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8844A - 부루세라 RB51균의 8kDa 항원 및 이것의 정제방법,그 항원을 이용하여 부루세라 RB51의 항체를 검출하는방법 - Google Patents

부루세라 RB51균의 8kDa 항원 및 이것의 정제방법,그 항원을 이용하여 부루세라 RB51의 항체를 검출하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8844A
KR20020038844A KR1020000068693A KR20000068693A KR20020038844A KR 20020038844 A KR20020038844 A KR 20020038844A KR 1020000068693 A KR1020000068693 A KR 1020000068693A KR 20000068693 A KR20000068693 A KR 20000068693A KR 20020038844 A KR20020038844 A KR 20020038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gen
8kda
serum
brucella abortu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8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4137B1 (ko
Inventor
허문
조성근
조동희
정병열
Original Assignee
이재진
대한민국(관리부서 : 농림부 국립수의과학검역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진, 대한민국(관리부서 : 농림부 국립수의과학검역원) filed Critical 이재진
Priority to KR10-2000-0068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4137B1/ko
Publication of KR20020038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8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4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41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19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bacteria
    • C07K14/23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bacteria from Brucella (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00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 C07K1/14Extraction; Separation; Purification
    • C07K1/145Extraction; Separation; Purification by extraction or solubil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00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 C07K1/14Extraction; Separation; Purification
    • C07K1/16Extraction; Separation; Purification by chromatograph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36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immune complex formed in liquid pha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루세라(Brucella abortus) RB51균의 표면에 존재하며, 면역원성이 우수하고, 특이성이 우수한 8kDa의 항원, 이 항원의 정제 방법 및 이 항원을 이용하여 부루세라 RB51균의 중화항체를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8kDa의 항원은 조기에 체액성 면역반응을 유발시키면서 면역원성이 우수하며, 이를 토대로 확립된 분자량 8kDa의 항원을 정제하는 기법은 매우 단순하고 재현성이 우수하다. 또한 정제된 항원을 이용한 본 발명의 부루세라 RB51균의 항체를 검출하는 방법은 특이 정제항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항원에 의한 비특이 반응을 최대한 줄일 수 있으며, 신속하고 간편하게 다량의 혈청을 쉽게 검색할 수 있어 RB51 백신을 접종하는 국가에서는 RB51 백신의 효용성을 제고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자연감염에 의한 부루세라 항체와 대별되기 때문에 부루세라 근절을 위해 정책적 유용성이 매우 높아서 부루세라병을 예방하고 조기에 근절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부루세라 RB51균의 8kDa 항원 및 이것의 정제방법, 그 항원을 이용하여 부루세라 RB51의 항체를 검출하는 방법{8kDa antigen of Brucella abortus strain RB51, a method for purification thereof and a method for detecting antibody utilizing antigen of Brucella abortus strain RB51}
본 발명은 부루세라(Brucella abortus) RB51균의 표면에 존재하며, 면역원성이 우수하고, 특이성이 우수한 8kDa의 항원, 이 항원의 정제 방법 및 이 항원을 이용하여 부루세라 RB51균의 중화항체를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부루세라병은 가축뿐만 아니라 사람에도 감염되는 인수공통질병으로서 소를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숙주동물을 갖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질병이다. 이 병은 잠복기간이 3주일 내지 3개월로 비교적 긴 만성전염병으로 오염된 사료, 물 등을 통한 경구, 유두나 창상부위 등을 통해 체내에 침입하면 인접 임파절에 이르러 탐식세포 내에서 증식하고 임파절에 생존하던 균이 임신 4-6개월령 소의 태반에서 분비하는 호르몬(erythritol)에 의하여 혈류를 통해 태반에 도달하여 증식하며, 그 결과 임신 6-8개월에 전구증상 없이 유사산을 일으켜 양축농가에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한 질병으로서, 탐식세포 내 증식하는 부루세라 균(Brucella abortus)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방법은 없다.
최근들어 미국 등 외국에서는 B. abortus strain 2308의 rough mutant인 lipopolysaccharide O-side chains이 결손된 B. abortus RB51 균주를 이용한 생균백신을 개발하여 부루세라병 예방에 사용하고 있다.
