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0289A - A button structure of video display appliance - Google Patents

A button structure of video display appli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0289A
KR20020040289A KR1020000070304A KR20000070304A KR20020040289A KR 20020040289 A KR20020040289 A KR 20020040289A KR 1020000070304 A KR1020000070304 A KR 1020000070304A KR 20000070304 A KR20000070304 A KR 20000070304A KR 20020040289 A KR20020040289 A KR 20020040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display device
video display
button structure
positioning projec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03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문홍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70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0289A/en
Publication of KR20020040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0289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bstract

PURPOSE: A button structure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is provided to effectively control the image display apparatus without using any spring. CONSTITUTION: A button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comprises a square boundary frame(160), four elastic ribs(110), each for forming a closed loop inside the boundary frame(160), a circular inner frame(170) connected to the elastic ribs(110), a front-to-rear location setting protrusion(120), four front-to-rear and right-to-left location setting protrusions(130), and four contact protrusion bosses(140). The boundary frame(160) is fixed to a cabinet by using mounting holes at its corners. The elastic ribs(110) generate restoring force when the button is pressed. The front-to-rear location setting protrusion(120) measures a distance between the button(100) and a PCB. The front-to-rear and right-to-left location setting protrusion(130) sets the location of the button accurately. The contact protrusion bosses(140) match contact protrusions of the PCB to perform accurate control.

Description

영상 표시 기기의 버튼 구조{A BUTTON STRUCTURE OF VIDEO DISPLAY APPLIANCE}Button structure of video display device {A BUTTON STRUCTURE OF VIDEO DISPLAY APPLIANCE}

본 발명은 영상 표시 기기의 버튼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영상 표시 기기의 제어를 담당하는 컨트롤 섹션에 있어서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개의 부품의 연동 관계를 이용하는 기존의 버튼 구조를 개량하여 자체적인 구성으로써 동일한 기능을 실현함은 물론, 부가적으로 이를 통해 디자인상의 미려함도 얻을 수 있는 구조의 버튼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tton structure of a video display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control section for controlling a video display device, by improving an existing button structure using an interlocking relationship between a plurality of different types of component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tton structure having a structure that not only realizes the same function but also additionally obtains design beauty.

종래, 이와 같은 영상 표시 기기의 버튼 구조는 버튼 구조의 접촉 단자를 컨트롤 섹션의 인쇄 회로 기판에 접촉시킴으로써 영상 표시 기기의 전반적인 제어를 행하였다. 이러한 영상 표시 기기의 버튼 구조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따르면, 그러나, 이러한 버튼 구조는 래치(5)에 의해 고정된 버튼(1), 캐비넷(2), 스프링(3) 및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4)을 구비하며, 비작동 상태에서 래치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버튼은 누름 동작과 함께 버튼의 단자가 인쇄 회로 기판에 접촉되면서 영상 표시 기기의 제어를 행하고 다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원 위치로 복귀되는 작동 방식을 취한다. 이러한 버튼 구조는 버튼의 작동 및 해제를 위해 스프링이란 구성 요소를 필수 구성으로 채택할 수 밖에 없었다. 이는 버튼 구조의 단순화와 원가 절감에 장애가 되고, 조립시, 스프링을 정위치에 유지하여 조립하여야 하므로 작업자가 조립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the button structure of such a video display device has generally controlled the video display device by bringing the contact terminal of the button structure into contact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of the control section. The button structure of the video display device is shown in FIG. 1. According to FIG. 1, however, this button structure has a button 1, a cabinet 2, a spring 3 and a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4 secured by a latch 5 and latched in an inoperative state. The button fixed by means of the pressing operation and the terminal of the button in contact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control the video display device and takes the operation method of returning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spring force of the spring. This button structure was forced to adopt a spring component as an essential component for the operation and release of the button. This hinders the simplification of the button structure and the cost reduction, and the assembly has to be carried out with careful attention to the assembly, since the spring must be assembled in the correct position.

