기(582)의 수직면에 접촉되는 바(도 6b), 슬라이더가 계속 총구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회전막대(630)의 끝단부가 상기 약실회전막대 구동돌기(582)의 수직면에 걸림으로써 약실(620)이 회전하게 된다(도 6c).
상기와 같이 약실(620)이 90도 회전한 후에도 헤머몸체(410)가 완전히 단발자(541)에 걸릴 때까지 슬라이더가 계속 총구쪽으로 이동하며, 이때 구동링크(580)가 상하로 탄성력을 갖음으로써 약실회전막대 구동돌기(582)의 수직면은 총구측으로 젓혀진 약실회전막대(630)의 경사면을 타고 아래로 미끄러져 넘어가는 바, 약실회전막대(630)의 끝단부는 약실회전막대 구동돌기(582)의 경사면측에 위치하게 된다.
장전레버(550) 복귀시 마찬가지로 총구측으로 젓혀진 약실회전막대(630)의 끝단부에 일측의 약실회전막대 구동돌기(582)의 경사면이 미끄러져 넘어가고 다른 약실회전막대 구동돌기(581)의 수직면에 걸려서 약실(620)이 제 위치로 회전되며, 상기 약실회전막대 구동돌기(581)의 수직면은 상기 회전된 약실회전막대(630) 즉, 개머리판측으로 젓혀진 약실회전막대(630)의 경사면을 미끄러져 넘어감에 따라 약실회전막대 구동돌기(581)의 경사면이 개머리판측으로 젓혀진 약실회전막대(630)의끝단부측에 위치하여 초기상태가 된다.
약실회전막대(630) 구동을 두 개의 약실회전막대 구동돌기(581, 582)로 사용함으로서 장전레버(550)를 완전히 후퇴하지 않고도 복귀가 가능하며 장전레버(550)를 빠르게 움직여도 탄창뭉치(600)의 탄환(700)이 약실(620)에 삽입되는 충분한 시간을 갖는다.
도 6c와 같이 약실회전막대가(630) 완전히 회전하지 않고는 약실회전막대 구동링크(580)가 개머리뭉치(200)에 가공된 홈(250, 도 6d)에 접촉되어 내려가지 않으므로 약실회전막대(630)는 일측 구동돌기(582)를 넘을 수 없다. 이는 약실 회전막대(630)가 복귀시도 같다.
도 7a 는 헤머뭉치(400)의 분해 모습이다.
밸브개방막대(325)와 충돌하는 헤머전반부(430)와 헤머후반부(440)는 주공기통(110)의 내벽보다 조금 작은 직경으로 주공기통(110) 내부를 직선 운동하게 되며 그 사이에 단발자(541)와 접촉하는 헤머몸체(410)가 있다. 헤머스프링(450)은 주공기통(110)에 고정된 헤머스프링캡(455)에 의해 지지되면서 헤머후반부(440)를 밀어준다. 헤머뭉치(400) 후반부의 헤머장전핀(445)은 주공기통(110) 하단의 이동홈(113, 도 9a)을 통과하여 방아틀몸체(510)의 홈(523)까지 삽입되어 장전돌기(575)의 구속을 받는다(도 5d, 6b). 헤머장전핀(445)이 주공기통(110) 하단의 이동홈(113)을 지남으로서 헤머전반부(430)와 헤머후반부(440)는 직선운동만 가능하고 회전운동은 고정된다. 헤머뭉치(400)의 가운데는 총열(350)이 있지만 헤머뭉치(400)와는 접촉되지 않도록 총열(350)의 외경보다 큰 구멍이 있다.
회전운동이 고정된 헤머뭉치(400) 후반부에 스프링구멍(443)과 헤머몸체(410)의 스프링구멍(422)를 통해 삽입된 헤머몸체 비틀림스프링(460)이 삽입되어 헤머몸체(410)가 회전방향 1로 회전하는 토크를 준다, 헤머뭉치(400) 후반부의 구멍(441)에 고정된 헤머회전멈치(442)는 헤머몸체(410)의 돌기(421)에 접촉하여 헤머의 회전 각을 제한한다.
