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5757A - 광고방송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외국어 학습방법 - Google Patents

광고방송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외국어 학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5757A
KR20020045757A KR1020000075152A KR20000075152A KR20020045757A KR 20020045757 A KR20020045757 A KR 20020045757A KR 1020000075152 A KR1020000075152 A KR 1020000075152A KR 20000075152 A KR20000075152 A KR 20000075152A KR 20020045757 A KR20020045757 A KR 20020045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foreign language
advertisement
fingerprint
langu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5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원
Original Assignee
장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원 filed Critical 장성원
Priority to KR1020000075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5757A/ko
Publication of KR20020045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5757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내외의 각종 방송용 광고를 외국어 학습교재로 가공하여 온오프 라인상의 여러 매체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많은 사용자가 보다 효과적으로 외국어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한 온오프라인 외국어 학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외국어 학습방법은 국내외 방송용 광고의 원본을 확보하는 단계(S100), 상기 광고 확보단계(S100)에서 확보된 광고원본을 외국어 학습교재로 가공하는 단계(S200) 및, 상기 광고 가공단계(S200)에서 가공된 외국어 학습광고를 온오프라인 상의 매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30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광고 교재를 통해 매우 흥미롭게 해당 국가의 다양한 문화를 체험하면서 효과적으로 외국어 학습을 할 수 있게 되며, 최소의 비용 또는 무상으로 아니면 오히려 광고비를 받고 교재를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광고방송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외국어 학습방법{method of learning a foreign language through on/off-line service utilizing commercial broadcast}
본 발명은 온오프라인 외국어 학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종류의 국내외 광고방송을 외국어 또는 국어로 번역, 멀티미디어 교재로 제작하여 인터넷 및 휴대전화를 통해 온라인 상에서, CD-ROM 매체를 통해 오프라인 상에서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또는 집단적으로 외국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한 광고방송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외국어 학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국어를 습득하는 방법은 크게 공교육을 통한 정규적인 방법과 사교육을 통한 비정규적인 방법 두 가지로 구분해볼 수 있다. 이중 사교육을 통한 외국어 학습방법은 현재와 같이 정보화가 급속도로 발전하기 전에는 오프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학원교육, 카세트 테입이나 비디오 테입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교재학습, 그리고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방송을 통한 교육 등이 전부였다.
그런데, 이러한 사적인 외국어 학습 방식 중 학원 학습 방식의 경우에는 시간적, 공간적 제약에 따른 불편을 감수해야 했고, 멀티미디어 교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학습진도와 진도에 따른 성취도 평가를 스스로 관리하게 되므로 교육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으며, 방송을 통한 학습 방식의 경우에는 시공간적 제약 뿐 아니라 사용자가 학습 개시일을 임의로 선택할 수 없고 복습 등의 반복학습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 들어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 PC와 통신 인프라를 이용하여온라인 상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외국어 교육을 할 수 있는 학습방법이 속속 개발되고 있는 바, 초기에는 확보된 학습자료를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 PC로 제공하는 단순한 형태에 머물고 있었으나 점차 다양화된 학습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예컨대, 인터넷 상에 외국어 교육 사이트를 개설하고, 문자, 그림, 음성, 동영상 등으로 구성된 다양한 교육 컨텐츠를 제작하여 등록 회원에게 제공하며, 전문 강사를 활용하여 각종 컨텐츠 및 회원의 학습진도를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인터넷을 통해 시공간적 제약 없이 매우 편리하면서도 효과적인 