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6790A - Dol sung gume - Google Patents

Dol sung gu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6790A
KR20020066790A KR1020010007149A KR20010007149A KR20020066790A KR 20020066790 A KR20020066790 A KR 20020066790A KR 1020010007149 A KR1020010007149 A KR 1020010007149A KR 20010007149 A KR20010007149 A KR 20010007149A KR 20020066790 A KR20020066790 A KR 20020066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ay
inlaid
silver
metal
c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71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삼홍
Original Assignee
김삼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삼홍 filed Critical 김삼홍
Priority to KR1020010007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6790A/en
Publication of KR20020066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6790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6Inlaying with ornamental structures, e.g. niello work, tarsia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PURPOSE: Provided is an inlaid work by stones which inlays metallic materials like gold, silver or so on into natural stones to develop one of cultural goods so that it contributes to introduce authentic inlaid technique for foreign people. CONSTITUTION: The inlaid work by the stones is characterized by combining and utilizing natural stones, a material wherein natural stones are inlaid, metallic materials like gold, silver, copper or so on which are used for adding to the material wherein natural stones are inlaid and a binding material which is used for binding the metallic materials.

Description

돌상감{DOL SUNG GUME}Stone inlaid {DOL SUNG GUME}

1. 기원 및 발달사1. Origin and Development History

1) 상감기법의 어의1) The meaning of inlay technique

상감은 면의 일부를 깍아 내고 다른 이질을 넣는 기술로 고대부터 널리 응용되어온 예술적 공예 장식법 으로 그 종류는 기법에 상감바탕의 파낸 홈에 다른 이질의 을 감입 하여 색채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기법으로 선상감, 면상감, 포목상감, 절상감, 소상감의 기법이 있으며, 감입 이질의 높낮이에 따라 평상감과 고육상감 으로 구분된다.Inlay is a technique of decorating the arts and crafts that has been widely applied since ancient times as a technique of cutting out parts of cotton and inserting different alien materials. There are techniques such as cotton inlay, woody inlay, rounding up, and small inlay.

2) 상감기법의 전래2) Introduction of inlay technique

상감의 역사는 확실한 고증은 없으나 고대 이집트와 중국에서 찾을 수 있다고 한다. 중국에서는 진(秦), 전국시대에 이미 나타났으며 한나라 시대에 성해져서 청동기의 등의 소형기구에 금, 은으로 가는 얇은 판을 상감한 것을 많이 볼 수 있으며, 우리나라의 상감기법도 한나라에서 전래된 것으로 보여진다.The history of inlays is not evident but can be found in ancient Egypt and China. In China, it has already appeared in the Qin and Nation periods, and it was established during the Han Dynasty, and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many inlaid thin plates of gold and silver on small instruments such as bronze, etc. Seems to have been done.

(1) 금속상감(1) metal inlay

금속상감기술은 크게 나누어 골상감, 면상감, 절상감, 입사 등이 있다. 그런데 철로 만든 기물에는 입사 기술이, 비철금속엔 상감기술이 주로 쓰이고 있다. 금속 상감 제작시 꼭 필요한 것이 기물에 채워 쓰는 감탕인데, 송진에 진흙(조대흙)을 4 : 6 또는 3 : 7 비율로 섞어서 불에다 끓여서 만든다. 송진과 진흙이 잘 섞여 죽과 같이 되면 들기름을 적당량 넣어주는 것이 좋은데, 그 까닭은 작업을 할 때 신축성을 좋게 하기 때문이다. 상감작업이 끝난 뒤 기물의 철부분에 표면처리를 하는데, 철의 표면을 검게 하기 위해서는 생옻칠을 하여 불에 구워서 검은 색을 얻거나, 철을 달군 뒤에 들기름을 넣으면 거무죽죽하게 색이 변하여 녹이 잘 슬지 않는다. 이와 함께 달군 뒤에 송진가루를 뿌리면 철의 표면에 먹어 들어가 마무리가 곱게 된다. 철제 상감을 할 때 특히 중요 한 것은 V자형의 홈을 새길 때의 정질 방법이다. 정질은 직선일 경우와 둥근 곡선일 경우가 조금 다른데, 먼저 직선일 경우는 정질을 할 때 먼저 하였던 정 자국에 1/2정도 겹치게 정질 하여 계단식으로 턱이 지게 한 뒤에 금·은 등의 실을 박아 넣었다. 둥근 곡선일 경우는 직선과 달리 정질을 할 때에 먼저한 정 자국의 1/3 ~1/4정도 겹치게 정질 하여 간격이 직선일 때보다 좁게 하였다.Metal inlay technology is roughly divided into bone inlay, surface injuries, roundness and incidence. By the way, the technology of incidence is mainly used for iron materials, and the inlay technology is mainly used for nonferrous metals. What is necessary to make the metal inlay is a tang which is filled with water, and is made by mixing the rosin with mud (coarse soil) in a ratio of 4: 6 or 3: 7 and boiling it over a fire. When rosin mixes well with mud, it is good to add an appropriate amount of perilla oil because it improves elasticity when working. After finishing the inlay work, the iron part of the surface is surface treated. To make the iron surface black, paint it with raw lacquer and bake it in a fire. Not sad At the same time, sprinkle pine powder on Dalgun and eat it on the surface of iron to make the finish fine. Particularly important when inlaying steel is the method of slicing the V-shaped grooves. The quality is slightly different from the straight line and the round curve, but the first straight line is overlapped with the first half of the sperm that was used during the sizing, and the jaw is stepped up and the gold and silver threads are embedded. Put in. In the case of a rounded curve, unlike the straight line, when it is crystallized, 1/3 to 1/4 of the first mark is overlapped to make it narrower than the straight line.

