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37Y1 - 건축판재 - Google Patents

건축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37Y1
KR200200437Y1 KR2020000015606U KR20000015606U KR200200437Y1 KR 200200437 Y1 KR200200437 Y1 KR 200200437Y1 KR 2020000015606 U KR2020000015606 U KR 2020000015606U KR 20000015606 U KR20000015606 U KR 20000015606U KR 200200437 Y1 KR200200437 Y1 KR 2002004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uilding
vertical surface
present
conn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56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상
Original Assignee
이승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상 filed Critical 이승상
Priority to KR20200000156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04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02/001Mechanical features of panels
    • E04C2002/004Panels with profiled edges, e.g. stepped, ser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판재에 관한 것으로, 판재(1)의 시공시 매끈하면서도 튼튼하게 결속이 될 수 있도록, 상기 판재(1)의 측면 상부에 형성시킨 수직면(4)과, 상기 수직면(4)의 하부에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시킨 경사면(5)과, 상기 측면의 중앙에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형성된 두 개의 숫접속부(3)와, 상기 측면의 반대측면에는 상부에 형성된 수직면(4)과, 상기 수직면(4)의 하부에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시킨 경사면(5)과, 상기 반대측면의 중앙부에는 상기 측면의 숫접속부(3)가 내삽되도록 반대형상으로 형성된 암접속부(2)와, 상기 판재(1)의 상부면 각 모서리에 결합시 원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시킨 홈(6)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판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판재 {Board}
본 고안은 건축판재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벽체 또는 천장판이나 바닥판으로 사용되는 건축판재로서 접합면을 암, 수접속부, 경사면 등의 복합적으로 구성하여 접합강도가 크고, 시공성이 뛰어나며 휨과 처짐우려가 없는 우수한 건축판재에 관한 것이다.
대형타일 형태로 된 통상의 천장판이나 바닥판은 주면이 밋밋하여 조적할 때 인접한 판재끼리 이맞춤이 수월하지 않으며, 특히 평판으로 된 건축용 판재는 접합강도가 약하여 파손되기 쉬워 일반 건축판재에 대한 인식이 좋지 못하여 이것의 사 용을 회피하려는 문제가 있어 왔다.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98-8328호는, 황토와 황토에 일체로 포함되는 볏짚과, 상기한 황토와 볏짚의 혼합체내에 일체로 포함되는 망체로 이루어진 황토벽체에 관한 것이며,
DERWENT자료 구소연방공화국 공개특허공보 제1735525호(1992.5.23)에는 석재패널의 전면부를 <형으로 형성하고 후면부를 상기 전면부에 대응하는 결합형상을 갖도록 하는 결합수단을 갖는 벽돌이 기재되어 있으나,
상기 종래의 기술들은 건축자재에 접합강도가 약하고, 접속부가 밋밋하여 시공시 매끈하게 시공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의 건축판재의 단점을 극복하여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고, 직각 사각형 판재의 양 측면에 접합면을 암, 수접속부, 경사면 등의 복합적으로 형성하여 접합강도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판재를 제공하는 것이 본 고안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인 것이다.
도 1 : 본 고안의 건축판재의 우측 사시도
도 2 : 본 고안의 건축판재의 좌측 사시도
도 3 : 본 고안의 건축판재의 사용상태도
<도면부호의 설명>
(1) 판재 (2) 암접속부 (3) 숫접속부 (4) 수직면 (5) 경사면
(6) 홈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의 판상으로 된 판재의 양 측면에 상부는 수직면으로, 하부는 경사면으로 중앙부에 두 개씩의 암, 수접속부를 형성하여 접속강도를 향상시킨 건축판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직육면체의 건축재로 구성되어 있어, 벽체 또는 바닥 및 천장을 시공할 경우에는 건축재의 하중 때문에 건축재와 건축재의 구조가 문제가 되어 왔다.
즉, 재질이 무거울 경우에는 천장재로서 사용하기 어려우며, 바닥재일 경우에는 온돌바닥을 시공할 경우에는 건축재가 두꺼우면 열 전달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여야 하고 열로 인한 팽창 및 수축을 감안하여 건축재 구조에 상기 물리적 특성을 감안하여 제작하고 시공해야 쾌적한 공간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기 위하여 건축재의 구조를 개량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건축판재의 접합부를 개량한 것은 종래의 직육면체로 된 건축재보다 건축재끼리의 접합면을 복합적으로 형성시켜, 열에 의하여 건축재의 팽창수축으로 인한 물리적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여 시공 후에 균열이나 파손이 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였고, 특히 바닥재일 경우에는 하중을 종래의 건축재보다 많이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안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건축판재의 우측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건축판재의 좌측 사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의 건축판재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하였으며, 도면의 부호는 판재(1), 암접속부(2), 숫접속부(3), 수직면(4), 경사면(5), 홈(6) 임을 알 수 있다.
도1 및 도2와 같이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의 판상으로서 두께가 약 3Cm~5Cm이며 바람직하게는 3Cm인 판재(1)를 형성하고, 상기 판재(1)의 측면에 상부는 수직 면(4)으로 형성되고, 그 하부는 외측으로 경사지게 경사면(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의 중앙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돌출된 두 개의 숫접속부(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면의 반대측면에는 상기 측면의 반대로 상부는 수직면(4)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부는 내측으로 경사지게 경사면(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반대측면의 중앙부에는 상기 측면의 숫접속부(3)가 내삽되도록 반대형상의 암접속부(2)를 형성하여 상기 판재(1)를 결합시 매끈하면서도 튼튼하게 결속이 될 수 있도록 형성하며, 상기 판재(1)의 상부면 각 모서리에는 결합 시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홈(6)을 형성한다.
도3은 상기 건축판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판재의 접합면에 의해 건축판재끼리 서로 긴밀한 접촉이 저절로 이뤄지는 것이며, 이와 같은 판재(1)를 천장판 또는 벽판 및 바닥판으로도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건축판재는 매끈하게 시공될 수 있으며, 판재의 접합면을 복합적으로 형성시켜 접합강도를 크게 향상시키고, 오래도록 처음의 시공한 상태가 유지되므로 건축판재의 신뢰도와 품질향상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건축판재에 있어서, 판재(1)의 시공시 매끈하면서도 튼튼하게 결속이 될 수 있도록, 상기 판재(1)의 측면 상부에 형성시킨 수직면(4)과, 상기 수직면(4)의 하부에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시킨 경사면(5)과, 상기 측면의 중앙에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형성된 두 개의 숫접속부(3)와, 상기 측면의 반대측면에는 상부에 형성된 수직면(4)과, 상기 수직면(4)의 하부에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시킨 경사면(5)과, 상기 반대측면의 중앙부에는 상기 측면의 숫접속부(3)가 내삽되도록 반대형상으로 형성된 암접속부(2)와, 상기 판재(1)의 상부면 각 모서리에 결합시 원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시킨 홈(6)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판재.
KR2020000015606U 2000-06-01 2000-06-01 건축판재 KR2002004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606U KR200200437Y1 (ko) 2000-06-01 2000-06-01 건축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606U KR200200437Y1 (ko) 2000-06-01 2000-06-01 건축판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8857A Division KR100405646B1 (ko) 2001-05-25 2001-05-25 건축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37Y1 true KR200200437Y1 (ko) 2000-10-16

