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3047A - 집어용 할로겐 램프 - Google Patents

집어용 할로겐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3047A
KR20020053047A KR1020020032324A KR20020032324A KR20020053047A KR 20020053047 A KR20020053047 A KR 20020053047A KR 1020020032324 A KR1020020032324 A KR 1020020032324A KR 20020032324 A KR20020032324 A KR 20020032324A KR 20020053047 A KR20020053047 A KR 20020053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ament
light emitting
glass
glass tube
halogen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2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2344B1 (ko
Inventor
김충겸
Original Assignee
김충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71549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2005304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충겸 filed Critical 김충겸
Publication of KR20020053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3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2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23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9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어용 할로겐 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리구의 내부에 설치되는 발광관을 "U"자형으로 굴곡되게 형성하면서 유리구의 상측 내부에 반사막을 형성하여 필라멘트에서 발산되는 빛이 해수면 방향으로 집중적으로 조사되게 하고, 발광관의 하부에는 필라멘트에서 해리되는 미세한 텅스텐분말이 모이게 하는 불순물모임부를 형성하여 발광관을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할로겐 가스와 필라멘트(11)가 봉입되어 있는 발광관(10)과, 상기 발광관(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전기소켓에 결합되는 베이스(30)와, 상기 베이스(30)에 봉합되어 있는 유리구(20)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유리구(20)의 상측 내면에는 반사막(21)이 형성되고, 상기 발광관(10)은 "U"자 형으로 굴곡 형성되며, 상기 발광관(10)의 유리관(15)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앵커지지부(16)가 내향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유리관(15)의 내부에는 중앙부가 필라멘트(11)에 감겨져서 고정되고 외주연은 앵커지지부(16)에 걸려 지지되는 앵커(13)가 설치되며, 상기 유리관(15)의 내측 중심부에는 유리관의 형상대로 구부러진 필라멘트(11)가 앵커(13)에 의해 지지되게 설치되며, 상기 유리관(15)의 하측에는 유리관의 내부와 통하는 공간부(17)를 구비한 불순물모임부(18)가 유리관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리구(20)의 내측 상부에 수직 설치되는 밀봉지지부(23)에는 외주연이 하향 경사진 반사갓(24)이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집어용 할로겐 램프{A halogen lamp for gathering fish}
본 발명은 집어용 할로겐 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리구의 내부에 설치되는 발광관을 하부가 둥근 "U"자형으로 굴곡되게 형성하면서 유리구의 상측 내부에 반사막을 형성하여 필라멘트에서 발산되는 빛이 해수면 방향으로 집중적으로 조사되게 하고, 발광관의 하부에는 필라멘트에서 해리되는 미세한 텅스텐분말 입자가 모여 발광관을 수명을 연장시키게 하는 불순물모임부 형성한 집어용 할로겐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어등은 꽁치, 고등어, 오징어 등 주광성(走光性)이 있는 어족 및 어군을 모여들게 하기 위하여 집어선에 장치하는 등불로서 사용목적에 따라 수상등과 수중등으로 나누며, 광원으로는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백열전구를 비롯하여 투광용 조명에 적합한 할로겐 램프, 형광체의 종류에 따라 파장조절이 자유로운 형광등 및 발광효율이 뛰어난 수은등 등이 있다.
집어등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할로겐 램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소켓에 나사결합되는 베이스(30)와, 상기 베이스(30)에 봉합되어 있는 유리구(20)와, 상기 유리구(20)의 내측에 설치되어 빛을 발산하는 발광관(1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발광관(10)의 내부에는 코일스프링을 조밀하게 감은 형상의 필라멘트(11)가 삽입 설치되며, 이 필라멘트(11)의 양쪽 끝단에서 이어져 나온 각각의 도선(12)(12a)이 각각 베이스(30)의 단부접점(32a)과 실링부(33)에 접속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할로겐 램프를 점등하게 되면, 필라멘트(11)가 발광하면서 빛을발산하게 되는데, 종래의 할로겐 램프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관(10)이 긴 막대형으로 길게 형성되며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필라멘트(11)에서 발산되는 빛이 해수면으로 조사되지 않고, 유리구를 통하여 사방 외측으로 분산되어 조사되므로 해수면으로 집중되는 빛의 양이 적어지게 되며, 이로 인하여 빛의 손실이 많아져 램프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할로겐 램프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할로겐 램프의 외부에 원추형의 반사갓을 씌워 사용하고 있으나, 할로겐 램프를 오랫동안 사용하게 되면 반사갓에 먼지 및 해풍으로 인한 소금기가 쌓이게 되어 해수면으로 빛을 집중시키지 못하므로 자주 청소를 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램프 자체는 해수면으로 빛을 집중시키는 능력이 향상되지 않으므로 빛의 