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6305A -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6305A
KR20020056305A KR1020000085629A KR20000085629A KR20020056305A KR 20020056305 A KR20020056305 A KR 20020056305A KR 1020000085629 A KR1020000085629 A KR 1020000085629A KR 20000085629 A KR20000085629 A KR 20000085629A KR 20020056305 A KR20020056305 A KR 20020056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dust collecting
casing
filter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5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3523B1 (ko
Inventor
양병선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85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3523B1/ko
Publication of KR20020056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6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3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35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os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7Dry filters tube- or sleeve-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666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01D46/521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folded, pleated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먼지통이 손잡이 부근에 위치하고, 집진효율이 높은 것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는, 하단부에 설치된 흡입구를 통하여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되고, 상단부에 손잡이가 성형되어 있는 연장관과; 상기 연장관의 손잡이 후방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흡입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집진장치; 그리고 상기 집진장치의 후방에 연결되어, 필터링된 공기를 청소기본체로 안내하는 흡입호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집진장치가 손잡이의 후단에 장착되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을 때 무게의 균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장관에 집진효율이 높은 집진통을 설치함과 동시에 연장관 및 손잡이 부분의 무게의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가 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연장관과, 상기 연장관을 본체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호스, 그리고 진공청소기 본체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청소기본체의 내부에는, 공기의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터와, 흡입되는 공기 중에서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필터링장치 등이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연장관 및 연결호스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은, 본체 내부의 필터링장치를 통하여 걸러진 후, 깨끗한 공기가 청소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배기구를 통하여 배기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청소기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필터링장치는, 예를 들면 종이봉투가 주류를 이루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싸이클론 집진방식을 채용하는 싸이클론 장치가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청소기본체 내부에 필터링장치를 장착하는 것은, 청소기본체의 부피가 커지게 되고, 더욱이 필터링장치의 교환 또는 청소 등의 과정에서 매우 불편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청소기를 조작하는 부분에 필터링장치가 장착된 청소기가 최근에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청소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관(4)의 일측에 집진통(8)을 장착하고 있다. 즉 손잡이(2)가 상단부에 성형되어 있는 연장관(4)의 상부에 집진통(8)을 설치하고 있어서,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2) 부근에 집진통이 설치되어 있어서, 사용상의 편리함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집진통(8)은, 실질적으로 종이봉투를 사용하면 부피가 너무 크게 되기 때문에, 싸이클론방식에 의하여 집진하는 싸이클론 집진통을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진공청소기에 있어서는, 무게의 균형이 잡히지 않는 단점이 있다. 즉,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2)는 연장관의 최상단부에 성형되고 있기 때문에, 그 전방에 위치하게 되는 연장관(4) 자체와 집진통(8)의 무게가 상대적으로 무겁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잡을 경우 무게의 균형이 맞지 않기 때문에, 다소 불편한 것이 사실이다.
또한 종래의 진공청소기에 있어서는, 상기 싸이클론 집진통(8)은, 1차적인 싸이클론 방식에 의한 집진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집진효율의 측면에서 충분하지 못한 단점이 제기된다. 즉, 한번의 싸이클론 집진방식에 의하여, 흡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벼운 미세 먼지 등을 충분하게 필터링할 수 없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집진통이 연장관 부근에 설치되면서도,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을 때 무게의 균형을 이룰 수 있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장관 부근에 집진통에 설치되어 사용이 편리함과 동시에 집진효율이 높은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진공청소기의 연장관과 연결호스 부분의 구조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요부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장착부의 예시 정면도.