외국어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인터넷에 개설된 웹사이트의 서버에 수강생 DB와 강사 DB를 별도로 마련하여 수강생과 강사로 각각 등록한 사용자들을 사용자 공통 인터페이스(CGI;Common Gateway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계시킴으로써, 정해진 시간에 메인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강사의 외국어 강의를 다수의 수강생이 상호 작용을 하면서 수강할 수 있도록 하는 대화방식의 온라인 외국어교육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인터넷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방법은 그 효용성에도 불구하고 외국어 학습에 이용되는 각종 컨텐츠들의 내용이 교육적인 측면만을 강조하는 쪽으로 치우쳐 있으므로 수강생의 흥미를 저하시켜 높은 학습성취도를 이끌어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외국어 학습 자료로서 수강생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팝송이나 영화 대사를 활용하는 방안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 또한 각종 컨텐츠나 해당 컨텐츠에 유보되어 있는 저작권 확보 등의 어려움으로인해 지속적으로 신규교재를 공급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컨텐츠를 서비스 제공자가 직접 제작하여 활용하기도 하나 이 경우에는 컨텐츠 자체에 대한 사용자의 흥미가 반감될 뿐 아니라 제작비용에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외국어 학습방법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시청자의 지적 또는 감각적 관심을 이끌어 내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제작된 방송용 광고를 외국어 학습교재로 활용함으로써, 학습교재에 대한 학습자의 흥미를 최대한 유발시켜 효과적인 외국어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며, 교재에 사용되는 양질의 컨텐츠를 최소한의 비용으로 또는 무상으로 무제한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제작비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고, 광고를 제작한 국가의 언어 뿐 아니라 동시대 사회상 및 가치관까지 함께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위와 같은 광고 학습교재를 인터넷, 무선통신, CD-ROM 등 온오프라인 상의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보다 많은 사용자들이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국어 학습방법의 개요를 보인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고원본 가공단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광고원본에 각종 지문을 삽입 추가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3a는 광고화면과 지문화면을 구분하여 구성한 예를, 도 3b는 지문을 광고화면에 직접 추가한 예를 각각 나타낸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외국어 학습광고 제공단계 중 온라인상에서의 제공방식을 나타낸 블록도.
도 5a 내지 5d는 도 4의 외국어 학습광고 제공단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 광고방송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외국어 학습방법
11 : 사용자 PC 13 : 인터넷망
15 : 메인서버 17 : 무선망
S100 : 광고원본 확보단계 S200 : 광고 가공단계
S300 : 외국어 학습광고 제공단계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외 방송용 광고의 원본을 확보하는 단계, 광고 확보단계에서 확보된 광고원본을 외국어 학습교재로 가공하는 단계 및, 광고 가공단계에서 가공된 외국어 학습광고를 온오프라인 상의 매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는 광고방송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외국어학습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광고방송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외국어 학습방법은 도 1에 도면번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국내외 방송용 광고의 원본을 확보하는 단계(S100)와 확보된 광고원본을 외국어 학습교재로 가공하는 단계(S200) 그리고 교재로 가공된 광고를 온오프라인 상의 다양한 매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300)의 3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첫번째 단계인 광고원본 확보단계(S100)에서는 전세계적으로 끊임없이 제작되고 있는 무한한 양의 방송광고를 사용자 즉, 시청자의 선호도 및 교육적 효과를 고려하여 확보하게 되는데, 이때 방송광고의 저작권 유효기간을 확인하여 불필요한 지출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에 대한 노출을 목표로 하는 광고의 속성을 십분 이용하여 무상으로 광고 원본을 입수할 수 있도록 하며, 추후 해당 광고원본을 이용한 외국어 교재의 사용자 노출빈도에 따라 오히려 광고주로부터 별도의 광고비를 징수함으로써 지속적이며 고정적인 수입원으로서 활용할 수도 있다.
두번째로 광고 가공단계(S200)에서는 확보된 광고원본을 멀티미디어를 지원하는 외국어 학습교재로 재구성하는데, 광고원어지문, 사용자 자국어지문 즉, 번역지문 등을 광고화면에 추가하여, 지문 중의 단어 및 표현 그리고 광고에 실린 문화적 배경 등의 학습내용과 함께 자국인은 외국어 학습도구로서, 외국인은 자국어 학습도구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한다.