B. abortus RB51은 리팜핀(rifamoin)에 내성을 가지고 있으며, urease(+), glucose(+)이며 erythritol 존재시 잘 자라고 배양시 CO2를 요구하지 않는 성상을 가지고 있는 균주로서, 자연 감염된 부루세라균의 항체를 검색하는 우유윤환반응(Milk ring test), 로즈벵갈 평판응집반응(Rose Bengal plate test), 표준평판응집반응(standard plate agglutination test), 표준시험관응집반응(standard tube agglutination test) 및 보체결합반응(complement fixation test)에서는 B. abortus RB51의 항체를 검색할 수 없어, 감염우와의 감별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현재 RB51의 항체가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은 균체 항원을 이용한 dot-blot assay법이 유일한 방법[Olsen SC et al.,J Vet Diagn Invest, 9: 363-367, 1997; Olsen SC et al.Res Vet Sci, 66:101-105, 1999; Palmer MV et al.,Am J Vet Res. 58(5): 472-477, 1997]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검사법은 ELISA법에 비해 사용되는 니트로셀룰로오스(NC) 막의 종류, 콘쥬게이트(conjugate)의 농도, 기질의 종류 및 반응시간에 따라 차이를 보여 진단방법의 설정이 어렵고 실험실간의 결과가 차이를 보이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균체를 이용한 dot-blot assay법이 갖고 있는 항원에 의한 비특이 반응을 최대한 줄일 수 있으며, 신속하고 간편하게 다량의 혈청을 쉽게 검색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 부루세라 RB51균의 표면에 존재하는 8kDa 항원이 면역원성이 우수하며, 특이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루세라 RB51균의 표면에 존재하며, 면역원성이 우수하고, 특이성이 우수한 8kDa의 항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항원을 정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항원을 이용하여 부루세라 RB51균의 중화항체를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부루세라 RB51 예방약 접종 후, 주기적으로 6개월간 채혈한 혈청을 이용하여 웨스턴 블롯(Western blot)을 한 결과이다.
레인 M : 분자량 마커, 레인 1 : 예방약 접종 전 채혈한 혈청, 레인 2 : 예방약 접종 26일 후 채혈한 혈청, 레인 3 : 예방약 접종 42일 후 채혈한 혈청, 레인 4 : 예방약 접종 55일 후 채혈한 혈청, 레인 5 : 예방약 접종 82일 후 채혈한 혈청, 레인 6 : 예방약 접종 96일 후 채혈한 혈청, 레인 7 : 예방약 접종 120일 후 채혈한 혈청, 레인 8 : 예방약 접종 134일 후 채혈한 혈청, 레인 9 : 예방약 접종 148일 후 채혈한 혈청, 레인 10 : 예방약 접종 162일 후 채혈한 혈청, 레인 11 : 예방약 접종 182일 후 채혈한 혈청
도 2는 웨스턴 블롯에 의해 RB51 예방약 접종 후 주기적으로 6개월간 채혈한 혈청을 이용하여 여러 부루세라 관련 혈청에 대한 8kDa 항원의 반응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레인 M : 분자량, 레인 1, 2, 3 : STAT법과 dot-blot assay법에서 모두 양성을 보인 혈청, 레인 4, 5, 6 : STAT법에서는 양성, dot-blot assay법에서는 모두 음성을 보인 혈청, 레인 7, 8, 9 : STAT법에서는 음성, dot-blot assay법에서는 양성을 보인 혈청, 레인 10, 11, 12 : STAT법과 dot-blot assay법에서 모두 음성을 보인 혈청
도 3은 사르코신 추출물의 슈퍼로스 12 HR 10/30 FPLC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4는 슈퍼로스 12 HR 10/30으로부터의 8kDa 항원을 포함하는 분획의 세파크릴 S-100 FPLC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5는 각각의 정제 과정을 통한 부루세라 RB51 8kDa 항원의 15% SDS-PAGE(A), silver stain과 웨스턴 블롯으로 분석(B)한 결과이다.
