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9966A - Battery system for implementing emergency call in mobile telephone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Battery system for implementing emergency call in mobile telephone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9966A
KR20020069966A KR1020010010569A KR20010010569A KR20020069966A KR 20020069966 A KR20020069966 A KR 20020069966A KR 1020010010569 A KR1020010010569 A KR 1020010010569A KR 20010010569 A KR20010010569 A KR 20010010569A KR 20020069966 A KR20020069966 A KR 20020069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emergency
emergency call
transistor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05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영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0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9966A/en
Publication of KR20020069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9966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14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 H02J7/0016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using shunting, discharge or bypass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PURPOSE: A battery system for processing an emergency situation call in a mobile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are provided to prevent in case that it is impossible to process the emergency situation call by the dismount and damage of an external battery and the insufficiency of the residual quantity of the battery by embedding a specific emergency battery for processing the emergency situation call and using the embedded emergency battery. CONSTITUTION: An external battery(400) has the first transistor(213) for being turned on according to the input of a power-on key signal and the second transistor(211) for receiving a battery charge voltage according to the turn-on of the first transistor(213), generating an operation power of composition units of a mobile terminal, and being turned on when the generated operation power is inputted. An emergency battery(450) has the third transistor(453) for being turned on according to the input of an emergency situation key signal and the fourth transistor(451) for receiving the battery charge voltage according to the turn-on of the third transistor(453), generating the operation power of the composition units of the mobile terminal, and being turned on when the generated operation power is inputted. A control unit senses the turn-on of the second and fourth transistors(211,451), senses the power-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checks a residual quantity of the external battery(400) in case that the fourth transistor(451) is turned on. If the residual quantity of the external battery(400) is over a threshold level,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external battery(400) for using the charge voltage of the external battery(400) when processing an emergency situation call.

Description

이동 단말기의 긴급상황호 처리를 위한 배터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BATTERY SYSTEM FOR IMPLEMENTING EMERGENCY CALL IN MOBILE TELEPHONE AND METHOD THEREOF}BATTERY SYSTEM FOR IMPLEMENTING EMERGENCY CALL IN MOBILE TELEPHON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단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긴급 상황호 처리를 위한 배터리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tery system and a control method for emergency call processing.

도 1은 통상적인 이동통신시스템의 긴급상황호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ergency call processing system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이동통신시스템(Mobile Communication System)이 발전해 나감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 제공되는 서비스 역시 사용자 편의를 위해 다양하게 발전해 나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전세계 위치 정보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서비스를 이용한 긴급 상황호(Emergency Call) 서비스가 구현되어 있다. 상기 긴급 상황호 서비스를 긴급 상황, 즉 산악재해, 화재 등을 비롯한 깁급상황에서 이동단말기 자신의 위치 정보 등과 같은 이동단말기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의 긴급 센터로 자동 연결하여 상기 긴급 상황에 대한 조치를 수행하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이런, 긴급 상황호 서비스를 수행하는 긴급 상황호 처리 시스템을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As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evelops, the services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s are also being developed in various ways for the convenience of users. Among them, emergency call (GPS) service using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ervice is implemented. The emergency call service is connected to the emergency cent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y automatically connecting mobile terminal information such 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o the emergency cent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an emergency situation, that is, a disaster such as a mountain disaster or a fire. Service to be executed. Such an emergency call processing system for performing an emergency call ser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먼저, 이동단말기(MS: Mobile Station)(100)가 긴급구조 서비스, 예를 들어 119를 요청하면 기지국 서브 시스템(BSS: Base Station Subsystem)(110)을 통해 이동교환기(MSC: Mobile Switching Center)(120)로 연결되고, 상기 이동교환기(120)는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최소 거리를 가지는 위치에 이격되어 위치하고 있는 긴급구조 시스템(150)을 찾아 공중교환망(PSTN: Public Switching Telephone Network)(140)을 통해 음성호를 연결한다.First, when a mobile station (MS) 100 requests an emergency rescue service, for example, 119, a mobile switching center (MSC) through a base station subsystem (BSS) 110 ( 120 is connected to the mobile switch 120, the emergency rescue system 150 is located at a location having a minimum distance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public switching network (PSTN: Public Switching Telephone Network (PSTN) 140 ) To connect the voice call.