또한, 이와는 달리 스프링을 배제한 구성의 영상 표시 기기의 버튼 구조도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버튼 구조는 도 2에 도시되고 있다. 도 2에 따르면, 이러한 버튼 구조는 대략 직사각형의 둘레 테두리와 둘레 테두리에서 내부로 폐고리를 형성하는 제1 탄성 리브(15a)를 갖는 제1 버튼(11a), 대략 직사각형 둘레 테두리와 그 테두리 사이를 연결하는 제2 탄성 리브(15b)를 갖는 제2 버튼(11b) 및 제1 버튼과 제2 버튼이 고정된 캐비넷(12)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버튼의 일부 테두리는 제2 버튼의 테두리에 상호 겹쳐져서 고정되어, 제1 버튼의 작동시, 제1 탄성 리브의 탄성은 제1 버튼이 제2 버튼에 일부 고정된 것에 기인하여 제2 탄성 리브로 전달되고, 그러한 탄성력은 상기 제1 및 제2 버튼이 캐비넷에 고정된 것에 기인하여 역으로 반발되는 것에 의해 버튼의 작동을 조절하는 방식을 취한다. 이러한 버튼 구조는 비록 스프링 요소를 배제하는 효과가 있지만 오히려 2개의 버튼과 그 각각의 탄성 리브를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하여야만 전술한 효과를 달성할수 있으므로, 그 구성과 제조가 오히려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a button structure of a video display device having a spring-free configuration has been proposed. This button structure is shown in FIG. According to FIG. 2, this button structure is provided between a first rectangular button 11a having an approximately rectangular circumferential edge and a first elastic rib 15a forming a closed loop from the circumferential edge to an inside thereof, between the substantially rectangular circumferential edge and the edge thereof. And a second button 11b having a second elastic rib 15b for connecting, and a cabinet 12 in which the first button and the second button are fixed, and a portion of the first button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second button. Overlapping and fixed to each other, in operation of the first button, the elasticity of the first elastic rib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elastic rib due to the first button being partially fixed to the second button, and such elastic force is transmitted to the first and second It takes a way to regulate the operation of the button by being counter-repelled due to the button being fixed to the cabinet. Although such a button structure has the effect of eliminating the spring element, the above-mentioned effect can be achieved only by organically connecting two buttons and their respective elastic ribs, and thus, the configuration and manufacturing thereof are rather complicat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단점을 해소하고,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도 영상 표시 기기의 제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일체형 구조의 영상 표시 기기의 버튼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and to provide a button structure of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an integrated structure that can effectively control the image display device without using a spring.

도 1은 본 발명의 종래 기술의 버튼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은 스프링 요소를 구비하고 있는 버튼 구조.1 shows a button structure of the prior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 shows a button structure with a spring element.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종래 기술의 버튼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과는 달리 스프링 요소를 배제한 구성의 버튼 구조.Figure 2 is a view showing another prior art butt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button structure of the configuration excluding the spring element, unlike FIG.

도 3은 본 발명의 영상 표시 기기의 버튼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로, 선A-A와, 선B-B를 따라 취한 단면도를 포함하는 도면.3 is a plan view showing the button structure of the video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A-A and line B-B;

도 4는 본 발명의 버튼 구조의 평면적 프레임 구조와 이 구조에서 선C-C, 선D-D를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planar frame structure of the butt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s C-C and D-D in this structur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본 발명의 버튼100: button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탄성 리브110: elastic rib

120: 전후 위치 설정 돌기120: front and rear positioning projection

130: 전후 좌우 위치 설정 돌기130: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positioning

140: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의 접촉 돌기용 보스140: boss for contact projection on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160: 둘레 프레임160: circumference frame

