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8313A - 키보드 해킹 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키보드 해킹 방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8313A
KR20020048313A KR1020020012141A KR20020012141A KR20020048313A KR 20020048313 A KR20020048313 A KR 20020048313A KR 1020020012141 A KR1020020012141 A KR 1020020012141A KR 20020012141 A KR20020012141 A KR 20020012141A KR 20020048313 A KR20020048313 A KR 20020048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security
user
program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2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욱
최동성
Original Assignee
최동성
박화자
소프트캠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동성, 박화자, 소프트캠프(주) filed Critical 최동성
Priority to KR1020020012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8313A/ko
Publication of KR20020048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831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3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input devices, e.g. keyboards, mice or controller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05Arrangements for software licens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e.g. for managing licenses at corporate lev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71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to assure secure computing or processing of information
    • G06F21/72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to assure secure computing or processing of information in cryptographic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Technology Law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사용자가 본 발명의 방법을 채택하고 있는 웹페이지에 접속하면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이 자동적으로 사용자의 컴퓨터에 설치된다.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에는 보안 입력창 제어부와, 키테이블 생성부와, 보안 키보드 드라이버가 포함된다. 보안 입력창 제어부는 입력창이 선택될 때마다 키테이블 생성부를 사용하여 키테이블을 생성하고 보안 키보드 드라이버를 사용자의 컴퓨터에 설치한다. 보안 키보드 드라이버는 사용자가 키보드를 사용하여 입력하는 내용을 키테이블에 따라 암호화하여 시스템 메시지 대기열에 입력한다. 보안 입력창 제어부는 시스템 메시지 대기열과 쓰레드 메시지 대기열을 통해 입력받은 키보드 메시지를 키테이블을 사용하여 복호화하여 웹브라우저에 넘긴다. 프로그램 창의 포커스가 다른 창으로 바뀌면 보안 키보드 드라이버는 자동으로 제거된다. 다른 창에서 다시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이 설치된 창으로 포커스가 바뀌면 새로이 키테이블을 생성하고 보안 키보드 드라이버를 설치한다. 본 발명은 오프라인 상태의 키보드 보안에도 적용 가능하다.

Description

키보드 해킹 방지 방법 {Method for preventing key board hacking}
본 발명은 키보드 해킹 방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터넷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접속하면 자동으로 보안 키보드 드라이버와 보안 입력창 제어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보안 키보드 드라이버는 사용자가 키보드로 입력한 내용을 암호화하고 입력창 제어 프로그램은 이를 복호화하여 웹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컴퓨터에 몰래 설치되어 있는 키보드 해킹 프로그램의 키보드 해킹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금융거래, 상거래 등이 인터넷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때 정당한 거래자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들은 개방형 네트워크인 인터넷을 통해 전송되기 때문에 해커들의 공격 대상이 되고 있다. 이러한 공격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상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한 보안방법이 많이 제안되고 또한 사용되고 있다.
윈도우스와 같은 운용체계에서 키보드로 입력한 정보가 웹서버에 전달되는 과정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키보드 하드웨어(10)에서 입력한 내용은 스캔코드로서 키보드 드라이버(20)에 전달되고, 키보드 드라이버(20)는 이를 운용체제에서 표준으로 사용하는 키보드 메시지로 변환하여 시스템 메시지 대기열(30)에 입력한다. 시스템 메시지 대기열(30)에 저장된 키보드 메시지는 운용체제의 RING3 구성 요소인 USER.EXE에 의하여 현재 활성화 되어 있는 가상머신(Virtual Machine)으로 전송되며, 이는 다시 쓰레드 메시지 대기열(40)을 통해 웹브라우저(50)로 전달되어, 인터넷(60)을 통해 웹서버(70)에 전달되게 된다.
종래의 네트워크 보안 방법은 웹브라우저(50)와 웹서버(70) 사이에서의 해킹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사용자의 컴퓨터에 해킹 프로그램을 몰래 설치해 두고, 사용자가 키보드로 입력한 내용을 시스템 메시지 대기열(30) 혹은 쓰레드 메시지 대기열(40)로부터 후킹하여 이를 로그파일로 만들어서 이메일로 해커에게 보내도록 하는 키보드 해킹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 방식은 인터넷으로 전송될 데이커가 암호화되기 전에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가로채기 때문에, 종래의 네트워크 보안방법으로는 방어가 되지 않는다.
