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6757A - 벽 패널 시스템 - Google Patents

벽 패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6757A
KR20020036757A KR1020010069732A KR20010069732A KR20020036757A KR 20020036757 A KR20020036757 A KR 20020036757A KR 1020010069732 A KR1020010069732 A KR 1020010069732A KR 20010069732 A KR20010069732 A KR 20010069732A KR 20020036757 A KR20020036757 A KR 20020036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xtension
wall panel
members
pane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9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바씰마크지
Original Assignee
디자인 리소스 그룹 인터내셔널,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자인 리소스 그룹 인터내셔널, 인크. filed Critical 디자인 리소스 그룹 인터내셔널, 인크.
Publication of KR20020036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6757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742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with separate framed panels without intermediary support posts
    • E04B2/7425Details of connection of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83Details of furniture, e.g. tables or shelves, associated with the part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87Partitions with slotted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의 모듈식 패널 시스템은 벽 패널의 조립으로 건축 블록을 형성하는 일체형 모듈식 구성 요소로부터 구성된다. 이 모듈식 구성 요소는 신장형 연결 포스트를 사용하여, 적소에 연결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부차 프레임을 포함한다. 장식적인 외관을 제공하기 위해서 조립된 벽 패널에 덮개 패널이 부착된다.

Description

벽 패널 시스템{WALL PANEL SYSTEM}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사무실 업무 공간 및 벽 패널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적소에 다양한 구조로 조립될 수 있는 통합형 모듈식 구성 요소로부터 구축되는 모듈식 벽 패널에 관한 것이다.
상업적 건물들은 일반적으로, 미리 구성된 벽 패널 시스템에 의해서 작은 개인적인 영역 또는 어느 정도 개인적인 업무 공간으로 분할되는 큰 개방형 사무실 영역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바닥으로부터 천정에 이르는 높이보다 낮은 다양한 벽 패널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이들 시스템은 기능적인 업무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벽 패널에 의해 직접 지지되는 업무 책상, 파일 캐비넷, 선반 유닛 등과 같은 기타의 가구 구성 요소와 협력한다. 예를 들어, Yu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852,904호에, 베이스 패널 및 이 베이스 패널의 코너에 형성된 개구에서 수용되는 부차 패널로 이루어진 벽 패널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패널은 적소에 용접된 L자형 브라켓을 사용하여 코너에서 연결되어 있는 직립 레일 및 횡단 레일로 이루어진다. 구성된 벽 패널은 베이스 패널에 부차 패널을 추가하거나 제거함으로써 수직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그러나, 포스트를 사용한 부차 패널의 연결은, 특히 벽 패널이 높이가 증가하거나 가구 구성 요소들을 지지하는 부하를 받게 될 때, 전체 벽 패널의 구조적 강성이 부족하여 미국 국가 표준 기관 테스트(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Test) X5.6-1993(패널 시스템 테스트)을 만족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녹다운(knock down) 벽 패널 시스템이라고 일반적으로 칭해지는, 적소에 조립되는 다수의 개개의 구성 요소로부터 구성되는 벽 패널 시스템이 미국 특허 제6,079,173호 및 제6,009,675호(Waalkes 등)에 공지되어 있다. 녹다운 벽 패널 시스템은 여러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이들 시스템은 개개의 벽 패널의 최종 크기 및 구조에 상관 없이, 엘리베이터, 계단통 등과 같은 것에 용이하게 선적되어 업무공간으로 운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녹다운 벽 패널 시스템은 설치중에 소요 시간이 길고 노동 집약적이라는 단점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고도로 능숙한 기술자를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Yu 등으로부터 공지된 바와 같은 모듈식 벽 패널 구조는 숙달되지 않은 기술자, 예를 들어 자격증을 가진 전기 기술자, 인증된 배선 설비공 및 목수에 의해서 쉽게 조립될 수 있고 또한 덜 노동 집약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모듈식 벽 패널 시스템은 조립 위치로 운반 및 전달하기 위해 그 크기가 제한된다. 대형의 모듈식 벽 패널이 미리 제조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이들은 일반적인 엘리베이터나 계단통 등과 같은 것에 의해 운반될 수 없다.
