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8762A - 전화번호 인증서를 통한 사용자 정보 인증방법 - Google Patents

전화번호 인증서를 통한 사용자 정보 인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8762A
KR20020058762A KR1020000086892A KR20000086892A KR20020058762A KR 20020058762 A KR20020058762 A KR 20020058762A KR 1020000086892 A KR1020000086892 A KR 1020000086892A KR 20000086892 A KR20000086892 A KR 20000086892A KR 20020058762 A KR20020058762 A KR 20020058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number
user
number certificate
certificate
information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6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현선
Original Assignee
이계철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20000086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8762A/ko
Publication of KR20020058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876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6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certificates, e.g. public key certificate [PKC] or attribute certificate [AC];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arrangements
    • H04L9/3268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certificates, e.g. public key certificate [PKC] or attribute certificate [AC];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arrangements using certificate validation, registration, distribution or revocation, e.g. certificate revocation list [CR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47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digital sign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번호 인증서를 통한 사용자 정보 인증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인터넷상에서 정보 서비스 제공자가 사용자에게 상거래 서비스와 정보 서비스 등의 각종 서비스 제공 시, 해당 사용자의 전화번호에 근거하여 발급된 전화번호 인증서를 확인 한 후, 사용자가 등록한 사용자 정보의 전화번호에 대한 진위 판별을 가능하게하여 사용자 정보의 신뢰성을 증대하고, 사용자의 전화번호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한 고부가가치의 다양한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화번호 인증서를 통한 사용자 정보 인증방법{Method for Providing Authentication about user's information using Telephone number electronic certification}
본 발명은 인터넷상에서 상거래 서비스와 정보 서비스 등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 제공자에게 사용자 정보에 대한 전자 인증서인 전화번호 인증서를 제공하여 가입자 등록 시 가입자를 선별하는 전화번호 인증서를 통한 사용자 정보 인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화번호 인증서 발급부로부터 사용자의 전화번호에 대한 전자 인증서인 전화번호 인증서를 발급받은 사용자가 정보 서비스 제공자의 호스트에 등록할 경우, 정보 서비스 제공자는 사용자의 전화번호 인증서를 통해 사용자가 등록과정에서 기재한 전화번호의 정확성을 판단할 수 있는 전화번호 인증서를 통한 사용자 정보 인증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인터넷을 통한 정보 서비스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정보 서비스가 제공 되고 있는데, 이러한 대부분의 정보 서비스는 사용자가 정보 서비스 사이트에 가입한 후 정보 서비스를 제공 받는다.
이러한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자 입장에서 사용자 정보는 매우 중요하나, 가입 시 단순히 사용자에게 부여한 사용자 식별자와 인증번호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할 뿐, 사용자가 등록한 사용자 정보에 대한 진위 여부 확인이 거의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정보 서비스 제공자는 위조된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하게 될 가능성이 높으며, 특히 해당 정보 서비스가 금전적인 관계를 포함하고 있는 서비스라면, 사용자 정보의 진위 여부 확인은 매우 중요하며, 사용자 정보의 진위 여부가 확인되지 않으면 서비스 제공에도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인터넷상에서 정보 서비스 제공자 호스트에 가입자 등록 시 전화번호 인증서를 사용함으로써, 등록 과정에 기제한 가입자 전화번호의 신뢰성과 정확성을 증대하고, 이를 통해 가입자 등록을 선별하는 전화번호 인증서를 통한 사용자 정보 인증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화번호 인증서 발급부의 내부 구성.
도 2는 도 1의 전화번호 인증서 발급부에서 전화번호 인증서를 발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망 구성도.