도 4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요부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연장관11 ..... 장착부
12 ..... 손잡이13 ..... 장착공간
16 ..... 흡입호스20 ..... 집진장치
200 ..... 집진케이싱210 ..... 집진부
250 ..... 분리판350 ..... 집진필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는, 하단부에 설치된 흡입구를 통하여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되고, 상단부에 손잡이가 성형되어 있는 연장관과; 상기 연장관의 손잡이 후방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흡입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집진장치; 그리고 상기 집진장치의 후방에 연결되어, 필터링된 공기를 청소기본체로 안내하는 흡입호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집진장치에 대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연장관에서의 공기를, 내부의 접선방향으로 유입시켜 싸이클론 방식의 집진을 수행하는 집진케이싱 및 커버와; 상기 집진케이싱 내부에서 배기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집진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는 집진필터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장치는 연장관의 후방에 설치되는 장착부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장착부는 그 내부를 통하여 연장관에서 집진장치를 거쳐 흡입호스로 공기를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집진케이싱은, 그 하부에 성형된 집진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집진부는, 이물질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과공이 성형되고, 집진케이싱의 하부 일부를 구획하도록 설치되는 분리판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분리판에 대한 실시예에 의하면, 지름부분이 서로 접하는 한쌍의 반원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반원판은 서로 접하는 지름부분이 집진케이싱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반원판의 외측부분의 저면에 접촉하는 걸림돌기가 집진케이싱의 내측벽에 성형되어, 상기 반원판은 상방으로만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집진필터는,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력에 충분히 지지되는 강도를 가지는 재질의 것으로 성형하여야 하고,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재질의 것으로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집진필터는,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충분히 넓히기 위하여 주름이 성형되고,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주름은 집진필터의 원주방향을 따라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에 의하면, 흡입부(도시 생략)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내부를 통과하는 연장관(10)과 흡입호스(16) 사이에는 집진장치(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집진장치(20)는, 연장관(10)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장착부(11)에 성형되어 있는 장착공간(13)에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11)는, 실질적으로 연장관에 마련되어 있는 손잡이(12)의 후방에 대응하는 위치에 성형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12)를 중심으로 좌측에는 연장관(10)이 위치하게 되고, 우측에는 흡입호스와 연결되는 집진장치(2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구조에 비하여 손잡이(12)를 중심으로 할 때, 무게의 균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장치(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12)의 우측에 위치하는 장착부(11)의 장착공간(13)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11)의 좌측은 연장관(10)과 연통하도록 연결되고 있으며, 장착부(11)의 우측은 흡입호스(16)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11)의 내부는,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집진장치(20)는, 연장관(10)의 후단부와 흡힙호스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다. 다라서 연장관(10)의 후단부에 집진장치(20)를 장착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의 범위 내에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장착부(11)의 장착공간(13)에 설치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연장관(10)에서의 공기가 집진장치(20)를 거치면서 집진된 후, 연결호스(16)으로 흡입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면, 집진장치(20)는 어떠한 형태로 장착되는 것도 무방하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집진장치(20)의 일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집진장치(20)는, 싸이클론 방식의 집진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의 집진케이싱(200)과, 상기 집진케이싱(200)에서 싸이클론 방식의 집진이 수행된 후, 미세한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35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집진케이싱(200)은 단면이 원형을 가지는 케이싱으로 형성되고 있으며, 상기 장착부(11)의 장착공간(13)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긴형상의 용기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케이싱(200)의 내부로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220)는 상기 집진케이싱(200) 내부에서 선회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접선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점은 