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4019A - gain-dispersive RF repeater system - Google Patents

gain-dispersive RF repeater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4019A
KR20020064019A KR1020010004614A KR20010004614A KR20020064019A KR 20020064019 A KR20020064019 A KR 20020064019A KR 1020010004614 A KR1020010004614 A KR 1020010004614A KR 20010004614 A KR20010004614 A KR 20010004614A KR 20020064019 A KR20020064019 A KR 20020064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ntenna
relay means
gain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46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웨이브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웨이브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웨이브텔레콤
Priority to KR1020010004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4019A/en
Publication of KR20020064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4019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64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 H04B7/15578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by gain adjus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35Control of relay amplifier g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gain distribution RF(Radio Frequency) relay system is provided to improve speech quality by preventing the oscillation phenomenon of a repeater by antenna feedback. CONSTITUTION: A previous relay device(200) connects to a base station(100), radiates a signal from the base station(100)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o transmit the signal, and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redetermined direction. A last relay device(300) receives the signal from the predetermined direction, amplifies the received signal, and transmits the amplified signal to a plurality of subscriber terminals. The last relay device(300) receives the subscriber terminal, amplifies the received signal, radiates the amplified signal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to transmit the signal.

Description

이득 분산 알에프 중계 시스템{gain-dispersive RF repeater system}Gain-dispersive RF repeater system

본 발명은 이득 분산 RF 중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테나 피드백에 의한 중계기의 발진현상을 방지하여 통화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RF 중계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in distributed RF relay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n RF relay system for improving call quality by preventing oscillation of a repeater due to antenna feedback.

무선 통신분야는 CDMA(코드 분할 다중 방식) 기술의 발표와 디지털 기술의 혁명적 발달로 셀룰라, PCS 등의 기술분야는 국내외 대기업들의 각축장이 되었고, 데이터 통신, 무선 가입자망(WLL), 주파수 공용 통신(TRS) 등의 통신 시장이 생겨나고 급기야는 차세대 이동통신이라고 불리우는, 위성을 이용한 IMT-2000 사업이 추진되는 단계에 이르러 있다.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field, CDMA (Code Division Multiplexing) technology and the revolutionary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have made the fields of cellular and PCS technologies such as domestic and overseas large companies, data communication, wireless subscriber network (WLL) and frequency common communication ( TRS (TRS), etc. has emerged, and the airfield is at a stage where IMT-2000 project using satellite, called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is being pushed forward.

일반 무선통신 가입자들이 상기 무선통신을 통하여 자신의 단말기를 사용하여 상대방과 통화를 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기지국, 무선 중계기 및 단말기가 구비되어야 하며, 이와 같은 일반적인 RF 중계 시스템의 구성을 도1에 블록도로 나타내었다.General wireless communication subscribers must be equipped with a base station, a wireless repeater and a terminal in order to make a call with the other party using their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configuration of such a general RF relay system is shown in FIG. It was.

일반적인 RF 중계시스템은 기지국(100)으로부터 무선통신 가입자의 단말기(도시하지 않음)로 고출력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중계기(900)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기서 중계기(900)는 신호처리/증폭장치(920), 제1 송수신안테나 (950) 및 제2 송수신 안테나(980)로 구성된다. 중계기(900)는 단위지역내의 단말기를 폭넓게 지원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넓은 방사 패턴을 가지는 등방성 (isotropic)또는 전방향성(omnidirectional)의 안테나를 채용함이 보통이다.The general RF relay system includes a repeater 900 for transmitting / receiving a high power signal from a base station 100 to a terminal (not show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ubscriber, where the repeater 900 is a signal processing / amplification. The device 920 includes a first transmit / receive antenna 950 and a second transmit / receive antenna 980. The repeater 900 generally employs an isotropic or omnidirectional antenna having a wide radiation pattern in order to support a wide range of terminals in a unit area.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일반적인 RF 중계 시스템에서의 문제점은 중계기의 출력신호가 입력으로 피드백되어 다시 증폭과정을 거치게 됨에 따라 발생되는 발진현상이 유발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며, 이와 같은 발진 현상을 피하기 위하여서는 중계기 자체의 이득(gain)을 제한하여야 함에 따라 출력을 높일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여 통화품질의 저하를 피할 수 없다.A problem in the general RF relay system as shown in FIG. 1 is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n oscillation phenomenon may occur as the output signal of the repeater is fed back to the input and subjected to the amplification process again. Since the gain of the repeater itself must be limited,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output cannot be increased, and thus the degradation of the call quality cannot be avoided.

