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3056A -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a recess in a workpiece - Google Patents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a recess in a workpie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3056A
KR20020053056A KR1020027002441A KR20027002441A KR20020053056A KR 20020053056 A KR20020053056 A KR 20020053056A KR 1020027002441 A KR1020027002441 A KR 1020027002441A KR 20027002441 A KR20027002441 A KR 20027002441A KR 20020053056 A KR20020053056 A KR 20020053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work
recess
workpiece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24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모르록엑카르트
그르프필립프
Original Assignee
휄쓰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휄쓰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휄쓰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20053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3056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7/00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1D17/02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by pr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Broaching, Filing, Reaming, And Others (AREA)
  • Forging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피스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장치는 전진방향 공급기구(31)에 의해 이동되는 공구(30)를 포함하며, 상기 공구(30)는 상기 작업피스(3a-3e)에 오목부(2a-2d)를 생성하는 적어도 1개의 작업요소(35; 35a-35d)를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forming a recess in a workpiece, the apparatus comprising a tool (30) which is moved by a forward feeding mechanism (31), said tool (30) being the workpiece (3a-3e). )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working element 35 (35a-35d) which creates recesses 2a-2d.

본 발명에 의거, 적어도 1개의 작업요소(35;35a-35d)를 가진 공구에는, 피형성되는 오목부(2a-2d)의 축 신장부(l)에 대체로 대응하는 폭으로 전방단부(38)로부터 그 대향측 단부(39)로 확장되고 엣지형상으로 이루어진 작업구역(40)이 설치되며; 상기 작업구역(40)은 피형성되는 상기 오목부(2a-2d)의 깊이(t)에 대응하는 높이(h)로 상기 공구(30)의 기부(36)로부터 상승하며; 상기 장치(1)는 그에 의해 공급방향과는 다른 작업방향(B)으로 동작하는 작업힘이 공구(30)에 가해지게 되는 메카니즘(10,11;20,21)을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ol having at least one working element 35; 35a-35d includes a front end 38 with a width substantially corresponding to the axial extension 1 of the recess 2a-2d to be formed. A work zone 40 extending from the end 39 to its opposite end 39 and shaped like an edge; The work zone 40 rises from the base 36 of the tool 30 to a height h corresponding to the depth t of the recesses 2a-2d being formed; The apparatus 1 comprises mechanisms 10, 11; 20, 21 by which a working force acting in a working direction B different from the feeding direction is thereby exerted on the tool 30.

Description

작업피스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A RECESS IN A WORKPIECE}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A RECESS IN A WORKPIECE

이건 출원인의 DE-PS 197 42 820호는 주축(mandrel)을 관형 작업피스 내에 삽입하는 것을 공지하고 있다. 상기 주축의 몸체에는, 한정된 깊이를 가지고 한정된 거리 이상으로 방위각 방향으로, 한정된 길이 이상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홈 모양 오목부(groove-like-recess)가 설치된다. 이러한 홈모양 오목부는, 한정된 길이 이상의 작업피스의 축방향과 관형 작업피스의 한정된 원주부 각도 이상의 방위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작업피스에 오목부를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자동차의 멈춤 노치의 헤드 안착부의 파이프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경우에 소요되는 관형 작업피스에 오목부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주축의 사용은 적용된 제한 범위 내에서는 안전한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는 파이프에서 발생할 수 있는 -특히 얇은 벽의 관형피스인 경우에- 크랙으로, 관형 작업피스의 외표면에서 동작하는 형성공구의 충격으로 전방으로 전해지는 파이프를 손상시키는 결함이 있다.It is known from Applicant's DE-PS 197 42 820 that the mandrel is inserted into the tubular workpiece. The main shaft body is provided with groove-like recesses that extend in the axial direction beyond the defined length in the azimuth direction over the defined distance with a defined depth. Such grooved recesses are used to create recesses in the workpiece that exten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workpiece at least a defined length and in the azimuthal direction at least a defined circumferential angle of the tubular workpiece. Therefore, for example, it is necessary to form a recess in the tubular work piece which is required when it is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pipe of the head seat of the stop notch of the automobile. The use of the spindle is safe within the limits applied. However, there is a defect that can occur in pipes, especially in the case of thin-walled tubular pieces, which damages the pipes which are transmitted forward by the impact of forming tools operating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ubular workpiece.

US 2,171,371호는 전진방향 공급기구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공구를 가지고, 작업피스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장치를 공지하고 있다. 상기 공구는 오목부 형성을 위해 작업피스에서 동작하는 적어도 일 작업요소를 구비한다. 작업요소에는 타원형 중앙 구멍이 있으며, 그로부터 직경 대향방향으로 2개의 U형상 구멍이 연장형성되며, 각각의 U형상 구멍은 엣지형 절단 엣지를 구비한 것이다. 작업피스에 오목부를 형성하기 위해서, 작업피스가 작업요소의 중앙구멍에 삽입되어진 다음, 작업요소가 전진방향으로 이동한다. 전진방향 이동은, 제1U형상 구멍이 작업피스에서 동작하도록 하여, 작업피스의 오목부의 제1반-원형파트를 형성한다. 다음, 공구는 전(前)공급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고, 다음 제2U형상 구멍이 오목부의 제2파트의 형성동작에 영향을 미치며, 다음, 상기 오목부는 작업피스의 전체 원주부를 따라서 이어진다.US 2,171,371 discloses a device for forming a recess in a workpiece with a tool to be moved forward by a forward feeding mechanism. The tool has at least one work element that operates on the workpiece to form the recess. The work element has an elliptical center hole, from which two U-shaped holes extend in a radially opposite direction, each U-shaped hole having an edge-shaped cutting edge. To form a recess in the workpiece, the workpiece is inserted into the central hole of the work element, and then the work element moves forward. The forward movement causes the first U-shaped hole to operate in the work piece, forming a first semi-circular part of the recess of the work piece. Next, the tool is mov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revious feeding direction, and the next 2U-shaped hole affects the forming operation of the second part of the recess, and the recess is then along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workpiece. It leads.