이렇게, 상기 이동단말기(100)아 상기 긴급구조 시스템(150)이 음성호가 연결되면 상기 이동단말기(150)는 현재 자신의 위치정보를 단문메시지(Short Message)로 전송하고, 이렇게 전송된 단문메시지는 단문메시지 센터(SMC: Short Message Center)(130)로 전달되어 무선으로 상기 긴급구조 시스템(150)으로 제공된다. 여기서, 설명상 편의를 위해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단문메시지로 전송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상기 단문메시지 전송 이외의 다른 형태로도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Thus,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emergency rescue system 150 is connected to a voice call, the mobile terminal 150 transmits it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n a short message, and the short message thus transmitted is It is delivered to the Short Message Center (SMC) 130 and wirelessly provided to the emergency rescue system 150. Here,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case in whic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transmitted in a short message has been described, bu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transmitted in a form other than the short message transmission. Do.

여기서,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전세계 위치정보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에서 제공하는 위치좌표를 수신하는 전세계 위치정보 시스템 수신기(GPSR: 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를 구비하여 자기 자신의 위치정보를 검출하여 저장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mobile terminal 100 is provided with a 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GPSR) that receives position coordinates provided by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thereby providing its own position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ection and storage.

상기 긴급구조 시스템(150)은 상기 긴급구조 시스템(150)의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153)와, 상기 공중교환망(140)과 인터페이싱을 수행하는 긴급구조 시스템 접속부(151)와, 상기 단문메시지 센터(130)에서 전송한 단문메시지를 수신하는 단문메시지 수신부(157)와, 상기 단문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이동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분석하는 지리정보부(155)와, 상기 제어부(153)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음성호가 연결되어 긴급구조 서비스를 수행하는 오퍼레이터와 인터페이싱을 수행하는 오퍼레이터 단말 1(159), ... , 오퍼레이터 단말 N(161)으로 구성된다.The emergency rescue system 150 includes a control unit 153 for performing overall operations of the emergency rescue system 150, an emergency rescue system connection unit 151 for interfacing with the public switched network 140, and the short message. Short message receiving unit 157 for receiving a short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center 130, geographic information unit 155 for analyz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d in the short message, and the control unit 153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voice call is connected is composed of an operator performing emergency rescue service and operator terminal 1 (159), ..., operator terminal N (161) for interfacing.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긴급 상황호 처리를 위해서는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배터리가 턴온(turn on) 중이거나 혹은 턴오프(turn off) 중 각각에서 다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별도의 전원이 공급되어야만 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배터리 구조 및 그 동작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for emergency call processing, the battery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turned on or turned off. Separate power must be supplied for transmission. Here, the battery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상기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배터리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상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배터리 턴온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mobile terminal battery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turning on a mobile terminal battery shown in FIG. 2.