세번째 외국어 학습교재로서 완성된 방송광고를 온오프라인 상의 다양한 매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300)에서는 다양한 매체를 지원할 수 있도록 제작된 광고교재를 다양한 경로를 거쳐 사용자에게 전달하는데,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학습(3), 휴대전화를 통한 모바일 학습(5), CD-ROM을 통한 오프라인 학습(7) 인쇄교재를 통한 학교나 학원학습(9)이 모두 가능하도록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모든 광고학습 컨텐츠는 이용하는 매체에 따라 자료 용량의 대소를 적절히 조절하는데, 즉 모바일 서비스(5)의 경우에는 최소한의 컨텐츠만을 제공하도록 하고, CD-ROM(7)의 경우에는 최대의 컨텐츠를 담게 된다. 또한 매체 간의 호환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오프라인 상에서 CD-ROM 서비스(7)를 제공받은 즉, CD-ROM을 입수한 사용자도 인터넷 서비스(3)를 통해 온라인 상에서 최신의 교재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광고 가공단계(S200)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제작된 광고 필름이나 녹음 테이프와 같은 광고 원본을 컴퓨터에 적합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킨 다음 적합한 지문을 삽입하거나 단어 또는 표현학습 화면과 해설화면을 제작하는 과정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국에서 제작된 광고원본을 이용해 외국어 학습자료를 제작하는 단계(S210)와 자국의 광고를 이용해 외국어 학습자료를 제작하는 단계(S220) 그리고 광고에 담긴 문화적 사회적 배경 등을 설명하는 해설화면을 제작하는 단계(S230)로 대별된다.
이중에서, 외국의 광고원본을 이용해 외국어 학습자료를 제작하는 과정(S210)은 도 2에서와 같이 세분화된 단계를 거치는 과정으로서, 먼저 하나의외국 광고원본에 3가지 종류의 지문을 추가할 수 있는데 예컨대, 미국에서 제작된 광고원본을 활용하여 한국 사용자가 외국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광고교재는 원어 즉 영어, 번역에 해당하는 자국어 즉 국어, 그리고 불어나 독어와 같은 외국어 즉 제2 외국어로 된 지문을 제작할 수 있으므로, 광고원본에 원어로 된 지문을 추가하는 단계(S211), 외국어 지문을 추가하는 단계(S212) 그리고 자국어 지문을 추가하는 단계(S213)를 포함한다. 외국어 학습자료 제작단계(S210)에서는 또한 광고교재에 의한 외국어 학습의 심화단계로서 활용되도록 원어 또는 외국어 즉, 상기한 예의 경우 영어 또는 불어와 독어로 된 지문의 전문을 게시하는 화면을 제작하며(S214), 제작된 원어 또는 외국어 지문 전문을 이용하여 단어나 숙어를 학습할 수 있는 화면을 제작하고(S215), 마찬가지로 실생활에서 많이 사용되는 원어나 외국어의 확장 또는 유사 표현 등을 학습할 수 있는 화면을 제작한다(S216).