Family

ID=19658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5606U KR200200437Y1 (ko) 2000-06-01 2000-06-01 건축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3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5994B1 (en) Self-aligning building blocks
US4956958A (en) Autofitting building blocks and bricks
JP2003521606A (ja) 壁要素、天井要素、床要素、支持壁要素、境界要素、隔壁要素等を構築する構成材
CN2911052Y (zh) 保温砖
KR200200437Y1 (ko) 건축판재
KR100405646B1 (ko) 건축판재
DK1255899T3 (da) Stabelbart konstruktionspanel
CN211172662U (zh) 一种a级保温砌块及保温外墙
KR20150010112A (ko) 양면 압력-점착테이프를 이용한 벽돌 조적공법
WO1992004513A1 (en) Building component
CN211447634U (zh) 一种用于设置室内下水管通道的槽体砖
JPH0524754Y2 (ko)
CN215858554U (zh) 一种固废配方烧结保温砖结构
KR200375015Y1 (ko) 황토 벽돌
CN2457254Y (zh) 插接式楼板
CN211473049U (zh) 一种建筑用砖
CN216587125U (zh) 一种绿色装配式建筑墙体结构
JPH0334966Y2 (ko)
KR100364660B1 (ko) 황토 세라믹 압축 온돌 패널의 시공방법
JP3135792U (ja) レンガ組用補助部材
KR200282524Y1 (ko) 황토벽돌
KR200435778Y1 (ko) 요철과 돌기가 있는 콘크리트 블럭
KR100240827B1 (ko) 조립식 블록 및 그 시공방법
CN100999943A (zh) 新型保温砖
JP3124820U (ja) 連結可能なプレート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