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7844A - 휴대용 비데 - Google Patents

휴대용 비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7844A
KR20020057844A KR1020020018928A KR20020018928A KR20020057844A KR 20020057844 A KR20020057844 A KR 20020057844A KR 1020020018928 A KR1020020018928 A KR 1020020018928A KR 20020018928 A KR20020018928 A KR 20020018928A KR 20020057844 A KR20020057844 A KR 20020057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groove
washing water
portable bidet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8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삼균
Original Assignee
임삼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삼균 filed Critical 임삼균
Priority to KR1020020018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7844A/ko
Publication of KR20020057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7844A/ko
Priority to PCT/KR2002/001451 priority patent/WO2003086160A1/en
Priority to AU2002324004A priority patent/AU2002324004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8Devices or hand implements for cleaning the butto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dy Washing Hand Wipes And Brushe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비데에 있어서, 내부에 세정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구비된 하우징을 구성하고, 상기 수용공간에 세정수를 저장시키도록 내면에 밀착된 방수부재를 하부로 이동시키는 압착부를 구성하며, 상기 압착부의 작동에 의해 수용공간에 저장된 세정수를 분사노즐의 내부로 이동하여 외부로 분사시키는 작동부를 구성함으로서, 내부 부품의 간소화로 부피가 작고 가벼우며, 세정수를 수동으로 분사시키므로 소음이 없을 뿐만 아니라,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세정수의 수압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방수부재를 가압하여 이동시켜 일정하게 유지하므로 사용이 용이하며, 유지비가 들지 않고, 수동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가격이 저렴하여 경제적인 부담을 감소시키는 휴대용 비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비데{portable bide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쉽게 휴대하여 필요시 세정수를 담아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비데(bidet)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비데(bidet)는, 좌변기의 일측에 고정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항문 또는 국부 및 맛사지세정 등의 작동으로 신체의 일부에 강한 압의 세정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며, 용변 후, 이물질을 위생적으로 처리하여 쾌적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비데를 질병의 치료차원에서도 큰 효과가 있어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비데는, 비데가 설치된 곳에서만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여행시나 비데가 설치되지 않은 화장실에서 용변을 보고 난 후, 화장지를 이용하여 마무리를 함에 따라 느낌이 상쾌하지 못해 불쾌감을 느끼고, 노폐물이 생식기에 잔존함에 따라 노폐물에 기생하는 각종 나쁜 세균들이 생식기의 내부로 침투하여 생식기 계통에 각종 질병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생리중인 여성이나 항문질환자의 경우에는 더욱 심하게 불쾌감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휴대용 비데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 휴대용 비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밧데리(11)의 전원으로 동작되는 모터펌프(미도시)가 구비되고, 이 모터펌프(미도시)를 작동시키는 스위치(12)가 구비되며, 상기 스위치(12)의 작동으로 세정수를 외부로 분사시키는 노즐(13)이 구비된 몸체(10)가 구성되고, 상기 몸체(10)를 수용하며 몸체(10)를 따라 상. 하부로 이동하여 세정수를 저장하는 공간(21)을 형성하며, 이 공간(21)의 일측에 세정수를 유입시키는 유입구(22)가 형성된 세정통(20)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비데를 사용하려면, 밧데리(11)의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세정통(20)을 슬라이드시켜 몸체(10)의 단부에 위치하고, 유입구(22)를 통해 세정수를 공간(21)에 저장한다.
이렇게 저장된 세정수는, 사용자가 노즐(13)을 세정하고자 하는 위치에 위치시킨 후, 스위치(12)를 가압하여 모터펌프(미도시)를 작동시킨다.
