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7712A - 마찰저항을 최소화시킨 롤러형 온구기와 상기의 온구기를탑재한 원적외선 온열치료기 - Google Patents

마찰저항을 최소화시킨 롤러형 온구기와 상기의 온구기를탑재한 원적외선 온열치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7712A
KR20020037712A KR1020010070861A KR20010070861A KR20020037712A KR 20020037712 A KR20020037712 A KR 20020037712A KR 1020010070861 A KR1020010070861 A KR 1020010070861A KR 20010070861 A KR20010070861 A KR 20010070861A KR 20020037712 A KR20020037712 A KR 20020037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type
heat
heater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0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8188B1 (ko
Inventor
이환성
Original Assignee
이환성
주식회사 세라젬의료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20000032892U external-priority patent/KR200222258Y1/ko
Priority claimed from KR2020000033080U external-priority patent/KR200231891Y1/ko
Application filed by 이환성, 주식회사 세라젬의료기 filed Critical 이환성
Publication of KR20020037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7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8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81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2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adapted for simultaneous treatment with light, heat or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078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64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linear
    • A61H2201/1669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linear moving along the body in a reciprocating manner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이동시 마찰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 롤러형태의 온구기와 상기의 온구기를 탑재한 원적외선 온열치료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의 온열치료기는 그 일측이 절첩되고 중앙에 장홈이 형성되어 있는 매트와, 상기 매트의 중앙 장홈의 저면 양쪽에 형성되어 있고 환자의 척추부위의 굴곡에 대응하는 굴곡부를 포함하고 있는 굴곡레일과, 상기의 굴곡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형 온구기와, 상기의 롤러형 온구기를 수평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수단과, 상기의 이송수단을 제어하는 제어판넬과, 상기의 롤러형 온구기의 위치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반을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마찰저항을 최소화시킨 롤러형 온구기와 상기의 온구기를 탑재한 원적외선 온열치료기{A roller type hyperthermo-radiative apparatus designed to minimize friction resistance and a mat for hot compress and acupressure mounted with the hyperthermo-radiative apparatus}
본 발명은 새로운 형태의 온구기와 상기의 온구기를 탑재한 원적외선 온열치료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이동시 마찰력을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사용자에게는 보다 쾌적한 지압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원적외선 온열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자가 개발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9-26985호 "온열치료 매트"(이는 미합중국에 2000. 1. 14. 특허출원되어 2001. 6. 5.자로 미합중국 특허 제6,243,609호 "TREATMENT MAT" 명칭으로 특허권이 부여되어 있다)에 관한 개량 발명임과 동시에, 본 발명자가 특허출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0-67867호 "원적외선 온열치료기"와, 동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0-73144호 "인체곡면 적응형 굴곡 로울러 온구기"와, 동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0-32892호 "척추굴곡에 대응한 주행레일을 가진 온열치료기" 및 동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0-33080호 "체인과 로프가 결합된 구동방식의 온열치료기"의 국내 우선권주장 및 그에 관한 개량발명의 출원이다.
통상적으로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온구기와 상기의 온구기를 설치한 온열치료 매트는 제1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 제1a도는 종래의 온열치료 매트를 나타내고, 제1b도는 종래의 온구기를 절개한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종래의 온열치료 매트는 제1a도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중앙의 장홈에 상당하는 아래쪽에 형성된 지지판(50)과, 상기 지지판(50)의 좌우 양쪽에 설치되는 레일(51)과, 상기의 레일(51)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는 온구기(60)와, 상기 온구기(60)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동수단과, 상기 수평이송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판넬(58)과, 상기 온구기(60)의 위치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반(59)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의 수평이동수단은 상기 온열치료 매트의 한쪽에 설치되는 모터(55)와, 상기 모터(55)에 직결되는 풀리(54)와, 상기 풀리(54)에 의해 모터(55)의 운동력을 상기 온구기(60)에 전달하는 로프(52)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의 온열치료 매트는 그 중앙에 있는 상기의 장홈을 충분히 덮을 수 있는 보호용 천(도시되지 않음)을 그 위에 씌워놓음으로써, 그 외관을 보호함과 동시에 또한 상기의 온구기(60)가 환자의 척추부위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의 온열치료 매트에 사용되고 있던 종래의 온구기(60)는 제1b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즉,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온구기(60)는 그 전체의 형상을 받침판(56)에 지지하고 고정하는 지지대(61)와, 상기 지지대(61)에 설치되는 램프(62)와, 상기 램프(62)에서 발생하는 열을 전도함과 동시에 상기의 램프(62)를 보호하기 위한 캡(65)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의 캡(65)은 그 상부가 반구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중간부는 속이 빈 상태의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하부에는 외부로 벌어지는 플랜지(66)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의 상부에는 다수의 작은 구멍(67)을 형성하여 열을 발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온열치료 매트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엔, 치료를 받고자 하는 사람이 상기의 매트 위에 누워, 상기의 조작반(59)의 버튼을누르면 그 시간만큼 상기의 모터(55)가 작동하여 상기 풀리(53)(54)와 로프(52)를 통해 상기의 온구기(60)를 끌어당기게 되고, 상기의 온구기(60)는 상기의 레일(51) 위에서 수평으로 좌우로 이송되어지게 된다. 