본 발명은 전진방향 공급기구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는 공구를 포함하는, 작업피스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대응방법과 마찬가지로, 작업피스에 오목부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일 작업요소가 설치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forming a recess in a workpiece, the tool including a tool moved forward by the forward feeding mechanism, in which at least one work element for creating the recess is provided in the workpiece, as in the corresponding method. will be.

도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1 shows schematically a first embodiment of a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2는 도1의 B-B선을 따라 절취된 장치의 단면도.FIG. 2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the device taken along line B-B in FIG. 1; FIG.

도3은 도1의 A-A선을 따라 절취된 장치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vice taken along line A-A of FIG.

도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에 사용되는 공구의 3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4 shows three embodiments of a tool used in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방식으로, 대응 방법과 마찬가지로, 얇은 벽을 가진 관형 작업피스에 평탄한 오목부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상술된 타입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in a simple manner, a device of the type described above which is used to form a flat recess in a thin walled tubular workpiece, as in the corresponding method.

상기 목적은 적어도 일 작업요소에 엣지모양이며 피형성 오목부의 축방향 신장부에 대체로 대응하는 폭으로 그 대향측 단부에 전방단부에서부터 확장되는 작업구역이 설치되며, 상기 작업구역은 피형성 오목부의 깊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상기 공구의 기부로부터 상승되며; 상기 기구는 공급방향과는 다른 작업방향으로 동작하는 작업힘이 공구에 적용되는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에 의해해결되는 것이다.The object is to at least one work element being edge-shaped and having a width corresponding generally to the axial extension of the formed recess, extending from the front end to its opposite end, the working region having a depth of the formed recess. Is raised from the base of the tool to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mechanism is solved by an apparatus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mprising a mechanism in which working forces acting in a working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eeding direction are applied to the tool.

상기 목적은, 사용되는 공구가 폭방향으로 작업구역의 대향측 단부로 전방단부로부터 확장되고 공급방향으로 엣지형상으로 있는 작업구역을 가진 적어도 일 작업요소를 구비하며, 상기 폭은 대체로 피형성 오목부의 축선 연장부와 동일하고 상기 공구의 기부로부터 높이방향으로 상승하며, 상기 높이는 적어도 피형성되는 오목부의 깊이이며, 그리고 상기 공구는 공급방향과는 다른 작업방향을 가지는 작업힘을 받게 되는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에 의해 부가로 해결되는 것이다.The object comprises at least one work element having a work zone in which the tool used extends from the front end to the opposite end of the work zone in the width direction and is edged in the feed direction, the width being generally defined by the formed recess. According to the invention, which is the same as the axial extension and rises in the height direction from the base of the tool, the height is at least the depth of the recess to be formed, and the tool is subjected to a work force having a working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eeding direction. It is further solved by the method.

본 발명의 특징적인 내용은 첨부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첨부 도면을 참고로 기술되는 실시예를 통해 이하에 설명된다.The specific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which is described below through th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 내지 도3은 작업피스(3a-3e)에 오목부(2a-2d)(도4 참고)를 형성하는 장치(1)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장치(1)는, 작업피스(3a-3e)가 클램핑에 의해 고정되어 양호하게 형성된 위치에 있는 장착 유닛(10)에 작업피스(3a-3e)를 유지하는 장착기구(10)를 포함한다. 장착기구(10)는 공급기구(11)에 의해 양방향 화살표(X)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 장착기구(10)의 적재와 하역을 위해 도1에 도시된 작업위치로부터 적재위치로 이동되고 그리고 다시 작업위치로 재이동 되는 것이다. 장착기구(10)의 공급기구(10)는 양호하게 유압 또는 공압 수단에 의해 또는 모터에 의해 동작된다. 공급기구(11)의 피스톤(12)은 장착기구(10)에서 동작한다. 공급기구(11)의 전진과 후퇴이동은 피스톤 챔버(13) 내로 압축작업매체를 유도하여 이루어진다.1-3 show schematically a device 1 for forming recesses 2a-2d (see FIG. 4) in the work piece 3a-3e. The apparatus 1 comprises a mounting mechanism 10 for holding the workpieces 3a-3e in the mounting unit 10 in a position where the workpieces 3a-3e are fixed by clamping and are well formed. The mounting mechanism 10 is movable in the direction of the double-headed arrow X by the supply mechanism 11, and is moved from the working position shown in Fig. 1 to the loading position for loading and unloading of the mounting mechanism 10, and It will be moved back to the working position. The supply mechanism 10 of the mounting mechanism 10 is preferably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or by a motor. The piston 12 of the supply mechanism 11 operates in the mounting mechanism 10.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supply mechanism 11 is made by inducing a compression working medium into the piston chamber 13.

압압기구(20)는 장착기구(10)와 반대위치에 설치된다. 압압기구는 이하에서 부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양방향 화살표(X')의 방향으로 공급기구(21)에 의해 이동가능한 것이다. 공급기구(21)의 피스톤(22)은 압압기구(20)에서 동작한다. 피스톤(22)은 공급기구(21)의 피스톤 챔버(23) 안으로 가압작업 매체를 유도하여 전진 및 후진동작 가능한 것이다. 장착기구(10)와 압압기구(20) 사이에로, 공구(30)가 피스톤 챔버(33)에 안내되는 피스톤(32)을 포함하는 공급기구(31)에 의해 삽입된다. 압압기구(20)의 안내요소(25)에 안내되는 공구(30)에는, 도3에 가장 양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이 1개의 작업피스(3a-3e)로 형성되는 다수의 오목부(2a-2d)와 대응하는 다수의 작업요소(35a-35d)가 설치된다.The pressing mechanism 20 is install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mounting mechanism 10. The pressing mechanism is movable by the feeding mechanism 21 in the direction of the double arrow X 'as described further below. The piston 22 of the supply mechanism 21 operates in the pressing mechanism 20. The piston 22 is capable of moving forward and backward by inducing a pressurized working medium into the piston chamber 23 of the supply mechanism 21. Between the mounting mechanism 10 and the pressing mechanism 20, a tool 30 is inserted by a supply mechanism 31 comprising a piston 32 guided to the piston chamber 33. The tool 30 guided by the guide element 25 of the pressing mechanism 20 has a plurality of recesses 2a-each formed by one work piece 3a-3e, as best shown in FIG. A plurality of work elements 35a-35d corresponding to 2d) are installed.