반대로, 미국에서 제작된 방송광고를 가지고 미국인들이 국어나 불어, 독어등의 외국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자국 광고원본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자료 제작단계(S220)는 광고원본에 즉, 미국광고에 외국어 즉, 국어 등의 외국어 지문을 추가하는 단계(S221)로 광고화면의 제작은 완료되며, 위에서 설명한 단계(S210)에서와 마찬가지로 나머지는 외국어 지문 전문을 게시하기 위한 화면을 제작하고(S222), 제작된 외국어 지문 전문 중에 있는 단어를 학습할 수 있는 화면을 제작하며(S223), 외국어 지문 중의 유사/확장 표현 등을 학습하기 위한 화면을 제작하는 것으로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때, 각각의 광고원본에 각종 지문을 삽입 추가하는 방식은 다음에 설명되는 광고교재의 활용매체 종류에 따라 크게 2가지 방식으로 구분되는 바, 각 매체의 속성을 고려하여 예컨대, 인터넷 서비스 또는 CD-ROM의 형태로 광고교재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도 3a에 도면번호 5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화면(51)과 지문화면(53)을 구분하여 구성함으로써, 광고(57)는 광고화면(51)을 통해 표시되고 지문(55) 즉, 대사는 지문화면(53)을 통해 캡션형식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반면에 모바일 서비스 또는 인쇄교재의 형태로 광고교재를 제작하는 경우와 같이 별도의 지문창을 구현하는 것이 곤란하거나 불필요할 때에는 도 3b에 도면번호 60으로 도시된 것처럼 광고화면(61)에 광고(67)를 표시하고 광고화면(61)의 하변이나 측변에 직접 지문(63)을 삽입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제작된 광고교재는 도 1과 관련하여 설명한 것처럼 다양한 매체를 통해 많은 사용자에게 전달되는데, 먼저 오프라인 방식에 의하면 광고교재를 수록한 고화질의 대용량 CD-ROM 타이틀로 제작하여 공급할 수 있으며, 인쇄 매체를 활용하거나 CD-ROM과 인쇄매체를 혼용하여 공급할 수도 있다. 그런데 특히, CD-ROM으로 광고교재를 제작한 경우에는 다음에 설명될 온라인 서비스와 연계하여 최신의 교육자료를 보충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a 내지 5d에 도시된 온라인 상에서의 외국어 학습광고 제공단계(S300)는 일반적인 인터넷 서비스와 유사하게 사용자 PC(11) 및 휴대 단말기(12)와 인터넷망(13) 및 무선망(17)과 이동통신 관리시스템(19)을 통해 사용자 PC(11) 및 휴대 단말기(12)와 연결된 메인 서버(15)를 이용하여 외국어 광고교재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게 되는데, 따라서 크게 사이트 접속단계(S310), 광고시청 학습단계(S320), 광고심화 학습단계(S330) 그리고 학습성과 확인단계(S340)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러한 학습메뉴에 대한 인터넷 서비스 이용자의 선택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방식과 마찬가지로 HTML로 또는 ASF 등의 포맷으로 제작된 각종 문서나 화면자료를 전송하게 되며, 모바일 서비스 이용자의 메뉴선택에 대해서는 무선통신용 언어인 WML(Wireless Markup Language)이나 MHTML로 제작된 각종 문서 등의 자료를 무선통신용 프로토콜인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또는 HTTP를 통해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외국어 학습광고 제공단계(S300)는 최초 사이트 접속단계(S310)에서 메인서버(15)에 접속한 사용자가 회원인가를 확인한 뒤, 회원인 경우에는 회원 사용자 PC(11)의 로그인 요청에 따라 인증을 거쳐 사용자 개인별 초기화면을 표시하게 된다(S311). 반대로, 사용자가 회원이 아닌 경우에는 가입절차를 거쳐 회원으로서 로그인하도록 유도하는 한편, 회원 가입을 원하지 않는 사용자에 대해서는 게스트 로그인을 통해 예컨대, 인기광고 학습메뉴와 같은 한정된 서비스에 대해서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S312).
그리고 나서 본격적으로 광고시청 학습단계(S320)를 통해 광고교재를 활용한 외국어 학습 서비스가 제공되는데, 이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외국어 학습자료로서 가공된 국내외의 각종 광고를 시청하면서 외국어를 학습하게 된다. 이를 위해 학습단계(S320)에서는 광고선택단계(S321), 원본광고시청단계(S322), 원어지문광고 시청단계(S323), 외국어지문광고 시청단계(S324) 그리고 자국어지문광고시청단계 (S325)를 거치게 된다.