170: 내부 프레임170: inner frame

200: 캐비넷200: cabinet

400: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400: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410: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의 접촉 돌기410: contact proj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영상 표시 기기의 버튼 구조는 탄성 리브, 전후 위치 설정용 돌기, 전후 좌우 위치 설정용 돌기 및 보스를 갖는 버튼과, 버튼을 장착하기 위한 캐비넷과, 그리고 접촉 돌기를 갖는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을 구비하며, 버튼의 작동시, 전후 위치 설정용 돌기에 의해 1차적으로 전후 위치가 설정되고, 전후 좌우 위치 설정용 돌기에 의해 2차적으로 버튼의 상하 좌우 위치가 결정되며, 그 위치에서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의 접촉 돌기가 버튼의 보스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정확한 제어를 행하고, 탄성 리브의 반발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button structure of the video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tton having elastic ribs, front and rear positioning projections, front and rear positioning projections and bosses, a cabinet for mounting the buttons, and a contact projection. And a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 control panel, and at the time of operation of the button,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are primarily set by the front and rear positioning projections, and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buttons are secondarily determined by the front and rear positioning projections. And the contact proj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is inserted into the boss of the button at the position, and the function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repulsive force of the elastic rib.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버튼은 대략 정방형의 테두리와 그 내부의 원형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각 테두리 모서리에는 모서리 내측으로 폐루프를 형성하는 선형의 탄성 리브가 구비되며, 각 탄성 리브와 원형의 프레임은 상호 연결되어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tton is composed of a substantially square border and a circular frame therein, each of the edge edge is provided with a linear elastic rib forming a closed loop inside the corner, each elastic rib and the circular The frames of are interconnect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 리브, 전후 위치 설정용 돌기, 전후 좌우 위치 설정용 돌기 및 보스는 일체형으로 구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ribs, the front and rear positioning projections, the front and rear positioning projections and the boss are integrally form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후 좌우 위치 설정용 돌기 및 보스는 각각 4개로 구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positioning projections and bosses are each composed of fou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영상 표시 기기의 버튼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button structure of the video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버튼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은 스프링 요소를 구비하고 있는 버튼 구조이고, 도 2는 스프링 요소를 배제한 구성의 버튼 구조이다.1 and 2 show a button structure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FIG. 1 is a button structure with a spring element, and FIG. 2 is a button structure without the spring element.

도 3은 본 발명의 영상 표시 기기의 버튼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로, 선A-A와, 선B-B를 따라 취한 단면도를 포함한다. 도 3에 따르면, 본 발명의 영상 표시 기기의 버튼 구조는 버튼(100), 캐비넷(200) 및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400)을 포함한다. 캐비넷(200)은 버튼(100)을 장착하기 위한 베이스로서, 원형의 버튼이 장착되어 동평면을 이룬다. 장착시, 버튼(100)의 일단은 영상 표시 기기의 제어를 위한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400)에 인접하며, 버튼의 누름 작동에 의해 인쇄 회로 기판에 접촉되어 영상 표시 기기의 제어를 행한다. 인쇄 회로 기판(400)은 버튼측으로 접촉 돌기(410)를 구비하며, 이 접촉 돌기는 버튼 작동시, 버튼의 일부와 상호 협력하여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3 is a plan view showing the button structure of the video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and line B-B. According to FIG. 3, the button structure of the video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tton 100, a cabinet 200, and a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400. The cabinet 200 is a base for mounting the button 100, and a circular button is mounted to form a coplanar surface. When mounted, one end of the button 100 is adjacent to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400 for controlling the video display device and is in contact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by pressing a button to control the video display device. The printed circuit board 400 includes a contact protrusion 410 on the button side, and the contact protrusion performs control in cooperation with a part of the button when the button is operated.