도3은 공구(30)의 모양을 가장 양호하게 나타내고 있다. 공구는 작업요소(35a-35d)가 그 위에 배치되는 기부(36)를 구비한다. 도4에서 가장 양호하게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작업요소(35a-35d)는, 작업요소(35a-35d)의 엣지형상 전방부(37)가 예각(銳角) 선단부(38)으로부터 작업구역(40)의 단부로 확장되는 방식으로 형상진 엣지-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단부(39)에 엣지-형상 작업구역(40)의 폭(b)은 대응 오목부(2a-2d)의 축선 연장부와 동일하다. 대응 방식으로, 작업요소(35a-35d)의 엣지형상 작업구역(40)은, 각각의 오목부(2a-2d)의 깊이(t)에 기본적으로 대응하는 높이(h)로 공구(30)의 기부(36)에 배열된 선단부(38)로부터 상승된다.3 best represents the shape of the tool 30. The tool has a base 36 on which work elements 35a-35d are disposed. As best seen in FIG. 4, each work element 35a-35d has an edge shape front portion 37 of the work element 35a-35d from the acute angled tip 38 from the work area. It is shaped edge-shaped in a manner that extends to the end of 40. The width b of the edge-shaped work zone 40 at the end 39 is equal to the axial extension of the corresponding recesses 2a-2d. In a corresponding manner, the edge-shaped work zones 40 of the work elements 35a-35d are formed at a height h which basically corresponds to the depth t of each recess 2a-2d. It is lifted from the tip 38 arranged on the base 36.

작업피스(3a-3e)에 -공구(30)상에 작업요소(35a-35d)에 대응- 4개 오목부(2a-2d)를 형성할 수 있도록, 먼저, 장착기구(10)가 공급기구(11)에 의해 도1에 도시된 작업위치로부터 원격지게 이동되어서, 작업피스(3a-3e)는 장착기구(10)의 적절한 공간(10a-10e) 안으로 삽입된다. 다음, 장착기구(10)는 다시 그 작업위치로 이동된다. 다음, 공구(30)와 상관된 공급기구(31)가 장착기구(10)와 압압기구(20) 사이에 공간 내로 압압기구(20)의 안내요소(25)를 따라서 공구(30)를 이동한다. 전방 단부, 양호하게는 공구(30)의 제1작업요소(35a)의 선단부(38)가 공급방향으로 최전방부에 있는 작업피스(3a)와 결합하면, 그와 상관된 공급기구(21)에 의한 후퇴와 전진방향으로 압압기구(20)를 이동시키어 이행되는 작업방향(B)으로 작용하는 진동 작업힘을 공구(30)가 받게 된다. 양호하게, 이러한 진동힘의 적용은, 대체로 직교적으로 공구(30)에 작용하는 작업힘이 양호하게 최소값과 최대값과의 사이에서 주기적으로 변화는 방식으로 가해지고, 제 시간에 일 지점에서 역행정으로 작업피스(3a-3e)로부터 원격지게 공구(30)를 압압기구(20)가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는, 최소값이 제로 범위 내에 위치하게 되거나 또는 음의 값을 취할 수 있다. 공급기구(21)의 공급방향에 대해 대체로 직교적으로 있는 작업방향(B)으로 압압기구(20)에 의해 공구(30)에 햄머형 힘의 적용과 동시적으로, 공구(30)는 공급기구(31)에 의해 연속적으로 또는 거의 연속적으로 또는 분리적인단계로 전진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공급동작은 또한 진동방식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공급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공급력도 음의 값을 최소로 취하여서, 공급기구(31)는, 부차적인 전진방향 행정에서 다시 전진방향으로 이동하기 전에, 제시간에 이러한 지점에서의 역행정으로 후퇴방향으로 공구(30)를 이동한다.In order to form four recesses 2a-2d on the work piece 3a-3e-corresponding to the work elements 35a-35d on the tool 30-first, the mounting mechanism 10 is provided with a supply mechanism. Moved remotely from the working position shown in FIG. 1 by 11, the work pieces 3a-3e are inserted into the appropriate spaces 10a-10e of the mounting mechanism 10. As shown in FIG. Next, the mounting mechanism 10 is moved back to its working position. Then, the supply mechanism 31 correlated with the tool 30 moves the tool 30 along the guide element 25 of the pressing mechanism 20 into a space between the mounting mechanism 10 and the pressing mechanism 20. . When the front end, preferably the tip 38 of the first work element 35a of the tool 30, engages with the work piece 3a at the foremost part in the feed direction, the feed mechanism 21 correlates therewith. The tool 30 receives the vibrating work force acting in the working direction B, which is performed by moving the pressing mechanism 20 in the retraction and the forward direction. Preferably, the application of this oscillating force is such that the working force acting on the tool 30 generally orthogonally is exerted in such a way that it periodically changes between the minimum value and the maximum value and reverses at one point in time. The minimum value, which means that the pressing mechanism 20 moves the tool 30 remotely from the workpiece 3a-3e in a stroke, can be located within the zero range or can take a negative value. Simultaneously with the application of the hammer-like force to the tool 30 by the pressing mechanism 20 in the working direction B which is generally orthogonal to the feeding direction of the feeding mechanism 21, the tool 30 is fed to the feeding mechanism. By 31 is moved in the forward direction continuously or almost continuously or in a separate step. This supply operation can also occur in the vibration mode, and the supply force affecting the supply operation also takes a negative value to a minimum, so that the supply mechanism 31 is moved in the forward direction again in the secondary forward direction stroke, In time, the tool 30 is moved in the retraction direction at the reverse stroke at this point.

