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7305A - Cellular phone capable of communicating by bluetooth protocol - Google Patents

Cellular phone capable of communicating by bluetooth protoc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7305A
KR20020057305A KR1020010000272A KR20010000272A KR20020057305A KR 20020057305 A KR20020057305 A KR 20020057305A KR 1020010000272 A KR1020010000272 A KR 1020010000272A KR 20010000272 A KR20010000272 A KR 20010000272A KR 20020057305 A KR20020057305 A KR 20020057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sm
bluetooth
codec
bluetooth module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02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421929B1 (en
Inventor
김유택
Original Assignee
김유택
주식회사 블루윈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택, 주식회사 블루윈크 filed Critical 김유택
Priority to KR10-2001-0000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1929B1/en
Publication of KR20020057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73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1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1929B1/en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mobile station enabling Bluetooth communication is provided to enable a bluetooth communication service and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by embedding a Bluetooth chip and designing PCM data inputted through a Bluetooth local network and a wide area network, and share the equal codec. CONSTITUTION: A Bluetooth module(100) performs wireless local communication with Bluetooth peripherals. If a user selects a mode of a mobile station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mode, a hands-free mode, and a PSTN mode, an MSM(Mobile Station Modem)(200) outputs a path set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ode. The MSM(200) processes modulation and demodulation of voice, character, and image data, and performs vocoder function as well as various control functions. If receiving PCM voice data from the Bluetooth module(100) or the MSM(200), a codec(300) converts the received PCM voice data to analog signals. If receiving analog voice data, the codec(300) converts the analog voice data to digital signals for outputting to the Bluetooth module(100) or the MSM(200). If receiving the path set control signal from the MSM(200), a path set part(400) switches connections between the Bluetooth module(100) and the codec(300), the Bluetooth module(100) and the MSM(200), or the MSM(200) and the codec(300) to be correspondent to the control signal.

Description

블루투쓰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CELLULAR PHONE CAPABLE OF COMMUNICATING BY BLUETOOTH PROTOCOL}CELLULAR PHONE CAPABLE OF COMMUNICATING BY BLUETOOTH PROTOCOL}

본 발명은 블루투쓰(BlueTooth)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블루투쓰 칩을 내장시킴과 동시에 근거리 블루투쓰 망을 거쳐 들어오는 PCM(Pulse Code Modulation; 이하 "PCM"이라 칭함.) 데이터와 원거리 망을 거쳐 들어오는 PCM 데이터가 모두 동일한 코덱(Codec)을 공유토록 설계함으로써, 블루투쓰 통신 서비스와 이동통신 서비스를 모두 제공해주는 블루투쓰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capable of Bluetooth communication, and more particularly, a PCM (Pulse Code Modul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PCM") coming in through a short-range Bluetooth network while simultaneously embedding a Bluetooth chip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uetooth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both a Bluetooth communication service and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by designing the data and the PCM data coming through a remote network to share the same codec.

주지하다시피, 블루투쓰란 근거리에 놓여 있는 컴퓨터와 주변기기, 이동 단말기와 컴퓨터, 가전제품 등을 상호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복잡한 전선 없이도 양방향 실시간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무선 근거리 통신을 의미한다. 최근들어 블루투쓰는 컴퓨터나 가전제품 뿐만 아니라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으로 대표되는 3세대 디지털 이동통신의 중요한 한 구성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 이는 가정 또는 사무실내에서 기기간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경우 원거리의 기지국을 거치지 않고 기기간 직접 무선으로 통신하므로 기지국에 통신 부하를 걸지 않고, 대기 시간 없는 무료 고속 데이터 전송을 가능케하여 휴대 단말기의 이용 효율을 높이기 위한 서비스이다.As is well known, Bluetooth refers to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that enables two-way real-time communication without connecting complicated wires by connecting computers and peripheral devices, mobile terminals, computers, and home appliances that are located in a short distance. In recent years, Bluetooth has emerged as an important component of not only computers and home appliances but also third generation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represented by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IMT-2000). When data transmission between devices is required in a home or offic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is performed directly through devices without passing through a remote base station. Thus, high-speed data transmission without waiting time is possible without placing a communication load on a base station. It is a service.

이로인해, 일반 소비자는 가정내에서 일일이 통신 선로를 연결하고 유지해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되므로, 컴퓨터와 같은 정보기기와 전화 등의 통신기기간의 융합을 촉진시키게 된다. 이에 98년부터 유럽 및 미국에서는 범용의 단거리 고속 무선 데이터 인터페이스 표준을 제정하고 사용화를 추진해 왔으며, 그 결과로 에릭슨(Ericsson), IBM(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 Corporation), 인텔(Intel), 도시바(Toshiba)가 블루투쓰, 단말기(MS : Mobile Station), Symbionics 등이 주장하는 홈RF(HomeRF) 등으로 대표되는 표준안 및 지원 시스템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여러 표준안 중에서 블루투쓰가 범용성이 높으면서 가장 저가격에 구현 가능하여 단기간에 모든 정보기기에 부착될 가능성이 높다. 블루투쓰의 사용자 측면에서 본 대표적인 사용자 모델로는 3-in-1 폰이 있으며, 이는 사무실에서는 내선전화, 옥내에서는 무선전화 및 근거리 무전기, 옥외에서는 휴대전화가 되는 단말기이다.This eliminate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connect and maintain communication lines in the home, thereby facilitating the convergence between information devices such as computers and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telephones. Since 1998, European and American countries have established and promoted universal short-range high-speed wireless data interface standards. As a result, Ericsson,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 Corporation, Intel, Toshiba Standards and support systems such as Bluetooth, Mobile Station (MS), and HomeRF, which Symbionics claims, have emerged. Among other standards, Bluetooth is highly versatile and can be implemented at the lowest cost, so it is likely to be attached to all information devices in a short time. The typical user model seen from the Bluetooth user side is the 3-in-1 phone, which is an extension phone in the office, a cordless phone and a short-range walkie-talkie indoors, and a mobile phone outdoors.