이렇게 하면 나타내고자 하는 무늬를 보다 쉽게 새길 수 있고, 박아놓은 실이 잘 빠지지 않는 과학 슬기가 배어 있다. 이러한 제작기술의 분석을 위하여 삼국시대의 철제 은 상감고리 자루칼과 오늘날 기능보유자들이 만든 철제 은상감의 정질 자국과 상감 단면을 분석한 결과 비교유물 모두에서 곡선부분의 정질 자국 간격이 좁고 점차 직전으로 되면서 정 자국이 넓어지는 현상이 관찰되며, 이와 함께 상감부위의 은실의 옆면에 약 80℃ 각도로 정질 자국의 주름이 음각 되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삼국시대의 철제상감제작기술과 오늘날의 기능보유자들의 상감제작기술이 같음이 밝혀졌다. 정질 자국에 이어 철제은상감 시료와 백제, 가야와 신라 등에서 출토되는 철제 은 상감 고리자루칼 과 허리띠고리[具] 등의 단면을 분석한 결과 함께 V자형에 역삼각형을 하고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렇듯 철제 은 상감 단면에서도 삼국시대의 철제 은상감기술과 같은 V자형이 나타나는 것은 철제 은상감에 보이는 정질 자국과 함께 고대의 철제 골상감 제작기술이 끊기지 않고 오늘에 그대로 전승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주목된다. 철제상감기술과 비교하기 위해 비철금속인 구리제은상감 시료를 분석한 결과 철제은상감의 정질 자국과 달리 톱니 모양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음이 확연히 나타난다. 이러한 점은 은실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로서 홈속에 쪼이질을 하고 있는데, 이는 무른 금속성질에 의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편으로 이러한 제작기술을 발달 시켰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예로부터 구리 등의 비철금속에 이와 같은 제작기법 을 사용하였는지는 실제 유물과 비교 할 수 없어 아쉬움으로 남는다. 이어서 구리제 은상감 단면을 분석한 결과 단면이 W와 유사한 모습이고, 홈속의 양쪽가장자리 홈에까지 은실이 잘 메워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홈속에 박아 넣은 은실이 빠지지 않게 하는 기술임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렇듯 철과 비철금속에 각기 다른 방식의 제작기술을 활용할 수 있었던 까닭은 예로부터 우리 선조 들이 금속의 성질을 정확히 파악하고 또 그것에 알맞게 제작기법을 발달 시켰기 때문이다. 이러한 신기술의 발견과 발전은 보다 낳은 기술의 개발을 가져와 우리의 기술이 제자리에 멈추지 않고 계속 발전되어 온 것임을 알 수 있다. 즉 지금도 이해하기 어려운 고대의 금속상감기술은 끊기지 않고 오늘의 기능보유자들에게 이어지고 있음에 비추어 묵은 기술이라 할지라도 새로운 천년을 앞둔 시점에서 새 천년의 우리기술을 확립 발전시키는데 많은 기여를 할 것임에 틀림이 없다.This will make it easier to engrave the pattern you want to show, and it will give you the science wiseness that you won't lose. For analysis of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the analysis of the quality marks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iron silver inlay hook knife of the Three Kingdoms era and the iron silver inlay made by the functional holders of today are as follows. As a result, the phenomenon of widening of the mark is observed, and at the same time, the wrinkle of the mark is engraved at an angle of about 80 ° C on the side of the silver thread of the inlay to support it. In this respect, it was found that the iron inlay production technology of the Three Kingdoms era and the inlay production technology of today's skill holders are the same. Following the quality marks, cross sections of iron silver inlay samples and iron silver inlay rings and belt rings from Baekje, Gaya and Silla were analyzed. As such, the V-shape, such as the steel silver inlay technology of the Three Kingdoms era, in the steel silver inlaid section, is shown to show that the ancient steel bone inlay production technology is handed down as it is today. . The analysis of the copper inlay sample, which is a non-ferrous metal, compared with the iron inlay technique, shows that the sawtooth is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unlike the grain marks of the iron inlay. This is a technique to prevent the silver thread to fall into the grooves, which can be seen that the development of this manufacturing technology as a way to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caused by soft metal properties. However, the use of such fabrication techniques for non-ferrous metals, such as copper, has been unfortunate since it cannot be compared with actual artifacts. Subsequent analysis of the copper inlaid cross section shows that the cross section is similar to W, and the silver thread is well filled to both edge grooves in the groove. In other words, it is a technology to prevent the silver thread embedded in the groove to fall out. The reason why we could use different manufacturing techniques for ferrous and non-ferrous metals is that our ancestors have been able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properties of metals and to develop them accordingly. The discovery and development of these new technologies has resulted in the development of better technology, and we can see that our technology has been continuously developed without stopping in place. In other words, the ancient metal inlay technology, which is still difficult to understand, continues to be retained by today's skill holders, even if it is an old technology, it must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our new technology in the new millennium. There is no