공구상에서 공급방향에 대해 대체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햄머형 힘과 공구의 일정한 단속(斷續) 또는 진동식 공급동작의 중첩은, 작업피스(3a-3e)에 오목부(2a-2d)를 형성하는 것이, 오목부(2a-2d)의 해당 구역에서 유리하게 국부적으로만 동작하는 적절한 낮은 작업힘만을 사용하여 이행될 수 있는 유리한 방식에 작업 요소(35a-35d)의 상술된 엣지-모양과 조합 산출되어, 상당히 감소된 적재 재료를 초래한다. 이러한 특징은 얇은 벽 파이프 또는 관에 특히 적합한 상술된 공정을 이루게 하여서, 오목부(2a-2d)의 구역에 작업 피스(3a-3e)의 벽재료의 균열을 통한 형성공정 중에, 실재물 내로 유입되는 위험이 없으며 현재의 오목부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The superimposition of the hammer-like force acting in the direction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feeding direction on the tool and the constant interruption or vibratory feeding operation of the tool forms the recesses 2a-2d in the work pieces 3a-3e. In combination with the above-described edge-shape of the work elements 35a-35d in an advantageous manner, which can be done using only a suitable low work force operating only locally advantageously in the corresponding area of the recesses 2a-2d. Resulting in significantly reduced loading material. This feature makes the above-described process particularly suitable for thin wall pipes or tubes, which are introduced into the entity during the forming process through the cracking of the wall material of the work piece 3a-3e in the region of the recesses 2a-2d. There is no danger and it is possible to form current recesses.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호하게, 공구(30)의 개별 작업요소(35a,35d)는 공급방향으로 엇갈려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은 작업피스(3a-3e)에 개별 오목부(2a-2d)의 형성체가 공급기구(31)에 의해 가해지는 감소된 작업힘으로 달성되는 잇점을 가진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이러한 엇갈림 배열의 제1작업요소(35a)의 선단부(38)는 작업피스(3a)에서 먼저 동작한다. 그 후, 공구(30)의 부가적인 공급동작으로, 선단부(38)에 따르는 작업요소(35a)의 전방구역(37)이 관형 작업피스(3a)의 벽(3a')에 작용하여서, 제1오목부의 형성물이 작업피스(3a)에 연속적으로 놓여지는것이다. 다음, 제2작업요소(35b)의 선단부(38)가 제1작업피스(3a)의 벽에 작용하여서, 제2오목부(2b)가 작업피스(3a)에 차례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유사한 방식으로, 제3 및 제4오목부(2c,2d)가 제1작업피스(3a)에서 개별적으로 작업요소(35c,35d)에 의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상술된 바와 같이, 압압기구(20)에 의해 발생되는 햄머형 힘과 상관 공급기구(31)에 의해 발생되는 공구(30)의 공급동작이 공구(30)에 가해지고, 그에 따라서 작업요소(35a-35d)에도 가해진다.As shown in Fig. 3, preferably, the individual work elements 35a and 35d of the tool 30 are staggered in the feeding direction. This approach has the advantage that the formation of the individual recesses 2a-2d in the workpieces 3a-3e is achieved with the reduced working force exerted by the feed mechanism 31. As described above, the tip 38 of the first work element 35a in this staggered arrangement first operates on the work piece 3a. Then, in an additional feeding operation of the tool 30, the front zone 37 of the work element 35a along the tip 38 acts on the wall 3a 'of the tubular workpiece 3a, thereby giving a first The formation of the recess is continuously placed on the work piece 3a. Next, the tip 38 of the second work element 35b acts on the wall of the first work piece 3a so that the second recess 2b is successively formed in the work piece 3a in turn. In a similar manner, the third and fourth recessed portions 2c, 2d are successively formed by the work elements 35c, 35d separately on the first work piece 3a, and as described above, the pressing mechanism 20 The hammer-like force generated by the force and the supply operation of the tool 30 generated by the correlated feed mechanism 31 are applied to the tool 30, and accordingly to the working elements 35a to 35d.

제1작업요소(35a)가 제1작업피스(3a)를 횡단한 후에, 그 선단부(38)는 제2작업피스(3b)에서 동작한다. 부가적인 공급동작 중에, 제2작업피스(3b)에 있는 제1오목부는 제1작업요소(35a)에 의해 생성된다. 다음, 공구(30)의 다른 작업요소(35b-35d)가 차례로 제2작업피스(3b)의 제2 내지 제4오목부를 형성한다. 다음, 작업피스(3c-3e)의 오목부가 이루어진 제품은 공구(30)의 부가적인 공급동작이 경유하는 장소로 사용된다.After the first work element 35a traverses the first work piece 3a, its tip 38 operates on the second work piece 3b. During an additional feeding operation, the first recess in the second work piece 3b is created by the first work element 35a. Next, the other work elements 35b-35d of the tool 30 in turn form the second to fourth recesses of the second work piece 3b. Next, the product made of the recessed portion of the work piece 3c-3e is used as a place through which the additional feeding operation of the tool 30 passes.

공급방향으로 엇갈려 정렬배치된 작업요소(35a-35d)를 제공하는 것은, 작업요소(35a-35d)의 단부(35a'-35d')로 작업구역(40)의 단부(39)로부터 연장되는, 공급방향으로 유효한 작업구역(40)에 따르는 영역에 있는 그 후방섹션(41)이, 작업요소(35a-35d)의 작업구역(40)이 일단 작업피스(3a-3e)에 오목부(2a-2d)를 통해 지나가면 공구(30)의 공급동작을 방해하지 않는 방식으로 설계되며, 그 예를 든다면, 각각의 작업구역(40)의 후방섹션(41)은 작업요소(35a-35d)의 작업구역(40)에 의해 바로 형성된 오목부를 통하여 활주하는 방식으로 설계되는 것이다.Providing staggered work elements 35a-35d in the feed direction extends from end 39 of work zone 40 to ends 35a '-35d' of work elements 35a-35d, Its rear section 41 in the area along the effective working zone 40 in the feeding direction is such that the working zone 40 of the working elements 35a-35d once has a recess 2a-in the workpiece 3a-3e. Passing through 2d) is designed in such a way that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eeding operation of the tool 30, for example, the rear section 41 of each work zone 40 is connected to the work elements 35a-35d. It is designed in such a way that it slides through the recess formed directly by the work zone 40.