베이스 패널과 부차 패널로 이루어진 모듈식 벽 패널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이들 패널은 U자형 프레임 부재로 구성된다. 이들 패널은 벽 패널의 전체 높이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서, 상하로 적재 가능하다. 개개의 패널은 인접하는 패널 단부를 중첩시키는 U자형 프레임 부재 내에 삽입되는 작은 금속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상호 연결된다. 이들 플레이트는 U자형 프레임 부재에 볼트 결합되어 강한 부하 지지 구조를 형성한다. 본원의 양수인인, 미국 뉴저지, 파인 브룩의 Design Resource Group Internationl사로부터 입수 가능한 이러한 모듈식 벽 패널 시스템은 Waalkes 등의 특허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녹다운 벽 패널 시스템으로부터 발생되는 문제점을 고려한 것이다. "A Totally New Concept in Office Furniture Systems"라는 표제의 Design Resource Group사의 카탈로그를 참조할 수 있다. 그러나, Yu 등의 특허에 개시된 벽 패널 시스템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모듈식 벽 패널 시스템을 구조적으로 개선시켜야 할 필요성이 여전히 남아 있다.
따라서, 축조되었을 때 사무실 업무 공간 등을 설계함에 있어서 구조적인 일체성을 가지게 되는, 적소에 용이하게 운반 및 전달될 수 있는 모듈식 벽 패널 시스템의 개선에 대한 필요성이 남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넓게는, 다양한 구조로 조립될 수 있는 모듈식 설계의 벽 패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동력 소요를 최소화 하고 기술자 숙련을 최소화 하여 간단하게 축조할 수 있는 벽 패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엘리베이터, 계단통 등과 같은 것을 통해 운반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조립 위치로의 전달중에 최소한의 공간을 차지하는 벽 패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반, 파일 캐비넷 등과 같은 지지되는 가구 구성 요소를 위한 부하 지지 능력을 제공하는 벽 패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체 높이의 분할 벽을 생성하기 위해서 바닥으로부터 천정까지 연장하는 벽 패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너트 및 볼트를 사용하여, 포스트로 조립된 용접된 튜브형 프레임으로부터 형성된 벽 패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복수의 모듈식 벽 패널을 포함하는 사무실 업무 공간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상이한 크기와 구성을 갖는 다양한 덮개 패널을 지지하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다양한 높이를 갖는 일련의 벽 패널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3은 다양한 크기와 구성을 갖는 다양한 덮개 패널을 지지하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다양한 높이를 갖는 일련의 연장된 폭을 갖는 벽 패널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베이스 프레임의 정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베이스 프레임의 우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베이스 프레임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연장 프레임의 정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연장 프레임의 우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연장 프레임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연장 프레임의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연장 프레임의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연장 프레임의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연결 포스트의 우측면도.
도 14는 도 13의 연결 포스트의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조립된 모듈식 벽 패널의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조립된 모듈식 벽 패널의 정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조립된 모듈식 벽 패널의 정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조립된 모듈식 벽 패널의 정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조립된 모듈식 벽 패널의 정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조립된 모듈식 벽 패널의 정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조립된 모듈식 벽 패널의 정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조립된 모듈식 벽 패널의 정면도.
도 23은 포스트 커넥터의 한 구성 요소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4는 도 23에 도시한 포스트 커넥터의 우측면도.
도 25는 포스트 커넥터의 다른 구성 요소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6은 조립된 관계에서의 포스트 커넥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연장된 폭을 갖는 모듈식 벽 패널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연장된 폭을 갖는 모듈식 벽 패널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연장된 폭을 갖는 모듈식 벽 패널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연장된 폭을 갖는 모듈식 벽 패널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연장된 폭을 갖는 모듈식 벽 패널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3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연장된 폭을 갖는 모듈식 벽 패널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3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연장된 폭을 갖는 모듈식 벽 패널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3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연장된 폭을 갖는 모듈식 벽 패널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35는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연장 프레임 지지체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36은 도 35에 도시한 연장 프레임 지지체의 평면도.
