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8912A - 어패류 내장에서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한 dha 및epa의 분리방법 - Google Patents

어패류 내장에서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한 dha 및epa의 분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8912A
KR20020048912A KR1020020023101A KR20020023101A KR20020048912A KR 20020048912 A KR20020048912 A KR 20020048912A KR 1020020023101 A KR1020020023101 A KR 1020020023101A KR 20020023101 A KR20020023101 A KR 20020023101A KR 20020048912 A KR20020048912 A KR 20020048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dha
epa
separation method
shellf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3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갑
이동익
조영제
김태진
조민성
Original Assignee
이원갑
이동익
조영제
김태진
조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갑, 이동익, 조영제, 김태진, 조민성 filed Critical 이원갑
Priority to KR1020020023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8912A/ko
Publication of KR20020048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891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64Fats; Fatty oils; Ester-type waxes; Higher fatty acids, i.e. having at least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bound to a carboxyl group; Oxidised oils or fats
    • C12P7/6409Fatty acids
    • C12P7/6427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i.e. having two or more double bonds in their backbon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4Hydrolases (3)
    • C12N9/48Hydrolases (3) acting on peptide bonds (3.4)
    • C12N9/50Proteinases, e.g. Endopeptidases (3.4.21-3.4.25)
    • C12N9/64Proteinases, e.g. Endopeptidases (3.4.21-3.4.25) derived from animal tissue
    • C12N9/6402Proteinases, e.g. Endopeptidases (3.4.21-3.4.25) derived from animal tissue from non-mammals
    • C12N9/6405Proteinases, e.g. Endopeptidases (3.4.21-3.4.25) derived from animal tissue from non-mammals not being snak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4/00Hydrolases acting on peptide bonds, i.e. peptidases (3.4)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패류 내장에서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하여 DHA 및 EPA를 분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통상 어류 및 연체류의 가공과정에서 표피, 몸통, 족육(식용부)을 제외한 식도, 위장, 간장, 생식선 등의 내장들은 제거되는데, 이는 전체 중량의 20% 이상을 차지하며 일부는 사료나 사료용 간유로 이용되고 있다. 어류 및 연체류의 내장에는 지방질, 비타민 B군, 무기질 함량이 높고 내장유에는 특히 높은 함량의 유지가 함유되어 있으며 유지 중에는 w-3계 지방산인 EPA(20;5w3)와 DHA(22;6w3)가 육에 비하여 월등하게 높다. 내장의 지질은 극성이 높은 인지질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백질과 분리가 어려워 폐기시, 질소에 의한 부영양화와 지방의 분해지연 등으로 환경오염을 유발하게 된다. 내장을 사료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건조하여 분쇄를 해야 하지만, 조지방 함량이 높아 분쇄가 어렵고 산패하기 쉽다. 내장을 사료원으로 제조함에 있어서 높은 지질은 많은 제조공정을 요할 뿐만 아니라 동남아 등의 더운 지방에서는 보관에 많은 주의를 필요로 한다. 지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으나 이것은 용매제거 및 폐수처리에 따른 또 다른 공정을 유발함으로써 제조단가를 상승시키기 때문에 도입하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지질 추출공법과 다른 생물학적 방법을 도입하여 고도불포화지방산을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바, 최적화된 분리방법으로 어패류 내장에서 단백질과 지질을 분리함으로써 수산가공업체의 수익을 증대시킬 뿐만아니라 부산물의 적극적인 이용과 환경오염에도 대처 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어패류 내장에서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한 DHA 및 EPA의 분리방법{Separation method of DHA and EPA utilizing resolution enzyme of protein in fish and shellfish}
본 발명은 어패류 내장에서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한 DHA(Docosahexaenoic acid) 및 EPA(Eicosapentaenoic acid)의 분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어류 및 연체류의 내장에서 오메가 3계열 고도 불포화지방산을 추출할 수 있는 신규한 분리방법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어류 및 연체류의 가공과정에서 표피, 몸통, 족육(식용부)을 제외한 식도, 위장, 간장, 생식선 등의 내장들은 제거되는데, 이는 전체 중량의 20% 이상을 차지하며 일부는 사료나 사료용 간유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어류 및 연체류의 내장은 지방질, 비타민 B군, 무기질 함량이 높고 내장유에는 특히 높은 함량의 유지가 함유되어 있으며, 유지 중에는 w-3계 지방산인 EPA(20;5w3)와 DHA(22;6w3)가 육에 비하여 월등하게 높다.