최초 초기화면에서 사용자는 진도에 의한 학습, 최신광고학습, 인기광고학습, 기학습광고 복습으로 구분된 다양한 학습메뉴 중에서 자신의 취향에 맞는 광고 학습방식을 선택하게 된다. 그 다음 선택한 메뉴에 따른 광고의 상세목록이 제시되면 그 중에서 원하는 광고를 클릭하여 다양한 지문이 삽입된 광고교재를 시청할 수 있게 된다(S321). 즉, 선택에 따라 광고원본을 그대로 지문 없이 재생하여 시청할 수 있으며(S322), 원어로 된 지문 즉, 광고가 제작된 국가의 언어로 된 다시 말해 광고의 캐릭터가 구사하는 언어로 된 지문이 삽입된 광고를 시청할 수도 있고(S323), 반대로 원어도 아니고 자국어 즉, 국어도 아닌 제2의 외국어로 된 지문이 삽입되어 있는 광고를 시청할 수도 있다(S324). 아울러, 원어 또는 외국어 지문의 번역으로서 자국어 즉, 국어로 된 지문이 삽입되어 있는 광고를 시청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외국어 표현을 익힐 수 있으며(S325), 위 4가지 경우 모두 희망에 따라 광고화면을 반복 재생하여 시청할 수 있다.
광고교재의 시청에 이어, 사용자는 자신이 시청한 광고의 각종 지문을 통해 해당 외국어를 심화하여 학습할 수 있는데(S330), 이 단계(S330)에서는 먼저 광고시청 학습단계(S320)에서 자신이 시청한 광고교재의 지문 전체의 자국어 번역문을 확인할 수 있으며(S331), 원어지문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원어로 된 지문 전문을 확인할 수 있고, 필요하다면 원어 지문을 이용해 지문 중의 단어나 구문 등의 유사/확장 표현등을 별도의 학습화면을 통해 심화하여 학습할 수도 있다(S332). 마찬가지로 원어 외의 언어 즉 제2의 외국어로 된 지문을 확인하는 경우에도 외국어의 지문 전체를 통해 단어나 구문 표현 등에 대한 심화학습을 할 수 있다(S333).끝으로, 사용자는 광고내용이 담고 있는 배경이나 상황 해설을 자국어 즉, 국어로 확인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즉, 상황에 맞는 살아있는 외국어 학습을 할 수도 있다(S334).
이렇게 해서, 장단기적으로 외국어 학습을 해온 사용자는 학습성과 확인단계(S340)를 통해 자신의 학습성과를 스스로 확인하고 평가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학습진도 화면을 통해 특정 언어 별로 누적된 사용자 개인의 학습성과를 그래프나 표로 확인할 수 있으며(S341), 특정 언어 즉, 사용자가 원하는 외국어를 대상으로 외국어 듣기(S342), 쓰기(S343) 및 독해(S344) 등을 개별적으로 테스트하여 스스로의 해당 외국어 능력을 평가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고방송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외국어 학습방법에 의하면, 한 국가의 시대상황을 가장 함축적으로 반영하면서도 보는 이의 관심이나 흥미를 최대한으로 유발시키는 형식으로 제작되는 다양한 형태의 상업광고나 공익광고를 이용해 외국어 학습교재로 제작하여 공급함으로써, 학습과정 중 흥미를 잃기 쉬운 외국어 학습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으며, 무상으로 또는 광고의 대가 즉, 광고비를 받으면서 손쉽게 양질의 학습교재용 컨텐츠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공급자는 인터넷이나 무선통신을 통해 온라인 상에서 또는 CD-ROM 타이틀이나 인쇄매체를 통해 오프라인 상에서 양질의 외국어 학습교재를 무료로 제공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현장의 살아있는 외국어를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9)

  1. 국내외 방송용 광고의 원본을 확보하는 단계(S100), 상기 광고 확보단계(S100)에서 확보된 광고원본을 외국어 학습교재로 가공하는 단계(S200) 및, 상기 광고 가공단계(S200)에서 가공된 외국어 학습광고를 온오프라인 상의 매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30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방송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외국어 학습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가공단계(S200)는 외국의 광고원본을 외국어 학습자료로 제작하는 단계(S210), 자국의 광고원본을 외국어 학습자료로 제작하는 단계(S220) 및, 상기 광고에 대한 해설화면을 제작하는 단계(S23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방송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외국어 학습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외국어 학습자료 제작단계(S210)는 광고원본에 원어 지문을 추가하는 단계(S211), 광고원본에 외국어 지문을 추가하는 단계(S212), 광고원본에 자국어 지문을 추가하는 단계(S213), 원어 또는 외국어 지문 전문을 게시하기 위한 화면을 제작하는 단계(S214), 원어 또는 외국어 지문 중의 단어를 학습하기 위한 화면을 제작하는 단계(S215) 및, 원어 또는 외국어 지문 중의 표현을 학습하기 위한 화면을 제작하는 단계(S216)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방송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외국어 학습방법.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외국어 학습자료 제작단계(S220)는 광고원본에 외국어 지문을 추가하는 단계(S221), 외국어 지문 전문을 게시하기 위한 화면을 제작하는 단계(S222), 외국어 지문 중의 단어를 학습하기 위한 화면을 제작하는 단계(S223) 및, 외국어 지문 중의 표현을 학습하기 위한 화면을 제작하는 단계(S224)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방송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외국어 학습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국어 학습광고 제공단계(S300)에서 사용되는 매체는 인터넷망, 무선통신망, CD-ROM, 인쇄매체 중 어느 하나의 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방송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외국어 학습방법.