도 7b, 도7c를 통해 작용을 살펴보면, 장전되지 않은 상항에서 헤머뭉치(400)와 단발자(541)는 위치 1에 위치하며 헤머몸체(410)의 돌기(421)이 헤머회전멈치(442)에 의해 더 이상 회전하지 않는 상황이다. 헤머뭉치(400)가 후퇴하면 빗면(415)과 단발자(541)는 접하게 되고 헤머뭉치(400)는 회전방향 2로 회전된다. 헤머뭉치(400)가 이동로 1을 따라 후퇴하다가 헤머위치 2에 오면 더 이상 후퇴할 수 없다. 장전레버(550)에 힘을 가하지 않으면 헤머가 회전하면서 단발자(541)가 이동로 2를 따라 위치 3이 되고 헤머뭉치(400)는 단발자(541)에 의해 고정되어 장전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장전레버(550)가 복귀하면서 장전슬라이더(570)는 헤머장전핀(445)과 떨어져서 복귀한다.
장전레버(550)가 복귀하고 헤머뭉치(400)는 단발자(541)에 위치 3의 상태로 장전되어 있다. 이때 방아쇠(530)를 당기면 단발자(541)가 헤머뭉치(400)에 세겨진 홈을 빠져 나와 헤머가 이동로 3을 따라 움직이면서 격발이 이루어 진다. 격발후 헤머와 단발자(541)는 위치 1에 있다.
장전된 상태에서 다시 장전레버(550)를 후퇴할 경우 장전슬라이더 돌기(575)가 헤머장전핀(445)에 접촉될 때까지는 쉽게 후퇴한다. 장전레버(550)를 계속 후퇴하면 헤머가 후퇴하게되고 단발자(541)는 빗면(416) 따라 홈에서 빠져 나온다. 이때 해머는 비틀림스프링에 의하여 회전방향 1로 헤머회전멈치(442)와 돌기(421)가 접촉 할 때까지 회전하여 위치 4가 된다. 장전레버(550)를 서서히 복귀시키면 이동로 4를 따라 헤머가 위치 1로 복귀 한다.
장전레버(550)를 통해 헤머스프링(450)의 힘을 받으면서 천천히 복귀시키면 격발이 이루어지지 않고 안전한 장전해제 상태가 되는 것이다.
기존의 공기총의 경우 공기통과 총열이 나란한 앞부분(도 8)을 잡거나, 조금만 총열에 힘을 가해도 총열이 휘어 버린다. 이는 다시 원상태로 복귀가 되지만 공기총 소지자는 휘청거리는 총열을 불안하게 느끼며, 총열이 다른 부분에 접촉될 때 격발이 이루어지면 엉뚱한 방향으로 발사가 이루어진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총열 전체를 공기통에 고정시키는 방법도 있었으나, 이 또한 격발시 총열 진동에 나쁜 영향을 주어 명중률이 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총열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진 총열보호 덮개(150)를 이용하여 보조공기통(120)에 고정을 시키면 외부의 접촉이나 충격에도 총열은 직진성을 유지할 수 있고(도 8, 도 2a). 총열은 약실쪽 끝부분과 총구쪽 끝부분만 고정이 되어 명중률을 유지한다.
도 9a~9b는 장전 확인 기능을 나타내는 것이다.
공기총으로 수렵시 안전 및 탄알의 이중장전을 피하기 위해 장전유무 확인은 꼭 필요하다. 특히 본 고안의 공기총은 장전이 된 경우는 장전을 확인하고 장전해제를 할 수 있으므로 더욱더 실용적이다.
헤머가 후퇴하여 단발자(541)에 걸려서 장전이 될 경우 헤머에 형광색이나 야광의 밝은 색 부분(449)을 만들어 이를 렌즈(590)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도록 한다. 렌즈(590)는 외벽에 에나멜 코팅을 하여 내부에서는 거울처럼 빛을 반사 할 수 있고, 약간의 볼록렌즈 기능을 하도록 하여 렌즈 끝 부분의 색칠한 부분의 색깔을 구분하기 쉽도록 한다. 또한 렌즈 끝 부분과 색칠한 부분(449)을 좁은 거리로 이격 시켜서 그 사이에서 빛이 새는 것을 막는다.