상기의 온구기(60)가 상기 레일(51)의 일측으로 완전히 이동되어지게 되면, 상기 레일(51)의 끝단에 설치된 반전스위치(도시되지 않음)가 상기의 모터(55)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을 반전시키게 되고, 따라서 상기의 온구기(60)는 일단 정지된 다음, 그 진행방향을 바꾸어 그 반대 방향으로 다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치료를 받고자 하는 환자가 상기의 조작반(59)을 누르고 있는 동안은 상기의 온구기(60)가 한쪽 방향으로 계속 진행한 다음, 다시 반대편 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의 수평 이동과정에서, 상기의 온구기(60)는 그 내부에 설치된 램프(62)에 의해 발열되고, 그 열은 상기의 작은 구멍(67)을 통해 환자의 척추부위에 도달하게 되어 찜질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며, 그와 동시에 상기 온구기(60)의 최상단에 위치한 반구형의 캡(65)은 상기 레일(51)을 따라 직선으로 이동하면서 그 위에 누워있는 환자의 척추부위를 일직선으로 지압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온열치료 매트에 있어서는, 상기의 온구기(60)가 이동하는 동안 그대로 진행하면서 상기의 캡(65)이 그 위에 누운 환자의 척추부위에 의해 눌려진 상태에서 이동하여야 하므로, 환자와 온구기 사이에 존재하는 보호천(도시되지 않음)에 마찰력을 일으켜 상기의 보호천을 쉽게 손상시키게 되는 반면에, 사용자(환자)에게는 상기의 마찰력에 의해 척추부위에 상당한 통증을 느끼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온구기(60)는 상기의 보호캡(65)을 반구형으로가공하여야 하므로, 그 가공공정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보다 빠른 열전도를 위해 그 두께를 얇게 형성하였으므로 그 어려움은 더욱 가중되는 것이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온열치료 매트는 환자와 온구기(60) 사이의 마찰저항 때문에 상기의 온구기(60)를 이동시키는데 많은 동력을 필요로 하였으며, 이에 따라 구동력이 큰 모터(55)를 사용하여야 했으므로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것이었다. 또한, 종래의 온열치료 매트는 상기의 온구기(60)를 이동시킬 경우, 상기의 마찰저항에 의해 과도한 부하를 안게 되고, 그 부하를 이기지 못할 경우 상기의 로프(52)와 풀리(53)가 헛돌아서 상기의 온구기(60)를 정상적으로 이동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또 다른 종래의 제품으로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66264호 "온열치료 매트"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의 온열치료 매트는 상기의 공개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매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눕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한쪽에 설치고정되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가 구동되면 벨트에 의해 구동력이 전달되어 공회전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와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스크류가 공회전하면 전후로 왕복이동하고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공간이 형성된 이동체와, 저면에는 상기 이동체의 승하강공간에 삽입되는 이동봉과 이동레일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온열치료기가 안착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이 온열치료기와 같이 직선 왕복운동할 때 동시에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굴곡면을 갖는 굴곡레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의 온열치료 매트에 있어서 이송수단은 스크류를 사용하고 있고, 굴곡레일은 치료기 이동판이 직선왕복운동을 하면서 단순히 상하로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을 뿐, 사용자의 어느 부위에 형성하는지를 구체적으로 특정하지 못하고 있으며, 또한 그러한 굴곡면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받게 되는 불편함을 조금도 고려하지 못하고 있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즉, 상기의 치료기 이동판이 굴곡레일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수직운동을 할 경우, 상기의 치료기 이동판은 상승하면서 그 상승에 따른 압력을 필연적으로 사용자(환자)의 치료부위에 전달하게 되는데, 상기의 종래 제품은 상승에 따른 저항압력을 조금도 완화시켜주지 못한 채 100% 그대로 사용자의 치료부위에 전달함으로써, 사용자(환자)는 상기의 굴곡부위에서 더 많은 통증을 필연적으로 느낄 수밖에 없는 반면에, 상기의 굴곡레일에서 발생한 저항압력으로 인하여 온열치료 매트는 더 많은 동력을 필요하게 되고 더 많은 동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대형의 모터를 사용해야 하는 것이고, 대형의 모터를 사용시에는 그로 인한 모터의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형태의 종래의 온열치료 매트에서는 평탄한 레일을 사용하는 것 보다도 굴곡레일을 사용함으로써, 온열치료 매트 그 자체로서는 훨씬 많은 동력을 필요로 하는 반면에, 사용자(환자)로서는 더 많은 통증을 치료부위에서 감내해야 할 뿐만 아니라, 절대적으로 안정을 요하는 환자가 소음으로 인한 불안감까지도 역시 감내해야 한다는 3중의 모순점 내지 단점을 필연적으로 수반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온열치료 매트를 사용하는 주요 고객들이 주로 자신의 건강을 위하여 애쓰는 환자층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상기의 모순점 내지 단점은 온열치료기의 기술분야에서는 절대적으로 해결되지 않으면 안되는 중대한 해결 과제이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량된 롤러형태의 온구기와 상기의 온구기를 기본적으로 채용한 원적외선 온열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굴곡레일의 굴곡부위에서도 수평이동시 마찰력을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사용자에게는 보다 쾌적한 온열 및 지압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롤러형태의 온구기와, 상기의 롤러형태의 온구기를 탑재함과 동시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욱 개량하여 상호 유기적인 결합관계를 형성하는 원적외선 온열치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부차적인 목적은 상기 롤러형태의 온구기를 채용함과 동시에 상기 온구기를 견인하는 이송수단을 개선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치료효과를 기할 수 있는 원적외선 온열치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그 일측이 절첩되고 중앙에 장홈이 형성되어 있는 매트와, 상기 매트의 중앙 장홈의 저면 양쪽에 형성되어 있고 환자의 척추부위의 굴곡에 대응하는 굴곡부를 포함하고 있는 굴곡레일과, 상기의 굴곡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형 온구기와, 상기의 롤러형 온구기를 수평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수단과, 상기의 이송수단을 제어하는 제어판넬과, 상기의 롤러형 온구기의 위치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반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롤러형태의 온구기는 수평이동시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되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롤러형태의 온구기는 바퀴를 그 사방 모퉁이에서 지지 고정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위에서 서로 짝을 이루고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내부는 원통형의 빈 공간으로 구성된 로울러형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원통형 빈 공간의 양쪽에서 삽입된 발열부재와, 상기 발열부재에 연결되어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는 소켓부와, 상기의 소켓부와 상기의 회전부재의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의 발열부재를 상기 지지수단에 고정하여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의 회전부재를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베어링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온구기에 있어서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상기의 롤러형 회전부재를 옥(玉)을 주성분으로 구성하고 그의 외부를 그의 회전축에 대해 완만하게 굴곡부를 가진 형상으로 만들고 그 내부는 원통형의 빈 공간으로 구성하여 그 양측의 지지수단에 연결처리 함으로써 수평으로 진행하면서 자연적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온구기를 견인하는 상기의 이송수단을 개선함으로써 온열치료 매트의 소형화를 기함과 동시에 소음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개선된 이송수단은 상기의 굴곡레일에 의해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마찰저항을 고려한 것으로서, 온열치료기의 동력 절감효과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감정적 안정성과 편의성을 고려한 것이다.