한편, 블루투쓰는 가정 및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모든 정보기기에 장착되는 것을 목표로 무선망을 구성하여 어떠한 유/무선망과도 연동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블루투쓰를 비롯한 초단거리 무선 네트워크가 완성되면 모든 정보기기(특히, 노트북, 휴대단말기)간의 자유로운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인터넷 브리지를 구성하면 현재 광케이블이나 ADSL(Asynchronous Digital Subscriber Line), 모뎀(Modem) 등을 통해 데스크탑 컴퓨터에 도달해 있는 인터넷 정보가 비로소 사용자의 손 안에까지 도달할 수 있게 된다. 즉, 무선 통신의 궁극적인 목표인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어떤 형태의 정보도 교환한다는 목표에 대한 완성으로까지 볼 수 있다. 이것을 위한 저가의 무선 접속 시스템 및 부품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블루투쓰 칩이 장착된 3-in-1 폰에 관한 구현 기술이다.On the other hand, Bluetooth is designed to be installed in all the information equipment used in homes and offices to configure a wireless network to be able to interwork with any wired / wireless network. Therefore, when the ultra short-range wireless network including Bluetooth is completed, all data devices (especially laptops and portable terminals) are freely exchanged data, and when the Internet bridge is formed, an optical cable, an asynchronous digital subscriber line (ADSL), a modem ( Modem, etc., until the Internet information reaching the desktop computer can reach the user's hand.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as the completion of the goal of exchanging any type of information anytime, anywhere, anyone, the ultimate goal of wireless communication. The development of low cost wireless access system and components for this is in progres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plementation technology related to a 3-in-1 phone equipped with a Bluetooth chip.

하지만, 종래 이동통신, 즉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IMT-2000 단말기는 블루투쓰 칩 또는 모듈이 장착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CDMA, PCS, IMT-2000 등과 같은 이동통신 서비스는 가능하지만, 옥내에서의 무선 핸즈프리, 무선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통신, 근거리 무전 기능 등과 같은 무선 근거리망(블루투쓰 망) 서비스가 불가능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더 질높은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hat i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CS), and IMT-2000 terminal is not equipped with a Bluetooth chip or modul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such as CDMA, PCS, IMT-2000, etc. Is possible, but wireless local area network (Bluetooth network) services such as wireless hands-free, wireless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communication, and near field radio function are not available indoors. .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원거리 망(CDMA, PCS)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무선 근거리 망(블루투쓰 망) 인터페이스를 장착하여 근거리망 서비스 지역에서는 값싼 근거리망을 이용한 통화가 가능하도록 해줄 뿐만 아니라, 그 외 지역에서는 원거리 통신망을 통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해주기 위한 블루투쓰 통신이가능한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Bluetooth network) interface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a wireless long range network (CDMA, PCS) service In a local area network service area, not only to enable cheap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but also to provide a terminal capable of Bluetooth communication to allow communication through a telecommunication network in other area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블루투쓰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는, 블루투쓰 칩이 내장되어 무선 원거리 및 근거리 통신을 모두 지원하는 블루투쓰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Bluetooth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luetooth chip in a terminal capable of Bluetooth communication supporting both wireless long-range and short-range communication.

블루투쓰 주변 장비들과의 무선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쓰 모듈;A Bluetooth module for performing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Bluetooth peripheral devices;

사용자가 이동통신 모드, 핸즈프리 모드, 및 PSTN 모드중 어느 한개의 모드를 선택하면 이에 상응한 경로설정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한편, 사용자가 설정한 모드에 따라 음성, 문자, 영상 데이터의 변복조 처리 및 보코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각종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MSM;When the user selects any 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ode, the hands-free mode, and the PSTN mode, a corresponding routing control signal is output, and the modulation, demodulation processing, and vocoder of voice, text, and video data a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user-set mode. MSM that performs various functions while performing a function;

상기 블루투쓰 모듈 또는 상기 MSM으로부터 PCM 음성 데이터를 수신받으면 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한편,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를 수신받으면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 후 상기 블루투쓰 모듈 또는 상기 MSM으로 출력하는 코덱; 및A codec for converting the PCM voice data from the Bluetooth module or the MSM into an analog signal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analog signal, and converting the analog voice data into a digital signal and outputting the analog signal to the Bluetooth module or the MSM; And