상술된 설명은 작업방향(B)으로 공구(30)에 작용하는 진동힘이 압압기구(20)의 공급기구(21)의 적절한 이동으로 생성된다는 것을 가정한 것이다. 다르게는, 공구(30)에 작용하는 햄머형 작업힘이 공급기구(21)가 생략된 경우에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장착기구(20)에 의해 발생되도록, 압압기구(20)의 진동 이동에 더하여 또는 제위치에서 상관 공급기구(11)에 의해 장착기구(10)가 이동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assumes that the vibrating force acting on the tool 30 in the working direction B is generated by the proper movement of the feed mechanism 21 of the pressing mechanism 20. Alternatively, in addition to the vibrating movement of the pressing mechanism 20, the hammer-like working force acting on the tool 30 is generated, in whole or in part, by the mounting mechanism 20 when the supply mechanism 21 is omitted. The mounting mechanism 10 can be moved by the correlation supply mechanism 11 in position.

일부 적용물에서는, 공구(30)에 가해지는 측면힘이, 공구(30)상에 진동 공급동작이 충분하여 소요되지 않는다.In some applications, the lateral force exerted on the tool 30 is not sufficient because of the sufficient vibration feeding action on the tool 30.

양호한 예를 통해 나타내는 도4의 3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원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형성되는 변경된 서로 다른 오목부 기하형상을 설명한다. 도4에 하부도면은 적절한 반-원추형태의 작업요소(35)의 대응 작업구역(40)이 제공된 반-원형 오목부(2c)를 나타낸 도면이다.As shown in the three figures of FIG. 4 showing through preferred examples, different modified recess geometries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method described herein are described. The bottom view in FIG. 4 shows a semi-circular recess 2c provided with a corresponding work zone 40 of a suitable semi-conical working element 35.

도4에 중간도면은 엣지형 작업구역(40)이 적절한 장방형 단면을 명확하게 나타낸 대략 장방형 오목부(2b)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showing an approximately rectangular recess 2b in which the edge-shaped work zone 40 clearly shows a suitable rectangular cross section.

도4에 상부도면은 일 예를 들어 자동차에 헤드레스트의 고정요소로 사용되는 대략 톱니 모양으로 이루어진 오목부(2a)를 나타낸 도면이다. 작업피스(3)의 축선방향에 대해 대체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어지는 록킹 면(2a")과 작업피스(3)의 축선방향으로 대체로 이어지는 록킹 베벨(2a")이 이러한 경우에 설치된다. 따라서, 작업요소(35)의 작업구역(40)은 상부도면에서와 같이 측부에서 보았을 때에 직각삼각형으로 설계된다.The top view in FIG. 4 shows, for example, a substantially serrated recess 2a used as a fixing element of a headrest in an automobile. A locking face 2a ", which extends in a direction generally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workpiece 3, and a locking bevel 2a", which extends generally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workpiece 3, are provided in this case. Thus, the work zone 40 of the work element 35 is designed in a right triangle when viewed from the side as in the upper view.

도4에 표시된 2개 상부 작업요소(35)를 연관시키어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엣지형상 작업구역에는 교차식 모양으로 양호하게 배열된 그 표면 위에오목부(43)가 설치된다. 이러한 방식은 오목부(43)의 구역에 작업피스(3)에서의 작용이 없어서, 작업요소(35)의 영향과 가해지는 힘이 오목부(43)에 반대측에서 증가하게 한다.As can be appreciated by associating the two upper work elements 35 shown in Fig. 4, the edge-shaped work zone is provided with a recess 43 on its surface which is well arranged in an intersecting shape. This way there is no action on the workpiece 3 in the region of the recess 43, such that the influence of the work element 35 and the applied force increas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recess 43.

상술된 바와 같이, 작업요소(35a-35d)는 작업피스(3a-3e)에 대체로 직교적으로 작용하도록 보장되어져 있다. 이들이 작업피스(3a-3e)상에서 한정 각도 하에서 동작하는 방식으로 작업요소(35a-35d)가 공구(30)의 기부(36)에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오목부(2a-2d)에 경감부(relief)를 형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ork elements 35a-35d are guaranteed to act generally orthogonally to the work pieces 3a-3e. Work elements 35a-35d can be arranged on the base 36 of the tool 30 in such a way that they operate under defined angles on the workpieces 3a-3e. Therefore, relief parts can be formed in the recessed parts 2a-2d.

더우기, 상술된 바와 같이, 작업피스(3a-3e)가 장착기구(10)에 고정위치에 장착되어, 상술된 방법에 의해, 작업피스(3a-3e)의 전체 원주부 이상으로 연장하지 않는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게 보장되어진 것이다. 그러나, 작업피스(3a-3e)의 작업 중에, 이들이 그 종축선을 따라서 회전되어 한정된 각도 이상으로 또는 작업피스의 전체 원주둘레부 이상으로 연장하는 오목부(2a-2d)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Furthermore, as described above, the workpiece 3a-3e is mounted at the fixed position on the mounting mechanism 10, and concave not extending beyond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workpiece 3a-3e by the method described above. It is guaranteed that an addition can be made. However, during the work of the workpieces 3a-3e, they can be produced and provided with recesses 2a-2d which rotate along their longitudinal axis and extend beyond a defined angle or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workpiece. It is.

상술된 기구는 관형 작업피스에서 특정하게는, 얇은-벽의 작업피스에서 스플라인의 재연용으로 특히 적합한 것이다. 따라서, 공구(30)에 적절한 수의 작업요소(35a-35d)를 제공하여 상기 작업요소(35a-35d)를 이격공간지게 하여,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상술된 바와 같은 상기와 같이 상호결합하는 형태를 또는 적어도 상기와 같이 상호결합하는 단면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만일, 작업요소(35a-35d)에 비해 더 많은 오목부를 가진 스플라인이 공구(30)에 제공된다면, 양호하게 장치(1)는 도시 않은 부가적인 공급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수단에 의해 작업피스(3a-3e)는공구(30)에 의해 이행되어진 바와 같은 제1작업공정 후에 그 축선방향으로 전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The instrument described above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the replay of splines in tubular workpieces, especially in thin-walled workpieces. Thus, the tool 30 is provided with an appropriate number of work elements 35a-35d to space the work elements 35a-35d apart, and in such a simple manner as to be mutually coupled as described above. Or it can be at least a cross section which is mutually coupled as described above. If the tool 30 is provided with splines with more recesses than the work elements 35a-35d, the device 1 preferably has an additional supply mechanism, not shown, by means of which the workpiece ( 3a-3e) can be moved forward in the axial direction after the first working process as implemented by the tool 30.