도 37은 도 35에 도시한 연장 프레임 지지체의 우측면도.
도 3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연장 프레임 지지체의 정면도.
도 39는 도 38에 도시한 연장 프레임 지지체의 평면도.
도 40은 4웨이(four way) 포스트 연결 브라켓의 평면도.
도 41은 도 40에 도시한 포스트 연결 브라켓의 우측면도.
도 42는 조립된 관계에 있는 한 쌍의 연결 포스트에 부착된 복수의 포스트 연결 브라켓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43은 도 42에 도시한 연결 브라켓/포스트 어셈블리의 우측면도.
도 44는 조립된 관계에 있는 세 개의 연결 포스트에 부착된 복수의 포스트 연결 브라켓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45는 도 44에 도시한 연결 브라켓/포스트 어셈블리의 우측면도.
도 46은 조립된 관계에 있는 네 개의 연결 포스트에 부착되어 있는 복수의 포스트 연결 브라켓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47은 도 46에 도시한 연결 브라켓/포스트 어셈블리의 우측면도.
도 48은 4웨이 방식의 포스트 연결 브라켓에 부착되어 있는 설치된 장식용 덮개 패널을 갖는 네 개의 모듈식 벽 패널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49는 도 1에서 라인 49-49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업무 공간
102:벽 패널
106:탁상 작업면
108:보관용 구획
110:선반
114:벽 패널
116:덮개 패널
118:윈도 패널
122:베이스 프레임
124, 126, 128, 130:프레임 부재
132:관통 구멍
134:키홀 형상 구멍
140, 148:연장 프레임
138, 142, 144, 146:연장 부재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르면, 일체적으로 함께 연결되어 상호 이격된측부 프레임 부재와 상호 이격된 상부 및 하부 프레임 부재를 형성하는 복수의 신장형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장방형 베이스 프레임과, 한 쌍의 상호 신장형 측부 연장 부재와 이 측부 연장 부재에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횡방향으로 배열된 신장형 상부 연장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부재와 함께 배열되어 대응하는 측부 프레임 부재가 대응하는 측부 연장 부재와 일직선상에 배열되도록 하는 제1 연장 프레임과, 각각의 상기 측부 프레임 부재의 길이보다 길이가 길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연장 프레임을 조립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각각 상기 측부 프레임 부재 중 하나 및 상기 측부 연장 부재 중 하나에 부착될 수 있는 것인 한 쌍의 신장형 연결 포스트로 이루어지는 벽 패널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상호 이격된 측부 프레임 부재와 상호 이격된 상부 및 하부 프레임 부재를 형성하는 복수의 신장형 프레임 부재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장방형 베이스 프레임과, 한 쌍의 상호 이격된 신장형 측부 연장 부재 및 상기 측부 연장 부재에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횡방향으로 배열된 신장형 제1 연결 부재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함께 배열되어 대응하는 상기 프레임 부재가 대응하는 상기 측부 연장 부재와 함께 일직선상에 정렬되도록 하는 복수의 제1 연장 프레임과, 각각의 상기 측부 프레임 부재의 길이보다 길이가 길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 연장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조립되어 있는 상태에 있도록 유지하기 위해 상기 측부 프레임 부재 중 하나 및 상기 측부 연장 부재 중 하나에 각각 부착되는 복수의 신장형 연결 포스트를 포함하는 벽 패널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제1 및 제2 벽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벽 패널은,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상호 이격된 측부 프레임 부재와 상호 이격된 상부 및 하부 프레임 부재를 함께 형성하는 복수의 신장형 프레임 부재를 가지는 장방형 베이스 프레임과, 한 쌍의 상호 이격된 신장형 측부 연장 부재와 상기 측부 연장 부재에 일체적으로 