이를 보다 상세히 기술하면, 상기 중계기의 발진 현상은 중계기의 이득 (gain)이 입출력간의 분리(isolation) 계수에 비하여 큰 경우에 발생한다. 여기서, 분리 계수란 출력 중 입력으로 되돌아가는 양을 나타내는 계수로서, 예를 들어 출력 중 1/100의 방사 전력이 입력으로 되돌아 갈 경우 20dB로 나타낸다. 이 때, 중계기의 이득(gain)이 20dB보다 큰 경우 입력된 출력신호가 다시 재 증폭되는 발진 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득은 상기 분리 계수에 비하여 높아서는 안 되고, 따라서 상기 분리 계수는 중계기의 이득을 제한하는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In more detail, the oscillation phenomenon of the repeater occurs when the gain of the repeater is larger than the isolation coefficient between input and output. Here, the separation coefficient is a coefficient indicating the amount of return to the input during output, for example, 20 dB when the radiated power of 1/100 of the output returns to the input. At this time, if the gain of the repeater is greater than 20 dB, the oscillation phenomenon of the input output signal is re-amplified again. Therefore, the gain should not be higher than the separation coefficient. Thus, the separation coefficient may increase the gain of the repeater. Act as a limiting factor.

또한, 이와 같은 발진 현상에는 기지국에서 단말기 방향으로의 순방향의 발진 현상과 단말기에서 기지국 방향으로의 역방향의 발진 현상이 있는데, 특히 역방향의 발진 현상은 기지국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심각한 문제가 되며, 발진 현상이 일어나 특정 중계기로부터 기지국에 보내지는 신호가 커질 경우 동일한 신호의 레벨을 맞추기 위하여 다른 중계기의 출력신호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이득을 높여야 하며, 이득을 상승시켜 상기 다른 중계기의 분리 계수에 비해 이득이 높아질 경우, 해당 중계기에서 다른 발진 현상이 유발되어 시스템 전체의 운영이 마비되거나 해당 중계기 자체의 고장을 유발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oscillation phenomenon includes a forward oscillation phenomenon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direction and a reverse oscillation phenomenon from the terminal to the base station direction. In particular, the reverse oscillation phenomenon may be a serious problem because it may affect the base station. When oscillation occurs and the signal sent from the specific repeater to the base station becomes large, the gain must be increased to raise the output signal of another repeater to match the level of the same signal. Higher levels can cause other oscillations in the repeater, paralyzing the entire system and causing the repeater itself to fail.