Claims (29)

작업피스(3a-3e)에 오목부(2a-2d)를 생성하기 위한 1개 이상의 작업요소(35; 35a-35d)를 구비하며 전진방향 공급기구(31)에 의해 이동되는 공구(30)를 포함하는, 작업피스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1개 이상의 작업요소(35; 35a-35d)에, 엣지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피형성되는 오목부(2a-2d)의 축선방향 신장부(l)에 대응하는 폭에 대해 그 전방단부(38)로부터 대향단부(39)로 확장되는 작업구역(40)이 설치되고; 상기 작업구역(40)은 피형성되는 오목부(2a-2d)의 깊이(t)에 대응하는 높이(h)로 상기 공구(30)의 기부(36)로부터 상승하며; 상기 장치(1)는 그에 의해 공급방향과는 다른 작업방향(B)으로 동작하는 작업힘이 공구(30)에 가해지는 메카니즘(10,11;20,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피스에 오목부 형성장치.The tool 30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work elements 35 (35a-35d) for creating the recesses 2a-2d in the workpiece 3a-3e and moved by the forward direction feed mechanism 31. 1. An apparatus for forming a recess in a workpiece, comprising: an axial extension of the recess 2a-2d in the shape of an edge and formed in at least one working element 35; 35a-35d. A work zone 40 is provided which extends from its front end 38 to the opposite end 39 with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ork zone 40 rises from the base 36 of the tool 30 to a height h corresponding to the depth t of the recesses 2a-2d to be formed; The apparatus 1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ork piece comprises mechanisms 10, 11; 20, 21, by which a working force acting in a working direction B different from the feeding direction is applied to the tool 30. On the recess forming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힘은 진동힘, 양호하게는 주기적인 진동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피스에 오목부 형성장치.2.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ork force is a vibration force, preferably a periodic vibration force. 제2항에 있어서, 공구(30)에 작업방향(B)으로 동작하는 작업힘은 최대값과 최소값 과의 사이에서 변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피스에 오목부 형성장치.3.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working force acting in the working direction (B) on the tool (30) varies between a maximum value and a minimum value. 제3항에 있어서, 공구(30)에 가해지는 햄머형 힘의 최소값은,메카니즘(10,11;20,21)에 의한 전진방향 행정으로 공구(30)에 힘을 가한 후에, 공구(30)가 부 순차적 역행정(subsequent reverse stroke)에서 1개 이상의 작업피스로부터 원격지게 이동하도록, ≤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피스에 오목부 형성장치.The tool 30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minimum value of the hammer-like force applied to the tool 30 is applied after the force is applied to the tool 30 in a forward stroke by the mechanisms 10, 11; 20, 21. The apparatus for forming recesses in a workpie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 0, to move remotely from one or more workpieces in a subsequent reverse stroke.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는 1개 이상의 작업피스(3a-3e)를 장착하는 장착기구(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피스에 오목부 형성장치.The recess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device (1) comprises a mounting mechanism (10) for mounting one or more workpieces (3a-3e). Forming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기구(10)는 공급기구(11)를 포함하고, 그리고 장착기구(10)는 공구(30)에 작업힘을 가하는 공급기구(11)에 의해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피스에 오목부 형성장치.6. The mounting mechanism (10) according to claim 5,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mechanism (10) comprises a supply mechanism (11), and the mounting mechanism (10) is movable by a supply mechanism (11) applying a working force to the tool (30). Concave forming device on the workpiece.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21)는 압압기구(20)를 포함하고, 상기 압압기구(20)는 장착기구(10)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피스에 오목부 형성장치.The device (1)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characterized in that the mechanism (21) comprises a pressing mechanism (20), the pressing mechanism (20) being disposed opposite the mounting mechanism (10). A recess forming device on the workpie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기구(20)는, 그에 의해 압압기구(20)가 공구(30)를 결합하기 위해 이동 가능한 공급기구(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피스에 오목부 형성장치.8. The recess of claim 7, wherein the press mechanism 20 comprises a feed mechanism 21 by which the press mechanism 20 is movable to engage the tool 30. Device.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30)는 공급기구에 의해 장착기구(10)에 장착되는 작업피스(3a-3e)를 일정하게, 단속적으로, 또는 진동적으로 통과하도록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피스에 오목부 형성장치.The tool 30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wherein the tool 30 constantly, intermittently, or vibratingly holds the work pieces 3a-3e mounted to the mounting mechanism 10 by a supply mechanism. Recess forming apparatus on the workpiece, characterized in that movable to pass through.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기구(31)는 공구(30)용 공급동작 힘을 발생하고, 상기 힘은 세기와 방향이 변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피스에 오목부 형성장치.10. The recess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supply mechanism (31) generates a supply operation force for the tool (30), the force varying in strength and direction. Department forming devi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30)용의 공급동작 힘은, 그에 의해 공구(30)가 공급방향으로 이동되는 전진방향 행정 후에, 부 순차적 역행정에서, 상기 공급방향에 대한 반대방향으로 공구(30)의 후퇴방향 동작이 이행되도록, 공급기구(31)에 의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피스에 오목부 형성장치.12. The tool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supply operation force for the tool 30 is, in a subsequential reverse strok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upply direction, after a forward stroke in which the tool 30 is moved in the supply direction. The recess forming apparatus in the work piece which is generated by the supply mechanism 31 so that the backward direction operation | movement of 30 may be implemented.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30)의 1개 이상의 작업요소(35a-35d)의 작업 구역(40)은, 장방형, 삼각형, 타원형, 다각형 또는 반원형 단면 모양체를 공구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적인 평면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피스에 오목부 형성장치.12. The work zone 40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ork zone 40 of one or more work elements 35a-35d of the tool 30 has a rectangular, triangular, elliptical, polygonal or semi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A recess forming apparatus for a workpie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ol.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30)의 1개 이상의 작업요소(35a-35d)의 1개 이상의 작업구역(40)은, 상기 작업구역(40)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지는 1개 이상의 오목부(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피스에 오목부 형성장치.The work zone 40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at least one work zone 40 of the at least one work element 35a-35d of the tool 30 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ork zone 40. At least one recess (43) leading to the recess forming apparatus on the workpiece.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30)의 1개 이상의 작업요소(35a-35d)는 상기 공구(30)의 기부(36)에 대해 직교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피스에 오목부 형성장치.14. Work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working element (35a-35d) of the tool (30) is orthogonal to the base (36) of the tool (30). Device for forming recess in piece.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30)의 1개 이상의 작업요소(35a-35d)는 상기 공구(30)의 기부(36)에 대해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피스에 오목부 형성장치.15. Work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working element (35a-35d) of the tool (30)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base (36) of the tool (30). Device for forming recess in piece.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개 이상의 공급기구(11,21,31)는 작업힘의 발생을 위한 공압식 또는 유압식 작동 피스톤(11',21',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피스에 오목부 형성장치.16. The at least one feed mechanism (11, 21, 31)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comprising pneumatic or hydraulic actuating pistons (11 ', 21', 31 ') for the generation of working forces. Concave forming apparatus on the workpiec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개 이상의 공급기구(12,22,32)가 모터에 의해 동력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피스에 오목부 형성장치.17.