손실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할로겐 램프의 내부에 설치되는 발광관을 "U"자 형으로 굴곡지게 형성하고, 유리구의 상단부 내측으로 반사막을 형성함으로서, 야간 어로 작업시 필라멘트에서 발산된 빛이 해수면 방향으로 조사되도록 하여 빛의 손실을 감소시키고, 이로 인하여 램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발광관의 하부에 불순물모임부를 형성함으로서, 필라멘트에서 해리되는 미세한 텅스텐분말이 불순물모임부에 모이도록 하여 발광관을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내부에 할로겐 가스와 필라멘트가 봉입되어 있는 발광관과, 상기 발광관의 상부에 형성되어 전기소켓에 결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봉합되어 있는 유리구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유리구의 상측 내면에는 반사막이 형성되고, 상기 발광관은 "U"자 형으로 굴곡 형성되며, 상기 발광관의 유리관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앵커지지부가 내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유리관의 내부에는 중앙부가 필라멘트에 감겨져서 고정되고 외주연은 앵커지지부에 걸려 지지되는 앵커가 설치되며, 상기 유리관의 내측 중심부에는 유리관의 형상대로 구부러진 필라멘트가 앵커에 의해 지지되게 설치되며, 상기 유리관의 하측에는 유리관의 내부와 통하는 공간부를 구비한 불순물모임부가 유리관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할로겐 램프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할로겐 램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할로겐 램프의 이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실시예의 할로겐 램프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도 3의 "A"부를 확대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6의 (가) 내지 (라)는 발광관의 각종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발광관 11 : 필라멘트 12,12a : 도선
13 : 앵커 14 : 지지봉 15 : 유리관
16 : 앵커지지부 17 : 공간부 18 : 불순물모임부
19 : 발광관설치대 20 : 유리구 21 : 반사막
22 : 돌기부 22a : 공간부 23 : 밀봉지지부
24 : 반사갓 25 : 지지밴드 30 : 베이스
31 : 나사부 32 : 절연체 32a : 단부접점
33 : 실링부
이하 본 발명을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할로겐 램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할로겐 램프의 이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와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이실시예의 주요 구성요소인 발광관의 일부를 확대도시한 부분단면도이며, 도 6의 (가) 내지 (라)는 발광관이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되는 각종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집어용 할로겐 램프는 전기소켓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도록 외주연에 나사부(31)를 형성하며 전도체로 형성된 베이스(30)를 구비하고, 이 베이스(30)의 내측 상부에는 절연체(32)가 삽입 설치되어 있으며, 이 절연체(32)에는 전기소켓의 전극과 접촉하는 단부접점(32a)이 상측에 상향 돌출되게 설치되고절연체(32)의 하측으로는 2개의 전극단자(23a,23b)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몰딩된 절연체로된 밀봉지지부(23)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2개의 전극단자(23a,23b) 중에서 한 개의 전극단자(23a)는 베이스(30)의 내벽면과 연결되고, 또 다른 한 개의 전극단자(23b)는 단부접점(32a)과 연결된다.
그리고, 베이스(30)의 하부에는 투명유리로 형성되어 커버체기능을 하는 유리구(20)가 하향 설치되며, 이 유리구(20)의 중앙하부에는 내측으로 공간부(22a)를 형성하는 돌기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유리구(20)의 내측 상부면에는 수은이나 알루미늄을 진공증착시킨 반사막(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리구(20)의 내측 상부에 수직 설치되는 밀봉지지부(23)의 외측에는 외주연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접시형의 반사갓(24)이 하향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리구(20) 내측에는 상단이 일측 전극단자(23a)의 연결되고 하단은 돌기부(22) 내부의 공간부(22a)에 지지밴드(25)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봉(14)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이 지지봉(14)의 상하부에는 발광관설치대(19)가 각각 연결 설치되며, 이 발광관설치대(19)에는 하측이 둥글게 굴곡된 발광관(10)이 고정설치된다.
상기 발광관(10)은 도 6의 (가) 내지 (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여러 가지 형태로 제작이 가능한데, 도 6의 (가)에 도시된 발광관(10)은 하측이 둥글게 굴곡되고 양측단은 상측으로 수직하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그 외형이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 6의 (나)에 도시된 발광관(10)은 하측이 둥글게 굴곡되고 양측단은 상측으로 수직하게 형성하되, 양측 수직부를 내측으로 오므린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도 6의 (다)에 도시된 발광관(10)은 하측을 링형상으로 둥글게 형성하면서 양측단은 상측으로 수직하게 형성한 것이며, 도 6의 (라)에 도시된 발광관(10)은 하측을 둥글게 형성하면서 양측단은 상측으로 수직하게 형성하고, 타측은 둥글게 절곡된부분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구부러지다가 상부가 수직하게 올라간 것으로 그 형상을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 발광관(10)은 도 2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투명한 유리관(15)을 구부려서 제작하며 양단부는 열을 가하여 봉하며, 그 내부에는 필라멘트(11)가 삽입설치되며, 이 필라멘트(11)의 양단의 도선(12,12a)은 발광관(10)의 양측단부의 외부로 노출되어 일측 도선(12)은 일측 전극단자(23a)와 연결된 지지봉(14)의 상부와 연결되고 타측 도선(12a)은 타측 전극단자(23b)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필라멘트(11)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을 조밀하게 권회시킨 형태로 형성되는 코일부(11a)와, 코일부(11a)의 단부에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직선부(11b)로 이루어지며, 이 직선부(11b)는 유리관(15)의 양단을 납작하게 눌러 봉하는 부분에 위치하고 각각의 도선(12,12a)이 연결된다.