레인 M : 분자량 마커(시그마사), 레인 1 : 사르코신 추출물, 레인 2 : 슈퍼로스 12 컬럼 분획, 레인 3 : 세파크릴 S-100 컬럼 분획
도 6은 부루세라 RB51의 양성혈청 및 음성혈청을 판정하기 위한 E value의 ROC(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커브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 체내에서 면역원성이 높고,부루세라(Brucella abortus) RB51균으로부터 분리된 8kDa 항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간편하면서도 재현성 있게 소 부루세라(Brucella abortus) RB51균으로부터 8kDa의 항원을 정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제방법은 (1) 소 부루세라(Brucella abortus) RB51균에 사르코신(sarcosine)을 처리하여 균체 표면의 항원을 추출하는 단계; (2) 황산암모늄을 사용하여 상기 추출물을 농축시키는 단계; (3) 농축된 추출물을 트리톤 X-100에 용해시킨 후, 슈퍼로스(Superose) 12 HR 10/30 컬럼을 통과시키는 단계; 및 (4) 상기 컬럼을 통과한 분획을 다시 세파크릴(Sephacryl) S-100 컬럼을 통과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정제된 항원을 이용하여 부루세라 RB51균의 항체를 진단하는 방법은 종래 dot-blot assay법이 갖는 항원에 대한 비특이 반응을 최대한 줄일 수 있어 신속하고 간편하게 다량의 혈청을 쉽게 검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루세라 RB51균의 항체를 검출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1) 8kDa의 항원을 항원 흡착용 코팅완충용액을 사용하여 최적 항원 희석 농도로 희석한 후, 면역분석용 플레이트에 항원을 흡착시키는 단계; (2) 항원이 흡착된 플레이트를 차단완충용액(Blocking buffer solution)을 사용하여 차단하는 단계; (3) 가검 동물에서 채취된 혈액에서 혈청을 분리하여 희석한 다음, 상기 항원이 차단된 플레이트에 분주하여 혈청반응을 시키는 단계; (4) 플레이트를 세척하는 단계; (5) 토끼 항-소 IgG HRP를 차단완충용액으로 희석한 다음, 세척된 플레이트에 분주하여 토끼 항-소 콘쥬게이트 반응을 시키는 단계; (6) 플레이트를 세척한후, 발색제로 발색시키는 단계; 및 (7) 흡광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부루세라 RB51균의 항원분석
부루세라 RB51균(Brucella abortus RB51 strain : 미국 NVSL(national veterinary services laboratory)에서 분양받음)을 10% 소 혈청이 함유된 부루세라 한천배지에 접종한 다음, 3-5% CO2조건하에서 36-48시간 동안 종균 배양하고, 같은 배지에서 36-48시간 동안 호기상태로 종균 배양하였다.
배양한 균을 플레이트당 인산염 완충액 식염수(phosphate buffered saline : PBS) 10㎖를 넣고, 10,000×g로 3회 원심세척하여 회수하였다. 회수된 균은 g(wet)당 PBS 50㎖로 부유시키고, 초음파 파쇄기(sonicator ; 75% max. output, 1.5sec pulse on & 1.0sec pulse off)로 10분 동안 초음파 파쇄한 후, 12,000×g로 30분 동안 원심분리한 상층액을 0.45㎛로 여과한 것을 항원으로 사용하였다.
초음파 파쇄된 항원을 15% 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을 사용하여 150V로 1시간 동안 전기영동을 실시한 다음 SDS-PAGE에 의해 분리 전개된 초음파 파쇄 부루세라 RB51 균주의 항원을 함유한 겔을 전기영동 블롯팅 완충액(20mM Tris-Cl, pH 8.0, 150mM 글리신, 20% 메탄올) 내에서 니트로셀룰로오스 막(이하 'NC막'이라 함)에 1.0A로 3-4시간 동안 전사하였다. 초음파 파쇄된 항원들이 전사된 NC막을PBS(NaH2PO40.23g, Na2HPO41.15g, NaCl 9.0g/L, pH 7.2)로 2회 세척한 후, 차단 완충액(1% 스킴 밀크 함유 PBS)에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정지시킨 후 PBS로 3회 세척하였다. 여기에 부루세라 RB51 예방약을 접종한 후, 주기적으로 6개월 동안 채혈한 혈청을 차단완충액으로 희석하여 1시간 동안 실온에서 반응시킨 다음 PBS를 넣고 3회 세척하였다. 다시 염소 항-소 IgG(H+L specific), 서양고추냉이 산화제 콘쥬게이트(KPL, Maryland, USA)를 차단완충액으로 1,000배 희석하여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PBS로 4회 이상 세척한 후, 기질용액(3,3'-디아미노엔지딘; DAB(diaminobenzidine) 50㎎, 1% CoCl22㎖, PBS 98㎖, 30% H2O20.1㎖)을 10-15분간 작용시켜 각 항원에 대한 면역원성을 분석하였으며, 표준 분자량 마커(시그마, St. Louis, MO, USA)는 0.5% Ponceau S(시그마)로 염색하여 항원의 크기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로부터, 부루세라 RB51 항원에는 64, 36, 34, 29, 18, 17 및 8kDa의 7개의 면역원성 항원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특히, RB51의 8kDa의 항원은 접종 3-4주령부터 강한 면역반응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다양한 부루세라 관련 혈청(부루세라 RB51 예방약을 접종한 후, 4-5개월령의 개체들의 혈청, 야외 부루세라 양성혈청 및 야외 부루세라 음성 혈청)에 대하여 야외 부루세라 검색 확진법인 표준 시험관 응집 반응법(이하 'STAT법'이라 함), 부루세라 RB51 항체검사법인 dot-blot assay법을 실시하고, 웨스턴 블롯에 의한 8kDa항원과의 반응성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준시험관응집반응법; Standard tube agglutination test>
가검혈청 80, 40, 20, 10, 5㎕가 함유된 각각의 4부 시험관에 부루세라 시험용 진단액을(NVRQS, national veterinary research and quarantine service 자체생산) 0.5% 페놀이 함유된 식염수로 100배 희석하여 2㎖씩 넣고 잘 혼합한 다음 37℃에서 48시간 동안 반응시켜 응집이 일어나는 시험관의 희석배수를 항체가로 산정하고 100배 이상일 때 양성으로 판정하였다.
