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3329A -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3329A
KR20020043329A KR1020000072659A KR20000072659A KR20020043329A KR 20020043329 A KR20020043329 A KR 20020043329A KR 1020000072659 A KR1020000072659 A KR 1020000072659A KR 20000072659 A KR20000072659 A KR 20000072659A KR 20020043329 A KR20020043329 A KR 20020043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word
sub
client module
web browser
protoc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2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규
김희석
기성회
윤경현
Original Assignee
함경수
주식회사 엔피아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경수, 주식회사 엔피아시스템즈 filed Critical 함경수
Priority to KR1020000072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3329A/ko
Publication of KR20020043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332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를 제공받기 희망하는 회원으로 가입된 사용자들에게 플러그인 클라이언트 모듈 운용프로그램을 다운로드 전송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플러그인 클라이언트 모듈 운용프로그램이 설치된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웹브라우저를 실행시켜 웹브라우저 주소 입력창에 키워드와 서브 키워드 및 구분자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키워드(문자열)를 분석하여 일반 도메인이 아닌 키워드와 서브 키워드 및 구분자로 구성된 문자열인지 또는 가상 프로토콜이 포함되어 있는지 분석하고 그 분석된 결과를 근거로 상기 서버 모듈로 주소 입력창의 내용을 조회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 모듈은 클라이언트 모듈로부터 조회가 요청되면 키워드와 서브 키워드의 위치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는 단계와; 상기 조회된 위치정보를 근거로 해당 웹사이트의 도메인과 서브 도메인을 데이터로 작성하여 클라이언트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모듈은 전송된 해당 컨텐츠의 도메인과 서브 도메인을 웹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을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웹브라우저를 통해서 해당 웹사이트와의 접속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웹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에 입력되는 키워드와 서브 키워드 및 구분자를 분석하여 해당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사이트의 홈페이지와 서브 페이지를 자동 링크함으로써, 빠르고 편한 정보 접근은 물론 상세 정보를 검색하는 절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Offering Key-word URL Service}
본 발명은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웹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에 검색 키워드와 서브 키워드를 입력하여 검색함으로써, 빠르고 편한 정보 접근은 물론 상세 정보를 검색하는 절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을 통해 특정 웹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웹브라우저에 구비된 주소입력(URL)창에 접속 희망하는 웹사이트의 도메인을 직접 입력하거나, 북 마크에 미리 등록된 도메인을 선택하여 접속을 시도하게 된다.
인터넷 사용자들은 특정 사이트에 접속하게 되면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별도의 검색 창에 키워드를 입력하여 검색을 실행시키고 화면으로 출력되는 검색결과 리스트 중에 소정의 제목을 선택하거나, 간략 정보를 선택하게 되면 하이퍼링크가 설정된 해당 컨텐츠 주소로 접속을 시도하여 해당 컨텐츠의 웹사이트 또는 웹 페이지 내용을 화면으로 출력하는 일반적인 검색 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한 일반적인 검색 과정은 사용자가 직접 자신이 희망하는 정보를 얻기 위하여 키워드를 입력하고 검색된 결과 화면의 리스트를 일일이 선택하여 확인하는 절차를 실행하게 되며 선택한 내용이 자신이 찾고자 하는 내용과 일치하지 않은 경우, 복수의 리스트를 일일이 선택하여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최근 들어, 기존의 검색 과정의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수의 인터넷 업체들이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그 형태는 플러그 인 방식의 웹브라우저를 통해 한글을 URL 창에 직접 입력하게 되면 해당 인터넷 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 협력사의 주소가 하이퍼링크로 설정된 컨텐츠의 검색결과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서비스 방식과,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사업자들이 자신들이 제공하는 전용선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자동 검색 서비스, 즉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는 키워드를 기존의 도메인 URL로 연결시켜주는 역할로 한정되어 있어 다른 검색 사이트를 통해 검색하는 절차와 큰 차이점이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웹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에 입력되는 키워드와 구분자를 분석하여 해당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사이트의 홈페이지와 서브 페이지를 자동 링크함으로써, 빠르고 편한 정보 접근은 물론 상세 정보를 검색하는 절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클라이언트 단말기 11: 웹브라우저
