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8127A - 원격 dslam용 스플리터 장치 - Google Patents

원격 dslam용 스플리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8127A
KR20020038127A KR1020000068180A KR20000068180A KR20020038127A KR 20020038127 A KR20020038127 A KR 20020038127A KR 1020000068180 A KR1020000068180 A KR 1020000068180A KR 20000068180 A KR20000068180 A KR 20000068180A KR 20020038127 A KR20020038127 A KR 20020038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litters
adsl
case
splitter
remote dsl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8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현종
Original Assignee
현대네트웍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네트웍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네트웍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68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8127A/ko
Publication of KR20020038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812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07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remote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 DSLAM(Digital Subscriber Loop Access and Multiplexing)용 스플리터 장치,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전화선을 이용하여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Internet Service), 비디오 온 디맨드(VOD : Video On Demand) 서비스 등과 같은 고속 멀티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ADSL 시스템에서 가입자측 지역의 특정 장소에 원격 DSLAM과 분리시켜 설치가능한 원격 DSLAM용 스플리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입자측 지역의 특정 장소에 원격 DSLAM과 분리되어 설치 가능한 스플리터 장치를 제공해 줌으로써, 운용자로 하여금 원격 DSLAM, MDF(Main Distributing Frame) 단자 및 스플리터간 라인 작업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격 DSLAM용 스플리터 장치{SPLITTER DEVICE FOR REMOTE DSLAM}
본 발명은 원격 DSLAM(Digital Subscriber Loop Access and Multiplexing; 이하 "DSLAM"이라 칭함.)용 스플리터(Splitter)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전화선을 이용하여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Internet Service), 비디오 온 디맨드(VOD : Video On Demand) 서비스 등과 같은 고속 멀티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이하 "ADSL"이라 칭함.) 시스템에서 가입자측 지역의 특정 장소에 원격 DSLAM과 분리시켜 설치가능한 원격 DSLAM용 스플리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전화선을 이용하여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ADSL 시스템은 아날로그(Analog) 음성 신호와 ADSL 데이터를 합성하고 분리하기 위해 스플리터를 사용하는데, 이 때 상기 스플리터는 전화국 사내에 장착된 셀프(Shelf) 형태의 스플리터와 가입자 지역에 설치 가능한 원격 DSLAM용 스플리터가 있었다. 여기서, 본 발명은 가입자 거주 지역에 설치 가능한 원격 DSLAM용 스플리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원격 DSLAM용 스플리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프 형태의 원격 DSLAM내에 카드 형태로 장착되어 있었다.
그러나, 종래 원격 DSLAM용 스플리터는 셀프 형태의 원격 DSLAM내에 카드 형태로 장착되어 있었기 때문에, 운용자가 원격 DSLAM 및 MDF(Main Distributing Frame; 이하 "MDF"라 칭함.) 단자함과 스플리터간의 케이블(Cable) 작업을 수행할 때 원격 DSLAM의 케이스(Case)를 오픈(Open)시킨 후 케이블 작업을 수행해야 됨으로써, 가입자 지역의 특정 장소가 협소하거나 지하실일 경우 케이블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입자측 지역의 특정 장소에 원격 DSLAM과 별도로 설치 가능토록 해줌으로써 운용자로 하여금 원격 DSLAM, MDF 단자 및 스플리터간 라인 작업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한 원격 DSLAM용 스플리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원격 DSLAM용 스플리터장치는, 원격 DSLAM의 케이스 외벽, 또는 원격 DSLAM이 설치된 가입자 지역내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내부 부품을 보호하는 케이스;
상기 원격 DSLAM에서 전송한 ADSL 데이터와 가입자 지역내 MDF 단자함으로부터 수신받은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를 각각 혼합한 후 자신과 접속된 가입자들에게 전송하는 다수개의 스플리터가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는 스플리터 보드;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스플리터 보드내 다수개의 스플리터의 ADSL 데이터 입력단과 각각 접속되어, 상기 원격 DSLAM으로부터 ADSL 데이터를 수신받은 후 상기 스플리터 보드내 다수개의 스플리터로 각각 전송하는 ADSL 입력단;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스플리터 보드내 다수개의 스플리터의 POTS 입력단과 각각 접속되어, 상기 MDF 단자함으로부터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를 수신받은 후 상기 스플리터 보드내 다수개의 스플리터로 각각 전송하는 POTS 입력단; 및
