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8437A - 게이트키퍼에 있어서 인증, 라우팅, 디렉토리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게이트키퍼에 있어서 인증, 라우팅, 디렉토리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8437A
KR20020068437A KR1020010008788A KR20010008788A KR20020068437A KR 20020068437 A KR20020068437 A KR 20020068437A KR 1020010008788 A KR1020010008788 A KR 1020010008788A KR 20010008788 A KR20010008788 A KR 20010008788A KR 20020068437 A KR20020068437 A KR 20020068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keeper
call
ldap
endpoint
band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8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3632B1 (ko
Inventor
조준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8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3632B1/ko
Publication of KR20020068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8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3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36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46Call controllers; Call ser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엔드 포인트들의 상태라든지 자원이용에 대한 체크가 정확히 한정되지 않아 엔드포인트의 비지, 링크 다운, 자원 재할용 불능등.. 이상 상황에 대한 처리가 원할히 이루어지지 않는 등, 부가적인 서비스가 취약한 문제점을 해결토록 각 포인트들의 자원을 원할히 배분하여 최적화된 VoIP 호 서비스와 멀티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므로 게이트키퍼의 1대로 VoIP 호제어를 커버하는게 아니라 여러시스템으로 커버하는 리던던시를 두어 서비스를 향상 시키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게이트키퍼에 있어서 인증, 라우팅, 디렉토리 서비스 방법{METHOD FOR ADMISSION, ROUTING, DIRECTORY IN GATE KEEPER}
본 발명은 게이트키퍼에 있어서 인증, 라우팅, 디렉토리 서비스 방법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의 도시와 같이 게이트키퍼(40)는 ITU-T의 멀티미디어 통신규격인 H.323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H.323엔티티(Entity)의 하나로서 패킷 베이스 네트웍(Packet Based Network)에 존재하는 H.323 엔드 포인트들(게이트 웨이, 터미널, MCU등)을 존(Zone)이라고 정의되는 1개의 제어영역으로 묶어 제어(Control),관리(Manage), 결합(Integration)하는 정비를 말한다. 상기 게이트키퍼(40)의 주요기능은 Alias 이름이나 데스티네이션 번호를 네트웍(IP)어드레스로 변환하는 어드레스변환기능과, 호인증(RAS)의 기능으로 RAS(Register/Admission/Status)의 H.323에서 게이트키퍼(40)에 관련된 프로토콜과, 네트웍의 한정된 리소스(Resource)인 대역폭을 각 엔드 포인트들에게 적절히 배분하고, 한계값에 도달했는지를 체크하여 블록킹하는 대역폭제어기능과, 각 엔드 포인트간의 호를 연결/해제하는 모두 게이트키퍼(40)를 중간을 거쳐 수행하는 호제어기능과, 과금, 통계등의 부가적 유지보수기능을 가진다. 1개의 존에는 1개의 게이트키퍼(40)가 있으며, 1개 이상의 H.323 엔드포인트로 구성된다. 그리고 1개의 존에는 1개의 게이트키퍼(40)가 있으며, 1개 이상의 H.323 엔드포인트로 구성된다. 다수의 게이트키퍼가 모여 멀티-존을 형성할수 있고, 멀티-존을 제어하는 또다른 게이트키퍼(40)의 콘트롤러를 가질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게이트키퍼(40)는 엔드포인트들의 Alias 이름을 IP어드레스로 변환하여 VoIP 호 ??업을 진행하였다. 