12: 클라이언트 모듈 20: 인터넷
30: 서버 모듈
31: 클라이언트 모듈 제공시스템
32: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위하여,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를 제공받기 희망하는 회원으로 가입된 사용자들에게 플러그인 클라이언트 모듈 운용프로그램을 다운로드 전송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플러그인 클라이언트 모듈 운용프로그램이 설치된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웹브라우저를 실행시켜 웹브라우저 주소 입력창에 키워드와 서브 키워드 및 구분자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키워드(문자열)를 분석하여 일반 도메인이 아닌 키워드와 서브 키워드 및 구분자로 구성된 문자열인지 또는 가상 프로토콜이 포함되어 있는지 분석하고 그 분석된 결과를 근거로 서버 모듈로 주소 입력창의 내용을 조회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 모듈은 클라이언트 모듈로부터 조회가 요청되면 키워드와 서브 키워드의 위치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컨텐츠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는 단계와; 상기 조회된 위치정보를 근거로 해당 웹사이트의 도메인과 서브 도메인을 데이터로 작성하여 클라이언트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모듈은 전송된 해당 컨텐츠의 도메인과 서브 도메인을 웹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을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웹브라우저를 통해서 해당 웹사이트와의 접속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사용자들이 인터넷을 이용하여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한 웹브라우저와 웹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에 입력되는 프로토콜과 키워드, 서브 키워드 및 구분자를 분석하여 서버 모듈로 조회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 모듈로 구성된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원격에서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인 인터넷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플러그인 방식의 클라이언트 모듈 운용프로그램을 사용자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다운로드 전송하는 클라이언트 모듈 제공시스템과, 회원제로 관리되는 컨텐츠 보유 업체들의 컨텐츠를 상위 개념에서 하위 개념으로 분류하여 그 위치정보를 키워드로 저장 관리하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클라이언트 모듈을 통해 요청되는 입력된 프로토콜과 키워드, 서브 키워드 및 구분자의 분석된 데이터를 근거로 해당 웹사이트와 접속하여 서브 키워드를 처리하는 서버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을 첨부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 제공시스템은 웹브라우저(11)와 클라이언트 모듈(12)로 구성되고, 사용자들이 인터넷(20)을 이용하여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한 예컨대 개인용 컴퓨터 또는 인터넷 TV 등의 클라이언트 단말기(10)와, 원격에서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인 인터넷(20), 상기 클라이언트 모듈(12)을 통해 요청되는 입력된 프로토콜과 키워드, 서브 키워드 및 구분자의 분석된 데이터를 근거로 해당 웹사이트와 접속하여 입력된 키워드를 처리하는 서버 모듈(30),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10)를 통해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플러그인 방식의 클라이언트 모듈 운용프로그램을 사용자 클라이언트 단말기(10)로 다운로드 전송하는 클라이언트 모듈 제공시스템(31) 및 회원제로 관리되는 컨텐츠 보유 업체들의 컨텐츠를 상위 개념에서 하위 개념으로 분류하여 그 위치정보를 키워드로 저장 관리하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32)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10)의 클라이언트 모듈(12)은 사용자가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다운 받은 플러그인 방식의 운용프로그램으로서, 웹브라우저(11)의 주소 입력창에 입력되는 프로토콜과 키워드, 서브 키워드 및 구분자를 분석하여 서버 모듈(30)로 조회를 요청함과 더불어 프로토콜과 키워드가 생략된 입력인 경우에는 선택적으로 입력을 받거나 클라이언트 모듈(12)에 등록되어 있는 프로토콜과 키워드를 자동으로 삽입하여 서버 모듈(30)로 조회를 요청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클라이언트 모듈(12)은 사용자가 가상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입력하는 경우에도 입력된 가상 프로토콜과 키워드를 서버 모듈(30)로 전송하여 조회를 요청하게 된다.