상기 MSM으로부터 경로설정 제어신호를 수신받으면 그 제어신호에 상응하도록 상기 블루투쓰 모듈과 상기 코덱간, 상기 블루투쓰 모듈과 상기 MSM간, 또는 상기 MSM과 상기 코덱간의 접속을 스위칭시키는 경로 설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Receiving a routing control signal from the MSM comprises a routing setting unit for switch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Bluetooth module and the codec, between the Bluetooth module and the MSM, or between the MSM and the codec to correspond to the control signal. It featur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쓰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capable of Bluetooth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따른 블루투쓰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에서 경로 설정부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ath setting unit in a terminal capable of Bluetooth communication according to FIG. 1;

도 3은 도 1에 따른 블루투쓰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에서 경로 설정부의 또다른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3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of a route setting unit in a terminal capable of Bluetooth communication according to FIG. 1;

도 4는 도 3에 따른 경로 설정부가 PSTN 모드로 스위칭된 모습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4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ath setting unit according to FIG. 3 is switched to a PSTN mode;

도 5는 도 1에 따른 블루투쓰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의 동작 환경을 나타낸 참조도이다.5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ng environment of a terminal capable of Bluetooth communication according to FIG. 1.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블루투쓰 모듈 200 : MSM100: Bluetooth module 200: MSM

300 : 코덱 400 : 경로 설정부300: codec 400: path setting unit

410 : 다중 먹스 420 : PLD410: multiple mux 420: PLD

431 : 2 포트 먹스 432 : 제 1 버퍼431: 2 port mux 432: first buffer

433 : 제 2 버퍼433: second buffer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루투쓰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terminal capable of Bluetooth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루투쓰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의 기능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루투쓰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는 블루투쓰 모듈(100), MSM(Mobile Station Modem)(200), 코덱(300), 및 경로 설정부(400)로 구성되어 있다.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Bluetooth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uetooth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luetooth module 100, MSM (Mobile Station Modem) (200) ), A codec 300, and a path setting unit 400.

상기 블루투쓰 모듈(100)은 단말기내에 장착되어 블루투쓰 망 및 링크를 관리하는 모듈로써, 블루투쓰 통신시 상기 MSM(200)으로부터 주변장치 서칭 명령을 수신받으면 현재 자신의 주위에 존재하는 옥내 블루투쓰 주변 장비, 즉 PSTN 망과 접속된 액세스 포인트, 무선 핸즈프리(Handsfree), 및 노트북(Notebook) 등과 같은 장비들을 찾은 후 그 리스트를 상기 MSM(200)으로 보고하고, 이후 그 주변 장비들과의 음성, 문자, 영상 데이터의 무선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The Bluetooth module 100 is a module installed in the terminal and manages a Bluetooth network and a link. When receiving a peripheral device search command from the MSM 200 during Bluetooth communication, indoor Bluetooth peripheral devices currently present in its surroundings, that is, After finding devices such as access points, wireless handsfree, and notebooks connected to the PSTN network, the list is reported to the MSM 200, and voice, text, and video data with the peripheral devices are then reported. Serves to perform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또한, 상기 MSM(200)은 음성, 문자, 영상 데이터의 변복조 처리 및 보코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단말기내 각종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모뎀으로써, 사용자가 이동통신 모드, 핸즈프리 모드, 및 PSTN 모드중 어느 한개의 모드를 선택하면 이에 상응한 경로설정 제어신호를 상기 경로 설정부(400)로 출력하고, 이후 사용자가 설정한 모드에 따라 음성 데이터를 수신받으면 이를 PCM 데이터로 변환시켜 상기 코덱(300)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MSM 200 is a modem that performs various demodulation processing and vocoder functions of voice, text, and video data, and performs various control functions in a terminal. The MSM 200 includes one of a mobile communication mode, a handsfree mode, and a PSTN mode. If the mode is selected, the corresponding path setting control signal is output to the path setting unit 400, and after receiving the voice data according to the mode set by the user, it is converted into PCM data and transmitted to the codec 300. It plays a role.

한편, 상기 코덱(300)은 상기 블루투쓰 모듈(100) 또는 상기 MSM(100)으로부터 PCM 음성 데이터를 수신받으면 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스피커(Speaker)(1)로 출력하는 한편, 마이크(Mike)(2)로부터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를 수신받으면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 후 상기 블루투쓰 모듈(100) 또는 MSM(200)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Meanwhile, when the codec 300 receives the PCM voice data from the Bluetooth module 100 or the MSM 100, the codec 300 converts the PCM voice data into an analog signal and outputs the same to the speaker 1, while the microphone ( When receiving the analog voice data from 2) converts it to a digital signal and then outputs to the Bluetooth module 100 or the MSM (200).

또한, 상기 경로 설정부(400)는 상기 MSM(200)으로부터 경로설정 제어신호를 수신받으면 그 제어신호에 상응하도록 상기 블루투쓰 모듈(100)과 상기 코덱(300)간, 상기 블루투쓰 모듈(100)과 상기 MSM(200)간, 또는 상기 MSM(200)과 상기 코덱(300)간의 접속을 스위칭시키는 역할을 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먹스(410) 또는 PLD(Program Logic Device)(420)로 구현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the path setting unit 400 receives the path setting control signal from the MSM 200, the path setting unit 400 is between the Bluetooth module 100 and the codec 300 and the Bluetooth module 100 to correspond to the control signal. It serves to switch the connection between the MSM 200, or between the MSM 200 and the codec 300, as shown in Figure 2 multiple mux 410 or PLD (Program Logic Device) 420 Can be implemented.