먼저, 상기 이동단말기(100)에서 파워온(power on)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키패드(keypad)(도시하지 않음)의 파워키(power key)가 압압되면(도 3의 311단계), 상기 도 2의 트랜지스터(211)가 턴온된다. 즉, 상기 파워키의 압압에 따라 파워온 키 신호(PWR_KEY)가 저항들 및 캐패시터들을 거친 후 상기 트랜지스터(211)의 베이스(base) 단자로 입력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트랜지스터(211)는 상기 파워키 신호에 따른 일정 전압의 부여로 인해 턴온되고, 그러면 배터리의 전압(VBATT)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각 구성부 동작전원(Vin)으로 제공되는 것이다(도 3의 313단계). 그러면, 상기 전압 Vin에 연결된 설정 전압, 일 예로 3.0V의 전압이 트랜지스터(213)의 콜렉터(collector) 단자로 제공된다. 그러면, 상기 트랜지스터(211)는 턴온되고 이에 따라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턴온되었음을 감지한 ON_SW_SENSE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로 제공된다(도 3의 315단계). 그래서 이렇게 파워온 된후 상기 배터리 전압(VBATT)이 상기 전압 Vin에 지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상기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PS_HOLD 포트에서 제공되는 신호가 계속 하이(high)를 유지하여야만 한다(도 3의 317단계). 여기서, 상기 PS_HOLD 포트는 상기 제어부에 구비되어 있는 다수개의 범용 입출력 포트(GPIO: General Purpose Input Ouput)중 하나의 포트이다. 그래서, 파워오프(power off) 키가 압압되거나 혹은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임계레벨(threshold level)이하로 떨어지기 전까지는 상기 PS_HOLD 포트를 통해 계속 하이의 신호가 제공된다.First, referring to a power on process in the mobile terminal 100, when a power key of a keypad (not shown)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pressed (311 in FIG. 3). Step 2), the transistor 211 of FIG. 2 is turned on. That is, the power-on key signal PWR_KEY is input to the base terminal of the transistor 211 after passing through resistors and capacitors according to the pressing of the power key. Then, the transistor 211 is turned on due to the provision of a predetermined voltage according to the power key signal, and then the voltage VBATT of the battery is provided to the operating power source Vin of each component of the mobile terminal 100. (Step 313 in FIG. 3). Then, a set voltage connected to the voltage Vin, for example, a voltage of 3.0V, is provided to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transistor 213. Then, the transistor 211 is turned on and thus the ON_SW_SENSE signal, which detects that the mobile terminal 100 is turned on, is provided to the controller (not shown) of the mobile terminal 100 (step 315 of FIG. 3). Thus, in order for the battery voltage VBATT to be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voltage Vin after being powered on, the signal provided from the PS_HOLD port shown in FIG. 2 must be kept high (step 317 of FIG. 3). ). The PS_HOLD port is one of a plurality of General Purpose Input Ouputs (GPIOs) provided in the controller. Thus, a high signal is provided through the PS_HOLD port until a power off key is pressed or the voltage of the battery falls below a threshold level.

상기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배터리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긴급 상황호 처리를 수행하려고 할 경우 그 긴급 상황호 처리를 위한 배터리 전원 공급은 하기의 두 가지 경우로 나누어볼 수 있다.When the emergency call processing is to be performed using the battery structu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battery power supply for the emergency call processing may be divided into two cases.

첫 번째 경우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를 사용 중일 때, 즉 상기 배터리 전압(VBATT)이 상기 Vin에 인가되어 있는 경우이다. 물론, 이때 긴급 상황호 처리를 위한 별도의 키, 즉 긴급 상황호 키는 당연히 상기 키패드 상에 새롭게 하드웨어(h/w)적으로 구성해야 하며, 상기 새롭게 구성된 긴급 상황호 키의 해당 핀(pin)은 상기 제어부의 범용 입출력 포트의 핀에 연결하여 사용된다. 그래서, 상기 긴급 상황호 키가 압압되면 상기 제어부로 상기 긴급 상황호 키가 입력되었다는 신호가 전달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전세계 위치 시스템 블록(Block)을 동작 수행시켜 상기 이동단말기(100) 자신의 위치 추적 및 그 추적된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긴급상황 시스템으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The first case is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in use, that is, the battery voltage VBATT is applied to Vin. Of course, in this case, a separate key for emergency call processing, that is, an emergency call key, of course, must be newly configured in hardware (h / w) on the keypad, and a corresponding pin of the newly configured emergency call key. Is connected to the pin of the general-purpose input and output ports of the control unit. Thus, when the emergency call key is pressed,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emergency call key has been input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operates a worldwide location system block to operate the mobile terminal 100 itself. Location tracking and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tracked location is to be transmitted to the emergency system.