상기 서버 모듈(30)은 글로벌 서버와 복수의 로컬 서버로 구성되고, 클라이언트 모듈(12)로부터 프로토콜과 키워드, 서브 키워드 및 구분자를 통한 조회가 요청되면 글로벌 서버와 로컬 서버를 통해 가상 프로토콜과 키워드를 분석한 후, 상기 입력된 키워드에 해당하는 로컬 서버들을 검색하여 로컬 서버가 다수 검색된 경우에는 그 리스트를 클라이언트 모듈(12)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로컬 서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로컬 서버가 선택된 경우에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32)에 등록 저장된 키워드에 해당하는 컨텐츠의 위치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컨텐츠의 위치정보를 클라이언트 모듈(12)로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클라이언트 모듈(12)은 웹브라우저(11)의 주소 입력창에 상기 전송된 해당 컨텐츠의 위치정보인 도메인 또는 서브 도메인을 입력함과 더불어 웹브라우저(11)를 통해 해당 컨텐츠 웹사이트의 홈페이지 또는 서브페이지로 자동 연결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서버 모듈(30)의 로컬 서버는 인터넷상에서 예컨대 예약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업체들을 대상으로 키워드를 등록 받아 해당 서비스 분야별로 가상 프로토콜 예컨대 "Srv-Book"등으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는 인터넷상에서 책을 판매하는 컨텐츠 제공자들의 특정 쇼핑몰을 지칭하는 가상 프로토콜이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는 다양한 분야의 인터넷 컨텐츠 업체들과 계약 및 제휴를 통해 각 컨텐츠 업체들이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를 통합 관리하기 위하여 해당 컨텐츠들을 상위 개념에서 하위 개념으로 분류하여 그 위치정보가 링크된 키워드를 등록 받아 컨텐츠 데이터베이스(32)에 각 분야별 키워드로 구분하여 저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컨텐츠 업체들을 회원제로 관리하여 변경되는 컨텐츠의 내용, 주소 및 정보의 변경 등을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여 관리하고,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를 제공받기 희망하는 인터넷 사용자들에게 플러그인 방식의 클라이언트 모듈 운용프로그램 다운로드를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웹브라우저가 구동되면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모듈(12)의 초기화 루틴을 실행하여 새로운 버전을 확인하여 버전 업그레이드 루틴을 실행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인터넷(20)을 통해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를 제공받기 희망하는 사용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의 클라이언트 단말기(10) 예컨대 개인용 컴퓨터에 내장된 기존의 인터넷 접속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인터넷(20)과 접속한 후,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의 도메인 주소를 입력하게 되면(S11), 상기 서버 모듈(30)은 웹 페이지 예컨대 홈페이지(Home Page)를 로딩(Loading)하여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서비스 내용을 화면으로 안내하게 된다(S12).
사용자가 화면상에 로그 인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서버 모듈(30)은 로그인 메시지를 화면으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회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사용자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S13), 사용자가 비회원인 경우에는 회원약관 및 회원정보 입력창 등을 화면으로 출력하여 회원등록 절차를 수행함과 더불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회원정보를 도시되지 않은 회원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원정보는 사용자의 주소, 연락처, 이메일, 직업, 취미, 특기, 신규 ID 및 패스워드 등을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게 된다.
상기 서버 모듈(30)은 사용자가 회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3)에서, 사용자가 회원인 경우에는 화면으로 출력되는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플러그인 클라이언트 모듈 운용프로그램의 다운로드 아이콘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15)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클라이언트 모듈 운용프로그램의 다운로드 아이콘이 선택되면(S16) 상기 클라이언트 모듈 제공시스템(31)을 통해 저장된 클라이언트 모듈 운용프로그램을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단말기(10)로 전송하는 다운로드를 실행하게 된다(S17). 여기서, 상기 서버 모듈(30)은 사용자에 의해 플러그인 클라이언트 모듈의 다운로드 아이콘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통상적인 웹 서핑을 제공하게 된다(S18).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0)에 다운로드 된 플러그인 클라이언트 모듈 운용프로그램을 자신의 클라이언트 단말기(10)에 설치하고(S19), 클라이언트 단말기(10) 예컨대 개인용 컴퓨터를 재 부팅하여 웹브라우저(11)의 운용프로그램을 실행시키게 되면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러그인 클라이언트 모듈 운용프로그램이 동시에 실행된다.