그리고, 발광관(10)의 유리관(15)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필라멘트(11)가 유리관 내부의 정중앙에 위치하도록 내측으로 오목한 앵커지지부(16)를 내향돌출되게 형성하고, 유리관(15)의 내부에는 중앙부가 필라멘트(11)에 감겨져서 고정되고 외주연은 앵커지지부(16)에 지지되어 걸리는 앵커(13)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유리관(15)의 하측에는 유리관의 내부와 통하는 공간부(17)를 구비한 불순물모임부(18)가 유리관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집어용 할로겐 램프의 작용관계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미도시된 전기소켓에 할로겐 램프를 결합하면 전기소켓에 베이스(30)가 밀착되어 저면전극에 단부접점(32a)이 접촉하고, 측면전극에 일측 전극단자(23a)와 베이스(30)가 접촉되게 연결되는 실링부(33)가 접촉하게 되어, 야간 어로 작업시 할로겐 램프를 점등하게 되면 상기 단부접점(32a)과 실링부(33)에 접촉되어 있는 한 쌍의 도선(12)(12a)을 타고 필라멘트(11)로 전류가 공급된다.
이와 같이 전류가 공급되면 필라멘트(11)는 전기의 흐름에 의해 발열되어 빛을 발산하게 되고, 이때 발광부(10)의 전체면으로 빛이 분산되어 나가게 되는데, 발광부(10)의 형상이 하측이 둥글게 굴곡된 "U"자 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코일부(11a)에서 발광되므로 대부분의 빛이 발광부(10)의 굴곡 형성되어 있는 하부 즉, 해수면 방향으로 발산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대부분의 빛이 둥근 하부측으로 발산되나, 일부의 빛이 유리구(20)의 상부측으로도 분산되게 되는데, 유리구(20)의 상부측으로 분산되는 빛은 반사막(21)과 외주연이 하향 경사진 반사갓(24)에 의해 하측으로 반사되어 하측의 해수면 방향으로 조사되게 된다.
따라서 발광부(10)의 하부에서 발산되는 빛과 반사막(21)과 반사갓(24)에 의해 반사되는 빛이 해수면 방향으로 집중되므로서, 빛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어군(魚群)을 모으기 위한 집어등으로서 할로겐 램프의 효율을 높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반사갓(24)은 빛을 하측으로 반사시키는 기능 외에 필라멘트(11)가 발광될 때 발생되는 열기가 밀봉지지부(23)측으로 올라가는 것을 차단하여 밀봉지지부(23)와 그 내부에 몰딩된 전극단자(23a,23b)의 소손을 방지하고, 베이스(30)가 가열되어 베이스가 나사식으로 체결되는 전기소켓까지 가열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필라멘트(11)가 발광될 때 필라멘트에서는 미세한 텅스텐분말 입자가 해리되게 되는데, 이렇게 해리되는 미세한 텅스텐분말 입자는 대류현상에 의해 밀봉된 발광관(10)의 내부에서 떠 돌아 다니다가 온도가 낮은 하측으로 내려오게 된다.
이때, 발광관(10)의 중앙하부에는 유리관(15)과 일체형으로 불순물모임부(18)가 하측으로 길게 형성되어서 그 불순물모임부(18)의 온도가 발광관(10)에서는 온도가 가장 낮으므로 온도가 낮은 불순물모임부(18)의 공간부(17)로 필라멘트에서는 해리된 미세한 텅스텐분말 입자가 모이면서 쌓이게 된다.
상기와 같이 불순물모임부(18)의 공간부(17)로 미세한 텅스텐분말 입자가 모이면서 쌓이게 됨에 따라 유리관의 다른 곳에는 텅스텐분말 입자가 증착되지 않아 텅스텐분말 입자가 유리관 내벽에 증착해서 까맣게 되는 흑화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흑화현상이 발생하지 않음에 따라 유리관이 투명도를 유지하여 필라멘트에서 발광되는 빛이 외부로 그대로 발산되는 효과와, 텅스텐분말 입자가 유리관 내벽에 증착해서 흑화현상이 발생하는 경우에 그 부분에 열이 집중되면서 그부분이 불룩하게 솟아오르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발광관(10)의 유리관(15) 내부에 삽입되는 필라멘트(11)가 도선(12,12a)과 연결되는 부분이 직선형으로 직선부(11b)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 직선부(11b)는 납작하게 눌리어 봉해지는 유리관(15)의 양단부에 위치하므로, 유리관의 단부를 납작하게 눌러 봉할 때 직선형의 직선부(11b)는 손상될 염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단부를 납작하게 눌러 봉하는 부분까지 코일스프링 형태로 말린 경우에는 그 코일부(11a)는 손상되어 필라멘트(11)가 단락되거나 단락이 쉽게 되는 문제를 초래하게 되나,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불합리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어선 집어용 할로겐 램프는 유리구의 내부에 설치되는 발광관을 하부가 둥근 "U"자 형으로 굴곡지게 형성하고, 유리구의 상단부 내측으로 반사막을 형성하면서 발광관 상측의 밀봉지지부에 반사갓을 설치함으로서, 야간 어로 작업시 필라멘트에서 발산된 빛이 해수면 방향으로 조사되도록 하여 빛의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램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하부가 둥글게 형성된 발광관의 하부에 불순물모임부를 하측으로 길게 형성함으로서, 필라멘트가 발광하는 과정에서 해리되는 미세한 텅스텐분말입자가 발광관의 내부에서 떠 돌다가 온도가 낮은 불순물모임부에 모이게 되어 유리관 내벽에 흑화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유리관벽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발광관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유리관의 양단을 납작하게 눌러 봉하는 부분에 필라멘트의 직선부가 위치하므로 유리관의 양단을 납작하게 눌러 봉할 때 필라멘트가 단락거나 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문제를 야기시키지 않는 잇점을 아울러 지니고 있는 것이다.