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at least one supply mechanism (12,22,32) is powered by a motor.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30)의 2개 이상의 작업요소(35a-35d)가 상기 공구(30)의 공급방향으로 엇갈려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피스에 오목부 형성장치.18. The workpiece according to one of the preceding claim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wo work elements (35a-35d) of the tool (30) are staggered in the feeding direction of the tool (30). Recess forming apparatus.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30)는 압압기구(20)의 안내요소(25)에 안내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피스에 오목부 형성장치.19.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tool (30) is guided by a guide element (25) of the pressing mechanism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는 그 길이방향 축 둘레에 1개 이상의 작업피스(3a-3e)를 전환시키는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피스에 오목부 형성장치.20. The workpiece according to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device (1) comprises a mechanism for switching one or more workpieces (3a-3e) about its longitudinal axis. Recess forming apparatus.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는 그 축방향으로 1개 이상의 작업피스(3a-3e)를 전진시키는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피스에 오목부 형성장치.The recess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device (1) comprises a mechanism for advancing one or more workpieces (3a-3e) in its axial direction. Forming device. 작업피스(3a-3e)에 오목부(2a-2d)를 생성하기 위해 1개 이상의 작업요소(35; 35a-35d)가 동작하며, 작업피스에서 동작하는 공구(30)가 공급기구(31)에 의한 공급방향으로 이동되는, 작업피스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 공구(30)는, 공급방향으로 엣지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폭(b)에 대해 그 전방단부(38)로부터 작업구역(40)의 대향단부(39)로 확장되는 작업구역(40)을 가진 1개 이상의 작업요소(35; 35a-35d)를 구비하고; 상기 공구(30)의 기부(36)로부터 높이(h)로 상승하며; 상기 폭(b)은 피형성되는 오목부(2a-2d)의 축 연장부(l)와 대체로 동일하며; 상기 높이(h)는 피형성되는 오목부(2a-2d)의 적어도 깊이(t)이며; 상기 공구(30)는 공급방향과는 다른 작업방향(B)을 가지는 작업힘을 받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피스에 오목부 형성방법.One or more work elements 35 (35a-35d) are operated to create recesses 2a-2d in the workpieces 3a-3e, and the tool 30 operating in the workpieces is provided with a feed mechanism 31 In the method of forming a recess in the workpiece, which is moved in the feeding direction by means of the tool, the tool 30 is formed in an edge shape in the feeding direction and from the front end 38 thereof with respect to the width b. One or more work elements 35 (35a-35d) having a work zone 40 extending to the opposite end 39 of 40; Rise from the base 36 of the tool 30 to a height h; The width b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axial extension 1 of the recesses 2a-2d to be formed; The height h is at least the depth t of the recessed portions 2a-2d to be formed; The tool (30) is a method for forming a recess in the work pie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ork force having a working direction (B) different from the supply direction.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힘은 진동힘, 양호하게는 주기적인 진동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피스에 오목부 형성방법.23. A method according to claim 22, wherein the work force is a vibration force, preferably a periodic vibration force.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공구(30)에 작업방향(B)으로 동작하는 작업힘은 최대값과 최소값 과의 사이에서 변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피스에 오목부 형성방법.24. Method according to claim 22 or 23, characterized in that the working force acting in the working direction (B) on the tool (30) varies between a maximum value and a minimum value. 제24항에 있어서, 공구(30)에 가해지는 햄머형 힘의 최소값은 제로와 같거나 적으며, 공구(30)는 작업힘을 발생하는 기구(10,11;20,21)의 전진방향 행정에서 작업힘을 받게 되고, 그리고 부 순차적 역행정에서 공구(30)가 1개 이상의 작업피스(3a-3e)로부터 원격지게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피스에 오목부 형성방법.25. The forward stroke of the tool (10, 11; 20, 21) of claim 24, wherein the minimum value of the hammer-like force exerted on the tool (30) is less than or equal to zero and the tool (30) generates a working force. And a tool 30 is moved remotely from one or more workpieces (3a-3e) in a subsequential reverse stroke. 제22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30)는 공급기구(31)에 의해 장착기구(10)에 장착되는 1개 이상의 작업피스(3a-3e)에 대해서 일정하게,단속적으로, 또는 진동적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피스에 오목부 형성방법.26. The tool 30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2 to 25, wherein the tool 30 is consistent with respect to one or more workpieces 3a-3e mounted to the mounting mechanism 10 by means of a supply mechanism 31. A method of forming a recess in a workpie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ved intermittently or vibrating. 제22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기구(31)는 공구(30)용으로 힘의 세기와 방향이 변경되는 공급동작 힘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피스에 오목부 형성방법.27. The concave par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2 to 26, wherein the supply mechanism 31 generates a supply operation force for which the strength and direction of the force are changed for the tool 30. Formation method.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30)의 공급기구(31)에 의해, 공구(30)가 그 공급방향으로 이동되는 전진방향 행정 후에, 부 순차적 역행정에서, 상기 공급방향에 대한 반대방향으로의 공구(30)의 후퇴방향 동작이 이행되는 방식으로, 공급동작 힘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피스에 오목부 형성방법.28. The tool according to claim 27, wherein after the forward stroke in which the tool 30 is moved in its feeding direction by the feeding mechanism 31 of the tool 30, in a subsequential reverse strok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eeding direction, A method of forming a recess in a work pie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eeding operation force is genera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retraction direction of the tool (30) of the tool (30) is implemented. 1개 이상의 오목부(2a-2d)를 가진 작업피스에서, 1개 이상의 오목부(2a-2d)가 작업구역(40)에서 1개 이상의 작업요소(35; 35a-35d)를 가진 공구(30)로 작업피스(3a-3e)를 받아서 작업피스(3a-3e)에 형성되고, 상기 작업구역(40)은 공구(30)의 공급방향으로 엣지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폭(b)에 대해 그 전방단부(38)로부터 시작하여 작업구역(40)의 대향단부(39)로 확장되며, 상기 공구(30)의 기부(36)로부터 시작하여 높이(h)로 상승하며; 상기 폭(b)은 피형성되는 오목부(2a-2d)의 축 연장부(l)와 대체로 동일하며; 상기 높이(h)는 피형성되는 오목부(2a-2d)의 적어도 깊이(t)이며; 그리고 상기 공구(30)는 공급방향과는 다른 작업방향(B)으로 동작하는작업힘을 받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이상의 오목부를 가진 작업피스.In a work piece having at least one recess 2a-2d, the tool 30 having at least one recess 2a-2d has at least one work element 35; 35a-35d in the work zone 40. The work piece 3a-3e is formed in the work piece 3a-3e, and the work area 40 has an edge shape in the feeding direction of the tool 30, Starts from the front end 38 and extends to the opposite end 39 of the work zone 40 and starts at the base 36 of the tool 30 and rises to a height h; The width b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axial extension 1 of the recesses 2a-2d to be formed; The height h is at least the depth t of the recessed portions 2a-2d to be formed; And said tool 30 is subjected to a working force operating in a working direction B different from the feeding direction.
KR1020027002441A 1999-08-28 2000-08-23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a recess in a workpiece KR20020053056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40995.1 1999-08-28
DE19940995A DE19940995A1 (en) 1999-08-28 1999-08-28 Device for making a recess in a workpiece
PCT/EP2000/008208 WO2001015827A1 (en) 1999-08-28 2000-08-23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a recess in a workpie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3056A true KR20020053056A (en) 2002-07-04