상기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방식을 취하는 경우, 단말기마다 신호의 크기가 달라질 경우, 이를 비슷한 레벨로 맞추기 위한 이득조정이 필요하므로 더욱 문제가 될 수 있는데, 상기 발진 현상에 의한 출력 신호의 비정상적인 상승이 일어날 경우 위와 같은 CDMA 방식을 채용한 결과로 나타나는 출력신호의 차이를 보상하기 위한 중계기의 게인 조정이 어려워지게 된다.In the case of th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scheme, if the size of a signal varies from terminal to terminal, it may be more problematic because gain adjustment is required to adjust it to a similar level. An abnormal rise of an output signal due to the oscillation phenomenon may occur. If this occurs,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gain of the repeater to compensate for the difference in the output signal resulting from adopting the above CDMA method.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광 중계기를 채용하는 방법이 제시된 바 있으며, 광 중계기의 경우는 입력을 광 신호로 하고 출력을 전파로 발송하는 방식을 취하여 출력신호가 다시 입력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막고자 하는 것을 기본적 구성으로 한다. 따라서 기지국으로부터 중계기까지 또는 중계기 간에 광선로를 필요로 하게 되며, 비가시 거리에서도 신호의 전송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선로 설치를 필요로 하게 되어 추가 비용 상승을 발생시키게 되고, 광선로를 통한 전송 시에 유전율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게 됨에 따라 전파지연(5.5usec/km)의 원인이 되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광선로 지역과 무선 지역의 경계에서 통화품질의 저하를 가져오는 등의 문제가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method of employing an optical repeater has been proposed. In the case of an optical repeater, an input is used as an optical signal and an output is transmitted as a radio wave to prevent the output signal from affecting the input signal again. Let's make the basic configuration. Therefore, an optical fiber is requir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repeater or between the repeaters,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ignal can be easily transmitted even at an invisible distance, but it requires additional wires, resulting in an additional cost increase. The use of materials with high dielectric constants causes problems such as propagation delay (5.5usec / km), and there are problems such as deterioration of call quality at the boundary between the optical path area and the wireless area.

또 다른 해결책으로 제시된 것은 변파 중계기인데, 중계기의 입력과 출력간에 주파수를 달리하여 현재 사용하지 않는 영역의 주파수를 사용함으로써 입력신호와 출력신호 간의 간섭을 배제하여 발진 현상을 방지하고자 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할 경우 실제 통화에 사용할 수 없는 추가적인 주파수 할당(frequency allocation: FA)이 필요하게 되어 주파수 효율이 떨어지고 불필요한 전파영역의 사용 및 유지비용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다.Another solution proposed is a variable frequency repeater, which uses a frequency in a region not currently used by changing the frequency between the input and output of the repeater to prevent oscillation by eliminating interference between the input signal and the output signal. Therefore, the use of such a method requires an additional frequency allocation (FA), which cannot be used for an actual call, resulting in a decrease in frequency efficiency and an additional use and maintenance cost of an unnecessary propagation area.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통화에 사용되지 않는 추가의 주파수 할당이나 광선로의 채용이 없이도, 전파의 고 지향성 송수신 및 편파의 도입으로 송수신 신호를 직접 주고받는 안테나간의 송수신 감도를 높이고 중계기 입출력간 신호의 분리를 강화하며, 기지국에서 가입자의 단말기에 이르는 경로에 중계를 위한 단계를 늘려 각 중계수단의 이득을 높이지 않아도 전체적 신호의 이득을 기존의 방법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각 중계수단의 이득이 분리 계수에 비하여 높아질 수 없도록 하여 발진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며 그로써 통화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득 분산 RF 중계 시스템의 제공을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a problem, an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ensitivity between antennas to directly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by introducing high-directio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radio waves and without adopting additional frequency allocation or optical path not used in a call. Enhances the separation of signals between repeaters I / O and maintains the overall gain of the signal more than or equal to the existing method without increasing the gain of each relay by increasing the number of steps for relay in the path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subscriber's terminal. By doing so, the gain of each relay means can not be increased compared to the separation coefficient to prevent oscillation at the source and thereby to provide a gain distributed RF relay system for maintaining call quality.