(2)나무상감(2) wood inlay

나무상감은 무늬를 켜로 쌓아 아교 등으로 붙여 만들고, 쌓은 켜의 단면에 나타난 무늬를 이용하여 대량생산과 대칭의 미를 추구하여 반으로 쪼개 쓴다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나무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나무를 결합하여 만들어냄으로 서로 다른 성질 , 즉 수축 팽창, 뒤틀림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적당한 수축 팽창을 허용하는 설계와 시공, 그리고 서로 다른 성질을 보완할 수 있도록 나무성질을 잘 이해하고 판자와 판자를 붙일 때는 나뭇결이 교차하도록 하는 반배결의 과학슬기를 발휘하였는데, 요즘의 합판제작원리와 같다. 또한 무늬를 만들어 그것을 3~4차례 절반으로 켜서 같은 무늬를 대량생산할 수 있는 과학슬기, 그리고 반을 갈라 양쪽에 배치하여 가구의 대칭성을 살리는 과학슬기, 그리고 아름다운 나뭇결을 갖는 느티나무나, 먹감나무를 얇게 켜 오동판에 붙여쓰는 절약정신 등이 독특하다. 그러므로 이러한 고유기술을 토대로 이제는 다양한 수입목, 무늬를 자유 자재로 표현할 수 있는 기계의 발달, 나무의 성질을 잘 받아들이는 접착제, 그리고 새로운 전통을 창조할 수 있는 우리만의 디자인 등과 함께 잘 어우러진 독창적인 목공예로 발전시켜 나아가야 할 것이다.The wood inlay is made by layering the pattern with glue and made of glue, and by using the pattern on the cross-section of the pile, it is split in half in pursuit of the beauty of mass production and symmetry. Also, by combining different kinds of tre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ee, it is necessary to complement the design, construction, and different properties to allow proper contraction expansion to solve the problems of different properties such as contraction expansion and warping. In order to understand the quality of the wood and to attach the boards and planks, they showed the science of anti-twisting so that the wood grains intersect, which is the same as the principle of plywood production. Also, make a pattern and turn it in half 3-4 times to mass produce the same pattern, and separate the half and place it on both sides to improve the symmetry of the furniture, and the beautiful wood grain zelkova or persimmon tree The unique spirit of thinning and pasting on a paulownia plate is unique. Therefore, based on this unique technology, it is now a unique woodwork that blends well with various imported trees, the development of machines that can express patterns freely, adhesives that accept the characteristics of wood, and our own designs that can create new traditions. We will have to develop it.

(3) 가죽상감(3) leather inlay

가죽상감기술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마치 나전칠기를 만들 듯이 자개나 대모 등을 약간 파고 붙여 옻칠을 하는 것과 가죽에 옻칠을 한 뒤 그 위에 음각으로 무늬를 새기고 그 홈에 석채와 옻을 개어 채워주고 다시 옻칠을 하여 완성하는 것이다. 가죽은 나무와 달리 유연성이 좋아 무늬 넣기가 가공이 용이하지만 보존성이 약해 옻칠과 같은 좋은 칠로 마감되어야 유용한 쓰임새를 갖는다. 가죽에 나전칠기와 같은 방법으로 하는 상감, 칠과 석채를 개어 하는 칠상감 등으로 기물에 아름다운 무늬를 내고 옻칠로서 부드러운 재질을 강화하여 부드러움과 강인함을 함께 지녀 나무로 만든 것과는 또 다른 느낌을 주는 새로운 느낌을 주는 기물을 만들어 내었다. 상감기술은 도자기뿐만 아니라 금속, 나무, 가죽 등 거의 모든 재료에 두루 쓰였는데 이는 물질의 특성을 충분히 이해하고 아름다운 장식 효과까지도 높이는 탁월한 선조 들의 과학슬기가 엿보이는 문화 속에 깃든 겨레과학이다.Leather inlay technology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As if making Najeon Lacquerware, the mother-of-pearl will dig a little bit of mother-of-pearl and godmother, and lacquer the leather, and then lacquer the leather and engrav the pattern on the groove and fill the grooves with lacquer and lacquer. Unlike wood, leather has good flexibility, so it is easy to process the pattern. However, it has a weak preservation. A new pattern that gives a different feel to the wood by inlaid in the same way as Najeon lacquer on leather, and lacquer inlaid with lacquer and quarries. I created a feeling that gave me a feeling. Inlay technology has been applied to almost all materials such as metal, wood and leather as well as porcelain, which is a feudal science in the culture of the ancestors of outstanding ancestors who fully understand the properties of materials and enhance beautiful decorative effects.

2. 상감에 사용되는 금속의 종류와 그 특성2.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Metals Used for Inlay

상감되는 금속은 금, 은, 동, 오동, 황동 같은 높은 금속이 주로 쓰이며 바탕을 이루는 금속은 백동, 황동, 청동 등이 주초 쓰여진다.The inlaid metals are mainly made of high metals such as gold, silver, copper, paulownia, and brass, and the base metals are copper, brass, and bronze.

1) 금 (Au, Gold)1) Gold

금은 특유한 색채와 광택이 있으며, 녹이 슬지 않고 불발성이 있으며, 뛰어난 금속이다. 비중이 19.32이며 융점이 1063℃이다. 금은 동족금속과 합금이 잘되므로 용도에 따라 다양한 합금으로 목적에 맞게 사용할 수 있다. 상감에는 주로99.95%의 순금을 사용한다. 금의 등급은 캐럿(Karat)으로 표시하는데 순금은 24캐럿으로 정하고 순금합금의 비율에 따라 22K, 18K, 14K 등으로 표시된다. 합금을 하게 되면 경도가 높아지고 융점이 낮아지며 열전도는 감소하고 14K까지는 산화하기 어려우며 광택도 오래 보존된다.Gold has a distinctive color and luster, is rust-free, non-volatile, and is an excellent metal. Specific gravity is 19.32 and melting point is 1063 ° C. Gold is well alloyed with cognate metals, so i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depending on the purpose. The inlay is mainly 99.95% pure gold. The grade of gold is expressed in karat. The pure gold is set at 24 carats, depending on the proportion of the net alloys, which is represented by 22K, 18K, 14K, etc. Alloying increases hardness, lowers melting point, reduces heat conduction, is difficult to oxidize up to 14K, and preserves gloss for a long time.