두 번째 경우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턴 오프 상태일 때, 즉 상기 배터리 전압(VBATT)이 상기 Vin에 인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이다. 이 경우 상기 이동단말기가 턴 오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배터리 전압(VBATT)이 상기 전압 Vin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긴급 상황호 키를 상기 도 2의 파워온키 부분과 동일하게 하드웨어적으로 연결해야만 한다. 그래야만이 상기 배터리 전압(VBATT)이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 경우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배터리 구조를 이용하여 긴급 상황호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상기 배터리의 전력이 소진되거나 혹은 상기 배터리가 충격에 의해 분리 또는 파괴되었을 경우 역시 상기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종래의 배터리 구조를 사용하여 긴급 상황 호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하였었다.The second case is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turned off, that is, the battery voltage VBATT is not applied to the Vin. In this case, since the mobile terminal is turned off, in order for the battery voltage VBATT to be connected to the voltage Vin, the emergency call key must be connected in hardware as in the power-on key portion of FIG. 2. In this case, it was impossible to perform emergency call processing using the conventional battery structure as shown in FIG. 2 because it is possible that the battery voltage VBATT is provided. In addition, when the battery power was exhausted or the battery was separated or destroyed by an impact, it was also impossible to perform emergency call processing using the conventional battery structure shown in FIG. 2.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단말기에서 배터리의 사용유무에 상관없는 긴급상황호 대비를 위한 비상배터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mergency battery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call preparedness regardless of the use of a battery in a mobile terminal.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긴급 상황호 요구를 위한 긴급 상황호 키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의 긴급 상황호 대비를 위한 배터리 시스템에 있어서, 파워온키 신호 입력에 따라 턴온되는 제1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턴온으로 배터리 충전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이동단말기 구성부 동작전원을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구성부 동작전원이 입력되면 턴온되는 제2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외부 배터리와, 상기 긴급 상황호키 신호 입력에 따라 턴온되는 제3트랜지스터와, 상기 제3트랜지스터의 턴온으로 배터리 충전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이동단말기 구성부 동작전원을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구성부 동작 전원이 입력되면 턴온되는 제4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비상배터리와, 상기 제2트랜지스터 및 제4트랜지스터의 턴온을 감지하여 상기 이동단말기가 파워온됨을 감지하며, 상기 제4트랜지스터가 턴온되었을 경우 상기 외부 배터리의 배터리 잔량을 검사하여 상기 배터리 잔량이 임계레벨을 초과할 경우 상기 외부배터리의 충전 전압을 상기 긴급 상황호 처리에 사용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battery system for emergency call preparation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n emergency call key for an emergency call request, comprising: a first transistor turned on according to a power-on key signal input, and a battery charging voltage at turn-on of the first transistor; An external battery comprising a second transistor that is turned on when the generated component operating power is input, and a third transistor turned on according to the emergency signal input; And an emergency battery configured to receive a battery charging voltage through turn-on of the third transistor to generate operating power of the mobile terminal component, and to turn on when the generated component operating power is input, and the second battery to turn on. Detects the turn-on of the transistor and the fourth transistor to detect that the mobile terminal is powered on.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heck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of the external battery when the fourth transistor is turned on, and to control the charging voltage of the external battery to be used for the emergency call processing when the remaining battery level exceeds a threshold level. It is don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긴급 상황호 요구를 위한긴급 상황호 키를 구비하며, 상기 긴급 상황호 처리를 위한 비상배터리 및 외부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의 긴급 상황호 대비를 위한 배터리 시스템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긴급 상황호키 신호 입력에 따른 파워온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파워온을 감지하면 상기 외부 배터리의 배터리 잔량을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배터리 잔량이 임계 레벨을 초과할 경우 상기 긴급 상황호 처리에 소요되는 전류를 상기 외부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control method for a battery system for emergency call preparation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n emergency call key for emergency call request and having an emergency battery and an external battery for processing the emergency call, the emergency call key Detecting a power-on according to a signal input; checking a battery level of the external battery when detecting the power-on; and if the battery level exceeds a threshold level, a current required for processing the emergency c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 of controlling to be supplied from the external battery.