이때, 모터펌프(미도시)의 작동으로 세정통(20)의 공간(21)에 저장된 세정수가 노즐(13)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 분사되는 세정수의 압력을 높이려면, 압력을 높게 하는 스위치(12)를 가압하고, 모터펌프(미도시)의 출력을 높여 세정수의 압력을 높인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근래의 휴대용 비데는, 세정수를 저장시키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몸체에서 세정통을 슬라이드시키기 때문에 부피가 크고, 건전지의 동력으로 모터펌프를 작동시켜 세정수를 자동으로 분사시키므로 내부의 부품이 많아 무거울 뿐만 아니라 모터펌프의 소음이 심해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건전지의 마모가 심해 수압이 급속히 저하되어 사용이 어렵고, 유지비가 많이 들며, 가격이 비싸 경제적으로 부담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내부 부품의 간소화로 부피가 작고 가벼우며, 세정수를 수동으로 분사시키므로 소음이 없을 뿐만 아니라,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세정수의 수압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방수부재를 가압하여 이동시켜 일정하게 유지하므로 사용이 용이하며, 유지비가 들지 않고, 수동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가격이 저렴하여 경제적인 부담을 감소시키는 휴대용 비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용 비데에 있어서, 내부에 세정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수용공간에 세정수를 저장시키도록 내면에 밀착된 방수부재를 하부로 이동시키는 압착부와; 상기 압착부의 작동에 의해 수용공간에 저장된 세정수를 분사노즐의 내부로 이동하여 외부로 분사시키는 작동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휴대용 비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휴대용 비데의 작동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휴대용 비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휴대용 비데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휴대용 비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휴대용 비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는 하우징의 수용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회전부재를 회전시켜 방수부재를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세정수가 저장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c는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저장된 세정수를 이용하여 세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하우징 110: 몸체
111b: 고정턱 120: 결합부재
200: 압착부 210: 치차
220: 스프링 230: 방수부재
234: 체크밸브 240: 연결부재
250: 당김부재 260: 회전부재
263: 멈춤홈 270: 회전제어부재
280: 스크류 290: 보호캡
300: 작동부 310: 작동버튼
312: 멈춤돌기 320: 안내봉
321: 안내공 330: 분사노즐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휴대용 비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휴대용 비데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휴대용 비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휴대용 비데에 있어서, 내부에 세정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11)이 구비된 하우징(100)이 구성되고, 상기 수용공간(111)에 세정수를 저장시키도록 내면에 밀착된 방수부재(230)를 단계적으로 이동시키는 압착부(200)가 구성되며, 상기 압착부(200)의 작동에 의해 수용공간(111)에 저장된 세정수를 분사노즐(330)의 내부로 이동하여 외부로 분사시키는 작동부(300)가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하우징(100)은, 내부가 관통되며, 상부에 세정수를 저장할 수 있는 수용공간(111)이 형성되고, 이 수용공간(111)의 하부에 나사공이 형성된 결합돌기(111a)가 형성되며, 저면에 고정턱(111b)이 형성되고, 상면에 고정편(112)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하부 외측에 상기 작동부(300)가 안착되도록 돌기(114)가돌출된 슬라이드홈(113)이 형성되고, 내부 중앙에 "U"자형의 제1안착홈(115)이 형성되며, 이 제1안착홈(115)의 양측으로 회전홈(117)이 구비된 고정편(116)이 형성되고, 이 고정편(116)의 둘레에 스프링설치홈(118)이 형성되며, 이 스프링설치홈(118)의 외측으로 제2안착홈(119)이 형성된 몸체(11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10)의 고정편(112)을 수용하도록 내측으로 고정홈(121)이 형성되며, 일측에 관통된 수용공(122)이 형성되고, 이 수용공(122)의 타측에 개폐공(123)이 형성되고, 이 개폐공(12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구(124)가 형성된 결합부재(120)가 구비된다.
상기 압착부(200)는, 상기 몸체(110)의 제1안착홈(115)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됨과 동시에 양단이 고정편(116)의 회전홈(117)에 안착되며, 내부에 제1설치공(211)이 형성된 치차(21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10)의 스프링설치홈(118)에 안착되는 스프링(220)이 구비되며, 상기 몸체(110)의 내면에 단부가 밀착되어 수용공간(111)으로 이동하고, 내측에 상기 결합부재(120)의 수용공(122)과 동일선상으로 관통된 관통공(231)이 형성되며, 저면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결편(232)이 형성되고, 이 연결편(232)에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끼움공(233)이 형성되며, 상면에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체크밸브(234)가 장착된 방수부재(230)가 구비되며, 상기 방수부재(230)의 관통공(231)과 동일선상으로 관통되는 관통공(241)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공(241)에 끼워지는 끼움돌기(242)가 외주면에 형성되며, 저면에 상기 치차(210)의 제1설치공(211)과 수직선상으로 제2설치공(243)이 형성된 연결부재(240)가 구비되고, 상기 치차(210)의제1설치공(211)과 연결부재(240)의 제2설치공(243)을 연결하는 당김부재(250)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110)의 결합돌기(111a)에 끼워지는 회전공(261)이 형성되고, 이 회전공(261)의 둘레에 상기 치차(210)와 맞물리도록 치차'(262)가 형성되며, 내주면 상부에 일 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도록 멈춤홈(263)이 형성되고, 내주면 하부에 스토퍼(264)가 형성된 회전부재(260)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부재(260)의 스토퍼(264)에 걸려 회전부재(260)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제어부재(27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 회전부재(260)가 고정되도록 와셔(281)를 부착하여 고정시키는 스크류(280)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부재(260)를 수용하여 보호하는 보호캡(290)이 구비된다.