도 4는 도 3의 정보 서비스 제공부에서 전화 번호 인증서를 이용한 가입자 등록을 허가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사용자 단말부 10a : 통신 단말부
10b : 데이터 단말부 20 : 교환기
30 : 통신망 50 : 정보 서비스 제공부
100 : 전화번호 인증서 발급부 110 : 발신번호 검출부
120 : 전화번호 인증서 생성부 130 : 전화번호 인증서 전송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인터넷망에서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 제공부에서 정보 서비스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인증하는 인증 방법에 있어서,
전화번호 인증서 발급부에서 발급한 상기 사용자의 전화번호 인증서를 통해 상기 정보 서비스 제공부에서 사용자 정보의 정확성을 판단하는 가입자 인증 방법을 구비하되;
상기 가입자 인증 방법은 전화번호 인증서 발급부가 상기 사용자의 통신단말로부터 공중교환 전화망을 포함한 통신망을 통해 발신 데이터를 포함한 전화번호 인증서 발급 요청을 수신 받는 제 1과정과;
상기 전화번호 인증서 발급부가 상기 발신 데이터를 통해 전화번호 인증서를 생성하여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데이터 단말로 전송하는 제 2과정과;
상기 정보 서비스 제공부가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데이터 단말부로부터 정보 서비스 가입자 등록 요청을 수신 받는 제 3과정과;
상기 정보 서비스 제공부가 정보 서비스 가입자 등록 과정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이름,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 받는 제 4과정과;
상기 정보 서비스 제공부가 상기 사용자 정보의 전화번호의 정확성을 판별하기 위해 상기 전화번호 인증서 발급부에서 발급한 상기 사용자의 전화번호 인증서를 요청하는 제 5과정과;
상기 정보 서비스 제공부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전화번호 인증서를 수신 받는 제 6과정; 및
상기 정보 서비스 제공부가 상기 전화번호 인증서를 통해 사용자의 정보 서비스 가입 등록에 대한 허가 여부를 결정하는 제 7과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화번호 인증서 발급부(100)의 내부 구성도로, 전화번호 인증서 발급부(100)는 교환기로부터 수신된 발신자의 발신데이터를 통해 발신번호를 검출하여 전화번호 인증서를 생성하며, 발신번호 검출부(110)와 전화번호 인증서 생성부(120) 및 전화번호 인증서 전송부(130)로 구성된다.
상기 전화번호 인증서는 발신자의 전화번호 정보와 인증서의 유효기간 및 전화번호 인증서 발급부의 전자서명으로 구성된다.
발신번호 검출부(110)는 현재 교환기에서 통상 실시되고 있는 서비스로 발신자의 통신단말부(예:전화, 웹폰 등)(10a)로부터 전송되는 발신데이터를 교환기(20)와 공중교환 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y Network : PSTN)과 인터넷망 등을 포함하는 통신망(30)을 통해 수신 받아 발신자 번호를 제공하는 서비스인 발신전화번호 서비스(예 : Caller ID service)를 이용하여 사용자 전화번호를 독출하고;
전화번호 인증서 생성부(120)는 전화번호 인증서 안에 기록된 정보가 사실임을 인증서 발급자가 증명하기 위해, 인증기관에 의해 제공되는 키값인 공개키(Public Key)를 사용하는 공개키 기반(Public Key Infrastructure : PKI)의 전자서명(Digital Signature) 기술과 전자 인증서 포멧(예:X.509)을 통해 전자문서형태의 전자 인증서(Digital certificate)인 전화번호 인증서를 생성하고;
전화번호 인증서 전송부(130)는 전화번호 인증서 생성부(120)에 의해 생성된 전자문서인 전화번호 인증서를 통신망(30)을 통해 상기 발신자의 데이터 단말부(예:PC, 무선 단말기 등)(10b)로 전송한다.
도 2는 상기 도 1의 전화번호 인증서 발급부(100)에서 전화번호 인증서를 발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로, 정보 서비스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전화번호 인증서를 발급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먼저, 통신망(30)과 교환기(20)를 통해 사용자의 통신단말부(10a)와 전화번호 인증서 발급부(100)의 전화번호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전화번호 인증서 발급 요청을 수신받는다(S2).
사용자의 발신데이터를 이용한 발신전화번호 서비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검출하고(S4), 검출된 사용자의 전화번호와 인증서의 유효기간 및 전화번호 인증서 발급부에서 생성한 인증서임을 증명하기 위한 전자서명으로 구성된 전자문서 형태의 전화번호 인증서를 생성한다(S6).