이 때, 상기 경로 설정부(400)내에 장착된 다중 먹스(MUX)(410) 또는 PLD(420)는 상기 MSM(200)의 2포트 제어 라인으로부터 '00'인 경로설정 제어신호를 수신받으면 모든 패스를 차단시키고, 상기 MSM(200)의 2포트 제어 라인으로부터 '01'인 경로설정 제어신호를 수신받으면 상기 블루투쓰 모듈(100)과 상기 MSM(200)을 접속시키며, 상기 MSM(200)의 2포트 제어 라인으로부터 '10'인 경로설정 제어신호를 수신받으면 상기 MSM(200)과 상기 코덱(300)을 접속시키고, 상기 MSM(200)의 2포트 제어 라인으로부터 '11'인 경로설정 제어신호를 수신받으면 상기 블루투쓰 모듈(100)과 상기 코덱(300)을 접속시키는 역할을 한다.At this time, the MUX 410 or the PLD 420 mounted in the routing unit 400 receives all of the routing control signals '00' from the 2-port control line of the MSM 200. When the path is blocked and the routing control signal '01' is received from the 2-port control line of the MSM 200, the Bluetooth module 100 and the MSM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Upon receiving a routing control signal of '10' from a port control line, the MSM 200 and the codec 300 are connected, and a routing control signal of '11' is received from a two-port control line of the MSM 200. When received, it serves to connect the Bluetooth module 100 and the codec 300.

한편, 상기 경로 설정부(400)의 또다른 구현 방안으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포트 먹스(431), 제 1 버퍼(432), 및 제 2 버퍼(433)로 구현할 수 있다.Meanwhile, as another implementation plan of the route setting unit 400, as illustrated in FIG. 3, the path setting unit 400 may be implemented using a two-port mux 431, a first buffer 432, and a second buffer 433.

이 때, 상기 경로 설정부(400)내에 장착된 2 포트 먹스(431)는 상기 MSM(200) 및 상기 코덱(300)의 데이터 입/출력단(Din, Dout)과 상기 블루투쓰(100)의 데이터 입/출력단(Din, Dout)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MSM(200)의 2포트 제어라인으로부터 '00'인 노우 패스(NO PASS) 경로설정 제어신호를 수신받으면 모든 패스를 차단시키고, 상기 MSM(200)의 2포트 제어라인으로부터 '01'인 핸즈프리 경로설정 제어신호를 수신받으면 상기 블루투쓰 모듈(100)의 데이터 입력단(Din)과 상기 MSM(200)의 데이터 출력단(Dout)을 접속시킴과 동시에 상기 블루투쓰 모듈(100)의 데이터 출력단(Dout)과 상기 MSM(200)의 데이터 입력단(Din)을 접속시키는 한편, 상기 MSM(200)의 2포트 제어라인으로부터 '10'인 PSTN 경로설정 제어신호를 수신받으면 상기 블루투쓰 모듈(100)의 데이터 입력단(Din)과 상기 코덱(300)의 데이터 출력단(Dout)을 접속시킴과 동시에 상기 블루투쓰 모듈(100)의 데이터 출력단(Dout)과 상기 코덱(300)의 데이터 입력단(Din)을 접속시키는 역할을 한다.At this time, the 2-port MUX 431 mounted in the path setting unit 400 may input / output data (Din, Dout) and data input of the Bluetooth 100 of the MSM 200 and the codec 300. Is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s Din and Dout, and blocks all paths when a NO PASS routing control signal of '00' is received from the two-port control line of the MSM 200, and the MSM 200 is blocked. When a hands-free routing control signal of '01' is received from the 2-port control line of the control panel, the data input terminal (Din) of the Bluetooth module 100 and the data output terminal (Dout) of the MSM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 data output terminal Dout of the module 100 and the data input terminal Din of the MSM 200 are connected, and a PSTN routing control signal of '10' is received from the 2-port control line of the MSM 200, Data input terminal Din of the Bluetooth module 100 and data of the codec 300 And simultaneously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Dout) serves to connect the data input terminal (Din) of the data output (Dout) and the codec (300) of the Bluetooth module 100.

또한, 상기 경로 설정부(400)내에 장착된 제 1 버퍼(432)는 상기 MSM(200)의 데이터 입력단(Din)과 상기 코덱(300)의 데이터 출력단(Dout)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MSM(200)과 상기 코덱(300)간의 안정화를 이룩하기 위한 버퍼로써, 상기 MSM(200)으로부터 인에이블 제어신호를 수신받으면 상기 MSM(200)의 데이터 입력단(Din)과 상기 코덱(300)의 데이터 출력단(Dout)을 접속시키는 한편, 상기 MSM(200)으로부터 디스에이블 제어신호를 수신받으면 상기 MSM(200)의 데이터 입력단(Din)과 상기 코덱(300)의 데이터 출력단(Dout)을 차단시키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first buffer 432 mounted in the path setting unit 400 may be mounted between the data input terminal Din of the MSM 200 and the data output terminal Dout of the codec 300 to provide the MSM 200. ) Is a buffer for achieving stabilization between the codec 300 and the data input terminal Din of the MSM 200 and the data output terminal of the codec 300 when receiving the enable control signal from the MSM 200. Dout) is connected, and upon receiving the disable control signal from the MSM 200, it blocks the data input terminal Din of the MSM 200 and the data output terminal Dout of the codec 300.