제1a도는 종래의 온열치료 매트를 나타내고, 제1b도는 종래의 온구기를 나타내고 있으며,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원적외선 온열치료기(200)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2a도는 상기 온열치료기를 위에서 내려다 본 평면도이고, 제2b도는 상기의 온열치료기를 앞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며,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롤러형 온구기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제3a도는 상기 롤러형 온구기의 주요부를 절개한 평면절개도이고, 제3b도는 상기의 롤러형 온구기의 주요부를 절개한 정면절개도이며, 제3c도는 상기의 롤러형 온구기의 좌측면도이며,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롤러형 온구기(100)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서, 제4a도는 V형 롤러 온구기를 나타내고, 제4b도는 혼합형 롤러 온구기를 나타내며, 제4c도는 교차형 롤러 온구기를 나타내고 있으며,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롤러형 온구기와 굴곡레일 사이의 상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로서, 제5a도는 상기의 롤러형 온구기가 상기의 굴곡레일에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제5b도는 일반형 롤러 온구기가 상기 굴곡레일의 굴곡부에 접근하여 상승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제5c도는 V형 롤러 온구기가 상기 굴곡부에 접근하여 상승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이송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제6a도는 동력원과 이송수단의 결합관계를 나타내고 있고, 제6b도는 상기 동력원의 반대편에 위치한 이송수단의 구성요소를 나타내고 있으며, 제6c도는 상기의 이송수단과 롤러형 온구기(100) 사이의 결합관계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롤러형 온구기, 120 : 받침판, 121 : 바퀴,
124 : 연결부재, 128 : 방사판, 130, 132 : 지지수단,
140 : 로울러형 회전부재, 142 : 발열부재, 144 : 베어링부재,
146 : 봉우리 부분, 147 : 골짜기 부분, 148 ; 소켓부,
200 : 온열치료기, 210 : 매트, 212 : 장홈,
220 : 굴곡레일, 222, 224 : 굴곡부, 240 : 모터,
242 : 기어, 246 : 체인, 247 : 높이조절수단,
248 : 와이어, 250, 252 : 탄소섬유 면상발열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은 수평이동시 마찰력을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사용자에게는 보다 쾌적한 온열 및 지압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원적외선 온열치료기를 제공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원적외선 온열치료기(200)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2a도는 상기 온열치료기를 위에서 내려다 본 평면도이고, 제2b도는 상기의 온열치료기를 앞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온열치료기(200)는 그 일측이 절첩되고 중앙에 장홈(212)이 형성되어 있는 매트(210)와, 상기 매트(210)의 중앙 장홈의 저면 양쪽에 형성되어 있고 환자의 척추부위의 굴곡에 대응하는 굴곡부를 포함하고 있는 굴곡레일(220)과, 상기의 굴곡레일(220)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형 온구기(100)와, 상기의 롤러형 온구기(100)를 수평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수단과, 상기의 이송수단을 제어하는 제어판넬(158)과, 상기의 롤러형 온구기의 위치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반(159)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원적외선 온열치료기(200)는 그 중앙에 장홈(212)이 형성되어 있는 매트(210)와 상기의 매트(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서로 절첩될 수 있는 또 다른 매트(2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매트(210)(216)는 조립식 다리를 가진 프레임체(214) 위에 탑재되어 사용될 수 있다(제2b도). 상기 매트(210)의 중앙에 형성된 장홈(212)은 본 발명의 핵심적인 구성부품들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롤러형 온구기(100)에 의한 온열찜질과 원적외선 방사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별도의 탄소섬유 면상발열체(250)(252)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a도는 본 발명에 의한 상기의 탄소섬유 면상발열체의 설치 위치를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탄소섬유 면상발열체(250)(252)는 외부에서 전선(도시되지 않음)을 통하여 전기적 에너지가 공급되어지면 다른 구성요소의 매개를 필요로 하지 않고 그 스스로 원적외선을 발생하게 되며, 상기 굴곡레일(220)의 아래쪽에 긴 직사각형의 탄소섬유 면상발열체를 평행하게 설치하고, 다른 절첩 가능한 매트(216)의 내부에 사각형의 탄소섬유 면상발열체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탄소섬유 면상발열체(250)는 상기의 롤러형 온구기(100)가 지나가고 난 다음에 환자의 척추부위와 어깨부위에 대해서도 원적외선을 계속적으로 발산하도록 하는 것인 반면에, 상기의 다른 탄소섬유 면상발열체(252)는 환자의 다리 부분에 대하여 원적외선을 발산해주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들은 통상적으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되면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것이고 전원의 공급수단도 역시 통상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롤러형 온구기(100)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그 중에서, 제3a도는 상기 롤러형 온구기(100)를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로서 로울러형 회전부재(140)를 절개한 것이고, 제3b도는 상기의 롤러형 온구기(100)를 앞에서 바라본 정면도로서 로울러형 회전부재(140)를 절개한 것이며, 제3c도는 상기의 롤러형온구기(100)를 옆에서 바라본 좌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롤러형 온구기(100)는 온열치료기의 중앙 공간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레일(220) 위를 따라 이동하는 바퀴(121)를 갖춘 받침판(12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받침판(120)은 롤러형 온구기(100)의 가장 기본적인 구성요소들이 그 위에 탑재되어지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의 받침판(120)은 그 위에 별도의 방사판(128)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3b도 참조). 상기의 방사판(128)은 일정한 두께를 가진 별도의 소재(예컨대, 스텐레스 스틸판재, 반사거울 등) 형태로 구성되거나, 얇게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한 필름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사판(128)은 후술하게 될 로울러형 회전부재(140)에서 방사되는 온열과 원적외선이 외부로 발산되어 소멸되지 않고 사용자(환자)의 치료부위에 더욱 집중적으로 쪼여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주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방사판(128)의 구조를 환자의 치료부위를 향하여 평면 형태가 아닌 오목거울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의 받침판(120)은 그의 평면위에 서로 짝을 이루어 마주보고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수단(130)(13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받침판(120)은 이송수단에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부재(124)를 그 정면과 배면의 중앙부위에 구비하고 있으며, 그 사방 모퉁이에는 바퀴(121)와 그 아래쪽에 플랜지(12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플랜지(126)는 상기 레일(220)의 아래쪽에 끼워져서 상기의 바퀴(121)가 레일(220) 위에서 굴려갈 때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의 롤러형 온구기(100)가 상기의 레일(22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해준다. 본 발명에 의한 온구기(100)는 상기의 지지수단(130)과 지지수단(132)의 사이에 로울러형 회전부재(14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회전부재(140)는 상기 지지수단(130)(132)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내부는 원통형의 빈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의 빈 공간에는 그 양쪽에서 삽입된 발열부재(14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회전부재(140)는 환자의 신체와 접촉한 채 온구기(100)가 이동할 경우에 환자의 신체를 약간 압박하면서 그 스스로 회전하게 되므로, 그 마찰저항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온구기(100)의 이동에 필요한 동력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회전부재(140)는 그 재질을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는 무기광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상기의 회전부재(140)가 그 진행과정에서 환자의 치료부위에 단순한 지압효과만을 부여하는 것이 아니고 원적외선을 방사시켜 환자의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무기광물로서는 옥(玉)을 주성분으로 한 무기광석이 바람직하며, 맥반석이나 게르마늄 또는 세레늄 등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회전부재(140)는 환자의 신체에 지압효과를 높이기 위해 그 외부표면을 굴곡지게 가공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부로 튀어나온 봉우리 부분(146)과 상대적으로 들어간 골짜기 부분(147)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굴곡에 의해 