생성된 전화번호 인증서를 인터넷망(30)을 통해 사용자의 데이터 단말부(10b)로 전송한다(S8).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망 구성도로, 전화번호 인증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을 통해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웍 구성도를 나타내며, 정보 서비스와 전화번호 인증서를 요청을 위한 사용자 단말부(10)와 인터넷상에서 사용자에게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 제공부(50) 및 전화번호 인증서를 발급하는 전화번호 인증서 발급부(100)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부(10)는 통신망(30)을 통해 전화번호 인증서 발급부(100)로 전화번호 인증서 발급을 요청하는 통신단말부(10a)와 통신망(40)을 통해 전화번호 인증서를 발급 받는 데이터 단말부(10b)로 구성된다.
정보 서비스 제공부(50)는 인터넷상에서 사용자에게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전화번호 인증서의 내용을 독취하는 기술과 전화번호 인증서 발급부(100)의 전자서명에 관한 정보 및 판독 기술을 내장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해 가입자 등록 시, 사용자로부터 전화번호 인증서를 수신 받아 전화번호 인증서의 내용을 독취하고, 내장된 전자서명 정보와 전화번호 인증서의 전자서명을 비교 분석하여 전화번호 인증서 발급부(100)에서 발급한 유효한 인증서인지 판단하여, 가입자의 전화번호의 확인여부를 결정한다.
전화번호 인증서 발급부(100)는 사용자의 통신단말부(10a)로부터교환기를(20)를 통해 발신데이터를 수신 받아 발신전화번호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전화번호를 독출하고, 공개키 기반의 전자서명 기술과 전자 인증서 포멧을 통해 전자문서형태의 전자 인증서인 전화번호 인증서를 생성하여, 통신망(40)을 통해 사용자의 데이터 단말부(예:PC 등)(10b)로 전송한다.
도 4는 상기 도 3의 정보 서비스 제공부(50)에서 전화 번호 인증서를 이용한 가입자 등록을 허가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로, 정보 서비스 제공부(50)가 사용자로부터 정보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한 정보 서비스 가입자 등록 요청을 수신 받았을 경우, 상기 전화번호 인증서 발급부(100)에서 발급한 전화번호 인증서를 통해 사용자의 정보 서비스 가입 정보 중 전화번호를 확인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먼저, 정보 서비스 제공부(50)가 통신망(40)을 통해 사용자의 데이터 단말부(10b)와 연결되어, 사용자로부터 정보 서비스 가입자 등록 요청을 수신 받는다(S20).
정보 서비스 가입자 등록 과정에 의해 데이터 단말(10b)로부터 사용자의 이름, 전화번호, 주민등록 번호 등 사용자 정보를 수신 받는다(S22).
사용자의 데이터 단말(10b)로부터 수신 받은 사용자 정보의 전화번호에 대한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해 등록과정에 기재한 사용자 전화번호의 전화번호 인증서를 사용자에게 요청한다(S24).
전화번호 인증서 발급부(100)로부터 발급 받은 사용자 전화번호에 대한 전화번호 인증서를 사용자의 데이터 단말(10b)로부터 통신망(40)을 통해 수신 받는다(S26).
전화번호 인증서 발급부(100)로 부터 발급 받은 유효한 인증서인지 판별하기 위해 사용자의 데이터 단말(10b)로부터 수신 받은 전화번호 인증서의 전자서명과 내장된 전화번호 인증서 발급부(100)의 전자서명 정보를 비교·분석하여 일치하는지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S28).
전자서명 일치 여부 판단 결과, 일치하지 않는 전화번호 인증서일 경우, 정보 서비스 가입자 등록 과정에서 기재한 사용자 전화번호가 부정확한 것으로 간주하여, 비 인증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를 제공한다(S34).
전자서명 일치 여부 판단 결과, 일치하는 유효한 전화번호 인증서일 경우, 전화번호 인증서의 내용을 판독하여 전화번호 인증서에 기재된 유효기간 등의 정보가 유효한지 검사하고, 전화번호 인증서의 전화번호가 정보 서비스 가입자 등록 시 기제한 전화번호와 동일한지 판단하여(S30), 전화번호 인증서의 유기간이 유효하고, 전화번호가 동일하면 인증된 사용자에게만 국한된 정보 서비스를 제공한다(S32).
