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3754A - 멀티미디어 편집 툴 및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편집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편집 툴 및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편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3754A
KR20020063754A KR1020010004362A KR20010004362A KR20020063754A KR 20020063754 A KR20020063754 A KR 20020063754A KR 1020010004362 A KR1020010004362 A KR 1020010004362A KR 20010004362 A KR20010004362 A KR 20010004362A KR 20020063754 A KR20020063754 A KR 20020063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connection information
series
inform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4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1343B1 (ko
Inventor
장영철
김은희
Original Assignee
(주) 이즘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이즘넷 filed Critical (주) 이즘넷
Priority to KR10-2001-0004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1343B1/ko
Publication of KR20020063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3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1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13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50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편집 툴 및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편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제어모듈, 동영상 가속모듈, 포괄 연결정보 저장모듈, 세부 연결정보 저장모듈, 연결 비디오 데이터 저장모듈, 연결 오디오 데이터 저장모듈, 연결 URL 데이터 저장모듈 등을 주어진 순서에 따라 긴밀하게 연계시킴으로써, 임의로 주어진 원본 동영상의 일부 셀이 편집자의 선택에 따라, 다른 데이터, 예컨대, 다른 비디오 데이터, 다른 오디오 데이터, 다른 URL 데이터 등과 실시간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기반기술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이 달성되는 경우, 편집자는 "원본 동영상 일부 셀이 타 데이터와 연결될 수 있는 효과"를 토대로, 원본 동영상 파일의 인터랙티브한 활용을 손쉽게 도모할 수 있으며, 결국, 전체적인 동영상의 이용 효율을 탄력적으로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편집자는 해당 원본 멀티미디어 파일이 앞서 언급한 원본 동영상 파일인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멀티미디어 파일, 예컨대, 원본 오디오 파일인 경우에도, 상술한 효과를 동일하게 향유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편집 툴 및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편집 방법{Tool for editing a multimedia data and method for editing a multimedia data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편집 툴(Multimedia editing tool)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일련의 편집모듈들을 긴밀하게 연계시킴으로써, 임의로 주어진 원본멀티미디어 객체, 예컨대, 원본 동영상의 일부 셀을 편집자의 선택에 따라, 다른 데이터, 예컨대, 다른 비디오 데이터, 다른 오디오 데이터, 다른 URL 데이터 등과 실시간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편집 툴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이러한 멀티미디어 편집 툴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편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멀티미디어 정보(Multimedia information)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멀티미디어 객체, 예컨대, 동영상과 관련한 다양한 기술이 폭 넓게 개발되고 있다.
예컨대, 한국특허공개공보 제 2000-14421 호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의 동영상 데이터 연결재생정보 생성 및 갱신 기록방법", 한국특허공개공보 제 2000-17815 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동영상 생성 시스템 및 그 생성방법", 한국특허공개공보 제 2000-49833 호 "인터넷을 통한 디지털 동영상 앨범 제작 방법", 한국특허공개공보 제 2000-58241 호 "동영상 편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객체 정보 서비스 방법", 한국특허공개공보 제 2000-58970 호 "동영상 정보제공과 검색 방법" 등에는 이와 같은 종래의 동영상과 관련한 다양한 기술들이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동영상 이용 기술들은 대부분 임의로 주어진 동영상 정보를 단편적으로 이용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종래의 기술을 이용하는 것만으로, 해당 동영상 정보에 인터랙티브(Interactive)한 기능을 부여하는 데에는 아직 많은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임의로 주어진 동영상의 일부 셀이 편집자의 선택에 따라, 다른 데이터, 예컨대,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유알엘(URL:Uniform Resource Locator; 이하, "URL"이라 칭함) 데이터 등과 실시간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기반기술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동영상 파일의 인터랙티브한 활용을 도모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영상 파일의 인터랙티브한 활용이 가능해질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동영상의 전반적인 이용 효율을 극대화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편집 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편집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편집 윈도우의 메뉴 게시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포괄 연결정보 저장모듈의 정보 저장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집 윈도우의 메뉴 게시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세부 연결정보 저장모듈의 정보 저장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제어모듈, 동영상 가속모듈, 포괄 연결정보 저장모듈, 세부 연결정보 저장모듈, 연결 비디오 데이터 저장모듈, 연결 오디오 데이터 저장모듈 및 연결 URL 데이터 저장모듈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편집 툴을 개시한다. 이 경우, 앞의 각 구성요소들은 예컨대, 입·출력 장치 및 임의의 원본 동영상 파일을 구비한 컴퓨터 시스템에 탑재된다.
이때, 제어모듈은 바둑판 모양의 구획 셀들이 정의된 일련의 편집 윈도우를 출력장치에 디스플레이하고, 이 편집 윈도우를 기반으로 하여, 원본 동영상 파일이 보유한 원본 동영상의 일부에 일련의 연결 대상 셀들을 설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동영상 가속모듈은 상술한 원본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일련의 재생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해당 원본 동영상 파일이 보유한 원본 동영상을 가속하여 이를 편집 윈도우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함께, 앞의 포괄 연결정보 저장모듈은 포괄적인 데이터 연결정보를 정의하기 위한 일련의 포괄 연결정보 설정 이벤트가 상술한 원본 동영상 파일을 대상으로 하여, 진행 완료되는 경우,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해당 포괄 연결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세부 연결정보 저장모듈은 세부적인 데이터 연결정보를 정의하기 위한 일련의 세부 연결정보 설정 이벤트가 앞서 언급한 연결 대상 셀들을 타겟(Target)으로 하여, 진행 완료되는 경우,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해당 세부 연결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연결 비디오 데이터 저장모듈, 연결 오디오 데이터 저장모듈, 연결 URL 데이터 저장모듈 등은 상술한 포괄 연결정보 및 세부 연결정보가 반영된 실질적인 연결 비디오 데이터, 연결 오디오 데이터, 연결 URL 데이터 등을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편집 툴 및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편집 방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편집 툴(100)은 크게, 제어모듈(10), 동영상 가속모듈(20), 포괄 연결정보 저장모듈(40), 세부 연결정보 저장모듈(30)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앞의 제어모듈(10), 동영상 가속모듈(20), 포괄 연결정보 저장모듈(40), 세부 연결정보 저장모듈(30) 등은 예컨대, 마우스(4), 키보드(5) 등과 같은 입력장치 및 예컨대, 모니터(3)와 같은 출력장치를 겸비한 컴퓨터 시스템(1)에 탑재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1)의 데이터 저장영역에는 임의의 원본 멀티미디어 파일, 예컨대, 원본 동영상 파일(2)이 저장되는 바, 이러한 원본 동영상 파일(2)은 이후, 제어모듈(10), 동영상 가속모듈(20), 포괄 연결정보 저장모듈(40), 세부 연결정보 저장모듈(30) 등의 체계적인 연계작용을 통해, 본 발명 고유의 편집과정을 원활하게 진행 받게 된다.