이러한 키보드 해킹 프로그램에 대항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공개 특2001-0099090호가 제안되어 있다. 이 특허출원에서의 보안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절차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 특허출원에서는 사용자가 특정 웹사이트에 접속하면 자동으로 보안입력창 제어프로그램(45)을 설치한다. 설치된 보안입력창 제어프로그램(45)은 보안 키보드 드라이버(25)를 사용자의 컴퓨터에 설치하여 기존의 키보드 드라이버(20)를 무시하도록 한다. 보안 키보드 드라이버(25)에 있는 후킹함수는 키보드 데이터를 자체 대기열에 저장한 후에 캐리를 세트하여 되돌린다. 그러면, 키보드 메시지가 시스템 메시지 대기열(30)이나 쓰레드 메시지 대기열(40), 웹브라우저(50)에 전달되지 않으므로, 메시지 후킹을 통한 키보드 데이터의 유출을 막는다. 입력된 키보드 메시지를 웹브라우저(50)에 전달하기 위하여, 보안입력창 제어프로그램(45)은 일정 시간마다 보안 키보드 드라이버와 통신하여 키보드 메시지를 전송받는다.
이 방법에 따르면, 메시지 후킹을 통한 키보드 데이터의 유출은 막을 수 있지만, 보안입력창 제어프로그램이 일정 시간마다 보안 키보드 드라이버와 통신을 하므로,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가 웹브라우저에 전달되는데에 시간이 많이 걸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해당 웹페이지의 입력창을 통하여 정보를 입력하던 도중에 다른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경우, 또는 그 반대의 경우에 어떻게 동작할 것인지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기 때문에 실제로 운영을 하는데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키보드 해킹 프로그램으로부터의 해킹 시도를 차단할 수 있는 키보드 해킹 방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키보드 해킹 방지 방법을 채택하고 있는 웹페이지가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른 프로그램창을 선택하거나 또는 그 반대의 경우에도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키보드 해킹 방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키보드를 사용하여 입력한 데이터가 웹서버에 전달되는 일반적인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키보드 해킹 방지 방법에서 키보드를 사용하여 입력한 데이터가 웹서버에 전달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키보드 해킹 방지 방법에서 키보드를 사용하여 입력한 데이터가 웹서버에 전달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보안입력창 제어프로그램에서의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입력창의 예이다.
도 6은 입력창 이외에 다른 프로그램창이 한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경우를 보여주는 화면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 해킹 방지 방법을 채택하는 웹서버로부터 전송되는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키보드 해킹 방지 방법에서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방법을 채택하고 있는 웹페이지에 접속하면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이 자동적으로 사용자의 컴퓨터에 설치된다.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에는 보안 입력창 제어부와, 키테이블 생성부와, 보안 키보드 드라이버가 포함된다. 보안 입력창 제어부는 입력창이 선택될 때마다 키테이블 생성부를 사용하여 키테이블을 생성하고 보안 키보드 드라이버를 사용자의 컴퓨터에 설치한다. 보안 키보드 드라이버는 사용자가 키보드를 사용하여 입력하는 내용을 키테이블에 따라 암호화하여 시스템 메시지 대기열에 입력한다. 보안 입력창 제어부는 시스템 메시지 대기열과 쓰레드 메시지 대기열을 통해 입력받은 키보드 메시지를 키테이블을 사용하여 복호화하여 웹브라우저에 넘긴다. 프로그램 창의 포커스가 다른 창으로 바뀌면 보안 키보드 드라이버는 자동으로 제거된다. 다른 창에서 다시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이 설치된 창으로 포커스가 바뀌면 새로이 키테이블을 생성하고 보안 키보드 드라이버를 설치한다.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상태에서 특정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즉, 특정 응용프로그램이 구동되면, 해당 응용프로그램은 키테이블을 생성하고 보안 키보드 드라이버를 설치한다. 이후의 동작은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와 동일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키보드 해킹 방지 방법의 원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키보드 해킹 방지 방법에서 키보드를 사용하여 입력한 데이터가 웹서버에 전달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키보드 해킹 방지 방법에서는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이 사용자의 컴퓨터에 설치된다.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100)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키보드 보안이 유지되는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키보드 데이터의 암호를 풀어서 웹브라우저등의 응용 프로그램에 넘겨주기 위한 보안입력창 제어부(45)와, 키보드 데이터의 암호화 및 복호화에 사용되는 키테이블을 생성하기 위한 키테이블 생성부(120)와, 키보드 하드웨어(10)로부터 수신한 스캔코드를 키보드 메시지로 변환하고 암호화하는 보안 키보드 드라이버(25)를 포함한다.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100)은 사용자가 특정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마다, 해당 웹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컴퓨터의 부팅시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안 입력창 제어부(45)는 예를 들면 ActiveX 형태의 파일로 작성되어 있어서, 웹서버(70)로부터 다운로드 받아서 웹브라우저 상에서 실행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보안 입력창 제어부(45)가 설치되면, 보안 입력창 제어부(45)는 보안 키보드 드라이버(25)를 사용자의 컴퓨터에 설치한다. 그러면, 그후로는 키보드 하드웨어(10)로부터의 스캔코드는 새로 설치된 보안 키보드 드라이버(25)에서 키보드 메시지로 변환되어 시스템 메시지 대기열(30)에 입력된다.