외부로 튀어나온 봉우리 부분(146)이 환자의 신체를 압박함으로써 환자에게 지압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의 발열부재(142)는 외부의 전원에 의해 발열되어지며, 고온으로 발열될 경우 그 열을 환자의 신체에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의 회전부재(140)로 하여금 원적외선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발열부재(142)로서는 적외선램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발열부재(142)는 상기의 로울러형회전부재(140)와는 달리 회전하지 않고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의 발열부재(144)는 소켓부(148)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베어링부재(144)는 그 내륜이 상기 소켓부(148)에 결합되어 있는 반면에, 그 외륜이 상기의 회전부재(140)에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소켓부(148)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상기 발열부재(142)에 공급하는 기능을 함께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다수의 구성요소가 일체로 형성된 형태의 온구기를 일반형 롤러 온구기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일반형 롤러 온구기를 온열치료기에 사용할 경우엔, 종전의 마찰저항을 훨씬 감소시킨 로울러형 회전부재의 회전저항만을 극복하면 되므로, 온열치료기의 구동모터를 소형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사용되는 동력이 대폭적으로 절감되어짐과 동시에, 소음도 역시 현저하게 감소되므로, 사용자로서는 쾌적한 상태에서 치료효과를 맛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측으로서는, 상기의 롤러형 온구기(100)가 수평으로 진행하면서 상기 로울러형 회전부재(140)의 봉우리 부분(146)이 회전하면서 사용자의 치료부위에 직접적으로 온열 및 지압효과를 주는 반면에, 간접적으로는 상기 로울러형 회전부재(140) 전체의 외표면에서 원적외선이 방사되어지는 효과를 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받침판(120)의 표면에 별도의 방사판(128)을 형성할 경우, 상기 온열 및 원적외선의 방사 및 치료효과는 더욱 상승하게 되어진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24449호 "지압구가 승강작동되는 온열치료기"에 의하면, 상기 공개특허의 제3의 변형 실시예로서 하나의 보빈 축의 외주에 다수의 지압구를 끼우고, 상기 보빈축의 한쪽 끝단에 램프를 설치한 기술적 구성이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공개특허에서는 상기의 램프가 단순히 승강체에 파묻혀 있는 상태이고(따라서, 어떻게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지 알 수 없다), 또한 상기의 램프가 상기 보빈 축의 내부 한쪽 끝단에 위치하고 있어서 상기 보빈 축의 중앙 부위에서의 램프의 열에 의한 지압구의 원적외선 방사효과는 기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더구나, 상기의 공개특허에서는 램프에서 발생된 열이 보빈 축에 의해 차단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의 램프 열이 소정의 원적외선 방사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1차적으로 상기의 보빈 축을 충분하게 가열시켜야 하고, 상기의 보빈 축이 일단 충분하게 가열된 상태에서 2차적으로 상기의 지압구가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점을 고렬할 때, 상기의 단점은 더욱 심화되어지는 것이다. 이것은 상기의 보빈 축이 금, 은, 동과 같이 열전도율이 우수한 금속재질을 사용했을 경우엔, 그나마 소정의 효과를 거둘 수 있겠으나, 상기의 보빈 축이 프라스틱과 같이 열전도율이 나쁜 재질의 것일 경우엔 램프 근처에서의 가열온도와 램프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부분에서의 가열온도가 현저하게 달라지게 되므로, 상기의 지압구에 의해서 고르고 균일한 원적외선의 방사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공개특허에서는 상기의 보빈 축을 어떠한 재질로 구성하는지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고 있지 않다. 이것은 상기 보빈 축의 재질에 의해 상기 지압구의 원적외선 방사효과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발명으로서의 구체성에 의문을 갖게 하고 있다.) 결국, 상기의 공개특허에 있어서는 어느 경우에도 상기 보빈 축의 1차적인 가열을피할 수 없으므로, 상기의 지압구를 직접 가열하는 경우에 비하여 과도한 전기에너지를 공급해주어야만 소정의 원적외선 방사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또한 고르고 균일한 원적외선의 방사효과를 달성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공개특허에서는 상기의 지압구가 보빈 축상에 끼워져 회전가능하다고 설명되어 있으나, 만약 열전도율을 감안하여 상기의 금속재질의 보빈 축을 사용할 경우엔, 상기 금속의 열팽창율이 높아서 상기 보빈 축이 상기의 지압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쉽게 열팽창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지압구와의 간격을 좁히게 되므로, 상기의 보빈 축이 가열되면 될수록 상기 지압구의 자유로운 회전기능은 기대하기 어렵게 되어지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것은 상기의 지압구가 열팽창율이 낮은 합성수지 재질인 것을 감안한다면, 상기의 공개특허공보 제2000-24449호 "지압구가 승강작동되는 온열치료기"는 이러한 현상에 의한 치명적인 결함을 수반하고 있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은 상기 공개특허와 같은 보빈 축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있으면서도, 발열수단과 소켓부와의 관계, 소켓부와 베어링부재와의 관계, 베어링부재와 롤러형 회전부재와의 관계, 소켓부와 지지수단과의 관계 등을 유기적이고 구체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공개특허의 제반 단점을 일거에 해소한 것이며, 이를 통하여 상기의 공개특허와 같이 발열수단의 가열에 의해 마찰저항이 전혀 영향을 받지 않고 그 마찰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또한 최소의 전기에너지를 사용하면서도 고르고 균일한 원적외선의 방사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상기 발열수단의 수명도 더욱 연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롤러형 온구기(100)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제4a도는 본 발명에 의한 롤러형 온구기(100)의 바람직한 실시예 중의 하나로서 상기 지지수단(130)(132)을 더욱 개선한 것이며, 이것을 옆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지지수단(130)(132)은 대체적으로 V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V형 지지수단(130)(132)의 아래쪽 정점에는 축(134)을 형성하여 서로 상기 받침판(120)에 대하여 힌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V형 지지수단(130)(132)의 아래쪽에 있는 받침판(120)에는 각각 걸림턱(136)을 형성함으로써, 상기의 지지수단(130)(132)이 한쪽으로 과도하게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걸림턱(136)은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탄성재질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V형 지지수단(130)(132)과 상기의 걸림턱(136)이 상기의 축(134)을 꼭지점으로 하여 이루고 있는 각도는 델타(δ)이다. 상기의 각도(δ)는 온열치료기의 장홈 안쪽에 설치된 굴곡레일(220)의 굴곡부(222)(224)가 수평면과 이루는 각도(α)와 매우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은 본 발명의 특징 중의 하나를 이루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각도(δ)와 상기의 각도(α)는 상기의 V형 지지수단(130)(132)과 후술할 굴곡레일(220)과의 상호 유기적인 결합관계를 형성하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하게 된다. (이 점에 대해서는 후술함. 제5b도 및 제5c도 참조).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V형 지지수단(130)(132)과 힌지 축(134)을 가지고 있는 형태의 온구기를 V형 롤러 온구기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V형 롤러 온구기는 특히 상기 굴곡부(222)(224)를 가진 굴곡레일(220)에서 유용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다(후술함). 한편,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실개평6-3331 "건강의자(健康椅子)"에 의하면, 상기의 V형 지지수단과 힌지 기능을 수행하는 기술구성이 공개되어 있으나, 이는 단순히 고정된 위치에서 힌지 기능만을 수행함에 그치고, 의자에 앉은 자가 뒤로 기대어 누울 때 딱딱하지 않고 약간의 탄력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칠 뿐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V형 지지수단(130)(132)과 힌지 축(134)이 특정한 지점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받침판(120)과 함께 직선 왕복운동을 함과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운동을 한다는 점에서 서로 다르고, 또한 상기 굴곡레일(220)의 굴곡부(222)(224)에서도 마찰저항을 최소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커다란 차이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그치지 아니하고, 상기의 마찰저항이 최소화된 결과 종래와는 달리 소형의 구동 모터를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온열치료기로서는 에너지 절약의 효과와 모터의 작동에 의한 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사용자로서는 소음에 의한 불안감을 불식시켜 안정된 상태에서 치료효과를 누릴 수 있고, 또한 경량 제품으로서의 취급이 용이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일본 실개평6-3331 "건강의자(健康椅子)"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상호 유기적인 결합관계를 전혀 제시하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러한 유기적인 결합관계에 의한 상기의 장점들도 전혀 기대할 수 없는 것이다.