<Dot-blot assay법; dot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부루세라 RB51균은 10% 소 혈청이 함유된 부루세라 한천배지에 바시트라신(bacitracin) 25unit/㎖, 폴리믹신(polymixin) B 5unit/㎖, 날리디식 애시드(nalidixic acid) 5㎍/㎖, 반코마이신(vancomycin) 20㎍/㎖, 사이클로헥시마이드(cycloheximide) 100㎍/㎖이 첨가된 BPNV(bacitracin, polymixin, nalidixic acid, vancomycin)배지에서 37℃의 온도로 36-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0.15M PBS로 균을 회수하여 3,000×g로 30분 동안 3회 원심세척하고, 균농도를 약 3×1011CFU/㎖로 조정, 항온수조에서 65℃의 온도로 30분 동안 처리하여 사멸시키고, 다시 원심세척하여 4℃에 보관하였다. 최종 항원사용농도는 280㎚에서 OD 0.82±0.01로 TBS 완충액(Trisma base 0.47g, Trisma HCl 2.54g, NaCl 29.22g/ℓ, pH7.5)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NC막(Bio-Red)에 100㎕씩 분주하여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10분 동안 흡착한 다음, TBS로 1회 세척하고, 37℃에서 건조시켜 사용시까지 보관하였다.GTBS(0.25% 젤라틴 함유 TBS)에서 30분 동안 정치시키고, TBS로 1회 세척한 다음, 혈청을 GTBS로 1/20 희석하여 각 웰에 100㎕씩 분주, 30분 동안 반응시킨 다음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NC막을 통과시키고, TBST(0.05% 트윈 20 함유 TBS)로 5회 세척하였다. 콘쥬게이트(염소 항-소 혈청 IgG HRP, KPL)는 1/2,000배로 희석하여 30분간 반응시키고, TBST로 3회, TBS로 1회, 증류수로 1회 세척한 다음, 기질(TBS와 0.15% H2O2안에0.5㎎ 4-클로로-1-나프톨/㎖)을 넣어 3-5분간 반응시켜 암청색으로 발색하면 양성으로 판정하였다.
<웨스턴 블롯(Western blot)>
부루세라 RB51 예방약을 접종한 후, 4-5개월령의 개체들의 혈청, 야외 부루세라 양성혈청 및 야외 부루세라 음성 혈청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웨스턴 블롯을 실시하여, 8kDa 항원에서의 반응성을 조사하였다.