2) 은 (Ag, Silver)2) Silver (Ag, Silver)

은은 흑청색, 회색, 청색을 띄고 있으며, 비중이 10.50, 융점이 960.5℃인 금속이다. 은은 금 다음으로 연성과 유연성이 높아서 공예품에 많이 애용되고 있다. 순은의 무게는 순은의 약2/1에 해당하며 순은 99.9%-99.95%의 것을 말한다. 합금에는 동이 은의 동족원소로 가장 보편적으로 많이 쓰이는데 공예품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은합금은 Sterling합금으로 은92.5%에 동7.5%가 함유된 것을 말한다. Sterling의 장점은 주조성을 좋게 하여 용도가 넓어지는 것이다. 공기중에서 가열하면 산화되며 황화수소(H2S)나 SO2개스에 의해서는 변색된다.Silver is blackish blue, gray and blue with a specific gravity of 10.50 and a melting point of 960.5 ℃. Silver is second to gold and has high ductility and flexibility, so it is widely used for crafts. Sterling silver weighs about 2/1 of the pure silver and is 99.9% -99.95% pure silver. Copper is the most commonly used cognate element of silver, and silver alloy most commonly used in crafts is Sterling alloy, which contains 92.5% of silver and 7.5% of copper. The advantage of Sterling is that its castability is good and its use is wider. When heated in air, it is oxidized and discolored by hydrogen sulfide (H2S) or SO2 gas.

3) 동 (Cu, Copper)3) Copper (Cu, Copper)

동은 비중이 8.96이고, 융점이 1.083℃이다. 순동은 독특한 적색을 띄며 우리나라에서는 구리라고도 불리워 진다. 전연성이 좋아 두드려서 만드는 물건의 소재에도 적합하다. 그러나 동은 강도가 부족하고 융점이 너무 높으며 색이 붉고 식성이 약해서 여러 종류의 원소를 첨가해서 합금으로 그 결점을 개선하는 경우가 많다.Copper has a specific gravity of 8.96 and a melting point of 1.083 ° C. Pure copper has a unique red color and is called copper in Korea. Good malleability is also suitable for materials made by tapping. However, copper has low strength, too high melting point, red color, and poor diet, so many kinds of elements can be added to improve the defects of alloys.

4) 오동 (烏銅)4) Paulownia

오동은 동에다 금과 백납을 넣어 만든 것으로 약간 보라색을 띄는 검붉은 동을 말한다. 합금비율은 조선 정조때 이성계의의 烏銅法에 동 한냥 에 5,6분을 넣으면 상품의 오동이 되고 3분을 넣으면 하품의 오동이 된다고 하였다. 그러나 최근에 와서는 동 1돈에 검1분을 넣으면 하품이 되고, 동1돈에 금2분을 넣으면 상품이 된다고 한다.Odong is made of gold and white lead in the copper. It is a slightly reddish copper. Alloy ratio is the ratio of ratio It is said that if you put 5,6 minutes in the same way, it will be a product mistake, and if you put 3 minutes, you will be a yawn. Recently, however, if you put one minute of gum in a don, it becomes a yawn.

5) 철강 (Fe, Iron, Steel)5) Fe, Iron, Steel

철과 강은 타금속보다 강도, 靭性(인성)등이 크고 또한 열처리에 의해서 기계적 성질이 개선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철과 강은 철강석 으로부터 간접적으로 생산되며 탄소의 함유량에 따라 철강을 분류하는 예가 많다.Iron and steel are stronger in strength and toughness than other metals, and have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by heat treatment. Iron and steel are produced indirectly from steel ore and are often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carbon content.

6) 황동 (Brass)6) Brass

동에 45%이하의 아연을 합금한 것을 말한다. 아연의 첨가는 동의 성질을 향상시켜 강도가 커지고 신연성이 좋아지게 된다. 30%의 아연을 함유한 것을 칠삼황동, 40%의 아연을 함유한 것을 사육황동이라 하는데 이 비율의 합금이 유동성이 좋아 정밀한 주물을 얻을 수 있어 가장 많이 사용된다. 황금색을 띄우고 있으며, 칠삼 황동은 놋쇠라고 하며, 조선중기이후의 공예품에 많이 사용되었으며, 오늘날에도 장식용 공예품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Refers to copper alloys of 45% or less. The addition of zinc improves the properties of the copper, resulting in greater strength and better stretch. The one containing 30% of zinc is brass, and the other containing 40% of zinc is called breeding brass. The alloy of this ratio is the most used because of good fluidity and precision castings. It has a golden color, and seventh brass is called brass, and it has been used a lot of crafts since the Joseon Dynasty. It is still widely used in decorative crafts.

7) 청동 (靑銅)7) bronze

CU-Sn 계합금 또는 Sn의 일부를 다른 원소로 바꾼 것을 의미하나 Sn을 함유하지 않고, Cu에 Al, Si등을 첨가한 합금도 알루미늄 청동, 규소 청동이라 부르고 또 황동에 소량의 Mn, Ni등을 첨가한 것도 망간 청동, 니켈 청동과 같이 부르고 있다. 일반적으로 청동은 Cu을 주성분으로 하며, Cu-Zn계 이외의 것으로 강하고 단단하며, 녹슬지 않는 합금을 말한다. 순동이나 황동메 비해 주조성이 좋고 부식에 잘 견디므로 옛부터 화폐, 종, 미술 공예품, 동상 등을 비롯하여 현대에 와서는 병기, 기계의 부분품, 베어림 재료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It means that CU-Sn alloy or part of Sn is changed to another element, but alloy containing Al, Si, etc. without Sn, is also called aluminum bronze, silicon bronze, and a small amount of Mn, Ni, etc. in brass The addition of is also referred to as manganese bronze and nickel bronze. In general, bronze is an alloy containing Cu as a main component, and other than Cu-Zn type, which is strong, hard, and not rusted. Compared with pure copper and brass, it has good castability and resists corrosion, and has been widely used in weapons, machinery, parts, and cutting materials since ancient times, including money, bells, arts and crafts, and statues.