연결된 횡방향으로 배열된 신장형 상부 연장 부재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함께 배열되어 상기 측부 연장 부재가 대응하는 측부 프레임 부재와 일직선상에 정렬되게 하는 제1 연장 프레임과, 각각의 상기 측부 프레임 부재의 길이보다 길이가 길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연장 프레임을 조립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측부 프레임 부재 중 하나 및 상기 측부 연장 부재 중 하나에 각각 부착되어 있는 복수의 신장형 연결 포스트를 포함하는 것인 벽 패널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호 이격된 측부 프레임 부재와 상호 이격된 상부 및 하부 프레임 부재를 형성하는 복수의 신장형 프레임 부재를 함께 일체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장방형의 베이스 프레임을 형성하는 단계와, 횡방향으로 배열된 신장형 상부 연장 부재에 한 쌍의 상호 이격된 신장형 측부 연장 부재를 일체적으로 함께 연결함으로써 제1 연장 프레임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함께 상기 제1 연장 프레임을 배열하여 대응하는 측부 프레임 부재가 대응하는 측부 연장 부재와 일직선상에 정렬되도록 하는 단계와, 각각의 상기 측부 프레임 부재의 길이보다 길이가 긴 한 쌍의 신장형 연결 포스트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1 연장 프레임을 조립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측부 프레임 부재 중 하나 및 상기 측부 연장 부재 중 하나에 각각 상기 연결 포스트를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벽 패널 제조 방법이 지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일체적으로 용접된 장방형 베이스 프레임과, 일체적으로 용접된 연장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연장 프레임을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상에 배열되도록 연결시키는 한 쌍의 포스트를 포함하며, 상기 포스트의 길이는 패널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길이가 동일한 것인 벽 패널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벽 패널 시스템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 이하의 내용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상기 설명,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더욱 완전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특정 용어는 설명의 명확화를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 용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각각의 특정 용어는 유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하는 모든 기술적인 등가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을 살펴보면, 유사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며, 도 1에는 참조 번호 100으로 사무실 업무 공간을 나타내었다. 설명을 위해서, 업무 공간(100)은 일반적으로 참조 번호 104로 지시되는 어느 정도 개인적인 구석 자리를 형성하기 위해 적소에 조립되어 결합되는 상이한 폭 및 높이의 복수의 모듈식 벽 패널(102)로 구성된다. 다양한 높이와 폭을 포함하는 벽 패널(102)의 다른 배열 및 구성도 본 발명의 벽 패널 시스템을 사용하여 설계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사무소 업무 공간(100)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탁상 작업면(106), 폐쇄 캐비넷과 같은 복수의 보관용 구획(108), 걸려 있는 선반(110) 및 복수의 바닥 지지된 보관 서랍(112)이 제공된다. 보관용 구획(108), 선반(110) 및 탁상 작업면(106)의 일부는 벽 패널(102)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점에서, 벽 패널(102)은 책, 컴퓨터, 기타 사무용 설비 및 물품들과 같은 수용 또는 지지되는 물건들 및 상기 구성 요소들을 지지하기 위해 부하 지지체가 되는 것으로 설계된다.
