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8020A - 이동 통신 시스템의 부가 서비스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의 부가 서비스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8020A
KR20020048020A KR1020000077271A KR20000077271A KR20020048020A KR 20020048020 A KR20020048020 A KR 20020048020A KR 1020000077271 A KR1020000077271 A KR 1020000077271A KR 20000077271 A KR20000077271 A KR 20000077271A KR 20020048020 A KR20020048020 A KR 20020048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itional service
additional
exchange
subscriber
short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7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5429B1 (ko
Inventor
조형곤
오상영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77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5429B1/ko
Publication of KR20020048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8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5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54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입자가 간편하게 부가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해제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부가 서비스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가입자가 부가 서비스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기 위해 교환기로 부가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해서는 착신 전환, 회의 통화, 착신 거절, 통화중 대기, FA, MAH, SCA 등과 같은 부가 서비스 각각에 부여되어 있는 부가 코드를 일일이 알고 있어야 하므로, 가입자가 원하는 때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단말기에 부가 서비스 메뉴를 구비시키고, 부가 서비스 메뉴를 통해 선택받은 부가 서비스 제어에 필요한 정보에 의거하여 부가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단문 메시지를 교환기로 전송하여 부가 서비스를 요청함으로써, 가입자가 부가 코드를 알지 못해도 메뉴에 따라 부가 서비스를 요청하여 부가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의 부가 서비스 제어 방법{Method for supplementary service contro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의 부가 서비스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입자가 간편하게 부가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해제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부가 서비스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시스템은 착신 전환, 회의 통화, 착신 거절, 통화중 대기, FA(Flexible Alerting), MAH(Mobile Access Hunting), SCA(Selective Call Allow) 등과 같은 부가 서비스들을 가입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는 데, 이러한 부가 서비스들은 부가 서비스 신청 등록 후 가입자의 의사에 따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전술한, FA 서비스는 임의의 발신 가입자가 FA 파일럿(Pilot) 가입자 번호로 호를 시도하면 FA 그룹 구성원 모두에게 호가 시도되어 가장 빨리 응답하는 구성원과 호가 성립되는 서비스로, 이동 가입자의 사전 요구에 의해서 HLR 운용자가 기능을 등록하고, 그룹 구성원 정보를 저장하여 두고 가입자가 기능 코드로 활성화한 후, 파일럿 가입자 번호를 지정한다.
MAH 서비스는 임의의 발신 가입자가 MAH 파일럿 가입자 번호로 호를 시도하면 우선 순위에 따라서 MAH 그룹 구성원들에게 차례로 호가 시도되어 응답을 하는 구성원과 호가 성립되는 서비스로, 이동 가입자의 사전 요구에 의해서 HLR 운용자가 기능을 등록하고 그룹 구성원 정보를 저장하여 두고 파일럿 가입자 번호를 지정한다.
SCA 서비스는 SCA 목록 리스트에 있는 가입자로부터의 호만을 허용해주고, 목록에 없는 가입자의 경우 거절 처리 혹은 다른 번호로의 전환등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이동 가입자의 사전 요구에 의해서 HLR 운용자가 기능을 등록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도로, 단말기(10)와, 교환기(20)와, HLR(3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단말기(10)는 가입자로부터 입력받은 부가 코드를 교환기(20)로 전송한다.
교환기(20)는 단말기(10)로부터 전송받은 부가 코드를 분석하여 부가 코드를 보낸 단말기(10)가 속한 HLR(30)로 부가 기능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여 해당 가입자로부터 요청받은 부가 서비스 처리를 요구하고, HLR(30)로부터 전송받은 부가 서비스 처리 결과를 단말기(10)로 전송한다.
HLR(30)은 교환기(20)로부터 전송받은 부가 기능 요구 메시지에 의거하여 부가 서비스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를 교환기(20)로 전송한다.
도 2는 종래 이동 통신 시스템의 부가 서비스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우선, 가입자는 단말기(10)를 통해 '*'나 '#'로 시작하는 부가 코드를 교환기(20)로 전송하고, 가입자의 단말기(10)로부터 부가 코드를 전송받은 교환기(20)는 전송받은 부가 코드를 분석하여 부가 코드임을 확인하고, 부가 코드를 보낸 단말기(10)가 속해 있는 HLR(Home Location Register)(30)로 부가 기능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여 해당 가입자로부터 요청받은 부가 서비스 처리(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요구하게 된다(S10, S12, S14).
상기한 과정 S14에서 교환기(20)로부터 부가 기능 요구 메시지를 전송받은HLR(30)은 전송받은 부가 기능 요구 메시지에 의거하여 해당 가입자가 요구한 부가 서비스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를 교환기로 전송하게 된다(S16).