도 1은 통상적인 이동통신시스템의 긴급상황호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ergency call processing system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배터리 구조를 도시한 도면2 illustrates a structure of a mobile terminal battery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배터리 턴온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turning on a mobile terminal battery shown in FIG.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배터리 구조를 도시한 도면4 illustrates a structure of a mobile terminal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배터리 턴온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turning on a mobile terminal battery illustrated in FIG. 4.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descriptions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distrac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배터리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battery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배터리 턴온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turning on a mobile terminal battery shown in FIG. 4.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배터리 구조 및 동작을 상기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 the emergency battery structure and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먼저, 상기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배터리는 상기 이동단말기의 외부에 탈부착되는 외부 배터리(400)와 긴급 상황호(emergency call) 처리시에만 사용되는 비상 배터리(450)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 배터리(400) 구조는 상기 도 2에서 설명한 배터리 구조와 동일하며, 따라서 상기 외부 배터리(400) 구조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First, as shown in FIG. 4, the mobile terminal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mergency battery which is used only during an emergency call processing with an external battery 400 detachable from the outside of the mobile terminal. It is composed of a battery 450. The external battery 400 structure is the same as the battery structu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and thus, the external battery 400 structure will not be described.

다음으로 상기 비상 배터리(450)의 파워온(power on)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power on process of the emergency battery 450 will be described.

상기 이동단말기의 키패드(keypad)(도시하지 않음)의 긴급 상황호 키(E911l key)가 압압되면(도 5의 511단계), 상기 비상배터리(450)의 트랜지스터(451)가 턴온된다. 즉, 상기 긴급 상황호 키의 압압에 따라 긴급 상황호 키 신호(E911_KEY)가 저항들 및 캐패시터들을 거친후 상기 트랜지스터(451)의 베이스(base) 단자로 입력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트랜지스터(451)는 상기 긴급 상황호키 신호에 따른 일정 전압의 부여로 인해 턴온되고, 그러면 비상 배터리(450)의 전압(EXTRA_VBATT)이 상기 이동단말기의 각 구성부 동작전원(Vin)으로 제공되는 것이다(도 5의 513단계). 그러면, 상기 전압 Vin에 연결된 설정 전압, 일 예로 3.0V의 전압이 트랜지스터(453)의 콜렉터(collector) 단자로 제공된다. 그러면, 상기 트랜지스터(453)는 턴온되고 이에 따라 상기 이동단말기가 턴온 되었음을 감지한 ON_SW_SENSE_E911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의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로 제공된다(도 3의 515단계). 그러면, 상기 이동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긴급 상황호 키가 입력되었음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전세계 위치 시스템 블록(Block)을 동작 수행시켜 상기 이동단말기 자신의 위치 추적 및 그 추적된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긴급상황 시스템으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emergency call key E911l key of the keypad (not shown) of the mobile terminal is pressed (step 511 of FIG. 5), the transistor 451 of the emergency battery 450 is turned on. That is, the emergency call key signal E911_KEY is input to the base terminal of the transistor 451 after passing through resistors and capacitors according to the pressing of the emergency call key. Then, the transistor 451 is turned on due to the provision of a constant voltage according to the emergency call key signal, and then the voltage EXTRA_VBATT of the emergency battery 450 is provided to the operating power source Vin of each component of the mobile terminal. (Step 513 of FIG. 5). Then, a set voltage connected to the voltage Vin, for example, a voltage of 3.0 V, is provided to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transistor 453. Then, the transistor 453 is turned on, and thus the ON_SW_SENSE_E911 signal, which senses that the mobile terminal is turned on, is provided to the controller (not shown) of the mobile terminal (step 515 of FIG. 3). Then, the mobile terminal controller detects that the emergency call key is input, and accordingly, the controller operates a global location system block to track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tself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n the tracked location. It will be sent to the emergency system.