상기 케이스의 타측면에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스플리터 보드내 다수개의 스플리터의 신호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다수개의 스플리터로부터 ADSL 데이터 및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 혼합신호를 각각 수신받은 후 해당 가입자들에게 공급하는 혼합신호 출력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원격 DSLAM내에 장착된 스플리터 보드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DSLAM용 스플리터 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원격 DSLAM용 스플리터 장치의 일측면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 2에 따른 원격 DSLAM용 스플리터 장치의 타측면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도 2에 따른 원격 DSLAM용 스플리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록도,
도 6은 도 2에 따른 원격 DSLAM용 스플리터 장치가 가입자 지역내 원격 DSLAM 측면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케이스 200 : 스플리터 보드
201 : 스플리터 300 : ADSL 입력단
301 : 챔프 커넥터 400 : POTS 입력단
401 : POTS 입력 단자 500 : 혼합신호 출력단
501 : 혼합신호 출력 단자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격 DSLAM용 스플리터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격 DSLAM용 스플리터 장치는 도 2,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 스플리터 보드(Splitter Board)(200), ADSL 입력단(300),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이하 "POTS"라 칭함.) 입력단(400), 및 혼합신호 출력단(5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00)는 원격 DSLAM(1)의 케이스 외벽, 또는 원격 DSLAM(1)이 설치된 가입자 지역내 특정 장소의 외벽에 설치되어, 내부에 설치된 상기 스플리터 보드(200), ADSL 입력단(300), POTS 입력단(400), 및 혼합신호 출력단(50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스플리터 보드(200)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원격 DSLAM(1)에서 전송한 ADSL 데이터와 가입자 지역내 MDF 단자함(2)으로부터 수신받은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를 각각 혼합한 후 자신과 접속된 가입자측 ATU-R 장치(4) 및 전화기(5)로 전송하는 72개의 스플리터(201)가 장착된 보드이다.
한편, 상기 ADSL 입력단(3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면에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스플리터 보드(200)내 72개의 스플리터(201)의 ADSL 데이터 입력단과 각각 인쇄회로 기판내 패턴으로 접속되어, 상기 원격 DSLAM(1)으로부터 ADSL 데이터를 수신받은 후 상기 스플리터 보드(200)내 72개의 스플리터(201)로 각각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24 포트 ADSL 케이블(6)을 통해 상기 원격 DSLAM(1)의 다수개의 신호 출력단과 각각 접속되는 세 개의 24핀의 챔프 커넥터(Champ Connecter)(301)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POTS 입력단(4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면에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스플리터 보드(200)내 72개의 스플리터(201)의 POTS 입력단과 각각 인쇄회로 기판내 패턴으로 접속되어, 상기 MDF 단자함(2)으로부터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를 수신받은 후 상기 스플리터 보드(200)내 72개의 스플리터(201)로 각각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POTS 입력단(400)은 랩핑 와이어(Wrapping Wire)(7)를 통해 상기 MDF 단자함(2)의 72개의 POTS 신호 출력단과 각각 접속됨과 동시에 팁/링(TIP/RING)으로 구성된 72개의 POTS 단자(401)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혼합신호 출력단(5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의 타측면에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스플리터 보드(200)내 72개의 스플리터(201)의 신호 출력단에 인쇄회로 기판내 패턴으로 접속되어, 상기 72개의 스플리터(201)로부터 ADSL 데이터 및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 혼합신호를 각각 수신받은 후 해당 가입자측 원격 단말 장치인 ATU-R(ADSL Transmission Unit-Remote; 이하 "ATU-R"이라 칭함.) 장치(4) 및 전화기(5)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혼합신호 출력단(500)은 랩핑 와이어(7)를 통해 해당 가입자측 ATU-R 장치(4) 및 전화기(5)와 각각 접속되는 다수개의 혼합신호 출력 단자(501)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격 DSLAM용 스플리터 장치는 총 72 가입자를 수용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원격 DSLAM용 스플리터 장치의 설치 과정 및 동작 과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운용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플리터 보드(200), ADSL 입력단(300), POTS 입력단(400), 및 혼합신호 출력단(500)이 장착된 케이스(100)를 상기 원격 DSLAM(1)의 케이스 외벽, 또는 원격 DSLAM(1)이 설치된 가입자 지역내 특정 장소의 외벽에 임의의 고정장치를 통해 설치한다. 여기서, 임의의 고정장치란 나사못이나 접착체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에 의한 고정장치를 의미한다.