도1은 일반적인 RF 중계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eneral RF relay system.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득 분산 중계 시스템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다.Fig. 2 shows the construction of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gain distribution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득 분산 중계 시스템의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다.Figure 3 shows a configuration of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gain distribution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득 분산 중계 시스템의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다.Fig. 4 shows the construction of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gain distribution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특징에 의한 이득 분산 RF 중계 시스템은, 기지국과 다수의 가입자 단말기간의 순방향 및 역방향 무선통신 서비스 신호의 중계를 위한 이득 분산 RF 중계 시스템이며, 상기 기지국과 연결되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미리 정하여진 방향으로 지향성 방사함으로써 송신하며, 상기 미리 정하여진 방향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선행중계수단; 및 미리 정하여진 방향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며, 증폭된 신호를 상기 다수의 가입자 단말기로 송신하며, 상기 가입자 단말기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며, 증폭된 신호를 상기 미리 정하여진 방향으로 지향성 방사함으로써 송신하는 최종중계수단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a gain distributed RF relay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ain distributed RF relay system for relaying forward and reverse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signals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plurality of subscriber stations. A preceding relay means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by directionally radiating a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redetermined direction; And receiving a signal from a predetermined direction, amplifying the received signal, transmitting the amplified signal to the plurality of subscriber stations, receiving a signal from the subscriber station, amplifying the received signal, and amplifying the signal. And final relay means for transmitting the signal by directional radiation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한 가지 특징에 의한 이득 분산 RF 중계 시스템은, 상기 선행중계수단, 최종중계수단 및 미리 정하여진 제1 방향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며, 증폭된 신호를 미리 정하여진 제2 방향으로 지향성 방사함으로써 송신하며, 상기 제2 방향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며, 증폭된 신호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지향성 방사함으로써 송신하는 하나 이상의 중계수단을 더 포함한다.In addition, a gain distributed RF relay system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from the preceding relay means, the final relay means and a predetermined first direction, amplifies the received signal, amplified signal At least one relay means for transmitting by directionally radiating in a second predetermined direction, receiving a signal from the second direction, amplifying the received signal, and transmitting by directionally radiating an amplified signal in the first direction. It includes mor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2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이득 분산 중계 시스템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었다.Figure 2 shows the configuration of one preferred embodiment of a gain dispersion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는 기지국(100), 선행중계수단(200), 최종중계수단(300)으로 구성되며 최종 중계수단으로부터 해당 지역의 다수의 가입자 단말기(도시하지 않음)와 무선 신호의 송수신 서비스를 제공한다.This embodiment is composed of the base station 100, the preceding relay means 200, the final relay means 300 and provides a ser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signal with a plurality of subscriber stations (not shown) in the region from the last relay means .

일반적으로 기지국(100)은 넓은 영역에 걸쳐 골고루 전파가 미치도록 하기 위하여 등방성(isotropic) 또는 전방향성(omnidirectional)의 방사패턴을 가지고 있는 주 안테나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일반적 기지국과 연결되어 송수신 감도가 낮은 특정방향에 대하여 지향성(directional)이 큰 전파를 방사하는 선행중계수단(200)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선행중계수단(200)은 신호처리/증폭장치(220) 및 지향성이 큰 전파를 방사하기 위한 안테나(250)를 가지는데, 패치 어레이(patch array) 등의 지향성을 강화한 일반적인 어레이형 안테나가 여기에 사용될 수 있다.In general, the base station 100 is configured to have a main antenna having an isotropic or omni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order to spread the radio evenly over a wide area.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receding relay means 200 is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and radiates a radio wave having a large directional (directional) in a specific direction of low transmission and reception sensitivity. Here, the preceding relay 200 has a signal processing / amplifying device 220 and an antenna 250 for radiating a large directivity radio wave, the general array antenna having a directivity such as a patch array (patch array) Can be used here.

또한, 선행중계수단(200)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는 최종중계수단(300)의 안테나(350)에 수신되어, 신호처리/증폭장치(320)를 거쳐 안테나(380)를 통하여 각 가입자의 단말기로 송신된다. 여기서, 신호를 주고받는 선행중계수단의 안테나(250)와 최종 중계수단의 안테나(350)는 상호간에 수신감도를 높이고, 다른 안테나로부터의 불필요한 신호의 유입에 따른 발진현상을 피하기 위하여 송수신 전파의 편파(polarization) 방향을 서로 일치시킨 고 지향성을 갖는 안테나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receding relay means 200 is received by the antenna 350 of the final relay means 300,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of each subscriber through the antenna 380 via the signal processing / amplifying device 320 do. Here, the antenna 250 of the preceding relay means and the antenna 350 of the final relay means transmit and receive polarization of the transmitted and received radio waves in order to increase reception sensitivity and to avoid oscillation caused by the inflow of unnecessary signals from other antennas.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antenna having high directivity in which the polarization directions coincide with each other.