그런데 이렇게 상기 이동 단말기가 파워온 된후 상기 배터리전압(EXTRA_VBATT)이 상기 전압 Vin에 지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상기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PS_HOLD_E911 포트에서 제공되는 신호가 하이(high)를 유지하거나 혹은 상기 외부 배터리(400)의 PS_HOLD 포트에서 제공되는 신호가 하이(high)를 유지하여야만 한다(도 5의 517단계). 여기서, 상기 PS_HOLD_E911 포트는 상기 제어부에 구비되어 있는 다수개의 범용 입출력 포트(GPIO: General Purpose Input Output)중 하나의 포트이다.However, in order for the battery voltage EXTRA_VBATT to continuously provide the voltage Vin after the mobile terminal is powered on, the signal provided from the PS_HOLD_E911 port shown in FIG. 4 is kept high or the external battery is maintained. The signal provided at the PS_HOLD port of 400 must remain high (step 517 of FIG. 5). The PS_HOLD_E911 port is one of a plurality of general purpose input outputs (GPIOs) provided in the controller.

그리고, 상기 이동단말기가 파워온이되면 상기 제어부는 일단 상기 비상 배터리(450)를 통한 파워온이 수행되었다 할지라도 상기 외부 배터리(400)의 배터리 잔량을 검사한다(도 5의 527단계). 상기 검사 결과 상기 외부 배터리(400)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면 상기 외부 배터리(400)의 PS_HOLD 포트로 하이 신호를, 상기 비상 배터리(450)의 PS_HOLD_E911 포트로 로우 신호(low)를 출력하여 상기 외부 배터리(400)의 배터리 전압(VBATT)이 상기 전압 Vin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상기 긴급 상황호 처리가 상기 외부 배터리(400)의 전원공급으로 수행되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도 5의 529단계).When the mobile terminal is powered on, the controller checks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of the external battery 400 even if the power on through the emergency battery 450 is performed (step 527 of FIG. 5). The external battery 400 outputs a high signal to the PS_HOLD port of the external battery 400 and a low signal to the PS_HOLD_E911 port of the emergency battery 450 when it is possible to use the external battery 400. The battery voltage VBATT of 400 is connected to the voltage Vin. Therefore, the emergency call processing is to be performed by the power supply of the external battery 400 (step 529 of FIG. 5).

한편, 상기 제어부가 상기 외부 배터리(400)의 배터리 잔량을 검사한 결과 상기 배터리 잔량이 임계레벨(threshold level)이하라고 검사되면 상기 외부 배터리(400)의 PS_HOLD 포트를 통해서는 로우 신호를, 상기 비상 배터리(450)의 PS_HOLD_E911 포트를 통해서는 하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비상 배터리(450)의 배터리 전압(VBATT)이 상기 전압 Vin으로 연결되도록 한다(도 5의 519단계). 그러므로, 상기 긴급 상황호 처리가 상기 비상 배터리(450)의 전원공급으로 수행되도록하게 되는 것이다(도 5의 521단계).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roller checks the remaining battery level of the external battery 400, and if the remaining battery level is determined to be below a threshold level (threshold level), the low signal through the PS_HOLD port of the external battery 400, the emergency A high signal is output through the PS_HOLD_E911 port of the battery 450 so that the battery voltage VBATT of the emergency battery 450 is connected to the voltage Vin (step 519 of FIG. 5). Therefore, the emergency call processing is to be performed by the power supply of the emergency battery 450 (step 521 of FIG. 5).