한편, 사용자가 자신의 클라이언트 단말기(10)의 웹브라우저(11)를 실행시켜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를 제공받는 절차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클라이언트 단말기(10)의 웹브라우저를 실행시킨 후(S21), 웹브라우저 주소 입력창에 프로토콜과 키워드, 서브 키워드 및 구분자를 선택적으로 입력하게 된다(S22). 여기서, 상기 구분자는 키워드와 서브 키워드를 구분하기 위한 구분 기호로서 예컨대, "/", "@", "-", "_", "<", ">" 및 스페이스 " " 등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 위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서브 키워드의 입력 예는 영화(키워드)/쉬리(서브 키워드)와 같이 예약시스템의 조회 시에 사용되고, 삼송(키워드)/전자(서브 키워드)/연구소(서브 키워드)와 같이 일반 기업체의 도메인의 서브 도메인 일 수도 있다. 그리고, http://삼송과 같이 생략되어 있던 http://를 추가해도 되며 dci://12345 같이 http 대신에 dci와 같이 미리 약속된 가상의 프로토콜을 입력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가상 프로토콜은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로부터 정의되는 서비스 군을 칭하는 것으로,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컨텐츠 업체들이 로컬 서버 등록시 부여받게 되는 예약, BtoB 및 쇼핑몰 등으로 구분된 서비스 군으로 예컨대, 서비스 대상이 영화인 경우에는 "Srv-movie:", "Rev-movie:" 및 "Srv@movie:" 등으로 등록 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10)의 클라이언트 모듈(12)은 웹브라우저(11)가 실행됨과 동시에 실행되고, 웹브라우저(11)의 주소 입력창에 입력되는 키워드(문자열)를 분석하여 일반 도메인(URL)이 아닌 키워드와 서브 키워드 및 구분자로 구성된 문자열인지 또는 가상 프로토콜이 포함되어 있는지 분석하고(S23) 그 분석된 결과를 근거로 상기 서버 모듈(30)로 주소 입력창의 내용을 조회 요청하게 된다(S24).
상기 서버 모듈(30)은 클라이언트 모듈(12)로부터 조회가 요청되면 키워드와 서브 키워드의 위치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32)를 조회하여, 조회된 해당 위치정보를 근거로 실제로 찾아 가야할 웹사이트의 주소(URL)와 해당 서브 도메인을 클라이언트 모듈(12)로 전송하게 된다(S25). 이때, 클라이언트 모듈(12)은 상기 전송된 해당 컨텐츠의 도메인(URL)과 서브 도메인을 웹브라우저(11)의 주소 입력창을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웹브라우저(11)를 통해 접속을 실행하도록 한다(S26).