한편, 상기 경로 설정부(400)내에 장착된 제 2 버퍼(433)는 상기 블루투쓰 모듈(100)의 데이터 출력단(Dout)과 상기 2 포트 먹스(431)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블루투쓰 모듈(100)과 상기 2 포트 먹스(431)간의 안정화를 이룩하기 위한 버퍼로써, 상기 MSM(200)으로부터 인에이블 제어신호를 수신받으면 상기 블루투쓰 모듈(100)의 데이터 출력단(Dout)과 상기 2 포트 먹스(431)를 접속시키는 한편, 상기 MSM(200)으로부터 디스에이블 제어신호를 수신받으면 상기 블루투쓰 모듈(100)의 데이터 출력단(Dout)과 상기 2 포트 먹스(431)를 차단시키는 역할을 한다.Meanwhile, a second buffer 433 mounted in the path setting unit 400 is mounted between the data output terminal Dout of the Bluetooth module 100 and the two port mux 431 to provide the Bluetooth module 100 with the Bluetooth module 100. As a buffer for stabilization between the two-port mux 431, upon receiving an enable control signal from the MSM 200, the data output terminal (Dout) and the two-port mux 431 of the Bluetooth module 100 are connected. On the other hand, upon receiving the disable control signal from the MSM 200, the data output terminal Dout of the Bluetooth module 100 and the two port mux 431 are blocked.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루투쓰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의 동작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며, 이 때 하기에서는 블루투쓰 통신의 데이터 송/수신 과정과 이동통신(CDMA, PCS, IMT-2000)의 데이터 송/수신 과정에 대해서는 프로토콜 규격상에 이미 공지되어 있음으로 생략하기로 하고, 본 발명의 목적에 충실하여 PSTN 통신, 무선 핸즈프리 통신, 이동통신의 절체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Next, an operation process of a terminal capable of Bluetooth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this case,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process of the Bluetooth communicatio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CDMA, PCS) will be described.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process of IMT-2000 is already known in the protocol specification and will be omitted, and the transfer process of PSTN communication, wireless hands-free communic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will be described in full wit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hall be.

먼저, 하기에서는 도 2의 경로 설정부(400)가 장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루투쓰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의 동작 과정에 대해 도 1, 도 2,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First, an operation process of a terminal capable of Bluetooth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path setting unit 400 of FIG. 2 is mount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2, and 5.

최초로, 단말기 사용자는 현재 자신의 위치에 따라 도시치 않은 키 입력부를 통해 각종 모드를 선택한다.Initially, the terminal user selects various modes via a key input not shown according to his current position.

이 때, 사용자가 도 5와 같이 옥외에 위치함에 따라 단말기를 이동통신 모드로 선택하면, 상기 MSM(200)은 2포트 제어 라인을 통해 '10'인 경로설정 제어신호를 상기 경로 설정부(400)내 다중 먹스(410) 또는 PLD(420)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다중 먹스(410) 또는 PLD(420)는 상기 MSM(200)으로부터 '10'인 경로설정 제어신호를 수신받은 후 도 2의 패스 2와 같이 상기 MSM(200)과 상기 코덱(300)을 접속시켜 원거리 이동통신을 진행시킨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selects the terminal in the mobile communication mode as it is located outdoors as shown in FIG. 5, the MSM 200 transmits a routing control signal of '10' through the two-port control line to the route setting unit 400. Output to multiple mux 410 or PLD 420. Then, the MUX 410 or the PLD 420 receives a routing control signal of '10' from the MSM 200 and then the MSM 200 and the codec 300 as shown in path 2 of FIG. 2. Connect the remote mobile communication.

한편, 사용자가 도 5와 같이 옥내에 위치함에 따라 단말기를 PSTN 모드로 선택하면, 상기 MSM(200)은 2포트 제어 라인을 통해 '11'인 경로설정 제어신호를 상기 경로 설정부(400)내 다중 먹스(410) 또는 PLD(420)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다중 먹스(410) 또는 PLD(420)는 상기 MSM(200)으로부터 '11'인 경로설정 제어신호를 수신받은 후 도 2의 패스 3과 같이 상기 블루투쓰 모듈(100)과 상기 코덱(300)을 접속시켜 PSTN 통신을 진행시킨다.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selects the terminal in the PSTN mode as the indoor location as shown in Figure 5, the MSM 200 is a routing control signal of '11' through the two-port control line in the route setting unit 400 Output to multiple mux 410 or PLD (420). Then, the multi-mux 410 or the PLD 420 receives a routing control signal of '11' from the MSM 200 and then the Bluetooth module 100 and the codec 300 as shown in path 3 of FIG. ) To proceed with PSTN communication.

또한, 사용자가 도 5와 같이 차내에 위치함에 따라 단말기를 핸즈프리 모드로 선택하면, 상기 MSM(200)은 2포트 제어 라인을 통해 '01'인 경로설정 제어신호를 상기 경로 설정부(400)내 다중 먹스(410) 또는 PLD(420)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다중 먹스(410) 또는 PLD(420)는 상기 MSM(200)으로부터 '01'인 경로설정 제어신호를 수신받은 후 도 2의 패스 1과 같이 상기 블루투쓰 모듈(100)과 상기 MSM(200)을 접속시켜 무선 핸즈프리 통신을 진행시킨다.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the terminal in the hands free mode as shown in FIG. 5, the MSM 200 transmits a routing control signal of '01' through the two port control line in the route setting unit 400. Output to multiple mux 410 or PLD (420). Then, the MUX 410 or the PLD 420 receives the routing control signal '01' from the MSM 200 and then the Bluetooth module 100 and the MSM 200 as shown in path 1 of FIG. 2. ) To proceed with wireless hands-free communication.