8) 백동 (白銅)8) Cupronickel

백동은 백통이라고도 하는데 청동보다 한층 더 주석을 많이 함유하는 것으로 동 70-80%, 석 20-30%의 비율로 합금되며 청동보다 경질이며 백색을 나타내기 때문에 백동이라고 부른다. 주조에도 적합하다.Cupronickel, also known as cupronickel, contains more tin than bronze and is alloyed at a rate of 70-80% copper and 20-30% stone, and is called white copper because it is harder and whiter than bronze. Also suitable for casting.

중 략Omission

3) 기법에 따른 분류3) Classification by technique

1) 선상감 (線象嵌)1) Shipboard feeling

바탕이 되는 금속에 문양을 연속된 홈으로 음각한 후 선재의 금속을 밀어 넣어 색상의 차이를 이용하여 문양을 나타내는 기법이다. 이때 사용되는 정은 끝이 뾰족한 것과 둥근 것의 두가지가 (도1)있는데 정의 끝은 금속면에 넣는 깊이에 따라 선의 굵고 가느다란 효과를 나타낸다. 문양을 따라 홈을 파낸후에는 일자정(차올리는 정)을 사용해서 문양의 저변을 양쪽으로 벌려준다. (도2) 상감될 금속은 문양의 두께와 같이 또는 약간 두꺼운 선을 뽑아 전체적으로 열풀림을 한 다음 파낸 문양의 끝 부분부터 작은 망치나 끝이 평평한 조금정을 이용하여 두드려 넣는다. (도3) 날카로운 문양의 끝부분은 선의 남은 부분을 작은 가위나 날카로운 조각칼을 이용하여 잘라낸 후 마무리 한다. 문양의 상감이 끝난 후에는 줄과 사포를 이용하여 표면을 다듬는다. (도4) 또 다른 방법으로는 부식을 이용한 상감기법이 있는데 이 방법은 문양의 음각을 부식에 의해서 하는데 일반적으로 부식된 금속의 단면은 상부보다 하부가 약간 넓게 들어가는 경향을 이용하여 부식 후 바로 선을 메꾸어 주는 방법이다. 선상감은 세공이 까다로운 대신 금속상감이 목접하는 바의 화려하고 격조높은 멋을 풍기며 장중하고 신비로운 상감효과를 나타낸다.It is a technique to represent a pattern by using the difference in color by engraving the pattern into a continuous groove on the underlying metal and then pushing the metal of the wire rod. At this time, there are two types of tablets, one with a sharp tip and one with round one (Fig. 1). The tip of the tablet has a thick and thin effect depending on the depth of the metal. After you have dug a groove along the pattern, use a straight tablet to open the bottom of the pattern on both sides. (Fig. 2) The metal to be inlaid is heat-released as the thickness of the pattern or a little thick line, and then tapped using a small hammer or a flat tip from the end of the pattern to be dug out. (Fig. 3) The end of the sharp pattern is finished after cutting off the remaining part of the line with a small scissors or a sharp carving knife. After the inlay of the pattern is finished, use a string and sandpaper to trim the surface. Another method is the inlaid method using corrosion, which involves the intaglio of the pattern by corrosion. In general, the cross section of the corroded metal has a tendency to enter the lower part of the lower part rather than the upper part. It is a way to make up. The ship's inlay is a tricky and mysterious inlaid effect, with the glamorous and magnificent style of the bar inlaid by the metal inlay.

2) 평상감 (면상감)2) normal feeling

금속의 표면에 문양부분을 정을 사용해서 쪼아내고 그 자리에 다른 금속을 망치질이나 땜으로 고정시키는 기법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파내는 홈의 단면은 표면이 좁고 저변이 넓은 형이 되어야 하며 그 이유는 상감된 금속이 빠져나오지 못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감될 문양은 필요한 두께의 판으로부터 오려낸 뒤 바탕금속의 파낸 부분에 맞추어서 줄로 다듬은 후 감탕위에 올려놓고 가운데 부분이 약간 도톰하게 되도록 두드려주거나 둥근 망치로 Dome형태로 만들어 준 다음 상감한 부분에 채워 놓고 작은 망치로 두드려 펴서 고정시킨다. 다음에는 다듬는 정을 사용하여 가장자리를 다져준 다음 줄이나 사포를 사용하여 표면을 다듬어 마무리한다. 상감된 문양는 바탕금속의 파낸 깊이보다 다소 높게 박아 넣고 여분의 높은 곳은 깍아 내어 마무리한다.It is a technique of cutting out patterns on metal surfaces using chisels and fixing or fixing other metals in place. Generally, the cross section of the digging groove should have a narrow surface and a wide base. This is to prevent the inlaid metal from escaping. The pattern to be inlaid is cut out from the plate of the required thickness, trimmed in line with the excavated part of the base metal, and then placed on the tang, tapping so that the center part is slightly thicker, or made into a dome with a round hammer, and then filled in the inlaid part Tap it with a small hammer to fix it. Next, trim the edges using a trimming well, then finish the surface with a string or sandpaper. The inlaid glyph is driven a little higher than the depth of the base metal, and the excess high is cut off and finished.