여기서, 상기 서버 모듈(30)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워드가 서비스를 목적으로 하는 키워드 예컨대 예약, 구입 및 판매 등인 경우에는 로컬 서버에 등록된 키워드 리스트를 화면으로 출력하고, 사용자가 화면으로 출력되는 소정의 키워드를 선택하게 되면 해당 키워드의 서브 키워드 리스트를 화면으로 출력하며, 화면으로 출력된 서브 키워드를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서브 키워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키워드의 위치정보를 클라이언트 모듈(12)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키워드(문자열)를 분석하는 단계(S23)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웹브라우저(11)의 주소입력창에 프로토콜과 키워드, 서브 키워드 및 구분자를 입력하게 되면(S231), 상기 클라이언트 모듈(12)은 상기 입력된 문자열이 정상적으로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232), 입력이 정상적이지 못한 경우에는 에러 메시지를 화면으로 출력하여 재 입력을 요구하게 된다(S233). 여기서, 상기 입력되는 문자열 중에 프로토콜 다음에 오는 검색 메인 키워드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에서 한정할 수 있으며, 그 검색 키워드는 "항공", "air", "항공여객", "항공화물", "철도", "철도여객", "철도화물", "선박", "선박여객", "선박화물", "랜트카", 'Rent Car", "버스", "bus", "백화점", "책", "book", "상점", "shop", "영화", "movie", "음악", "music" 등을 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 모듈(12)은 입력된 문자열이 정상적으로 입력된 경우에는 문자열에 프로토콜이 생략되었는지 판단하여(S234), 생략된 경우에는 미리 등록된 프로토콜 예컨대, "http://"을 문자열에 삽입하고(S235), 상기 문자열에 검색 메인 키워드가 생략되었는지 판단하여(S236), 생략된 경우에는 미리 등록된 검색 메인 키워드 예컨대, "항고", "선박", "철도", "버스", "영화" 및 "음악"등을 삽입하고(S237), 서브 키워드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게 된다(S238).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열을 살펴보면 예컨대, "http://airline/seoul/tokyo"는 비행기표 예약시 출발지와 도착지에 대한 예약정보를 주소 표시줄에서 입력하는 예이고, "http://movie/JSA" 영화 JSA에 대한 상영관 정보를 바로 볼 수 있는 명령을 단 한 줄로 처리한 것이다. 또한, 특정 키워드를 자주 사용할 경우 생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준으로, 예를 들면"http://airline/seoul/tokyo"의 경우 "airline" 이라는 키워드는 자주 사용될 수 있으므로 생략하면 "http:///seoul/tokyo"로 입력한다. 물론 "http://"는 주소표시줄에서 생략이 가능하기 때문에 "/seoul/tokyo"로 입력해도 같은 의미이다. 즉, 사용자는 인자의 앞에 "/" 하나만 더 추가 해 줌으로써 앞에 무언가가 생략되어 있다는 것을 시스템에 암시해주며 클라이언트 단말기(10)의 클라이언트 모듈(12)은 기본 환경설정에서 미리 지정된 키워드를 서버 모듈(30)로 전송하도록 된 것이다.
또한, 기존 키워드 도메인 관점에서와 같이, 기존 키워드는 하나의 URL만을 가리키지만 키워드 뒤에 서브 키워드를 통해 여러 URL을 가리킬 수도 있다. 즉, "삼송"이라는 키워드에 대해 "삼송/전자", 삼송/화학" 이런 식으로 서브 키워드를 직접 선택할 수도 있다. 이 방법은 "삼송"만 입력하였을 경우 대화상자를 띄워 서브 키워드를 직접 선택할 수도 있게 된다. 그리고, 기존의 "http://" 대신에 다른 프로토콜을 이용 시에는 컨텐츠들을 가리키는 의미로 예컨대 "dci:" 또는 "dci://"를 입력함으로써 또 다른 영역의 도메인 영역을 확보 할 수가 있다.