그리고, 사용자가 노우 패스(NO PASS)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MSM(200)은 2포트 제어 라인을 통해 '00'인 경로설정 제어신호를 상기 경로 설정부(400)내 다중 먹스(410) 또는 PLD(420)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다중 먹스(410) 또는 PLD(420)는 상기 MSM(200)으로부터 '00'인 경로설정 제어신호를 수신받은 후 모든 패스를 차단시켜 모든 통신이 진행되지 못하도록 차단시킨다.When the user selects the NO PASS mode, the MSM 200 transmits a routing control signal of '00' through the 2-port control line to the multiple mux 410 or the path setting unit 400. Output to the PLD 420. Then, the multi mux 410 or the PLD 420 blocks all passes after receiving the routing control signal '00' from the MSM 200 to block all communication.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수동동작에 의해 각 모드가 변경되는 방안외에, 상기 MSM(200) 자체적으로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한 후 각 모드에 따른 경로설정 제어신호를 자동으로 변경시키는 방안 역시 알고리즘의 설계로 구현 가능하다.At this time,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changing each mode by the user's manual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to automatically change the routing control signal according to each mode after identifying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itself by the MSM (200) It can be implemented by design.

한편, 하기에서는 도 3의 경로 설정부(400)가 장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루투쓰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의 동작 과정에 대해 도 1, 도 3, 도 4,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Meanwhile, 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of a terminal capable of Bluetooth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quipped with the path setting unit 400 of FIG. 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3, 4, and 5. Shall be.

최초로, 단말기 사용자는 현재 자신의 위치에 따라 도시치 않은 키 입력부를 통해 각종 모드를 선택한다.Initially, the terminal user selects various modes via a key input not shown according to his current position.

이 때, 사용자가 도 5와 같이 옥외에 위치함에 따라 단말기를 이동통신 모드로 선택하면, 상기 MSM(200)은 2포트 제어 라인을 통해 '00'인 경로설정 제어신호를 상기 경로 설정부(400)내 2 포트 먹스(431)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2 포트 먹스(431)는 상기 MSM(200)으로부터 '00'인 경로설정 제어신호를 수신받은 후 패스를 차단시킨다. 따라서, 상기 MSM(200)은 상기 코덱(30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이동통신 망으로부터 수신받은 음성, 문자, 영상 데이터의 원거리 이동통신을 진행시킨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selects the terminal in the mobile communication mode as it is located outdoors as shown in FIG. 5, the MSM 200 sends a routing control signal of '00' through the two-port control line to the route setting unit 400. ) Is output to the 2-port mux 431. Then, the two-port mux 431 blocks the path after receiving the routing control signal '00' from the MSM 200. Therefore, the MSM 200 proceeds the long-distance mobile communication of voice, text, and video data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the codec 300.

한편, 사용자가 도 5와 같이 옥내에 위치함에 따라 단말기를 PSTN 모드로 선택하면, 상기 MSM(200)은 2포트 제어 라인을 통해 '10'인 경로설정 제어신호를 상기 경로 설정부(400)내 2 포트 먹스(431)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2 포트 먹스(431)는 상기 MSM(200)으로부터 '10'인 경로설정 제어신호를 수신받은 후 도 4와 같이 패스를 스위칭시켜 상기 블루투쓰 모듈(100)과 상기 코덱(300)을 접속시킴과 동시에 PSTN 통신을 진행시킨다. 이 때, 상기 MSM(200)과 상기 코덱(300)과의 접속은 상기 MSM(200)의 제어에 의해 모두 차단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selects the terminal in the PSTN mode as the indoor location as shown in Figure 5, the MSM 200 is a routing control signal of '10' through the two-port control line in the route setting unit 400 2 port mux 431 to output. Then, the 2 port mux 431 receives the routing control signal of '10' from the MSM 200 and switches the path as shown in FIG. 4 to connect the Bluetooth module 100 and the codec 300. Simultaneously proceeds with PSTN communication. At this time, the connection between the MSM 200 and the codec 300 is all blocked by the control of the MSM 200.