물론, 이러한 원본 멀티미디어 파일은 상술한 원본 동영상 파일(2)이 아닌 다른 종류의 멀티미디어 파일, 예컨대, 원본 오디오 파일로 대체되어도 무방하며, 만약, 해당 원본 멀티미디어 파일이 원본 오디오 파일인 경우, 이 원본 오디오 파일은 앞의 원본 동영상 파일과 유사하게, 제어모듈, 포괄 연결정보 저장모듈, 세부 연결정보 저장모듈 등의 체계적인 연계작용을 통해, 본 발명 고유의 편집과정을 원활하게 진행 받을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술한 동영상 가속모듈은 오디오 가속모듈로 대체 된다.
이와 같은, 원본 오디오 파일의 편집과정은 후술하는 원본 동영상 파일의 편집과정에 의해 충분히 유추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술한 제어모듈(10)은 예컨대, 바둑판 모양의 구획 셀들이 정의된 일련의 편집 윈도우를 컴퓨터 시스템에 장착된 출력장치, 예컨대, 모니터로 디스플레이하고, 이 편집 윈도우를 기반으로 하여, 원본 동영상 파일(2)이 보유한 원본 동영상의 일부에 일련의 연결 대상 셀들을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제어모듈(10)은 편집 윈도우의 실질적인 생성을 담당하는 편집 윈도우 출력모듈(80)과 긴밀한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한 상태에서, 이 편집 윈도우 출력모듈(80)을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상술한 편집 윈도우 출력과정이 별다른 문제점 없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어모듈(10)은 편집 윈도우 출력모듈(80) 뿐만 아니라, 인터페이스 모듈(90), 운영정보 저장모듈(60) 등과도 긴밀한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는 바, 이 경우, 인터페이스 모듈(90)은 컴퓨터 시스템(1)에 장착된 입력장치, 예컨대, 마우스(4), 키보드(5)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편집자 입력 시그널을 제어모듈(10)로 신속히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운영정보 저장모듈(60)은 자신이 보유한 일련의 운영정보를 제어모듈(10)의 요청에 따라, 신속히 전달함으로써, 제어모듈(10)에 의한 원본 동영상의 편집과정이 좀더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반환경을 제공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모듈(10)은 앞의 편집 윈도우 출력모듈(80), 인터페이스 모듈(90), 운영정보 저장모듈(60) 등과 함께, 동영상 가속모듈(20), 포괄 연결정보 저장모듈(40), 세부 연결정보 저장모듈(30) 등과도 긴밀한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한다.
이때, 동영상 가속모듈(20)은 마우스(4), 키보드(5) 등의 입력장치로부터 원본 동영상 파일(2)을 재생하기 위한 일련의 재생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제어모듈(10)의 지시에 따라, 해당 원본 동영상 파일(2)이 보유한 원본 동영상을 가속한 후, 이 원본 동영상을 모니터(3)에 디스플레이 중인 편집 윈도우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포괄 연결정보 저장모듈(40)은 마우스(4), 키보드(5) 등의 입력장치로부터 포괄적인 데이터 연결정보를 정의하기 위한 일련의 포괄 연걸정보 설정 이벤트가 발생하고, 이 포괄 연결정보 설정 이벤트가 앞의 원본 동영상 파일(2)을 대상으로 하여, 진행 완료되는 경우, 제어모듈(10)의 지시에 따라, 해당 포괄 연결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함께, 세부 연결정보 저장모듈(30)은 마우스(4), 키보드(5) 등의 입력장치로부터 세부적인 데이터 연결정보를 정의하기 위한 일련의 세부 연결정보 설정 이벤트가 발생하고, 이 세부 연결정보 설정 이벤트가 앞의 연결 대상 셀들을 목적개체로 하여, 진행 완료되는 경우, 제어모듈(10)의 지시에 따라, 해당 세부 연결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포괄 연결정보에는 앞서 언급한 원본 동영상 파일(2)에 대한 프로젝트 명칭 정보, 프로젝트 경로 정보 및 원본 동영상 파일(2)과 연계된 전체적인 연결 비디오 정보, 연결 오디오 정보, 연결 URL 정보 등이 통합적으로 담겨지며, 세부 연결정보에는 상술한 연결 대상 셀들에 대한 프레임 정보, 위치정보 및 연결 대상 셀들과 연계된 타겟 비디오 정보, 타겟 오디오 정보, 타겟 URL 정보 등이 통합적으로 담겨진다.
이때, 제어모듈(10)은 상술한 동영상 가속모듈(20), 포괄 연결정보 저장모듈(40), 세부 연결정보 저장모듈(30) 등과 함께, 시나리오 데이터 저장블록(50)과도 긴밀한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한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나리오 데이터 저장블록(50)에는 연결 비디오 데이터 저장모듈(51), 연결 오디오 데이터 저장모듈(52), 연결 URL 데이터 저장모듈(53) 등이 배치된다.
이때, 연결 비디오 데이터 저장모듈(51)은 제어모듈(10)로부터 상술한 포괄연결정보 및 세부 연결정보가 반영된 실질적인 연결 비디오 데이터가 전달되는 경우, 해당 연결 비디오 데이터를 제어모듈(10)의 지시에 따라 안정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연결 오디오 데이터 저장모듈(52)은 제어모듈(10)로부터 포괄 연결정보 및 세부 연결정보가 반영된 실질적인 연결 오디오 데이터가 전달되는 경우, 해당 연결 오디오 데이터를 제어모듈(10)의 지시에 따라 안정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연결 URL 데이터 저장모듈(53)은 제어모듈(10)로부터 포괄 연결정보 및 세부 연결정보가 반영된 실질적인 연결 URL 데이터가 전달되는 경우, 해당 연결 URL 데이터를 제어모듈(10)의 지시에 따라 안정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어모듈(10)은 앞의 시나리오 데이터 저장블록(50)과 함께, 압축모듈(91), 인증정보 추출모듈(70) 등과도 긴밀한 신호연결관계를 더 형성한다.
이때, 압축모듈(91)은 예컨대, "연결 비디오 데이터 저장모듈(51), 연결 오디오 데이터 저장모듈(52), 연결 URL 데이터 저장모듈(53)" 등과 "제어모듈(10)" 사이에 개재되어, 제어모듈(10)로부터 전달되는 "연결 비디오 데이터, 연결 오디오 데이터, 연결 URL 데이터" 등을 일정 사이즈로 압축하는 과정을 진행하고, 이를 통해, 해당 데이터들이 상술한 연결 비디오 데이터 저장모듈(51), 연결 오디오 데이터 저장모듈(52), 연결 URL 데이터 저장모듈(53) 등에 원래의 크기 보다 대폭 축소된 크기로 신속하게 저장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해당 저장모듈들에 가해질 수 있는 불필요한 부담을 큰 폭으로 경감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함께, 인증정보 추출모듈(70)은 상술한 마우스(4), 키보드(5) 등의 입력장치로부터 일련의 편집 윈도우 실행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제어모듈(10)의지시에 따라, 인증카드(101)와 원활한 인증신호 교환과정을 진행함으로써, 편집 윈도우의 실행 여부를 제어모듈(1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만약, 해당 컴퓨터 시스템(1)에 장착되어 있는 인증카드(101)가 기 정해진 품종이 아니거나, 해당 컴퓨터 시스템(101)에 아예, 인증카드(101)가 장착되어 있지 않거나 하는 경우가 발생하면, 인증정보 추출모듈(70)은 제어모듈(10)로 예컨대, "편집 윈도우의 실행을 차단할 것"과 같은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임의의 편집자가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편집 툴(100)에 아예 접근하지 못하도록 방어한다.