이것은 지역전화번호처럼 각각의 엔드포인트들을 그룹으로 묶어 라우팅을 해야하는 PSTN에서의 전화번호 체계와는 맞지 않았다. 상기 엔드포인트들이 게이트키퍼(40)에게 등록할 때 사용하는 ID인 Alis 이름으로 VoIP 호 ??업을 진행하게 되면, PC,IP 폰등의 IP터미널(44,46,48,50)들간의 일대일 통화에는 적절하지만 게이트웨이(36)처럼 1개의 IP어드레스에 여러개의 터미널(주로;폰)이 물리는 장비에는 맞지 않았다. 또한 해당 게이트키퍼(40)의 존내에 등록되지 않은 엔드 포인트로의 호일 경우는 LRQ(Location Request)를 통한 다른 게이트키퍼(40)를 탐색하는 데, 이를 멀티케스팅으로 처리하여 호 ??업의 속도가 느렸고, 성공에 대한 확률도 낮았다. 예를 들면, 각 엔드 포인트들의 상태라든지 자원이용에 대한 체크가 정확히 한정되지 않아 엔드포인트의 비지, 링크다운, 자원재할용불능등.. 이상 상황에 대한 처리가 원할히 이루어지지 않는 등, 부가적인 서비스가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포인트들의 자원을 원할히 배분하여 최적화된 VoIP 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멀티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므로 게이트키퍼의 1대로 VoIP 호제어를 커버하는게 아니라 여러시스템으로 커버하는 리던던시를 두어 서비스를 향상 시키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호출측에 대한 인증을 위하여 최대 동시 통화수 및 처리 대역폭 초과여부를 검사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초과하지 않았을시 전화 번호 계획 적용 및 단축다이얼여부를 판단하여 단축다이얼을 풀 다이얼로 변환하여 국제 또는 국내 통화사용 가능여부를 판단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억세스코드를 이용하여 IP가 속한 테이블에서 자원이 가장많이 남아 있거나 분배규칙에 따라 게이트웨이 선택 및 선택후 대역폭 사용 가능여부를 판단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의 판단결과에 따라 전화번호에 대한 라우팅이 완료되면 ACF를호출자에게 응답하고 상기 응답결과를 호출 테이블에 저장하고 해당 게이트웨이의 호 카운트 및 해당 존의 대역폭을 증가시키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에서 라우팅이 불가능할시 해당 엔드포인트에 ARJ를 보내고 PSTN으로 우회시키고 호 임계 및 토탈 알람을 로킹하고 호를 종료시키는 제5과정과,
상기 제3과정에서 분배규칙에 따라 게이트웨이 선택 및 선택후 대역폭 사용 이 불가능 할때 게이트키퍼의 메모리 셀에서 데스티네이션 앤드포인트가 존재하는지를 체킹하여 있으면 사용 가능한 대역폭이 남아 있는 지를 검사하는 제6과정과,
상기 사용 가능 대역폭이 남아 있으면 LRQ를 통한 이웃하는 게이트키퍼에 데스티네이션 엔드포인트가 존재하는 지를 검사하여 검사 불능시 ARJ와 사유를 호출자에게 전달하고 게이트키퍼가 현재 LDAP을 사용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를 검사하는 제7과정과,
상기 엔드포인트가 LDAP 탐색이 필요한지 또한 필요하다면 해당 엔드포인트가 현재 LDAP을 사용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를 검사하여 LDAP 리스트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LDAP의 탐색에 의해 해당 엔드 포인트에 LDAP 탐색 결과를 로딩하는 제8과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도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키퍼에 있어서 인증, 라우팅, 디렉토리 서비스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도 2의 운영에 따른 타이밍 체크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부가된 참조 부호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함에있어,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된 참조 부호일 지라도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 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키퍼에 있어서 인증, 라우팅, 디렉토리 서비스를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3은 타이밍 체크 흐름도이다.