그리고, 상기 내장되는 비상 배터리 전압(VBATT)는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해 긴급상황 호처리시 1회 한해 동작할 수 있는 최소 전류량을 보장하는 한도에서 제작하면 충분히 작은 크기로 쉽게 내장할 수 있다는 것은 이 분야에 통상을 가진 사람이라면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예로, 긴급상황 호 키가 입력된 시간부터 GPS 모듈이 위치를 추적하는데 소요되는 45초~1분가량의 GPS 블록의 전류소모와 이 때 이 위치를 해당 관련 기관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소요되는 단말기의 1~5분가량의 단말기 전류소모를 측정하여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uilt-in emergency battery voltage (VBATT) can be easily built in a small enough size if it is manufactured in a limit to ensure the minimum amount of current that can be operated only once in an emergency call processing to minimize the size Anyone who has a normal to can think. For example, 45 seconds to one minute of current consumption of the GPS block from the time the emergency call key is entered and the GPS module tracks the location, and then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It can be determined by measuring the terminal current consumption for 1 to 5 minutes.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긴급 상황호 처리를 위해서 별도의 비상 배터리를 내장하여 사용함으로써 외부 배터리의 탈착, 훼손 및 배터리 잔량 부족 등으로 인한 긴급 상황호 처리 수행 불가능 경우를 제거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그리고, 긴급 상황호 수행중에 상기 외부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경우 상기 외부 배터리의 잔량을 사용함으로써 소형 비상 배터리 구비로도 긴급 상황호를 위한 별도의 배터리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eliminating the case where the emergency call processing cannot be performed due to the detachment, the damage of the external battery, the lack of the remaining battery, etc. by using a separate emergency battery for the emergency call processing. In addition, when it is possible to use the external battery while performing an emergency call,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may be used to implement a separate battery structure for emergency call even with a small emergency battery.

Claims (6)

긴급 상황호 요구를 위한 긴급 상황호키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의 긴급 상황호 대비를 위한 배터리 시스템에 있어서,A battery system for emergency call preparation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n emergency call key for an emergency call request, comprising: 파워온키 신호 입력에 따라 턴온되는 제1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턴온으로 배터리 충전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이동단말기 구성부 동작전원을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구성부 동작전원이 입력되면 턴온되는 제2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외부 배터리와,A first transistor turned on according to a power-on-key signal input, a battery charging voltage received by turning on the first transistor to generate operating power of the mobile terminal component, and being turned on when the generated component operating power is input; An external battery consisting of two transistors, 상기 긴급 상황호키 신호 입력에 따라 턴온되는 제3트랜지스터와, 상기 제3트랜지스터의 턴온으로 배터리 충전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이동단말기 구성부 동작전원을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구성부 동작 전원이 입력되면 턴온되는 제4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비상배터리와,The third transistor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emergency signal input signal and the battery charging voltage is input by the turn-on of the third transistor to generate operating power of the mobile terminal component, and turn on when the generated component operating power is input. Emergency battery consisting of a fourth transistor, 상기 제2트랜지스터 및 제4트랜지스터의 턴온을 감지하여 상기 이동단말기가 파워온 됨을 감지하며, 상기 제4트랜지스터가 턴온 되었을 경우 상기 외부 배터리의 배터리 잔량을 검사하여 상기 배터리 잔량이 임계레벨을 초과할 경우 상기 외부배터리의 충전 전압을 상기 긴급 상황호 처리에 사용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시스템.When the mobile terminal is powered on by sensing the turn-on of the second transistor and the fourth transistor, and when the fourth transistor is turned on, the remaining battery of the external battery is checked by checking the remaining battery level of the external battery.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charging voltage of the external battery to be used for the emergency call processin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성부 동작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 외부 배터리 혹은 비상배터리에 하이 신호를 지속적으로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시스템.The control unit is a batter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continuously provide a high signal to the external battery or emergency battery in order to continuously supply the operating power of the component.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하이 신호는 상기 외부 배터리 혹은 비상매터리의 이동단말기 구성부 동작 전원에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시스템.And the high signal is provided to an operating power supply of a mobile terminal component of the external battery or emergency batter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배터리 잔량이 임계 레벨 이하일 경우 상기 비상 배터리의 충전 전압을 상기 긴급 상황호 처리에 사용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시스템.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charging voltage of the emergency battery to be used for the emergency call processing when the remaining battery level is less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level. 긴급 상황호 요구를 위한 긴급 상황호키를 구비하며, 상기 긴급 상황호 처리를 위한 비상배터리 및 외부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의 긴급 상황호 대비를 위한 배터리 시스템에 제어 방법에 있어서,In a control method for a battery system for emergency call prepared by the mobile terminal having an emergency call key for emergency call request, and having an emergency battery and an external battery for the emergency call processing, 상기 긴급 상황호키 신호 입력에 따른 파워온을 감지하는 과정과,Detecting a power-on according to the emergency call signal input; 상기 파워온을 감지하면 상기 외부 배터리의 배터리 잔량을 검사하는 과정과,Detecting a battery level of the external battery when the power-on is detected; 상기 배터리 잔량이 임계 레벨을 초과할 경우 상기 긴급 상황호 처리에 소요되는 전류를 상기 외부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controlling the current supplied for the emergency call processing from the external battery when the battery level exceeds a threshold level.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배터리 잔량이 임계 레벨 이하일 경우 상기 긴급 상황호 처리에 소요되는 전류를 상기 비상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controlling the current required to process the emergency call from the emergency battery when the battery level is less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level.
KR1020010010569A 2001-02-28 2001-02-28 Battery system for implementing emergency call in mobile telephone and method thereof KR2002006996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0569A KR20020069966A (en) 2001-02-28 2001-02-28 Battery system for implementing emergency call in mobile telephone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0569A KR20020069966A (en) 2001-02-28 2001-02-28 Battery system for implementing emergency call in mobile telephone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966A true KR20020069966A (en) 2002-09-05