물론, 해당 컴퓨터 시스템(1)에 인증카드(101)가 정상적으로 장착되어 있고, 이 인증카드(101)가 기 정해진 품종인 것으로 확인되면, 인증정보 추출모듈(70)은 제어모듈(10)로 예컨대, "편집 윈도우를 실행할 것"과 같은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해당 편집자가 본 발명에 의한 일련의 동영상 편집과정을 손쉽게 향유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편집 툴(100)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편집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을 이용하여, 원본 동영상 파일의 편집을 진행하고자 하는 임의의 편집자는 마우스(4), 키보드(5) 등의 입력장치를 활용하여, 컴퓨터 시스템(1)에 탑재된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편집 툴(100)에 접근한다.
이 상태에서, 제어모듈(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모듈(90)을 지속적으로 체크함으로써, 마우스(4), 키보드(5) 등의 입력장치로부터 일련의 편집 윈도우 실행 이벤트가 발생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
이때, 마우스(4), 키보드(5) 등의 입력장치로부터 별도의 편집 윈도우 실행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모듈(10)은 플로우를 단계 S2로 진행하여, 일련의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마우스(4), 키보드(5) 등의 입력장치로부터 별도의 편집 윈도우 실행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모듈(10)은 인증정보 추출모듈(70)을 매개로 하여, 컴퓨터 시스템(1) 내에 장착된 인증카드(101)를 검색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3).
이 경우, 제어모듈(10)은 인증정보 추출모듈(70)로 인증카드(101)의 검색을 지시하게 되며, 인증정보 추출모듈(70)은 이러한 지시 메시지가 전달되는 즉시, 인증카드(101)로 일련의 인증 시그널을 출력함으로써, 다양한 인증정보, 예컨대, "컴퓨터 시스템에 인증카드가 장착되어 있는가?", "해당 인증카드가 미리 정해진 품종인가?" 등과 같은 인증정보를 신속하게 추출한다.
이 상태에서, 제어모듈(10)은 인증정보 추출모듈(70)로부터 전송되는 리턴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편집 윈도우를 실행시킬 것인가의 여부를 인증 받는다(단계 S4).
이때, 예컨대, "컴퓨터 시스템(1)에 인증카드(101)가 아예, 장착되어 있지 않거나, 컴퓨터 시스템(1)에 인증카드(101)가 장착되어 있다 하더라도, 해당 인증카드(101)가 기 정해진 품종이 아니거나" 하는 등의 경우가 발생하여, 인증정보 추출모듈(70)로부터, 편집 윈도우의 실행을 차단하라는 메시지가 전달되는 경우, 제어모듈(10)은 편집자의 인증과정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고, 일련의 오류 메시지를모니터(3)로 출력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5).
이 경우, 제어모듈(10)은 운영정보 저장모듈(60)에 저장된 운영정보를 활용하여, 예컨대, "현재 시스템에 인증카드가 장착되어 있지 않습니다. 인증카드를 설치하신 후 다시 한번 시도해 주십시오" 등과 같은 일련의 오류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오류 메시지를 모니터(3)로 출력함으로써, 임의의 편집자가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편집 툴(100)에 아예 접근하지 못하도록 차단한다.
그러나, 컴퓨터 시스템(1)에 인증카드(101)가 정상적으로 장착되어 있고, 이 인증카드(101)가 기 정해진 품종인 것으로 확인되어, 인증정보 추출모듈(70)로부터, 편집 윈도우의 실행을 진행하라는 메시지가 전달되는 경우, 제어모듈(10)은 편집자의 인증과정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고, 모니터(3)로 일련의 편집 윈도우를 출력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6).
이 경우, 제어모듈(10)은 편집 윈도우의 실질적인 생성을 담당하는 편집 윈도우 출력모듈(80)로 편집 윈도우의 출력을 지시하게 되며, 편집 윈도우 출력모듈(80)은 이러한 지시 메시지가 전달되는 즉시, 바둑판 모양의 구획 셀들(202a), 툴바(204), 메뉴바(205) 등이 정의된 일련의 편집 윈도우(201)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1)의 모니터(3)로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편집자가 본 발명을 활용한 일련의 원본 동영상 편집과정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는 안정적인 기반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편집자는 예컨대, 마우스(4)의 일측 버튼을 클릭하여, 일련의 팝업 메뉴(Pop-up menu:211)를 불러온 후, 이 팝업 메뉴(211)에 게시된 일정 항목을 클릭하거나, 편집 윈도우(201)의 펑션 메뉴(Function menu:203)에 게시된 일정 항목을 클릭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여러 가지 전산작업을 원활하게 진행시킬 수 있다.
여기서, 만약, 편집자가 마우스(4)의 일측 버튼, 예컨대,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앞의 팝업 메뉴(211)를 콜(Call)하는 경우, 제어모듈(10)은 편집 윈도우 출력모듈(80)로 팝업 메뉴(211)의 출력을 지시하게 되며, 편집 윈도우 출력모듈(80)은 이러한 지시 메시지가 전달되는 즉시, 예컨대, "포괄 연결정보 설정,‥‥, 세부 연결정보 설정‥‥" 등의 항목이 게시된 팝업 메뉴(211)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 윈도우(201) 상에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어모듈(10)은 인터페이스 모듈(90)을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마우스(4), 키보드(5) 등의 입력장치로부터 일련의 포괄 연결정보 설정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7).
이때, 편집자가 별도의 전산작업을 아직 진행하지 않아, 마우스(4), 키보드(5) 등의 입력장치로부터 별도의 포괄 연결정보 설정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모듈(10)은 플로우를 후술하는 단계 S12로 진행한다.
그러나, 편집자가 예컨대, 팝업 메뉴(211)에 게시된 포괄 연결정보 설정 항목(212)을 클릭하여, 마우스(4), 키보드(5) 등의 입력장치로부터 별도의 포괄 연결정보 설정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모듈(10)은 편집 윈도우(201) 상에 일련의 포괄 연결정보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8).