내장의 지질은 극성이 높은 인지질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백질과 분리가 어려워 폐기시 질소에 의한 부영양화와 지방의 분해지연 등으로 환경오염을 유발하게 된다.
내장을 사료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건조하여 분쇄를 해야 하지만, 조지방 함량이 높아 분쇄가 어렵고 산패하기 쉽다.
그리고 내장을 사료원으로 제조함에 있어서 높은 지질은 많은 제조공정을 요할 뿐만 아니라 동남아 등의 더운 지방에서는 보관에 많은 주의를 필요로 한다.
지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으나 이것은 용매제거 및 폐수처리에 따른 또 다른 공정을 유발함으로써 제조단가를 상승시키기 때문에 도입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어류 및 연체류 내장의 지방을 분리하는 종래 기술로는 참치의 안와(眼窩, orbit) 조직에서 가열 및 유기용매를 활용하여 지질을 추출하였으나,
DHA 및 EPA 등의 고도불포화지방산은 가열중 산화하여 AV(산가)와 POV(과산화물가)가 상승하게 되어 가치가 떨어지게 되며, 유기용매에 의한 추출방법은 가공공정에 따른 단가가 많이 드는 문제가 있었다.
현재 국내의 DHA 및 EPA 제조업체는 참치 안와조직을 수입하여 가열공정을 거쳐 DHA 및 EPA를 분리하고 있으나, 이는 수입어종을 주원료로 함으로써, 그에 따른 제 경비 지출요인이 높은 등 다수의 문제점을 안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어패류 내장에서 DHA 및 EPA를 분리할 수 있는 신규한 방법을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은 기존의 지질추출공법과는 다른 생물학적 방법을 도입하여 고도불포화지방산을 제조하기 위한 최적화된 분리방법을 제공하는바,
우리나라는 특히 어류와 패류의 소비가 많고 어패류의 내장을 활용시 환경보호는 물론 고부가가치화가 가능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어패류 내장에서 단백질과 지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함으로써 수산가공업체의 수익증대와 어패류 부산물의 적극적인 이용, 그리고 환경오염에도 적극적으로 대처 할 수 있으며,
분리방법이 보다 간단하여 시설비가 절감되고, 기존 사료회사에서도 단백질부는 분리하여 대두박을 첨가하지 않는 고부가가치의 사료원을 만들 수 있으며, DHA는 분리하여 추가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분리방법을 제공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어패류 내장의 사료화방법을 보인 공정도
도 2는 종래 참치 안와조직에서 DHA 및 EPA를 분리하는 공정을 보인 공정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분리방법을 보인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분리방법을 통하여 지질을 분리하는 사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분리방법 중 pH 조절을 통하여 지질을 분리하
는 사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분리방법 중 pH 변화에 의한 내장의 점도차이
를 보인 그래프
통상 어패류의 내장에는 인지질이 많아 단백질과 지질의 분리가 쉽지 않은바,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어패류 내장에서의 단백질과 지질 분리상의 난점을 극복하기 위해 어패류의 내장을 가열하지 않고, 효소를 사용하여 단백질을 가수분해 및 pH를 조절하여 단백질과 지질의 점착성을 저하시킨 후 연속식 원심분리방법 또는 비중에 의한 정치로 지질부분을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분리방법에 의하여 분리된 단백질부는 사료원으로, 지질부는 추출하여 식용으로 활용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지질 분리방법은 가열농축하지 않아 고도불포화지방산의 산패로 인한 품질의 저하를 방지하면서 공정을 단순화하여 저가에 고도불포화지방산을 분리하는데 있다.