또한, 사용자가 도 5와 같이 차내에 위치함에 따라 단말기를 핸즈프리 모드로 선택하면, 상기 MSM(200)은 2포트 제어 라인을 통해 '01'인 경로설정 제어신호를 상기 경로 설정부(400)내 2 포트 먹스(431)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2 포트 먹스(431)는 상기 MSM(200)으로부터 '01'인 경로설정 제어신호를 수신받은 후 도 3와 같이 패스를 스위칭시켜 상기 블루투쓰 모듈(100)과 상기 MSM(200)을 접속시킴과 동시에 무선 핸즈프리 통신을 진행시킨다. 이 때, 상기 MSM(200)과 상기 코덱(300)과의 접속은 상기 MSM(200)의 제어에 의해 모두 차단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the terminal in the hands free mode as shown in FIG. 5, the MSM 200 transmits a routing control signal of '01' through the two port control line in the route setting unit 400. 2 port mux 431 to output. Then, the two-port mux 431 receives the routing control signal '01' from the MSM 200 and switches the path as shown in FIG. 3 to connect the Bluetooth module 100 and the MSM 200. Simultaneously, wireless hands-free communication is carried out. At this time, the connection between the MSM 200 and the codec 300 is all blocked by the control of the MSM 200.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수동동작에 의해 각 모드가 변경되는 방안외에, 상기 MSM(200) 자체적으로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한 후 각 모드에 따른 경로설정 제어신호를 자동으로 변경시키는 방안 역시 알고리즘의 설계로 구현 가능하다.At this time,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changing each mode by the user's manual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to automatically change the routing control signal according to each mode after identifying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itself by the MSM (200) It can be implemented by desig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블루투쓰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에 블루투쓰 인터페이스 구현시 블루투쓰 칩을 내장시킴과 동시에 근거리 블루투쓰 망으로부터 들어오는 PCM 데이터와 원거리 망으로부터 들어오는 PCM 데이터가 모두 동일한 코덱을 공유토록 설계함으로써, 제작자에게는 단말기의내/외측에 블루투쓰 인터페이스를 보다 더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편리성을 제공해줌과 동시에, 사용자에게는 근거리망 서비스 지역에서는 값싼 근거리망을 이용한 통화가 가능하도록 해주는 한편 그 외 지역에서는 원거리 통신망을 통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해주어 단말기의 이용 효율을 높여 준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terminal capable of Bluetooth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luetooth interface is implemen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th the Bluetooth codec and the PCM data coming from the local Bluetooth network and the PCM data coming from the remote network have the same codec. Designed to be shared, it provides convenience to producers by making it easier to implement Bluetooth interface o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terminal, while allowing users to make calls using cheap LAN in the LAN service area. In other areas,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via a telecommunication network,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terminal.

Claims (3)

블루투쓰 칩이 내장되어 무선 원거리 및 근거리 통신을 모두 지원하는 블루투쓰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에 있어서,In a terminal capable of Bluetooth communication that is built-in Bluetooth chip to support both wireless long-distance and short-range communication, 블루투쓰 주변 장비들과의 무선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쓰 모듈;A Bluetooth module for performing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Bluetooth peripheral devices; 사용자가 이동통신 모드, 핸즈프리 모드, 및 PSTN 모드중 어느 한개의 모드를 선택하면 이에 상응한 경로설정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한편, 사용자가 설정한 모드에 따라 음성, 문자, 영상 데이터의 변복조 처리 및 보코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각종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MSM;When the user selects any 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ode, the hands-free mode, and the PSTN mode, a corresponding routing control signal is output, and the modulation, demodulation processing, and vocoder of voice, text, and video data a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user-set mode. MSM that performs various functions while performing a function; 상기 블루투쓰 모듈 또는 상기 MSM으로부터 PCM 음성 데이터를 수신받으면 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한편,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를 수신받으면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 후 상기 블루투쓰 모듈 또는 상기 MSM으로 출력하는 코덱; 및A codec for converting the PCM voice data from the Bluetooth module or the MSM into an analog signal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analog signal, and converting the analog voice data into a digital signal and outputting the analog signal to the Bluetooth module or the MSM; And 상기 MSM으로부터 경로설정 제어신호를 수신받으면 그 제어신호에 상응하도록 상기 블루투쓰 모듈과 상기 코덱간, 상기 블루투쓰 모듈과 상기 MSM간, 또는 상기 MSM과 상기 코덱간의 접속을 스위칭시키는 경로 설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쓰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Receiving a routing control signal from the MSM comprises a routing setting unit for switch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Bluetooth module and the codec, between the Bluetooth module and the MSM, or between the MSM and the codec to correspond to the control signal. Characterized by the Bluetooth communication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경로 설정부는, 상기 MSM으로부터 '00'인 경로설정 제어신호를 수신받으면 모든 패스를 차단시키고, 상기 MSM으로부터 '01'인 경로설정 제어신호를 수신받으면 상기 블루투쓰 모듈과 상기 MSM을 접속시키며, 상기 MSM으로부터 '10'인 경로설정 제어신호를 수신받으면 상기 MSM과 상기 코덱을 접속시키고, 상기 MSM으로부터 '11'인 경로설정 제어신호를 수신받으면 상기 블루투쓰 모듈과 상기 코덱을 접속시키는 다중 먹스 또는 PLD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쓰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The path setting unit blocks all paths when receiving a routing control signal of '00' from the MSM, and connects the Bluetooth module and the MSM when the routing control signal of '01' is received from the MSM. Upon receiving a routing control signal of '10' from the MSM, the MSM and the codec are connected. When receiving a routing control signal of '11' from the MSM, the MUX or PLD connects the Bluetooth module and the codec. Bluetooth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경로 설정부는, 상기 MSM으로부터 핸즈프리 경로설정 제어신호를 수신받으면 상기 블루투쓰 모듈의 데이터 입력단과 상기 MSM의 데이터 출력단을 접속시킴과 동시에 상기 블루투쓰 모듈의 데이터 출력단과 상기 MSM의 데이터 입력단을 접속시키는 한편, 상기 MSM으로부터 PSTN 경로설정 제어신호를 수신받으면 상기 블루투쓰 모듈의 데이터 입력단과 상기 코덱의 데이터 출력단을 접속시킴과 동시에 상기 블루투쓰 모듈의 데이터 출력단과 상기 코덱의 데이터 입력단을 접속시키는 2 포트 먹스;When the path setting unit receives a hands-free routing control signal from the MSM, the path setting unit connects the data input terminal of the Bluetooth module and the data output terminal of the MSM and at the same time connects the data output terminal of the Bluetooth module and the data input terminal of the MSM. A two-port mux connecting the data input terminal of the Bluetooth module and the data output terminal of the codec while receiving the PSTN routing control signal from the MSM, and connecting the data output terminal of the Bluetooth module and the data input terminal of the codec; 상기 MSM의 제어하에 상기 MSM의 데이터 입력단과 상기 코덱의 데이터 출력단을 접속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제 1 버퍼; 및A first buffer connecting or blocking a data input terminal of the MSM and a data output terminal of the codec under the control of the MSM; And 상기 MSM의 제어하에 상기 블루투쓰 모듈의 데이터 출력단과 상기 2 포트 먹스을 접속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제 2 버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쓰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And a second buffer configured to connect or block the data output terminal of the Bluetooth module and the two port mux under the control of the MSM.
KR10-2001-0000272A 2001-01-04 2001-01-04 Cellular phone capable of communicating by bluetooth protocol KR1004219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0272A KR100421929B1 (en) 2001-01-04 2001-01-04 Cellular phone capable of communicating by bluetooth protoc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0272A KR100421929B1 (en) 2001-01-04 2001-01-04 Cellular phone capable of communicating by bluetooth protoc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7305A true KR20020057305A (en) 2002-07-11
KR100421929B1 KR100421929B1 (en) 2004-03-10