호출측에 대한 인증을 위하여 최대 동시 통화수 및 처리 대역폭 초과여부를 검사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초과하지 않았을시 전화 번호 계획 적용 및 단축다이얼여부를 판단하여 단축다이얼을 풀 다이얼로 변환하여 국제 또는 국내 통화사용 가능여부를 판단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억세스코드를 이용하여 IP가 속한 테이블에서 자원이 가장많이 남아 있거나 분배규칙에 따라 게이트웨이 선택 및 선택후 대역폭 사용 가능여부를 판단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의 판단결과에 따라 전화번호에 대한 라우팅이 완료되면 ACF를 호출자에게 응답하고 상기 응답결과를 호출 테이블에 저장하고 해당 게이트웨이의호 카운트 및 해당 존의 대역폭을 증가시키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에서 라우팅이 불가능할시 해당 엔드포인트에 ARJ를 보내고 PSTN으로 우회시키고 호 임계 및 토탈 알람을 로킹하고 호를 종료시키는 제5과정과,
상기 제3과정에서 분배규칙에 따라 게이트웨이 선택 및 선택후 대역폭 사용 이 불가능 할때 게이트키퍼의 메모리 셀에서 데스티네이션 앤드포인트가 존재하는지를 체킹하여 있으면 사용 가능한 대역폭이 남아 있는 지를 검사하는 제6과정과,
상기 사용 가능 대역폭이 남아 있으면 LRQ를 통한 이웃하는 게이트키퍼에 데스티네이션 엔드포인트가 존재하는 지를 검사하여 검사 불능시 ARJ와 사유를 호출자에게 전달하고 게이트키퍼가 현재 LDAP을 사용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를 검사하는 제7과정과,
상기 엔드포인트가 LDAP 탐색이 필요한지 또한 필요하다면 해당 엔드포인트가 현재 LDAP을 사용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를 검사하여 LDAP 리스트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LDAP의 탐색에 의해 해당 엔드 포인트에 LDAP 탐색 결과를 로딩하는 제8과정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 일 실시예를 도 1 및 도 2,3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2a)과정에서 호출측에 대한 인증처리를 위하여 호출자의 Alias이름(H323ID, E.164, Email등)으로 판단하여, 해당 게이트키퍼(40)에 등록허가가 설정된 엔드포인트 인지를 알아낸다. 또한 듀플리게이트 Aliase/IP 로 인한H.323 규격을 위반하고 있지 않는 지를 검사하여 최종 인증 처리를 한다. (2b)과정에서 최대 동시 통화수 초과여부를 검사하기 위하여 해당 호가 성립하게 되면, 미리 설정된 해당 게이트키퍼(40)가 서비스 가능한 "최대 동시 통화수" 를 초과하게 되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초과하게 되면 (2c)과정에서 알람을 기록하고 호를 드롭시키며, 호 임계치는 메인 Configuration의 운용옵션에서 설정하는 값이다. (2c)과정에서 해당게이트키퍼(40)가 서비스하고 있는 VoIP망의 전대역치를 초과하게 되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초과하게 되면 (2c)과정에서 알람을 기록하고, 호를 드롭시킨다. 여기서 전대역도 메인 Configuration의 운용옵션에서 설정하는 값이다. (2e,2f)과정에서 사용자가 다이얼한 디지트를 분석하여 다이얼플렌(Dial Plan)상의 디지트 변환 대상인지 혹은 단축 다이얼인지를 판단한다. 해당 디지트의 프리픽스(Prefix)를 분석하여, 다이얼 플렌 데이터 베이스와 속도 다이얼 데이터 베이스에 매칭이 되는지를 판단한다. (2g)과정에서 단축 다이얼을 완전히 변환하면 다이얼 플렌 데이터 베이스와 스피드 다이얼 데이터 데이터 베이스에 매칭된다고 분석되면, 해당되는 기능을 불러 디지트변환을 수행한다. (2h)과정에서 미리 등록된 엔드 포인트의 COS(Class Of Service)관련된 데이터 베이스(DB)에서 국제전화를 사용할 수 있는 가입자 인지를 판단하여, 사용자가 다이얼한 디지트가 만약 국제전화이면, 해당 엔드포인트의 COS가 "국제전화허용" 이어야만 호를 진행시킨다. (2j), (2n),(2o),(2p),(2s),(2t),(2u)과정에서 억세스 코드를 이용하여 IP가 속한 테이블에서 자원이 가장 많이 남아 있거나 분배규정에 따라 게이트웨이선택, 선택후 대역폭 사용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데 , 상기 억세스코드란, 지역 전화 번호 체계 처럼 여러개의 게이트웨이를 그룹으로 묶어 각 그롭으로의 라우팅을 처리하게 할 수 있는 프리픽스번호이다. 서울 지역번호는 "02". 경기지역번호는 "031". 여기서 사용자가 다이얼한 디지트가 억세스 코드에 없는 정보이면, 해당 호가 게이트로의 랑팅이 아닌, IP 터미널로의 호로 간주하고, "데스티 네이션 검색"에서 해당 Alias 이름을 데스티네이션으로 하는 호 ??업을 진행하는 흐름을 밟게 된다. 