상기한 과정 S16에서 HLR(30)로부터 부가 서비스에 대한 처리 결과를 전송받은 교환기(20)는 전송받은 처리 결과에 의거하여 호 처리를 진행시키는 데, 호 라우팅이 없는 경우에는 가입자가 단순히 부가 서비스의 활성화나 비활성화를 원하는 경우로 이러한 경우에는 부가 서비스 처리에 대한 성공 여부를 확인음으로 가입자에게 통보해주고, 호 라우팅이 있는 경우에는 가입자가 부가 기능 서비스의 활성화와 동시에 착신 번호를 함께 전송하여 호 설정을 요구한 경우로 이러한 경우에는 HLR(30)로부터 전송받은 부가 서비스 처리에 대한 처리 결과를 이용하여 착신에 대한 호 설정을 진행하게 된다(S18, S20, S22, S24).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에는 가입자가 부가 서비스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기 위해 교환기(20)로 부가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해서는 착신 전환, 회의 통화, 착신 거절, 통화중 대기, FA, MAH, SCA 등과 같은 부가 서비스 각각에 부여되어 있는 부가 코드를 일일이 알고 있어야 하므로, 가입자가 원하는 때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부가 서비스와 그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예를 들어, 착신 전환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에 어느 번호로 착신 전환이 되어 버리는 지, SCA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에 어떠한 가입자가 자신과 통화가 가능한 지 등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단말기에 부가 서비스 메뉴를 구비시키고, 부가 서비스 메뉴를 통해 부가 서비스 제어에 필요한 사항을 선택받아 부가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단문 메시지를 교환기로 전송하여 부가 서비스를 요청함으로써, 가입자가 부가 코드를 알지 못해도 메뉴에 따라 부가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부가 서비스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도.
도 2는 종래 이동 통신 시스템의 부가 서비스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부가 서비스 메뉴를 보인 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부가 서비스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단말기,20. 교환기,
30. HLR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부가 서비스 제어 방법은, 단말기에 부가 서비스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부가 서비스 메뉴를 구비시키는 과정과; 상기 부가 서비스 메뉴를 통해 선택받은 부가 서비스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단문 메시지를 교환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단문 메시지로부터 부가 서비스 제어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부가 서비스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 기능 요구 메시지를 HLR로 전송하여 부가 서비스 처리를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부가 서비스 처리 요구에 따라 부가 서비스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를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받은 처리 결과를 단문 메시지로 변환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부가 서비스 제어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가 서비스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은 종래와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부가 서비스 제어 방법에 대해서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부가 서비스 메뉴를 보인 도이다.
(가)는 부가 서비스 제어 메뉴로, 부가 서비스 제어 메뉴에는 부가 서비스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부가 서비스 활성화 메뉴, 부가 서비스를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부가 서비스 비활성화 메뉴,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부가 서비스를 확인하기 위한 부가 서비스 확인 메뉴, 부가 서비스의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부가 서비스 변경 메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나)는 각 부가 서비스 제어 메뉴에 속한 부가 서비스의 종류를 나타내는 것으로 가입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부가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부가 서비스의 종류를 제공해준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부가 서비스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부가 서비스 메뉴를 통해 가입자로부터 부가 서비스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선택받는다(S30).
상기한 과정 S30에서 가입자는 부가 서비스를 활성화/비활성화할 것인지,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부가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것인지, 부가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변경할 것인 지에 대한 부가 서비스 제어 종류를 먼저 선택하고, 선택한 부가 서비스 제어 종류에 따라 부가 서비스 제어를 요청할 부가 서비스의 종류를 선택하는 데, 선택한 부가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부가 서비스 처리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착신 전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 가입자는 먼저, 부가 서비스 제어 메뉴에서 부가 서비스 변경 메뉴를 선택한 후, 부가 서비스 변경 메뉴 선택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부가 서비스 종류 중에서 착신 전환 메뉴를 선택하고, 변경하고자 하는 착신 전환 번호를 입력한다.
이후에는, 상기한 과정 S30에서 선택받은 부가 서비스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단문 메시지를 교환기(20)로 전송한다(S32, S34).
상기한 과정 S34에서 단말기(10)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전송받은 교환기(20)는 단말기(10)로부터 전송받은 단문 메시지로부터 부가 서비스 제어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부가 서비스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 기능 요구 메시지를 HLR(30)로 전송하여 부가 서비스 처리를 요구한다(S36, S38).
상기한 과정 S38에서 교환기(20)로부터 부가 기능 요구 메시지를 전송받은 HLR(30)은 전송받은 부가 기능 요구 메시지에 의거하여 가입자가 요구한 부가 서비스를 처리하고, 부가 서비스에 대한 처리 결과를 교환기(20)로 전송하게 된다(S40).
상기한 과정 S40에서 가입자가 요구한 부가 서비스가 해당 부가 서비스의 활성화/비활성화인 경우에는 해당 부가 서비스를 활성화/비활성화시키고, 가입자가요구한 부가 서비스가 활성화된 부가 서비스에 대한 정보 확인인 경우에는 해당 가입자의 프로파일을 검색하여 현재 활성화된 부가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가입자가 요구한 부가 서비스가 부가 서비스에 대한 정보 변경인 경우에는 가입자로부터 입력받은 부가 서비스 정보에 의거하여 부가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변경한다.