이 경우, 재어모듈(10)은 편집 윈도우 출력모듈(80)로 포괄 연결정보 설정 메뉴의 출력을 지시하게 되며, 편집 윈도우 출력모듈(80)은 이러한 지시 메시지가전달되는 즉시, 예컨대, "프로젝트 네임, 프로젝트 디렉토리,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URL 데이터, 셀 분할 개수" 등의 항목(213b,213a,213c,213d,213e,213f)이 게시된 포괄 연결정보 설정 메뉴(213)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 윈도우 상(202)에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 분할 개수 항목(213f)은 예컨대, "가로 셀 개수 설정 항목 및 세로 셀 개수 셀 설정 항목" 등의 두 가지 항목으로 나뉘어 구성된다.
이때, 편집자는 프로젝트 네임 항목(213b)을 활용하여, 예컨대, "원본 동영상 파일(2)에 대한 프로젝트 명칭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되며, 프로젝트 디렉토리 항목(213a)을 활용하여, 예컨대, "원본 동영상 파일(2)에 대한 프로젝트 경로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편집자는 비디오 데이터 항목(213c)을 활용하여, 예컨대, "원본 동영상 파일(2)과 연계된 전체적인 연결 비디오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되며, 오디오 데이터 항목(213d)을 활용하여, 예컨대, "원본 동영상 파일(2)과 연계된 전체적인 연결 오디오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되고, URL 데이터 항목(213e)을 활용하여, 예컨대, "원본 동영상 파일(2)과 연계된 전체적인 연결 URL 데이터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되며, 셀 분할 개수 항목(213f)을 클릭하여, 구획 셀들(202a)의 가로/세로 분할 개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어모듈(10)은 인터페이스 모듈(90)을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편집자가 포괄 연결정보의 입력을 완료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9).
이때, 편집자가 아직, 프로젝트 네임 항목(213b), 프로젝트 디렉토리 항목(213a), 비디오 데이터 항목(213c), 오디오 데이터 항목(213d), URL 데이터 항목(213e), 셀 분할 개수 항목(213f) 등을 선택하지 않아, 포괄 연결정보의 입력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모듈(10)은 플로우를 단계 S10으로 진행하여, 일련의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편집자가 프로젝트 네임 항목(213b), 프로젝트 디렉토리 항목(213a), 비디오 데이터 항목(213c), 오디오 데이터 항목(213d), URL 데이터 항목(213e), 셀 분할 개수 항목(213f) 등을 순차적으로 채워 넣고, 확인 항목(214)을 선택하여, 포괄 연결정보의 입력이 일단락 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모듈(10)은 그 즉시, 해당 포괄 연결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11).
이 경우, 제어모듈(10)은 포괄 연결정보 저장모듈(40)로 해당 포괄 연결정보의 저장을 지시하게 되며, 포괄 연결정보 저장모듈(40)은 이러한 지시 메시지가 전달되는 즉시, 예컨대, "원본 동영상 파일(2)에 대한 프로젝트 명칭 정보, 원본 동영상 파일(2)에 대한 프로젝트 경로 정보, 원본 동영상 파일(2)과 연계된 전체적인 연결 비디오 정보, 원본 동영상 파일(2)과 연계된 전체적인 연결 오디오 정보, 원본 동영상 파일(2)과 연계된 전체적인 연결 URL 정보" 등의 내용이 담겨진 포괄 연결정보를 자신의 데이터 영역에 신속히 저장한다.
앞의 과정을 통해, 일련의 포괄 연결정보 설정과정이 마무리된 상태에서, 제어모듈(10)은 인터페이스 모듈(90)을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마우스(4), 키보드(5) 등의 입력장치로부터 일련의 원본 동영상 파일 재생 이벤트가 발생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2).
이때, 편집자가 별도의 전산작업을 아직 진행하지 않아, 마우스(4), 키보드 (5) 등의 입력장치로부터 별도의 원본 동영상 파일 재생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모듈(10)은 플로우를 단계 S13으로 진행하여, 일련의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편집자가 예컨대, 동영상 재생 버튼(206)을 클릭하여, 마우스(4), 키보드(5) 등의 입력장치로부터 일련의 동영상 파일 재생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모듈(10)은 원본 동영상 파일(2)이 보유한 일련의 원본 동영상을 편집 윈도우(201)의 메인 화면(202)상에 재생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14).
이 경우, 제어모듈(10)은 동영상 가속모듈(20)로 원본 동영상의 출력을 지시하게 되며, 동영상 가속모듈(20)은 이러한 지시 메시지가 전달되는 즉시, 해당 원본 동영상 파일(2)이 보유한 원본 동영상을 가속한 후, 이 원본 동영상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 윈도우(201)의 메인 화면(202) 상에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 윈도우(201)의 원본 동영상 파일 경로 표시 항목(208)에는 현재 재생 중인 원본 동영상 파일의 경로가 예컨대, "C:\mov\a.avi"와 같이 상세히 표시되며, 프레임 표시항목(209)에는 원본 동영상 파일(2)의 재생에 따른 원본 동영상의 프레임 변화상태가 상세히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제어모듈(10)은 인터페이스 모듈(90)을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마우스(4), 키보드(5) 등의 입력장치로부터 일련의 원본 동영상 재생 중지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5).
이때, 편집자가 아직 별도의 전산작업을 진행하지 않아, 마우스(4), 키보드 (5)등의 입력장치로부터 별도의 원본 동영상 재생 중지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모듈(10)은 플로우를 단계 S16으로 진행하여, 일련의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편집자가 예컨대, 동영상 일시 중시 버튼(207)을 클릭하여, 마우스(4), 키보드(5) 등의 입력장치로부터 일련의 원본 동영상 재생 중지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모듈(10)은 편집 윈도우(201)의 메인 화면(202) 상에서 재생 중이던 원본 동영상을 중지시키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17).
이 경우, 제어모듈(10)은 동영상 가속모듈(20)로 원본 동영상의 재생 중지를 지시하게 되며, 동영상 가속모듈(20)은 이러한 지시 메시지가 전달되는 즉시, 일련의 가속 과정을 일시적으로 중시킴으로써, 편집 윈도우(201)의 메인 화면(202)에서 재생 중이던 원본 동영상이 정지된 상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제어모듈(10)은 인터페이스 모듈(90)을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마우스(4), 키보드(5) 등의 입력장치로부터 일련의 연결 대상 셀 선택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8).
이때, 편집자가 아직 별도의 전산작업을 진행하지 않아, 마우스(4), 키보드(5) 등의 입력장치로부터 별도의 연결 대상 셀 선택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모듈(10)은 플로우를 단계 S19로 진행하여, 일련의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편집자가 예컨대, 마우스 포인트(215)를 이용해 전체 구획 셀들(202a) 중, 영역 A에 대응되는 구획 셀들(202a)을 연결 대상 셀들로 지정하는 과정을 진행하여, 마우스, 키보드 등의 입력장치로부터 일련의 연결 대상 셀 선택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모듈(10)은 편집자가 선택한 연결 대상 셀들을 편집 윈도우(201) 상에 표시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20).