Family

ID=27696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0569A KR20020069966A (en) 2001-02-28 2001-02-28 Battery system for implementing emergency call in mobile telephone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9966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1902B1 (en) * 2001-08-11 2003-12-24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Management method for processing emergency cal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953629B1 (en) * 2002-12-05 2010-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requesting an emergency using mobile loaded GPS
CN109428729A (en) * 2017-09-01 2019-03-05 英特尔公司 For managing the emergency power lifeline unit supporte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1902B1 (en) * 2001-08-11 2003-12-24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Management method for processing emergency cal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953629B1 (en) * 2002-12-05 2010-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requesting an emergency using mobile loaded GPS
CN109428729A (en) * 2017-09-01 2019-03-05 英特尔公司 For managing the emergency power lifeline unit support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81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serve power in a cellular telephone
US6999800B2 (en) Method for power management of a smart phone
RU2335855C2 (en) Emergency callback using mobile terminal in limited operation mode
US6323775B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roximity-based recharge notification
KR10184398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a battery in a portable terminal
US8195248B2 (en) Disguised power-off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U723280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he power source of a portable radio transceiver
EP3910450A1 (en) Wearable device and activity data acquisition method
GB2329303A (en) Dual mod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JPH0793649B2 (en) Telephone device
EP2765824A1 (en) Mobile terminal boot control method and mobile terminal
KR100661555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battery electrode tap short alarming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KR20020069966A (en) Battery system for implementing emergency call in mobile telephone and method thereof
KR20210049585A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 and method thereof
KR100554149B1 (en) Controlling method of mobile station with location reporting function
JP2836600B2 (en) Mobile terminal device
KR2008005368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ower off information in portable communication system
KR100303291B1 (en) Location information system for emergency cal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960002065A (en)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Leveraging Wireless Selective Call Receivers
US20070147311A1 (en) Automatically activating wireless fidelity capability for a mobile station
KR101078503B1 (en) Wireless modem
KR100458065B1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n Power-Off
CN111969686A (en) Mobile terminal for concurrent USB OTG and charging and implementation method
KR20000065595A (en) Method for displayng battery status and estimated using time in digital portable terminal
KR100604489B1 (en) System for saving a life and thereof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