Family

ID=7920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2441A KR20020053056A (en) 1999-08-28 2000-08-23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a recess in a workpiece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212155B1 (en)
JP (1) JP2003508225A (en)
KR (1) KR20020053056A (en)
AT (1) ATE250474T1 (en)
CA (1) CA2381844A1 (en)
CZ (1) CZ2002732A3 (en)
DE (2) DE19940995A1 (en)
HU (1) HUP0203327A2 (en)
WO (1) WO2001015827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012694A1 (en) 2015-09-26 2017-03-30 Icm - Institut Chemnitzer Maschinen- Und Anlagenbau E.V. Method, tool and device for introducing a cavity cutting a hollow body by at least partial pressure form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71371A (en) * 1937-12-24 1939-08-29 Du Pont Crimping device
US3656879A (en) * 1969-01-14 1972-04-18 N L Applic Sa Method of manufacturing a burner and a burner thus manufactur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12155A1 (en) 2002-06-12
ATE250474T1 (en) 2003-10-15
DE50003853D1 (en) 2003-10-30
HUP0203327A2 (en) 2003-01-28
CZ2002732A3 (en) 2002-08-14
JP2003508225A (en) 2003-03-04
DE19940995A1 (en) 2001-03-15
WO2001015827A1 (en) 2001-03-08
EP1212155B1 (en) 2003-09-24
CA2381844A1 (en) 200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01037C (en)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in particular cold-forming, workpieces
JP2009500179A (en) Method for forming internal and external teeth in thin-walled cylindrical hollow body
JP36187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otches in a support tube for an automobile seat, particularly a headrest support tube, and the support tube for an automobile seat, particularly a headrest support tube
US6402440B2 (en) Tool assembly
US74344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cylindrical hollow body from a blank
US4470330A (en) Tooling assembly for an impact press
JP2001507285A (en) Mechanical joining method and device
US3177688A (en) Forging machine for the internal profiling of tubular workpieces, particularly of barrels for firearms
KR20020053056A (en)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a recess in a workpiece
US3602521A (en) Chuck
US3585832A (en) Metal working
KR102328427B1 (en) Tail stock
US4195957A (en) Boring tool with floating double edged knife
EP0413790B1 (en) Cold pressure welding method and machine
US7861572B2 (en) Method and device for making at least partly profiled tubes
US20030061925A1 (en) Apparatus for cutting an elongate tube
NL8202558A (en) PORTABLE IMPACT WITH VIBRATION DAMPING.
RU2291764C1 (en) Combined tool for working openings by needle milling cutter at strengthening surface of openings
US3404554A (en) Powered sheet- and panel-edge offsetting tools
DE20216310U1 (en) Press-in
JP200750495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the edge region of a cylindrical hollow body
JP2934131B2 (en) Fixing device for punch guide
RU2104114C1 (en) Apparatus for expanding hollow articles
RU2364493C1 (en) Method for pulse wire brushing
RU2428283C1 (en) Oscillating needle hob for processing of pla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