제4b도는 본 발명에 의한 롤러형 온구기(100)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 중의 하나로서, 상기 다수의 회전부재(140) 사이의 공간부위에 통상의 구조를 가지는 온구기(60)를 포함한 것이다. 상기의 온구기(60)는 상기 제1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본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의 받침판(120)에 고정되어진다. 상기의 온구기(60)는 상기의 회전부재(140)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빈 공간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롤러형 회전부재를 이용한 신규한 온구기와 구형의 온구기가 혼합되어 사용되는 형태의 온구기를 혼합형 롤러 온구기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상기 혼합형 롤러 온구기는 상기의 회전부재(140)들의 배치관계에서 발생하는 빈 공간부에 장착됨으로써 환자의 치료부위에 빈틈없는 온열자극 치료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제4c도는 본 발명에 의한 롤러형 온구기(100)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 중의 하나로서, 상기 다수의 회전부재(140)가 서로 약간씩 어긋나게 배치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상기의 지지수단(130)(132)을 온구기의 진행방향에 대해 좌우로 약간 어긋나게 배치하거나, 또는 V형 지지수단(130)(132)을 상기 온구기의 진행방향에 대해 좌우로 약간씩 굽혀진 형상으로 제작하거나, 또는 상기의 로울러형 회전부재(140)의 봉우리 부분(146)과 골짜기 부분(147)을 서로 반대로 형성하여 통상의 일반형 지지수단이나 통상의 V형 지지수단에 배치하면 된다. 이 경우, 상기의 회전부재(140)는 그들의 회전 진행방향에 대하여 원적외선을 환자의 신체에 빈틈없이 발산하게 되고, 또한 상기의 굴곡진 봉우리 부분(146)이 그 진행방향에서 다음 회전부재(140)의 골짜기 부분(147)에 위치됨으로써 환자에게 지압을 하는 부위가 봉우리 부분(146)의 갯수만큼 많아지게 되므로 더욱 뛰어난 지압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엔 상기 제4b도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140)의 빈 공간부에 통상의 온구기(60)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롤러형 회전부재의 봉우리 부분(146)과 골짜기 부분(147)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사용되는 형태의 온구기를 교차형 롤러 온구기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롤러형 온구기(100)는 특별히 이를 정의하지 않는 이상 위에서 상세히 설명되고 제3a도 내지 제3c도 및 제4a도 내지 제4c도에 의해서 개시된 일반형 롤러 온구기, V형 롤러 온구기, 혼합형 롤러 온구기, 그리고 교차형 롤러 온구기를 모두 포함한 것을 의미한다.
제5도는 상기 롤러형 온구기(100)와 굴곡레일(220) 사이의 상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온열치료 매트(200)는 상기 장홈(212)의 저면 양쪽에 각각 굴곡레일(22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굴곡레일(220)은 환자의 척추부위의 굴곡에 대응하는 굴곡부(222)와 환자의 목부위에 해당하는 다른 굴곡부(22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굴곡부(222)(224)는 환자가 누웠을 때 그의 척추부위와 목부위가 평평하지 않고 약간 위로 굴곡져 있으므로, 이 부분에 대하여 상기 롤러형 온구기(100)를 그에 맞추어 위로 상승시킴으로써 온열치료효과와 지압효과를 동등하게 부여해주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의 굴곡부(222)(224)는 어느 정도 완만하게 형성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완만한 정도는 상기 롤러형 온구기(100)에 따라 상호 상관관계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5a도는 상기의 롤러형 온구기(100)가 상기의 굴곡부(222)에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5b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일반형 롤러 온구기가 상기의 굴곡부(222)에 접근하여 상승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제5c도는 본 발명에 의한 V형 롤러 온구기가 상기 굴곡부(222)에 접근하여 상승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런데, 제5b도에 있어서 일반형 롤러 온구기(100)가 그곳에서 상승하면서이루게 되는 각도를 알파(α)라고 하면, 수평면(환자의 척추부분)과 상기 2개의 회전부재(140)가 실제로 이루는 각도는 베타(β)가 된다. 이때, 상기의 일반형 롤러 온구기(100)에 있어서 상기의 각도(α)와 상기의 각도(β)는 서로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온열치료 매트에 상기의 일반형 롤러 온구기(100)를 탑재할 경우엔 상기의 각도(α)를 적게 형성하면 적게 형성할수록 그 위에 누워있는 환자의 척추부위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낮아지게 되므로, 상기의 각도(α)를 적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각도(α)를 낮게 형성하게 되면 굴곡부(222)(224)에 의한 높이(H)가 낮게 되므로 소정의 효과를 발휘하기 어렵게 된다. 이러한 상호 모순적인 현상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상기의 각도(α)를 높이면서도 상기의 각도(β)를 낮게 형성할 수 있는 방안이 매우 요망되는 것이다. 제5c도에 있어서는,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V형 롤러 온구기(100)를 사용하고 있다.