[표 1]
그룹 시험 혈청수 STAT법 dot-blot assay 웨스턴 블롯법
+ _ + _ + _
16 _ 16 12 4 12 4
12 12 _ 4 8 4 8
15 _ 15 1 14 _ 15
Ⅰ : 부루세라 RB51 예방약을 접종한 후, 4-5개월령의 개체들의 혈청Ⅱ : 야외 부루세라 양성 혈청Ⅲ : 야외 부루세라 음성 혈청
표 1로부터, 부루세라 RB51 예방약을 접종한 후 4-5개월령의 개체 16두를 검사한 결과 모두 STAT에서 음성을 보였고, 그 중 12두에서 RB51양성을 보였으며, 8kDa 항원에 대한 반응성 역시 dot-blot assay와 각 개체별 성적이 일치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야외 부루세라 양성혈청 12두중 4두가 dot-blot assay에서 양성반응이 관찰되었으며, 이와 같은 성적은 8kDa 항원의 반응과도 일치한 성적을 보였다. 야외 부루세라 양성혈청에서 dot-blot assay법에 의해 양성을 보인 혈청은 STAT법에서 3,200배 이상의 항체가를 보이는 고도로 면역된 개체였다. 한편, 부루세라 음성혈청 15두 중 1두가 비특이반응에 의한 RB51 양성반응을 보였지만, 8kDa 항원에는 반응하지 않아 이 항원의 특이성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 8kDa 항원의 정제
상기 실시예 1 및 2에 의해 면역원성과 특이성이 확인된 8kDa의 항원을 정제하였다. 실시예 1에서와 같이 10% 소혈청이 함유된 부루세라 한천 배지 50 플레이트(87×15㎜, 페트리디쉬)에 부루세라 RB51균을 접종한 다음, 48시간 동안 배양하여 4.48g(wet)의 균을 회수하였다. 여기에 1% 사르코신(sarcosine)용액을 동량 첨가하여 37℃ 진탕항온수조에서 30분간 균체 표면항원을 추출한 다음, 20,000×g로 3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회수하였다. 상층액에 1% 트립신(1:250, Difco)을 용량의 1/10로 첨가하여 진탕항온수조에서 37℃의 온도로 30분 동안 반응시켜 단백질류를 분해하고, 여기에 단백질 분해효소 억제제(0.5M EDTA 4㎖, 50mM 1,10-phenathroline 2㎖, 1M 2-mercaptoethanol 2㎖/ℓ)를 첨가한 다음 0.45㎛로 여과하여, 균체 표면에서 사르코신에 용해되고, 트립신에 저항하는 항원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항원에 황산암모늄을 75% 수준으로 첨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3,000×g로 30분 동안 원심분리한 다음, 모세피펫을 이용하여 하층액을 조심스럽게 모두 제거하고 0.5% 트리톤 X-100이 함유된 0.15M PBS을 조금씩 첨가하여 상층액을 완전히 녹여 항원을 농축시켰다.
FPLC system을 이용한 겔 여과 컬럼으로 균체 표면에서 추출, 농축된 항원으로부터 8kDa 항원을 순수분리, 정제를 시도하였다. 즉, 추출, 농축된 항원을 0.1% 트리톤 X-100이 함유된 0.15M PBS로 안정화된 슈퍼로스 12 HR 10/30 컬럼(Pharmacia, Sweden)에 1.0㎖을 주입하여 유속 0.5㎖/min으로 컬럼을 통과시켜 254㎚에서 흡광도를 측정하면서 1.0㎖씩 분액하였고, 그 결과 7개의 분액을 확인하였다(도 3참조). 그 다음, 각각의 분액을 15% SDS-PAGE 및 웨스턴 블롯으로 확인하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는 7개의 분획 중 첫 번째 분획에 대한 결과로, 이 분획에서 8kDa 항원이 가장 농후하게 분포되어 있다. 또한 이 분획에는 25-70kDa의 항원이 분포하고 있었으며, 웨스턴 블롯에서 확인한 결과, 부루세라 RB51 양성혈청에는 거의 면역반응을 보이지 않았다(도 5의 B참조). 그러나, 이 항원들은 야외 부루세라균 또는 다른 종류의 세균과 교차반응이나 비특이 반응이 일어날 우려가 있어 이들을 제거할 목적으로 추가 정제를 시도하였다.
직경 15㎜, 길이 1,200㎜의 빈 컬럼(아미콘)에 세파크릴 S-100 수지(Pharmacia, Sweden)를 충전시켜 컬럼을 만들고, 0.1% 트리톤 X-100이 함유된 0.15M PBS로 안정화시켰다. 여기에 상기 슈퍼로스 12 컬럼에서 분획된 8kDa 항원 함유 분액 2.0㎖을 주입하여 유속 2.0㎖/min으로 컬럼을 통과시킴으로서 1차 정제시 함유된 다른 항원들을 제거하여 8kDa 항원을 정제하였다(도 4 참조). 정제된 항원을 15% SDS-PAGE로 전개하여 Silver stain과 웨스턴 블롯으로 항원의 순수성을 확인하였다(도 5의 A와 B참조).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슈퍼로스 12 컬럼으로 1차 정제된 항원을 세파크릴 S-100 컬럼(Ø15㎜×1200㎜)으로 2차 정제를 한 결과 하나의 단일 분획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 도 5에서는 Silver strain과 웨스턴 블롯으로 1차 정제시 포함된 20-70kDa의 항원이 거의 제거되고, RB51균의 8kDa 항원이 순수하게 정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최종 정제된 8kDa의 항원을 Lowry방법에 준한 BCA lit(Pierce, Rockford, USA)를 사용하여 단백질량을 측정한 결과, 균체 g(wet)당 71.46㎍의 항원을 얻을 수 있었으며, 회수율은 0.0016%이었다(표 2참조).