그런후, 운용자는 24 포트 ADSL 케이블(6)을 통해 상기 원격 DSLAM(1)의 다수개의 신호 출력단과 상기 ADSL 입력단(300)내 챔프 커넥터(301)를 접속시킨다.
이어서, 운용자는 랩핑 와이어(7)를 통해 상기 MDF 단자함(2)의 72개의 POTS 신호 출력단과 팁/링으로 구성된 72개의 POTS 단자(401)를 점퍼선 방식으로 각각 접속한다.
그리고, 운용자는 랩핑 와이어(7)를 통해 해당 다수개의 가입자측 ATU-R 장치(4) 및 전화기(5)와 다수개의 혼합신호 출력 단자(501)를 점퍼선 방식으로 각각 접속한다.
따라서, 72개의 상기 원격 DSLAM(1)의 신호 출력단 및 72개의 MDF 단자함(2)의 POTS 출력단과 72 가입자의 ATU-R 장치(4) 및 전화기(5)가 상기 스플리터 보드(200)내 각각의 스플리터(201)를 통해 접속된다.
상기와 같이 운용자에 의해 설치 및 접속이 끝나면, 상기 스플리터 보드(200)내 72개의 스플리터(201)는 상기 원격 DSLAM(1)에서 전송한 ADSL 데이터와 가입자 지역내 MDF 단자함(2)으로부터 수신받은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를 각각 혼합한 후 자신과 접속된 가입자측 ATU-R 장치(4) 및 전화기(5)로 전송하는 한편, 상기 가입자측으로부터 ADSL 데이터 및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가 혼합된 혼합 신호를 입력받으면 이를 분리시켜 각각 상기 원격 DSLAM(1) 및 MDF 단자함(2)으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원격 DSLAM용 스플리터 장치에 의하면, 가입자측 지역의 특정 장소에 원격 DSLAM과 분리되어 설치 가능한 스플리터 장치를 제공해 줌으로써, 운용자로 하여금 원격 DSLAM, MDF 단자 및 스플리터간 라인 작업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원격 DSLAM의 케이스 외벽, 또는 원격 DSLAM이 설치된 가입자 지역내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내부 부품을 보호하는 케이스;
    상기 원격 DSLAM에서 전송한 ADSL 데이터와 가입자 지역내 MDF 단자함으로부터 수신받은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를 각각 혼합한 후 자신과 접속된 가입자들에게 전송하는 다수개의 스플리터가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는 스플리터 보드;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스플리터 보드내 다수개의 스플리터의 ADSL 데이터 입력단과 각각 접속되어, 상기 원격 DSLAM으로부터 ADSL 데이터를 수신받은 후 상기 스플리터 보드내 다수개의 스플리터로 각각 전송하는 ADSL 입력단;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스플리터 보드내 다수개의 스플리터의 POTS 입력단과 각각 접속되어, 상기 MDF 단자함으로부터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를 수신받은 후 상기 스플리터 보드내 다수개의 스플리터로 각각 전송하는 POTS 입력단; 및
    상기 케이스의 타측면에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스플리터 보드내 다수개의 스플리터의 신호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다수개의 스플리터로부터 ADSL 데이터 및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 혼합신호를 각각 수신받은 후 해당 가입자들에게 공급하는 혼합신호 출력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DSLAM용 스플리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DSL 입력단은, 24 포트 ADSL 케이블을 통해 상기 원격 DSLAM의 다수개의 신호 출력단과 각각 접속되는 다수개의 24핀의 챔프 커넥터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DSLAM용 스플리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OTS 입력단은, 랩핑 와이어를 통해 상기 MDF 단자함의 다수개의 POTS 신호 출력단과 각각 접속됨과 동시에 팁/링으로 구성된 다수개의 POTS 단자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DSLAM용 스플리터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신호 출력단은, 랩핑 와이어를 통해 상기 가입자측 ATU-R 장치 및 전화기와 각각 접속되는 다수개의 혼합신호 출력 단자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DSLAM용 스플리터 장치.