도 4는 버튼(100)의 평면적 프레임 구조와 이 구조에서 선C-C, 선D-D를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면에 따르면, 버튼(100)은 대략 정방형의 둘레 프레임(160)과 그 각각의 둘레 프레임의 내측으로 폐루프를 형성하는 4개의 선형의 탄성 리브(110)와 그리고 이 탄성 리브와 연결된 원형의 내부 프레임(170)을 구비한다. 상기 둘레 프레임(160)은 각 모서리에 설치용 구멍을 구비하며, 이 구멍을 이용하여 캐비넷에 고정된다. 또한, 버튼(100)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선C-C, 선D-D를 따른 단면도에서, 버튼(100)은 버튼의 누름 동작에 대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 리브(110), 버튼을 누르면 인쇄 회로 기판에 접촉하게 되어 양자간의 전후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내부 프레임(170)의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된 전후 위치설정 돌기(120), 내부 프레임(170)의 둘레를 따라 대향되게 위치되어, 버튼의 누름 동작시 버튼의 전후좌우 위치가 정확하게 설정되도록 하고 그에 따라 버튼의 잘못된 위치 선정에 따른 오작동을 방지하는 4개의 전후좌우 위치 설정 돌기(130) 및 버튼의 누름 동작시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의 접촉 돌기와 맞물려 정확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내부 프레임(17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 4개의 접촉 돌기용 보스(140)를 구비한다. 상기 4개의 전후좌우 위치 설정 돌기(130)는 상호 90°각도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4개의 접촉 돌기용 보스(140)도 역시 상호 90°각도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후좌우 위치 설정 돌기(130)와 접촉 돌기용 보스(140)는 서로 교대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4 shows a planar frame structure of the button 100 and cross-sectional views along lines C-C and D-D in this structure. According to this figure, the button 100 has an approximately square circumferential frame 160 and four linear elastic ribs 110 forming a closed loop inwardly of each of the circumferential frames and of a circular connection with the elastic ribs. An inner frame 170 is provided. The circumferential frame 160 has an installation hole at each corner, and is fixed to the cabinet by using the hole. In addition, in the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CC and the line DD showing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button 100, the button 100 is in contact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when the button is pressed, an elastic rib 110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for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button. The front and rear positioning projections 120, which are vertically formed at the center of the inner frame 170 so as to measure the front and rear distance therebetween, ar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frame 170, when the button is pressed. Four front, rear, left and right positioning projections 130 to prevent the malfunction caused by incorrect positioning of the buttons and the contact projections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when the button is pressed to perform precise control Four contact protrusion bosses 140 are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frame 170. The four front, rear, left, and right positioning protrusions 130 are preferably arranged at 90 ° to each other. The four contact protrusion bosses 140 are also preferably arranged at an angle of 90 °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positioning projection 130 and the contact protrusion boss 140 is preferably arranged alternately with each other.

이제 버튼의 누름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버튼의 작동시, 버튼(100)은 전후 위치 설정용 돌기(120)에 의해 1차적으로 전후 위치가 설정되고, 전후 좌우 위치 설정용 돌기(130)에 의해 2차적으로 버튼의 상하 좌우 위치가 결정된다. 이때, 전후 좌우 위치 설정용 돌기(130)는 버튼의 원형의 내부 프레임(170)을 따라 90°각도로 4개가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 버튼 구조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되어 전후 좌우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설정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버튼의 누름 동작을 통해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의 접촉 돌기가 버튼의 보스에 삽입되어, 정확한 제어를 행하게 되며, 탄성 리브의 반발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어진다.Now let's take a look at the button press operation. When the button is operated, the button 100 is primarily set to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by the front and rear position positioning protrusions 120, and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buttons are secondarily determined by the front and rear right and left position setting protrusions 130. do. At this time, since the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positioning projections 130 are arranged at four angles of 90 ° along the circular inner frame 170 of the button, the entire button structure is stably supported, so that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positions are stably set. do. At this position, the contact projec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is inserted into the boss of the button through the push operation of the button, thereby performing accurate control, and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repulsive force of the elastic rib.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도 영상 표시 기기의 제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일체형 구조의 영상 표시 기기의 버튼 구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utton structure of a video display device having an integrated structure that can effectively control the video display device without using a spring.