제5c도에 있어서, 상기 V 형 롤러 온구기(100)가 굴곡부(222)(224)에서 상승할 경우, 그 수평면과 받침판(120)이 이루게 되는 각도는 알파(α)인 반면에, 상기 수평면과 2개의 회전부재(140)가 이루는 각도는 베타(β)이며, 이때 상기의 각도(β)는 항상 상기의 각도(α) 보다 작게 된다. 왜냐하면, 상기 2개의 회전부재(140)가 환자로부터 동일한 무게의 체중을 받아 상기 힌지 축(134)에 의해 수평을 이루려는 성질을 갖게 되기 때문이며, 이러한 성질은 전적으로 상기의 V형 지지수단(130)(132)과 상기의 걸림턱(136)이 이루고 있는 각도(δ)의 범위에서는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의 각도(β)는 각도(α)에서 각도(δ)를 뺀 값에 해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각도 알파(α)와 각도 델타(δ)를 서로 동일한 각도를 이루도록 제작할 경우, 상기의 각도 베타(β)는 제로(0)가 됨으로써, 상기의 롤러형 온구기(100)가 상기의 굴곡부(222)(224)을 따라 상승하더라도 상기의 회전부재(140)는 수평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사용자(환자)는 상기 회전부재(140)에 의한 가압력을 상대적으로 덜 받게 되어지고, 마찰저항도 역시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상기의 롤러형 온구기(100)가 굴곡부(222)(224)에서 상승할 때 현저하게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각도(δ)는 제로보다 크지만 각도(α)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66264호 "온열치료 매트"에서도 본 발명에서와 같이 굴곡레일이 소개되어 있으나, 상기의 공개특허에서는 굴곡부분의 위치를 구체적으로 특정하고 있지 못하며, 또한 사용자가 온열치료를 위해 매트 위에 누운 상태에서 온구기가 굴곡레일의 굴곡부에 도착한 다음, 상기의 온구기가 서서히 상승하면서 매트 위에 누워있는 사용자에게 점차적으로 가하게 되는 온구기의 상승압력과 그로 인한 사용자(환자)의 통증에 대한 해결수단이 전혀 제시되어 있지 못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굴곡레일의 위치와 그 형태 및 롤러형 온구기와의 상호관계에 대한 유기적인 결합관계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기술사상과 그 해결수단이 상이한 것이다.)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이송수단을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롤러형 온구기(100)를 수평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제6a도는 동력원과 이송수단의 결합관계를 나타내고 있고, 제6b도는 상기 동력원의 반대편에 위치한 이송수단의 구성요소를 나타내고 있으며, 제6c도는 상기의 이송수단과 롤러형 온구기(100) 사이의 결합관계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이송수단은 동력원인 모터(240)에 결합된 기어(242)와, 상기의 기어(242)에 결합된 체인(246)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체인(246)은 상기의 기어(242)에 맞물려 결합됨으로써, 모터(240)에서 발생된 동력을 거의 그대로 상기의 롤러형 온구기(100)에 직접 전달하거나 와이어(248)를 통하여 상기의 롤러형 온구기(100)로 전달해준다. 상기의 체인(246)은 상기 롤러형 온구기(100)의 연결부재(124)의 높이에 일치하도록 높이조절수단(247)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체인(246)은 상기의 연결부재(124)에 직접 연결되어 있거나(제5a도), 와이어(248)를 매개로 하여 상기의 연결부재(124)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의 와이어(248)는 그 일단이 상기 체인(246)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 타단은 상기 롤러형 온구기(100)의 반대쪽 연결부재(124)에 연결되어 있다. 만약 2개의 와이어(248)를 사용한다면, 상기의 체인(246)은 항상 와이어를 매개로 하여 상기 연결부재(124)에 간접적으로 연결되어질 수 있다. 상기의 와이어(248)는 상기 모터(240)의 반대편에 설치된 아이들 풀리(245)를 돌아서 상기 롤러형 온구기(100)의 반대쪽 연결부재(124)에 결합되어진다. 이때, 상기의 아이들 풀리(245)는 상기의 롤러형 온구기의 연결부재(124)에 결합된 와이어(248)가 상기 굴곡레일(220)에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제6c도). 이것은 상기의 롤러형 온구기의 연결부재(124)에 결합된 체인(246)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이로 인하여, 상기의 롤러형 온구기(100)에 연결된 체인(246)과 와이어(248)는 제4a도및 제6c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굴곡레일(220)에 평행하게 배치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롤러형 온구기(100)는 안정되고 균일하게 상기의 굴곡레일(220)을 따라 직선왕복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각 구성요소들의 개별적인 작동과 상호간의 작동관계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판넬(158)과, 상기의 롤러형 온구기(100)의 위치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반(159)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제어판넬(158)과 상기의 조작반(159)은 온열치료 매트에 있어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한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도시되지 않음)도 역시 통상적인 것이므로, 역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작동되어진다. 사용자(환자)가 온열치료기에 전원을 인가한 다음에, 상기의 매트(210) 위에 누운 상태에서 상기의 조작판(159)을 조작하면 발열부재(142)에 전원이 공급되어 점등되어지고, 필요에 따라 상기의 롤러형 온구기(10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모터(240)가 회전하게 되고, 모터(240)의 축에 직결된 기어(242)가 회전하며 체인(246)이 받침판(120)을 견인하게 되고, 결국 상기의 체인(246)과 기어(242)에 의하여 롤러형 온구기(100)가 전혀 헛돌지 않고 원활하게 전진 또는 후진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롤러형 온구기(100)의 회전부재(140)가 환자의 척추경혈을 지압함과 동시에 열을 전도하고 또한 원적외선을 발산함으로써 원적외선이 척추부위에 침투하도록 하여 신진대사를 활발히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롤러형 온구기(100)가 진행하면서 회전부재(140)가 인체의 하중에 눌리므로 자연스럽게 회전을 하게 되어 구름마찰만을 부여하여 마찰저항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동작에 의해 원적외선과 온열을 가하여 치료하는 과정에서 롤러형 온구기(100)가 굴곡레일(220)의 한쪽 끝단 부근에 도달하면, 센서(도시되지 않음)가 감지하여 모터(240)를 역회전시킨다. 따라서 롤러형 온구기(100)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작동시간과 온도는 별도의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롤러형 온구기는 수평이동시 마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취하고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온열치료기 또는 온열치료 매트에 있어서 대형의 모터를 채용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온열치료기는 상기의 롤러형 온구기를 기본적으로 채용함으로써 적은 용량의 모터를 사용하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또한 온열치료 매트의 위에 씌워져서 상기 온구기와 환자의 사이에 위치하는 보호용 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온열치료기는 마찰저항이 대폭적으로 감소되어 상기 롤러형 온구기를 이송시키기 위한 동력이 종래보다는 적어도 되므로, 종래의 제품보다도 훨씬 출력이 적은 모터를 사용할 수 있어 전력의 낭비를 방지하고, 작동부의 크기를 줄여 제품의 소형화를 기할 수 있으며, 작동시의 소음을 줄일 수 있게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온열치료기는 이러한 소음 감소효과로 인하여, 사용자(환자)로 하여금 소음으로 인한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게 되고, 보다 쾌적한 상태에서 온열치료효과를 누릴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고, 또한 온열치료기의 경량화로 인하여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롤러형 온구기와, 상기의 롤러형 온구기를 포함한 원적외선 온열치료기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은 당연하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과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1. 환자의 온열치료에 사용되는 원적외선 온열치료기로서, 이는
    a). 그 일측이 절첩되고 중앙에 장홈(212)이 형성되어 있는 매트(210)와;
    b). 상기 매트의 중앙 장홈(212)의 저면 양쪽에 형성되어 있고 환자의 척추부위의 굴곡에 대응하는 굴곡부를 포함하고 있는 굴곡레일(220)과;
    c). 상기의 굴곡레일(220)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형 온구기(100)와;
    d). 상기의 롤러형 온구기(100)를 수평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수단과;
    e). 상기의 이송수단을 제어하는 제어판넬(158)과;
    g). 상기의 롤러형 온구기(100)의 위치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반(159); 을 포함하고 있는 온열치료기.