이 경우, 제어모듈(10)은 편집 윈도우 출력모듈(80)로 예컨대, "편집자가 선택한 연결 대상 셀들을 편집 윈도우 상에 표시하라"는 메시지를 전달하게 되며, 편집 윈도우 출력모듈(80)은 이러한 지시 메시지가 전달되는 즉시, 영역 A에 대응되는 연결 대상 셀들의 음영, 색상 등을 다른 구획 셀들(202a)과 구별되게 변경시킴으로써, 편집자가 자신이 선택한 연결 대상 셀들을 시각적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편집자는 앞의 경우와 유사하게, 예컨대, 마우스(4)의 일측 버튼을 클릭하여, 팝업 메뉴(211)를 불러온 후, 이 팝업 메뉴(211)에 게시된 일정 항목을 클릭하거나, 또는 편집 윈도우(201)의 펑션 메뉴(203)에 게시된 일정 항목을 클릭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여러 가지 전산작업을 원활하게 진행시킬 수 있다.
여기서, 만약, 편집자가 마우스(4)의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상술한 팝업 메뉴(211)를 콜 하는 경우, 제어모듈(10)은 편집 윈도우 출력모듈(80)로 팝업 메뉴(211)의 출력을 지시하게 되며, 편집 윈도우 출력모듈(80)은 이러한 지시 메시지가 전달되는 즉시, 앞의 경우와 유사하게, "포괄 연결정보 설정,‥‥, 세부 연결정보 설정‥‥" 등의 항목이 게시된 팝업 메뉴(211)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편집 윈도우(201) 상에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어모듈(10)은 인터페이스 모듈(90)을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마우스(4), 키보드(5) 등의 입력장치로부터 연결 대상 셀들을 목적개체로 하는 일련의 세부 연결정보 설정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1).
이때, 편집자가 아직 별도의 전산작업을 진행하지 않아, 마우스(4), 키보드(5) 등의 입력장치로부터 별도의 세부 연결정보 설정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모듈(10)은 플로우를 단계 S22로 진행하여, 일련의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편집자가 예컨대, 팝업 메뉴(211)에 게시된 세부 연결정보 설정항목(216)을 클릭하여, 마우스(4), 키보드(5) 등의 입력장치로부터 별도의 세부 연결정보 설정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모듈(10)은 포괄 연결정보 저장모듈(40)을 검색하여, 해당 원본 동영상 파일, 예컨대, "‥\‥\a.avi"와 관련한 포괄 연결정보가 존재하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3).
이때, 편집자가 앞의 단계 S7~S11을 진행하지 않아, 포괄 연결정보 저장모듈(40)에 해당 원본 동영상 파일과 관련한 포괄 연결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모듈(10)은 "정상적인 세부 연결정보 설정과정"이 진행될 수 있는 기반환경이 아직 갖추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일련의 유도 메시지를 모니터(3)로 출력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24).
이 경우, 제어모듈(10)은 운영정보 저장모듈(60)에 저장된 운영정보를 활용하여, 예컨대, "현재 재생중인 동영상에 대한 포괄 연결정보가 설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먼저, 포괄 연결정보를 설정하신 후 다시 한번 시도해 주십시오" 등과 같은 일련의 유도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유도 메시지를 모니터(3)로 출력함으로써, 해당 편집자가 일련의 포괄 연결정보 설정과정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그러나, 편집자가 앞의 단계 S7~S11을 정상적으로 진행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괄 연결정보 저장모듈(40)에 예컨대, "원본 동영상 파일 <‥\‥\a.avi>에 대한 프로젝트 명칭은 <한국영화>", "원본 동영상 파일 <‥\‥\a.avi>에 대한 프로젝트 경로는 <‥\‥\bx‥.xx>", "원본 동영상 파일 <‥\‥\a.avi>와 연계된 연결 비디오들은 <b.avi, c.mpeg,‥d.mpeg.‥>", "원본 동영상 파일 <‥\‥\a.avi>와 연계된 연결 오디오들은 <e.mp3, f.midi,‥g.mp3,‥m.mp3‥>", "원본 동영상 파일 <‥\‥\a.avi>와 연계된 연결 URL들은 <http://www.b‥/‥/d.hwp, http://www.q‥/‥/r.jpeg>", "구획 셀들(202a)의 셀 분할 개수는 <64×64>" 등과 같은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어모듈(10)은 "정상적인 세부 연결정보 설정과정"이 진행될 수 있는 기반환경이 이미 갖추어져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편집 윈도우(201) 상에 일련의 세부 연결정보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25).
이 경우, 제어모듈(10)은 편집 윈도우 출력모듈(80)로 세부 연결정보 설정 메뉴의 출력을 지시하게 되며, 편집 윈도우 출력모듈(80)은 이러한 지시 메시지가 전달되는 즉시, 예컨대, "선택 프레임, 선택 위치, 타겟 비디오, 타겟 오디오, 타겟 URL" 등의 항목(217a,217b,217c,217d,217e)이 게시된 세부 연결정보 설정메뉴(217)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 윈도우(201) 상에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이때, 편집자는 선택 프레임 항목(217a)을 활용하여, 예컨대, "영역 A에 대응되는 연결 대상 셀들에 대한 프레임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되며, 선택 위치 항목(217b)을 활용하여, 예컨대, "영역 A에 대응되는 연결 대상 셀들에 대한 위치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편집자는 타겟 비디오 항목(217c)을 활용하여, 예컨대, "영역 A에 대응되는 연결 대상 셀들과 연계된 타겟 비디오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되며, 타겟 오디오 항목(217d)을 활용하여, 예컨대, "영역 A에 대응되는 연결 대상 셀들과 연계된 타겟 오디오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되고, 타겟 URL 항목(217e)을 활용하여, "영역 A에 대응되는 연결 대상 셀들과 연계된 타겟 URL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여러 항목들 중, 예컨대, 선택 프레임 항목(217a), 선택 위치 항목(217b) 등은 편집자가 세부 연결정보 설정 메뉴(217)를 콜 하는 즉시 자동으로 입력될 수도 있다.
이 상태에서, 제어모듈(10)은 인터페이스 모듈(90)을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편집자가 세부 연결정보의 입력을 완료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6).
이때, 편집자가 아직, 선택 프레임 항목(217a), 선택 위치 항목(217b), 타겟 비디오 항목(217c), 타겟 오디오 항목(217d), 타겟 URL 항목(217e) 등을 선택하지 않아, 세부 연결정보의 입력과정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모듈(10)은 플로우를 단계 S27로 진행하여, 일련의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편집자가 선택 프레임 항목(217a), 선택 위치 항목(217b), 타겟 비디오 항목(217c), 타겟 오디오 항목(217d), 타겟 URL 항목(217e) 등을 순차적으로 채워 넣고, 확인 항목(218)을 선택하여, 포괄 정보의 입력과정이 모두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모듈(10)은 그 즉시, 해당 세부 연결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28).