보안 입력창 제어부(45)가 보안 키보드 드라이버(25)를 설치할 때에는 그때마다 키테이블 생성부(120)를 사용하여 암호화 및 복호화를 위한 키테이블을 새로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성된 키테이블은 보안 입력창 제어부(45) 및 보안 키보드 드라이버(25) 모두에서 사용된다. 즉, 보안 키보드 드라이버(25)는 이 키테이블을 이용하여 키보드 메시지를 암호화하며, 보안 입력창 제어부(45)도 이 키테이블을 이용하여 키보드 메시지를 복호화한다.
키테이블은 키보드 자판의 각 문자에 대해서 임의로 정해진 다른 문자로의 매핑 테이블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키테이블은 'a'가 'X'에, 'b'가 'k'에, 'c'가 '9'에 매핑되어 있어서, 보안 키보드 드라이버(25)는 'abc'가 입력되면 이를 'Xk9'로 변환하여 시스템 메시지 대기열(30)에 입력한다.
보안 입력창 제어부(45)는 쓰레드 메시지 대기열(40)로부터 읽어온 키보드 메시지 'Xk9'를 키테이블에 따라 'abc'로 변환하여 웹브라우저(50)에 넘긴다. 따라서, 시스템 메시지 대기열(30)과 쓰레드 메시지 대기열(40)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키보드 메시지와는 다른 데이터가 저장되기 때문에, 키보드 해킹 프로그램이 이를 가로채어 로그파일을 만들어도 전혀 엉뚱한 키보드 메시지를 가져가게 되므로, 키보드 해킹의 염려가 없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보안 입력창 제어부(45)에서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사용자가 웹서버(70)에 접속하였을 때 웹서버(70)로부터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100)을 다운로드 받아서 ActiveX 형태로 된 보안 입력창 제어부(45)가 설치되는 경우의 동작예이다.
보안 입력창 제어부(45)는 먼저 사용자가 입력창을 클릭하는지를 체크한다(단계 S110). 입력창의 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에서는 회원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창(80, 81)이 마련되어 있다. 사용자가 이를 클릭하면 보안 입력창 제어부(45)는 키테이블 생성부(120)를 사용하여 새로운 키테이블을 생성한다(단계 S120). 그리고, 보안 키보드 드라이버(25)를 사용자의 컴퓨터에 설치한다(단계S130). 또는 입력창(80,81)의 선택여부에 상관없이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이 동작중인 프로그램 창이 활성화되면 단계 S120 및 단계 S130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윈도우스와 같이 다중 윈도우를 지원하는 운영체계에서는 도 6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여러개의 프로그램 창을 띄워놓고 이중에서 임의의 창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이 작동중인 창(90)을 선택하는 경우에만 키보드 보안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보안 입력창 제어부(45)는 보안 키보드 드라이버(25)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른 프로그램 창(91)을 선택하면(단계 S140의 '예'), 보안 키보드 드라이버(25)를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제거한다(단계 S170). 이와 같이 보안 키보드 드라이버(25)가 제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시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이 작동중인 창(90)을 선택하면 새로이 키테이블이 생성되고 보안 키보드 드라이버(45)가 설치되어 키보드 보안이 이루어진다.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이 작동중인 창(90)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키보드를 통해 키가 입력되면, 키보드 메시지는 보안 키보드 드라이버(25)에 의해 단계 S120에서 생성된 키테이블을 사용하여 암호화가 된다. 따라서, 단계 S150에서 보안 입력창 제어부(45)에 입력된 키보드 메시지는 암호화된 메시지이다. 따라서, 보안 입력창 제어부(45)는 단계 S120에서 생성된 키테이블을 사용하여 키보드 메시지를 복호화하여 웹브라우저(50)에 넘긴다(단계 S160).
