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1821A - 정보의 부호화, 복호화, 전송, 저장 및 제어 방법과 이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보의 부호화, 복호화, 전송, 저장 및 제어 방법과 이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1821A
KR20020041821A KR1020027004801A KR20027004801A KR20020041821A KR 20020041821 A KR20020041821 A KR 20020041821A KR 1020027004801 A KR1020027004801 A KR 1020027004801A KR 20027004801 A KR20027004801 A KR 20027004801A KR 20020041821 A KR20020041821 A KR 20020041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ype
rules
inform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4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9276B1 (ko
Inventor
발렌틴 알렉산드로비치 미스첸꼬
울라드지미흐울라드지미로비츠 자크하라우
쥬리브이. 빌란스키
Original Assignee
발렌틴 알렉산드로비치 미스첸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렌틴 알렉산드로비치 미스첸꼬 filed Critical 발렌틴 알렉산드로비치 미스첸꼬
Publication of KR20020041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1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9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92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60Digital content management, e.g. content distrib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인가되지 않은 접근으로부터 정보를 보호하는 수단에 관한 것이다. 정보의 부호화와 전송을 위해, 수취인에게 미리 수신 통신문에 대한 두가지 타입의 키들이 제공된다. 상기 키들은 수취인에게 전송된 통신문의 값들에 대응하는 규칙들에 관한 정보와, 이런 종류의 정보의 심볼들의 전체 세트를 위한 초기정보의 특정 값들로 이루어진다. 일차변환 결과 컨텐츠가 각각 다른 적어도 두개의 일차변환 통신문이 형성된다. 두번째 단계로, 일차변환 통시눈의 적어도 일부분은 이차변환 대상이다. 그 결과 형성된 부호화된 통신문은 두개의 부분으로 구성된다. 이들 부분은 혼합될 수도 있고 각각 다른 채널을 통해 수취인에게 전송될 수도 있다. 전용 데이터 통신처리 및 제어센터를 이용하면, 수취인용의 통신문의 추가변환을 통해 통신문이나 그 일부분의 안전한 전송이 가능하다. 따라서, 개방형 키들이 형성되어 다른 키 전달수단 없이도 수취인에게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들은 개방형 통신채널을 통해 각각의 키들을 설정할 수 있다. 개시된 것은 복호화 방법들과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들이다. 이들 방법은 산업통신분야와 은행업무에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정보의 부호화, 복호화, 전송, 저장 및 제어 방법과 이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시스템{Methods for encoding, decoding, transferring, storage and control of information, systems for carrying out the methods}
종래의 기술은 특별한 장비나 부호화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송신된 정보를 보호하는 기술적 솔루션들에 대해 설명한다.
그러나, 종래의 솔루션들은 실제로는 보안코드를 복호화하는데 충분한 보호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으며, 현대의 고속 전자기술로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 제한된 갯수의 수학적 연산들만 실행할 수 있을 뿐이다.
보안-시스템의 주요 특징은 그 보안성에 있다. 암호작성장치의 임무는 전송된 정보에 대한 최대의 보안성과 신뢰성을 제공하는데 있다. 한편, 암호분석가들은 암호작성자가 고안한 암호시스템을 강제로 개방하거나 침입하려고 한다. 암호분석가들은 부호화된 텍스트를 복호화하고자 하거나 조작된 통신문을 원래의 통신문으로 재현하고자 한다.
종래에는 특정 기술 및/또는 부호화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전송된 정보를 보호하는 기술적 솔루션을 제시한다. 모든 공지된 코드는 두개의 간단한 방법을 기초로 하는바, 대입법과 교환법이다. 교환법에서는 평문 심볼들을 간단히 혼합하는바, 그 핵심은 특정한 혼합 형식에 있다. 부호화된 텍스트의 각 심볼들의 도수 분포는 평문의 도수 분포와 동일하다. 대입법에서, 평문의 각 심볼은 동일한 알파벳의 다른 심볼들로 대체되고, 특정 솔루션 형식이 비밀 키에 의해 결정된다.
예컨대, Data Encryption Standard(DES)[2], p.33-34의 알고리즘은 두가지 방식을 모두 이용한다. 이 알고리즘은 평문, 부호화되지 않은 텍스트 및 길이가 각각 64, 56 비트인 이진 수열 형태의 키를 포함한다. 전자책 모드에 DES를 사용하면, 평문의 64비트 블록들이 하나의 키를 이용해 독립적으로 부호화된다. DES의 알고리즘은 16 사이클을 포함하고, 각 사이클은 4개의 비트 그룹에서 대입법과 조합된 간단한 교환자들을 구비한다. 각각의 패스에서 48비트 키들이 총 56 비트 키로부터 의사랜덤 방식으로 선택된다.
이런 방식의 단점은, 264개의 키의 조합으로 가능한 갯수로 비슷한 비밀코드들을 복호화하기 위해, 시스템을 침입하는 동안 전체 키들을 조사하는 것도 현대의 컴퓨터 기술의 발달로 인해 허용 시간내에 가능하기 때문에 방어가 불가능하다는데 있다. 하나의 동일한 개방형 텍스트와 일정한 키인 경우, 부호화된 텍스트는 개방 텍스트와 암호 사이의 통계적 연관 규칙을 밝힐 수 있고 직접적으로 키를 조사하지 않고도 암호문을 해독할 수 있는 텍스트이다.
또, 이 방법으로는 개방 통신라인들을 이용해 키들을 교환할 수 없다.
종래기술로 RSA[2] p.37-39의 개방키를 갖는 암호작성시스템이 있다. 이 시스템은 일방향 함수, 즉 이산 지수함수(discrete exponentiation)를 이용한다. 이 시스템에서는 키를 개방형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의 단점은 암호 보안이 불충분하고 정보의 부호화와 복호화 속도가 낮다는데 있다.
GOST 34.11-94[3], pp.3-8에는 해싱(hashing)에 대한 설명이 있는바, 길이가 짧게 고정된 이미지의 이진 디지털 심볼의 수열 형태로 임의의 데이터 세트에 비교한다. 이 시스템에서는 64비트 하위 워드들을 256비트 길이의 키들을 사용해 부호화한다.
이들 시스템의 단점은 키 길이가 짧아 허용 시간내에 복호화할 가능성이 있고 부호화 속도가 낮다는데 있다.
종래의 기술로는 또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중앙 단말기와 가입자 단말기 사이의 정보 전송에 의해 전송된 정보를 보호하는 기술적 솔루션이 있다. 예컨대 1998년 12월 14일자 PCT/GB98/03736이 있다.
특허청구된 방법과 장치의 기본 특징들의 조합에 관한 종래 기술의 최대 목적으로 PCT/99BY/00005에 기재된 것은 텍스트를 부호화하고 전송하는 장치가 있는바, 이 장치는 청구된 발명의 프로토타입으로서 본 발명자들에 의해 선택된 것이다.
PCT/99BY/00005의 방법에 대해, 프로토타입의 목적은 다음 단계로 이루어지는 정보 부호화 방법에 있다.
- 주어진 종류의 통신문들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부호화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과 초기 통신문의 심볼값들을 결합하는 규칙에 관한 데이터의 예비 생성단계;
- 초기 통신문의 변환 사이클 수(n) 결정 단계;
- 다음 하위단계로 변환 사이클을 실행하는 단계;
- 현재의 변환 사이클에서 통신문의 변환을 위해 사용된 규칙들을 정의하는 특성(Ri)을 생성하는 하위단계;
- 선택된 규칙을 이용해 통신문을 변환하는 하위단계;
- 변환 사이클을 유한한 횟수로 반복하는 하위단계;
- 각 사이클에서 통신문을 변환하여 주어진 사이클에서 변환된 통신문(Ci)과 주어진 사이클용(Fi)의 보조정보를 형성하는 하위단계;
- 소정 기준, 예컨대 변환된 통신문의 길이에 따라 초기 통신문의 변환 사이클 수(n)를 선택하는 하위단계;
- 두개의 부분, 즉 최종적으로 변환된 통신문(Cn)을 포함하는 부분과, 보조정보의 집합(F={F1, F2...,Fn})을 포함한 두번째 부분으로 이루어진 부호화된 통신문을 형성하는 하위단계. 부호화된 통신문은 정보의 형태로 또는 제어 명령어 형태로 수취인에게 전송될 수도 있다. 이 통신문은 또한 이방인이 접근할 수 없는 캐리어에 실릴 수도 있다.
이 장치에 있어서, 프로토타입용으로 선택된 목적은 PCT/99BY/00005의 통신문 암호화 방법을 실행하는데 있고,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 입력 유니트;
- 제1 입력은 정류기의 제2 출력에 연결되고 제2 입력은 보조정보 저장부의 출력에 연결된 출력 유니트;
- 부호화된 통신문과 초기 통신문을 결합하는 규칙들의 데이터베이스로서, 그 제1 입력은 입력 유니트의 제1 출력에 연결되고 제2 입력은 난수 발생기의 출력에 연결되는 데이터베이스;
- 입력부가 결정 유니트의 제1 출력에 연결되는 난수발생기;
- 제1 입력은 입력유니트의 제2 출력에 연결되고, 제2 입력은 데이터베이스 출력에 연결되며, 제3 입력은 정류기의 제1 출력에 연결되는 변환 유니트;
- 입력부가 변환 유니트의 제1 출력에 연결되는 변환 통신문용 메모리장치;
- 제1 입력은 변환유니트의 제2 출력에 연결되고 제2 입력은 결정유니트의 제2 출력에 연결되는 보조정보용 메모리장치;
- 제1 입력은 입력유니트의 제3 출력에 연결되고, 제2 입력은 변환통신문용 메모리장치의 제1 출력에 연결되는 결정유니트;
- 제1 입력은 변환통신문용 메모리장치의 제2 출력에 연결되고, 제2 입력은 결정유니트의 제2 출력에 연결되는 정류기.
그러나, 상기 결정들은 기본 특성에서는 가장 바람직할 지라도 개방 통신채널을 통해 가입자들 사이에 키를 교환할 수 없음은 물론, 정보를 정식으로 저장하고 원격제어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고도의 보안성이 매우 제한된다.
본 발명은 인가되지 않은 접근으로부터 정보를 보호하는 수단에 관한 것이고, 통신문들을 부호화, 복호화, 저장, 송신 및 수신하고 컴퓨팅, 통신 및 기타 시스템에서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비밀정보 저장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가입자장치의 블록도;
도 3은 통신데이터 처리센터의 블록도;
도 4는 비밀정보를 부호화, 전송 및 저장하는 시스템의 변형례;
도 5는 비밀정보의 부호화, 전송 및 저장을 위한 가입자장치의 블록도;
도 6은 비밀정보의 부호화, 전송 및 저장을 위한 통신데이터 처리센터의 블록도;
도 7은 비밀정보의 원격제어를 위한 블록도;
도 8은 비밀정보의 원격제어를 위한 가입자장치의 블록도;
도 9는 비밀정보의 원격제어를 위한 통신데이터 처리센터의 블록도.
본 발명의 목적은 정보를 부호화하고 전송하며, 함수적 특성들과 그 응용분야를 확장하는 방법에 있다. 이것은 전송 대상인 정보를 여러 부분들로 정성적으로 분리하여 실시되는바, 어떤 부분들은 수취인에게 즉각적으로나 추가 부호화 이후 전송되고, 나머지 부분들의 추가 보호화는 높은 제곱차수의 무작위 추출분야에서의 완벽한 무작위 추출법에 의해 실시되어, 통신데이터 처리센터를 통해 수취인에게 전송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정보를 부호화하고 전송하는 종래의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제1항 참조).
- 주어진 종류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초기 통신문의 심볼값들을 일차변환 통신문의 구체적 심볼들과 결합하는 제1 타입의 규칙에 관한 데이터의 예비 생성단계;
- 주어진 종류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일차변환 통신문의 심볼값들을 이차변환 통신문의 특정심볼들과 결합하는 제2 타입의 규칙에 관한 데이터의 예비생성단계;
제1 타입의 선택된 규칙을 이용한 초기 통신문의 일차변환단계;
제2 타입의 선택된 규칙을 이용해 일차변환 통신문을 이차변환하여, 전송용 부호통신문을 형성하는 단계;
수취인에게 부호통신문을 전송하는 단계.
제시된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더 포함한다.
-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초기 통신문을 일차변환하여, 컨텐츠가 서로 다른 적어도 두개의 일차변환된 통신문들을 형성하는 단계;
-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일차변환 통신문의 적어도 하나의 이차변환을 실시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된 통신문을 형성하는 단계;
- 적어도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된 통신문을 전송하는 단계;
- 이차변환 대상이 아닌 적어도 하나의 일차변환 통신문을 적어도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
이 방법에 의하면, 초기 통신문을 변환하여 전송정보의 보안성을 실질적으로 향상시켜, 부호화된 통신문의 여러 부분들을 형성하되, 어떤 부분도 다른 부분과 논리적으로 연결되지 않게 한다. 이 경우, 제1 타입의 변환 규칙들이 키로 기능한다. 여러 부분들을 이차 변환하면 전송정보의 보안성이 더 향상된다. 제2 타입의 변환 규칙들 또한 키로 기능한다. 초기 통신문을 복구하려면, 제1 타입의 변환 규칙, 제2 타입의 변환 규칙 및 전송될 모든 부분들을 가질 필요가 있다.
정보를 부호화하고 전송하는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제2항 참조).
- 주어진 종류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초기 통신문의 심볼값들을 일차변환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과 결합하는 제1 타입의 규칙들에 관한 데이터의 예비생성단계;
- 주어진 종류의 일차변환 통신문들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일차변환 통신문의 심볼값들을 이차변환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과 결합하는 제2 타입의 규칙들에 관한 데이터의 예비생성단계;
- 제1 타입의 선택된 규칙을 이용한 초기 통신문의 일차변환단계;
- 제2 타입의 선택된 규칙을 이용해 일차변환 통신문을 이차변환하여, 송신용의 부호화된 통신문을 형성하는 단계;
- 부호화된 통신문을 수취인에게 전송하는 단계.
이 방법은 또한 다음 특징을 갖는다.
- 초기 통신문의 이차변환을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1 타입의 규칙을 이용해 실시하여, 컨텐츠가 서로 다른 적어도 두개의 일차변환 통신문들을 형성하고;
적어도 두개의 일차변환 통신문들의 이차변환을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실시하여, 적어도 두개의 부호화된 통신문을 형성하며;
적어도 두개의 부호화된 통신문들을 적어도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전송한다.
여러개의 일차변환 통신문들의 이차변환에 의해, 종래의 방법에 비해 전송정보의 보안성은 향상되지만, 어떤 경우에는 변환 시간이 증가하여 전송 통신문의 길이가 길어지고 통신라인에 대한 부하가 증가한다. 여러개의 통신채널을 통해 부호화된 통신문들을 전송하면, 정보전송속도가 증가하고 도청이 방지된다. 실행된 단계들의 집합과 배열에 의해 이 방법의 기능이 확장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하는 정보의 부호화 및 전송 방법에 있다(제3항 참조).
- 주어진 통신문 종류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초기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과 결합하는 제1 타입의 규칙들에 관한데이터를 예비생성하는 단계;
- 주어진 종류의 일차변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이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과 결합하는 제2 타입의 규칙들에 관한 데이터를 예비생성하는 단계;
- 제1 타입의 선택된 규칙을 이용한 초기 통신문의 일차변환단계;
- 제2 타입의 선택된 규칙을 이용해 일차변환 통신문을 이차변환하여, 전송용 부호화된 통신문을 형성하는 단계;
- 부호화된 통신문을 수취인에게 전송하는 단계.
이 방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 초기 통신문의 일차 변환이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1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해 실행되고,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2개 이상의 부분이 다른 컨텐츠를 갖도록 일차 변환이 실행되며;
-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적어도 두 부분들의 심볼들이 혼합되어, 적어도 하나의 혼합된 일차변환 통신문이 형성되고;
- 적어도 하나의 혼합된 일차변환 통신문의 이차변환은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2 타입의 규칙들에 의해 실행되고, 그 결과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된 통신문이 형성되며;
- 상기 부호화된 통신문이 적어도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전송된다.
일차변환 통신문들을 혼합하면 전송정보의 보안성이 더 향상된다.
본 발명은 또한 다음 단계들로 구성되는 정보 부호화 및 전송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제4항 참조).
- 주어진 통신문 종류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초기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과 결합하는 제1 타입의 규칙들에 관한 데이터를 예비생성하는 단계;
- 주어진 종류의 일차변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이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과 결합하는 제2 타입의 규칙들에 관한 데이터를 예비생성하는 단계;
- 제1 타입의 선택된 규칙을 이용한 초기 통신문의 일차변환단계;
- 제2 타입의 선택된 규칙을 이용해 일차변환 통신문을 이차변환하여, 전송용 부호화된 통신문을 형성하는 단계;
- 부호화된 통신문을 수취인에게 전송하는 단계.
이 방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 초기 통신문의 일차 변환이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1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과 예비생성 데이터를 이용해 실행되고,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2개 이상의 부분이 다른 컨텐츠를 갖도록 일차 변환이 실행되며;
- 일차 변환된 통신문들중 적어도 하나의 이차 변환은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2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의 도움으로 실행되고, 그 결과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된 통신문이 형성되며;
- 일차변환된 통신문의 적어도 하나의 심볼들과 이차변환된 통신문의 적어도 하나의 심볼들이 혼합되어, 적어도 하나의 혼합되고 부호화된 통신문이 형성되고;
-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된 통신문이 적어도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전송되며;
- 변환된 통신문의 나머지 부분들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전송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전송정보의 보안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통신문의 부분들을 혼합한다.
이 방법의 특징은 하나의 동일한 통신채널을 통해 부호화된 통신문의 모든 부분들을 전송하는데 있다(제5항 참조).
이 실시예에 의하면, 이 방법의 구현을 위한 하드웨어 비용은 절감되지만, 전송속도는 저하하고 도청 가능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부호화된 통신문의 모든 부분과 이차변환 대상이 아닌 일차변환 통신문들을 하나의 동일한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데 있다(제6항 참조).
이 방법에 의하면, 하드웨어 비용이 더 절감되지만, 통신속도가 떨어지고 도청의 위험이 증가한다.
본 발명의 변형례에 의하면, 부호화된 통신문의 일부를 두개 이상의 통신채널을 통해 각각 전송한다(제7항 참조).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부호화된 통신문의 모든 부분과 이차변환 대상이 아닌 일차변환 통신문들을 두개 이상의 채널을 통해 각각 전송하는데 있다(제8항 참조).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다음 단계로 구성된다(제9항 참조).
- 초기 통신문의 일차 변환이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1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의 도움으로 실행되고, 그 결과 변환된 통신문의 2개 부분, 즉 변환된 정보를 포함하는 코어 정보부분(C)과 변환 인자들을 포함하는 부가정보 부분(F)이 형성되고;
- 부가정보의 이차변환은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2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의 도움으로 실행되어, 그 결과 부호화된 부가정보가 형성되며;
- 변환 인자들을 포함한 부호화된 부가정보가 전송되고;
- 변환된 정보를 포함한 코어 정보부분이 전송된다.
이 방법은 제1항, 제3항에 따른 방법의 특수한 경우이다. 일차변환은 PCT/BY99/00005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부호화되고, 이차 변환은 PCT/BY99/00004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부호화된다. 이 경우, 전송된 통신문의 보안성은 이론적으로 안정된 부호화 시스템에 가깝다. 부호화된 부가정보를 포함한 통신문의 길이는 초기 통신문보다 약 4배 길고, 코어를 포함한 통신문의 길이는 초기 통신문의 타입과 길이에 무관하게 작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통신채널들중 하나를 통해 부호화된 부가정보와 코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있다(제10항 참조).
이 방법은 최소의 전송속도로 통신문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장비의 크기를 최소화하는 이전 방법의 변형례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 방법에 있다(제11항 참조).
-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부호화된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 다른 통신채널을 통해 코어를 전송하는 단계.
이 방법은 전송된 정보의 도청 가능성을 줄이고 통신문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장비의 크기는 증가시키면서 전송속도를 높이는 이전 방법의 변형이다.
본 발명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제12항 참조).
- 초기 통신문의 일차변환이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1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의 도움으로 실행되고, 그 결과 부호화된 통신문의 두개의 부분들, 즉 일차변환정보를 포함한 코어정보부분(C)과 일차변환 인자들을 포함한 부가정보부분(F)이 형성되고;
- 상기 코어정보부분의 이차변환은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2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과 예비 생성 데이터의 도움으로 실행되고, 그 결과 부호화된 코어정보가 형성되며;
- 상기 부가정보가 전송되고;
- 상기 부호화된 코어정보가 전송된다.