상기 서브 키워드를 입력하여 서브 도메인의 웹사이트로 바로 접근할 수 있고, 키워드만을 입력하였을 경우에는 별도의 대화상자를 화면상에 열어 서브 키워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그 키워드 도메인에 대한 서브 도메인들이 등록되어 있는지를 감지하여 대화상자에 서브 도메인들의 리스트를 보여주고 이를 선택하여 해당 웹사이트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인터넷상에서 BtoB를 제공하는 컨텐츠 업체들이 로컬 서버에 가상 프로토콜 "srv-BtoB"로 지정되어 있다면 "/공구/검색/나사"와 같은 방식 대신"srv-BtoB:공구/검색/나사"와 같이 첫칸이 "/" 대신 가상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정확한 BtoB로 분류된 컨텐츠 업체의 로컬 서버에서만 검색을 하므로 BtoB를 서비스하는 업체는 사용자들이 자신들의 사이트로 정확히 오기를 원할 때, 특정 홈페이지에 하이퍼링크로 등록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은 웹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에 입력되는 키워드와 서브 키워드 및 구분자를 분석하여 해당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사이트의 홈페이지는 물론 서브 페이지를 자동 링크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은 단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은 웹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에 입력되는 키워드와 서브 키워드 및 구분자를 분석하여 해당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사이트의 홈페이지와 서브 페이지를 자동 링크함으로써 빠르고 편한 정보 접근은 물론 상세 정보를 검색하는 절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검색 서비스, 정보 제공 서비스 및 전자 상거래 등에서 적절한 키워드를 선점함으로써 회원으로 관리되는 인터넷 컨텐츠 업체들에게 유리한 위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를 제공받기 희망하는 회원으로 가입된 사용자들에게 플러그인 클라이언트 모듈 운용프로그램을 다운로드 전송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플러그인 클라이언트 모듈 운용프로그램이 설치된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웹브라우저를 실행시켜 웹브라우저 주소 입력창에 키워드와 서브 키워드 및 구분자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키워드(문자열)를 분석하여 일반 도메인이 아닌 키워드와 서브 키워드 및 구분자로 구성된 문자열인지 또는 가상 프로토콜이 포함되어 있는지 분석하고 그 분석된 결과를 근거로 서버 모듈로 주소 입력창의 내용을 조회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 모듈은 클라이언트 모듈로부터 조회가 요청되면 키워드와 서브 키워드의 위치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는 단계와;
    상기 조회된 위치정보를 근거로 해당 웹사이트의 도메인과 서브 도메인을 데이터로 작성하여 클라이언트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모듈은 전송된 해당 컨텐츠의 도메인과 서브 도메인을 웹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을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웹브라우저를 통해서 해당 웹사이트와의 접속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 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자는 키워드와 서브 키워드를 구분하기 위한 구분 기호로서, "/", "-", "_", "<", ">"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 제공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키워드만을 입력하였을 경우에는 대화상자를 통해 서브 키워드의 리스트를 화면으로 출력하여 서브 키워드를 선택 입력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 제공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키워드(문자열)를 분석하는 단계에서, 사용자가 웹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에 프로토콜과 키워드, 서브 키워드 및 구분자를 입력하게 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모듈을 통해 상기 입력된 문자열이 정상적으로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 모듈은 입력된 문자열이 정상적으로 입력된 경우에는 문자열에 프로토콜이 생략되었는지 판단하여 생략된 경우에는 미리 등록된 프로토콜을 문자열에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문자열에 검색 메인 키워드가 생략되었는지 판단하여 생략된 경우에는 미리 등록된 검색 키워드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문자열에 서브 키워드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 제공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되는 문자열 중에 프로토콜 다음에 오는 검색 키워드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에서 한정할 수 있으며, 그 검색 키워드는 "항공", "air", "항공여객", "항공화물", "철도", "철도여객", "철도화물", "선박", "선박여객", "선박화물", "랜트카", 'Rent Car", "버스", "bus", "백화점", "책", "book", "상점", "shop", "영화", "movie", "음악", "music" 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 제공방법.