유효기간의 유효성과 전화번호 일치 여부의 판단 결과, 전화번호 인증서의 전화번호가 정보 서비스 가입자 등록 시 기제한 전화번호와 동일하지 않거나, 전화번호 인증서에 기제된 유효기간이 현재 시점에서 유효하지 않으면, 비 인증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를 제공한다(S34).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인터넷망에서 정보 서비스 제공자가 사용자에게 정보 서비스 제공 시, 전화번호 인증서를 통해 사용자가 등록한 사용자 정보의 전화번호에 대한 진위 판별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전화번호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한 다양한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인터넷망에서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 제공부에서 정보 서비스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인증하는 인증 방법에 있어서,
    전화번호 인증서 발급부에서 발급한 상기 사용자의 전화번호 인증서를 통해 상기 정보 서비스 제공부에서 사용자 정보의 정확성을 판단하는 가입자 인증 방법을 구비하되;
    상기 가입자 인증 방법은 전화번호 인증서 발급부가 상기 사용자의 통신단말로부터 공중교환 전화망을 포함한 통신망을 통해 발신 데이터를 포함한 전화번호 인증서 발급 요청을 수신 받는 제 1과정과;
    상기 전화번호 인증서 발급부가 상기 발신 데이터를 통해 전화번호 인증서를 생성하여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데이터 단말로 전송하는 제 2과정과;
    상기 정보 서비스 제공부가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데이터 단말부로부터 정보 서비스 가입자 등록 요청을 수신 받는 제 3과정과;
    상기 정보 서비스 제공부가 정보 서비스 가입자 등록 과정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이름,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 받는 제 4과정과;
    상기 정보 서비스 제공부가 상기 사용자 정보의 전화번호의 정확성을 판별하기 위해 상기 전화번호 인증서 발급부에서 발급한 상기 사용자의 전화번호 인증서를 요청하는 제 5과정과;
    상기 정보 서비스 제공부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전화번호 인증서를 수신 받는제 6과정; 및
    상기 정보 서비스 제공부가 상기 전화번호 인증서를 통해 사용자의 정보 서비스 가입 등록에 대한 허가 여부를 결정하는 제 7과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화번호 인증서를 통한 사용자 정보 인증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 인증서는 전자 인증서 포멧에 의한 전자문서 형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인증서를 통한 사용자 정보 인증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과정의 전화번호 인증서 생성 과정은,
    상기 전화번호 인증서 발급부가 사용자의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 받은 발신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발신전화번호를 제공하는 발신 전화번호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검출하는 사용자 전화번호 검출 단계; 및
    상기 전화번호 인증서 발급부가 검출된 상기 사용자의 전화번호와 유효기간 및 전화번호 인증서 발급부에서 생성한 인증서임을 증명하기 위한 전자서명을 포함하는 전화번호 인증서를 생성하는 전화번호 인증서 생성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인증서를 통한 사용자 정보 인증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 인증서의 전자 서명은 인증기관에 의해 제공되는 키값인 공개키를 사용하는 공개키 기반의 전자서명 기술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인증서를 통한 사용자 정보 인증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7과정에서 사용자의 정보 서비스 등록 허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사용자의 데이터 단말로부터 수신 받은 전화번호 인증서의 내용을 판독하는 판독단계와;
    상기 전화번호 인증서에 기재된 전자서명을 통해 상기 전화번호 인증서 발급부로부터 발급 받은 유효한 인증서인지 판별하는 전화번호 인증서 발급의 유효성 판별 단계와;
    현재 시점에서 상기 전화번호 인증서에 기재된 전화번호 인증서의 유효기간이 유효한지를 판별하여, 현재 시점이 상기 유효기간을 초과하면 사용자의 정보 서비스 가입자 등록을 불허하는 전화번호 인증서 유효기간의 유효성 판별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 받은 사용자의 전화번호와 전화번호 인증서에 기재된 전화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두 개의 전화번호가 일치하면 상기 사용자의 정보 서비스 가입자 등록을 허가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정보 서비스 가입자 등록을 불허하는 사용자 전화번호의 정확성 판별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인증서를 통한 사용자 정보 인증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 인증서 발급의 유효성 판별 단계는,
    상기 전화번호 인증서의 전자서명과 정보 서비스 제공부에 내장된 상기 전화번호 인증서 발급부의 전자서명 정보를 비교·분석하는 전자서명 비교·분석단계; 및
    상기 전자서명 비교·분석단계의 결과를 통해 상기 전화번호 인증서의 전자서명과 상기 전자서명 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의 정보 서비스 가입자 등록을 불허하는 전자서명 정확성 판별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인증서를 통한 사용자 정보 인증 방법.