상기 체크밸브(234)는, 상기 방수부재(230)의 내부에 위치한 공기를 수용공간(111)의 내부로 이동시키기 위해 일 방향으로 배출시키도록 상부가 절개되게 형성된다.
상기 당김부재(250)는, 와이어 및 타이밍벨트, 판스프링 등 일측이 치차(210)에 고정되어 이의 회전으로, 타측에 고정된 연결부재(240)를 당겨올 수 있는 모든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260)는, 상기 회전제어부재(270)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최대 720°까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제어부재(270)는, 상기 치차'(262)의 외측으로 결합되도록 내부가 관통되고, 상기 스토퍼(264)에 걸리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제1걸림편(271a)이 높게 형성되는 제1회전구(271)가 형성되며, 상기 치차'(262)의 외측으로 결합되도록 내부가 관통되고, 상기 제1회전구(271)의 제1걸림편(271a)에 걸리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제2걸림편(272a)이 형성되는 제2회전구(27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치차(210)(262)는, 베벨기어 및 스퍼어기어를 사용할 수도 있고, 이를 변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작동부(300)는, 상기 슬라이드홈(113)의 돌기(114)에 스프링(311)을 안착시키고, 이 스프링(311)을 가압하면서 슬라이드홈(113)을 따라 이동하며, 단부가 상기 회전부재(260)의 멈춤홈(263)에 안착되도록 멈춤돌기(312)가 형성된 작동버튼(310)이 구비되고, 이 작동버튼(310)의 작동에 의해 수용공간(111)에 저장된 세정수를 외부로 분출하도록 유도하는 안내공(321)이 형성되며, 단부에 고무링(322)이 안착되는 안내봉(320)이 상기 결합부재(120)의 수용공(122)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안내봉(320)의 내부에 장착되어 수용공(122)을 따라 슬라이드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세정수를 외부로 분출하는 분사노즐(330)이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결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몸체(110)의 제1안착홈(115)에 당김부재(250)의 일측이 제1설치공(211)에 연결된 치차(210)를 안착시키며, 이 치차(210)의 양단부는 고정편(116)의 회전홈(117)에 안착시킨 후, 상기 몸체(110)의 스프링설치홈(118)에 스프링(220)을 안착시킨다.
또한, 연결부재(240)의 제2설치공(243)에 당김부재(250)의 타측을 결합하고, 이 연결부재(240)를 방수부재(230) 연결편(232)의 내부에 위치시켜 가압하면, 연결부재(240)의 끼움돌기(242)가 방수부재(230)의 끼움공(233)에 끼워져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고정된 몸체(110)의 돌기(114)에 스프링(311)을 안착시킨 후, 작동버튼(310)으로 스프링(311)을 수용하면서 슬라이드홈(11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한편, 회전부재(260)의 치차'(262)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제1회전구(271)와 제2회전구(272)를 안착시키면, 제1회전구(271)의 제1걸림편(271a)이 스토퍼(264)에 밀착하게 된다.
이렇게 결합된 회전부재(260)의 회전공(261)을 몸체(110)의 결합돌기(111a)에 결합시키는데, 이때 회전부재(260)의 치차'(262)가 치차(210)의 맞물리게 되며, 작동버튼(310)의 멈춤돌기(312)가 회전부재(260)의 멈춤홈(263)에 안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몸체(110)의 하부에 결합된 회전부재(260)의 회전공(261)에 위치한 결합돌기(111a)에 와셔(281)를 밀착시키고, 스크류(280)로 결합하면, 와셔(281)가 회전공(261)의 단부에 밀착되면서 회전부재(26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회전부재(260)의 외부로 보호캡(290)을 장착하면 된다.