  2. 환자의 온열치료에 사용되는 원적외선 온열치료기로서, 이는
    a). 그 중앙에 장홈(212)이 형성되어 있는 매트(210) 및 상기 매트(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서로 절첩될 수 있는 또 다른 매트(216)와;
    b). 상기의 매트(210)(216) 안쪽에 각각 설치된 탄소섬유 면상발열체(252)와;
    c). 상기 매트의 중앙 장홈(212)의 저면 양쪽에 형성되어 있고 환자의 척추부위의 굴곡에 대응하는 굴곡부(222)와 환자의 목부위에 해당하는 다른굴곡부(224)를 포함하고 있는 굴곡레일(220)과;
    d). 상기의 굴곡레일(220)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형 온구기(100)와;
    e). 상기의 롤러형 온구기(100)를 수평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동력원으로서의 모터(240)에 결합된 기어(242)와, 그 일단이 상기의 기어(242)에 결합되어 있고 그 타단은 상기 롤러형 온구기(100)의 받침판 중앙부위에 설치된 연결부재(124)에 결합된 체인(246)과, 상기 체인(246)에 그 일단이 결합되고 그 타단은 롤러형 온구기에 결합된 와이어(248)로 구성되고, 상기의 와이어(248)는 상기 모터(240)의 반대편에 설치된 아이들 풀리(245)를 돌아서 상기 롤러형 온구기(100)의 반대쪽 연결부재(124)에 결합되어 있는 이송수단과;
    f). 상기의 이송수단을 제어하는 제어판넬(158)과;
    g). 상기의 롤러형 온구기(100)의 위치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반(159); 을 포함하고 있는 온열치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의 체인(246)은 상기 롤러형 온구기(100)의 연결부재(124)의 높이에 일치하도록 높이조절수단(247)을 설치하고, 상기의 아이들 풀리(245)는 상기의 롤러형 온구기의 연결부재(124)에 결합된 와이어(248)가 상기 굴곡레일(220)에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치료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의 롤러형 온구기(100)는
    a). 바퀴(121)를 그 사방 모퉁이에서 지지 고정하는 받침판(120)과;
    b). 상기 받침판(120)의 위에서 서로 짝을 이루고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수단(130)(132)과;
    c). 상기 지지수단(130)(132)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내부는 원통형의 빈 공간으로 구성된 로울러형 회전부재(140)와;
    d). 상기 회전부재(140)의 빈 공간의 양쪽에서 삽입된 발열부재(142)와;
    e). 상기 발열부재(142)에 연결되어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는 소켓부(148)와;
    f). 상기의 소켓부(148)와 상기의 회전부재(140)의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의 발열부재(142)를 상기 지지수단(130)(132)에 고정하여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의 회전부재(140)를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베어링부재(144);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치료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의 로울러형 회전부재(140)는 열을 받아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는 옥(玉)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치료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의 로울러형 회전부재(140)는 그 외표면이 외부로 튀어나온 봉우리 부분(146)과 상대적으로 들어간 골짜기 부분(147)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치료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의 받침판(120)은 그 위에 별도의 방사판(128)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치료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의 방사판(128)은 그 구조를 환자의 치료부위에 대하여 평면 형태가 아닌 오목거울 형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치료기.
  9. 온열치료기에 사용되는 온구기로서, 이는
    a). 바퀴(121)를 그 사방 모퉁이에서 지지 고정하는 받침판(120)과;
    b). 상기 받침판(120)의 위에서 서로 짝을 이루고 설치되는 다수의지지수단(130)(132)과;
    c). 상기 지지수단(130)(132)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내부는 원통형의 빈 공간으로 구성된 로울러형 회전부재(140)와;
    d). 상기 회전부재(140)의 빈 공간의 양쪽에서 삽입된 발열부재(142)와;
    e). 상기 발열부재(142)에 연결되어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는 소켓부(148)와;
    f). 상기의 소켓부(148)와 상기의 회전부재(140)의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의 발열부재(142)를 상기 지지수단(130)(132)에 고정하여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의 회전부재(140)를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베어링부재(144);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치료기용 롤러형 온구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의 로울러형 회전부재(140)는 열을 받아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는 옥(玉)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치료기용 롤러형 온구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의 로울러형 회전부재(140)는 그 외표면이 외부로 튀어나온 봉우리 부분(146)과 상대적으로 들어간 골짜기 부분(147)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치료기용 롤러형 온구기.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의 받침판(120) 위에 별도로 형성된 방사판(128)의 구조를 환자의 치료부위에 대하여 평면 형태가 아닌 오목거울 형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치료기용 롤러형 온구기.