역 방향으로는, 각 가입자의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신호가 최종중계수단(300)의 안테나(380)에 수신되어, 신호처리/증폭장치(320)를 거쳐 안테나(350)를 통하여 선행중계수단(200)의 안테나(250)로 송신되는 과정을 따르며, 선행중계수단(200)의 신호처리/증폭장치(220)를 거쳐 기지국(100)에 전달되게 된다. 이 경우에도 동일하게, 최종중계수단(300)의 안테나(350)와 선행중계수단(200)의 안테나(250)는 송수신 전파의 편파 방향을 서로 일치시킨 고 지향성을 갖는 안테나로 구성함으로써, 발진현상을 피하고 송수신 감도를 높이도록 할 수 있다.In the reverse directio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of each subscriber is received by the antenna 380 of the final relay means 300, and the preceding relay means 200 via the antenna 350 via the signal processing / amplification device 320. ) And is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100 via the signal processing / amplifying device 220 of the preceding relay means 200. In this case as well, the antenna 350 of the final relay means 300 and the antenna 250 of the preceding relay means 200 are constituted by an antenna having a high directivity in which polarization directions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radio waves coincide with each other. It can be avoided to increase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ensitivity.

도3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이득 분산 중계 시스템의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었다.Figure 3 shows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gain distribution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는 기지국(100)과 최종중계수단(300)의 거리가 멀어, 중간에 신호를 중계해주는 중계수단(600)을 더 포함하고 있는데, 도면에서는 하나의 중계수단 (600) 만을 나타내었으나 거리에 따라서 다수의 중계수단(600)을 더 설치하여 통화품질을 향상시키도록 할 수 있다.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relay means 600 which relays a signal in the middle, because the distance between the base station 100 and the final relay means 300 is far. However, in the drawing, only one relay means 600 is shown. In accordance with the plurality of relay means 600 may be further installed to improve the call quality.

본 실시예에서의 기지국(100), 선행중계수단(200) 및 최종중계수단(300)은 위의 실시예에서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기술을 생략한다. 중계수단(600)은 제1 안테나(650), 신호처리/증폭장치(620) 및 제2 안테나(680)를 포함하며, 제1 안테나(650)는 선행중계수단(200)의 안테나와의 송수신감도를 높이기 위하여 동일한 편파방향의 고 지향성 방사 패턴을 가지는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중계수단(600)의 제1 안테나(650)와 제2 안테나(680)는 서로 편파방향을 달리하도록 하여(예를 들어, 한 쪽이 수평 편파방향이면, 다른 한 쪽은 수직 편파방향), 어느한 쪽으로부터의 출력 전파가 다른 한 쪽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발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base station 100, the preceding relay means 200 and the final relay means 300 in this embodiment are the same as in the above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relay means 600 includes a first antenna 650, a signal processing / amplification device 620 and a second antenna 680, the first antenna 650 is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antenna of the preceding relay means 200 In order to increase the sensitivity, the antenna has a high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the same polarization direction. In addition, the first antenna 650 and the second antenna 680 of the relay means 60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a polarization direction (for example, if one side is a horizontal polarization direction, the other side is a vertical polarization direction). The oscillation phenomenon can be prevented by preventing the output radio waves from one side from affecting the other side.

하나 이상의 중계수단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서로 송수신 신호를 주고받도록 구성되어 있는 한 쌍의 안테나는 방사전파의 주 방향이 서로를 향하도록 구성하며, 편파방향을 일치시켜 송수신 감도를 높이며, 각 중계기의 제1 안테나 (650) 와 제2 안테나(680)는 서로 편파방향을 달리하도록 하여 발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Similarly, in the case of including one or more relay means, a pair of antennas configured to send and receive signals to and from each other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main directions of the radio waves face each other, and the polarization directions are matched to increase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ensitivity, The first antenna 650 and the second antenna 68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polarization direction to prevent the oscillation phenomenon.