또한, 안내봉(320)의 상부에 고무링(322)을 장착하고, 내부에 분사노즐(330)을 장착하여 결합부재(120)의 수용공(122)에 고정시키며, 분사노즐(330)의 단부에 분사캡(331)을 결합한 후, 상기 결합부재(120)를 몸체(110)의 상부에 결합한다.
이때, 결합부재(120)에 고정된 안내봉(320)은, 방수부재(230)와 연결부재(240)의 관통공(231)(241)에 위치하며, 상기 결합부재(120)의 고정홈(121)이 몸체(110)의 고정편(112)을 수용하면서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결합부재(120)의 개폐공(123)에 개폐구(124)를 고정시키면 결합이 완료되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결합된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휴대용 비데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보호캡(290)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회전부재(260)의 멈춤홈(263)에 위치한 작동버튼(310)의 멈춤돌기(312)는, 멈춤홈(263)의 외면을 따라 상부로 이동한 후, 다시 다음의 멈춤홈(263)에 안착되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와 동시에 회전부재(260)가 회전하면, 치차'(262)가 회전하고, 이에 맞물린 치차(210)가 회전하면서, 제1설치공(211)에 고정된 당김부재(250)를 감으면서 회전한다.
상기와 같이 치차(210)가 당김부재(250)를 감으면서 회전하면, 당김부재(250)가 연결된 연결부재(240)와 이와 고정된 방수부재(230)가 스프링(220)을 가압하면서 안내봉(320)을 따라 이동하여 방수부재(230)의 연결편(232)이 제2안착홈(119)에 안착된다.
이때, 회전부재(260)가 회전하면, 스토퍼(264)가 회전하면서, 제1회전구(271)를 회전시켜 회전부재(260)가 1바퀴 회전되며, 다시 회전부재(260)를 회전시키면, 스토퍼(264)에 밀착된 제1회전구(271)의 제1걸림편(271a)이 제2회전구(272)의 제2걸림편(272a)과 같이 1바퀴 회전되며, 제2걸림편(272a)은 몸체(110)의 고정턱(111b)에 걸려 더 이상 회전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회전하는 회전부재(260)의 최대 회전각도는 720° 즉, 2바퀴가 되는 것이다.
또한, 결합부재(120)의 개폐구(124)를 개폐공(123)에서 이탈시켜 세정수를 수용공간(111)의 내부에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수용공간에 저장된 세정수를 이용하여 국부세정이나 항문세정을 하려고 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노즐(330)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세정할 위치에 위치시켜 작동버튼(310)을 슬라이드홈(113)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작동버튼(310)은 스프링(311)을 가압하면서 이동하며, 작동버튼(310)의 멈춤돌기(312)는 회전부재(260)의 멈춤홈(263)에서 이탈된다.
상기와 같이 멈춤돌기(312)가 멈춤홈(263)에서 이탈되면, 스프링(220)의 탄성력에 의해 연결부재(240)와 방수부재(230)를 수용공간(111)의 상단으로 이동하면서, 세정수의 수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수용공간(111)에 저장된 세정수는 안내봉(320)의 안내공(321)으로 이동하여 분사노즐(330)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어 세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연결부재(240)가 상부로 이동하면, 치차(210)에 감겨진 당김부재(250)가 풀어지면서 연결부재(240)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며, 이때, 치차(210)가 감겨진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렇게 치차(21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이에 맞물린 치차'(262)와 같이 회전부재(260)도 감겨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회전부재(260)가 회전하면, 스토퍼(264)가 제1회전구(271)의 제1걸림편(271a)에 밀착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1바퀴 즉, 360° 회전하고, 다시 회전하면, 제1걸림편(271a)에 제2회전구(272)의 제2걸림편(272a)에 밀착되어 1바퀴 더, 즉 720° 회전하면서 몸체(110)의 고정턱(111b)에 걸려 더 이상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휴대용 비데를 사용하여 세정할 때, 세정동작을 멈추고자 할 경우는, 작동버튼(310)의 가압력을 해제한다. 이때, 작동버튼(310)은 스프링(311)의 탄성에 의해 슬라이드홈(113)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멈춤돌기(312)가 회전부재(260)의 멈춤홈(263)에 안착되어 회전부재(260)를 회전시키지 않음으로 동작을 정지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면서 국부세정 및 항문세정을 할 수 있으며, 세정수가 없을 경우는, 결합부재(120)의 개폐구(124)를 개폐공(123)에서 이탈시킨 후, 세정수를 개폐공(123)으로 투입하여 수용공간(111)에 저장하고, 개폐구(124)를 개폐공(123)에 고정시켜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휴대용 비데의 사용이 완료되면, 분사노즐(330)을 안내봉(320)의 내부로 이동시킨 후, 가방이나 백에 넣어 휴대하면서 사용하면 된다.