이 방법은 전술한 방법들의 특별한 경우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하나의 동일한 통신채널을 통해 부가정보와 부호화된 코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 방법에 있다(제13항 참조). 이 방법은 이전 방법의 변형으로서, 최소의 전송속도로 통신문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장비의 크기를 최소화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제14항 참조).
- 통신채널들중 하나를 통해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 다른 통신채널을 통해 부호화된 코어를 전송하는 단계.
이 방법은 통신문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장비의 크기를 증가시키면서 전송속도를 높이는 방법의 변형례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 방법에 있다(제15항 참조).
- 초기 통신문의 일차 변환이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1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의 도움으로 실행되고, 그 결과 부호화된 통신문의 두개의 부분들, 즉 일차변환정보를 포함한 코어정보부분(C)과 일차변환 인자들을 포함한 부가정보부분(F)이 형성되고;
- 상기 코어정보부분의 이차변환은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2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과 예비 형성된 데이터의 도움으로 실행되고, 그 결과 부호화된 코어정보가 형성되며;
- 상기 부가정보의 이차변환은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2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과 예비 형성된 데이터의 도움으로 실행되고, 그 결과 부호화된 부가정보가 형성되며;
- 변환 인자들을 포함한 상기 부호화된 부가정보가 전송되고;
- 상기 부호화된 코어정보가 전송된다.
코어와 부가정보를 이차변환하면 전송된 통신문의 보안성은 더 향상되지만, 그 길이가 증가하여, 통신라인이 번잡해진다.
이전 방법들을 개선한 것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 방법에 있다(제16항 참조).
-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한 부가정보의 전송;
- 다른 통신채널을 통한 부호화된 코어의 전송.
부가정보와 부호화된 코어를 별개의 채널을 통해 전송하면 통신문 전송속도가 향상되고 통신문의 모든 부분들의 도청 가능성이 줄어든다.
본 발명의 다른 변형은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부호화된 부가정보와 코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제17항 참조). 부가정보와 부호화된 코어를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전송하면 통신문 채널을 개설하기 위한 하드웨어 비용이 절감된다.
새로운 정보 부호화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하는바, 이들 단계는 종래의 솔루션과 마찬가지다(제18항 참조).
- 주어진 통신문 종류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초기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일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1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 주어진 종류의 일차 변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이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이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2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 예비 생성된 데이터와 제1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을 이용해 초기 통신문을 일차 변환하는 단계;
- 예비 생성된 데이터와 제2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을 이용해 일차 변환된 통신문을 이차 변환하고, 그 결과 부호화된 송신용 통신문을 형성하는 단계; 및
- 상기 부호화된 통신문을 수취인에게 전송하는 단계.
이 방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 부호화된 통신문의 적어도 일부는 통신데이터 처리센터를 통해 수취인에게 전송되며;
-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유사한 데이터(Ki MV2)가 가입자-송신자-가입자-수취인용으로 예비 생성되고;
-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유사한 데이터(Ki MZ4)가 가입자-송신자-통신데이터 처리센터용으로 예비 생성되며;
- 초기 통신문의 일차 변환이 제1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해 실행되고, 그 결과 일차변환된 통신문의 2개 이상의 부분이 형성되고;
-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적어도 한 부분의 이차 변환은 제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해 송신자에 의해 실행되며, 그 결과 부호화된 통신문의 적어도 한 부분이 형성되고;
- 이차 변환 대상이 아닌 통신문의 나머지 부분은 통신채널들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취인에게 전송되며;
- 부호화된 부분은 다른 통신채널을 통해 통신데이터 처리센터로 전송되고;
- 상기 부호화된 통신문의 적어도 한 부분의 역 이차변환이 송신자용으로 유사한 제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해 통신데이터 처리센터에서 행해지고, 그 결과 이차변환 통신문의 적어도 한 부분이 복귀되며;
- 일차변환 통신문의 복귀 부분의 이차변환은 수취인용으로 유사한 제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해 실시되고, 그 결과 수취인용으로 부호화된 통신문의 적어도 한 부분이 형성되며;
- 수취인용으로 부호화된 통신문의 상기 적어도 한 부분이 전송된다.
통신데이터 처리센터를 이용하면 정보의 보안성이 더 향상되고 다음과 같은 새로운 기능이 제공된다.
- 신규 클라이언트를 추가하기 위한 전제조건의 생성,
- 키의 집중화된 생성 및 분산,
- 응용 가능성 확장,
- 통신문 전달과 관리의 통제 보장.
또, 통신데이터 처리센터는 전송된 통신문을 판독할 수도 고의로 변경할 수도 없다.
정보를 부호화/전송하는 방법의 다른 특징은 일차변환 통신문의 복구된 부분을 통신데이터 처리센터에서 저장하는데 있다(제19항 참조).
통신데이터 처리센터의다른 기능들, 즉 전송된 통신문의 일차 변환 부분을 저장하는 기능에 의하면 대칭 암호화 시스템에서의 전자서명 문제가 해결되고, 송신자로부터 수취인에게 전달되는 구체적인 컨텐츠를 갖는 통신문의 전송을 인가할 가능성이 있다.
정보의 부호화/전송 방법에 따른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종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제20항 참조).
- 주어진 종류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초기 통신문의 심볼값들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일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1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 주어진 종류의 일차변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이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이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2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 예비 생성된 데이터와 제1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을 이용해 초기 통신문을 일차 변환하는 단계;
- 예비 생성된 데이터와 제2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을 이용해 일차 변환된 통신문을 이차 변환하고, 그 결과 부호화된 송신용 통신문을 형성하는 단계; 및
- 상기 부호화된 통신문을 수취인에게 전송하는 단계.
이 방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 부호화된 통신문의 적어도 일부는 통신데이터 처리센터를 통해 수취인에게 전송되며;
-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유사한 데이터(KiMV2)가 가입자-송신자-가입자-수취인용으로 예비 생성되고;
-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개별 데이터(KiMZ4)가 가입자-송신자-통신데이터 처리센터용으로 예비 생성되며;
- 초기 통신문의 일차 변환이 제1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해 실행되고, 그 결과 변환된 정보를 포함한 코어정보부분(C)과 변환 인자들을 포함한 부가정보부분(F)이 형성되고;
- 코어정보부분(C)의 이차 변환은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실행되며, 그 결과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이 형성되고;
- 부가정보는 통신채널들중 하나를 통해 수취인에게 전송되며;
-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은 다른 통신채널을 통해 통신데이터 처리센터로 전송되고;
- 상기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의 역 이차변환이 송신자용으로 유사한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통신데이터 처리센터에서 행해지고, 그 결과 일차변환 통신문(C)이 복귀되며;
- 코어정보부분의 이차변환은 수취인용으로 유사한 제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해 실시되고, 그 결과 수취인용으로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이 형성되고;
- 수취인용으로 부호화된 상기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이 전송된다.
이 방법은 통신데이터 처리센터를 통해 통신문들을 부호화하고 전송하는 특수한 경우이다. 일차변환은 PCT/BY99/00005에 기재된 방법에 의한 부호화이고, 이차변환은 PCT/BY99/00004에 기재된 방법에 의한 부호화이다.이들 방법들의 집합을 특별한 수열에 응용하면 이론적으로 안정된 부호화 시스템에 근접되게 전송된 통신문들의 보안성이 향상된다. 이 경우, 부호화된 부가정보를 포함한 통신문의 길이는 초기 통신문보다 약 4배 길고, 코어를 포함한 통신문의 길이는 초기 통신문의 길이나 형식에 무관하게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이전 방법에서와 같은 기술적 문제가 해결된다.
가장 바람직한 것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 정보 부호화/전송 방법이다(제21항 참조).
- 주어진 종류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이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이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2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 주어진 종류의 일차변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이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이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2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 예비 생성된 데이터와 제1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을 이용해 초기 통신문을 일차 변환하는 단계;
- 예비 생성된 데이터와 제2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을 이용해 일차 변환된 통신문을 이차 변환하고, 그 결과 부호화된 송신용 통신문을 형성하는 단계; 및
- 상기 부호화된 통신문을 수취인에게 전송하는 단계.
이 방법에 따르면,
- 부호화된 통신문의 적어도 일부는 통신데이터 처리센터를 통해 수취인에게 전송되며;
-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공통 데이터(K0 MV2)가 모든 가입자용으로 통신데이터 처리센터에서 예비 생성되고;
-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유사한 데이터(Ki MZ4)가 각각의 가입자-통신데이터 처리센터용으로 통신데이터 처리센터에서 예비 생성되며;
-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데이터(K0 MV2)가 모든 가입자용으로 통신데이터 처리센터에서 예비 생성되고;
-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데이터(Ki MZ4)가 각각의 가입자용으로 통신데이터 처리센터에서 예비 생성되며;
- 초기 통신문의 일차 변환이 수취인에게 공통적인 제1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해 실행되고, 그 결과 다른 컨텐츠를 갖는 변환된 정보의 적어도 두 부분들이 형성되며;
-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적어도 한 부분의 이차변환은 제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해 가입자-송신자에 의해 실행되고, 그 결과 통신문의 부호화된 부분이 형성되며;
- 통신문의 상기 부호화된 부분은 가입자-송신자에 의해 통신채널들중 하나를 통해 통신데이터 처리센터로 전송되고;
-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나머지 부분은 가입자-송신자에 의해 다른 통신채널을 통해 수취인에게 전송되며;
- 통신문의 상기 부호화된 부분의 역 이차변환이 송신자가 사용하는 제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해 통신데이터 처리센터에서 행해지고, 그 결과 통신문의 이차 변환부분이 통신문의 일차 변환부분으로 복구되며;
- 통신문의 상기 복구부분의 새로운 이차변환은 수취인에게 유사한 제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해 통신데이터 처리센터에서 실행되고, 그 결과 통신문의 새롭게 부호화된 부분이 형성되며;
- 새롭게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이 통신데이터 처리센터에 의해 수취인에게 전송된다.
이 방법은 각 가입자들을 통신데이터 처리센터에 연결하기 위한 키와 가입자들 사이의 연결을 초기화하기 위한 키의 중앙집중 생성과 분포를 실현한다. 따라서, 가입자들 사이의 통신보안이 보장된다.
이 방법은 복구된 코어를 저장하는 통신데이터 처리센터를 포함하는데 특징이 있다(제22항 참조).
통신데이터 처리센터의 다른 기능은 일차변환 통신문의 일부를 저장하는데 있으며, 이로인해 대칭 암호화 시스템에서의 전자서명 문제가 해결되고, 송신자로부터 수취인에게 특정 컨텐츠를 갖는 통신문의 전송이 인가될 수 있다. 통신데이터 처리센터에서 코어를 저장하면 이 방법의 기능성이 확장된다.
정보의 부호화/전송 방법의 다른 예는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제23항 참조).
- 주어진 종류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초기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일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1 타입의 규칙들에 관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 주어진 종류의 일차변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이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이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2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 예비 생성된 데이터와 제1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을 이용해 초기 통신문을 일차 변환하는 단계;
- 예비 생성된 데이터와 제2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을 이용해 일차 변환된 통신문을 이차 변환하고, 그 결과 부호화된 송신용 통신문을 형성하는 단계; 및
- 상기 부호화된 통신문을 수취인에게 전송하는 단계.
이 방법은 다음 특징을 갖는다.
- 부호화된 통신문의 적어도 일부는 통신데이터 처리센터를 통해 수취인에게 전송되며;
-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공통 데이터(K0 MV2)가 모든 가입자용으로 통신데이터 처리센터에서 예비 생성되고;
-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개별 데이터(Ki MZ4)가 각각의 가입자-통신데이터 처리센터용으로 통신데이터 처리센터에서 예비 생성되며;
-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데이터(K0 MV2)가 모든 가입자용으로 통신데이터 처리센터에서 예비 생성되고;
-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데이터(Ki MZ4)가 각각의 가입자용으로 통신데이터 처리센터에서 예비 생성되며;
송신자는 송신자-수취인 각각의 쌍을 위해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데이터(Ki MV2)를 추가로 생성하고;
- 송신자는 각각의 송신자-수취인 쌍을 위한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키 통신문을 형성하며;
- 상기 송신자는 모든 가입자에 공통인 제1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해 상기 키 통신문을 일차 변환하고, 그 결과 일차변환 통신문의 적어도 두 부분을 형성하며;
- 상기 송신자는 제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해 일차변환된 키 통신문의 적어도 한 부분을 이차 변환하고, 그 결과 부호화된 키 부분을 형성하며;
- 상기 송신자는 제1 통신채널을 통해 통신데이터 처리센터에 상기 부호화된 키 부분을 전송하고;
- 상기 송신자는 제2 통신채널을 통해 수취인에게 나머지 키 통신 부분을 전송하며;
- 상기 일차 변환된 부호화된 키 부분의 이차변환이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해 통신데이터 처리센터에서 실행되고, 그 결과 통신문의 부호화된 부분이 형성되며;
- 수취인용으로 부호화된 상기 키 통신 부분은 통신데이터 처리센터에 의해 수취인에게 전송되고;
- 상기 송신자는 제1 타입의 규칙들(Ki MV2)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해 통신문의 일차 변환을 실시하고, 그 결과 변환된 통신문에서 다른 컨텐츠를 갖는 적어도 2 부분이 형성되며;
- 상기 송신자는 특정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해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상기 적어도 한 부분의 이차변환을 실시하고, 그 결과 통신문의 부호화된 부분이 형성되며;
- 상기 송신자는 일차변환된 정보의 나머지 부분을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수취인에게 전송하고;
- 상기 송신자는 통신문의 상기 부호화된 부분을 다른 통신채널을 통해 통신데이터 처리센터에 전송하며;
- 통신문의 부호화된 부분의 역 이차변환이 송신자에게 알려진 제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해 통신데이터 처리센터에서 실시되고, 그 결과 일차변환된 통신문이 복구되며;
- 통신문의 복구된 부분의 이차변환이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해 통신데이터 처리센터에서 실시되고, 그 결과 수취인을 위해 부호화된 통신문 부분이 형성되며;
- 수취인용으로 부호화된 상기 통신문 부분을 전송한다.
이 방법은 송신자-수취인의 선택된 쌍을 위해 i-가입자에 의해 개별 키들을 생성하고, 통신데이터 처리센터에 의해 개방형 통신채널을 이용해 가입자들 사이에생성된 키들을 교환한다. 이 경우, 신규 키들은 도청 접근이 불가능하고 통신데이터 처리센터용으로 사용된다.
일차변환 통신문의 일부를 이차변환하여 부호화를 실행할 때 정보의 수신 및 복호화 방법은 종래의 기술에 알려진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제24항 참조).
- 주어진 종류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초기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일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1 타입의 규칙들에 관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 주어진 종류의 일차변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이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이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2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 부호화된 통신문을 수신하는 단계;
- 예비 생성된 데이터와 제2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을 이용해 부호화된 통신문으로부터 일차 변환된 통신문을 수신하는 단계; 및
- 예비생성된 데이터와 제1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을 이용해 일차 변환된 통신문으로부터 초기 통신문을 수신하는 단계.
이 방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 적어도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모든 부호화된 통신문을 수신하고;
- 이차변환의 대상이 아닌 모든 일차변환 통신문들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수신하며;
- 수신된 부호화된 통신문의 역 이차변환이 제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생성된데이터를 이용해 실행되고, 그 결과 일차변환된 통신문의 나머지 부분이 수신되며;
- 일차변환된 통신문의 역 일차변환이 제1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생성 데이터를 이용해 실행되고, 그 결과 초기통신문이 복구된다.
이 방법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라 부호화된 정보를 수신하고 복호할 수 있다.
통신문들을 부호화 및 전송하는 각각의방법을 이용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은 부호화된 통신문과 일차변환 통신문들이 하나의 동일한 통신채널을 통해 수신되는데 있다(제25항 참조).
이 방법에서는 제24항에 따라 정보를 수신하고 복호화한다. 이 경우, 통신문 수신에 관련된 하드웨어 비용이 최소화된다.
통신문 전송에 관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부호화된 통신문과 이차변환 대상이 아닌 일차변환 통신문이 적어도 두개의 통신채널을 통해 수신된다.
이 방법에서는 부호화 및 전송에 적절한 방법을 이용해 정보를 수신하고 복호하면서도, 통신문 수신 속도가 증가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 변환 인자들을 포함한 부호화된 부가정보가 수신되고;
- 변환정보를 포함한 코어가 수신되며;
- 부호화된 부가정보의 역 이차변환이 제2 타입의 규칙들에 의해 실행되고, 그 결과 부가정보가 복구되며;
- 두개의 부보화된 통신문들, 즉 변환정보를 포함한 코어부분과 변환 인자들을 포함한 부가정보부분의 역 일차변환이 실행되고, 그 결과 초기 통신문이 복구된다.
이 방법은 정보를 수신 및 복호하는 전술항 방법의 특수한 경우이다.
일차변환 정보의 적어도 두 부분 또는 모든 부분이 이차변환 대상일 때 정보를 수신하고 복호하는 방법은 다음 단계들로 구성된다(제28항 참조).
- 주어진 종류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초기 통신문의 심볼값들을 일차변환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과 결합하는 제1 타입의 규칙들에 관한 데이터의 예비생성단계;
- 주어진 종류의 일차변환 통신문들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일차변환 통신문의 심볼값들을 이차변환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과 결합하는 제2 타입의 규칙들에 관한 데이터의 예비생성단계;
- 부호화된 통신문 수신단계;
- 제2 타입의 선택된 규칙을 이용해 부호화된 통신문에서 일차변환 통신문을 복구하는 단계;
제1 타입의 선택된 규칙을 이용해 일차변환 통신문으로부터 초기 통신문을 복구하는 단계.
이 방법은 다음 특징을 갖는다.
적어도 두개의 부호화된 통신문들이 적어도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수신되고;
- 제2 타입의 규칙들의 도움으로 적어도 두개의 부호화된 통신문들이 역 이차변환되어, 일차변환 통신문의 적어도 두부분을 복구하며;
- 제1 타입의 규칙들의 도움으로 적어도 두개의 일차변환 통신문들이 역 일차변환되어, 초기 통신문을 복구한다.
이 방법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변환 정보의 모든 부분들이 이차변환 대상인 경우 부호화된 정보를 수신하고 복호한다. 역일차변환은 PCT/BY99/00005에 기재된 방법으로 복호화되고, 역이차변환은 PCT/BY99/00004에 기재된 방법으로 복호화된다.
하나의 채널을 통해 통신문을 이와 같이 부호화 및 전송하는 과정중에, 코어정보부분과 부호화된 부가정보부분을 하나의 동일한 통신채널을 통해 수신한다(제 29항 참조).
이 방법은 전술한 방법을 개량한 특수한 경우이다. 이 경우, 통신문 수신에 관련된 하드웨어 비용이 최소화된다.
통신문이 두개의 채널을 통해 전송될 경우(제30항 참조),
- 부호화된 부가정보를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수신하고;
- 코어정보부분은 다른 통신채널을 통해 수신한다.
이 방법은 전술한 방법을 개량한 특수한 경우이다. 이 경우 정보 수신속도가 증가한다.
수신 및 복호화 방법은 다음 특징을 갖는다(제31항 참조).
- 변환된 정보를 포함한 상기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을 수신하고;
- 변환 인자들을 포함한 상기 부가정보부분을 수신하며;
-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의 역이차변환은 제2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과 예비생성 데이터를 이용해 실행되고, 그 결과 코어정보부분을 수신하며;
- 두개의 부호화된 통신문, 즉 코어정보부분과 부가정보부분의 역이차변환을 수행하고, 그 결과 초기 통신문이 복구된다.
이 방법은 부호화된 정보를 수신하고 복호화하며, 일차변환은 코어와 부가정보의 추출로 실행된다.
통신문이 하나의 채널을 통해 전송될 경우, 부가정보부분과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을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수신한다(제32항 참조).
이 방법은 전술한 방법을 개량한 특수한 경우이다. 이 경우, 통신문 수신에 관한 하드웨어 비용이 최소화된다.
통신문이 두개의 채널을 통해 전송될 경우, 부가정보부분은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수신하고,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은 다른 통신채널을 통해 수신한다(제33항 참조).
이 방법은 전술한 방법을 개량한 특별한 경우이다. 이 경우 정보 수신 속도가 증가된다.