[표 2]
정제 단계에 의한 단백질 농도와 회수율
정제 단계 단백질 농도 회수율(%)
사르코신 추출물 85.46㎍/g(wet) 0.0187
슈퍼로즈 12 컬럼 101.23㎍/g(wet) 0.0022
세파크릴 S-100 컬럼 71.46㎍/g(wet) 0.0016
상기한 방법에 의해 정제된 8kDa항원의 성상은 부루세라 균체 표면에 존재하는 지단백질로 추정된다(표 3 참조). 즉, 1% 사르코신으로 부루세라 RB51 균체 표면에서 8kDa 항원을 추출할 수 있었으며, 이로부터 균체 외막에 존재하는 항원임을 유추할 수 있다. 또한 중성세제인 트리톤 X-100 처리시 증류수보다도 그 용해도가 증가하였고, 트립신 처리에 저항하는 것으로 보아 지질의 성질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단백질 분해 효소 K에 불활화되어 단백질의 성질을 띄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표 3]
처리 1% 사르코신(37℃, 30분) 1% 트립신(37℃, 30분) 트리톤 X-100 용해도 0.1% 단백질 분해효소 K (37℃, 1시간)
결과 추출물 저항 높은 용해성 50% 비활성
특성 박테리아 표면 지질 단백질
[실시예 4] 8kDa의 항원을 사용한 효소 면역 측정법(ELISA)
8kDa의 항원을 사용하여 효소면역학적 측정법(enzyme-liked immunosorbent assay, ELISA)으로 부루세라 RB51의 중화항체를 검출하여, 부루세라 RB51의 감염을 진단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상기 실시예 3에서 정제된 8kDa의 항원을 항원 흡착용 코팅완충용액(Na2CO31.59g, NaHCO32.93g/ℓ, pH 9.6±0.1)을 사용하여 최적 항원희석농도로 희석하여 면역분석용 플레이트의 각 웰에 100㎕씩 분주한 후, 37℃에서 밤새 보전하여 항원을 흡착하였다.
최적 항원희석농도는 1.0-2.5㎍/㎖이다. 이는 통상적인 ELISA법에서의 항원의 희석농도는 0.5-10㎍/㎖이지만, 1.0-2.5㎍/㎖로 희석하는 경우 가장 반응성이 좋았기 때문이다.
(2) 흡착이 끝난 후, 플레이트를 TBS 완충용액으로 3회 세척한 후, 차단완충용액(Blocking buffer solution; 1%의 스킴 밀크를 함유하는 TBS 완충용액)을 플레이트에 120㎕씩 분주한 후, 37℃에서 1시간 동안 차단하고, TBST 완충용액으로 3회 세척하였다.
(3) 가검 동물에서 채취된 혈액에서 혈청을 분리한 다음, 혈청 15㎕를 차단완충용액 285㎕를 사용하여 다른 희석용 플레이트에서 희석하였다.
(4) 항원이 부착된 플레이트의 차단반응이 끝나면, 차단용액을 버리고, 상기한 농도로 희석된 가검 혈청을 100㎕씩 분주하였다.
(5) 혈청이 분주된 플레이트를 37℃에서 1시간 30분 동안 배양한 후, TBST완충용액으로 3회 세척하였다.
(6) 토끼 항-소 IgG HRP(시스마사)를 TBS 완충용액을 사용하여 1 : 5,000의 비율로 희석한 후, 세척된 플레이트에 100㎕씩 분주하고 37℃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7) 반응 후 플레이트를 TBST 완충용액으로 3회 이상 세척한 후, 기질로 ABST(KPL)을 100㎕씩 분주하여 실온에 약 30분 동안 반응시키고 4% SDS(sodium dedocyl sulfate)을 50㎕씩 분주하여 반응을 정지시킨다.