3) 포목상감 (눈금상감)3) Inlay (Inlay)

바탕금속의 표면에 실을 짜듯이 날실과 밑실의 모습을 정을 사용하여 규칙적으로 이나를 올리고 직경이 1mm정도되는 목정으로 눌러가면 금, 은판이 잘리어 눈금에 박힌다. 이점을 연결하여 문양을 상감하는 것으로 마치 넘을 찍어 세밀한 그림을 그리는 듯한 작업이다. 눈에서 빠져나온 부분은 끊는 정으로 끊어 버리고 박달나무 숯으로 연마하면 공정은 끝난다. 이 때 섬세하고 선명하게 눈이 살아나 있어야 성공작이며 은판을 두드려 상감할 때 망치로 목정을 두드리는 솜씨에 따라 기능의 우열을 가린다고 한다. 포목상감할 수 있는 금속은 질량이 강하고 적합하며 그 이유는 금속판이 부드러우면 포목한 배선이 문드러질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철을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며, 적동, 950℃이하의 은 등 단단한 금속이 적당하다.Like weaving threads on the surface of the base metal, the shape of the warp and the lower thread is raised regularly using the chisel and then pressed into a wooden cabinet with a diameter of about 1mm. It is a work that looks like a detailed picture by taking a picture by inlaying the patterns by connecting the advantages. The part that escapes from the eye is cut off with a cutting tablet, and the process is finished by grinding with birch charcoal. At this time, it is said that it is a successful work when the eyes are delicate and clear, and when it is inlaid by tapping the silver plate, it hides the superiority of the function according to the skill of tapping the wood with a hammer. Metals that can be inlaid are strong in mass and are suitable because there is a risk that the soft wires will be rubbed if the metal plate is soft. In general, iron is usually used, and hard metals such as red copper and silver of less than 950 ° C are suitable.

상감한는 금속은 순도가 높고 부드러운 것을 택하는 것이 좋은데 순금, 순은, 순백금 등 두께가 0.02~0.04mm정도의 박을 가공하여 사용한다. 바탕금속이 동일 경우에는 0.01mm의 박을 사용한다. 조선조시대의 유물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기법으로 특히 생활용품을 대상으로 한 점으로 보아 조선조 중기를 전후해서 포목상감이 시도되었던 것으로 보인다.It is better to use inferior metal with high purity and softness. Process the foil of 0.02 ~ 0.04mm thickness such as pure gold, pure silver and pure platinum. If the base metals are the same, a foil of 0.01 mm is used. As the technique most commonly seen in the relics of the Joseon Dynasty, the inlays were attempted before and after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포목상감에 사용되는 도구Tool used for inlay

고르게 하는 망치/ 나무 정/ 누르는 정/ 끊는 정/ 포목 정Hammer / wood chisel / pressing chisel / breaking chisel / wood chisel

- 포목정 제작법-How to make a wooden tablet

1) 폭은 섬세한 디자인때는 좁게 잡는데 보통 1mm부터 1mm간격으로 6mm정도까지 6개를 준비하면 된다.1) The width should be narrow when it is a delicate design. Usually, 6 pieces should be prepared from 1mm to 1mm to about 6mm.

2) 정의 날 부분은 0.1~0.2mm정도의 두께를 남기고 열처리를 하여 숫돌에 갈아서 마무리한다.2) Finish the blade by grinding it on the grindstone with heat treatment leaving the thickness of 0.1 ~ 0.2mm.

3) 날의 양쪽 끝은 약간 둥글게 갈아준다.3) The ends of the blade are slightly rounded.

4) 인디안 Stone에 오일을 떨어뜨려 각도를 일정하게 하고 한쪽을 먼저 갈고 뒤쪽을 갈아준다. 가는 속도는 될수록 천천히 하며 숫돌 위에서 3~6cm정도 움직이며 갈아준 후 아칸사스 Stone에 갈아 마무리한다.4) Drop oil on Indian Stone to make a constant angle, grind one side first, then grind the back. Slow down as you go and move around 3 ~ 6cm above the grindstone and grind it to Arkansas Stone.

- 포목무늬를 넣는 법-How to put the wood pattern

포목정의 끝은 바탕금속에 수직으로 세우고 팔꿈치를 책상에 대고 약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정을 움직인다. (바탕 금속이 철인 경우는 두 방향으로도 가능)The end of the wooden tablet is placed perpendicular to the base metal, and the elbow is placed on the desk and the finger is moved using the ring finger. (If the base metal is iron, it can be in two directions)

4) 부조상감 (고육상감)4) Immortality (high meat inlay)

바탕이 되는 금속을 평상감과 같은 방법으로 문양에 맞추어 쪼아내어 공간을 만든 다음 상감할 금속을 바탕금속의 표면보다 높게 끼워 문양이 두드러져 보이게 하는 기법이다. 상감된 위에 다시 조각을 하기도 하고 입체적으로 돋보이게 하는 효과도 낼 수가 있다. 또한 상감된 문양위에 다시 상감을 하는 수도 있다.It is a technique that creates a space by cutting a base metal into patterns in the same way as usual, and then inserts the metal to be inlaid higher than the surface of the base metal to make the pattern stand out. Sculpted on top of the inlaid, or three-dimensional effect can stand out. You can also inlay on inlaid patterns.

5) 소입상감 (부식상감)5) Hardening inlay (corrosion inlay)

이 기법은 금도금의 기법을 응용한 것으로 바탕위에 문양을 파고 그부분에 수은과 금의 합금(Amalgam)을 바르고 이것을 태워서 도금하고 숫돌로 갈아서 문양될 부분이외의 부분을 떨어뜨린다. 그렇게하면 정으로 파낸 부분만 도금이 남아서 흡사 평상감과 같이 보인다. 이러한 상감법은 호흡기 장애의 위험이 뒤따르므로 주의가 요망된다. 근래에는 대신 은땜을 주로 사용한다.This technique is the application of the gold plating technique, and the pattern is dug on the ground, and an alloy of mercury and gold (Amalgam) is applied to it, and it is burned, plated, and ground into a grindstone to remove parts other than the pattern. Doing so leaves only the parts dug up to the surface, which looks like normal. Care should be taken as these inlays carry the risk of respiratory failure. Nowadays, silver solder is mainly used instead.