Claims (4)

  1. 내부에 할로겐 가스와 필라멘트(11)가 봉입되어 있는 발광관(10)과, 상기 발광관(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전기소켓에 결합되는 베이스(30)와, 상기 베이스(30)에 봉합되어 있는 유리구(20)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유리구(20)의 상측 내면에는 반사막(21)이 형성되고, 상기 발광관(10)은 하부가 둥근 "U"자 형으로 굴곡 형성되며,
    상기 발광관(10)의 유리관(15) 내부에는 중앙부가 필라멘트(11)에 감겨져서 고정되고 외주연은 유리관(15)의 내벽에 지지되는 앵커(13)가 설치되며, 상기 유리관(15)의 내측 중심부에는 유리관의 형상대로 구부러진 필라멘트(11)가 앵커(13)에 의해 지지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선 집어용 할로겐 램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관(15)의 하측에는 유리관의 내부와 통하는 공간부(17)를 구비한 불순물모임부(18)가 유리관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리관(15)에는 앵커(13)의 외주연이 걸리는 앵커지지부(16)가 내측으로 오목하게 내향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어용 할로겐 램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구(20)의 내측 상부에 수직 설치되는 밀봉지지부(23)에는 외주연이 하향 경사진 반사갓(24)이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어용 할로겐 램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11)는 코일스프링을 조밀하게 권회시킨 형태로 형성되는 코일부(11a)와, 코일부(11a)의 양단에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직선부(11b)로 이루어지며, 이 직선부(11b)는 유리관(15)의 양단을 납작하게 눌러 봉하는 부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어용 할로겐 램프.
KR10-2002-0032324A 2001-07-18 2002-06-10 집어용 할로겐 램프 KR1004723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092 2001-07-18
KR20010043092 2001-07-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3047A true KR20020053047A (ko) 2002-07-04
KR100472344B1 KR100472344B1 (ko) 2005-03-08