일차변환 통신문의 혼합으로 부호화된 정보를 수신하고 복호하는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제34항 참조).
- 주어진 통신문 종류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초기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일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1 타입의 규칙들에 간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 주어진 종류의 일차변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주어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이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이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2 타입의 규칙들에 관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 부호화된 통신문을 수신하는 단계;
- 예비 생성된 데이터와 제2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을 이용해 부호화된 통신문으로부터 일차 변환된 통신문을 수신하는 단계; 및
- 예비생성된 데이터와 제1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을 이용해 일차 변환된 통신문으로부터 초기 통신문을 수신하는 단계.
이 방법은 다음 특징들을 갖는다.
- 적어도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적어도 두개의 부호화된 통신문을 수신하고;
- 상기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이차변환 대상이 아닌 적어도 하나의 일차변환된 통신문을 수신하며;
-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된 통신문의 역이차변환이 제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생성 데이터를 이용해 실행되고, 그 결과 일차변환된 통신문들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며;
- 혼합된 일차변환 통신문들중 적어도 하나의 역이차혼합이 실행되고, 그 결과 일차변환 통신문들중 적어도 두개가 복구되며;
- 적어도두개의 일차변환 통신문들의 역일차변환이 제1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해 실행되고, 그 결과 초기 통신문이 복구된다.
이 방법은 일차변환 통신문들의 혼합으로 부호화된 정보를 수신하고 복호한다.
본 발명은 통신문의 변환 결과 얻어진 부분들의 혼합으로 부호화된 정보를 수신하고 복호화하는 방법으로서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제35항 참조).
- 주어진 종류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초기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일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1 타입의 규칙들에 관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 주어진 종류의 일차변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이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이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2 타입의 규칙들에 간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 부호화된 통신문을 수신하는 단계;
- 예비 생성된 데이터와 제2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을 이용해 부호화된 통신문으로부터 일차 변환된 통신문을 수신하는 단계; 및
- 예비생성된 데이터와 제1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을 이용해 일차 변환된 통신문으로부터 초기 통신문을 수신하는 단계.
이 방법은 다음 특징들을 갖는다.
- 적어도 하나의 혼합된 부호화된 통신문을 적어도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수신하고;
- 변환된 통신문의 나머지 부분들을 적어도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수신하며;
- 상기 혼합된 부호화된 통신문들의 심볼들의 역혼합을 실시하고, 그 결과 적어도 하나의 일차변환된 통신문과 적어도 하나의 이차변환된 통신문이 복구되며;
- 부호화된 통신문의 역이차변환을 제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생성 데이터를 이용해 실시하고, 그 결과 일차변환된 통신문들이 복구되며;
- 모든 일차변환 부분들의 역일차변환을 제1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생성 데이터를 이용해 실시하고, 그 결과 일차변환 통신문이 복구된다.
이 방법은 제4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부호화된 정보를 수신하고 복호화한다.
본 발명에 따라 부호화 방법의 기능성들을 확장하면 현재의 부호화 방법을 이용해 새로운 종류의 서비스들을 실현할 수 있다(제36항 참조). 이런 응용례중 하나에 따르면, 비밀정보의 저장방법이 다음 단계들로 구성된다.
- 주어진 종류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초기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일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1 타입의 규칙들에 관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 주어진 종류의 일차변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이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이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2 타입의 규칙들에 관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 초기정보를 일차변환하는 단계;
- 일차변환된 정보를 이차변환하는 단계; 및
- 변환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이 방법은 다음 특징을 갖는다.
- 초기정보의 일차변환이 제1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생성 데이터를 이용해 실시되고, 그 결과 변환된 정보의 적어도 두 부분이 형성되며;
- 변환된 정보의 적어도 한 부분의 이차변환이 실시되고, 그 결과 부호화된 정보의 적어도 한 부분이 형성되며;
- 변환된 정보의 적어도 한 부분과 부호화된 정보의 적어도 한 부분이 별도로 저장되고;
- 제1 타입과 제2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가 별도로 저장된다.
이 방법은 비밀정보의 저장을 인가하는 신뢰성 문제를 해결한다. 암호화된 정보의 다른 부분들을 별도로 저장함으로써, 인가되지 않은 검출, 판독, 변경으로부터 고도로 보안성을 유지할 수 있다. 저장된 정보의 판독과 변경을 위해서는, 변환되고 부호화된 정보의 무든 부분들은 물론 제1, 제2 타입의 규칙들에 관한 데이터를 주의할 필요가 있다.
부호화 방법에 대한 변형례로는 다음 단계로 구성되는 비밀정보 저장방법이 있다(제37항 참조).
- 주어진 종류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초기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일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1 타입의 규칙들에 관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 주어진 종류의 일차변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이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이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2 타입의 규칙들에 관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 초기정보를 일차변환하는 단계;
- 일차변환된 정보를 이차변환하는 단계; 및
변환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이 방법은 다음 특징을 갖는다.
- 초기정보의 일차변환이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실시되고, 그 결과 변환된 정보의 적어도 두 부분, 즉 변환된 정보를 포함한 코어정보부분(C)과 변환 인자들을 포함한 부가정보부분(F)이 형성되며;
- 코어정보부분 및/또는 부가정보부분(F)의 이차변환이 실시되고, 그 결과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 및/또는 부호화된 부가정보가 형성되며;
- 이차변환 결과 형성된 부분들과 이차변환 대상이 아닌 부분들이 별도로 저장되고;
- 제1 타입과 제2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가 별도로 저장된다.
정보의 일차변환은 PCT/BY99/00005에 기재된 방법으로 부호화되고, 정보의 이차변환은 PCT/BY99/00004에 기재된 방법으로 부호화된다. 주어진 수열로 사용된 이들 방법의 집합에 의해, 전송되어 저장된 정보의 보안성이 이론적으로 안정된 암호시스템에 근접한다.
비밀정보를 저장하는 새로운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제38항 참조).
- 주어진 종류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초기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일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1 타입의 규칙들에 관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 주어진 종류의 일차변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이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이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2 타입의 규칙들에 관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 초기정보를 일차변환하는 단계;
- 일차변환된 정보를 이차변환하는 단계; 및
- 변환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이 방법은 다음 특징을 갖는다.
- 초기정보의 일차변환이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실시되고, 그 결과 변환된 정보의 적어도 두 부분이 형성되며;
-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이차변환이 실시되고, 그 결과 부호화된 정보의 적어도 한 부분이 형성되며;
- 부호화된 정보의 모든 부분들이나 일부분 및/또는 일차변환된 정보의 모든 부분이나 일부분이 전송되어 저장되고;
- 부호화된 정보의 미전송 부분들 및/또는 일차변환 정보의 미전송 부분들은 별도로 저장되며;
- 제1 타입과 제2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가 별도로 저장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제36항에 의한 방법과 비슷한 문제를 해결한다. 부호화된 정보의 전부나 일부 및/또는 변환된 정보의 전부나 일부의 저장을 위한 전송에 의해 저장된 정보가 더 보호된다.
본 발명을 개선한 비밀정보 저장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제39항 참조).
- 주어진 종류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초기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일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1 타입의 규칙들에 관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 주어진 종류의 일차변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이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이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2 타입의 규칙들에 관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 초기정보를 일차변환하는 단계; 일차변환된 정보를 이차변환하는 단계; 및
- 변환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이 방법은 다음 특징들을 갖는다.
- 초기정보의 일차변환이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실시되고, 그 결과 변환된 정보의 적어도 두 부분, 즉 변환된 정보를 포함한 코어정보부분(C)과 변환 인자들을 포함한 부가정보부분(F)이 형성되며;
- 코어정보부분 및/또는 부가정보부분(F)의 이차변환이 제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생성 데이터를 이용해 실시되고, 그 결과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 및/또는 부호화된 부가정보가 형성되며;
- 이차변환 대상인 일차변환정보의 적어도 일부분 및/또는 이차변환 대상이 아닌 일차변환정보의 적어도 일부분이 별도로 저장되고;
- 변환된 정보의 나머지 부분이 저장되며;
- 제1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고;
- 제2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일차변환은 PCT/BY99/00005에 기재된 방법으로 부호화되고, 이차변환은 PCT/BY99/00004에 기재된 방법으로 부호화된다.
가입자와 소유자에 의해 정보를 부호화, 전송 및 저장하는 더 개량된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제40항 참조).
- 주어진 종류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초기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일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1 타입의 규칙들에 관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 주어진 종류의 일차변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이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이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2 타입의 규칙들에 관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 초기정보를 일차변환하는 단계;
- 일차변환된 정보를 이차변환하는 단계; 및
- 변환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이 방법은 다음 특징을 갖는다.
- 초기정보의 일차변환은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가입자가 실시하고, 그 결과 일차변환된 정보의 적어도 두 부분이 형성되며;
- 일차변환된 정보의 적어도 한부분의 이차변환은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가입자가 실시하고, 그 결과 부호화된 정보의 적어도 한 부분이 형성되며;
- 부호화된 정보의 적어도 한 부분이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가입자에게 전송되고;
- 이차변환 대상이 아닌 정보 부분들은 가입자에 의해 저장되며;
- 부호화된 정보의 수신부들은 소유자에 의해 저장되고;
- 부호화된 코어부분은 소유자에 의해 저장된다.
이 방법은 제38항에 기재된 방법을 개량한 특수한 경우이다.
가입자와 소유자에 의한 정보 부호화, 전송 및 저장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제41항 참조).
- 주어진 종류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초기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일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1 타입의 규칙들에 관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 주어진 종류의 일차변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이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이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2 타입의 규칙들에 관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 초기정보를 일차변환하는 단계;
- 일차변환된 정보를 이차변환하는 단계; 및
- 변환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이 방법은 다음 특징을 갖는다.
- 초기정보의 일차변환은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가입자가 실시하고, 그 결과 변환 인자들을 포함한 부가정보부분(F)과 코어정보부분(C)이 형성되며;
- 코어정보부분(C)의 이차변환을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가입자가 실시하고, 그 결과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이 형성되며;
-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이 가입자에 의해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소유자에게 전송되고;
- 변환 인자들을 포함한 부가정보가 가입자에 의해 저장되며;
- 부호화된 정보의 수신부들은 소유자에 의해 저장되고;
- 부호화된 코어부분은 소유자에 의해 저장된다.
이 방법은 39항에 기재된 방법의특수한 경우로서, 부호화된 코어는 초기정보보다 훨씬 짧을 수 있어, 전송속도가 고속으로 되고 대량 정보를 저장하는 원격 저장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가입자와 소유자에 의한 정보의 부호화, 전송 및 저장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제42항 참조).
- 주어진 종류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초기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일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1 타입의 규칙들에 관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 주어진 종류의 일차변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이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이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2 타입의 규칙들에 관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 초기정보를 일차변환하는 단계;
- 일차변환된 정보를 이차변환하는 단계; 및
- 변환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이 방법은 다음 특징을 갖는다.
- 각각의 가입자에 대한 주어진 종류의 일차변환정보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이차변환 정보의 특정 심볼들과 일차변환정보의 심볼들의 값을 결합하는 제2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개별 데이터(Ki MZ4)가 소유자에 의해 각 가입자에게 예비 전송되고;
- 초기정보의 일차변환은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1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생성 데이터를 이용해 가입자가 실시하고, 그 결과 일차변환정보의 적어도 두 부분들이 형성되며;
- 일차변환정보의 적어도 한 부분의 이차변환은 제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생성 데이터를 이용해 가입자가 실시하고, 그 결과 부호화된 정보의 적어도 한 부분이 복구되며;
- 정보의 미전송 부분은 가입자에 의해 저장되고;
- 수신된 부호화정보의 최종 역변환은 송신자가 사용하는 제 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생성데이터를 이용해 소유자가 실시하고, 그 결과 일차변환정보의 적어도 한 부분이 복구되며;
- 일차변환정보의 복구된 부분은 소유자에 의해 저장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원격 저장을 위한 메모리 사이즈를 상당히 줄일 수 있다.
특히, 특정한 형태의 변환이 적용될 때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하는 가입자와 소유자에 의한 정보 부호화, 전송 및 저장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43항 참조).
- 주어진 종류의 정보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일차 부호화된 정보의 특정 심볼들과 초기정보의 심볼값들을 결합하는 제1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를 각각의 i 가입자가 예비생성하는 단계;
- 각각의 가입자용의 주어진 종류의 일차변환 정보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이차변환 정보의 특정심볼들과 일차변환 정보의 심볼값들을 결합하는 제2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를 예비생성하는 단계;
- 초기정보의 일차변환 단계; 일차변환정보의 이차변환단계; 및
- 변환된 정보의 저장단계.
이 방법은 다음 특징을 갖는다.
- 각각의 가입자에 대한 주어진 종류의 일차변환정보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이차변환 정보의 특정 심볼들과 일차변환정보의 심볼들의 값을 결합하는 제2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개별 데이터(Ki MZ4)가 소유자에 의해 각 가입자에게 예비 전송되고;
- 초기정보의 일차변환은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1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생성 데이터를 이용해 가입자가 실시하고, 그 결과 변환 인자들을 포함한 부가정보부분(F)과 코어정보부분(C)이 형성되며;
- 코어정보부분(C) 및/또는 부가정보부분(F)의 이차변환은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가입자가 실시하고, 그 결과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 및/또는 부호화된부가정보가 형성되며;
-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 및/또는 부호화된 부가정보가 가입자에 의해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소유자에게 전송되고;
- 정보의 미전송 부분은 가입자에 의해 저장되고;
-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 및/또는 부호화된 부가정보의 이차 역변환은 송신자가 사용하는 제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생성 데이터를 이용해 소유자가 실시하고, 그 결과 코어정보부분(C) 및/또는 부가정보가 복구되며;
- 복구된 코어정보부분 및/또는 부가정보가 소유자에 의해 저장된다.
이 방법은 42항에 기재된 방법의 특수한 경우이다. 이 방법에 의해 저장 사이즈가 최소화되고, 이는 PCT/BY99/00005, PCT/BY99/00004에 기재된 방법들에 따른 부호화 및 복호화 특성들에 관련된다.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작동요소에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원격 인가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제44항 참조).
- 주어진 종류의 통신문들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일차변환 통신문의 특정심볼들과 초기 통신문의 심볼값들을 결합하는 제1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를 예비생성하는 단계;
- 주어진 종류의 일차변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이차변환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과 초기 통신문의 심볼값들을 결합하는 제2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를 예비생성하는 단계;
- 초기 정보의 일차변환 단계; 및
- 일차변환 정보의 이차변환 단계.
이 방법은 다음 특징을 갖는다.
- 작동요소에 명령어를 전송하라는 결정 기준을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가 예비 선택하고;
- 주어진 종류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일차변환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에 초기 통신문의 심볼값들을 전송하는 제1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정보가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예비 생성되며;
- 제1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생성된 데이터가 가입자에게 예비 전송되고;
- 주어진 종류의 일차변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이차변환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과 일차변환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결합하는 제2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가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예비 생성되며;
- 제2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가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가입자에게 예비 전송되고;
- 운영자가 실시해야만 하는 동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초기 통신문이 가입자에 의해 형성되며;
-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용 초기 데이터의 일차변환이 가입자에 의해 실시되고, 그 결과 일차변환 통신문의 적어도 두 부분이 형성되고;
- 일차변환 통신문의 적어도 한 부분의 이차변환을 가입자가 실시하고, 그 결과 부호화된 통신문의 적어도 한 부분이 형성되며;
- 부호화된 통신문의 적어도 한 부분이 가입자에 의해 통신데이터 처리 및제어센터로 전송되고;
- 나머지 부분이 가입자에 의해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로 전송되며;
- 모든 전송된 부분들은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서 수신되고;
- 통신문의 부호화된 부분의 이차 역변환은 송신자가 사용하는 제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생성 데이터를 이용해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서 실시하고, 그 결과 일차변환 통신문의 적어도 한 부분이 복구되며;
- 수신된 일차변환 부분들의 역일차변환이 제1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생성 데이터를 이용해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서 실시되고, 그 결과 작동요소에 대한 명령어를 포함한 초기 통신문이 복구되며;
- 대응 통신문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가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작동요소를 위해 선택되고;
- 선택된 기준에 따라,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는 명령어를 작동요소로 전송하라는 결정을 하고 이 명령어를 작동요소로 전송하며;
- 이 명령어는 작동요소에 의해 수신되어 실행된다.
이 방법은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를 통해 작동요소에 의한 완전 원격제어 문제를 해결한다. 작동요소에 명령어를 전송하는 결정기준, 키로 기능하는 제1, 제2 타입의 정보 변환 규칙들이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생성된다.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는 이들 키를 가입자에게 전송한다. 가입자는 제어 지시를 포함한 통신문을 형성하고, 이들 통신문을 수신된 키를 이용해 부호화한 뒤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전송한다.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는 부호화된 통신문을 수신하고 복호화한다. 예비생성된 기준에 따라 통신문들을 복호화한 결과에 따라,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는 결정을 하고 작동요소에 명령어를 전송한다. 작동요소는 명령어를 수신하여 실행한다. 일반적으로 이 경우,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와 작동요소는 한 장소에 설치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전송된 제어 명령어들을 도청과 위조로부터 고도로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는 관리시스템을 완전 제어한다.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를 통해 작동요소에 명령어를 전송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원격인가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더 포함한다(제45항 참조).
- 주어진 종류의 통신문들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일차변환 통신문의 특정심볼들과 초기 통신문의 심볼값들을 결합하는 제1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Ki MV2)를 예비생성하는 단계;
- 주어진 종류의 일차변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이차변환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과 초기 통신문의 심볼값들을 결합하는 제2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를 예비생성하는 단계;
- 초기 정보의 일차변환 단계; 및
- 일차변환 정보의 이차변환 단계.
이 방법은 다음 특징을 갖는다.
- 작동요소에 명령어를 전송하는 결정기준이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예비 저장되고;
- 주어진 종류의 통신문들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일차변환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초기 통신문의 심볼값들을 변환하는 제1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개별 데이터(Ki MV2)가 가입자들중 하나에 의해 적어도 두명의 가입자로 구성된 그룹을 위해 예비 생성되며;
- 제1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생성된 데이터(Ki MV2)가 상기 그룹의 가입자들에게 예비 전송되고;
- 주어진 종류의 일차변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이차변환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과 일차변환 통신문의 심볼값들을 결합하는 제2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개별 데이터(Ki MZ4)가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각 가입자용으로 예비 생성되며;
- 제2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Ki MZ4)가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각 가입자에게 예비 전송되고;
- 운영자가 실시해야만 하는 작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초기 통신문이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에 의해 형성되며;
- 초기 통신문의 일차변환은 각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1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생성 데이터를 이용해 가입자-송신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수취인을 위해 실시되고, 그 결과 일차변환 정보에서 컨텐츠가 서로 다른 적어도 두 부분이 형성되며;
- 일차변환 정보의 적어도 한 부분의 이차변환은 제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생성 데이터를 이용해 가입자-송신자가 실시하고, 그 결과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이 형성되며;
- 일차변환 정보의 부호화된 부분은 가입자-송신자에 의해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로 전송되고;
- 일차변환 정보의 나머지 부분들은 가입자-송신자에 의해 다른 통신채널을 통해 적어도 한명의 수취인에게 전송되며;
- 일차변환 정보의 부호화된 부분의 이차 역변환은 송신자가 사용하는 제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생성 데이터를 이용해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가 실시하고, 그 결과 일차변환 정보의 일부분이 복구되며;
- 일차변환 정보의 복구된 부분의 이차변환은 각각의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생성 데이터를 이용해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가 실시하고, 그 결과 일차변환 정보의 적어도 하나의 새로운 부호화된 부분이 형성되며;
- 일차변환 정보의 각각의 새로운 부호화 부분은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수취인에게 전송되고;
- 일차변환 정보의 나머지 부분과 일차변환 정보의 새로이 부호화된 부분을 가입자-송신자가 수신하며;
- 일차변환 정보의 새로이 부호화된 부분의 역 이차변환은 제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생성 데이터를 이용해 가입자-수취인이 실시하고, 그 결과 일차변환 정보의 일부분이 복구되며;
- 수신된 일차변환 정보의 복구부와 그 나머지 부분의 역 일차변환은 제1 타입의 규칙들과 각각의 부가정보의 도움으로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수취인에 의해 실시되고, 그 결과 운영자가 실시해야만 하는 작업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초기 통신문이 복구되며;
- 작동요소에 대한 명령어를 포함한 통신문이 가입자에 의해 형성되고;
- 작동요소에 대한 명령어를 포함한 통신문의 변환이 제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생성 데이터를 이용해 가입자에 의해 실시되며, 그 결과 부호화된 통신문이 형성되고;
- 각각의 부호화된 통신문이 가입자에 의해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로 전송되며;
-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는 부호화된 통신문을 수신하고;
- 부호화된 통신문의 역 이차변환이 제2 타입의 규칙들의 도움으로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서 실시되며, 그 결과 작동요소에 대한 명령어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문이 복구되고;
- 작동요소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가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각 통신문들로부터 선택되며;
- 선택된 기준에 따라,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는 작동요소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라는 결정을 내리고 이 명령어를 작동요소에 전송하며;
- 이 명령어가 운영자에 의해 수신되어 실시된다.