실질적으로 싸이클론방식의 집진원리에 기초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유입구(220)는, 상기장착부(11)를 통하여 연장관(10)과 연통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당연하고, 상기 집진케이싱(200)의 상단부 또는 측벽 상단부에 성형되어야 하고, 그것을 통하여 유입되는 이물질을 포함한 공기가 내부에서 나선형으로 선회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나선형으로 선회하는 공기중에서 이물질은 자중에 의하여 하방으로 떨어지게 되는 싸이클론 원리에 의한 집진이 수행된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유입부(220)는 집진케이싱(200)을 개폐하는 커버(202)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지만, 상기 유입부(220)는 집진케이싱(200)의 상단측면에 성형하는 것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유입부(220)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집진케이싱(200)의 내부에서 1차 및 2차필터링된 다음, 토출구(222)를 통하여 배기되며, 이러한 배기공기도 장착부(11)의 내부를 통하여, 흡입호스(16)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집진케이싱(200)의 내부에서 1차적으로 싸이클론방식의 집진이 수행된 후, 배기되는 공기는 집진필터(350)를 거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집진필터(350)의 외주면에서 유입된 공기는, 그 내부를 통과하면서 상부의 토출구(222)를 통하여 배기되고, 이러한 공기는 장착부(11)의 내부 통로를 따라서 흡입호스(16) 측으로 배기된다. 상기 흡입호스(16)와 연결된 청소기본체의 내부에는, 청소기에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터가 설치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집진필터(350)는, 상기 집진케이싱(200)의 내부에서 싸이클론 집진방식에 의하여 집진된 후,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와 같은 미세한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집진케이싱(200)의 내부에서 싸이클론 방식으로 1차적으로 이물질이 집진된 후, 미세한 먼지 등은 2차적으로 상기 집진필터(350)에 의하여 집진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집진필터(350)는, 그 동작시, 상기 집진필터(350)를 통과하는 강한 공기의 유동을 고려할 때, 일정 이상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재질의 것을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일정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섬유재를 만들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하여 성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일반적인 섬유재를 형성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재질의 필터를 구현할 때, 반복 사용에 의하여 세척의 편의성도 기대될 수 있다.
상기 집진필터(350)는 흐르는 공기와의 접촉표면적을 넓힘으로써 집진효율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길이방향의 주름이 원주방향으로 반복 형성된 원통형상을 가지도록 성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주름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집진필터(350)를 통과하는 공기와의 접촉면적이 충분히 넓혀져서, 집진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길이방향의 주름이 원주방향으로 반복 성형된 집진필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될 수는 없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필터링 하기 위한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충분하게 넓히기 위하여, 벨로우즈 형태의 주름을 가지도록 성형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집진필터는, 어떠한 형태의 주름을 가지도록 성형하더라도, 그것을 통과하는 공기에 의하여 형태가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가지고 있을 것이 요구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케이싱(200)의 하단부에는 분리판(250)에 의하여 분리된 집진부(2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리판(250)은, 그 외주연에 성형된 요입부(253)에 의하여 상기 집진케이싱(200)의 상부와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집진케이싱(2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선회하면서 자중에 의하여 하방으로 떨어질 때, 이물질은 상기 요입부(253)를 통하여 집진부(210)의 내부로 모이게 된다.
상기 집진부(210)으로 이물질을 통과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써, 상기와 같은 요입부(253)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분리판(250)에 성형되어, 집진케이스(200)의 내부와 집진부(210)를 연통시킬 수 있는 통과공이 성형되어 있으면 충분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통과공은 상기 요입부(253)와 같이, 분리판(250)의 가장자리에 성형되는 것이 싸이클론 집진방식에 있어서는 가장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250)은 한쌍의 반원판(251,25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반원판(251,252)은, 서로 접하는 중심부분의 힌지축(251a,252a)을 중심으로 집진케이싱(200)의 내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단, 상기 반원판(252,252)는 하방으로는 회동할 수 없고, 상방으로만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면 상기 힌지축(251a,252a)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쌍의 반원판(251,252)의 하단부에 대응하는 집진부(210)의 내부 측벽에 걸림돌기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충분히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반원판(251,252)은, 각각의 힌지축(251a,252a)을 중심으로 상방으로는 회동 가능하나, 상기 걸림돌기에 의하여 하방으로는 회동이 방지되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집진케이싱(200)을 뒤집으면, 상기 한쌍의 반원판(251,252)이 상부로 회동하게 되면서 열리게 되어, 집진부(210)의 내부에 모여있던 이물질이 쏟아지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분리판(250)은,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될 수는 없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분리판(250)은 집진케이싱(200)의 내부 하측으로 떨어지는 이물질을 수집할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다. 