이는 공기총 뿐 만 아니라, 라이플이나 산탄총 등 모든 총의 헤머를 직접 접촉하지 않고 확인할 수 있는 고안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기총은 두 개의 공기통중 보조공기통(120) 아래 주공기통(110)이 개머리판에 삽입되어 공기총의 무게 균형이 잘 잡히게 된다. 이는 개머리판을 가볍게 만들 수도 있는 구조여서 공기총 전체의 무게가 가벼워진다. 탄환 발사 장치는 주공기통(110)에서 직선으로 약실에 압축공기를 보내고 더불어 부드러운 곡선 모양으로 압축공기의 흐름을 유도하여 압축공기의 에너지 손실을 줄여 탄속을 높인다. 기존의 고정식 약실 대신 탄창에 부착된 약실로 착탈이 가능하여 안전성을 높였고 장전해제도 가능하며, 공기통의 용적 및 총열의 길이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총 전체 길이를 17~18cm정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이동 및 차량에 적재하기 용이하다.
장전레버(550)를 탄창뭉치(600)에 부착하여 기관부 부품을 줄이고, 외관이 수려하며 고장의 원인을 줄이게 되었다.
격발장치의 헤머는 독특한 형상의 홈과 단발자(541)가 맞물려 장전후 다시 장전레버(550)를 움직이이면 헤머를 정전하지 않은 위치에 밀어 넣을 수 있어서 장전과 장전해제를 반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격하기 전 포획물을 놓치게 되면 장전해제를 하여 안전한 상태에서 공기총을 휴대할 수 있다.
총열이 보조공기통 아래 주공기통의 중심에 위치하여 사선과 총열의 거리 차가 길어져 장거리 사격시 하탄이 발생하는 것을 줄여서 사거리를 늘였다. 또한 총열과 직접 부착되지 않은 총열덮개를 보조공기통에 고정시킴으로서 총열을 보호고 총열부를 잡고 휴대 할 수 있으며 의탁 사격에 용이하도록 하였다.
헤머 위치확인이 가능한 렌즈가 부착되어 장전확인을 할 수 있어서 한층 더 안전하면서 실용적이게 되는 등 본 발명은 기존의 공기총에 비하여 월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Claims (7)

  1. 스프링에 의해 가속된 헤머의 탄력으로 밸브를 개방하여, 공기통에 저장된 고압의 압축공기 일부를 분출시켜, 약실에 삽입된 탄환이 총열을 통하여 발사되는 구조를 가진 통상의 공기(또는 가스) 압축식 공기총에 있어서,
    두 개의 압축공기통이 평행하게 접하게 하여 하부의 주공기통(110)이 개머리뭉치(200)에 삽입되고, 보조공기통(120)의 상부에 조준장치(100)를 구성하며,
    주공기통(110)에 직선형의 밸브뭉치(300)가 삽입 고정되고 동일 축에 총열(350)을 장치하고, 총열(350) 외부에 헤머를 장치하여 밸브(300), 헤머뭉치(400), 총열(350)이 주공기통(110)의 연장된 파이프 내벽에 삽입되게 하며,
    약실몸체(610)는 밸브몸체(310)의 약실몸체홈(311)에 삽입되어, 약실전 공기통로(611)와 밸브몸체(310)의 밸브구멍(315)과 일치하고 약실후 공기통로(612)는 총열(350)과 접하게 구성하며,
    방아틀 뭉치 몸체(510)에 장전레버(550)가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여기에 연결된 링크(560)에 의해 직선운동을 하는 슬라이더(570)가 헤머(400)를 장전 시키고,
    헤머스프링(450)의 탄성력을 받으면서 주공기통(110) 내부와 총열(350) 외부에 삽입되어 직선운동을 하는 헤머뭉치(400)가 단발자(541)에 걸려서 장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총.
  2. 제 1항에 있어서,
    장전레버(550)의 작용에 의해 약실(620)은 약실회전막대(670)에 의해 일정각을 회전하여 탄환(700)이 약실에 삽입되게 구성하고, 장전레버(550)가 복귀하면 약실(620)이 역회전토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총.
  3. 제 1항에 있어서,
    약실부(610)를 탄창에 접합하여 탄창 분리와 함께 약실이 분리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총.
  4. 제 1항에 있어서,
    탄알 장전 위치를 조정하여 탄창을 손잡이에 삽입하도록 하며, 슬라이더(570)에 부착된 약실회전 막대 구동링크(580)의 돌기(581, 582)가 약실(620)에 고정된 약실회전 막대(630)를 회동 시켜서 장전하는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총.