KR10-2001-0070861A 2000-11-15 2001-11-14 마찰저항을 최소화시킨 롤러형 온구기와 상기의 온구기를탑재한 원적외선 온열치료기 KR1003881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67867 2000-11-15
KR1020000067867 2000-11-15
KR2020000032892 2000-11-23
KR2020000032892U KR200222258Y1 (ko) 2000-11-23 2000-11-23 척추굴곡에 대응한 주행레일을 가진 온열치료기
KR2020000033080 2000-11-25
KR2020000033080U KR200231891Y1 (ko) 2000-11-25 2000-11-25 체인과 로프가 결합된 구동방식의 온열치료기
KR20000073144 2000-12-04
KR1020000073144 2000-1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7712A true KR20020037712A (ko) 2002-05-22
KR100388188B1 KR100388188B1 (ko) 2003-06-19

Family

ID=27483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0861A KR100388188B1 (ko) 2000-11-15 2001-11-14 마찰저항을 최소화시킨 롤러형 온구기와 상기의 온구기를탑재한 원적외선 온열치료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591141B2 (ko)
KR (1) KR100388188B1 (ko)
CA (1) CA2361896C (ko)
TW (1) TW510796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850A (ko) * 2001-12-28 2002-04-04 김범진 온열치료침대의 마사지구
KR20030078287A (ko) * 2002-03-29 2003-10-08 (주)비겐의료기 척추온열물리치료기
KR100413999B1 (ko) * 2000-11-21 2004-01-07 주식회사 세라젬의료기 원적외선 방사효과를 개선시킨 온열치료기
WO2004017891A1 (en) * 2002-08-26 2004-03-04 Syung Hyun Cho Thermal rolling device for thermotherapy systems
CN103385785A (zh) * 2012-05-09 2013-11-13 (株)丽可医疗器 具备按摩单元的加热垫
KR20180091640A (ko) * 2017-02-07 2018-08-16 주식회사 광세의료기 캠승강마사지형 레이져 온열 마사지 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771Y1 (ko) * 2002-10-29 2003-02-05 주식회사 미건의료기 온열치료기
US20040158176A1 (en) * 2003-01-29 2004-08-12 Joon Park Hot acupressure and massage machine
US7052475B2 (en) * 2003-07-07 2006-05-30 Hakjin Kim Lie-down massager
US7118541B2 (en) * 2003-05-16 2006-10-10 Hakjin Kim Lie-down massager
KR100439485B1 (ko) * 2003-08-13 2004-07-09 주식회사 세라젬의료기 온구기 위치제어수단과 이것을 이용한 침대형 온열치료기
US20050049531A1 (en) * 2003-08-27 2005-03-03 Hakjin Kim Chair massager
US20050049530A1 (en) * 2003-08-27 2005-03-03 Hakjin Kim Reclining massager system
KR100458150B1 (ko) * 2004-01-28 2004-11-26 주식회사 세라젬의료기 온구기용 기본단위체와 이것을 이용한 온열치료기용 온구기
US20050274715A1 (en) * 2004-05-28 2005-12-15 Roy Johnson Carbon based heating device,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0704905B1 (ko) * 2006-04-11 2007-04-09 주식회사 세라젬 사용자의 하체 치료에 적합한 온열치료기
US8285391B2 (en) * 2006-09-25 2012-10-09 American Environmental Systems, Inc. Hygienic-therapeutic conductive far-infrared devices
RS59524B1 (sr) * 2011-06-30 2019-12-31 Ceragem Co Ltd Uređaj kliznog tipa za termoterapeutski tretman
CN104095741B (zh) * 2013-04-09 2017-09-12 喜来健株式会社 一种热疗装置
CN107669463B (zh) * 2017-10-30 2018-07-10 河南中医药大学 脊柱护理按摩装置
GB201803254D0 (en) * 2018-02-28 2018-04-11 Grey Technology Ltd Automated massage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45256A (en) * 1970-03-25 1972-02-29 Robert W Morrison Massage-exerciser device
JPS5873237A (ja) 1981-10-27 1983-05-02 Nec Corp 論理回路
JPS5873237U (ja) * 1981-11-13 1983-05-18 堀 平八 加温式マッサ−ジ器
US5094225A (en) * 1990-01-22 1992-03-10 Thomas Craw Portable back massage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3999B1 (ko) * 2000-11-21 2004-01-07 주식회사 세라젬의료기 원적외선 방사효과를 개선시킨 온열치료기
KR20020025850A (ko) * 2001-12-28 2002-04-04 김범진 온열치료침대의 마사지구
KR20030078287A (ko) * 2002-03-29 2003-10-08 (주)비겐의료기 척추온열물리치료기
WO2004017891A1 (en) * 2002-08-26 2004-03-04 Syung Hyun Cho Thermal rolling device for thermotherapy systems
CN103385785A (zh) * 2012-05-09 2013-11-13 (株)丽可医疗器 具备按摩单元的加热垫
KR20180091640A (ko) * 2017-02-07 2018-08-16 주식회사 광세의료기 캠승강마사지형 레이져 온열 마사지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10796B (en) 2002-11-21
CA2361896A1 (en) 2002-05-15
US20020058973A1 (en) 2002-05-16
CA2361896C (en) 2009-08-04
KR100388188B1 (ko) 2003-06-19
US6591141B2 (en) 2003-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8188B1 (ko) 마찰저항을 최소화시킨 롤러형 온구기와 상기의 온구기를탑재한 원적외선 온열치료기
CN201079541Y (zh) 家用温热理疗按摩椅
KR20000004853U (ko) 온열치료기일체형 전신 안마기
KR100413999B1 (ko) 원적외선 방사효과를 개선시킨 온열치료기
KR101501597B1 (ko) 온열볼이 구비된 안마용 매트
CA2361853C (en) Roller type hyperthermo-radiative apparatus for a mat for hot compress and acupressure
KR200226573Y1 (ko) 온열치료기
KR101742320B1 (ko) 온열치료기용 상하운동 조절장치
KR101604842B1 (ko) 온열 진동 마사지기
WO2005084604A1 (en) Foot massager
KR200260012Y1 (ko) 온열기를 내장한 안락의자
KR101415661B1 (ko) 무한궤도형 안마의자
KR200373927Y1 (ko) 물리치료침대
KR100533778B1 (ko) 온열치료기용 상하운동 조절장치
KR200268124Y1 (ko) 안마용 침대의 온열장치
KR200301268Y1 (ko) 온열 치료기용 온구 고정장치
KR200224322Y1 (ko) 건강방석
KR200296464Y1 (ko) 냉,온풍발생장치를 일체로 구비한 이동안마판
KR200296732Y1 (ko) 지압장치가 구비된 매트리스
KR200292684Y1 (ko) 온열매트
KR200283786Y1 (ko) 온열구
KR200275686Y1 (ko) 온구기
KR200275688Y1 (ko) 온열치료매트의 온열치료기 상하 작동장치
KR20040106210A (ko) 발마사지기
KR200254856Y1 (ko) 온열치료기용 보조 옥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G171 Publication of modified document after post-grant opposition [patent]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1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