이상의 설명에서는 온라인 상태에서 키보드 해킹을 방지하는 경우에 대해서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상태에서 특정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즉, 워드프로세서 등의 응용프로그램이 구동되면, 해당 응용프로그램은 키테이블을 생성하고 보안 키보드 드라이버를 설치한다. 이후의 동작은 도 4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을 몇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스템 메시지 대기열과 쓰레드 메시지 대기열에 저장되는 키보드 데이터가 보안 키보드 드라이버에 의해 암호화된 데이터이므로 키보드 해킹 프로그램으로부터의 해킹 시도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웹페이지가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른 프로그램창을 선택하면 보안 키보드 드라이버가 제거되고, 다시 해당 웹페이지를 선택하면 다시 보안 키보드 드라이버가 설치되므로, 웹페이지가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른 프로그램창을 선택하거나 또는 그 반대의 경우에도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또한,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이 설치된 프로그램창이 선택될 때마다, 또는 입력창이 선택될 때마다 키테이블을 새로 생성하므로, 키보드 보안의 강도가 한층 더 높아진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사용자가 웹서버에 접속하면 웹서버가 사용자의 컴퓨터로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설치된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이 키테이블을 생성하고 보안 키보드 드라이버를 사용자의 컴퓨터에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키보드 드라이버가 키보드 하드웨어로부터의 키스캔값을 상기 키테이블을 사용하여 암호화하여 키보드 메시지로서 시스템 메시지 대기열에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이 쓰레드 메시지 대기열에 있는 키보드 메시지를 상기 키테이블을 사용하여 복호화하여 웹브라우저로 넘기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해킹 방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다른 프로그램 창을 선택하면 상기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이 보안 키보드 드라이버를 제거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다시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이 설치된 프로그램창을 선택하면 키테이블을 다시 생성하고 보안 키보드 드라이버를 사용자의 컴퓨터에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해킹 방지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테이블은 키보드 자판의 각 문자에 대해서 임의로 정해진 다른 문자로의 매핑 테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해킹 방지 방법.
  4. 사용자가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해당 응용 프로그램이 키테이블을 생성하고 보안 키보드 드라이버를 사용자의 컴퓨터에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키보드 드라이버가 키보드 하드웨어로부터의 키스캔값을 상기 키테이블을 사용하여 암호화하여 키보드 메시지로서 시스템 메시지 대기열에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이 쓰레드 메시지 대기열에 있는 키보드 메시지를 상기 키테이블을 사용하여 복호화하여 웹브라우저로 넘기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해킹 방지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다른 프로그램 창을 선택하면 상기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이 보안 키보드 드라이버를 제거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다시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이 설치된 프로그램창을 선택하면 키테이블을 다시 생성하고 보안 키보드 드라이버를 사용자의 컴퓨터에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해킹 방지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키테이블은 키보드 자판의 각 문자에 대해서 임의로 정해진 다른 문자로의 매핑 테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해킹 방지 방법.
KR1020020012141A 2002-03-07 2002-03-07 키보드 해킹 방지 방법 KR200200483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2141A KR20020048313A (ko) 2002-03-07 2002-03-07 키보드 해킹 방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2141A KR20020048313A (ko) 2002-03-07 2002-03-07 키보드 해킹 방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8313A true KR20020048313A (ko) 2002-06-22

Family

ID=27725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2141A KR20020048313A (ko) 2002-03-07 2002-03-07 키보드 해킹 방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8313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777B1 (ko) * 2002-07-24 2004-09-08 주식회사 잉카인터넷 키 스트록 데이터의 해킹 방지 방법 및 이를 기록한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WO2006033531A1 (en) * 2004-09-20 2006-03-30 Young Shin Kim Random keycode security
WO2006043759A1 (en) * 2004-10-19 2006-04-27 Min-Gyu Kim Method for preventing keyboard hacking by using mouse
EP1714220A2 (en) * 2004-02-05 2006-10-25 Kings Information & Network Computer security apparatus and method using security input device driver
WO2007043761A1 (en) * 2005-10-12 2007-04-19 Ahn Lab, Inc. Method for preventing key logger from hacking data typed on keyboard through authorization of keyboard data
KR100710032B1 (ko) * 2005-02-23 2007-04-25 제이알소프트 주식회사 윈도우즈 운영체제에서 보안 입력 필터 드라이버와 인터넷 익스플로러 내부의 키보드 보안 입력 비에이치오를 통한 인터넷 익스플로러 사용자의 키보드 입력 정보 해킹 방지 방법 및 시스템
KR100735727B1 (ko) * 2003-04-24 2007-07-06 테커스 (주) 가상 데이터 전송을 이용한 키보드 해킹 방지 장치 및 방법