  6. 사용자들이 인터넷(20)을 이용하여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한 웹브라우저(11)와 웹브라우저(11)의 주소 입력창에 입력되는 프로토콜과 키워드, 서브 키워드 및 구분자를 분석하여 서버 모듈(30)로 조회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 모듈(12)로 구성된 클라이언트 단말기(10)와;
    원격에서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인 인터넷(20)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10)를 통해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플러그인 방식의 클라이언트 모듈 운용프로그램을 사용자 클라이언트 단말기(10)로 다운로드 전송하는 클라이언트 모듈 제공시스템(31)과, 회원제로 관리되는 컨텐츠 보유 업체들의 컨텐츠를 상위 개념에서 하위 개념으로 분류하여 그 위치정보를 키워드로 저장 관리하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32)로 구성되고, 상기 클라이언트 모듈(12)을 통해 요청되는 입력된 프로토콜과 키워드, 서브 키워드 및 구분자의 분석된 데이터를 근거로 해당 웹사이트와 접속하여 입력된 키워드를 처리하는 서버 모듈(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 제공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10)의 클라이언트 모듈(12)은 사용자가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다운 받은 플러그인 방식의 운용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웹브라우저(11)의 주소 입력창에 입력된 문자열이 프로토콜 또는 키워드가 생략된 경우에는 클라이언트 모듈(12)에 등록되어 있는 프로토콜 또는 키워드를 자동으로 삽입하여 서버 모듈(30)로 조회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 제공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모듈(30)은 글로벌 서버와 복수의 로컬서버로 구성되고, 클라이언트 모듈(12)로부터 프로토콜과 키워드, 서브 키워드 및 구분자를 통한 조회가 요청되면 글로벌 서버와 로컬 서버를 통해 가상 프로토콜과 키워드를 분석한 후, 상기 입력된 키워드에 해당하는 로컬 서버들을 검색하여 로컬 서버가 다수 검색된 경우에는 해당 리스트를 클라이언트 모듈(12)로 전송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로컬 서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로컬 서버가 선택된 경우에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32)에 등록 저장된 키워드에 해당하는 컨텐츠의 위치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컨텐츠의 위치정보를 클라이언트 모듈(12)로 전송하고, 클라이언트 모듈(12)을 통해 웹브라우저(11)의 주소 입력창에 상기 전송된 해당 컨텐츠의 위치정보인 도메인 또는 서브 도메인을 입력함과 더불어 웹브라우저(11)를 통해 해당 컨텐츠 웹사이트의 홈페이지 또는 서브페이지로 자동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 제공시스템.
KR1020000072659A 2000-12-02 2000-12-02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0200433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2659A KR20020043329A (ko) 2000-12-02 2000-12-02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2659A KR20020043329A (ko) 2000-12-02 2000-12-02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3329A true KR20020043329A (ko) 2002-06-10

Family

ID=27679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2659A KR20020043329A (ko) 2000-12-02 2000-12-02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3329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0557A (ko) * 2001-10-11 2003-04-18 이성규 로컬 도메인키워드 서비스
WO2004104853A1 (en) * 2003-05-01 2004-12-02 Ubiz Communication Co., Ltd. Automatically website connecting system keyword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470493B1 (ko) * 2001-06-01 2005-02-07 니트젠테크놀러지스 주식회사 특수 도메인네임 분해 서비스 방법
WO2005111846A1 (en) * 2004-03-03 2005-11-24 Kyung Soo Ham Name multiple resolution service using name identifier
KR100818200B1 (ko) * 2006-09-15 2008-03-31 조관현 도메인 네임서버(dns)를 기반으로 한 키워드 인터넷접속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08072886A1 (en) * 2006-12-13 2008-06-19 Koan Hyun Cho The method and system of connecting internet using keyword based on dns
WO2013172660A1 (ko) * 2012-05-15 2013-11-21 주식회사 넷피아 콘텐츠 연결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2776A (en) * 1995-06-07 1998-09-22 Open Market, Inc. Method of providing internet pages by mapping telephone number provided by client to URL and returning the same in a redirect command by server
JPH11213008A (ja) * 1998-01-28 1999-08-06 Canon Inc テキスト検索装置、urlグルーピング装置、テキスト検索方法、及びurlグルーピング方法
JPH11328076A (ja) * 1998-05-14 1999-11-30 Atex:Kk インターネットへのアクセス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000054481A (ko) * 2000-06-08 2000-09-05 주진용 인터넷 상에서의 검색 장치 및 그 검색 방법
KR20010060361A (ko) * 1999-11-20 2001-07-06 주진용 웹 검색사이트의 검색결과 표시방법
KR20020017777A (ko) * 2000-08-31 2002-03-07 이판정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22977A (ko) * 2000-09-21 2002-03-28 한영석 인터넷 자원의 도메인화와 확장 사이트맵을 이용한정보검색 및 브라우징방법
