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5335A - 편향 요크의 상하 찌그러짐 보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편향 요크의 상하 찌그러짐 보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5335A
KR20020045335A KR1020000074759A KR20000074759A KR20020045335A KR 20020045335 A KR20020045335 A KR 20020045335A KR 1020000074759 A KR1020000074759 A KR 1020000074759A KR 20000074759 A KR20000074759 A KR 20000074759A KR 20020045335 A KR20020045335 A KR 20020045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lection
deflection yoke
electromagnets
electromagne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4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춘식
Original Assignee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순택
Priority to KR1020000074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5335A/ko
Publication of KR20020045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533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01J29/762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using saddle coils or printed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2Convergence correction arrange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56Correction of beam optics
    • H01J2229/568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Landscapes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화면의 상하 찌그러짐을 효과적으로 보정하기 위한 편향 요크의 상하 찌그러짐(NS distortion) 보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코일 세퍼레이터의 내측에 장치되어 수직 방향으로 핀쿠션(Pincushion)형 자계를 발생시키는 수평 편향 코일과, 코일 세퍼레이터의 외측에 장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배럴(Barrel)형 자계를 발생시키는 수직 편향 코일을 포함하며,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을 특정의 화소로 편향시키는 편향 요크에 있어서, 상기 편향 요크의 상하측에 전자석을 각각 설치하고, 이 전자석을 상기 수직 편향 코일에 직렬로 연결하여 상기 수직 편향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과 동일한 전압이 상기 전자석에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전자총에서 발사된 전자빔이 수직 편향 코일에 의해 편향된 방향으로 더욱 편향되도록 한 편향 요크의 상하 찌그러짐 보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편향 요크의 상하 찌그러짐 보정 시스템{SYSTEM FOR CORRECTING NORTH-SOUTH DISTORTION OF DEFLECTION YOKE}
본 발명은 화면의 상하 찌그러짐을 효과적으로 보정하기 위한 편향 요크의 상하 찌그러짐(NS distortion) 보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극선관에는 패널과 넥크부를 연결하는 펀넬(funnel)의 콘(cone)부 외주면에 장착되어 전자빔을 특정의 화소로 편향시키는 편향 요크(DY :deflection yoke)가 구비되는바, 상기 편향 요크는 코일 세퍼레이터의 내측에 장치되어 수직 방향으로 핀쿠션(Pincushion)형 자계를 발생시키는 수평 편향 코일과, 코일 세퍼레이터와 페라이트 코어 사이에 장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배럴(Barrel)형 자계를 발생시키는 수직 편향 코일을 포함한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의 음극선관에 있어서, 스크린이 대형화 및 평면화 됨에따라 스크린의 주변으로 갈수록 편향점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어 전자빔을 편향한 경우에는 가장 먼 거리에 있는 네 구석 부분의 편향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린의 상하(north-south) 방향으로 핀쿠션 찌그러짐(NS distortion)이 발생되는바, 종래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향 요크의 스크린측 개구부에 영구자석(M1, M2)을 설치하여 상기 찌그러짐을 보정하였다.
이와 같이 편향 요크의 스크린측 개구부 상하 부분에 영구자석(M1, M2)을 설치하면, 이 영구자석으로 인해 형성되는 자계에 의해 스크린상에 배럴형 왜(歪)가 발생되며, 이로 인해 컨버젼스의 특성중 Yh(수평 편향 자계의 상하 방향을 의미함)가 (+)화(스크린의 상측에서는 측정 빔이 기준 빔으로부터 12시 방향에 위치되는 반면, 스크린의 하측에서는 측정 빔이 기준 빔으로부터 6시 방향에 위치되는 것을 의미함) 된다.