KR1020000086892A 2000-12-30 2000-12-30 전화번호 인증서를 통한 사용자 정보 인증방법 KR200200587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6892A KR20020058762A (ko) 2000-12-30 2000-12-30 전화번호 인증서를 통한 사용자 정보 인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6892A KR20020058762A (ko) 2000-12-30 2000-12-30 전화번호 인증서를 통한 사용자 정보 인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8762A true KR20020058762A (ko) 2002-07-12

Family

ID=27689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6892A KR20020058762A (ko) 2000-12-30 2000-12-30 전화번호 인증서를 통한 사용자 정보 인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876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742B1 (ko) * 2002-05-31 2004-10-01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인증서 유효성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5071997A1 (en) * 2004-01-12 2005-08-04 Hyeong-Mug Yoo Method for certificating a user with a service to inform of caller’s phone number
KR100807913B1 (ko) * 2001-09-12 2008-02-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공개키 기반 인증 방법
KR100889187B1 (ko) * 2002-11-19 2009-03-17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무선 디바이스의 전송 중립적인 인증을 위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913B1 (ko) * 2001-09-12 2008-02-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공개키 기반 인증 방법
KR100450742B1 (ko) * 2002-05-31 2004-10-01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인증서 유효성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89187B1 (ko) * 2002-11-19 2009-03-17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무선 디바이스의 전송 중립적인 인증을 위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WO2005071997A1 (en) * 2004-01-12 2005-08-04 Hyeong-Mug Yoo Method for certificating a user with a service to inform of caller’s phone number
KR100746642B1 (ko) * 2004-01-12 2007-08-06 유형묵 발신번호 표시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77684B (zh) 身份认证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7865173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authentication procedures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6789193B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ng a network user
US20020004800A1 (en) Electronic notary method and system
KR20020081269A (ko) 전자 신원의 발행 방법
KR101829730B1 (ko)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US20140289809A1 (en) Cell-Phone-and Watermark-Dependent Authentication
JP2006318489A (ja) サービスユーザのidの認証を確認する方法および装置
WO2008094716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digital fingerprint
KR101858653B1 (ko)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및 이와 연동하는 머클 트리 구조를 통해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KR20100038990A (ko) 네트워크 인증 시스템의 보안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KR20190031986A (ko) 모바일 생체인식 인증 수행 장치 및 인증 요청 장치
CN114444134A (zh) 一种数据使用授权方法、系统及装置
Jøsang Identity management and trusted interaction in Internet and mobile computing
JP2009118110A (ja) 認証システムのメタデータプロビジョニング方法、システム、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010008268A (ko) 가입자 단말의 시스템 시간 설정을 위한 타임 스탬핑서비스 방법
TW201201559A (en) Anti-hacking system through telephone authentication
KR100750214B1 (ko) 공인 인증서를 이용한 로그인 방법
KR20020058762A (ko) 전화번호 인증서를 통한 사용자 정보 인증방법
KR100609701B1 (ko) 전자 거래 내역에 대한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거래 인증방법 및 시스템
JP2009031849A (ja) 電子申請用証明書発行システムおよび電子申請受付システム、並びにそれら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50099604A (ko) 국제규격에 따른 유비쿼터스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2차원바코드 자동생성 시스템 및 모바일 보안신분증명시스템
Zhang Secure mobile service-oriented architecture
KR100406525B1 (ko) 무선 공개키 기반 구조에서의 인증서 발급 요청/처리 장치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인증서 발급 시스템
CN115865305B (zh) 一种跨平台的签字图章可信生成与验证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