이 경우, 제어모듈(10)은 세부 연결정보 저장모듈(30)로 해당 세부 연결정보의 저장을 지시하게 되며, 세부 연결정보 저장모듈(30)은 이러한 지시 메시지가 전달되는 즉시, 예컨대, "연결 대상 셀들에 대한 프레임 정보, 연결 대상 셀들에 대한 위치 정보, 연결 대상 셀들과 연계된 타겟 비디오 정보, 연결 대상 셀들과 연계된 타겟 오디오 정보, 연결 대상 셀들과 연계된 타겟 URL 정보" 등의 내용이 담겨진 세부 연결정보를 자신의 데이터 영역에 신속히 저장한다.
일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자가 임의로 선택된 원본 동영상의 재생 도중, 이 동영상에 소속된 프레임 "FB"를 선택함과 아울러, 연결 대상 셀들 "B"를 선택하고, 예컨대, "‥\‥\b.avi"를 타겟 비디오로 하는 일련의 세부 연결정보 설정 이벤트를 진행시킨 경우, 세부 연결정보 저장모듈(30)은 예컨대, "프레임은 <FB>, B의 위치는 <0100‥>, B와 연계된 타겟 비디오는 <‥\‥\b.avi>" 등과 같은 내용이 반영된 일련의 세부 연결정보를 자신의 데이터 영역에 신속히 저장한다.
또한, 편집자가 해당 원본 동영상에 소속된 프레임 "FC"를 선택함과 아울러, 연결 대상 셀들 "C"를 선택하고, 예컨대, "‥\‥\b.avi"를 타겟 비디오로 하는일련의 세부 연결정보 설정 이벤트를 진행시킨 경우, 세부 연결정보 저장모듈(30)은 예컨대, "프레임은 <FC>, C의 위치는 <1011‥>, C와 연계된 타겟 비디오는 <‥\‥\b.avi>" 등과 같은 내용이 반영된 일련의 세부 연결정보를 자신의 데이터 영역에 신속히 저장한다.
앞의 경우에서, B의 위치 <0100‥>, C의 위치 <1011‥> 등은 연결 대상 셀들 B, 연결 대상 셀들 C의 이차원적인 좌표를 나타낸다.
이러한 세부 연결정보 저장과정이 모두 마무리되면, 예컨대, 프레임 "FB"에 소속된 연결 대상 셀들 "B", 프레임 "FC"에 소속된 연결 대상 셀들 "C" 등은 타겟 비디오 "‥\‥\b.avi"와 연계된 속성을 지니게 되며, 이후, 자신을 클릭하는 임의의 편집자에게 "클릭"과 동시에 타겟 비디오 "‥\‥\b.avi"가 실행되는 인터랙티브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자가 원본 동영상의 재생 도중, 이 동영상에 소속된 프레임 "FD"를 선택함과 아울러, 연결 대상 셀들 "D"를 선택하고, 예컨대, "‥\‥\m.mp3"를 타겟 오디오로 하는 일련의 세부 연결정보 설정 이벤트를 진행시킨 경우, 세부 연결정보 저장모듈(30)은 예컨대, "프레임은 <FD>, D의 위치는 <0011‥>, D와 연계된 타겟 오디오는 <‥\‥\m.mp3>" 등과 같은 내용이 반영된 일련의 세부 연결정보를 자신의 데이터 영역에 신속히 저장한다.
또한, 편집자가 해당 원본 동영상에 소속된 프레임 "FE"를 선택함과 아울러, 연결 대상 셀들 "E"를 선택하고, 예컨대, "‥\‥\m.mp3"를 타겟 오디오로 하는 일련의 세부 연결정보 설정 이벤트를 진행시킨 경우, 세부 연결정보 저장모듈(30)은 예컨대, "프레임은 <FD>, C의 위치는 <0011‥>, D와 연계된 타겟 오디오는 <‥\‥\m.mp3>" 등과 같은 내용이 반영된 일련의 세부 연결정보를 자신의 데이터 영역에 신속히 저장한다.
이러한 세부 연결정보 저장과정이 모두 마무리되면, 예컨대, 프레임 "FD"에 소속된 연결 대상 셀들 "D", 프레임 "FE"에 소속된 연결 대상 셀들 "E" 등은 타겟 오디오 "‥\‥\m.mp3"와 연계된 속성을 지니게 되며, 이후, 자신을 클릭하는 임의의 편집자에게 "클릭"과 동시에 타겟 오디오 "‥\‥\m.mp3"가 실행되는 인터렉티브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자가 원본 동영상의 재생 도중, 이 동영상에 소속된 프레임 "FF"를 선택함과 아울러, 연결 대상 셀들 "F"를 선택하고, 예컨대, "http://www.b‥/‥/d.hwp"를 타겟 URL로 하는 일련의 세부 연결정보 설정 이벤트를 진행시킨 경우, 세부 연결정보 저장모듈은 예컨대, "프레임은 <FF>, F의 위치는 <00101‥>, F와 연계된 타겟 URL은 <http://www.b‥/‥/d.hwp>" 등과 같은 내용이 반영된 일련의 세부 연결정보를 자신의 데이터 영역에 신속히 저장한다.
이러한 세부 연결정보 저장과정이 모두 마무리되면, 예컨대, 프레임 "FF"에 소속된 연결 대상 셀들 "F"는 타겟 URL "http://www.b‥/‥/d.hwp"와 연계된 속성을 지니게 되며, 이후, 자신을 클릭하는 임의의 편집자에게 "클릭"과 동시에 타겟 URL "http://www.b‥/‥/d.hwp"가 실행되는 인터렉티브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편집자가 해당 원본 동영상에 소속된 프레임 "FG"를 선택함과 아울러, 연결 대상 셀들 "G"를 선택하고, 예컨대, 상술한 "FC~FE"를 타겟 비디오로 하는 일련의 세부 연결정보 설정 이벤트를 진행시킨 경우, 세부 연결정보 저장모듈(30)은 예컨대, "프레임은 <FG>, G의 위치는 <00101‥>, G와 연계된 타겟 비디오는 <FC~FE>" 등과 같은 내용이 반영된 일련의 세부 연결정보를 자신의 데이터 영역에 신속히 저장한다. 물론, "FC~FE"는 상술한 바와 같이, "FG"와 "동일 원본 동영상 파일"에 소속된 프레임이다.