도4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이득 분산 중계 시스템의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었다.Figure 4 shows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gain distribution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는 하나의 중계수단(700)이 분리기(splitter)(760)를 이용하여 서로 주된 방사 방향을 달리하는 두 개의 안테나(780, 790)로 신호를 입/출력하게 되며,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다수 개 방향의 경로를 가지는 기지국(100)과 최종중계수단(300, 1000) 사이의 송수신 전파의 중계가 가능하다.In this embodiment, one relay means 700 inputs / outputs signals to two antennas 780 and 790 which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a main radiation direction by using a splitter 760. It is possible to relay transmission and reception radio waves between the base station 100 having a plurality of directions through the final relay means (300, 1000).

위에서 기술한 대로, 발진 현상은 이득(gain)이 분리(isolation)계수를 초과하는 경우에 발생하며, 발진 현상을 막기 위해서는 이득을 높이지 않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과 같이 다수 개의 중계수단을 채용함으로써 각 중계수단의 이득을 지나치게 높이지 않아도 전체 이득을 유지할 수 있어 각 중계수단의 분리 계수에 비하여 이득을 낮게 유지함으로써 발진 현상을 근본적으로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득 분산 중계 시스템은 발진 현상을 막기 위하여, 고 지향성을 지닌 안테나를 채용함으로써 출력 신호가 다시 입력 측으로 회귀되는 비율을 줄임을 주요한한 측면으로 하며, 서로 대향되어 송수신 신호를 직접 주고받는 안테나의 편파방향을 일치시켜 송수신 감도를 높임을 다른 주요한 한 측면으로 하며, 서로 무선 송수신 신호를 직접 주고받지 않는 동일한 중계수단의 두 안테나의 경우는 서로 편파방향을 달리하여 상호 영향받지 않도록 구성함을 또 다른 주요한 한 측면으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oscillation phenomenon occurs when the gain exceeds the isolation coefficient, and it is required not to increase the gain in order to prevent the oscillation phenomenon. By adopting a plurality of relay means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verall gain can be maintained without excessively increasing the gain of each relay means, and the oscillation phenomenon can be fundamentally prevented by keeping the gain low compared to the separation coefficient of each relay means.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oscillation phenomenon, the gain distribution rela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n antenna having a high directivity to reduce the rate of return of the output signal back to the input side. The other main aspect is to increase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ensitivity by matching the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receiving antenna, and in the case of two antennas of the same relay means that do not directly transmit and receive radio transmission signals to each other, they are configured so as not to be mutually affected by different polarization directions. Is another major aspect.

본 발명에 의한 이득 분산 중계 시스템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 응용 가능하며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gain distribution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nd applied in various form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

예를 들면, 상기 바람직한 한 실시예의 분리기(splitter)를 다수 채용한 중계수단을 사용하여 다수개의 최종중계수단으로의 경로를 더 구성할 수 있으며, 경로의 구성을 어떻게 하는가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인지를 판단하는 주요한 요소가 되지 않음은 자명하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further configure a path to a plurality of final relay means by using a relay means employing a plurality of splitters of the preferred embodiment,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epending on how the path is configured. It is obvious that this is not a major factor in determining whether the range is within the range of.