Family

ID=27690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0272A KR100421929B1 (en) 2001-01-04 2001-01-04 Cellular phone capable of communicating by bluetooth protoc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1929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580B1 (en) * 2002-05-04 2005-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A device and a operating method of connecting pstn for cellular phone
KR100781797B1 (en) * 2004-01-13 2007-12-04 노키아 코포레이션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ng user equipment to a communications network
KR100820549B1 (en) * 2002-11-04 2008-04-0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Apparatus using blue tooth for calling
KR101037500B1 (en) * 2003-04-29 2011-05-26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of Changing Mode Between Wireless LAN Communic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in Dual Mode Mobi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72B1 (en) * 1974-08-16 1976-01-06
KR100372867B1 (en) * 2000-08-23 2003-02-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of changing a call of mobile station having bluetooth chip and apparatus thereof
KR20020017682A (en) * 2000-08-31 2002-03-07 서평원 Multifunction telephon
KR20020044892A (en) * 2000-12-07 2002-06-19 이계철 Method for automatic operation-mode change of bluetooth/CDMA dual mode mobile terminal
KR20020051493A (en) * 2000-12-22 2002-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of Integrated Access Device Using Bluetooth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580B1 (en) * 2002-05-04 2005-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A device and a operating method of connecting pstn for cellular phone
KR100820549B1 (en) * 2002-11-04 2008-04-0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Apparatus using blue tooth for calling
KR101037500B1 (en) * 2003-04-29 2011-05-26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of Changing Mode Between Wireless LAN Communic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in Dual Mode Mobile Terminal
KR100781797B1 (en) * 2004-01-13 2007-12-04 노키아 코포레이션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ng user equipment to a communications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1929B1 (en) 200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13411A1 (en) Integrated cordless telephone and bluetooth dongle
JP2001306564A (en) Portable terminal with automatic translation function
RU2427968C2 (en) Receiver/source of data, device of data transfer and terminal data device for network with communication line switching and network with packet switching
CN101110624A (en) Blue tooth relay unit and its implementing method
US20030169860A1 (en) Multi-port multi-channel bi-directional communication device
KR20020046772A (en) Bluetooth access point for the interface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KR100421929B1 (en) Cellular phone capable of communicating by bluetooth protocol
JP3179360U (en) Computer with integrated universal telephone function
JP2003061146A (en) Mobile phone and network system
US20060025176A1 (en) Detachable acoustic interface for a handheld terminal
JP2000261857A (en) Portable telephone set
KR100391289B1 (en) A keyboard to support a data input onto personal data terminal
EP1408708B1 (en) Battery charging apparatus capable of connecting a mobile phone with a wire telephone network and method for enabling the same
KR200262235Y1 (en) A case system of personal Digital Assistant having a easy phone function
JP2003348667A (en) Key telephone system adopting digital system by wireless communication
KR20050001274A (en) Wireless VoIP connecting apparatus and internet calling system using the same
KR20000030918A (en) Interface unit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217288Y1 (en) A combined internet phone and speaker phone
JPH0846566A (en) Mobile object data communication system
JPH0222957A (en) Cordless telephone set with modem function
CN103763789A (en) Mobile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achieving three-party communication
US7558601B2 (en) Method of switching communication modes of a communication device
JPH07203068A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20050001544A (en) Method for connecting communication between a mobile terminal having bluetooth module and bluetooth access point for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KR200331392Y1 (en) Wireless VoIP connecting apparatus and internet calling system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