WO2008094776A1 (en) * 2007-01-31 2008-08-07 Microsoft Corporation Password authentication via a one-time keyboard map
KR100854301B1 (ko) * 2006-07-28 2008-08-26 김진우 보안 채널을 이용한 키보드 보안 방법
KR100959638B1 (ko) * 2004-03-09 2010-05-26 주식회사 하우리 키보드 해킹차단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US8156346B2 (en) 2009-01-20 2012-04-10 Kings Information and Network Keyboard-input information-security apparatus and method
US20210216644A1 (en) * 2020-01-15 2021-07-15 Vmware, Inc. Secure virtual desktops and virtual applications with anti-keylogging capabilities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777B1 (ko) * 2002-07-24 2004-09-08 주식회사 잉카인터넷 키 스트록 데이터의 해킹 방지 방법 및 이를 기록한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0735727B1 (ko) * 2003-04-24 2007-07-06 테커스 (주) 가상 데이터 전송을 이용한 키보드 해킹 방지 장치 및 방법
EP1714220A4 (en) * 2004-02-05 2010-05-05 Kings Information & Network Computer security device and method with a security input device driver
EP1714220A2 (en) * 2004-02-05 2006-10-25 Kings Information & Network Computer security apparatus and method using security input device driver
US7774595B2 (en) 2004-02-05 2010-08-10 King Information & Network Computer security apparatus and method using security input device driver
KR100959638B1 (ko) * 2004-03-09 2010-05-26 주식회사 하우리 키보드 해킹차단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WO2006033531A1 (en) * 2004-09-20 2006-03-30 Young Shin Kim Random keycode security
WO2006043759A1 (en) * 2004-10-19 2006-04-27 Min-Gyu Kim Method for preventing keyboard hacking by using mouse
KR100710032B1 (ko) * 2005-02-23 2007-04-25 제이알소프트 주식회사 윈도우즈 운영체제에서 보안 입력 필터 드라이버와 인터넷 익스플로러 내부의 키보드 보안 입력 비에이치오를 통한 인터넷 익스플로러 사용자의 키보드 입력 정보 해킹 방지 방법 및 시스템
WO2007043761A1 (en) * 2005-10-12 2007-04-19 Ahn Lab, Inc. Method for preventing key logger from hacking data typed on keyboard through authorization of keyboard data
KR100734145B1 (ko) * 2005-10-12 2007-07-03 주식회사 안철수연구소 키보드 데이터 인증을 이용한 키 입력 도용 방지 방법
KR100854301B1 (ko) * 2006-07-28 2008-08-26 김진우 보안 채널을 이용한 키보드 보안 방법
WO2008094776A1 (en) * 2007-01-31 2008-08-07 Microsoft Corporation Password authentication via a one-time keyboard map
US8156346B2 (en) 2009-01-20 2012-04-10 Kings Information and Network Keyboard-input information-security apparatus and method
US20210216644A1 (en) * 2020-01-15 2021-07-15 Vmware, Inc. Secure virtual desktops and virtual applications with anti-keylogging capabilities
US11550922B2 (en) * 2020-01-15 2023-01-10 Vmware, Inc. Secure virtual desktops and virtual applications with anti-keylogging capabiliti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6324B1 (en) Method and system for a secure virtual keyboard
CN108322461B (zh) 应用程序自动登录的方法、系统、装置、设备和介质
US6173402B1 (en) Technique for localizing keyphrase-based data encryption and decryption
US8949607B2 (en) Digital data authentication
CA2926128C (en) Authorization of server operations
US20080184363A1 (en) Coordinate Based Computer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s
US20040177248A1 (en) Network connection system
US20080288776A1 (en) Security method using virtual keyboard
KR20070010557A (ko) 키입력 해킹방지 방법
US20170099144A1 (en) Embedded encryption platform comprising an algorithmically flexible multiple parameter encryption system
TW201539247A (zh) 密碼輸入與確認方法及其系統
KR20020048313A (ko) 키보드 해킹 방지 방법
EP2130159A1 (en) Secure data storage and retrieval incorporating human participation
WO2010031142A1 (en) Method and system for user authentication
US7347366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authentication using an authentication card
KR100447777B1 (ko) 키 스트록 데이터의 해킹 방지 방법 및 이를 기록한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0500465B1 (ko) 보안 입력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이용한 컴퓨터 보안 시스템 및 방법
US20060064593A1 (en) Technique for preventing illegal invocation of software programs
CN103703718A (zh) 用于模糊处理密码协议的初始值的系统和方法
KR101267875B1 (ko) 가상 키보드를 이용한 메시지 암·복호화 장치 및 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110014177A (ko) 맨 인 더 미들 컴퓨터 해킹 기술을 무력화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152610B1 (ko) 가상 키보드 제공 방법
JP5175541B2 (ja) ネットワークを介した動作をセキュリティ保護する方法および関連装置
EP220266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asset in computer system
KR100949790B1 (ko) 무단 변조된 아이이 메모리의 데이터 보안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