  5. 제 1항에 있어서,
    헤머뭉치(400)에 비틀림 스프링(460)으로 회전 힘을 받는 헤머몸체(410)가단발자(541)에 연결되어 있어, 장전시 헤머몸체(410)가 후퇴하고 단발자(541)가 헤머전반부(430)측 헤머몸체(410)의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요홈의 일측단(위치 3)에 걸림으로써 장전이 되며, 방아쇠(530)를 당겨 단발자(541)가 내려오면 격발이 이루어지고, 장전된 상태에서 장전레버(550)를 회전하여 헤머를 후퇴시키면 단발자(541)가 헤머몸체(410)의 빗면(416)을 따라 내려가 장전레버(550)를 천천히 복귀 시킴으로 헤머뭉치(400)를 장전해제위치(위치 1)에 밀어 넣어 헤머의 장전해제가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총.
  6. 제 1항에 있어서,
    헤머뭉치(400)에 형광색이나 야광 물질(449)을 부착하고 렌즈(590)를 구성하여 렌즈(590)를 통해 헤머 위치를 확인함으로서 장전유무를 확인 할 수 있는 장전 확인기능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총.
  7. 제 1항에 있어서,
    굵기가 가는 공기총의 총열을 보호하기 위해 총열 외부직경보다 큰 내부 공간을 가진 보호 덮개(150)를 압축공기통에 고정시켜 총열을 보호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총.
KR10-2002-0045780A 2002-08-02 2002-08-02 공기총 KR100520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780A KR100520092B1 (ko) 2002-08-02 2002-08-02 공기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780A KR100520092B1 (ko) 2002-08-02 2002-08-02 공기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2111U Division KR200280119Y1 (ko) 2001-10-20 2001-10-20 공기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0409A true KR20020070409A (ko) 2002-09-09
KR100520092B1 KR100520092B1 (ko) 2005-10-11

Family

ID=27727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5780A KR100520092B1 (ko) 2002-08-02 2002-08-02 공기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00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100012254A1 (it) * 2021-05-12 2022-11-12 Fiore Iuliano Distributore di proiettili in piombo per carabine ad aria compressa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4239U (ko) * 1987-02-26 1988-09-02
JPH0441990A (ja) * 1990-06-01 1992-02-12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ーパーキャビテーティングポンプ
KR20020047713A (ko) * 2000-12-13 2002-06-22 임택순 공기 압축식 공기총
KR200238920Y1 (ko) * 2001-02-06 2001-09-25 임택순 공기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0092B1 (ko) 2005-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4804B2 (en) Firearm with safe axis firing pin and center aligned barrel
US9383153B2 (en) Fire control system for firearms
US4819609A (en) Automatic feed marking pellet gun
US7617758B2 (en) Firing device
TWI570383B (zh) 玩具槍
JP2989162B2 (ja) 自動弾丸供給機構付玩具銃
CA2396031A1 (en) Pneumatic gun
RU2471135C2 (ru) Спортивная пневматическая винтовка, перезаряжаемая подвижным цевьем
US3817148A (en) Cartridge feeding mechanism for firearms
KR102093831B1 (ko) 모의 사격용 반동력 발생장치
RU2307992C1 (ru) Боевое пневматическое короткоствольное оружие (варианты)
CN109154484A (zh) 带有锁定装置的手枪
RU2691501C1 (ru) Система заряжания пуль
US3897729A (en) Cartridge for firearms
US7240448B2 (en) Bean bag baton
KR910009303B1 (ko) 상이한 타입의 탄약을 위한 머신-피스톨
EP2660552B1 (en) Paintball marker with release mechanism
EP3064882B1 (en) Toy gun
KR102068417B1 (ko) 장난감 총용 탄환
JP6708656B2 (ja) 銃におけるボルトストップ緩衝装置
KR101567010B1 (ko) 실총기 기반 사격 훈련이 가능한 모의 소총
KR200280119Y1 (ko) 공기총
KR20020070409A (ko) 공기총
US3919921A (en) Hand firearms and ammunition therefor
KR101514188B1 (ko) 전동식 에어소프트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