즉, (2n)과정에서 각구간별 대역폭을 체킹하고 상기 (2d)과정에서 체크했던 부분은 게이트키퍼(40)의 존내의 전 대역폭을 의미하고, 각 게이트웨이별로의 구간별 대역폭을 체크한다. (2o)과정에서 각 IP별 (게이트웨이별) 상태를 체크하여 일정주기마다, 게이트웨이로 부터 상태를 보고 받아, 상태에 문제가 있거나, 상태 메세지가 오지 않는 링크가 실패 상태인지를 체크한다. 상태에서는 "All Busy", "Network Traffic"의 정보가 온다. (2p)과정에서 채널 선택을 위하여 게이트 웨이를 선택한후의 해당 게이트 웨이의 가용한 채널을 순서적으로 선택한다. (2s)과정에서 IP 우회 테이블존재를 검사한다. 상기 (2n, 2o, 2p)과정의 체크 항목에서 실패가 났을 경우는 IP 우회 테이블에 있는 그룹의 게이트 웨이로 라우팅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서울에서 051-123-4567로 호출을 했는 데, 부산지역의 게이트웨이의 자원이 없을 때, 대구지역의 게이트웨이로 라우팅을 해서 서울-대구 구간은 VoIP로, 대구-부산구간은 PSTN을 타고 나간다. (2q)과정에서 전화번호에 대한 라우팅이 왼료되면 ACF를 호출자에 응답하고, 상기 응답결과를 Call-log-Table에 저장토록 인증 및 라우팅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어, 호 ??업절차를 계속 진행하게 되며,(2r)과정에서 해당 게이트웨이의 호 카운트 및 해당 존의 대역폭을 증가시켜(2t)과정에서 PSTN우회로 ARJ를 내보낸다. 상기 ARJ란 인증거절 메시지로 H.323프로토롤이다. LDAP(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Server는 사용자와 그룹이 한 번 정의되면 여러 시스템에서 공유될 수 있는 정보 디렉토리를 제공하는 Server입니다. 이와 관련해서 X.500이란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데, 한편, 상기 (2j)과정에서 억세스코드에 의해 IP 테이블 및 존 번호를 서치하여 없으면 (2k)과정에서 게이트키퍼(40)의 메모리 셀에서 데스티네이션 엔드 포인트가 존재하고 있는지를 검색하여 있으면 (2m)과정에서 대역폭을 체크하고 없으면 (2l)과정에서 LRQ를 통한 아웃 게이트키퍼(40)에 데스티네이션 엔드 포인트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이웃하는 게이트키퍼(40)란 사용중인 게이트키퍼(40)를 이용하여 데스티네이션으로 호를 할수 없을 때에 근접해 있는 다른 게이트키퍼(40)를 통하여 호의 연결을 가능하게 해 주는 게이트키퍼이다. 주 게이트키퍼r에 등록되지 않은 엔드 포인트로의 호를 가능하게 해주며, 전제 조건은 해당 엔드포인트가 이웃하는 게이트키퍼에는 등록되어야 한다. 주 게이트키퍼의 이웃하는 게이트키퍼 데이타베이스에 해당 이웃하는 게이트키퍼들의 IP 어드레스와 프리픽스를 두어 그 IP 어드레스로 LRQ/LCF 처리하고, 해당 데스티네이션의 Alias가 이웃게이트키퍼의 프리 픽스와 메치되는 곳으로 우선 요구를 한다. (2i)과정에서 데스티네이션 검색 불가시 ARJ와 이유(Reason) 호출자에 응답을 전송하고, 상기 과정의 타이밍 체크를 위하여 (3a)과정에서 게이트키퍼(40)가 현재 LDAP를 사용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를 검사하는데, 상기 게이트키퍼(40)의 메인 Configuration에 LDAP사용유무에 관련된 DB를 두어서, 필요시에 설정해서 사용하고, LDAP 서치는 해당 LDAP 서버에 따라, 탐색에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으니, 평상시에는 디스에이블로 해서, 호 ??업시간에 영향을 주지 않게 한다. (3b)과정에서 엔드 포인트가 LDAP서치가 필요한지 또한 필요하다면 해당 엔드포인트가 현재 LDAP를 사용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지를 검사한다. (3c)과정에서 LDAP리스트 테이블을 참조하여 LDAP를 서치하도록 LDAP 서버의 URL과 IP 어드레스를 게이트키퍼(40)의 LDAP 리스트 테이블에 등록하여, 필요시에 설정된 LDAP 서버로 엔드포인트의 정보를 서치하도록 요구하여 필요한 정보를 받아 온다. 다수의 LDAP 서버를 지정하여 필요한 정보를 받을 때까지 탐색이 가능하다. (3d)과정에서 해당 엔드 포인트에 LDAP 탐색 결과를 로딩한다. 상기 LDAP(L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서버는 사용자와 그룹이 한번 정의 되면 여러 시스템에서 공유 될 수 있는 디렉토리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이와 관련해서 X.500이란 프로토콜을 사용하는데, X.500 디렉토리에 액세스하기 위해서는 DAP(Directory Access Protocol)와 같은 특정 프로토콜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프로토콜의 복잡성을 처리하기 위해 DAP는 많은 수의 시스템 자원과 지원 메카니즘을 필요로 한다. 