또한, 상기 실시예와 도면은 발명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일 뿐,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목적이 아니며,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상기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are mere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contents of the invention in detail,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이득 분산 RF 중계 시스템을 통하여, 통화에 사용되지 않는 추가의 주파수 할당이나 광선로의 채용이 없이도, 전파의 고 지향성 송수신 및 편파의 도입으로 송수신 신호를 직접 주고받는 안테나간의 송수신 감도를 높이고 중계기 입출력간 신호의 분리를 강화하며, 기지국에서 가입자의 단말기에 이르는 경로에 중계를 위한 단계를 늘려 각 중계수단의 이득을 높이지 않아도 전체적 신호의 이득을 기존의 방법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각 중계수단의 이득이 분리 계수에 비하여 높아질 수 없도록 하여 발진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며 그로써 통화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gain-distributed RF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ensitivity between antennas that directly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hrough the introduction of high-directional transmission and polarization of radio waves without the need for additional frequency allocation or use of optical paths not used in a call. Enhances the separation of signals between repeaters I / O and maintains the overall gain of the signal more than or equal to the existing method without increasing the gain of each relay by increasing the number of steps for relay in the path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subscriber's terminal. By doing so, the gain of each relay means cannot be increased compared to the separation coefficient, thereby preventing the oscillation from occurring and thereby maintaining the call quality.

Claims (9)

기지국과 다수의 가입자 단말기간의 순방향 및 역방향 무선통신 서비스 신호의 중계를 위한 이득 분산 RF 중계 시스템에 있어서,A gain distributed RF relay system for relaying forward and reverse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signals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plurality of subscriber stations, 상기 기지국과 연결되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미리 정하여진 방향으로 지향성 방사함으로써 송신하며, 상기 미리 정하여진 방향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선행중계수단; 및A preceding relay means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and transmitting by directionally radiating a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redetermined direction; And 미리 정하여진 방향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며, 증폭된 신호를 상기 다수의 가입자 단말기로 송신하며, 상기 가입자 단말기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며, 증폭된 신호를 상기 미리 정하여진 방향으로 지향성 방사함으로써 송신하는 최종중계수단을 포함하는 이득 분산 RF 중계 시스템.Receive a signal from a predetermined direction, amplify the received signal, transmit the amplified signal to the plurality of subscriber stations, receive a signal from the subscriber terminal, amplify the received signal, amplified And a final relay means for transmitting the signal by directionally radiating the signal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미리 정하여진 제1 방향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며, 증폭된 신호를 미리 정하여진 제2 방향으로 지향성 방사함으로써 송신하며, 상기 제2 방향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며, 증폭된 신호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지향성 방사함으로써 송신하는 하나 이상의 중계수단을 더 포함하는 이득 분산 RF 중계 시스템.Receives a signal from a first predetermined direction, amplifies the received signal, transmits the amplified signal by directional radiation in a second predetermined direction, receives a signal from the second direction, and And one or more relaying means for amplifying the signal and transmitting by directionally radiating the amplified signal in the first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선행중계수단 및 상기 최종중계수단은 지향성 방사패턴을 가지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이득 분산 RF 중계 시스템.And the preceding relay means and the final relay means include an antenna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하나 이상의 중계수단은 지향성 방사패턴을 가지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이득 분산 RF 중계 시스템.And said at least one relay means comprises an antenna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하나 이상의 중계수단은, 각각 지향성 방사패턴을 가지며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2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는 방사 전파의 편파방향을 달리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 안테나 또는 상기 제2 안테나 중 어느 한 안테나로부터의 출력신호가 다른 한 안테나로 피드백 됨을 최소화하는 이득 분산 RF 중계 시스템.The at least one relay means each has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and includes a first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in the second direction,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are configured to vary the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radio wave to minimize the output signal from one of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to be fed back to the other antenna.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선행중계수단 및 상기 최종중계수단의 상기 지향성 방사패턴을 가지는 안테나들은, 방사 전파의 편파방향이 서로 동일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안테나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신호에 대하여 다른 한 안테나의 수신감도를 높이도록 하는 이득분산 RF 중계 시스템.The antennas having the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s of the preceding relay means and the final relay means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polarization directions of the radio waves are equal to each other so as to increase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other antenna with respect to a signal from one of the antennas. Gain Distributed RF Relay System.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선행중계수단의 상기 지향성 방사패턴을 가지는 안테나와 상기 선행중계수단과 가장 인접한 상기 중계수단의 상기 제1 안테나는 방사 전파의 편파방향이 서로 동일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안테나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신호에 대하여 다른 한 안테나의 수신감도를 높이도록 하는 이득 분산 RF 중계 시스템.The antenna having the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of the preceding relay means and the first antenna of the relay means closest to the preceding relay means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polarization directions of the radio waves are the same with respect to a signal from any one of the antennas. Gain-distributed RF relay system that increases the sensitivity of the other antenna.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하나 이상의 중계수단에 있어서, 상호 인접한 두 중계수단은 그중 한 중계수단의 상기 제2 안테나와 다른 한 중계수단의 상기 제1 안테나가 방사 전파의 편파방향이 서로 동일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안테나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신호에 대하여 다른 한 안테나의 수신감도를 높이도록 하는 이득 분산 RF 중계 시스템.In the at least one relay means, the two adjacent relay means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second antenna of one of the relay means and the first antenna of the other relay means have the same polarization directions of the radio waves so as to be equal to each other. A gain distributed RF relay system that increases the sensitivity of the other antenna to signals from the antenna.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최종중계수단의 상기 지향성 방사패턴을 가지는 안테나와 상기 최종중계수단과 가장 인접한 상기 중계수단의 상기 제2 안테나는 방사 전파의 편파방향이 서로 동일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안테나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신호에 대하여 다른 한 안테나의 수신감도를 높이도록 하는 이득 분산 RF 중계 시스템.The antenna having the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of the final relay means and the second antenna of the relay means closest to the final relay means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polarization directions of the radio waves are the same with respect to a signal from any one of the antennas. Gain-distributed RF relay system that increases the sensitivity of the other antenna.
KR1020010004614A 2001-01-31 2001-01-31 gain-dispersive RF repeater system KR2002006401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4614A KR20020064019A (en) 2001-01-31 2001-01-31 gain-dispersive RF repeate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4614A KR20020064019A (en) 2001-01-31 2001-01-31 gain-dispersive RF repeater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4019A true KR20020064019A (en) 2002-08-07