6) 절상감6) Raise

상감된 문양을 내부와 외부에서 다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법으로 상감될 금속의 형태를 실톱 등을 이용하여 수직으로 자르고 바탕금속을 같은 모양으로 투각한 후 서로 맞추어 땜을 하고 표면을 다듬어 마무리 한다.As a technique for seeing the inlaid pattern both inside and outside, the shape of the metal to be inlaid is cut vertically using a jigsaw, etc., the base metal is cut into the same shape, soldered together, and the surface is polished.

4) 결론4) Conclusion

우리나라에는 상감의 우수함을 단적으로 증명해주는 유품이 많이 현존하며 특히 고려시대 의 특징은 입사의 기법이라 할만큼 훌륭한 공예품이 많이 보존되어 있다.In Korea, there are many artifacts that prove the superiority of inlays. Especial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yo Dynasty are preserved as many fine crafts as the technique of entrance.

그러나 근세에 이르러 그러한 훌륭한 기법은 체계적인 연구와 노력의 부족으로 점차 퇴보해 가는 느낌마저 없지 아니하다. 상감자체의 아름다운 색감을 다른 이질과의 조화 또는 대비로 좀 더 나은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상감 기법을 보다 체계적인 기법의 정립이 이루어지는 것이 창조적 인 문화상품 개발에 바람직하다.But in recent times, such a good technique is not only felt as it is gradually degenerating due to the lack of systematic research and effort. It is desirable for creative cultural product development to establish a more systematic technique of inlay techniques that can achieve a better effect in harmony or contrast with other heterogeneous colors of the inlay itself.

[참고문헌][references]

1. 조선조 금속상감에 대한 연구 조유진 : 홍대 대학원 19811. A Study on the Metal Inlay of Shipbuilding

2. 은입사에 대한 연구 김재영 : 홍대 대학원 19732. A Study on Silver Employment Jae-Young Kim: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1973

3. 조금교실 창원사 19813. Little classroom Changwonsa 1981

4. 상감 기술에 담긴 겨레과학 과학기술연구원 19994.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Inlaid Technology 1999

5. Metal working for Jewelry - Ti Tim McCreight : VanNo trand Reinhold. co. 19795.Metal working for Jewelry-Ti Tim McCreight: VanNo trand Reinhold. co. 1979

6. Metal work and Enamelling.6.Metal work and Enamelling.

7. Contemporaly Jewelry.7.Contemporaly Jewelry.

..

도 1은 완성된 제품의 상감처리된 실제의 디자인의 모습1 is a view of the actual design inlay of the finished product

도 2 a, B, C, D 는 자연석에 상감을 가한 도면이다2A, B, C, and D are diagrams in which inlay is added to natural stone;

본 상감은 자연석을 채취하여 광택과 다른 이물과의 접촉에도 상처가 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30일 이상 오일 속에 담가두어 표면에 유막을 입힌 후 도2a., 도 2b, 도2c, 도2d가 수행되어야한다. 도 2a, 2b, 2c, 2d 같은 맥락이며 단지 상감의 기법의 종류를 알려주는 것이다. 우선 상감을 위하여 (11)(12) (13)(14)의 결합과 조화가 이루어 져야 한다.This inlay is to be soaked in oil for more than 30 days and coated with oil film on the surface in order to prevent natural wounds from being damaged by contact with gloss and other foreign materials, and then 2a., 2b, 2c, and 2d should be performed. . Figures 2a, 2b, 2c, 2d is the same context only to indicate the type of inlay technique. First of all, the combination and harmony of (11) (12) (13) (14) should be made for inlay.

도1은 본 발명의 실질적인 예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며 본 발명의 요소는 (11)(12)(13)(14) 가 각각 조합된 것이며 (12)는 일반적으로 (13)이 결합되어 분리되지 않게끔하는 모든 기법요소를 말한다. 예를 들어 요철의 형태, 역삼각형, T형, 앵글 형 등이 한 예이다. 도2a., 도2b, 도2c, 도2d의 (12)에(13)은 항상 접착성을 이용할 필요는 없다.Figure 1 shows the practic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bination of (11) (12) (13) and (14), respectively, and (12) is generally so that (13) is combined and not separated Refers to all technical elements. For example, irregularities, inverted triangles, T-types, and angle-types are examples. 2A, 2B, 2C and 2D (12) to 13 do not always need to use adhesiveness.

고정의 방법은 크게 기계적인 방법, 접착에 의한 방법으로 나눌 수가 있다.The fixing method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 mechanical method and an adhesive method.

추가로 본 발명은 상감 처리 전 유막을 입힘으로서 변하지 않는 광택과 다른 이물과의 접촉에도 쉽게 상처가 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easily damaged even by contact with other foreign matter and gloss which does not change by applying an oil film before the inlay treatment.

한국의 자연석을 돌 상감을 이용하여 또 하나의 대표적 보석의 하나로 탈바꿈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한다.We intend to prepare an opportunity to transform Korea's natural stone into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gemstones using stone inlays.

한국의 대표적인 보석인 자수정과 옥은 많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원 고갈 등의 이유로 가치가 점점 떨어지는 점을 안타깝게 생각하고 있다.Amethyst and jade, two of Korea's most important gems, are regrettable that their value is gradually declining over time.

외국의 경우 까메오 라는 기법 등을 사용하여 자신의 나라에 고유귀금속 문화로 정착시켰다.In foreign countries, he used a technique called cameo to establish a culture of indigenous precious metals in his country.

위 상품들은 순수성의 한계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형태로서 제품화되어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Although these products have limitations of purity, they are commercialized in various forms, creating high added value.