또한 상기 분리판(250)을 하나의 원판으로 구성하되, 그것이 지름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집진케이싱(200)의 내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분리판(250)을 하나의 원판으로 구성하고, 이를 회동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에 의하면, 상기 집진케이싱(200)을 경사지는 상태로 기울이게 되면, 원판형의 분리판(250)이 경사지게 되어 집진부(210)의 내부의 이물질을 충분하게 쏟아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집진케이싱(200)의 일측에는 손잡이(270)이 성형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270)는, 집진케이싱(200)을 상술한 장착부(11)에 장착하거나 분리할 때 편리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손잡이(270)의 다른 기능으로써, 손잡이(12)를 대신하여 청소기 사용자가 파지하는 기능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손잡이(270)는, 집진케이싱(200)이 완전히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실질적으로 청소기를 동작시킬 때 사용하는 손잡이(12)의 대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집진케이싱(200)의 완전한 장착상태가 이루어진 후에 할 수 있게 되어, 집진케이싱의 완전한 장착상태를 파악할 수도 있다. 그리고 집진케이싱(200)의 손잡이(270)를 손잡이(12) 대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연장관(10)의 상단부에 마련된 손잡이(12)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의 전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예를 들면 손잡이(12)에 설치되어 있는 동작스위치를 온시키게 되면, 청소기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모터가 동작하게 되면서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된다. 이렇게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연장관(10)의 내측으로 유입된 후, 집진장치(20)의 유입구(220)를 통하여 집진케이싱(20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 때 상기 집진케이싱(200)에 유입되는 공기는 집진케이싱(200)의 내부에서 접선방향으로 유입되어, 그 내부에서 나선형의 에어플로를 형성하게 되면서 싸이클론방식에 의하여 1차적인 집진이 수행된다.
이러한 집진과정에서, 이물질은 자중에 의하여 하방으로 떨어지면서, 요홈부(253)를 통하여 집진부(210)의 내부에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하여 1차적으로 싸이클론방식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이 걸러진 후, 공기는 집진필터(350) 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렇게 집진필터(350)를 거치면서 미세한 먼지까지 완전하게 필터링되는 것은 자명하다.
그리고 이렇게 2차적으로 필터링된 공기는, 커버(202)에 성형된 토출구(222)를 통하여 배기되는데, 이렇게 배기되는 공기는 상기 장착부(11)의 내부를 통하여흡입호스(16)로 안내된다. 그리고 이러한 공기는 흡입호스(16)를 통하여 청소기본체의 내부로 유입된다. 청소기본체로 유입된 공기는 모터를 경유하면서 이를 방열시킨 후 청소기외부로 완전하게 배출된다. 이 때 필요하다면 청소기본체 내부에 다른 하나의 필터링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연장관의 후단부와 흡입호스 사이에 집진장치를 설치하되, 이러한 필터링장치는 1차적으로는 싸이클론원리에 의한 필터링과, 2차적으로는 집진필터에 의한 필터링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당연하고, 본 발명은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먼저, 집진케이싱(200)을 연장관(10)에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집진장치의 내부 세척 및 사용상의 편리함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잇점은, 청소기본체 내부에 집진장치가 장착되는 종래의 것에 비하여, 현저하게 사용성이 높아지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집진케이싱(200)은, 1차적으로는 싸이클론방식에 의한 집진효과와 2차적으로는 집진필터에 의한 미세한 먼지 등의 충분한 집진효과를가지고 있기 때문에, 보다 확실한 집진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0)

  1. 하단부에 설치된 흡입구를 통하여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되고, 상단부에 손잡이가 성형되어 있는 연장관과;
    상기 연장관의 손잡이 후방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흡입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집진장치; 그리고
    상기 집진장치의 후방에 연결되어, 필터링된 공기를 청소기본체로 안내하는 흡입호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장치는;
    상기 연장관에서의 공기를, 내부의 접선방향으로 유입시켜 싸이클론 방식의 집진을 수행하는 집진케이싱 및 커버와;