Family

ID=27692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4614A KR20020064019A (en) 2001-01-31 2001-01-31 gain-dispersive RF repeater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401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5218A (en) Radio signal repeating apparatus of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6812905B2 (en) Integrated active antenna for multi-carrier applications
US8447230B2 (en) Variable gain antenna for cellular repeater
US11637619B2 (en) Radio frequency signal boosters serving as outdoor infrastructure in high frequency cellular networks
GB2444980A (en) Antenna system with independent beam pattern control for multiple users
KR20100043224A (en) Wireless base station apparatus
US6339703B1 (en) Diversity reception system
KR100433152B1 (en) Antenna apparatus of relay system
KR20080046423A (en) Apparatus for antenna sharing of base station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KR100254519B1 (en) Cell site rf front end system using the antenna sharing for the different cellular telephone subscribers
US20220200690A1 (en) Repeater system
KR20030026698A (en) Device and method for suppressing interference of reverse link in in-building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20064019A (en) gain-dispersive RF repeater system
EP0991198B1 (en) Transmitter/Receiver apparatus with an antenna for use of both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JPH0897763A (en) Bi-directional relay amplifier
EP1916780A2 (en) Arrangement plus method to emulate a multi-path environment in a radio network arranged in or extended into an environment that is free of multi-path effects
KR100292713B1 (en) Apparatus for varying transmission-receive coverage in BTS using active antenna
KR20010001091A (en) Mast antenna system
JPH05235819A (en) Radio repeater
KR20010093573A (en) System for distributing optical signal of base transceiver station
KR100292714B1 (en) BTS of CDMA form application of the active antenna
KR200252512Y1 (en) Antenna apparatus of relay system
JPH0879151A (en) Base station distribution device
KR100278971B1 (en) Dual transmission antenna using power divier
JP3018499U (en) Transmission distributed anten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