Claims (5)

영상 표시 기기의 제어를 위한 컨트롤 섹션의 버튼 구조에 있어서, 탄성 리브, 전후 위치 설정용 돌기, 전후 좌우 위치 설정용 돌기 및 보스를 갖는 버튼과, 버튼을 장착하기 위한 캐비넷과, 그리고 접촉 돌기를 갖는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을 구비하며, 버튼의 작동시, 전후 위치 설정용 돌기에 의해 1차적으로 전후 위치가 설정되고, 전후 좌우 위치 설정용 돌기에 의해 2차적으로 버튼의 상하 좌우 위치가 결정되며, 그 위치에서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의 접촉 돌기가 버튼의 보스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정확한 제어를 행하고, 탄성 리브의 반발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컨트롤 섹션의 버튼 구조.In the button structure of the control section for controlling the video display device, the button has elastic ribs, front and rear positioning projections, front and rear positioning projections and bosses, a cabinet for mounting the buttons, and a contact projection. A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is provided, and at the time of operation of the button,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are primarily set by the front and rear positioning projections, and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buttons are determined secondly by the front and rear right and left positioning projections. A button structure of a control section of a video display device, wherein the control projection circuit board at the position is precisely controll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boss of the button and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repulsive force of the elastic rib.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대략 정방형의 테두리와 그 내부의 원형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각 테두리 모서리에는 모서리 내측으로 폐루프를 형성하는 선형의 탄성 리브가 구비되며, 각 탄성 리브와 원형의 프레임은 상호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컨트롤 섹션의 버튼 구조.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tton is composed of a substantially square border and a circular frame therein, each of the edge edge is provided with a linear elastic rib forming a closed loop inside the corner, each elastic rib and the circular frame Button structure of the control section of the video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terconne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리브, 전후 위치 설정용 돌기, 전후 좌우 위치 설정용 돌기 및 보스는 일체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컨트롤 섹션의 버튼 구조.The button structure of a control section of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astic ribs, the front and rear positioning projections, the front and rear positioning projections, and the boss are integrally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좌우 위치 설정용 돌기 및 보스는 각각 4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컨트롤 섹션의 버튼 구조.The button structure of a control section of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positioning projections and the bosses are respectively composed of fou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 4개의 전후 좌우 위치 설정용 돌기와 보스는 각각 상호 90°각도로 배열되며, 상기 전후 좌우 위치 설정용 돌기와 보스는 서로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컨트롤 섹션의 버튼 구조.5. The control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four front, rear, left and right positioning protrusions and the boss are arranged at 90 ° angles to each other, and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positioning protrusions and the boss are alternately arranged. The button structure of the section.
KR1020000070304A 2000-11-24 2000-11-24 A button structure of video display appliance KR2002004028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0304A KR20020040289A (en) 2000-11-24 2000-11-24 A button structure of video display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0304A KR20020040289A (en) 2000-11-24 2000-11-24 A button structure of video display applia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0289A true KR20020040289A (en) 2002-05-30

Family

ID=19701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0304A KR20020040289A (en) 2000-11-24 2000-11-24 A button structure of video display applia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028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68712A1 (en) Display assembly, display structure, and electrical appliance
KR20020040289A (en) A button structure of video display appliance
KR100786157B1 (en) Button apparatus and mobile device having the same
JP2003180514A (en) Menu display device
JP2005191029A (en) Operation button and electrical apparatus having the same
JP7465707B2 (en) Button operation device
KR0123690Y1 (en) Button
JP4931737B2 (en) Display device
JP4383925B2 (en) Display unit for gaming machines
JP2522782Y2 (en) Front structure of control equipment
KR101108951B1 (en) remote monitor in electric home appliances
KR200234990Y1 (en) Structure of push button for elevator
KR200228185Y1 (en) Function knob of electronic products
JPH1031930A (en) Key top fixing structure
JP2005243399A (en) Operation button and electrical equipment having the operation button
KR100533263B1 (en) Controller apparatus for microwave oven
KR200209455Y1 (en) Switch assembly of television
KR100797023B1 (en) Top knob apparatus of an electronic appliance
KR200319493Y1 (en) All style button box of a television
KR200295991Y1 (en) Monitor switch
KR20000009190U (en) Tact Switch Operation Structure of Monitor
KR20050073736A (en) Controller assembly for video display appliance
KR19990028850U (en) Tact switch operation button on the monitor
KR19980018874U (en) Button Guide Structure of Monitor
JP2003140805A (en) Control panel button structure for electronic equipm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