(8) 정지된 플레이트 내 반응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405㎚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결과를 판정하였다.
시험 결과의 산출 E value = S-N/P-N(P : 양성 혈청 O.D를 의미, N : 음성 혈청 O.D를 의미, S : 샘플 혈청 O.D를 의미)로 하였으며, 반복 실험을 통해 실험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유효조건을 설정하였다. 유효조건은 P/N이 4.5∼7.5[M(6.0±SD(1.5)]이어야 하며, 이때 N은 0.114[M(0.103)+SD(0.011)]이하 이어야 한다. 한편, 결과판정을 위해 양성혈청 146두, 음성혈청 200두를 대상으로 E value에 대한 ROC(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커브를 작성하여 결과판정을 0.9로 설정하였다(도 6). 그 결과, ELISA 진단법의 특이도와 민감도는 각각 95.0% 및 98.6%로 나타났다.
6) 검출 효율 비교
가검혈청 1,376점에 대하여 현재 부루세라 RB51의 감염의 진단에 사용되고 있는 dot-blot assay법과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부루세라 RB51의 감염을 측정하고, 이들 사이의 관계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dot-blot assay법 상관 관계
양성 음성
ELISA법 양성 337 37 337/374(90.1%)
음성 52 950 950/1002(94.8%)
민감성/특이성 (민감성) 86.6% (특이성) 96.3% 1287/1376(93.5%)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과 공지의 dot-blot assay법과 93.5%의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므로, 본 발명의 방법은 부루세라 RB51의 검사에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8kDa의 항원은 조기에 체액성 면역반응을 유발시키면서 면역원성이 우수하며, 이를 토대로 확립된 분자량 8kDa의 항원을 정제하는 기법은 매우 단순하고 재현성이 우수하다. 또한 정제된 항원을 이용한 본 발명의 부루세라 RB51균의 중화항체를 검출하는 방법은 특이 정제항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항원에 의한 비특이 반응을 최대한 줄일 수 있으며, 신속하고 간편하게 다량의 혈청을 쉽게 검색할 수 있어 RB51 백신을 접종하는 국가에서는 RB51 백신의 효용성을 제고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자연감염에 의한 부루세라 항체와 대별되기 때문에 부루세라 근절을 위해 정책적 유용성이 매우 높아서 부루세라병을 예방하고 조기에 근절시킬 수 있다.

Claims (3)

  1. 소 부루세라(Brucella abortus) RB51균의 표면에 존재하는 8kDa 항원.
  2. 소 부루세라(Brucella abortus) RB51균으로부터 청구항 1항의 8kDa의 항원을 정제하는 방법으로서, 하기의 (1)-(4)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방법.
    (1) 소 부루세라(Brucella abortus) RB51균에 사르코신(sarcosine)을 처리하여 균체표면의 항원을 추출하는 단계;
    (2) 황산암모늄을 사용하여 상기 추출물을 농축시키는 단계;
    (3) 농축된 추출물을 트리톤 X-100에 용해시킨 후, 슈퍼로스(Superose) 12 HR 10/30컬럼을 통과시키는 단계; 및
    (4) 상기 컬럼을 통과한 분획을 다시 세파크릴(Sepjacryl) S-100 컬럼을 통과시키는 단계
  3. (1) 청구항 1항의 8kDa의 항원을 항원 흡착용 코팅완충용액을 사용하여 최적 항원희석농도로 희석한 후, 면역분석용 플레이트에 항원을 흡착시키는 단계;
    (2) 항원이 흡착된 플레이트를 차단완충용액(Blocking buffer solution)을 사용하여 차단하는 단계;
    (3) 가검 동물에서 채취된 혈액에서 혈청을 분리하여 희석한 다음, 상기 항원이 차단된 플레이트에 분주하여 혈청반응을 시키는 단계;
    (4) 플레이트를 세척하는 단계;
    (5) 토끼 항-소 IgG HRP를 차단완충용액으로 희석한 다음, 세척된 플레이트에 분주하여 토끼 항-소 콘쥬게이트 반응을 시키는 단계;
    (6) 플레이트를 세척한 후, 발색제로 발색시키는 단계; 및
    (7) 흡광도를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루세라 RB51 중화항체 검출방법.