KR100368300B1 (ko) * 2000-03-31 2003-01-24 (주)넷피아닷컴 인터넷 기반의 검색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2776A (en) * 1995-06-07 1998-09-22 Open Market, Inc. Method of providing internet pages by mapping telephone number provided by client to URL and returning the same in a redirect command by server
JPH11213008A (ja) * 1998-01-28 1999-08-06 Canon Inc テキスト検索装置、urlグルーピング装置、テキスト検索方法、及びurlグルーピング方法
JPH11328076A (ja) * 1998-05-14 1999-11-30 Atex:Kk インターネットへのアクセス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010060361A (ko) * 1999-11-20 2001-07-06 주진용 웹 검색사이트의 검색결과 표시방법
KR100368300B1 (ko) * 2000-03-31 2003-01-24 (주)넷피아닷컴 인터넷 기반의 검색 방법
KR20000054481A (ko) * 2000-06-08 2000-09-05 주진용 인터넷 상에서의 검색 장치 및 그 검색 방법
KR20020017777A (ko) * 2000-08-31 2002-03-07 이판정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22977A (ko) * 2000-09-21 2002-03-28 한영석 인터넷 자원의 도메인화와 확장 사이트맵을 이용한정보검색 및 브라우징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493B1 (ko) * 2001-06-01 2005-02-07 니트젠테크놀러지스 주식회사 특수 도메인네임 분해 서비스 방법
KR20030030557A (ko) * 2001-10-11 2003-04-18 이성규 로컬 도메인키워드 서비스
WO2004104853A1 (en) * 2003-05-01 2004-12-02 Ubiz Communication Co., Ltd. Automatically website connecting system keyword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05111846A1 (en) * 2004-03-03 2005-11-24 Kyung Soo Ham Name multiple resolution service using name identifier
KR100818200B1 (ko) * 2006-09-15 2008-03-31 조관현 도메인 네임서버(dns)를 기반으로 한 키워드 인터넷접속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08072886A1 (en) * 2006-12-13 2008-06-19 Koan Hyun Cho The method and system of connecting internet using keyword based on dns
WO2013172660A1 (ko) * 2012-05-15 2013-11-21 주식회사 넷피아 콘텐츠 연결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0629B2 (en) Network-based bookmark management and web-summary system
US6496855B1 (en) Web site registration proxy system
US6199077B1 (en) Server-side web summary generation and presentation
US672542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trieving information from semi-structured, web-based data sources
US682662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resource access request redirection
EP1163773B1 (en) An internet interface system
CN100373377C (zh) 用于检索来自多个不同数据库的搜索结果的方法
EP2089817B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lligent processing of electronic information
US75965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airing providers with consumers of online goods and services
US684278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functional states of a web-site and reporting results to web developers
US20040083210A1 (en) System for searching device on network
US200100373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server-side browser including markup language graphical user interface, dynamic markup language rewriter engine and profile engine
US20030018468A1 (en) Universal search engine
US2009005590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ing user cookies between network domains
US20040049413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reservation of accommodation
KR20020043329A (ko) 키워드 도메인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Boll Modular content personalization service architecture for e-commerce applications
US7099929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in a hypertext transfer protocol based system
CA2520258C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generating a user-centric portal
KR20090105500A (ko) 검색결과 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기록매체
KR100336115B1 (ko) 하부 도메인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08041815A1 (en) Digital contents registration and distribution system and its method using contents identification system based on unified resource names
KR20060011507A (ko) 인터넷의 url별 정보공유시스템 및 그 방법
EP1290585A1 (en) Network-based bookmark management and web-summary system
WO2002077890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ir cargo reservation and information ser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