이 방법에 의하면 가입자 그룹이 작동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가입자 그룹의한명이나 여러명의 가입자가 제어 지시를 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컨텐츠, 제어 지시문의 송신 시간 등에 관해 제어그룹의 가입자들이 합의에 도달할 수 있다. 이 목적으로, 가입자들은 통신문을 형성하고,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일차변환을 실시하며,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코어의 이차변환을 실시하고, 부가정보를 수취인에게 보내며, 부호화된 코어를 통신데이터 처리/제어센터에 보낸다. 통신데이터 처리/제어센터는 부호화된 코어를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다시 부호화한 뒤 수취인에게 중계한다. 수취인은 부호화된 통신문의 모든 부분들을 수신하고 초기 통신문을 복구한다. 여러개의 메시지가 합의에 이를 수 있다. 통신데이터 처리/제어센터는 가입자들 사이의 협상 컨텐츠를 통제할 수 없다.합의에 도달하면, 가입자들은 작동요소에 대한 명령어를 포함한 통신문을 형성하고, 이 통신문을 각각의 변환 규칙을 이용해 변환한 다음 통신데이터 처리/제어센터에 전송한다. 이 처리센터는 제2 타입의 규칙을 이용해 초기 통신문을 포함한 명령어를 복구하고, 예비생성 기준에 따라 이 명령어를 형성하며, 작동요소로 보낸다. 작동요소는 명령어를 수신하고 이를 실행한다. 제1 타입의 변환은 PCT/BY99/00005에 기재되어 있고, 제2 타입의 변환은 PCT/BY99/00004에 기재되어 있다.
완전 원격제어방법에 의하면 다음 특징이 제공된다.
- 전송된 명령어들과 협상에 대한 고도의 보안성
- 수신된 명령어의 인가와 송신자의 확인
- 인가되지 않은 제어 금지
- 하나 또는 여러개의 작동장치를 이용해 여러 가입자 그룹을 관리
- 하나 또는 여러개의 작동장치를 이용해 여러 그룹들을 관리
- 가입자수와 관리 그룹수의 확장
통신데이터 처리/제어센터에 의한 작동요소에 명령어를 전송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원격인가 제어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제46항 참조).
-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작동요소에 명령어를 전송하는 단계;
- 주어진 종류의 통신문들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일차변환 통신문의 특정심볼들과 초기 통신문의 심볼값들을 결합하는 제1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Ki MV2)를 예비생성하는 단계;
- 주어진 종류의 일차변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이차변환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과 초기 통신문의 심볼값들을 결합하는 제2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를 예비생성하는 단계;
- 초기 정보의 일차변환 단계; 및
- 일차변환 정보의 이차변환 단계.
이 방법은 다음을 특징으로 한다.
- 작동요소에 명령어를 전송하는 결정기준이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예비 저장되고;
- 주어진 종류의 통신문들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일차변환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에 초기 통신문의 심볼값들을 전송하는 제1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개별 데이터(Ki MV2)가 가입자들중 하나에 의해 적어도 두명의 가입자로 구성된 그룹을 위해 예비 생성되며;
- 제1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생성된 데이터(Ki MV2)가 상기 그룹의 가입자들에게 예비 전송되고;
- 주어진 종류의 일차변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이차변환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과 일차변환 통신문의 심볼값들을 결합하는 제2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개별 데이터(Ki MZ4)가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각 가입자용으로 예비 생성되며;
- 제2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Ki MZ4)가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각 가입자에게 예비 전송되고;
- 운영자가 실시해야만 하는 작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초기 통신문이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에 의해 형성되며;
- 초기 통신문의 일차변환은 각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가입자-송신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수취인을 위해 실시되고, 그 결과 적어도 하나의 코어정보부분(C)과 적어도 하나의 부가정보부분(F)이 형성되며;
- 하나의 코어정보부분(C)의 적어도 한 부분의 이차변환은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가입자-송신자가 실시하고, 그 결과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이 형성되며;
-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이 가입자-송신자에 의해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로 전송되고;
- 적어도 하나의 부가정보부분이 가입자-송신자에 의해 다른 통신채널을 통해 한명의 수취인에게 전송되며;
-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의 이차 역변환은 송신자가 사용하는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가 실시하고, 그 결과 적어도 하나의 코어정보부분(C)이 복구되며;
- 적어도 하나의 복구된 코어정보부분의 이차변환은 각각의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가 실시하고, 그 결과 적어도 하나의 신규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이 형성되며;
- 새로운 각각의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은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수취인에게 전송되고;
- 새로운 각각의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과 각각의 부가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수취인이 수신하며;
- 새로이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의 역 이차변환은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수취인이 실시하고, 그 결과 코어정보부분이 복구되며;
- 코어정보부분의 역 일차변환은 제1 타입의 규칙들과 각각의 부가정보의 도움으로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수취인에 의해 실시되고, 그 결과 운영자가 실시해야만 하는 작업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초기 통신문이 복구되며;
- 작동요소에 대한 명령어를 포함한 통신문이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에 의해 형성되고;
- 제2 타입의 규칙들에 의한 통신문의 이차변환이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에 의해 실시되고, 그 결과 부호화된 통신문이 형성되며;
- 각각의 부호화된 통신문이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에 의해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로 전송되며;
-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는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된 통신문을 수신하고;
-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된 통신문의 역 이차변환이 제2 타입의 규칙들의 도움으로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서 실시되며, 그 결과 작동요소에 대한 명령어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문이 복구되고;
- 각각의 통신문으로부터의 작동요소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가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선택되며;
- 선택된 기준에 따라,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는 작동요소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라는 결정을 내리고 이 명령어를 작동요소에 전송하며;
- 이 명령어가 운영자에 의해 수신되어 실시된다.
이 방법은 46항에 기재된 방법의 변형으로서, 유사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한다.
통신데이터 처리/제어센터를 통해 작동요소에 명령어를 전송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원격인가 제어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더 포함한다(제47항 참조).
-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작동요소에 명령어를 전송하는 단계;
- 주어진 종류의 통신문들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일차변환 통신문의 특정심볼들과 초기 통신문의 심볼값들을 결합하는 제1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Ki MV2)를 예비생성하는 단계;
- 주어진 종류의 일차변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이차변환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과 초기 통신문의 심볼값들을 결합하는 제2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를 예비생성하는 단계;
- 초기 정보의 일차변환 단계; 및
- 일차변환 정보의 이차변환 단계.
이 방법은 다음을 특징으로 한다.
- 주어진 종류의 통신문들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일차 부호화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초기 통신문의 심볼값들을 변환하는 제1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개별 데이터(Ki MV2)가 적어도 두명의 가입자로 구성된 그룹을 위한 발기인인 가입자들중 한명에 의해 예비 생성되며;
- 제1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생성된 데이터(KiMV2)가 상기 그룹의 가입자들에게 예비 전송되고;
- 일차변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이차변환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과 일차변환 통신문의 심볼값들을 결합하는 제2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개별데이터(Ki MZ4)가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예비 생성되며;
- 제2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Ki MZ4)가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각 가입자에게 예비 전송되고;
- 운영자가 실시해야만 하는 작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초기 통신문이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에 의해 형성되며;
- 초기 통신문의 일차변환은 각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가입자-송신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수취인을 위해 실시되고, 그 결과 일차변환 통신문의 적어도 두 부분이 형성되며;
- 일차변환 정보의 적어도 한 부분의 이차변환은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가입자-송신자가 실시하고, 그 결과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된 통신문이 형성되며;
- 부호화된 통신문의 적어도 한 부분이 가입자-송신자에 의해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로 전송되고;
- 일차 부호화된 통신문의 나머지 부분들은 가입자-송신자에 의해 다른 통신채널을 통해 적어도 한명의 수취인에게 전송되며;
- 송신자가 사용하는 제2 타입의 규칙들에 의한 부호화 통신문의 적어도 일부분의 최종 역변환을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가 실시하고, 그 결과 일차변환 통신문의 적어도 일부분이 복구되며;
- 각각의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2 타입의 규칙들에 의한 일차변환 통신문의적어도 일부분의 이차변환을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가 실시하고, 그 결과 수취인용으로 부호화된 통신문의 적어도 한 부분이 형성되고;
- 각각의 부호화된 통신문이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수취인에게 전송되고;
- 일차변환 통신문의 각 부분과 각각의 부호화된 통신문을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수취인이 수신하며;
- 각각의 부호화된 통신문의 역 이차변환은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수취인이 실시하고, 그 결과 일차변환 통신문의 각 부분들이 복구되며;
- 일차변환 통신문의 각 부분들의 역 일차변환은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수취인에 의해 실시되고, 그 결과 운영자가 실시해야만 하는 작업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초기 통신문이 복구되며;
- 작동요소에 대한 명령어를 포함한 통신문이 적어도 두명의 가입자 각자에 의해 형성되고;
- 통신문의 이차변환이 제2 타입의 규칙들의 도움으로 적어도 두명의 가입자들 각자에 의해 실시되며, 그 결과 각각의 부호화된 통신문이 형성되고;
- 각각의 부호화된 통신문이 적어도 두명의 가입자에 의해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로 전송되며;
-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는 적어도 두개의 부호화된 통신문을 수신하고;
- 적어도 두개의 부호화된 통신문의 역 이차변환이 제2 타입의 규칙들의 도움으로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서 실시되며, 그 결과 작동요소에 대한 명령어를 포함한 적어도 두개의 통신문이 복구되고;
- 작동요소에 대한 적어도 두개의 명령어가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각 통신문들로부터 선택되며;
- 작동요소에 대한 적어도 두개의 명령어가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비교되고;
- 소정 갯수의 명령어들이 소정 기준에 부합할 때, 각각의 명령어는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서 작동요소로 전송되고;
- 이 명령어가 운영자에 의해 수신되어 실시된다.
통신데이터 처리/제어센터에 의한 작동요소에 명령어를 전송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원격인가 제어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제48항 참조).
-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작동요소에 명령어를 전송하는 단계;
- 주어진 종류의 통신문들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일차변환 통신문의 특정심볼들과 초기 통신문의 심볼값들을 결합하는 제1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Ki MV2)를 예비생성하는 단계;
- 주어진 종류의 일차변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이차변환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과 초기 통신문의 심볼값들을 결합하는 제2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를 예비생성하는 단계;
- 초기 정보의 일차변환 단계; 및 일차변환 정보의 이차변환 단계.
이 방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 주어진 종류의 초기 통신문들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초기 통신문의 심볼값들을 변환하는 제1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개별 데이터(Ki MV2)가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의해 각각의 가입자용으로 예비 생성되며;
- 생성된 규칙들의 데이터가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각각의 가입자에게 예비 전송되고;
-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전송된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가 각각의 가입자에 의해 수신되며;
- 작동요소에 명령어를 전송하는 결정기준이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예비 선택되고;
- 작동요소에 대한 명령어를 포함한 통신문이 적어도 한명의 가입자에 의해 형성되며;
- 이 통신문은 생성된 규칙들에 의해 적어도 한명의 가입자에 의해 전송되고, 그 결과 부호화된 통신문이 형성되며;
- 부호화된 통신문은 적어도 한명의 가입자에 의해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로 전송되고;
-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된 통신문이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수신되며;
- 각각의 규칙들에 의한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된 통신문의 역변환이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실시되고, 그 결과 작동요소에 대한 명령어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문이 복구되며;
- 작동요소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가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각각의 통신문들로부터 선택되고;
- 예비선택된 기준에 따라,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는 명령어를 전송하라는 결정을 내리고 이 명령어를 작동요소에 전송하며;
- 이 명령어가 작동요소에 의해 수신되어 실시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조적 실시예에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비밀정보를 저장하는 한가지 방법에 대해 도 1에 도시된 비밀정보 저장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제49항 참조). 가장 간단한 케이스로, 이 시스템은 가입자 장치(1), 통신데이터 처리센터(2), 데이터 송신환경(3)을 포함한다. 도 2에는 가입자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통신데이터 처리센터가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 시스템은 가입자 장치를 여러개 구비한다. 이 시스템의 특징은 가입자 장치가 아래 구성요소를 구비하는데 있다.
- 입출력 유니트(4);
- 송수신 유니트(송수신기)(5);
- 복수의 제 1 타입의 변환규칙을 갖는 발생기(6);
- 복수의 제 1 타입의 변환규칙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유니트(7);
- 복수의 제 2 타입의 변환규칙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유니트(8);
- 제 1 타입의 규칙의 이용하여 변환과 복구를 실행하기 위한 계산기(9);
- 제 2 타입의 규칙의 이용하여 변환과 복구를 실행하기 위한 계산기(10);
- 변환 인자들을 포함한 부가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장치(11);
- 제 2 타입의 복수의 변환규칙들을 갖는 발생기(13);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저장 센터는 다음 구성요소들을 구비한다.
- 입출력 유니트(12);
- 제2 타입의 복수의 변환규칙들을 갖는 발생기(13);
- 제2 타입의 복수의 변환규칙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유니트(14);
- 변환된 정보를 포함한 코어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유니트(15);
-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변환 및 복구를 실행하는 계산기(16).
발생기(6)의 출력은 메모리장치(7)의 제1 입력에 연결되고, 송수신 유니트(4)의 제1 입출력은 계산기(9)의 제1 입출력에 연결되며, 입출력 유니트(4)의 제1 출력은 메모리장치(8)의 입력에 연결되고, 입출력 유니트(4)의 제2 출력은 메모리장치(7)의 제2 입력에 연결되며, 계산기(9)의 제2 입출력은 계산기(10)의 제1 입출력에 연결되고, 계산기(9)의 제3 입출력은 메모리장치(11)의 입출력에 연결되며, 메모리장치(7)의 출력은 계산기(9)의 입력에 연결되고, 메모리장치(11)의 출력은 메모리장치(7)의 제3 입력에 연결되며, 발생기(13)의 출력은 메모리장치(8)의 입력에 연결되고, 계산기(10)의 제2 입출력은 송수신 유니트(5)의 제1 입출력에 연결되며, 송수신 유니트(5)의 제2 입출력은 데이터 송신환경(3)에 연결되고, 송수신 유니트(5)의 출력은 메모리장치(11)의 입력에 연결되며,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저장센터의 송수신 유니트(12)의 제1 입출력은 데이터 통신환경(3)에 연결되고, 송수신 윤니트(12)의 제2 입출력은 계산기(16)의 제1 입출력에 연결되며, 계산기(16)의 입력은 메모리장치(14)의 출력에 연결되고, 메모리장치(14)의 제1 입력은 계산기(16)의 출력에 연결되며, 메모리장치(15)의 입출력은 계산기(16)의 제2 입출력에 연결되고, 발생기(13)의 출력은 메모리장치(14)의 제2 입력에 연결된다.
발생기(6)는 난수 수열 형태로 제1 타입의 변환규칙들의 랜덤 인자들을 생성한다. 생성된 규칙들의 인자들은 발생기(6)의 출력으로부터 메모리장치(7)의 입력으로 송신되어 저장된다. 발생기(13)는 난수 수열 형태로 제2 타입의 변환규칙들의 랜덤 인자들을 생성한다. 생성된 규칙들의 인자들은 발생기(13)의 출력으로부터 메모리장치(8)의 입력으로 송신되어 저장된다.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저장센터의 발생기(13)는 제2 타입의 변환규칙들의 인자들을 동기적으로 생성한다. 생성된 규칙들의 인자들은 발생기(13)의 출력으로부터 메모리장치(14)의 입력으로 송신되어 저장된다. 시스템에 가입자 장치(1)가 n개 있으면,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저장센터의 발생기(13)에 의해 n개의 규칙이 생성된다.
저장될 정보를 포함한 신호는 입출력 유니트를 통해 가입자 장치로 전송된다. 입출력장치로는 키보드나 기타 주변장치를 사용해도 된다. 입출력 유니트의 입력부에서의 신호에서 메모리장치(7)의 입력부로 송신되는 판독신호가 생성된다. 상기 신호에 의해 메모리장치(7)의 출력에서 계산기(9)의 입력으로 전송되는 제1 타입의 변환규칙 인자들의 판독이 실시되고, 계산기(9)의 제1 입출력으로 입출력 유니트(1)의 입출력으로부터 정보가 전송된다. 계산기(9)는 제1 타입의 규칙들의 도움으로 일차 변환 알고리즘에 따른 계산을 수행한다. 계산 결과 얻어진 부가정보는 메모리장치(11)에 저장되도록 전송되고, 코어는 계산기(10)로 전송된다. 그와 동시에, 제2 타입의 규칙들이 저장장치(8)로부터 계산기(10)로 전송된다. 계산기(10)는 제2 타입의 규칙들의 도움으로 이차 변환 알고리즘에 따른 계산을 수행한다. 그 결과 암호화된 정보가 송수신 유니트(5)로 전송된다. 송수신 유니트(5)는 암호화된 정보를 포함한 통신문을 형성하고, 이 통신문을 데이터 통신환경(3)을 통해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저장센터(2)로 전송한다. 암호화된 정보를 포함한 통신문은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저장 센터의 송수신 유니트(12)로 전송된다. 송수신 유니트(12)는 통신문으로부터 암호화된 정보를 선택하고 이것을 계산기(16)로 보낸다. 계산기(16)는 판독신호를 메모리장치(14)로 전송하며, 이곳에서 제2 타입의 규칙들이 판독되어 계산기(16)로 전송된다. 계산기(16)는 제2 타입의 규칙들의 도움으로 역 이차변환 알고리즘에 따른 계산을 수행한다. 계산결과 복구된 코어가 메모리장치(15)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입출력 유니트(4)를 통해 저장정보를 받으려면, 정보를 제공하라는 요청을 계산기(9)를 통해 계산기(10)로 전송한다. 그와 동시에, 제2 타입의 규칙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장치(8)에서 계산기(10)로 전송한다. 이 계산기(10)는 이차 변환 알고리즘에 따른 계산을 수행한다. 그 결과 부호화된 요청이 송수신 유니트(5), 데이터 통신환경(3) 및 송수신 유니트(12)를 통해 계산기(16)로 전송된다. 이 계산기(16)는 판독신호를 메모리장치(14)로 전송하고, 메모리장치(14)에서 제2 타입의 규칙들이 판독된다. 계산기(16)는 제2 타입의 규칙들의 도움으로 이차 변환 알고리즘에 따른 계산을 수행한다. 그 결과 복구된 요청이 메모리장치(15)로 전송된다.
수신된 요청에 따라, 코어가 메모리장치(15)에서 계산기(16)로 전송된다. 계산기(16)는 판독신호를 메모리장치(14)로 전송하고, 제2 타입의 규칙들이 메모리장치(14)에서 판독되어 계산기(16)로 전송된다. 이 계산기(16)는 제2 타입의 규칙들의 도움으로 이차 변환 알고리즘에 따른 계산을 수행한다. 그 결과 부호화된 코어가 송수신 유니트(12)와 데이터 통신환경(3)을 통해 송수신 유니트(5)로 전송된다.부호화된 코어는 송수신 유니트(5)에서 계산기(10)로 전송된다. 그와 동시에, 제2 타입의 규칙들이 메모리장치(8)로부터 계산기(10)로 전송된다. 계산기(10)는 역 이차 변환 알고리즘에 따른 계산을 수행한다. 그 결과 복구된 코어가 계산기(9)로 전송된다. 송수신 유니트(5)의 출력의 신호에서, 메모리장치(11)로부터 각각의 부가정보가 판독되어 계산기(9)로 전송된다. 메모리장치(11)의 출력의 신호에서, 제2 타입의 규칙들이 메모리장치(7)로부터 계산기(9)로 전송된다. 이 계산기(9)는 역 일차 변환 알고리즘에 따른 계산을 수행한다. 그 결과 복구된 정보가 입출력 유니트(4)를 통해 수취인에게 전송된다.