    상기 집진케이싱 내부에서 배기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집진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는 집진필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필터는, 커버의 하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장치는 연장관의 후방에 설치되는 장착부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장착부는 그 내부를 통하여 연장관에서 집진장치를 거쳐 흡입호스로 공기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케이싱은, 이물질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과공이 성형되고, 집진케이싱의 하부 일부를 구획하도록 설치되는 분리판에 의하여 형성되는 집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은 지름부분이 서로 접하는 한쌍의 반원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반원판은 서로 접하는 지름부분이 집진케이싱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반원판의 외측부분의 저면에 접촉하는 걸림돌기가 집진케이싱의 내측벽에 성형되어, 상기 반원판은 상방으로만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필터는 원통형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필터는,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충분히 넓히기 위하여 주름이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필터의 주름은 집진필터의 원주방향을 따라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필터는 폴리에스테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KR1020000085629A 2000-12-29 2000-12-29 진공청소기 KR100603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5629A KR100603523B1 (ko) 2000-12-29 2000-12-29 진공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5629A KR100603523B1 (ko) 2000-12-29 2000-12-29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6305A true KR20020056305A (ko) 2002-07-10
KR100603523B1 KR100603523B1 (ko) 2006-07-24

Family

ID=27688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5629A KR100603523B1 (ko) 2000-12-29 2000-12-29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352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558B1 (ko) * 2002-03-07 2005-03-09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가지는 진공청소기
US6900827B2 (en) 2001-10-19 2005-05-31 Kabushiki Kaisha Ekisho Sentan Gijutsu Kaihatsu Center Optical recorder and method thereof
KR100607974B1 (ko) * 2003-06-02 2006-08-0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그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구비하는진공청소기용 핸들조립체
US7288129B2 (en) 2003-06-02 2007-10-30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Cyclone dust collector and handle assembly for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0355Y1 (ko) * 1992-03-03 1994-01-20 김우중 유압식 작업 사다리
JP2000135183A (ja) * 1998-10-30 2000-05-16 Sanyo Electric Co Ltd 吸引掃除機
KR100317117B1 (ko) * 1998-12-02 2001-12-22 이충전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가지는 진공청소기
KR20000017489U (ko) * 1999-02-26 2000-09-25 구자홍 진공청소기용 싸이클론 집진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0827B2 (en) 2001-10-19 2005-05-31 Kabushiki Kaisha Ekisho Sentan Gijutsu Kaihatsu Center Optical recorder and method thereof
KR100470558B1 (ko) * 2002-03-07 2005-03-09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가지는 진공청소기
KR100607974B1 (ko) * 2003-06-02 2006-08-0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그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구비하는진공청소기용 핸들조립체
US7288129B2 (en) 2003-06-02 2007-10-30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Cyclone dust collector and handle assembly for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3523B1 (ko) 2006-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28961C1 (ru) Пылесос (варианты)
KR101248722B1 (ko) 집진장치 및 이를 가지는 진공 청소기
JP3626413B2 (ja) 集塵装置及びこれを用いる真空掃除機
US6901625B2 (en) Dust collection unit for use in vacuum cleaner and main body of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EP1674020B1 (en) Filter for cyclonic dust collection unit, cyclonic dust collection unit and vacuum cleaner with the same
KR100377015B1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RU2437611C2 (ru) Портативный чистящий прибор
KR100713272B1 (ko) 진공청소기
KR100390608B1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709418B1 (ko) 진공청소기
KR100713285B1 (ko) 진공청소기
EP1652458A2 (en) Dust collection unit for vacuum cleaner
GB2402092A (en) Dual cyclone for a vacuum cleaner
JP2005185838A (ja) 電気掃除機用のサイクロン集塵装置
KR20060128388A (ko) 진공 청소기
KR20060122249A (ko) 진공청소기의 본체
EP1915085A1 (en) Dust collect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KR20070089457A (ko) 진공 청소기
KR20020085478A (ko) 진공청소기용 싸이클론장치
US20060277872A1 (en) Vacuum cleaner
CN107072455B (zh) 吸尘器
KR100603523B1 (ko) 진공청소기
KR100657922B1 (ko) 진공청소기
KR100693571B1 (ko) 진공청소기
KR101248648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