이러한 세부 연결정보 저장과정이 모두 마무리되면, 예컨대, 프레임 "FG"에 소속된 연결 대상 셀들 "G"는 타겟 비디오 "FC~FE"와 연계된 속성을 지니게 되며, 이후, 자신을 클릭하는 임의의 편집자에게 "클릭"과 동시에 타겟 비디오 "FC~FE"가 실행되는 인터랙티브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프레임 "FC"에 소속된 연결 대상 셀들 "C"는 타겟 비디오 "‥\‥\b.avi"와 연계된 속성을 지니고 있고, 프레임 "FD", "FE"에 소속된 연결 대상 셀들 "D", "E"는 타겟 오디오 "‥\‥\m.mp3"와 연계된 속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타겟 비디오 "FC~FE"가 실행되고 있을 때, 편집자가 해당 연결 대상 셀들 중의 어느 하나를 클릭하는 경우, 편집자는 "클릭"과 동시에, 타겟 비디오 "‥\‥\b.avi", 타겟 오디오 "‥\‥\m.mp3" 중의 어느 하나가 실행되는 인터랙티브한 효과를 만끽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서 언급한 과정을 통해, 단계 S28이 모두 마무리되면, 제어모듈(10)은 앞의 세부 연결정보가 반영된 실질적인 "연결 시나리오 데이터", 즉, 실질적인"연결 비디오 데이터", "연결 오디오 데이터", "연결 URL 데이터" 등을 압축 저장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29).
이 경우, 제어모듈(10)은 앞의 포괄 연결정보 저장모듈(40), 세부 연결정보 저장모듈(30) 등을 면밀히 검색하여, 실질적인 "연결 비디오 데이터", "연결 오디오 데이터", "연결 URL 데이터" 등의 경로를 확인한 후, 그 확인 결과를 바탕으로 해당 "연결 비디오 데이터", "연결 오디오 데이터", "연결 URL 데이터", 예컨대, "b.avi", "m.mp3", "http://www.b‥/‥/d.hwp" 중의 어느 하나를 취득하고, 해당 데이터를 압축모듈(91)로 전달한다.
이때, 압축모듈(91)은 예컨대, "연결 비디오 데이터 저장모듈(51), 연결 오디오 데이터 저장모듈(52), 연결 URL 데이터 저장모듈(53)" 등과 "제어모듈(10)"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제어모듈(10)로부터 "연결 비디오 데이터, 연결 오디오 데이터, 연결 URL 데이터", 예컨대, "b.avi", "m.mp3", "http://www.b‥/‥/d.hwp" 중의 어느 하나를 전달받은 후, 해당 데이터를 일정 사이즈로 압축하는 과정을 진행하며, 이러한 압축과정이 완료되는 즉시, 해당 데이터를 적절한 데이터 저장모듈로 전달함으로써, 일련의 연결 시나리오 데이터 압축 저장과정을 마무리한다.
이와 같은 압축모듈의 작용에 의해, 상술한 연결 비디오 데이터, 연결 오디오 데이터, 연결 URL 데이터 등은 원래의 크기 보다 대폭 축소된 크기로 신속하게 저장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연결 비디오 데이터 저장모듈(51), 연결 오디오 데이터 저장모듈(52), 연결 URL 데이터 저장모듈(53) 등은 데이터의 저장에 의해 가해질 수 있는 불필요한 부담을 큰 폭으로 경감 받을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단계 S29를 통해, 일련의 연결 시나리오 데이터 압축 저장 과정이 마무리되면, 제어모듈(10)은 인터페이스 모듈(90)을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마우스(4), 키보드(5) 등의 입력장치로부터 일련의 편집 완료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0).
이때, 편집자가 아직 별도의 전산작업을 진행하지 않아, 마우스(4), 키보드 (5) 등의 입력장치로부터 별도의 편집 완료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모듈(10)은 플로우를 앞서 언급한 단계 S12로 진행하여, 일련의 원본 동영상 재생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재차 판단한다.
그러나, 편집자가 편집 윈도우(201)에 게시된 종료 항목을 클릭하여, 마우스(4), 키보드(5) 등의 입력장치로부터 별도의 편집 완료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모듈(10)은 모니터(3) 상에 일련의 종료 메시지를 표시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31).
이 경우, 제어모듈(10)은 운영정보 저장모듈(60)에 저장된 운영정보를 활용하여, 예컨대, "편집과정을 모두 종료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등과 같은 일련의 종료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종료 메시지를 모니터(3)로 출력함으로써, 해당 편집자가 일련의 편집 과정이 모두 완료되었음을 시각적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본 발명의 제어모듈(10)은 임의의 편집자에 의해 일련의 편집 이벤트가 발생될 때마다, 상술한 동영상 가속모듈(20), 포괄 연결정보 저장모듈(40), 세부 연결정보 저장모듈(30), 연결 비디오 데이터 저장모듈(51), 연결 오디오 데이터저장모듈(52), 연결 URL 데이터 저장모듈(53) 등을 활용한 일련의 원본 동영상 편집 과정을 신속하게 진행시킴으로써, 해당 편집자가 좀더 손쉽게 원본 동영상에 인터랙티브한 효과를 부여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어모듈, 동영상 가속모듈, 포괄 연결정보 저장모듈, 세부 연결정보 저장모듈, 연결 비디오 데이터 저장모듈, 연결 오디오 데이터 저장모듈, 연결 URL 데이터 저장모듈 등을 주어진 순서에 따라 긴밀하게 연계시킴으로써, 임의로 주어진 원본 동영상의 일부 셀이 편집자의 선택에 따라, 다른 데이터, 예컨대, 다른 비디오 데이터, 다른 오디오 데이터, 다른 URL 데이터 등과 실시간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기반기술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이 달성되는 경우, 편집자는 "원본 동영상 일부 셀이 타 데이터와 연결될 수 있는 효과"를 토대로, 원본 동영상 파일의 인터랙티브한 활용을 손쉽게 도모할 수 있으며, 결국, 전체적인 동영상의 이용 효율을 탄력적으로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입·출력 장치 및 임의의 원본 동영상 파일을 구비한 컴퓨터 시스템에 탑재되며. 상기 입력장치와의 교신에 의해 바둑판 모양의 구획 셀들이 정의된 일련의 편집 윈도우를 상기 출력장치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편집 윈도우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원본 동영상 파일이 보유한 원본 동영상의 일부에 일련의 연결 대상 셀들을 설정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원본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일련의 재생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원본 동영상 파일이 보유한 원본 동영상을 가속하여 상기 편집 윈도우로 출력하는 동영상 가속모듈과;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원본 동영상 파일을 대상으로 하여, 포괄적인 데이터 연결정보를 정의하기 위한 일련의 포괄 연결정보 설정 이벤트가 진행 완료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상기 포괄 연결정보를 저장하는 포괄 연결정보 저장모듈과;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연결 대상 셀들을 목적개체로 하여, 세부적인 데이터 연결정보를 정의하기 위한 일련의 세부 연결정보 설정 이벤트가 진행 완료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상기 세부 연결정보를 저장하는 세부 연결정보 저장모듈과;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상기 포괄 연결정보 및 세부 연결정보가 반영된 실질적인 연결 비디오 데이터, 연결 오디오 데이터 및연결 유알엘(URL:Uniform Resource Locator) 데이터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의 지시에 따라, 상기 연결 비디오 데이터, 연결 오디오 데이터 및 연결 유알엘 데이터를 각각 저장하는 연결 비디오 데이터 저장모듈, 연결 오디오 데이터 저장모듈 및 연결 URL 데이터 저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편집 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괄 연결정보에는 상기 원본 동영상 파일에 대한 프로젝트 명칭 정보, 프로젝트 경로 정보 및 상기 원본 동영상 파일과 연결된 전체적인 연결 비디오 정보, 연결 오디오 정보, 연결 URL 정보가 통합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편집 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부 연결정보에는 상기 연결 대상 셀들에 대한 프레임 정보, 위치정보 및 상기 연결 대상 셀들과 연계된 타겟 비디오 정보, 타겟 오디오 정보, 타겟 URL 정보가 통합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편집 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연결 비디오 데이터, 연결 오디오 데이터 및 연결 유알엘 데이터를 압축 저장하기 위한 압축모듈과 일련의 제어관계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편집 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편집 윈도우의 실행 유무를 선택적으로 인증하기 위한 인증정보 추출모듈과 일련의 제어관계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편집 툴.