정보를 부호화, 송신, 수신 및 복호화하는 시스템을 예로 들어 정보의 부호화, 송신, 수신 및 복호화 방법들중의 하나에 대해 설명한다(제 50항 참조). 이 시스템은 두개 이상의 가입자 장치(17)를 구비한다. 도 4에는 이 시스템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가입자장치(17)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통신데이터 처리센터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시스템의 특징은 각각의 가입자장치가 다음 요소를 구비하는데 있다.
- 입출력 유니트(19);
- 송수신 유니트(20);
- 송수신 유니트(21);
- 제1 타입의 복수의 변환 규칙들을 갖는 발생기(6);
- 제2 타입의 복수의 변환 규칙들을 갖는 발생기(13);
- 제1 타입의 복수의 변환규칙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장치(22);
- 제2 타입의 복수의 변환규칙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장치(23);
-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변환 및 복구를 수행하는 계산기(24);
-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변환 및 복구를 수행하는 계산기(25);
- 초기 통신문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장치(26);
통신데이터 처리센터는 다음 구성요소들을 구비한다.
- 송수신 유니트(27);
- 제1 타입의 복수의 변환규칙들을 갖는 발생기(6);
- 제2 타입의 복수의 변환규칙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장치(14);
-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변환 및 복구작업을 수행하는 계산기(28).
발생기(6)의 출력은 메모리장치(22)의 제1 입력에 연결되고, 입출력 유니트(19)의 제1 입출력은 초기 통신문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장치(26)의 제1 입출력에 연결되며, 발생기(13)의 출력은 메모리장치(23)의 입력에 연결되고, 메모리장치(22)의 출력은 계산기(24)의 입력에 연결되며, 계산기(24)의 출력은 메모리장치(22)의 제2 입력에 연결되고, 계산기(24)의 제1 입출력은 초기 통신문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장치(26)의 제2 입출력에 연결되며, 계산기(24)의 제2 입출력은 계산기(25)의 제1 입출력에 연결되고, 계산기(24)의 제3 입출력은 송수신 유니트(21)의 제1 입출력에 연결되며, 메모리장치(8)의 제1 출력은 계산기(10)의 제1 입력에 연결되고, 계산기(25)의 입력은 메모리장치(23)의 출력에 연결되며, 계산기(25)의 제2 입출력은 송수신 유니트(20)의 제1 입출력에 연결되고, 송수신 유니트(20)의 제2 입출력은 데이터 송신환경(3)에 연결되며, 송수신 유니트(21)의 제2 입출력은데이터 송신환경(3)에 연결되고, 통신데이터 처리센터의 송수신 유니트(27)의 제1 입출력은 데이터 송신환경(3)에 연결되며, 송수신 유니트(27)의 제2 입출력은 계산기(28)의 제1 입출력에 연결되고, 계산기(28)의 입력은 메모리장치(14)의 출력에 연결되고, 메모리장치(14)의 입력은 계산기(19)의 출력에 연결되며, 발생기(6)의 출력은 메모리장치(14)의 제2 입력에 연결된다.
가입자 장치가 두개 있는 기본 케이스에 대한 시스템의 동작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발생기(6)는 제1 타입의 변환규칙의 랜덤 인자들을 난수 수열 형태로 생성한다. 생성된 규칙들의 인자들은 발생기(6)의 출력부에서 메모리장치(22)의 입력부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발생기(13)는 제2 타입의 변환규칙의 랜덤 인자들을 난수 수열 형태로 생성한다. 생성된 규칙들의 인자들은 발생기(13)의 출력부에서 메모리장치(22)의 입력부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통신데이터 처리센터의 발생기(6)는 각각의 가입자장치(17)용으로 제2 타입의 변환규칙들의 인자들을 동기적으로 생성한다. 생성된 규칙들의 인자들은 발생기(6)의 출력부에서 메모리장치(14)의 입력부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통신문은 입출력 유니트(19)와 메모리장치(26)를 통해 계산기(24)로 전송된다. 계산기(24)의 판독신호에 의해 제1 타입의 변환규칙의 인자들이 메모리장치(22)에서 판독된다. 계산기(24)는 제1 타입의 규칙들의 도움으로 일차 변환 알고리즘에 따른 계산을 수행한다. 계산 결과, 변환인자들을 포함한 부가정보와 코어가 형성된다. 부가정보는 송수신 유니트(21)와 데이터 송신환경(3)을 통해 수취인 가입자장치의 송수신 유니트(21)로 전송되고, 코어는 계산기(25)로 전송된다. 그와 동시에, 제2 타입의 규칙들이 메모리장치(23)로부터 계산기(25)로 전송된다. 계산기(25)는 제2 타입의 규칙들의 도움으로 이차 변환 알고리즘에 따른 계산을 수행한다. 그 결과 부호화된 정보가 송수신 유니트(20)와 데이터 송신환경(3)을 통해 통신데이터 처리센터(18)의 송수신 유니트(27)로 전송된다. 부호화된 정보는 송수신 유니트(27)에서 계산기(28)로 전송된다. 각각의 송신자에 속하는 제2 타입의 규칙들을 판독하라는 요청이 계산기(28)에 의해 메모리장치(14)의 제1 입력으로 전송된다. 이 요청에 응답해, 메모리장치(14)는 제2 타입의 규칙들 각각을 계산기(28)의 입력으로 전송한다. 이 계산기(28)는 부호화된 정보의 역 이차 변환을 수행하고, 그 결과로소 코어가 복구된다. 각각의 수신자에 속하는 제2 타입의 규칙들을 판독하라는 요청은 계산기(28)에 의해 메모리장치(14)의 제1 입력으로 전송된다. 이 요청에 응답해, 메모리장치(14)는 제2 타입의 규칙들 각각을 계산기(28)의 입력으로 전송한다. 계산기(28)는 코어의 역 이차변환을 수행하고, 그 결과로 수취인용으로 부호화된 코어가 형성된다. 수취인용으로 부호화된 코어는 송수신 유니트(27), 데이터 송신환경(3) 및 가입자장치의 송수신 유니트(20)를 통해 계산기(25)로 전송된다. 그와 동시에, 제2 타입의 규칙들이 저장장치(23)에서 계산기(25)로 전송된다. 계산기(25)는 제2 타입의 규칙들의 도움으로 이차 변환 알고리즘에 따른 계산을 수행한다. 그 결과 복구된 코어가 계산기(25)로 전송된다. 그와 동시에, 변환 인자들을 포함한 부가정보가 송수신 유니트(21)에서 계산기(24)로 전송된다. 계산기(24)는 메모리장치(22)의 입력에 판독신호를 전송한다. 메모리장치(22)의 판독신호에 의해, 제1 타입의 규칙들 각각이 계산기(24)의 입력으로 전송된다. 계산기(24)는 제1 타입의 규칙들의 도움으로 역 일차변환 알고리즘에 따른 계산을 수행한다. 계산 결과 복구된 통신문은 계산기(24)로부터 메모리장치(26)와 송수신 유니트(19)를 통해 가입자장치의 출력으로 전송된다.
정보의 부호화, 송신, 수신, 복호화 시스템 및 안전한 완전원격제어의 일례를 들어 인가된 완전원격제어 방법들중 한가지에 대해 설명한다(제51항 참조). 도 7에는 시스템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가장 기본적인 케이스로, 시스템은 두개의 가입자장치(17),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29), 데이터 송신환경(3) 및 최종 제어기(30)를 포함한다. 도 8에는 가입자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에는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가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가입자장치는 다음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 입출력 유니트(19);
- 송수신 유니트(20);
- 송수신 유니트(21);
- 제1 타입의 다수의 변환규칙들을 갖는 발생기(6);
- 제2 타입의 다수의 변환규칙들을 갖는 발생기(13);
- 제1 타입의 복수의 변환규칙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장치(22);
- 제2 타입의 복수의 변환규칙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장치(23);
-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변환 및 복구를 수행하는 계산기(24);
-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변환 및 복구를 수행하는 계산기(25);
- 초기 통신문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장치(26);
- 정류기(31);
통신데이터 처리센터는 다음 구성요소들을 구비한다.
- 송수신 유니트(12);
- 제2 타입의 복수의 변환규칙들을 갖는 발생기(13);
- 제2 타입의 복수의 변환규칙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장치(14);
- 복구된 명령어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장치(31);
-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변환 및 복구 작업들을 수행하는 계산기(32);
- 비교기(33).
이 경우, 발생기(6)의 출력은 메모리장치(22)의 제1 입력에 연결되고, 메모리장치(22)의 제2 입력은 계산기(24)의 출력에 연결되며, 메모리장치(22)의 출력은 계산기(24)의 입력에 연결되고, 입출력 유니트(19)의 입출력은 메모리장치(26)의 제1 입출력에 연결되며, 메모리장치(26)의 제2 입출력은 정류기(31)의 제1 입출력에 연결되고, 정류기(31)의 제2 입출력은 계산기(24)의 제1 입출력에 연결되며, 정류기(31)의 제3 입출력은 계산기(25)의 제1 입출력에 연결되고, 계산기(24)의 제2 입출력은 송수신 유니트(21)의 제1 입출력에 연결되며, 송수신 유니트(21)의 제2 입출력은 데이터 송신환경(3)에 연결되고, 계산기(25)의 제2 입출력은 송수신 유니트(20)의 제1 입출력에 연결되며, 송수신 유니트(20)의 제2 입출력은 데이터 송신환경(3)에 연결되고, 계산기(25)의 제1 입력은 메모리장치(23)의 출력에 연결되며, 메모리장치(23)의 입력은 발생기(13)의 출력에 연결되고,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의 송수신 유니트(12)의 제1 입출력은 데이터 송신환경에 연결되며, 송수신 유니트(12)의 제2 입출력은 계산기(32)의 제1 입출력에 연결되고, 계산기(32)의 제2출력은 메모리장치(31)의 입력에 연결되며, 발생기(13)의 출력은 메모리장치(14)의 제1 입력에 연결되고, 메모리장치(14)의 제2 입력은 계산기(32)의 출력에 연결되며, 메모리장치(14)의 출력은 계산기(32)의 입력에 연결되고, 메모리장치(31)의 두개의 출력은 비교기(33)의 두개의 입력에 연결되며, 비교기(33)의 출력은 제어기(30)의 입력에 연결된다.
제1 타입의 변환규칙들의 예비 생성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하나의 가입자장치의 발생기(6)는 다른 가입자장치의 발생기(6)와 동기적으로 제1 타입의 변환규칙들의 랜덤 인자들을 난수 수열 형태로 생성한다. 생성된 제1 타입의 규칙들의 인자들은 각 가입자장치의 메모리장치(22)에 저장된다.
제2 타입의 변환규칙들의 예비 생성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의 발생기(13)와 동기적으로, 하나의 가입자장치의 발생기(13)는 제2 타입의 변환규칙들의 랜덤 인자들을 난수 수열 형태로 생성한다. 발생기(13)에서 생성된 제2 타입의 규칙들은 각각의 메모리장치(23)에 저장된다.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의 발생기(13)와 동기적으로, 다른 가입자장치의 발생기(13)는 제2 타입의 다른 변환규칙들의 랜덤 인자들을 난수 수열 형태로 생성한다. 다른 가입자장치의 발생기(13)에서 생성된 제2 타입의 규칙들은 각각의 메모리장치(23)에 저장된다.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의 발생기(13)에서 생성된 제2 타입의 규칙들은 메모리장치(14)에 저장된다.
제어문의 부호화와 전송은 가입자장치들중 하나에 의해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제어문을 포함한 통신문은 제1 가입자장치의 입출력 유니트(19),메모리장치(26) 및 정류기(31)를 통해 계산기(24)로 전송된다. 계산기(24)로부터 도달하는 판독 명령어에 의해, 제1 타입의 변환규칙들의 인자들이 메모리장치(22)에서 계산기(24)로 전송된다. 계산기(24)는 제1 타입의 변환 알고리즘에 따른 계산을 수행한다. 계산 결과 얻어진 부가정보가 송수신 유니트(21)를 통해 데이터 송신환경(3)으로 전송된다. 계산 결과 얻어진 코어는 계산기(24)에서 정류기(31)를 통해 계산기(25)로 전송된다. 그와 동시에, 제2 타입의 변환 인자들이 메모리장치(23)의 계산기(25)로 전송된다. 이 계산기(25)는 제2 타입의 변환 알고리즘에 따른 계산을 수행한다. 계산 결과 얻어진 부호화된 정보는 송수신 유니트(20)를 통해 데이터 송신환경(3)으로 전송된다.
제어문의 수신과 부호화는 다른 가입자장치에 의해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데이터 송신환경(3)으로부터의 부호화된 정보는 제2 가입자장치의 송수신 유니트(20)를 통해 계산기(25)로 전송된다. 동시에, 제2 타입의 변환규칙들의 인자들이 메모리장치(23)로부터 계산기(25)로 전송된다. 계산기(25)는 제2 타입의 변환 알고리즘에 따른 계산을 수행한다. 계산결과 복구된 코어가 계산기(25)에서 정류기(31)를 통해 계산기(24)로 전송된다. 계산기(24)로부터 도달하는 판독 명령문에 의해, 제1 타입의 변환규칙들의 인자들이 메모리장치(22)에서 계산기(24)로 전송된다. 계산기(24)는 제1 타입의 변환 알고리즘에 따른 계산을 수행한다. 계산 결과 복구된 명령문이 정류기(31), 메모리장치(26) 및 입출력 유니트(19)를 통해 가입자장치의 출력부로 전송된다.
제어명령문의 부호화와 전송은 가입자장치에 의해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제어명령문이 입출력 유니트(19), 메모리장치(26) 및 정류기(31)를 통해 계산기(25)로 전송된다. 동시에, 제2 타입의 변환규칙들의 인자들이 메모리장치(23)에서 계산기(25)로 전송된다. 계산기(25)는 제2 타입의 변환 알고리즘에 따른 계산을 수행한다. 계산결과 형성된 부호화된 정보는 계산기(25)에서 송수신 유니트(20)를 통해 데이터 송신환경(3)으로 전송된다.
제어명령문의 수신과 복호화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데이터 송신환경(3)으로부터의 부호화된 정보는 송수신 유니트(12)를 통해 계산기(32)로 전송된다. 계산기(32)로부터 판독 명령문을 수신했을 때, 제2 타입의 변환규칙들의 인자들이 메모리장치(14)에서 계산기(32)로 전송된다. 계산기(32)는 제2 타입의 변환 알고리즘에 따른 계산을 수행한다. 계산 결과 복구된 제어 명령문은 메모리장치(31)로 전송된다.
제어명령문을 제공하고 실행하는 것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두개의 제어 명령문이 메모리장치(31)에 저장되었을 때, 메모리장치는 이들 명령문을 비교기(34)로 보낸다. 비교기(34)는 이 명령문을 제어기(30)로 보낸다. 제어기(34)는 수신된 명령문을 실행한다.
청구된 방법과 시스템에서는, PCT/BY99/00005에 소개된 변환을 이용해 제1 타입의 변환을 실행하고, PCT/BY99/00004에 소개된 변환을 이용해 제2 타입의 변환을 실행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이들 변환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초기 통신문은 일차 변환 대상이다.
이 경우, 초기 통신문의 심볼들의 값을 정해진 종류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부호화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과 결합하는 규칙에 관한 데이터가 통신문이나 정보에 대한 키로서 먼저 생성된다. 그 생성 동작은 다수의 통신문을 위해 한번 실행된다. 초기 텍스트의 변환 사이클 수(n)를 계산한다. 현재 변환 단계에서 이 텍스트의 변환에 사용된 규칙의 어드레스를 정의하는 난수(Ri)가 생성된다. 텍스트는 선택된 규칙을 이용해 변환되고, 그 결과 코어(Ci)와 부가정보(Fi)가 형성된다. 그 다음 사이클로 가거나 정보변환을 끝내라는 결정이 내려진다.
따라서, 각각의 심볼들의 2진 표현이 총 알파벳 A에 대해 동일한 길이를 갖는 초기 알파벳 A{a1, a2..., an}의 심볼들이 매 변환 사이클마다 알파벳 Bi{b1i, b2i...bni}의 심볼들로 대입되고, 각 심볼의 2진 표현은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런 대체 방법은 반복된다. 각각의 i 단계에서는 i-1 단계에서 얻어진 대입 결과를 초기 텍스트용으로 사용한다. 각각의 i 단계에서, 복수의 함수에서 무작위로 선택된 함수 Yi의 도움으로 생성된 개별 대입 알파벳 Bi가 사용된다. 이 경우, 초기 텍스트의 회복에 사용되는 부가정보 Fi가 각각의 i 단계마다 생성된다. 변환 결과 형성된 텍스트의 혼합이 암호 분석에 대한 추가적인 보호조치로서 매단계마다 또는 여러 단계에 걸쳐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런 변환 결과 코어(Cn)가 형성된다. 상기 코어의 길이는 최종 변환단계에 사용되는 알파벳 Bn의 하나의 심볼의 길이보다 짧지 않을 수 있다. 부가정보는 각각의 변환단계에서 변환된 텍스트의 각 심볼의 마진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런 반복적인 변환작업의 결과 형성된 코어의 길이는 이 텍스트의 종류와 무관한 초기 텍스트의 길이보다는 훨씬 짧지만 최종 단계의 변환에 사용된 알파벳 Bn의 하나의 심볼의 길이보다는 짧지 않을 수 있다. 부가정보를 포함한 텍스트의 길이는 초기 텍스트의 길이와 거의 같다. 이 부가정보는 수취인에게 전송된다.
이렇게 얻어진 코어는 이차 변환의 대상이다. 이 경우, 일단의 함수 Y1...Yn, Yi=Yi(X)가 예비 생성되는바, X는 변수이고 각각의 Yi는 코어의 구체적 심볼은 물론 지지함수 U=U(Z)와 키함수 W=W(Y,U)에 대응하는바, 여기서 Z는 변수이고 Y와 U는 함수 Yi와 U의 값이다. 이런 생성은 다수의 통신문의 변환을 위해 한번 실시된다. 이차변환을 실시할 때, 두개의 난수 X와 Z가 코어의 각 심볼마다 생성된다. 적절한 함수 Yi(X)에 따라, 구체적인 심볼에 대한 각각의 값 Y가 계산되고, 지지함수 U(Z)에 따라 값 U가 더 계산된다. 이 심볼의 값 W는 키함수 W(Y,U)에 의해 계산되고 심볼값 Y와 U는 지지함수로부터 얻어진다. 이렇게 얻어진 부호화된 텍스트는 코어의 각각의 심볼에 대한 값 W와 난수 X, U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높은 제곱차수(high-power)의 무작위 추출분야에서의 완전 무작위 추출법에서, 부호화된 정보는 계산정밀한계내의 소정 확률도로 원래 정보와는 통계학적으로 독립되는바, 전체적으로 코드와 심볼이 아주 보안성이 있음이 증명된다. 무작위 추출분야의 거듭제곱이 충분히 크면, 부호화된 정보의 엔트로피가 큰 값을 가질 뿐만 아니라, 이 시스템이 좀더 이론적으로 안정된 시스템에 접근하게 된다.
일차변환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는다.
- 초기 텍스트의 변환 결과, 두개의 출력 텍스트인 코어(Cn)와 부가정보(F)가 형성되는바, 이들 각각은 초기 텍스트의 복구 관점에서는 상관이 없다.
- 일반적으로 변환된 텍스트는 대체 알파벳의 하나의 심볼의 길이를 가질 수 있는바, 초기 텍스트가 바이트로 표현되면 변환된 텍스트는 초기 텍스트의 길이와 종류에 무관하게 1 바이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 하나의 동일한 초기 텍스트를 여러번 부호화할 때, 변환된 텍스트는 다를 것이고, 이는 키 정보를 전송하는 폐쇄 채널에 대한 필요성을 배제한다.
- 변환된 텍스트나 부가정보의 모든 심볼을 변화시켜도 초기 텍스트의 복구는 불가능하다.
변환 함수(Yi)는 표 형태로 설정될 수도 잇다. 예컨대 초기 텍스트가 바이트로 표현되고 압축 변환된 경우, 함수 Yi는 256 트리플 어레이 형태인 {(ak, bik, fik)}로 설정될 수 있고, 여기서 ak는 8비트 코드, bik는 비트 코드, fik는 bik 비트의 길이인바, 이런 표현에서 256!*128*255 10511의 다른 변환 함수들(Yi)이 제공된다. 이 경우, 두개의 bik 값들은 1 비트 길이를, 4개의 bik 값들은 2비트 길이를, 8개의 bik 값들은 3비트 길이를, 16개의 bik 값들은 4비트 길이를, 32개의 bik 값들은 5비트 길이를, 64개의 bik 값들은 6비트 길이를, 128개의 bik 값들은 7비트 길이를, 2개의 bik 값들은 8비트 길이를 갖는다.