데스크탑 워크스테이션이 X.500을 액세스할 수 있게 하기 위해 LDAP가 도입된다. 요청에 응답할 수 없으면 이 요청을 다른 X.500 서버에 전달하고, 그 서버가 요청을 완료하거나 LDAP 서버로 오류를 리턴하면, LDAP 서버가 다시 클라이언트에 그 정보를 제공한다. LDAP는 클라이언트/서버 기반 제품이며 DAP 클라이언트에서 필요로 하는 일부 중요한 자원은 LDAP 서버에서 처리하고, LDAP 서버는 클라이언트에 결과나 오류를 리턴하기만 하며, 클라이언트로부터 요구하는 것은 거의 없다. 상기 LRQ/LCF는 LRQ ( Location ReQuest ). LCF ( Location ConFirm ) 해당 게이트키퍼가 호출시에 들어온 데스티네이션정보를 찾지 못했을 때, 미리 알고 있는 다른 게이트키퍼로 요구를 하여 필요로 하는 데스티네이션정보를 찾아오는 기능을 하는 H.323 프로토콜이다. 여기서의 데스티네이션정보란 데스티네이션의 Alias 이름과 IP 어드레스이다. LRQ 메시지에 정보 요구하려는 다른 게이트키퍼의 IP 어드레스와 ID 데스티네아션의 Alias 이름을 담아서 보내면, 해당 데스티네이션이 등록된 다른 게이트키퍼에서는 데스티네이션의 IP어드레스s를 LCF 메시지에 담아서 보내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IP 어드레스 1개에 1포트를 제공하는 PC, IP 폰등의 터미널과 IP 어드레스 1개에 다중 포트를 제공하는 게이트웨이에 모두 다 서버를 제공하고, 상기 게이트웨이의 라우팅이 아니라, 대역폭, 자원활용, 링크 실패등의 상태체크. 로드 분산관점의 가장 로드가 적게 걸리는 게이트웨이선택등 다양하고 효율적으로 체크하고 서치 할수 있어 실패가 나면, IP 우회와 PSTN우회를 통해, 어쨋든 호는 서비스되도록 해주는 확실성을 제공하는 장점과, 게이트키퍼, 이웃 게이트 키퍼, LDAP 서버등... 멀티 시스템 인터페이템을 제공함으로 게이트키퍼VoIP 호제어를 커버하는 게 아니라, 여러 시스템으로 커버하는 용장(Redundancy)를 두어 좀 더 확실한 서비스가 가능하고, 신뢰성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게이트키퍼에 있어서 인증, 라우팅, 디렉토리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호출측에 대한 인증을 위하여 최대 동시 통화수 및 처리 대역폭 초과여부를 검사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초과하지 않았을시 전화 번호 계획 적용 및 단축다이얼여부를 판단하여 단축다이얼을 풀 다이얼로 변환하여 국제 또는 국내 통화사용 가능여부를 판단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억세스코드를 이용하여 IP가 속한 테이블에서 자원이 가장많이 남아 있거나 분배규칙에 따라 게이트웨이 선택 및 선택후 대역폭 사용 가능여부를 판단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의 판단결과에 따라 전화번호에 대한 라우팅이 완료되면 ACF를 호출자에게 응답하고 상기 응답결과를 호출 테이블에 저장하고 해당 게이트웨이의 호 카운트 및 해당 존의 대역폭을 증가시키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에서 라우팅이 불가능할시 해당 엔드포인트에 ARJ를 보내고 PSTN으로 우회시키고 호 임계 및 토탈 알람을 로킹하고 호를 종료시키는 제5과정과,
    상기 제3과정에서 분배규칙에 따라 게이트웨이 선택 및 선택후 대역폭 사용 이 불가능 할때 게이트키퍼의 메모리 셀에서 데스티네이션 앤드포인트가 존재하는지를 체킹하여 있으면 사용 가능한 대역폭이 남아 있는 지를 검사하는 제6과정과,
    상기 사용 가능 대역폭이 남아 있으면 LRQ를 통한 이웃하는 게이트키퍼에 데스티네이션 엔드포인트가 존재하는 지를 검사하여 검사 불능시 ARJ와 사유를 호출자에게 전달하고 게이트키퍼가 현재 LDAP을 사용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를 검사하는 제7과정과,
    상기 엔드포인트가 LDAP 탐색이 필요한지 또한 필요하다면 해당 엔드포인트가 현재 LDAP을 사용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를 검사하여 LDAP 리스트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LDAP의 탐색에 의해 해당 엔드 포인트에 LDAP 탐색 결과를 로딩하는 제8과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1-0008788A 2001-02-21 2001-02-21 게이트 키퍼에 있어서 인증, 라우팅, 디렉토리 서비스 방법 KR100393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8788A KR100393632B1 (ko) 2001-02-21 2001-02-21 게이트 키퍼에 있어서 인증, 라우팅, 디렉토리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8788A KR100393632B1 (ko) 2001-02-21 2001-02-21 게이트 키퍼에 있어서 인증, 라우팅, 디렉토리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8437A true KR20020068437A (ko) 2002-08-27