  6. 임의의 컴퓨터 시스템에 장착된 입력장치로부터 일련의 편집 윈도우 실행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편집 윈도우 실행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장착된 인증카드를 검색하여, 편집 윈도우의 실행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와;
    상기 편집 윈도우의 실행이 검증된 경우,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출력장치로 상기 편집 윈도우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상기 편집 윈도우를 기반으로 하여, 일련의 포괄 연결정보 설정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포괄 연결정보 설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일련의 포괄 연결정보를 설정 받기 위한 포괄 연결정보 설정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포괄 연결정보의 설정이 완료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포괄 연결정보의 설정이 완료된 경우, 해당 포괄 연결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일련의 원본 동영상 파일 재생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일련의 원본 동영상 파일 재생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상기 원본 동영상 파일이 보유한 원본 동영상을 상기 편집 윈도우 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일련의 연결 대상 셀 선택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일련의 연결 대상 셀 선택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원본 동영상의 일부에 연결 대상 셀들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 대상 셀들을 목적개체로 하여, 일련의 세부 연결정보 설정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세부 연결정보 설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일련의 세부 연결정보를 설정 받기 위한 세부 연결정보 설정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세부 연결정보의 설정이 완료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세부 연결정보의 설정이 완료된 경우, 해당 세부 연결정보를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세부 연결정보가 반영된 실질적인 연결 비디오 데이터, 연결 오디오 데이터 및 연결 유알엘 데이터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편집 방법.
KR10-2001-0004362A 2001-01-30 2001-01-30 멀티미디어 편집 툴 및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편집 방법 KR100441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4362A KR100441343B1 (ko) 2001-01-30 2001-01-30 멀티미디어 편집 툴 및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편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4362A KR100441343B1 (ko) 2001-01-30 2001-01-30 멀티미디어 편집 툴 및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편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3754A true KR20020063754A (ko) 2002-08-05
KR100441343B1 KR100441343B1 (ko) 2004-07-23

Family

ID=27692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4362A KR100441343B1 (ko) 2001-01-30 2001-01-30 멀티미디어 편집 툴 및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편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13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588B1 (ko) * 2009-04-27 2011-01-05 쏠스펙트럼(주) 멀티영상 편집장치 및 재생장치
KR101535580B1 (ko) * 2013-01-18 2015-07-13 주식회사 씨투몬스터 디지털 미디어 제작 공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56684B1 (ko) * 2020-07-21 2021-05-27 주식회사 크라우드웍스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인접 프레임의 작업 결과를 활용한 작업 수행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70468A (ja) * 1991-01-31 1992-09-2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遠隔映像編集方法
KR940012112A (ko) * 1992-11-23 1994-06-22 강진구 멀티미디어 편집방식
KR100543605B1 (ko) * 1998-12-17 2006-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스트림인덱싱과편집을위한사용자인터페이스
KR100346263B1 (ko) * 1999-11-05 2002-07-26 엘지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브라우징, 편집, 인덱싱을 위한 다단계 위치/구간 지정 방법
JP2003069994A (ja) * 1999-11-12 2003-03-07 Ncn Nippon Computer Network Kk 表示品質を落とさずパソコン上で動画データを全画面表示させるための方法
KR20000024134A (ko) * 2000-01-25 2000-05-06 정화용 스크린 세이버 편집 제어방법
KR20000024159A (ko) * 2000-01-26 2000-05-06 정창준 인터넷 웹사이트에서 영화 또는 방송에 등장하는 상품판매방법
KR20020042244A (ko) * 2000-11-30 2002-06-05 유재호 양방향 통신을 위한 미디어 파일 편집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588B1 (ko) * 2009-04-27 2011-01-05 쏠스펙트럼(주) 멀티영상 편집장치 및 재생장치
KR101535580B1 (ko) * 2013-01-18 2015-07-13 주식회사 씨투몬스터 디지털 미디어 제작 공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56684B1 (ko) * 2020-07-21 2021-05-27 주식회사 크라우드웍스 크라우드소싱 기반 프로젝트의 인접 프레임의 작업 결과를 활용한 작업 수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1343B1 (ko) 200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2075B1 (en) System and method for media content collaboration throughout a media production process
US8006189B2 (en) System and method for web based collaboration using digital media
CN101164055B (zh) 媒体时间线排序
US6873877B1 (en) Distributed production system for digitally encoding information
US9870796B2 (en) Editing video using a corresponding synchronized written transcript by selection from a text viewer
US8266214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aborative web-based multimedia layered platform with recording and selective playback of content
US8577683B2 (en) Multipurpose media players
CN109145248A (zh) 用于记录、编辑和再现计算机会话的方法
US8204750B2 (en) Multipurpose media players
US8819087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ssisting the production of media works and the like
US20100058220A1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the creation, monetiza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metacontent
EP1801802A2 (en) Authoring system and method
US20020054244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full news integration and automation in a real time video production environment
US7836127B2 (en) Dynamically triggering notifications to human participants in an integrated content production process
WO2006099008A1 (en) Video editing method and apparatus
WO2007064715A2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the creation, monetiza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metacontent
US20160349978A1 (en) Knowledge base studio
CN112584250A (zh) 一种视频预览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04954850B (zh) 非线性编辑软件的调度方法和装置
US2006015941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ociating graphics information with audio and video material
KR100441343B1 (ko) 멀티미디어 편집 툴 및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편집 방법
JP4129162B2 (ja) コンテンツ作成実演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作成実演方法
AU2988800A (en) Distributed production system for digitally encoding information
KR101160272B1 (ko) 비디오에 대한 인덱스의 생성 및 재생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CN101185092B (zh) 在综合内容制作过程中动态触发对参加人员的通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