이차 변환은 다음 특성을 갖는다.
- 매번, 부호화된 텍스트는 하나의 동일한 초기 텍스트용의 랜더마이저(randomiser)의 주어진 인자들로 랜덤화된다.
- 복수의 코드가 L 제곱이고 텍스트의 문자수가 n인 하나의 동일한 초기 텍스트에 대한 복수의 부호화된 텍스트의 제곱수는 nL로 된다.
L이 비교적 큰 수로서 L=109이고 n=1000 문자이면, 텍스트의 가능한 변수는 109n=109000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제곱수가 얼마나 큰지는 현재 우주에 존재하는 원자수가 1090 정도라는 것을 생각하면 상상이 갈 것이다. 이 경우, 가입자용의 부호화장치의 키와 랜더마이저의 인자들은 한번만 전송되고, 하나의 동일한 초기 텍스트의 적절한 코드는 한번의 전송에서 다른 전송까지 무작위로 변하며, 이에 따라 키를 변화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폐쇄 채널의 문제가 기본적으로 해결된다. 랜더마이저의 함수인자들의 변화 때문에, 1000 바이트의 길이를 갖는 텍스트의 변화 횟수는 1019184 이하이고, 적절한 랜더마이저의 동작때문에 109000까지 이른다. 이로부터 다음과 같은 중요한 결론이 얻어진다. 다른 것이 일정할 때, 전체적으로 시스템 인자들의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 랜더마이저의 함수 인자들을 변화시킬 필요가 없다.
코드가 전체 길이에 걸쳐 반복되지 않는 초기 텍스트의 길이를 추정해보자. MZ4 시스템에서 각 심볼은 약 109개의 변형 코드들을 갖고 ASCII 테이블은 총 256개의 심볼들을 갖지만, 동일한 문자들이 109 회 전송될 경우 최소한 1 기가바이트 길이의 초기 텍스트에서 코드의 반복이 개시된다. 초기 텍스트의 심볼들이 등간격으로 분산되어 있으면 텍스트 길이는 256 기가바이트일 것이다. 제1 타입의 변환을 위해 변환 함수에서 복수의 가능한 가능한 인자들의 총 제곱수는 Nf=1019189로 된다.
변환함수의 인자들의 조건이 전체 세트 Nf의 0.01%에 해당한다고 하자. 이 대, 변환 함수들의 인자들의 가설들의 포괄적 조사에서 확률 P=1에서의 텍스트의복화화 시간은 대략 T=1019187/109=1019178초 또는 T=3x1019170년이 될 것이다. 심볼 1000개의 부호화된 텍스트의 변화 수는 N=109n=109000 이하이다. 초기 텍스트는 4배로 확대된다.
유한수열의 변환 집합을 이용하면 정보가 절대적으로 보호되고, 기본적으로 청구범위의 방법과 시스템의 기능이 확장되므로, 키들을 중앙집중제어할 수 있으며 데이터 흐름과 데이터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고 비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청구된 방법과 시스템들은 다음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 표준화된 특별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개별 표준 PC;
- 표준화된 특별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표준 PC의 지역 네트웍;
- 표준화된 특별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인터넷 등의 글로벌 네트웍에 연결되는 표준 PC;
- 별도의 특별한 장치;
- 특별한 장치, 집적된 이동통신망.
청구된 방법들과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은 특별하거나 프로그램된 집적회로 형태로 생성될 수도 있다.
이런 모든 변형례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가능성들을 확장한다.
정보를 부호화하고 전송하는 새로운 시스템을 안출하는 새로운 기술결과들은 이상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한 결과 얻을 수 있다. 새로운 시스템은 다음 특징을 제공한다.
- 이론적으로 안정된 암호해독 시스템의 실현 가능성;
- 신규 가입자들을 추가하여 가입자 네트웍을 확장할 가능성;
- 통신문을 확인하고 인증할 가능성;
- 대칭형 암호해독 시스템에서 개방형 통신채널을 통해 새로운 키들을 교환할 가능성;
- 인증된 정보를 저장할 가능성;
- 인증된 완전 원격 제어에 대한 비밀보장의 개선.
본 발명은 예컨대 공용이나 상업적 통신시스템, 은행업무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참고자료
1. Gavrish, Victor. "Practical manual on protection of trade secrets". Simferopol. "Tavrida", 1994.
2. Shannon K.A. "Theory of communication in confidential systems". In the book Shannon K.A. "Works on information theory and cybernetics". M.: Foreign Literture Publishes, 1963.
3. G.S.Vernan. "Copher printing telegraph systems for secret wire and radiotelegraphic communications", J.Amer. Inst. Elec. Eng., vol.55, pp.109-115, 1926.
4. Cryptosystem with randomiser. PCT/US98/24881 of 20 November 1998(1998.11.20).
5. Golubev V.V. et all. "Computer crimes and protection of information in computing systems", in the Digest "News in life, science and engineering", Part "Computer technology and use thereof". "Protection of information". M.:Znanie, 1990.
6. Levin B.R. "Theoretical fundamentals of a statistical radio-engineering". The 1st book, M., "Soviet Radio", 1969.
7. Data processing systems. Cryptographycal protection. Algorithm of cryptographycal transferring. GOST USSR 28147-89.
8. Transmission of a signalling information between the central termianl and terminal of the subscriber of a system of a telecommunicaitons. PCT/GB98/03736 of December 14, 1998(1998.12.14)

Claims (51)

  1. 초기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일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데이터로서, 주어진 통신문 종류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이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이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데이터로서, 주어진 일차 변환된 통신문 종류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예비 생성된 데이터와 제1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을 이용해 초기 통신문을 일차 변환하는 단계; 예비 생성된 데이터와 제2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을 이용해 일차 변환된 통신문을 이차 변환하고, 그 결과 부호화된 송신용 통신문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부호화된 통신문을 수취인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부호화/전송 방법에 있어서:
    초기 통신문의 일차 변환이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1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해 실행되고,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2개 이상의 부분이 다른 컨텐츠를 갖도록 일차 변환이 실행되며;
    일차 변환된 통신문들중 적어도 하나의 이차 변환은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2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의 도움으로 실행되고, 그 결과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된 통신문이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된 통신문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전송되고;
    이차 변환 대상이 아닌 일차 변환된 통신문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부호화/전송 방법.
  2. 초기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일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데이터로서, 주어진 통신문 종류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이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이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데이터로서, 주어진 일차 변환된 통신문 종류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예비 생성된 데이터와 제1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을 이용해 초기 통신문을 일차 변환하는 단계; 예비 생성된 데이터와 제2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을 이용해 일차 변환된 통신문을 이차 변환하고, 그 결과 부호화된 송신용 통신문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부호화된 통신문을 수취인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부호화/전송 방법에 있어서:
    초기 통신문의 일차 변환이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1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해 실행되고,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2개 이상의 부분이 다른 컨텐츠를 갖도록 일차 변환이 실행되며;
    일차 변환된 통신문들중 적어도 두개의 이차 변환은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2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의 도움으로 실행되고, 그 결과 적어도 두개의 부호화된 통신문이 형성되며;
    적어도 두개의 부호화된 통신문이 적어도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부호화/전송 방법.
  3. 초기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일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데이터로서, 주어진 통신문 종류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이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이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데이터로서, 주어진 일차 변환된 통신문 종류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예비 생성된 데이터와 제1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을 이용해 초기 통신문을 일차 변환하는 단계; 예비 생성된 데이터와 제2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을 이용해 일차 변환된 통신문을 이차 변환하고, 그 결과 부호화된 송신용 통신문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부호화된 통신문을 수취인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부호화/전송 방법에 있어서:
    초기 통신문의 일차 변환이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1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해 실행되고,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2개 이상의 부분이 다른 컨텐츠를 갖도록 일차 변환이 실행되며;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적어도 두 부분들의 심볼들이 혼합되어, 적어도 하나의 혼합된 일차변환 통신문이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혼합된 일차변환 통신문의 이차변환은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2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의 도움으로 실행되고, 그 결과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된 통신문이 형성되며;
    상기 부호화된 통신문이 적어도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부호화/전송 방법.
  4. 초기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일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데이터로서, 주어진 통신문 종류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이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이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데이터로서, 주어진 일차 변환된 통신문 종류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예비 생성된 데이터와 제1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을 이용해 초기 통신문을 일차 변환하는 단계; 예비 생성된 데이터와 제2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을 이용해 일차 변환된 통신문을 이차 변환하고, 그 결과 부호화된 송신용 통신문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부호화된 통신문을 수취인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부호화/전송 방법에 있어서:
    초기 통신문의 일차 변환이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1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해 실행되고,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2개 이상의 부분이 다른 컨텐츠를 갖도록 일차 변환이 실행되며;
    일차 변환된 통신문들중 적어도 하나의 이차 변환은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2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의 도움으로 실행되고, 그 결과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된 통신문이 형성되며;
    일차변환된 통신문의 적어도 하나의 심볼들과 이차변환된 통신문의 적어도 하나의 심볼들이 혼합되어, 적어도 하나의 혼합되고 부호화된 통신문이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된 통신문이 적어도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전송되며;
    변환된 통신문의 나머지 부분들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부호화/전송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부호화된 통신문의 모든 부분들이 하나의 동일한 통신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부호화된 통신문의 모든 부분들과 이차변환 대상이 아닌 모든 일차변환 통신문들이 하나의 동일한 통신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부호화된 통신문의 모든 부분들과 이차변환 대상이 아닌 일차변환된 모든 통신문들이 두개 이상의 통신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부호화된 통신문의 모든 부분들이 두개 이상의 통신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초기 통신문의 일차 변환이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1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과예비 생성된 데이터의 도움으로 실행되고, 그 결과 변환된 통신문의 2개 부분, 즉 변환된 정보를 포함하는 코어 정보부분(C)과 변환 인자들을 포함하는 부가정보 부분(F)이 형성되고;
    부가정보의 이차변환은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2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의 도움으로 실행되어, 그 결과 부호화된 부가정보가 형성되며;
    변환 인자들을 포함한 부호화된 부가정보가 전송되고;
    변환된 정보를 포함한 코어 정보부분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된 부가정보와 코어정보 부분들이 통신채널들중 하나를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된 부가정보가 통신채널들중 하나를 통해 전송되고, 상기 코어정보 부분은 다른 통신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초기 통신문의 일차변환이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1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의 도움으로 실행되고, 그 결과 부호화된 통신문의 두개의 부분들, 즉 일차변환정보를 포함한 코어정보부분(C)과 일차변환 인자들을 포함한 부가정보부분(F)이 형성되고;
    상기 코어정보부분의 이차변환은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2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과 예비 형성된 데이터의 도움으로 실행되고, 그 결과 부호화된 코어정보가 형성되며;
    상기 부가정보가 전송되고;
    상기 부호화된 코어정보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와 부호화된 코어정보가 하나의 동일한 통신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가 통신채널들중 하나를 통해 전송되고, 상기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은 다른 통신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초기 통신문의 일차 변환이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1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의 도움으로 실행되고, 그 결과 부호화된 통신문의 두개의 부분들, 즉 일차변환정보를 포함한 코어정보부분(C)과 일차변환 인자들을 포함한 부가정보부분(F)이 형성되고;
    상기 코어정보부분의 이차변환은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2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과 예비 형성된 데이터의 도움으로 실행되고, 그 결과 부호화된 코어정보가 형성되며;
    상기 부가정보의 이차변환은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2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과 예비 형성된 데이터의 도움으로 실행되고, 그 결과 부호화된 부가정보가 형성되며;
    변환 인자들을 포함한 상기 부호화된 부가정보가 전송되고;
    상기 부호화된 코어정보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가 통신채널들중 하나를 통해 전송되고, 상기 부호화된 코어정보가 다른 통신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된 부가정보와 부호화된 코어정보가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초기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일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데이터로서, 주어진 통신문 종류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이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이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데이터로서, 주어진 일차 변환된 통신문 종류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예비 생성된 데이터와 제1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을 이용해 초기 통신문을 일차 변환하는 단계; 예비 생성된 데이터와 제2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을 이용해 일차 변환된 통신문을 이차 변환하고, 그 결과 부호화된 송신용 통신문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부호화된 통신문을 수취인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부호화/전송 방법에 있어서:
    부호화된 통신문의 적어도 일부는 통신데이터 처리센터를 통해 수취인에게 전송되며;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유사한 데이터(KiMV2)가 가입자-송신자-가입자-수취인용으로 예비 생성되고;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유사한 데이터(KiMZ4)가 가입자-송신자-통신데이터 처리센터용으로 예비 생성되며;
    초기 통신문의 일차 변환이 제1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해 실행되고, 그 결과 일차변환된 통신문의 2개 이상의 부분이 형성되고;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적어도 한 부분의 이차 변환은 제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해 송신자에 의해 실행되며, 그 결과 부호화된 통신문의 적어도 한 부분이 형성되고;
    이차 변환 대상이 아닌 통신문의 나머지 부분은 통신채널들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취인에게 전송되며;
    부호화된 부분은 다른 통신채널을 통해 통신데이터 처리센터로 전송되고;
    상기 부호화된 통신문의 적어도 한 부분의 역 이차변환이 송신자용으로 유사한 제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해 통신데이터 처리센터에서 행해지고, 그 결과 이차변환 통신문의 적어도 한 부분이 복구되며;
    일차변환 통신문의 복구 부분의 이차변환은 수취인용으로 유사한 제2 타입의규칙들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해 실시되고, 그 결과 수취인용으로 부호화된 통신문의 적어도 한 부분이 형성되며;
    수취인용으로 부호화된 통신문의 상기 적어도 한 부분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데이터 처리센터가 일차변환된 통신문의 상기 복구 부분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초기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일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데이터로서, 주어진 통신문 종류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이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이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데이터로서, 주어진 일차 변환된 통신문 종류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예비 생성된 데이터와 제1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을 이용해 초기 통신문을 일차 변환하는 단계; 예비 생성된 데이터와 제2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을 이용해 일차 변환된 통신문을 이차 변환하고, 그 결과 부호화된 송신용 통신문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부호화된 통신문을 수취인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부호화/전송 방법에 있어서:
    부호화된 통신문의 적어도 일부는 통신데이터 처리센터를 통해 수취인에게 전송되며;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유사한 데이터(KiMV2)가 가입자-송신자-가입자-수취인용으로 예비 생성되고;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개별 데이터(KiMZ4)가 가입자-송신자-통신데이터 처리센터용으로 예비 생성되며;
    초기 통신문의 일차 변환이 제1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해 실행되고, 그 결과 변환된 정보를 포함한 코어정보부분(C)과 변환 인자들을 포함한 부가정보부분(F)이 형성되고;
    코어정보부분(C)의 이차 변환은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실행되며, 그 결과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이 형성되고;
    부가정보는 통신채널들중 하나를 통해 수취인에게 전송되며;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은 다른 통신채널을 통해 통신데이터 처리센터로 전송되고;
    상기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의 역 이차변환이 송신자용으로 유사한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통신데이터 처리센터에서 행해지고, 그 결과 일차변환 통신문(C)이 복구되며;
    코어정보부분의 이차변환은 수취인용으로 유사한 제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해 실시되고, 그 결과 수취인용으로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이 형성되고;
    수취인용으로 부호화된 상기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초기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일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데이터로서, 주어진 통신문 종류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이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이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데이터로서, 주어진 일차 변환된 통신문 종류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예비 생성된 데이터와 제1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을 이용해 초기 통신문을 일차 변환하는 단계; 예비 생성된 데이터와 제2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을 이용해 일차 변환된 통신문을 이차 변환하고, 그 결과 부호화된 송신용 통신문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부호화된 통신문을 수취인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부호화/전송 방법에 있어서:
    부호화된 통신문의 적어도 일부는 통신데이터 처리센터를 통해 수취인에게 전송되며;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공통 데이터(K0MV2)가 모든 가입자용으로 통신데이터 처리센터에서 예비 생성되고;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유사한 데이터(KiMZ4)가 각각의 가입자-통신데이터 처리센터용으로 통신데이터 처리센터에서 예비 생성되며;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데이터(K0MV2)가 모든 가입자용으로 통신데이터 처리센터에서 예비 생성되고;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데이터(KiMZ4)가 각각의 가입자용으로 통신데이터처리센터에서 예비 생성되며;
    초기 통신문의 일차 변환이 수취인에게 공통적인 제1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해 실행되고, 그 결과 다른 컨텐츠를 갖는 변환된 정보의 적어도 두 부분들이 형성되며;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적어도 한 부분의 이차변환은 제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해 가입자-송신자에 의해 실행되고, 그 결과 통신문의 부호화된 부분이 형성되며;
    통신문의 상기 부호화된 부분은 가입자-송신자에 의해 통신채널들중 하나를 통해 통신데이터 처리센터로 전송되고;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나머지 부분은 가입자-송신자에 의해 다른 통신채널을 통해 수취인에게 전송되며;
    통신문의 상기 부호화된 부분의 역 이차변환이 송신자가 사용하는 제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해 통신데이터 처리센터에서 행해지고, 그 결과 통신문의 이차 변환부분이 통신문의 일차 변환부분으로 복구되며;
    통신문의 상기 복구부분의 새로운 이차변환은 수취인에게 유사한 제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해 통신데이터 처리센터에서 실행되고, 그 결과 통신문의 새롭게 부호화된 부분이 형성되며;
    새롭게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이 통신데이터 처리센터에 의해 수취인에게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데이터 처리센터가 통신문의 상기 복구부분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초기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일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데이터로서, 주어진 통신문 종류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이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이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데이터로서, 주어진 일차 변환된 통신문 종류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예비 생성된 데이터와 제1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을 이용해 초기 통신문을 일차 변환하는 단계; 예비 생성된 데이터와 제2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을 이용해 일차 변환된 통신문을 이차 변환하고, 그 결과 부호화된 송신용 통신문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부호화된 통신문을 수취인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부호화/전송 방법에 있어서:
    부호화된 통신문의 적어도 일부는 통신데이터 처리센터를 통해 수취인에게 전송되며;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공통 데이터(K0MV2)가 모든 가입자용으로 통신데이터 처리센터에서 예비 생성되고;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개별 데이터(KiMZ4)가 각각의 가입자-통신데이터 처리센터용으로 통신데이터 처리센터에서 예비 생성되며;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데이터(K0MV2)가 모든 가입자용으로 통신데이터처리센터에서 예비 생성되고;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데이터(KiMZ4)가 각각의 가입자용으로 통신데이터 처리센터에서 예비 생성되며;
    송신자는 송신자-수취인 각각의 쌍을 위해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데이터(KiMV2)를 추가로 생성하고;
    송신자는 각각의 송신자-수취인 쌍을 위한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키 통신문을 형성하며;
    상기 송신자는 모든 가입자에 공통인 제1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해 상기 키 통신문을 일차 변환하고, 그 결과 일차변환 통신문의 적어도 두 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송신자는 제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해 일차변환된 키 통신문의 적어도 한 부분을 이차 변환하고, 그 결과 부호화된 키 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송신자는 제1 통신채널을 통해 통신데이터 처리센터에 상기 부호화된 키 부분을 전송하고;
    상기 송신자는 제2 통신채널을 통해 수취인에게 나머지 키 통신 부분을 전송하며;
    상기 일차 변환된 부호화된 키 부분의 이차변환이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해 통신데이터 처리센터에서 실행되고, 그 결과 통신문의 부호화된 부분이 형성되며;
    수취인용으로 부호화된 상기 키 통신 부분은 통신데이터 처리센터에 의해 수취인에게 전송되고;
    상기 송신자는 제1 타입의 규칙들(KiMV2)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해 통신문의 일차 변환을 실시하고, 그 결과 변환된 통신문에서 다른 컨텐츠를 갖는 적어도 2 부분이 형성되며;
    상기 송신자는 특정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해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상기 적어도 한 부분의 이차변환을 실시하고, 그 결과 통신문의 부호화된 부분이 형성되며;
    상기 송신자는 일차변환된 정보의 나머지 부분을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수취인에게 전송하고;
    상기 송신자는 통신문의 상기 부호화된 부분을 다른 통신채널을 통해 통신데이터 처리센터에 전송하며;
    통신문의 부호화된 부분의 역 이차변환이 송신자에게 알려진 제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해 통신데이터 처리센터에서 실시되고, 그 결과 일차변환된 통신문이 복구되며;