Family

ID=27715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2324A KR100472344B1 (ko) 2001-07-18 2002-06-10 집어용 할로겐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23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606Y1 (ko) * 2010-11-23 2011-05-19 박정일 핑거패드
KR102147467B1 (ko) * 2019-11-12 2020-08-25 김용광 집어등용 노출단자의 절연구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9684A (en) * 1975-10-17 1977-04-20 Toshiba Corp Incandescent lamp
KR940006841Y1 (ko) * 1992-06-30 1994-10-01 이영서 식기세척기의 여과장치
JPH07320692A (ja) * 1994-08-25 1995-12-08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蛍光ランプおよび定着装置
JPH0922683A (ja) * 1995-07-07 1997-01-21 Ushio Inc 集魚灯
JP3573548B2 (ja) * 1995-10-20 2004-10-06 江東電気株式会社 水中集魚灯を使用した集魚方法
KR100396225B1 (ko) * 2001-07-02 2003-09-02 하나이 마사유끼 집어등용 전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606Y1 (ko) * 2010-11-23 2011-05-19 박정일 핑거패드
KR102147467B1 (ko) * 2019-11-12 2020-08-25 김용광 집어등용 노출단자의 절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2344B1 (ko) 2005-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59648A (en) Recessed lighting fixture and lamp mount therefor
US7784976B2 (en) Lighting apparatus
US5043623A (en) Reflector lamp assembly including metal halide arc tube
US5363295A (en) Compact fluorescent lamp reflector
KR100472344B1 (ko) 집어용 할로겐 램프
US20100181892A1 (en) Lighting apparatus
CA2131752A1 (en) Luminaire
KR20110029915A (ko) 광 효율이 향상된 조명용 led 램프
US2084999A (en) Electric lamp
US20050057931A1 (en) Luminaire reflector
US20080074057A1 (en) Halogen Lamps
JP2008004398A (ja) 電球形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CA2968565A1 (en) Ceramic metal halide lamp
CN216113456U (zh) 一种灯具发光结构及应用该结构的灯具
KR101080326B1 (ko) 광 효율이 향상된 조명용 led 램프
CN110954480A (zh) 红外光源
CN215183854U (zh) 一种具有防护作用的钨丝灯泡
CN218064450U (zh) 一种能够有效散热的led灯
EP0682355A1 (en) Bulb-form fluorescent lamp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CN212080890U (zh) 一种硬镍丝软灯条芯柱
CN214254459U (zh) 一种开关电源用高亮度发光型二极管
CN213177739U (zh) 一种基于印刷电路的led灯芯
CN211347907U (zh) 红外光源
CN211146303U (zh) 一种360度发光的led灯
CN207350264U (zh) 大功率半导体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916

Effective date: 2010042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528

Effective date: 20101007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1028

Effective date: 20110113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621

Effective date: 20110812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