그러나 우리 특유의 자연석들은 외국의 어떠한 보석보다도 더 아름답고 순수한 형태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흔한 돌이라는 단순한 발상으로 보석화 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인은 우리 특유의 상감기법을 응용하여 돌 상감을 발명 국내에 사장되어 있는 자연석들을 보석 화시켜 세계에 새로운 보석시장을 개척하는 발로로 삼고자한다.However, our unique natural stones have not been jeweled with the simple idea of a common stone, although they are more beautiful and pure than any foreign gem. Therefore, I would like to use our unique inlay technique to invent stone inlays and to make natural gemstones that are in Korea.

한국의 자연석을 보석에 견줄 수 있게 상품화한다는 것은 금년2001년 한국방문의 해와 2002년 월드컵유치로 많은 외국인의 한국을 방문이 예견되는 바 한국의 돌과 상감기법을 세계적인 상품으로 만들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commercialization of Korean natural stone to match gemstone is expected to bring many foreigners to Korea during the year of the 2001 visit to Korea and the 2002 World Cup. I would like to.

Claims (2)

도2a., 도2b, 도2c, 도2d의 (11)(12)(13)(14)에 관련된 모든 재반 사항All details relating to (11) (12) (13) (14) of Figures 2A, 2B, 2C, and 2D 자연석과 금속과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특징된 상감Characterized inlay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natural stone and metal
KR1020010007149A 2001-02-13 2001-02-13 Dol sung gume KR2002006679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149A KR20020066790A (en) 2001-02-13 2001-02-13 Dol sung gu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149A KR20020066790A (en) 2001-02-13 2001-02-13 Dol sung gu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6790A true KR20020066790A (en) 2002-08-21

Family

ID=27694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7149A KR20020066790A (en) 2001-02-13 2001-02-13 Dol sung gu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6790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79860A (en) * 2017-07-01 2017-11-24 王宏山 A kind of metal and stone visual art product processing technology
KR102247441B1 (en) * 2020-02-03 2021-04-30 이창호 Inlaid method of stone using copper
CN113524965A (en) * 2021-07-30 2021-10-22 深圳市漆器研发中心有限公司 Manufacturing process of gold wire and/or silver wire inlaid lacquer ware
CN114407566A (en) * 2022-01-21 2022-04-29 湖州展邦实业有限公司 Inlaying process consisting of shell gold wires of silver wir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71539A (en) * 1979-11-16 1981-06-15 Shoji Minagawa Inlaying method of pattern piece to metallic product
KR960020789U (en) * 1994-12-06 1996-07-18 박성일 Stone table combined with inlay technique
KR970057303U (en) * 1996-04-01 1997-11-10 안장헌 Inlaid marble
KR19980077359A (en) * 1997-04-18 1998-11-16 김진구 Inlaid engraving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200234Y1 (en) * 2000-05-25 2000-10-16 김금식 Device trim for furnitu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71539A (en) * 1979-11-16 1981-06-15 Shoji Minagawa Inlaying method of pattern piece to metallic product
KR960020789U (en) * 1994-12-06 1996-07-18 박성일 Stone table combined with inlay technique
KR970057303U (en) * 1996-04-01 1997-11-10 안장헌 Inlaid marble
KR19980077359A (en) * 1997-04-18 1998-11-16 김진구 Inlaid engraving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200234Y1 (en) * 2000-05-25 2000-10-16 김금식 Device trim for furnitur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79860A (en) * 2017-07-01 2017-11-24 王宏山 A kind of metal and stone visual art product processing technology
KR102247441B1 (en) * 2020-02-03 2021-04-30 이창호 Inlaid method of stone using copper
CN113524965A (en) * 2021-07-30 2021-10-22 深圳市漆器研发中心有限公司 Manufacturing process of gold wire and/or silver wire inlaid lacquer ware
CN114407566A (en) * 2022-01-21 2022-04-29 湖州展邦实业有限公司 Inlaying process consisting of shell gold wires of silver wir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ntracht Metal techniques for craftsmen
Giumlia-Mair Plating and surface treatments on ancient metalwork
US20150344993A1 (en) Titanium-based alloys and articles formed from such alloys
Wang et al. The evolution of Chinese jade carving craftmanship
KR20020066790A (en) Dol sung gume
US20120304694A1 (en) Methods for producing a design in a sintered product
Johns et al. The Canterbury late Roman treasure
Armbruster Gold technology of the ancient Scythians–gold from the kurgan Arzhan 2, Tuva
Miazga Tin and tinned dress accessories from medieval Wrocław (SW Poland). X-ray fluorescence investigations
Giumlia-Mair 11. The Enkomi cup: niello versus kuwano
Kronquist Metalcraft and jewelry
Heinrich-Tamaska Avar-age metalworking technologies in the Carpathian Basin (sixth to eighth century)
Craddock et al. Ipsa and Odong: Decorative metalwork of Korea
CN109624586A (en) The processing technology of metal handicrafts
Tamla Bracteate pendant from the Linnakse hoard: archaeometric discussion of the silver artefact
Finegold et al. Silversmithing
Sorensen et al. Hand-wrought Jewelry
Tulp et al. The Tjitsma (Wijnaldum) die: a 7th century tool for making a cross-hatched pattern on gold foil, or a master template?
Savage et al. The techniques of the Japanese tsuba-maker
Dandridge Idiomatic and mainstream: the technical vocabulary of a late roman crossbow fibula
Codina Goldsmithing & silver work: jewelry, vessels & ornaments
Hunt Stonesetting for Contemporary Jewelry Makers: Techniques, Inspiration, and Professional Advice for Stunning Results
Feuerbach E. Gene Beall
Sesko Handbook of Sword Fittings related terms
Schwalb et al. Tools, Metals, and Tarnish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