    통신문의 복구된 부분의 이차변환이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해 통신데이터 처리센터에서 실시되고, 그 결과 수취인을 위해 부호화된 통신문 부분이 형성되며;
    수취인용으로 부호화된 상기 통신문 부분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초기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일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데이터로서, 주어진 통신문 종류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이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이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데이터로서, 주어진 일차 변환된 통신문 종류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부호화된 통신문을 수신하는 단계; 예비 생성된 데이터와 제2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을 이용해 부호화된 통신문으로부터 일차 변환된 통신문을 수신하는 단계; 및 예비생성된 데이터와 제1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을 이용해 일차 변환된 통신문으로부터 초기 통신문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 항에 따라 부호화된 정보를 수신 및 복호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모든 부호화된 통신문을 수신하고;
    이차변환의 대상이 아닌 모든 일차변환 통신문들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수신하며;
    수신된 부호화된 통신문의 역 이차변환이 제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해 실행되고, 그 결과 일차변환된 통신문의 나머지 부분이 수신되며;
    일차변환된 통신문의 역 일차변환이 제1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생성 데이터를 이용해 실행되고, 그 결과 초기통신문이 복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2차변환 대상이 아닌 일차변환 통신문들과 부호화된 통신문들이 하나의 동일한 통신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이차변환의 대상이 아닌 일차변환 통신문들과 부호화된 통신문들이 적어도 두개의 통신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초기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일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데이터로서, 주어진 통신문 종류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이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이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데이터로서, 주어진 일차 변환된 통신문 종류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부호화된 통신문을 수신하는 단계; 예비 생성된 데이터와 제2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을 이용해 부호화된 통신문으로부터 일차 변환된 통신문을 수신하는 단계; 및 예비생성된 데이터와 제1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을 이용해 일차 변환된 통신문으로부터 초기 통신문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2항에 따라 부호화된 정보를 수신 및 복호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적어도 두개의 부호화된 통신문을 수신하고;
    적어도 두개의 부호화된 통신문의 역 이차변환이 제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생성 데이터를 이용해 실행되고, 그 결과 일차변환된 통신문들중 적어도 두개를 수신하며;
    적어도 두개의 일차변환된 통신문의 역 일차변환이 제1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해 실행되고, 그 결과 초기 통신문이 복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24항 내지 제26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환인자들을 포함한 부호화된 부가정보부분을 수신하고;
    변환된 정보를 포함한 코어정보부분을 수신하며;
    부호화된 부가정보의 역 이차변환이 제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생성 데이터를 이용해 실행되고, 그 결과 부가정보부분이 복구되며;
    두개의 부호화된 통신문들, 즉 변환된 정보를 포함한 코어정보부분과 변환 인자들을 포함한 부가정보부분의 역 일차변환이 제1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생성 데이터를 이용해 실행되고, 그 결과 초기 통신문이 복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정보부분과 부호화된 부가정보부분을 하나의 동일한 통신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된 부가정보를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수신하고, 코어정보부분은 다른 통신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제24항,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변환된 정보를 포함한 상기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을 수신하고;
    변환 인자들을 포함한 상기 부가정보부분을 수신하며;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의 역이차변환은 제2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과 예비생성 데이터를 이용해 실행되고, 그 결과 코어정보부분을 수신하며;
    두개의 부호화된 통신문, 즉 코어정보부분과 부가정보부분의 역이차변환을 수행하고, 그 결과 초기 통신문이 복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부분과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을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부분은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수신하고,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은 다른 통신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4. 초기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일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데이터로서, 주어진 통신문 종류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이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이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데이터로서, 주어진 일차 변환된 통신문 종류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부호화된 통신문을 수신하는 단계; 예비 생성된 데이터와 제2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을 이용해 부호화된 통신문으로부터 일차 변환된 통신문을 수신하는 단계; 및 예비생성된 데이터와 제1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을 이용해 일차 변환된 통신문으로부터 초기 통신문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3항에 따라 부호화된 정보를 수신 및 복호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적어도 두개의 부호화된 통신문을 수신하고;
    상기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이차변환 대상이 아닌 적어도 하나의 일차변환된 통신문을 수신하며;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된 통신문의 역이차변환이 제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생성 데이터를 이용해 실행되고, 그 결과 일차변환된 통신문들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며;
    혼합된 일차변환 통신문들중 적어도 하나의 역이차혼합이 실행되고, 그 결과 일차변환 통신문들중 적어도 두개가 복구되며;
    적어도두개의 일차변환 통신문들의 역일차변환이 제1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해 실행되고, 그 결과 초기 통신문이 복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5. 초기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일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데이터로서, 주어진 통신문 종류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심볼값들을 이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이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데이터로서, 주어진 일차 변환된 통신문 종류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부호화된 통신문을 수신하는 단계; 예비 생성된 데이터와 제2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을 이용해 부호화된 통신문으로부터 일차 변환된 통신문을 수신하는 단계; 및 예비생성된 데이터와 제1 타입의 선택된 규칙들을 이용해 일차 변환된 통신문으로부터 초기 통신문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4항에 따라 부호화된 정보를 수신 및 복호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혼합된 부호화된 통신문을 적어도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수신하고;
    변환된 통신문의 나머지 부분들을 적어도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수신하며;
    상기 혼합된 부호화된 통신문들의 심볼들의 역혼합을 실시하고, 그 결과 적어도 하나의 일차변환된 통신문과 적어도 하나의 이차변환된 통신문이 복구되며;
    부호화된 통신문의 역이차변환을 제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생성 데이터를 이용해 실시하고, 그 결과 일차변환된 통신문들이 복구되며;
    모든 일차변환 부분들의 역일차변환을 제1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생성 데이터를 이용해 실시하고, 그 결과 일차변환 통신문이 복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6. 초기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일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데이터로서, 주어진 통신문 종류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이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이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데이터로서, 주어진 일차 변환된 통신문 종류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초기정보를 일차변환하는 단계; 일차변환된 정보를 이차변환하는 단계; 및 변환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밀정보 저장방법에 있어서:
    초기정보의 일차변환이 제1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생성 데이터를 이용해 실시되고, 그 결과 변환된 정보의 적어도 두 부분이 형성되며;
    변환된 정보의 적어도 한 부분의 이차변환이 실시되고, 그 결과 부호화된 정보의 적어도 한 부분이 형성되며;
    변환된 정보의 적어도 한 부분과 부호화된 정보의 적어도 한 부분이 별도로 저장되고;
    제1 타입과 제2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가 별도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7. 초기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일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데이터로서, 주어진 통신문 종류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이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이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데이터로서, 주어진 일차 변환된 통신문 종류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초기정보를 일차변환하는 단계; 일차변환된 정보를 이차변환하는 단계; 및 변환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밀정보 저장방법에 있어서:
    초기정보의 일차변환이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실시되고, 그 결과 변환된 정보의 적어도 두 부분, 즉 변환된 정보를 포함한 코어정보부분(C)과 변환 인자들을 포함한 부가정보부분(F)이 형성되며;
    코어정보부분 및/또는 부가정보부분(F)의 이차변환이 실시되고, 그 결과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 및/또는 부호화된 부가정보가 형성되며;
    이차변환 결과 형성된 부분들과 이차변환 대상이 아닌 부분들이 별도로 저장되고;
    제1 타입과 제2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가 별도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8. 초기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일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데이터로서, 주어진 통신문 종류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이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이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데이터로서, 주어진 일차 변환된 통신문 종류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초기정보를 일차변환하는 단계; 일차변환된 정보를 이차변환하는 단계; 및 변환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밀정보저장방법에 있어서:
    초기정보의 일차변환이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실시되고, 그 결과 변환된 정보의 적어도 두 부분이 형성되며;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이차변환이 실시되고, 그 결과 부호화된 정보의 적어도 한 부분이 형성되며;
    부호화된 정보의 모든 부분들이나 일부분 및/또는 일차변환된 정보의 모든 부분이나 일부분이 전송되어 저장되고;
    부호화된 정보의 미전송 부분들 및/또는 일차변환 정보의 미전송 부분들은 별도로 저장되며;
    제1 타입과 제2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가 별도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9. 초기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일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데이터로서, 주어진 통신문 종류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이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이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데이터로서, 주어진 일차 변환된 통신문 종류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초기정보를 일차변환하는 단계; 일차변환된 정보를 이차변환하는 단계; 및 변환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밀정보 저장방법에 있어서:
    초기정보의 일차변환이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실시되고, 그 결과 변환된 정보의 적어도 두 부분, 즉 변환된 정보를 포함한 코어정보부분(C)과 변환 인자들을 포함한 부가정보부분(F)이 형성되며;
    코어정보부분 및/또는 부가정보부분(F)의 이차변환이 제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생성 데이터를 이용해 실시되고, 그 결과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 및/또는 부호화된 부가정보가 형성되며;
    이차변환 대상인 일차변환정보의 적어도 일부분 및 또는 이차변환 대상이 아닌 일차변환정보의 적어도 일부분이 별도로 저장되고;
    변환된 정보의 나머지 부분이 저장되며;
    제1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고;
    제2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0. 초기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일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데이터로서, 주어진 통신문 종류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이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이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데이터로서, 주어진 일차 변환된 통신문 종류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초기정보를 일차변환하는 단계; 일차변환된 정보를 이차변환하는 단계; 및 변환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입자와 소유자에 의해 정보를 부호화, 전송 및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초기정보의 일차변환은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가입자가 실시하고, 그 결과 일차변환된 정보의 적어도 두 부분이 형성되며;
    일차변환된 정보의 적어도 한부분의 이차변환은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가입자가 실시하고, 그 결과 부호화된 정보의 적어도 한 부분이 형성되며;
    부호화된 정보의 적어도 한 부분이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가입자에게 전송되고;
    이차변환 대상이 아닌 정보 부분들은 가입자에 의해 저장되며;
    부호화된 정보의 수신부들은 소유자에 의해 저장되고;
    부호화된 코어부분은 소유자에 의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1. 초기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일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데이터로서, 주어진 통신문 종류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이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이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데이터로서, 주어진 일차 변환된 통신문 종류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초기정보를 일차변환하는 단계; 일차변환된 정보를 이차변환하는 단계; 및 변환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입자와 소유자에 의해 정보를 부호화, 전송 및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초기정보의 일차변환은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가입자가 실시하고, 그 결과 변환 인자들을 포함한 부가정보부분(F)과 코어정보부분(C)이 형성되며;
    코어정보부분(C)의 이차변환을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가입자가 실시하고, 그 결과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이 형성되며;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이 가입자에 의해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소유자에게 전송되고;
    변환 인자들을 포함한 부가정보가 가입자에 의해 저장되며;
    부호화된 정보의 수신부들은 소유자에 의해 저장되고;
    부호화된 코어부분은 소유자에 의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2. 초기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일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데이터로서, 주어진 통신문 종류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일차 변환된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이차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이차 변환시키기 위한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위한 데이터로서, 주어진 일차 변환된 통신문 종류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한 데이터를 예비 생성하는 단계; 초기정보를 일차변환하는 단계; 일차변환된 정보를 이차변환하는 단계; 및 변환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입자와 소유자에 의해 정보를 부호화, 전송 및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가입자에 대한 주어진 종류의 일차변환정보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이차변환 정보의 특정 심볼들과 일차변환정보의 심볼들의 값을 결합하는 제2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개별 데이터(Ki MZ4)가 소유자에 의해 각 가입자에게 예비전송되고;
    초기정보의 일차변환은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1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생성 데이터를 이용해 가입자가 실시하고, 그 결과 일차변환정보의 적어도 두 부분들이 형성되며;
    일차변환정보의 적어도 한 부분의 이차변환은 제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생성 데이터를 이용해 가입자가 실시하고, 그 결과 부호화된 정보의 적어도 한 부분이 복구되며;
    정보의 미전송 부분은 가입자에 의해 저장되고;
    수신된 부호화정보의 최종 역변환은 송신자가 사용하는 제 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생성데이터를 이용해 소유자가 실시하고, 그 결과 일차변환정보의 적어도 한 부분이 복구되며;
    일차변환정보의 복구된 부분은 소유자에 의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3. 주어진 종류의 정보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일차 부호화된 정보의 특정 심볼들과 초기정보의 심볼값들을 결합하는 제1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를 각각의 i 가입자가 예비생성하는 단계; 각각의 가입자용의 주어진 종류의 일차변환 정보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이차변환 정보의 특정심볼들과 일차변환 정보의 심볼값들을 결합하는 제2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를 예비생성하는 단계; 초기정보의 일차변환 단계; 일차변환정보의 이차변환단계; 및 변환된 정보의저장단계;를 포함하는, 가입자와 소유자에 의해 정보를 부호화, 전송 및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가입자에 대한 주어진 종류의 일차변환정보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이차변환 정보의 특정 심볼들과 일차변환정보의 심볼들의 값을 결합하는 제2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개별 데이터(Ki MZ4)가 소유자에 의해 각 가입자에게 예비 전송되고;
    초기정보의 일차변환은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1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생성 데이터를 이용해 가입자가 실시하고, 그 결과 변환 인자들을 포함한 부가정보부분(F)과 코어정보부분(C)이 형성되며;
    코어정보부분(C) 및/또는 부가정보부분(F)의 이차변환은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가입자가 실시하고, 그 결과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 및/또는 부호화된 부가정보가 형성되며;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 및/또는 부호화된 부가정보가 가입자에 의해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소유자에게 전송되고;
    정보의 미전송 부분은 가입자에 의해 저장되고;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 및/또는 부호화된 부가정보의 이차 역변환은 송신자가 사용하는 제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생성 데이터를 이용해 소유자가 실시하고, 그 결과 코어정보부분(C) 및/또는 부가정보가 복구되며;
    복구된 코어정보부분 및/또는 부가정보가 소유자에 의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4.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작동요소에 명령어를 전송하는 단계; 주어진 종류의 통신문들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일차변환 통신문의 특정심볼들과 초기 통신문의 심볼값들을 결합하는 제1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를 예비생성하는 단계; 주어진 종류의 일차변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이차변환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과 초기 통신문의 심볼값들을 결합하는 제2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를 예비생성하는 단계; 초기 정보의 일차변환 단계; 및 일차변환 정보의 이차변환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인가 제어방법에 있어서:
    작동요소에 명령어를 전송하라는 결정 기준을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가 예비 선택하고;
    주어진 종류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일차변환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에 초기 통신문의 심볼값들을 전송하는 제1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정보가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예비 생성되며;
    제1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생성된 데이터가 가입자에게 예비 전송되고;
    주어진 종류의 일차변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이차변환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과 일차변환 통신문의 심볼 값들을 결합하는 제2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가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예비 생성되며;
    제2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가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가입자에게 예비 전송되고;
    운영자가 실시해야만 하는 동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초기 통신문이 가입자에 의해 형성되며;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용 초기 데이터의 일차변환이 가입자에 의해 실시되고, 그 결과 일차변환 통신문의 적어도 두 부분이 형성되고;
    일차변환 통신문의 적어도 한 부분의 이차변환을 가입자가 실시하고, 그 결과 부호화된 통신문의 적어도 한 부분이 형성되며;
    부호화된 통신문의 적어도 한 부분이 가입자에 의해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로 전송되고;
    나머지 부분이 가입자에 의해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로 전송되며;
    모든 전송된 부분들은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서 수신되고;
    통신문의 부호화된 부분의 이차 역변환은 송신자가 사용하는 제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생성 데이터를 이용해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서 실시하고, 그 결과 일차변환 통신문의 적어도 한 부분이 복구되며;
    수신된 일차변환 부분들의 역일차변환이 제1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생성 데이터를 이용해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서 실시되고, 그 결과 작동요소에 대한 명령어를 포함한 초기 통신문이 복구되며;
    대응 통신문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가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작동요소를 위해 선택되고;
    선택된 기준에 따라,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는 명령어를 작동요소로전송하라는 결정을 하고 이 명령어를 작동요소로 전송하며;
    작동요소는 이 명령어를 수신하고 운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5.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작동요소에 명령어를 전송하는 단계; 주어진 종류의 통신문들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일차변환 통신문의 특정심볼들과 초기 통신문의 심볼값들을 결합하는 제1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Ki MV2)를 예비생성하는 단계; 주어진 종류의 일차변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이차변환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과 초기 통신문의 심볼값들을 결합하는 제2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를 예비생성하는 단계; 초기 정보의 일차변환 단계; 및 일차변환 정보의 이차변환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인가 제어방법에 있어서:
    작동요소에 명령어를 전송하는 결정기준이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예비 저장되고;
    주어진 종류의 통신문들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일차변환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초기 통신문의 심볼값들을 변환하는 제1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개별 데이터(Ki MV2)가 가입자들중 하나에 의해 적어도 두명의 가입자로 구성된 그룹을 위해 예비 생성되며;
    제1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생성된 데이터(Ki MV2)가 상기 그룹의 가입자들에게 예비 전송되고;
    주어진 종류의 일차변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이차변환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과 일차변환 통신문의 심볼값들을 결합하는 제2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개별 데이터(Ki MZ4)가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각 가입자용으로 예비 생성되며;
    제2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Ki MZ4)가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각 가입자에게 예비 전송되고;
    운영자가 실시해야만 하는 작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초기 통신문이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에 의해 형성되며;
    초기 통신문의 일차변환은 각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1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생성 데이터를 이용해 가입자-송신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수취인을 위해 실시되고, 그 결과 일차변환 정보에서 컨텐츠가 서로 다른 적어도 두 부분이 형성되며;
    일차변환 정보의 적어도 한 부분의 이차변환은 제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생성 데이터를 이용해 가입자-송신자가 실시하고, 그 결과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이 형성되며;
    일차변환 정보의 부호화된 부분은 가입자-송신자에 의해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로 전송되고;
    일차변환 정보의 나머지 부분들은 가입자-송신자에 의해 다른 통신채널을 통해 적어도 한명의 수취인에게 전송되며;