상기한 과정 S40에서 HLR(30)로부터 부가 서비스에 대한 처리 결과를 전송받은 교환기(20)는 전송받은 부가 서비스에 대한 처리 결과를 단문 메시지 형태로 변환하여 단말기(10)로 전송한다(S42).
본 발명의 이동 통신 시스템의 부가 서비스 제어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이동 통신 시스템의 부가 서비스 제어 방법에 따르면, 단말기에 부가 서비스 메뉴를 구비시키고, 부가 서비스 메뉴를 통해 선택받은 부가 서비스 제어에 필요한 정보에 의거하여 부가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단문 메시지를 교환기로 전송하여 부가 서비스를 요청함으로써, 가입자가 부가 코드를 알지 못해도 메뉴에 따라 부가 서비스를 요청하여 부가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단말기에 부가 서비스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부가 서비스 메뉴를 구비시키는 과정과;
    상기 부가 서비스 메뉴를 통해 선택받은 부가 서비스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단문 메시지를 교환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단문 메시지로부터 부가 서비스 제어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부가 서비스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 기능 요구 메시지를 HLR로 전송하여 부가 서비스 처리를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부가 서비스 처리 요구에 따라 부가 서비스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를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받은 처리 결과를 단문 메시지로 변환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부가 서비스 제어 방법.
KR10-2000-0077271A 2000-12-15 2000-12-15 이동 통신 시스템의 부가 서비스 제어 방법 KR100465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271A KR100465429B1 (ko) 2000-12-15 2000-12-15 이동 통신 시스템의 부가 서비스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271A KR100465429B1 (ko) 2000-12-15 2000-12-15 이동 통신 시스템의 부가 서비스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8020A true KR20020048020A (ko) 2002-06-22
KR100465429B1 KR100465429B1 (ko) 2005-01-13

Family

ID=27682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7271A KR100465429B1 (ko) 2000-12-15 2000-12-15 이동 통신 시스템의 부가 서비스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542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052B1 (ko) * 2006-12-26 2008-10-1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메시지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65692B1 (ko) * 2005-02-01 201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서비스 상태를 표시하는 장치 및방법
KR101043621B1 (ko) * 2009-04-28 2011-06-24 주식회사 케이티 부가서비스 변경에 대한 안내 메시지 시스템
KR101433259B1 (ko) * 2008-06-02 2014-08-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Sms 서비스에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122B1 (ko) * 1996-10-31 2006-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호전환부가서비스실시방법
KR100254510B1 (ko) * 1997-12-04 2000-05-01 이계철 단전문서비스의 부가서비스 처리시스템 및 그 방법
JPH11187155A (ja) * 1997-12-17 1999-07-09 Mitsubishi Electric Corp 情報提供サービスシステムおよび情報提供サービス方法
KR100324296B1 (ko) * 1999-06-09 2002-02-21 남용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부가 정보 서비스 제공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692B1 (ko) * 2005-02-01 201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서비스 상태를 표시하는 장치 및방법
US8140071B2 (en) 2005-02-01 2012-03-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tatus of supplementary service of mobile equipment
KR100863052B1 (ko) * 2006-12-26 2008-10-1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메시지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33259B1 (ko) * 2008-06-02 2014-08-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Sms 서비스에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043621B1 (ko) * 2009-04-28 2011-06-24 주식회사 케이티 부가서비스 변경에 대한 안내 메시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5429B1 (ko) 2005-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59018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игнализацией между внешними узлами и мобильной станцией
AU768899B2 (en) Method of forwarding an SMS messag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113800B2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routing of short messages
US6311063B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emulation of multiple subscriber profiles on a single mobile phone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6321096B2 (en) Method of controlling call routing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RU97111803A (ru) Мобильная телефонная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сообщений между мобильными станциями и центром обслуживания передачи сообщений
EP2003909A2 (en) A communic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realizing scheduling communication service
JPH08205225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の呼び出しシステム
KR100334816B1 (ko) 차세대 이동교환시스템에서 호분배방법
KR20010026476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발신자정보 등록 및 서비스방법
KR20010055782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착신 거부 방법
KR100465429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부가 서비스 제어 방법
KR100526684B1 (ko) 번호 이동성 서비스에서 사업자 정보 제공방법
KR100408183B1 (ko) 자동 착신 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441122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호전환부가서비스실시방법
US20050119021A1 (en) Telephone apparatus and method for call transfer function
KR20010019047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부가 서비스 상태정보 제공방법
KR0161156B1 (ko) 이동가입자와의 호중계시 중계망 선택방법
US7356038B2 (en) Systems and method for a communications broker
KR100330179B1 (ko) 교환 시스템에서 출중계호에 대한 지능망 처리 방법
US7697676B2 (en) Methods of operating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ing command communications with identifications of target lines/devices and initiating devices, and related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US7130407B1 (en) Method for processing call establishment requests
KR20060127585A (ko) 이동통신망에서 문자를 이용한 통화 연결 방법 및 시스템
KR100629473B1 (ko) 지능망을 연동한 연결통화 서비스 운용 방법
KR100285504B1 (ko) 지능망시스템과지능형부가장치간접속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