따라서, 상기 배럴형 왜에 의해 스크린의 상하 찌그러짐이 보정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영구자석을 이용하여 상하 찌그러짐을 보정하는 시스템에 의하면, 컨버젼스의 특성중 Xh(수평 편향 자계의 좌우 방향을 의미함)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자계가 발생되므로, 이 자계에 의해 상기 Xh가 (-)화(스크린 우측에서는 측정 빔이 기준 빔으로부터 9시 방향에 위치되는 반면, 스크린의 좌측에서는 측정 빔이 기준 빔으로부터 3시 방향에 위치되는 것을 의미함) 되는 불합리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컨버젼스의 특성중 Xh 특성을 악화시키지 않으면서도 화면의 상하 찌그러짐을 효과적으로 보정할 수 있는 편향 요크의 상하 찌그러짐 보정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화면의 상하 찌그러짐 현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상하 찌그러짐 보정 시스템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 찌그러짐 보정 시스템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편향 요크의 상하에 전자석을 각각 설치하고, 이 전자석을 수직 편향 코일에 직렬로 연결함으로써, 전자총에서 발사된 전자 빔이 수직 편향 코일에 의해 편향된 방향으로 더욱 편향되도록 한 편향 요크의 상하 찌그러짐 보정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편향 요크의 상하 찌그러짐 보정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보정 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 편향 요크의 상하, 바람직하게는 편향 요크의 스크린측 개구부 상하에는 전자석(S1, S2)이 설치되고, 이 전자석에 감겨진 코일에는 편향 요크의 수직 편향 코일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수직 편향 코일에는 소정 주파수(대략 60㎐)의 교류 전압이 인가되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전자석은 일자형 전자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곡률형 전자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도 3에는 일자형 전자석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빔(??)이 편향 코일에 의해 스크린의 상방향으로 편향된 경우에는 수직 편향 코일에 직렬로 연결된 전자석(S1, S2)에 화살표로 도시한 방향을 따라 전류가 인가되므로, 이 전자석(S1, S2)에는 도시한 방향으로 자계가 형성되고, 이로 인해 전자빔(??)에는 전자석(S1, S2)에 의해 형성된 자계로 인해 화면의 상측으로 힘이 작용된다.
따라서, 컨버젼스의 특성중 Yh(수평 편향 자계의 상하 방향을 의미함)가 (+)화(스크린의 상측에서는 측정 빔이 기준 빔으로부터 12시 방향에 위치되는 반면, 스크린의 하측에서는 측정 빔이 기준 빔으로부터 6시 방향에 위치되는 것을 의미함) 되므로, 스크린의 상측 방향 찌그러짐이 보정된다.
이때, 하측의 전자석(S2)에도 상측의 전자석(S1)과 동일한 방향으로 자계가 형성되지만, 전자빔(??)이 스크린의 상반부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스크린 하측의 Yh가 (-)화 되지는 않는다.
이와는 반대로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빔(??)이 편향 코일에 의해 스크린의 하방향으로 편향될 때에는 수직 편향 코일에 직렬로 연결된 전자석(S1, S2)에 화살표로 도시한 방향을 따라 전류가 인가되므로, 이 전자석에는 도시한 방향으로 자계가 형성되고, 이로 인해 전자빔(??)에는 전자석(S1, S2)에 의해 형성된 자계로 인해 화면의 하측으로 힘이 작용된다.
따라서, 컨버젼스의 특성중 Yh(수평 편향 자계의 상하 방향을 의미함)가 (+)화(스크린의 상측에서는 측정 빔이 기준 빔으로부터 12시 방향에 위치되는 반면,스크린의 하측에서는 측정 빔이 기준 빔으로부터 6시 방향에 위치되는 것을 의미함) 되므로, 스크린의 하측 방향 찌그러짐이 보정된다.
이때, 상측의 전자석(S1)에도 하측의 전자석(S2)과 동일한 방향으로 자계가 형성되지만, 전자빔(??)이 스크린의 하반부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스크린 상측의 Yh가 (-)화 되지는 않는다.
하기 표 1은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을 비교 분석한 것으로,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영구자석을 사용한 경우에는 Xh 특성에 영향을 주는 자계가 형성되므로 Xh 변화량이 0.63으로 매우 크지만, 본 발명의 곡률 전자석 또는 일자 전자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Xh 특성에 영향을 주는 자계가 거의 형성되지 않으므로 컨버젼스의 특성중 Xh의 변화량이 거의 없다.