KR10-2000-0068693A 2000-11-18 2000-11-18 부루세라 RB51균의 8kDa 항원 및 이것의 정제방법,그 항원을 이용하여 부루세라 RB51의 항체를 검출하는방법 KR100424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693A KR100424137B1 (ko) 2000-11-18 2000-11-18 부루세라 RB51균의 8kDa 항원 및 이것의 정제방법,그 항원을 이용하여 부루세라 RB51의 항체를 검출하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693A KR100424137B1 (ko) 2000-11-18 2000-11-18 부루세라 RB51균의 8kDa 항원 및 이것의 정제방법,그 항원을 이용하여 부루세라 RB51의 항체를 검출하는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8844A true KR20020038844A (ko) 2002-05-24
KR100424137B1 KR100424137B1 (ko) 2004-03-24

Family

ID=19699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8693A KR100424137B1 (ko) 2000-11-18 2000-11-18 부루세라 RB51균의 8kDa 항원 및 이것의 정제방법,그 항원을 이용하여 부루세라 RB51의 항체를 검출하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4137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0381B1 (ko) * 1997-11-26 2000-08-01 백병걸 라텍스비드를이용한브루셀라병진단시약및진단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4137B1 (ko) 2004-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íaz-Aparicio et al. Evaluation of serological tests for diagnosis of Brucella melitensis infection of goats
JP2626721B2 (ja) Htlv―3の蛋白質の分離、エイズおよび前エイズ条件を持つ患者の血清中htlv―3に対する抗体の血清学的検出、およびhtlv―3およびその蛋白質を使用した免疫分析によるhtlv―3感染の検出
Espitia et al. Identification, isolation and partial characterization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glycoprotein antigens.
KR890001592B1 (ko) HTLV-III 단백질의 분리, AIDS와 pre-AIDS 증상환자 혈청중의 HTLV-III에 대한 항체의 혈청학적 검출 및 HTLV-III과 이것의 단백질을 사용하는 면역 분석에 의한 HTLV-III감염의 검사
JPH10502366A (ja) ヘリコバクター・ピロリ抗原タンパク質調製品およびイムノアッセイ
Badley et al. Analysis of Toxocara canis larval excretory-secretory antigens: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antibody recognition
Peralta et al. Serodiagnosis of Chagas' disease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using two synthetic peptides as antigens
Kurup et 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relevant Aspergillus fumigatus antigen with IgG-and IgE-binding activity
Van Loon et al.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that uses labeled antigen for detection of immunoglobulin M and A antibodies in toxoplasmosis: comparison with indirect immunofluorescence and double-sandwich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Silva et al. Heterologous antibodies to evaluate the kinetics of the humoral immune response in dogs experimentally infected with Toxoplasma gondii RH strain
Goldbaum et al. Differentiation between active and inactive human brucellosis by measuring antiprotein humoral immune responses
Abd-Alla et al. Serum IgM antibody response to the galactose-inhibitable adherence lectin of Entameoba histolytica.
Vu et al. The principal protein antigens of isolates of Mycoplasma pneumoniae as measured by levels of immunoglobulin G in human serum are stable in strains collected over a 10-year period
KR100756117B1 (ko) 모노클로날 항체, 하이브리도마, 면역분석 방법 및 진단킷트
Rhoads et al. A potential diagnostic reagent for bovine cysticercosis
Warr et al. Membrane immunoglobulin is present on thymic and splenic lymphocytes of the trout Salmo gairdneri
KR910005702B1 (ko) 말라리아 기생충에 대한 방어항체를 유도하는 폴리펩티드 단편을 함유한 면역원 조성물의 제조방법
Indrawati et al. Studies on immunodiagnosis of human paragonimiasis and specific antigen of Paragonimus heterotremus
AU619682B2 (en) Liver fluke antigens
Alderete et al. Soluble Trichomonas vaginalis antigens in cell-free culture supernatants
Perrin et al. A modified rapid enzyme immunoassay for the detection of rabies and rabies-related viruses: RREID-lyssa
Bevanger The Ibc proteins of group B streptococci: isolation of the α and β antigens by immunosorbent chromatography and test for human serum antibodies against the two antigens
Souza et al. Differences in reactivity of paracoccidioidomycosis sera with gp43 isoforms
Fasth et al. Cross-reactions between the Tamm-Horsfall glycoprotein and Escherichia coli
Yadav et al. Identification of immuno-dominant antigens of Trypanosoma evansi for detection of chronic trypanosomosis using experimentally infected equ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