KR100393632B1 KR100393632B1 (ko) 2003-08-02

Family

ID=27695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8788A KR100393632B1 (ko) 2001-02-21 2001-02-21 게이트 키퍼에 있어서 인증, 라우팅, 디렉토리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36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930B1 (ko) * 2004-02-09 2011-08-23 주식회사 케이티 인터넷 전화의 대역폭 할당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930B1 (ko) * 2004-02-09 2011-08-23 주식회사 케이티 인터넷 전화의 대역폭 할당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3632B1 (ko) 2003-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8779B2 (en) Intercepting voice over IP communications and other data communications
US7016343B1 (en) PSTN call routing control features applied to a VoIP
JP3940122B2 (ja) 一次接続の代替接続に対する使用可能フューチャの形成方法
US6987849B2 (en) Method and systems for intelligent signaling router-based surveillance
US8064436B2 (en)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messages incorporating address and/or rout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a contact header of a redirect message
US9338191B2 (en)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message incorporating a number of predetermined address headers having predetermined address information
US200701656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lternate routing in a network
CN101595697A (zh) 在网络中路由呼叫
US8184796B2 (en) Private communications network with wildcard dialing
US20070121798A1 (en) Public service answering point (PSAP) proxy
US8693376B2 (en) Monitoring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US6847634B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call routing
CN1875603A (zh) 用于负载平衡的方法和装置
CN101282388A (zh) 电话系统和网关设备
US6904041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domains and subdomains in zones of real time communication systems
US200900598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ing the Subscriber Type of IP and Non-IP Subscribers Using the Hostpart of the SIP URI
KR100393632B1 (ko) 게이트 키퍼에 있어서 인증, 라우팅, 디렉토리 서비스 방법
Cisco VoIP Gatekeeper Trunk and Carrier Based Routing Enhancements
US7523203B1 (en) Shared distribution media resources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7583615B2 (en) Operating mode for a communication system
US9148515B1 (en) International conferencing via globally distributed cascading servers
US20060190727A1 (en) Method and control program for operating a communication terminal for packet-oriented data transmission
JP3984819B2 (ja) ボタン電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