즉, 도 3의 지질 분리 공정도에서 보듯이, 원료인 어패류의 내장을 발효조에투입하고, 상기 발효조에 효소를 0.01∼1%(E/S) 투입하여 발효공정을 행한다.
상기 발효공정에 의하여 인지질이 많은 단백질부를 펩타이드나 아미노산 단위로 분리하여 지질과의 결합력을 떨어지게 한 후 이를 정치(定置) 또는 연속식 원심분리방법을 사용하여 비중 차에 의해 지질을 분리하게 된다.
단백질은 고유의 등전점(isoelectric point, 等電點)을 가지고 있고, pH의 변화는 단백질의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염산이나 황산 원액 또는 희석액과 그외 산을 사용하여 pH를 1∼5사이로 조절하여 단백질과 지질의 점착성을 저하시켜 고도불포화지방의 순도가 높은 지질을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순 사료원으로 활용되거나 폐기되던 어패류의 내장에서 고부가가치의 기능성 물질인 DHA 및 EPA를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써,
본 발명에 의하면, 분리방법이 간단하며, 시설비가 절감되고, 기존 사료회사에서도 단백질부는 분리하여 대두박을 첨가하지 않는 고부가가치의 사료원을 만들 수 있으며, DHA는 분리하여 추가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

Claims (4)

  1. 어패류의 내장에서 DHA 및 EPA를 분리하는 분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어패류의 내장을 발효조에 단백질 분해효소와 투입하여 가수분해시키고, 상기 가수분해 과정에서 인지질과 단백질과의 결합력을 낮춘 후 이들의 비중차이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패류 내장에서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한 DHA 및 EPA의 분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된 인지질과 단백질을 비중차이를 이용하여 정치시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패류 내장에서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한 DHA 및 EPA의 분리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된 인지질과 단백질을 원심분리시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패류 내장에서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한 DHA 및 EPA의 분리방법.
  4. 제 1 항 내지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어패류 내장의 단백질과 인지질을 산(acid)을 사용하여 pH를 조절하여 pH 1∼5부근에서 결합력을 떨어지게 하여 오징어 내장 중의 단백질과 인지질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패류 내장에서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한 한 DHA 및 EPA의 분리방법.
KR1020020023101A 2002-04-26 2002-04-26 어패류 내장에서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한 dha 및epa의 분리방법 KR200200489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3101A KR20020048912A (ko) 2002-04-26 2002-04-26 어패류 내장에서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한 dha 및epa의 분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3101A KR20020048912A (ko) 2002-04-26 2002-04-26 어패류 내장에서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한 dha 및epa의 분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8912A true KR20020048912A (ko) 2002-06-24

Family

ID=27726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3101A KR20020048912A (ko) 2002-04-26 2002-04-26 어패류 내장에서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한 dha 및epa의 분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891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059B1 (ko) * 2005-10-13 2007-05-02 한국해양연구원 해양퇴적물 및 수질 오염 진단용 콜린계 효소 추출물 및 그추출방법
KR20200013875A (ko) * 2018-07-31 2020-02-10 주식회사 나주수산 홍어애로부터 기능성 유지를 추출하는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홍어애의 기능성 유지
KR102085775B1 (ko) * 2018-12-14 2020-04-24 송광수 참치 껍질로부터 dha를 분리 및 정제하는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6982A (ja) * 1994-03-18 1996-05-14 Asahi Chem Ind Co Ltd 高度不飽和脂肪酸グリセリドの製造方法
US5693358A (en) * 1995-10-20 1997-12-02 Park; Soo Kil Animal feed manufacturing method based on fish oil
US5734071A (en) * 1993-10-20 1998-03-31 Trikonex Ab Process for separating lipophilic compounds
KR20010007756A (ko) * 2000-08-14 2001-02-05 황도연 생선 부산물을 이용한 어육액,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함유하는 식품