    일차변환 정보의 부호화된 부분의 이차 역변환은 송신자가 사용하는 제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생성 데이터를 이용해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가 실시하고, 그 결과 일차변환 정보의 일부분이 복구되며;
    일차변환 정보의 복구된 부분의 이차변환은 각각의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생성 데이터를 이용해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가 실시하고, 그 결과 일차변환 정보의 적어도 하나의 새로운 부호화된 부분이 형성되며;
    일차변환 정보의 각각의 새로운 부호화 부분은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수취인에게 전송되고;
    일차변환 정보의 나머지 부분과 일차변환 정보의 새로이 부호화된 부분을 가입자-송신자가 수신하며;
    일차변환 정보의 새로이 부호화된 부분의 역 이차변환은 제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생성 데이터를 이용해 가입자-수취인이 실시하고, 그 결과 일차변환 정보의 일부분이 복구되며;
    수신된 일차변환 정보의 복구부와 그 나머지 부분의 역 일차변환은 제1 타입의 규칙들과 각각의 부가정보의 도움으로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수취인에 의해 실시되고, 그 결과 운영자가 실시해야만 하는 작업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초기 통신문이 복구되며;
    작동요소에 대한 명령어를 포함한 통신문이 가입자에 의해 형성되고;
    작동요소에 대한 명령어를 포함한 통신문의 변환이 제2 타입의 규칙들과 예비생성 데이터를 이용해 가입자에 의해 실시되며, 그 결과 부호화된 통신문이 형성되고;
    각각의 부호화된 통신문이 가입자에 의해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로 전송되며;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는 부호화된 통신문을 수신하고;
    부호화된 통신문의 역 이차변환이 제2 타입의 규칙들의 도움으로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서 실시되며, 그 결과 작동요소에 대한 명령어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문이 복구되고;
    작동요소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가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각 통신문들로부터 선택되며;
    선택된 기준에 따라,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는 작동요소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라는 결정을 내리고 이 명령어를 작동요소에 전송하며;
    이 명령어가 운영자에 의해 수신되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6.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작동요소에 명령어를 전송하는 단계; 주어진 종류의 통신문들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일차변환 통신문의 특정심볼들과 초기 통신문의 심볼값들을 결합하는 제1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Ki MV2)를 예비생성하는 단계; 주어진 종류의 일차변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이차변환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과 초기 통신문의 심볼값들을 결합하는 제2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를 예비생성하는 단계; 초기 정보의 일차변환 단계; 및 일차변환 정보의 이차변환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인가 제어방법에 있어서:
    작동요소에 명령어를 전송하는 결정기준이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예비 저장되고;
    주어진 종류의 통신문들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일차변환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에 초기 통신문의 심볼값들을 전송하는 제1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개별 데이터(Ki MV2)가 가입자들중 하나에 의해 적어도 두명의 가입자로 구성된 그룹을 위해 예비 생성되며;
    제1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생성된 데이터(Ki MV2)가 상기 그룹의 가입자들에게 예비 전송되고;
    주어진 종류의 일차변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이차변환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과 일차변환 통신문의 심볼값들을 결합하는 제2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개별 데이터(Ki MZ4)가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각 가입자용으로 예비 생성되며;
    제2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Ki MZ4)가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각 가입자에게 예비 전송되고;
    운영자가 실시해야만 하는 작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초기 통신문이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에 의해 형성되며;
    초기 통신문의 일차변환은 각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가입자-송신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수취인을 위해 실시되고, 그 결과 적어도 하나의 코어정보부분(C)과 적어도 하나의 부가정보부분(F)이 형성되며;
    하나의 코어정보부분(C)의 적어도 한 부분의 이차변환은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가입자-송신자가 실시하고, 그 결과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이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이 가입자-송신자에 의해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로 전송되고;
    적어도 하나의 부가정보부분이 가입자-송신자에 의해 다른 통신채널을 통해 한명의 수취인에게 전송되며;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의 이차 역변환은 송신자가 사용하는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가 실시하고, 그 결과 적어도 하나의 코어정보부분(C)이 복구되며;
    적어도 하나의 복구된 코어정보부분의 이차변환은 각각의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가 실시하고, 그 결과 적어도 하나의 신규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이 형성되며;
    새로운 각각의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은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수취인에게 전송되고;
    새로운 각각의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과 각각의 부가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수취인이 수신하며;
    새로이 부호화된 코어정보부분의 역 이차변환은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적어도 하나의 가입자-수취인이 실시하고, 그 결과 코어정보부분이 복구되며;
    코어정보부분의 역 일차변환은 제1 타입의 규칙들과 각각의 부가정보의 도움으로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수취인에 의해 실시되고, 그 결과 운영자가 실시해야만 하는 작업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초기 통신문이 복구되며;
    작동요소에 대한 명령어를 포함한 통신문이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에 의해 형성되고;
    제2 타입의 규칙들에 의한 통신문의 이차변환이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에 의해 실시되고, 그 결과 부호화된 통신문이 형성되며;
    각각의 부호화된 통신문이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에 의해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로 전송되며;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는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된 통신문을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된 통신문의 역 이차변환이 제2 타입의 규칙들의 도움으로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서 실시되며, 그 결과 작동요소에 대한 명령어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문이 복구되고;
    각각의 통신문으로부터의 작동요소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가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선택되며;
    선택된 기준에 따라,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는 작동요소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라는 결정을 내리고 이 명령어를 작동요소에 전송하며;
    이 명령어가 운영자에 의해 수신되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7.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작동요소에 명령어를 전송하는 단계; 주어진 종류의 통신문들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일차변환 통신문의 특정심볼들과 초기 통신문의 심볼값들을 결합하는 제1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Ki MV2)를 예비생성하는 단계; 주어진 종류의 일차변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이차변환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과 초기 통신문의 심볼값들을 결합하는 제2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를 예비생성하는 단계; 초기 정보의 일차변환 단계; 및 일차변환 정보의 이차변환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인가 제어방법에 있어서:
    주어진 종류의 통신문들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일차 부호화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초기 통신문의 심볼값들을 변환하는 제1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개별 데이터(Ki MV2)가 적어도 두명의 가입자로 구성된 그룹을 위한 발기인인 가입자들중 한명에 의해 예비 생성되며;
    제1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생성된 데이터(Ki MV2)가 상기 그룹의 가입자들에게 예비 전송되고;
    일차변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이차변환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과 일차변환 통신문의 심볼값들을 결합하는 제2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개별 데이터(Ki MZ4)가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예비 생성되며;
    제2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Ki MZ4)가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의해 각 가입자에게 예비 전송되고;
    운영자가 실시해야만 하는 작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초기 통신문이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에 의해 형성되며;
    초기 통신문의 일차변환은 각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가입자-송신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수취인을 위해 실시되고, 그 결과 일차변환 통신문의 적어도 두 부분이 형성되며;
    일차변환 정보의 적어도 한 부분의 이차변환은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가입자-송신자가 실시하고, 그 결과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된 통신문이 형성되며;
    부호화된 통신문의 적어도 한 부분이 가입자-송신자에 의해 하나의 통신채널을 통해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로 전송되고;
    일차 부호화된 통신문의 나머지 부분들은 가입자-송신자에 의해 다른 통신채널을 통해 적어도 한명의 수취인에게 전송되며;
    송신자가 사용하는 제2 타입의 규칙들에 의한 부호화 통신문의 적어도 일부분의 최종 역변환을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가 실시하고, 그 결과 일차변환 통신문의 적어도 일부분이 복구되며;
    각각의 수취인에게 알려진 제2 타입의 규칙들에 의한 일차변환 통신문의 적어도 일부분의 이차변환을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가 실시하고, 그 결과 수취인용으로 부호화된 통신문의 적어도 한 부분이 형성되고;
    각각의 부호화된 통신문이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수취인에게 전송되고;
    일차변환 통신문의 각 부분과 각각의 부호화된 통신문을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수취인이 수신하며;
    각각의 부호화된 통신문의 역 이차변환은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수취인이 실시하고, 그 결과 일차변환 통신문의 각 부분들이 복구되며;
    일차변환 통신문의 각 부분들의 역 일차변환은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수취인에 의해 실시되고, 그 결과 운영자가 실시해야만 하는 작업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초기 통신문이 복구되며;
    작동요소에 대한 명령어를 포함한 통신문이 적어도 두명의 가입자 각자에 의해 형성되고;
    통신문의 이차변환이 제2 타입의 규칙들의 도움으로 적어도 두명의 가입자들 각자에 의해 실시되며, 그 결과 각각의 부호화된 통신문이 형성되고;
    각각의 부호화된 통신문이 적어도 두명의 가입자에 의해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로 전송되며;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는 적어도 두개의 부호화된 통신문을 수신하고;
    적어도 두개의 부호화된 통신문의 역 이차변환이 제2 타입의 규칙들의 도움으로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서 실시되며, 그 결과 작동요소에 대한 명령어를 포함한 적어도 두개의 통신문이 복구되고;
    작동요소에 대한 적어도 두개의 명령어가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각 통신문들로부터 선택되며;
    작동요소에 대한 적어도 두개의 명령어가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비교되고;
    소정 갯수의 명령어들이 소정 기준에 부합할 때, 각각의 명령어는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서 작동요소로 전송되고;
    이 명령어가 운영자에 의해 수신되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8.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작동요소에 명령어를 전송하는 단계; 주어진 종류의 통신문들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일차변환 통신문의 특정심볼들과 초기 통신문의 심볼값들을 결합하는 제1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Ki MV2)를 예비생성하는 단계; 주어진 종류의 일차변환 통신문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이차변환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과 초기 통신문의 심볼값들을 결합하는 제2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를 예비생성하는 단계; 초기 정보의 일차변환 단계; 및 일차변환 정보의 이차변환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인가 제어방법에 있어서:
    주어진 종류의 초기 통신문들의 심볼들의 전체 어레이를 위해 변환된 통신문의 특정 심볼들로 초기 통신문의 심볼값들을 변환하는 제1 타입의 규칙들에 대한 개별 데이터(Ki MV2)가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의해 각각의 가입자용으로 예비 생성되며;
    생성된 규칙들의 데이터가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각각의 가입자에게 예비 전송되고;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전송된 규칙들에 대한 데이터가 각각의 가입자에 의해 수신되며;
    작동요소에 명령어를 전송하는 결정기준이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예비 선택되고;
    작동요소에 대한 명령어를 포함한 통신문이 적어도 한명의 가입자에 의해 형성되며;
    이 통신문은 생성된 규칙들에 의해 적어도 한명의 가입자에 의해 전송되고, 그 결과 부호화된 통신문이 형성되며;
    부호화된 통신문은 적어도 한명의 가입자에 의해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로 전송되고;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된 통신문이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수신되며;
    각각의 규칙들에 의한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된 통신문의 역변환이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실시되고, 그 결과 작동요소에 대한 명령어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문이 복구되며;
    작동요소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가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에 의해 각각의 통신문들로부터 선택되고;
    예비선택된 기준에 따라,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는 명령어를 전송하라는 결정을 내리고 이 명령어를 작동요소에 전송하며;
    이 명령어가 작동요소에 의해 수신되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9.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장치(1), 통신데이터 처리센터(2) 및 데이터 송신환경(3)을 포함하는 비밀정보 저장시스템에 있어서:
    가입자장치들 각각은,
    - 입출력 유니트(4);
    - 송수신 유니트(송수신기)(5);
    - 복수의 제 1 타입의 변환규칙을 갖는 발생기(6);
    - 복수의 제 1 타입의 변환규칙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유니트(7);
    - 복수의 제 2 타입의 변환규칙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유니트(8);
    - 제 1 타입의 규칙의 이용하여 변환과 복구를 실행하기 위한 계산기(9);
    - 제 2 타입의 규칙의 이용하여 변환과 복구를 실행하기 위한 계산기(10);
    - 변환 인자들을 포함한 부가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장치(11); 및
    - 제 2 타입의 복수의 변환규칙들을 갖는 발생기(13);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저장 센터는,
    - 입출력 유니트(12);
    - 제2 타입의 복수의 변환규칙들을 갖는 발생기(13);
    - 제2 타입의 복수의 변환규칙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유니트(14);
    - 변환된 정보를 포함한 코어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유니트(15); 및
    -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변환 및 복구를 실행하는 계산기(16);를 포함하는 ;를 포함하며,
    발생기(6)의 출력은 메모리장치(7)의 제1 입력에 연결되고, 송수신 유니트(4)의 제1 입출력은 계산기(9)의 제1 입출력에 연결되며, 입출력 유니트(4)의 제1 출력은 메모리장치(8)의 입력에 연결되고, 입출력 유니트(4)의 제2 출력은 메모리장치(7)의 제2 입력에 연결되며, 계산기(9)의 제2 입출력은 계산기(10)의 제1 입출력에 연결되고, 계산기(9)의 제3 입출력은 메모리장치(11)의 입출력에 연결되며, 메모리장치(7)의 출력은 계산기(9)의 입력에 연결되고, 메모리장치(11)의 출력은 메모리장치(7)의 제3 입력에 연결되며, 발생기(13)의 출력은 메모리장치(8)의 입력에 연결되고, 계산기(10)의 제2 입출력은 송수신 유니트(5)의 제1 입출력에 연결되며, 송수신 유니트(5)의 제2 입출력은 데이터 송신환경(3)에 연결되고, 송수신 유니트(5)의 출력은 메모리장치(11)의 입력에 연결되며,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저장센터의 송수신 유니트(12)의 제1 입출력은 데이터 통신환경(3)에 연결되고, 송수신 윤니트(12)의 제2 입출력은 계산기(16)의 제1 입출력에 연결되며, 계산기(16)의 입력은 메모리장치(14)의 출력에 연결되고, 메모리장치(14)의 제1 입력은 계산기(16)의 출력에 연결되며, 메모리장치(15)의 입출력은 계산기(16)의 제2 입출력에 연결되고, 발생기(13)의 출력은 메모리장치(14)의 제2 입력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0. 적어도 두개의 가입자장치(17), 통신데이터 처리센터(18) 및 데이터 송신환경(3)을 포함하고 정보를 부호화, 전송, 수신 및 복호화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장치들 각각은,
    - 입출력 유니트(19);
    - 송수신 유니트(20);
    - 송수신 유니트(21);
    - 제1 타입의 복수의 변환 규칙들을 갖는 발생기(6);
    - 제2 타입의 복수의 변환 규칙들을 갖는 발생기(13);
    - 제1 타입의 복수의 변환규칙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장치(22);
    - 제2 타입의 복수의 변환규칙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장치(23);
    -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변환 및 복구를 수행하는 계산기(24);
    -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변환 및 복구를 수행하는 계산기(25); 및
    - 초기 통신문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장치(26);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데이터 처리센터는,
    - 송수신 유니트(27);
    - 제1 타입의 복수의 변환규칙들을 갖는 발생기(6);
    - 제2 타입의 복수의 변환규칙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장치(14); 및
    -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변환 및 복구작업을 수행하는 계산기(28);를 포함하며,
    발생기(6)의 출력은 메모리장치(22)의 제1 입력에 연결되고, 입출력 유니트(19)의 제1 입출력은 초기 통신문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장치(26)의 제1 입출력에 연결되며, 발생기(13)의 출력은 메모리장치(23)의 입력에 연결되고, 메모리장치(22)의 출력은 계산기(24)의 입력에 연결되며, 계산기(24)의 출력은 메모리장치(22)의 제2 입력에 연결되고, 계산기(24)의 제1 입출력은 초기 통신문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장치(26)의 제2 입출력에 연결되며, 계산기(24)의 제2 입출력은 계산기(25)의 제1 입출력에 연결되고, 계산기(24)의 제3 입출력은 송수신 유니트(21)의 제1 입출력에 연결되며, 메모리장치(8)의 제1 출력은 계산기(10)의 제1 입력에 연결되고, 계산기(25)의 입력은 메모리장치(23)의 출력에 연결되며, 계산기(25)의 제2 입출력은 송수신 유니트(20)의 제1 입출력에 연결되고, 송수신 유니트(20)의 제2 입출력은 데이터 송신환경(3)에 연결되며, 송수신 유니트(21)의 제2 입출력은 데이터 송신환경(3)에 연결되고, 통신데이터 처리센터의 송수신 유니트(27)의 제1 입출력은 데이터 송신환경(3)에 연결되며, 송수신 유니트(27)의 제2 입출력은 계산기(28)의 제1 입출력에 연결되고, 계산기(28)의 입력은 메모리장치(14)의 출력에 연결되고, 메모리장치(14)의 입력은 계산기(19)의 출력에 연결되며, 발생기(6)의 출력은 메모리장치(14)의 제2 입력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1. 적어도 두개의 가입자장치(17),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29) 및 데이터 통신환경(3)을 구비하고 정보를 부호화, 전송, 수신 및 복호화하고 안전한 원격제어를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작동기(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입자장치들 각각은,
    - 입출력 유니트(19);
    - 송수신 유니트(20);
    - 송수신 유니트(21);
    - 제1 타입의 다수의 변환규칙들을 갖는 발생기(6);
    - 제2 타입의 다수의 변환규칙들을 갖는 발생기(13);
    - 제1 타입의 복수의 변환규칙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장치(22);
    - 제2 타입의 복수의 변환규칙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장치(23);
    - 제1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변환 및 복구를 수행하는 계산기(24);
    -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변환 및 복구를 수행하는 계산기(25);
    - 초기 통신문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장치(26); 및
    - 정류기(31);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데이터 처리센터는,
    - 송수신 유니트(12);
    - 제2 타입의 복수의 변환규칙들을 갖는 발생기(13);
    - 제2 타입의 복수의 변환규칙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장치(14);
    - 복구된 명령어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장치(31);
    - 제2 타입의 규칙들을 이용해 변환 및 복구 작업들을 수행하는 계산기(32); 및
    - 비교기(33);를 포함하며,
    이 경우, 발생기(6)의 출력은 메모리장치(22)의 제1 입력에 연결되고, 메모리장치(22)의 제2 입력은 계산기(24)의 출력에 연결되며, 메모리장치(22)의 출력은 계산기(24)의 입력에 연결되고, 입출력 유니트(19)의 입출력은 메모리장치(26)의제1 입출력에 연결되며, 메모리장치(26)의 제2 입출력은 정류기(31)의 제1 입출력에 연결되고, 정류기(31)의 제2 입출력은 계산기(24)의 제1 입출력에 연결되며, 정류기(31)의 제3 입출력은 계산기(25)의 제1 입출력에 연결되고, 계산기(24)의 제2 입출력은 송수신 유니트(21)의 제1 입출력에 연결되며, 송수신 유니트(21)의 제2 입출력은 데이터 송신환경(3)에 연결되고, 계산기(25)의 제2 입출력은 송수신 유니트(20)의 제1 입출력에 연결되며, 송수신 유니트(20)의 제2 입출력은 데이터 송신환경(3)에 연결되고, 계산기(25)의 제1 입력은 메모리장치(23)의 출력에 연결되며, 메모리장치(23)의 입력은 발생기(13)의 출력에 연결되고, 통신데이터 처리 및 제어센터의 송수신 유니트(12)의 제1 입출력은 데이터 송신환경에 연결되며, 송수신 유니트(12)의 제2 입출력은 계산기(32)의 제1 입출력에 연결되고, 계산기(32)의 제2 출력은 메모리장치(31)의 입력에 연결되며, 발생기(13)의 출력은 메모리장치(14)의 제1 입력에 연결되고, 메모리장치(14)의 제2 입력은 계산기(32)의 출력에 연결되며, 메모리장치(14)의 출력은 계산기(32)의 입력에 연결되고, 메모리장치(31)의 두개의 출력은 비교기(33)의 두개의 입력에 연결되며, 비교기(33)의 출력은 작동기(30)의 입력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027004801A 1999-10-15 1999-10-15 정보의 부호화, 복호화, 전송, 저장 및 제어 방법과 이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시스템 KR1006992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BY1999/000008 WO2001030017A1 (en) 1999-10-15 1999-10-15 Methods for encoding, decoding, transferring, storage and control of information, systems for carrying out the metho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1821A true KR20020041821A (ko) 2002-06-03
KR100699276B1 KR100699276B1 (ko) 2007-03-27

Family

ID=4083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4801A KR100699276B1 (ko) 1999-10-15 1999-10-15 정보의 부호화, 복호화, 전송, 저장 및 제어 방법과 이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222771A1 (ko)
KR (1) KR100699276B1 (ko)
AU (1) AU1020800A (ko)
EA (1) EA004904B1 (ko)
WO (1) WO2001030017A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63297B1 (en) * 1994-05-31 2004-07-28 Litton Systems, Inc. Nonlinear dynamic substitution devices and methods for block substitutions employing coset decompositions and direct geometric gen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1020800A (en) 2001-04-30
EP1222771A1 (en) 2002-07-17
EA200200467A1 (ru) 2003-02-27
KR100699276B1 (ko) 2007-03-27
WO2001030017A1 (en) 2001-04-26
EA004904B1 (ru) 2004-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7062B1 (ko) 정보 암호화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현하는 장치
AU2008327506B2 (en) Method and system for encryption of data
US5351294A (en) Limited broadcast system
US20070028088A1 (en) Polymorphic encryption method and system
JPH1075240A (ja) データ送信を保護する方法およびデータを暗号化または解読化する装置
CN1211976C (zh) 加密系统中协商弱密钥的方法
WO2006030447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computational transformation
CN1649295A (zh) 集群系统中端对端加解密的装置及其方法
NZ240019A (en) Public key encrypted communication with non-multiplicative cipher
US6301361B1 (en) Encoding and decoding information using randomization with an alphabet of high dimensionality
CN115119200B (zh) 一种用于5g通信环境的信息传递方法
CN101882991B (zh) 基于分组密码算法的通讯数据流加密方法
US7606363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xt switching of a cryptographic engine
KR100699276B1 (ko) 정보의 부호화, 복호화, 전송, 저장 및 제어 방법과 이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시스템
US20030152233A1 (en) Method of encryption
KR102304831B1 (ko) 순열그룹 기반의 암호화 기술을 적용한 암호화시스템 및 방법
CN113726512A (zh) 密钥生成和分发方法、密钥生成装置、密钥管理系统
CN114765546A (zh) 端到端硬加密方法、系统、加密设备、密钥管理服务器
KR20000072516A (ko)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양단간 데이터 암호화/복호화방법 및 장치
Krishna et al. Pipeline Data Compression and Encryption Techniques in E-Learning environment.
CN114500006B (zh) 查询请求的处理方法及装置
CN102143486A (zh) 一种采用存储卡进行手机加密通信的实现方式
CN106686224B (zh) 多个手机号聚合方法及系统
Ayane et al. Message Authentication in wireless Networks using HMAC algorithm
KR20030008453A (ko) Cdma네트워크 상의 양방향 단문메시지 서비스에서사용자 패스워드를 이용한 상호인증 및 보안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