또한, 하우징(100)의 외측에 연결끈(W)을 부착하고, 사용자의 손으로 상기연결끈(W)을 잡고 이동하면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휴대용 비데는, 내부 부품의 간소화로 부피가 작고 가벼우며, 세정수를 수동으로 분사시키므로 소음이 없을 뿐만 아니라,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세정수의 수압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방수부재를 가압하여 이동시켜 일정하게 유지하므로 사용이 용이하며, 유지비가 들지 않고, 수동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가격이 저렴하여 경제적인 부담을 감소시키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7)

  1. 휴대용 비데에 있어서,
    내부에 세정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11)이 구비된 하우징(100)과;
    상기 수용공간(111)에 세정수를 저장시키도록 내면에 밀착된 방수부재(230)를 단계적으로 이동시키는 압착부(200)와;
    상기 압착부(200)의 작동에 의해 수용공간(111)에 저장된 세정수를 분사노즐(330)의 내부로 이동하여 외부로 분사시키는 작동부(30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내부가 관통되며, 상부에 세정수를 저장할 수 있는 수용공간(111)이 형성되고, 이 수용공간(111)의 하부에 나사공이 형성된 결합돌기(111a)가 형성되며, 저면에 고정턱(111b)이 형성되고, 상면에 고정편(112)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하부 외측에 상기 작동부(300)가 안착되도록 돌기(114)가 돌출된 슬라이드홈(113)이 형성되고, 내부 중앙에 "U"자형의 제1안착홈(115)이 형성되며, 이 제1안착홈(115)의 양측으로 회전홈(117)이 구비된 고정편(116)이 형성되고, 이 고정편(116)의 둘레에 스프링설치홈(118)이 형성되며, 이 스프링설치홈(118)의 외측으로 제2안착홈(119)이 형성된 몸체(11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10)의 고정편(112)을 수용하도록 내측으로 고정홈(121)이 형성되며, 일측에 관통된 수용공(122)이 형성되고, 이 수용공(122)의 타측에 개폐공(123)이 형성되고, 이 개폐공(12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구(124)가 형성된 결합부재(1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200)는,
    상기 몸체(110)의 제1안착홈(115)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됨과 동시에 양단이 고정편(116)의 회전홈(117)에 안착되며, 내부에 제1설치공(211)이 형성된 치차(21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10)의 스프링설치홈(118)에 안착되는 스프링(220)이 구비되며, 상기 몸체(110)의 내면에 단부가 밀착되어 수용공간(111)으로 이동하고, 내측에 상기 결합부재(120)의 수용공(122)과 동일선상으로 관통된 관통공(231)이 형성되며, 저면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결편(232)이 형성되고, 이 연결편(232)에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끼움공(233)이 형성되며, 상면에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체크밸브(234)가 장착된 방수부재(230)가 구비되며, 상기 방수부재(230)의 관통공(231)과 동일선상으로 관통되는 관통공(241)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공(241)에 끼워지는 끼움돌기(242)가 외주면에 형성되며, 저면에 상기 치차(210)의 제1설치공(211)과 수직선상으로 제2설치공(243)이 형성된 연결부재(240)가 구비되고, 상기 치차(210)의 제1설치공(211)과 연결부재(240)의 제2설치공(243)을 연결하는 당김부재(250)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110)의 저면에밀착되어 치차(210)와 맞물리도록 치차'(262)가 형성되고, 내주면 상부에 일 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도록 멈춤홈(263)이 형성되며, 내주면 하부에 스토퍼(264)가 형성된 회전부재(260)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재(260)의 스토퍼(264)에 걸려 회전부재(260)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제어부재(270)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 회전부재(260)가 고정되도록 와셔(281)를 부착하여 고정시키는 스크류(280)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부재(260)를 수용하여 보호하는 보호캡(29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300)는,
    상기 슬라이드홈(113)의 돌기(114)에 스프링(311)을 안착시키고, 이 스프링(311)을 가압하면서 슬라이드홈(113)을 따라 이동하며, 단부가 상기 회전부재(260)의 멈춤홈(263)에 안착되도록 멈춤돌기(312)가 형성된 작동버튼(310)이 구비되고, 이 작동버튼(310)의 작동에 의해 수용공간(111)에 저장된 세정수를 외부로 분출하도록 유도하는 안내공(321)이 형성되며, 단부에 고무링(322)이 안착되는 안내봉(320)이 상기 결합부재(120)의 수용공(122)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안내봉(320)의 내부에 장착되어 수용공(122)을 따라 슬라이드 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세정수를 외부로 분출하는 분사노즐(33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234)는,
    상기 방수부재(230)의 내부에 위치한 공기를 수용공간(111)의 내부로 이동시키기 위해 일 방향으로 배출시키도록 상부가 절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어부재(270)는,
    상기 치차'(262)의 외측으로 결합되도록 내부가 관통되고, 상기 스토퍼(264)에 걸리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제1걸림편(271a)이 높게 형성되는 제1회전구(271)가 형성되며, 상기 치차'(262)의 외측으로 결합되도록 내부가 관통되고, 상기 제1회전구(271)의 제1걸림편(271a)에 걸리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제2걸림편(272a)이 형성되는 제2회전구(27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260)는,
    상기 회전제어부재(270)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최대 720° 까지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데.