KR20010055870A (ko) * 1999-12-13 2001-07-04 -- 정제 어유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4071A (en) * 1993-10-20 1998-03-31 Trikonex Ab Process for separating lipophilic compounds
JPH08116982A (ja) * 1994-03-18 1996-05-14 Asahi Chem Ind Co Ltd 高度不飽和脂肪酸グリセリドの製造方法
US5693358A (en) * 1995-10-20 1997-12-02 Park; Soo Kil Animal feed manufacturing method based on fish oil
KR20010055870A (ko) * 1999-12-13 2001-07-04 -- 정제 어유 제조방법
KR20010007756A (ko) * 2000-08-14 2001-02-05 황도연 생선 부산물을 이용한 어육액,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함유하는 식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059B1 (ko) * 2005-10-13 2007-05-02 한국해양연구원 해양퇴적물 및 수질 오염 진단용 콜린계 효소 추출물 및 그추출방법
KR20200013875A (ko) * 2018-07-31 2020-02-10 주식회사 나주수산 홍어애로부터 기능성 유지를 추출하는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홍어애의 기능성 유지
KR102085775B1 (ko) * 2018-12-14 2020-04-24 송광수 참치 껍질로부터 dha를 분리 및 정제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ilva et al. Utilization of tilapia processing waste for the production of fish protein hydrolysate
Linder et al. Proteolytic extraction of salmon oil and PUFA concentration by lipases
Gbogouri et al. Analysis of lipids extracted from salmon (Salmo salar) heads by commercial proteolytic enzymes
RU2458112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богатых омега-3 жирными кислотами морских фосфолипидов из криля
EP2024473B1 (en) Extraction of highly unsaturated lipids with liquid dimethyl ether
Sae-Leaw et al. Lipase from liver of seabass (Lates calcarifer): Characteristics and the use for defatting of fish skin
Marsol-Vall et al. Green technologies for production of oils rich in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from aquatic sources
KR101045258B1 (ko) 크릴 오일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크릴 오일
Daukšas et al. Composition of fatty acids and lipid classes in bulk products generated during enzymic hydrolysis of cod (Gadus morhua) by-products
Guérard Enzymatic methods for marine by-products recovery
da Costa Rocha et al. Perspective on integrated biorefinery for valorization of biomass from the edible insect Tenebrio molitor
Senphan et al. Impact of enzymatic method using crude protease from Pacific white shrimp hepatopancreas on the extraction efficiency and compositions of lipids
KR20020048912A (ko) 어패류 내장에서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한 dha 및epa의 분리방법
Laplante et al. Comparison of low‐temperature processes for oil and coenzyme Q10 extraction from mackerel and herring
KR102085775B1 (ko) 참치 껍질로부터 dha를 분리 및 정제하는 방법
Huong Protein and lipid recovery from tuna head using industrial protease
CN116369474A (zh) 海洋肽乳液
US20150030751A1 (en) Method for Processing Crustaceans to Produce Low Fluoride/Low Trimethyl Amine Products Thereof
Silva et al. Evaluation of enzymatic hydrolysis applied to fish by-product oil through chemical parameters
KR101541521B1 (ko) 미세조류를 이용한 도코사헥사엔산 생산방법
Ramakrishnan et al. An Overview of Bioprocessing and Biorefinery Approach for Sustainable Fisheries
Ventura et al. Optimization of the Hydrolysis Conditions of Thraustochytrid Biomass for the Production of a New Ingredient for the Aquafeed Industry
US20090130247A1 (en) Method for extracting oilseed and use of the resultant product
Huong et al. Fish oil extraction from yellowfin tuna heads by enzymatic hydrolysis method
Suresh et al. Valorization of Seafood Processing By‐Products for Bioactive Compou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