  6. 제1 또는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국어 학습광고 제공단계(S300)는 사용자 PC(11)와 메인 서버(15)를 연결하는 인터넷망(13)을 이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사용자 PC(11)로부터의 회원 로그인 요청에 따라 인증을 거쳐 개인별 초기화면을 표시하는 사이트 접속단계(S310), 외국어 학습자료로서 가공된 광고를 시청하면서 외국어를 학습하도록 하는 광고시청 학습단계(S320), 상기 광고시청 학습단계(S320)에서 학습한 광고의 지문만으로 심화학습을 하도록 하는 광고심화 학습단계(S330) 및, 학습 진도 및 성과를 확인하고 평가하는 학습성과 확인단계(S34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방송을 이용한 온오프라인외국어 학습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시청 학습단계(S320)는 상기 초기화면에서 원하는 학습형태에 따라 시청할 광고메뉴를 선택하도록 하고, 선택된 광고의 목록을 표시하여, 학습희망 광고를 선택하도록 하는 광고선택단계(S321), 반복 가능하게 광고 원본을 시청하도록 하는 원본광고 시청단계(S322), 반복 가능하게 원어로 된 지문을 포함하는 광고를 시청하도록 하는 원어지문광고 시청단계(S323), 반복 가능하게 외국어로 된 지문을 포함하는 광고를 시청하도록 하는 외국어지문광고 시청단계(S324) 및, 반복 가능하게 자국어로 된 지문을 포함하는 광고를 시청하도록 하는 자국어지문광고 시청단계(S325)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방송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외국어 학습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심화 학습단계(S330)는 상기 광고시청 학습단계(S320)에서 시청한 광고지문의 전문을 자국어로 표시하는 지문번역단계 (S331), 상기 광고의 원어지문의 전문을 원어로 표시하고, 상기 원어지문 중의 단어 및 구문표현을 학습하도록 하는 원어심화 학습단계(S332), 상기 광고의 외국어지문의 전문을 외국어로 표시하고, 상기 외국어지문 중의 단어 및 구문표현을 학습하도록 하는 외국어심화 학습단계(S333) 및, 상기 광고의 상황을 자국어로 설명하는 광고해설단계(S334)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방송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외국어 학습방법.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성과 확인단계(S340)는 학습진도를 화면상에서 알려주는 학습진도 표시단계(S341), 듣기 테스트를 통해 외국어 듣기능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듣기평가단계(S342), 쓰기 테스트를 통해 외국어 쓰기능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쓰기평가단계(S343) 및, 독해 테스트를 통해 외국어 독해능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독해평가단계(S344)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방송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외국어 학습방법.