KR1020020018928A 2002-04-08 2002-04-08 휴대용 비데 KR2002005784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8928A KR20020057844A (ko) 2002-04-08 2002-04-08 휴대용 비데
PCT/KR2002/001451 WO2003086160A1 (en) 2002-04-08 2002-07-31 Portable bidet and nozzle thereof
AU2002324004A AU2002324004A1 (en) 2002-04-08 2002-07-31 Portable bidet and nozzl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8928A KR20020057844A (ko) 2002-04-08 2002-04-08 휴대용 비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0442U Division KR200284721Y1 (ko) 2002-04-08 2002-04-08 휴대용 비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7844A true KR20020057844A (ko) 2002-07-12

Family

ID=27725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8928A KR20020057844A (ko) 2002-04-08 2002-04-08 휴대용 비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7844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8741A (ja) * 1997-03-10 1998-09-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用洗浄器
KR19980073142A (ko) * 1997-03-06 1998-11-05 이창환 휴대용 비데
JP2000060761A (ja) * 1998-08-18 2000-02-29 Koei Kogyo Kk 携帯用局部洗浄器
KR200184949Y1 (ko) * 2000-01-18 2000-06-01 최광순 휴대용 비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3142A (ko) * 1997-03-06 1998-11-05 이창환 휴대용 비데
JPH10248741A (ja) * 1997-03-10 1998-09-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用洗浄器
JP2000060761A (ja) * 1998-08-18 2000-02-29 Koei Kogyo Kk 携帯用局部洗浄器
KR200184949Y1 (ko) * 2000-01-18 2000-06-01 최광순 휴대용 비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4181B2 (en) Bidet having enema function
CA2060378A1 (en) Oral hygiene device
US20110203044A1 (en) Spray nozzle structure for a bidet having an enema function
KR100654369B1 (ko) 관장기능이 부가된 비데용 분사노즐 구조
JP3165079B2 (ja) シャワー装置
US20090140075A1 (en) Device for removably coupling disposable nozzle tip for bidet
US20080263820A1 (en) Self-Cleaning Handle
KR200284721Y1 (ko) 휴대용 비데
KR20020057844A (ko) 휴대용 비데
WO2004109021A1 (en) A washstand for multi purpose
KR200363500Y1 (ko) 관장기능이 부가된 비데용 분사노즐 구조
US20230125224A1 (en) Descaling device, system, and descaling method of electronic toilet and liquid supply device, system, and cleaning method of electronic toilet
KR200284736Y1 (ko) 휴대용 비데의 노즐구조
KR100583884B1 (ko) 다용도 세면대
CN218233681U (zh) 一种具备便后冲洗功能的真空马桶
CN220414428U (zh) 带小便器的马桶
KR20000018042U (ko) 휴대용 비데
JPH0445597Y2 (ko)
JPH0243266Y2 (ko)
WO2003086160A1 (en) Portable bidet and nozzle thereof
KR20190069707A (ko) 비데 노즐 세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장치
KR200211463Y1 (ko) 비데
KR100475698B1 (ko) 비데용 노즐
KR200308733Y1 (ko) 비데 시트의 세정수 분사장치
JP3488355B2 (ja) 携帯用洗浄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