KR1020000068180A 2000-11-16 2000-11-16 원격 dslam용 스플리터 장치 KR200200381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180A KR20020038127A (ko) 2000-11-16 2000-11-16 원격 dslam용 스플리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180A KR20020038127A (ko) 2000-11-16 2000-11-16 원격 dslam용 스플리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8127A true KR20020038127A (ko) 2002-05-23

Family

ID=19699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8180A KR20020038127A (ko) 2000-11-16 2000-11-16 원격 dslam용 스플리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812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966B1 (ko) * 2001-11-12 2003-10-10 현대네트웍스 주식회사 xDSL 시스템에서의 외장형 DSLAM 장치
KR100452490B1 (ko) * 2001-01-16 2004-10-12 주식회사 케이티 Adsl용 스플리터 장치 및 배선방법
WO2007078984A1 (en) * 2005-12-29 2007-07-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 telecommunications module and an assembly including at least one telecommunications module
KR100911928B1 (ko) * 2002-10-02 2009-08-13 주식회사 케이티 인터넷과 전화를 동시 수용하기 위한 전주부착형 통합단자함
US9491722B2 (en) 2007-08-10 2016-11-08 Qualcomm Incorporated Adaptation of transmit power based on channel quality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490B1 (ko) * 2001-01-16 2004-10-12 주식회사 케이티 Adsl용 스플리터 장치 및 배선방법
KR100400966B1 (ko) * 2001-11-12 2003-10-10 현대네트웍스 주식회사 xDSL 시스템에서의 외장형 DSLAM 장치
KR100911928B1 (ko) * 2002-10-02 2009-08-13 주식회사 케이티 인터넷과 전화를 동시 수용하기 위한 전주부착형 통합단자함
WO2007078984A1 (en) * 2005-12-29 2007-07-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 telecommunications module and an assembly including at least one telecommunications module
US20080273690A1 (en) * 2005-12-29 2008-11-06 Pierre Bonvallat Telecommunications Module and an Assembly Including at Least One Telecommunications Module
US9491722B2 (en) 2007-08-10 2016-11-08 Qualcomm Incorporated Adaptation of transmit power based on channel qual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57640T3 (es) Red de comunicación telefónica
US6600815B1 (en) Telephone network access adapter
US6272219B1 (en) Access network with an integrated splitter
EP1088437A2 (en) Upgrading of subscriber connection
KR20010023363A (ko) 동시 음성 및 데이터 송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7206392B2 (en) Fiber optic premise wiring system
US5903372A (en) Means for remote addition of video services to subscribers
US6781981B1 (en) Adding DSL services to a digital loop carrier system
CA2719156A1 (en) Telephone outlet with packet telephony adapter, and a network using same
US7412052B2 (en) System and method of delivering DSL services
US8582585B2 (en) Distribution device in a subscriber connection area
KR20020038127A (ko) 원격 dslam용 스플리터 장치
KR20070063538A (ko) 통합형 액세스 디바이스와 연관된 모뎀 박스 및 분할 모듈
GB2386286A (en) Combined VoDSL and POTS system with integrated access device/VoDSL to POTS converter and telephones connected to common line via isolating filters
KR100802242B1 (ko) 통신장비에 있어서 광대역 및 협대역 서비스 처리 장치 및이의 실시방법
US20020037001A1 (en) VoIP phone line eliminator
EP1510064B1 (en) An arrangement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EP0947089B1 (en) Telephone network access adapter
KR100310236B1 (ko) 에이 디 에스 엘시스템의 스플리팅 장치
KR200195069Y1 (ko) 전화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의 분배기
KR200180877Y1 (ko) 네트워크장치
KR200235464Y1 (ko) 스플리터가 내장된 수요밀집형 광가입자 전송장치용 커넥터
KR100273062B1 (ko) 디지털 가입자회선 시스템의 음성대역신호 분리기능을 내장한가입자측 전송장치
US7016474B2 (en) Reduced cost digital subscriber line (DSL) interface arrangement
KR100425587B1 (ko) 전주형 오앤유 시스템에서의 스플리터 내장형 단자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