KR1020000075152A 2000-12-11 2000-12-11 광고방송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외국어 학습방법 KR200200457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5152A KR20020045757A (ko) 2000-12-11 2000-12-11 광고방송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외국어 학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5152A KR20020045757A (ko) 2000-12-11 2000-12-11 광고방송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외국어 학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5757A true KR20020045757A (ko) 2002-06-20

Family

ID=27680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5152A KR20020045757A (ko) 2000-12-11 2000-12-11 광고방송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외국어 학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575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654B1 (ko) * 2001-03-28 2004-05-22 조치영 광고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방법 및 시스템
WO2013078144A2 (en) * 2011-11-21 2013-05-30 Age Of Learning, Inc. Computer-based language immersion teaching for young learners
US8740620B2 (en) 2011-11-21 2014-06-03 Age Of Learning, Inc. Language teaching system that facilitates mentor involvement
US8784108B2 (en) 2011-11-21 2014-07-22 Age Of Learning, Inc. Computer-based language immersion teaching for young learners
US9058751B2 (en) 2011-11-21 2015-06-16 Age Of Learning, Inc. Language phoneme practice engin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654B1 (ko) * 2001-03-28 2004-05-22 조치영 광고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방법 및 시스템
WO2013078144A2 (en) * 2011-11-21 2013-05-30 Age Of Learning, Inc. Computer-based language immersion teaching for young learners
WO2013078144A3 (en) * 2011-11-21 2013-08-15 Age Of Learning, Inc. Computer-based language immersion teaching for young learners
US8740620B2 (en) 2011-11-21 2014-06-03 Age Of Learning, Inc. Language teaching system that facilitates mentor involvement
US8784108B2 (en) 2011-11-21 2014-07-22 Age Of Learning, Inc. Computer-based language immersion teaching for young learners
US9058751B2 (en) 2011-11-21 2015-06-16 Age Of Learning, Inc. Language phoneme practice eng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dukhayel Vlogs in L2 listening: EFL learners’ and teachers’ perceptions
Zhang et al. ‘Is it always so fast?’ Chinese perceptions of Spanish through danmu video comments
Zárate Subtitling for deaf children: Granting accessibility to audiovisual programmes in an educational way
Garza The Message Is the Medium: Using Video Materials To Facilitate Foreign Language Performance.
Kuscu-Ozbudak The role of subtitling on Netflix: an audience study
Podara et al. News usage patterns of young adults in the era of Interactive Journalism.
Kang et al. Broadening learners’ perspectives on World Englishes: a classroom-based study
Bloom et al. Cybercounseling & Cyberlearning: An Encore.
Liu Examining the implementation of academic vocabulary, lexical density, and speech rate features on OpenCourseWare and MOOC lectures
Walczak Immersion in audio description: the impact of style and vocal delivery on users' experience
KR20020045757A (ko) 광고방송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외국어 학습방법
Kourbetis et al. Digital Accessibility in the education of the deaf in Greece
Michaels A model of teleported texts (with reference to Aboriginal television)
Germain et al. Virtual teaching: Library instruction via the Web
Blyth Opening up foreign language education with open educational resources: The case of français ineractif
Annury CHILDHOOD AND LITERACY (A CRITICAL STUDYOF MEDIA EDUCATION AS CONTEMPORARY CULTURE)
Vigil Quick response (QR) codes for audio support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Umino Using multimodal language learning histories to understand learning experiences and beliefs of second language learners in Japan
Pridmore-Franz A study on the audience reception of theatre surtitles: surtitling in a Francophone minority context in Canada and the language learning potentials of theatre surtitles
Rahmawati et al. Investigating Factors Affecting EFL Teachers’ Choice in Integrating Authentic E-Materials
Ghani et al. Enhancing Arabic Language Learning In The 21st Century: Understanding Generation Y’s Need In Malaysian Context
Kovačević Digital Content Creation as a Part of ESP Courses
He et al. Multimedia learning materials for second language learners: A comparison of two kinds of videos
Zhao et al. Effectiveness of vernacular library orientation videos in comparison with the English language equivalent
Akseki An End User Based Study on Subtitling for the d/Deaf and Hard of Hearing in Turke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