표 1
NS 보정 시스템
자석 無 영구자석 곡률 전자석 일자 전자석
Xh 0.32 -0.31 0.36 0.31
Yh -0.23 0.52 0.92 0.53
Yh 변화량 0.75 1.15 0.76
NS 변화량 4.65 6.75 5.5
(NS 변화량)/(Yh 변화량) 6.2 5.9 7.2
Xh 변화량 -0.63 0.04 -0.01
그런데, 상하 찌그러짐(NS distortion)을 보정할 때에는 Yh 변화량이 적으면서도 NS 변화량이 큰 보정 방식이 효과적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 중에서는 곡률 전자석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일자 전자석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하 찌그러짐 보정 시스템에 의하면, 편향 요크의 스크린측 개구부에 설치된 전자석에는 수직 편향 코일과 동일한 전류가 인가되므로, 상기 전자석으로 인해 형성되는 자계는 컨버젼스의 특성중 Xh 특성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전자빔이 수직 편향 코일에 의해 편향된 방향으로 더욱 더 편향시키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상하 찌그러짐을 효과적으로 보정할 수 있다.

Claims (4)

  1. 코일 세퍼레이터의 내측에 장치되어 수직 방향으로 핀쿠션(Pincushion)형 자계를 발생시키는 수평 편향 코일과, 코일 세퍼레이터의 외측에 장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배럴(Barrel)형 자계를 발생시키는 수직 편향 코일을 포함하며,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을 특정의 화소로 편향시키는 편향 요크에 있어서,
    상기 편향 요크의 상하측에 전자석을 각각 설치하고, 이 전자석을 상기 수직 편향 코일에 직렬로 연결하여 상기 수직 편향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과 동일한 전압이 상기 전자석에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전자총에서 발사된 전자빔이 수직 편향 코일에 의해 편향된 방향으로 더욱 편향되도록 한 편향 요크의 상하 찌그러짐 보정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은 편향 요크의 스크린측 개구부에 설치되는 편향 요크의 상하 찌그러짐 보정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이 일자형상을 갖는 편향 요크의 상하 찌그러짐 보정 시스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의 내면이 곡률을 갖는 편향 요크의 상하 찌그러짐 보정 시스템.
KR1020000074759A 2000-12-08 2000-12-08 편향 요크의 상하 찌그러짐 보정 시스템 KR200200453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4759A KR20020045335A (ko) 2000-12-08 2000-12-08 편향 요크의 상하 찌그러짐 보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4759A KR20020045335A (ko) 2000-12-08 2000-12-08 편향 요크의 상하 찌그러짐 보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5335A true KR20020045335A (ko) 2002-06-19

Family

ID=27680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4759A KR20020045335A (ko) 2000-12-08 2000-12-08 편향 요크의 상하 찌그러짐 보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533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59874A (en) Deflection yoke comprising magnetically permeable members forming a pincushion shape field within the neck of a crt
KR920001821B1 (ko) 텔레비젼 표시 시스템
US4876479A (en) Deflection yoke for a color cathode ray tube
US5177399A (en)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KR20020045335A (ko) 편향 요크의 상하 찌그러짐 보정 시스템
EP0348912B1 (en)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KR100240100B1 (ko) 음극선관장치의 래스터 일그러짐 보정장치
EP0310242B1 (en) Colour display system including a self-converging deflection yoke providing raster distortion correction
KR950003512B1 (ko) 코마 보정 칼라 텔레비젼 표시관
KR100310648B1 (ko) 비디오표시장치
US5747924A (en) Picture distortion correcting apparatus
KR20010018033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US20030080670A1 (en) Color picture tube device with improved horizontal resolution
US20030209967A1 (en) Cathode ray tube
KR100270364B1 (ko) 음극선관의인너디스토션보정장치
KR200155650Y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보정장치
KR200289349Y1 (ko) 편향요크의 보정편 삽입구조
US6388401B1 (en) Color display device having quadrupole convergence coils
KR100759405B1 (ko)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
KR20030077993A (ko) 음극선관에 대한 이미지 기하학적 결점을 보정하기 위한자기 디바이스
KR200155794Y1 (ko) 음극선관용 방폭밴드
KR200179594Y1 (ko) 음극선관의 코마수차 보정장치
KR100355448B1 (ko)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JP2001160364A (ja) 偏向ヨ−ク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EP1372182A1 (en) Colour picture tub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