벽 패널(102)은 사무실 업무 공간(100)을 설계함에 있어서 적소에 조립될 때 다양한 폭과 높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벽 패널(102)은 24 인치의 폭을 가질 수 있으며, 한편 연장된 폭을 갖는 벽 패널은 48 인치 이하 또는 원한다면 그 이상의 폭을 가질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상이한 폭도 생각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벽 패널(102)은, 작은 폭으로 설계되든 연장된 폭으로 설계되든, 높이가 18 인치 내지 120 인치로 가변적이다. 예를 들자면, 벽 패널(102)은 30 인치, 39 인치, 48 인치, 57 인치, 66 인치, 84 인치, 102 인치 및 120 인치의 높이를 갖는 것으로 설명될 것이다. 이들 특정 높이의 벽 패널(102)은 예시를 위한 것에 불과하며, 특정 사무실 업무 공간(100)에 요구되는 바에 따라서 다른 높이가 고려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비추어 벽 패널(102)의 구성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될 것인 바와 같이, 높이 및 폭을 달리하는 것은 쉽게 행해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다양한 패턴의 덮개 패널(116)이 제공된 다양한 높이의 일련의 벽 패널(114)이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벽 패널(114a)은 30 인치의 높이를 가지며, 벽 패널(114b)는 39 인치의 높이를 가지며, 벽 패널(114c)은 48 인치의높이를 가지며, 벽 패널(114d)는 57 인치의 높이를 가지며, 벽 패널(114e)은 66 인치의 높이를 가지며, 벽 패널(114f)는 84 인치의 높이를 가진다. 각각의 벽 패널(114)에는 단일의 덮개 패널 또는 다양한 크기의 다수의 덮개 패널이 제공된다. 또한, 하나 이상의 윈도 패널(118)이 원하는 바에 따라 덮개 패널(116)을 따라서 벽 패널(114)에 통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 패널(102)은 다양한 높이를 갖는 폭이 연장된 또는 폭이 두배인 벽 패널(120)로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높이가 30 인치인 벽 패널(120a), 높이가 39 인치인 벽 패널(120b), 높이가 48 인치인 벽 패널(120c), 높이가 57 인치인 벽 패널(120d), 높이가 66 인치인 벽 패널(120e) 및 높이가 84 인치인 벽 패널(120f)이 도시되어 있다. 연장된 폭을 갖는 벽 패널(120)에는 다양한 크기의 하나 이상의 덮개 패널(116) 및 윈도 패널(120)이 제공된다. 벽 패널(114) 및 연장된 폭을 갖는 벽 패널(120)에 대한 상기 설명으로부터, 사무실 업무 공간(100)을 축조함에 있어서 무한히 다양한 폭, 높이, 형상 및 배열이 가능하다.
간략히 설명하자면, 윈도 패널(118)은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일 수 있는 유리 또는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투명 윈도 패널(118)은 투시 특성을 부여함에 반해서 반투명 윈도 패널은 약간 투시성을 부여하지만 프라이버시를 보장한다. 덮개 패널(116)은 다양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 패널(116)은 사무실 업무 공간(100)의 원하는 미적 외관을 얻기 위해서, 페인트칠된 표면일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직물, 코르크, 벽지 또는 기타 장식재와 같은 다양한 재료로 피복될 수도 있다. 덮개 패널(116)은 그림, 벽화 등과 같은 것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이미지를 갖는 것일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한 쌍의 상호 이격된 신장형 측부 프레임 부재(124, 126) 및 한 쌍의 상호 이격된 신장형 상부 및 하부 프레임 부재(128, 130)로부터 구성되는 장방형 베이스 프레임(122)이 도시되어 있다. 측부, 상부 및 하부 부재(124, 126, 128, 130)는 일반적으로 장방형의 단면을 갖는데, 즉 인접하는 변이 상이한 폭을 갖는다. 그러나, 정방형, 다각형 등과 같은 다른 형상도 가능하다. 대향하는 쪽의 면에는 일반적으로, 복수의 부착 구멍 및 하나 이상의 신장형 관통 구멍(132)이 제공된다. 관통 구멍(132)은 이들 벽 패널(102) 사이에서 내부적으로 전기선, 전화선, 컴퓨터선 또는 기타의 와이어와 같은 각종 배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측부 프레임 부재(124, 126)의 전방면 및 후방면에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위치에 위치되는 복수의 키홀 형상 구멍(134)이 제공된다.
베이스 프레임(122)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프레임 부재(128, 130)는 측부 프레임 부재(124, 126)의 단부에 인접하게 배열된다. 측부 프레임 부재, 상부 및 하부 프레임 부재는 모듈식 프레임 부재를 형성하기 위해서, 이들의 접촉 위치에서 용접 등에 의해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측부 프레임 부재, 상부 및 하부 프레임 부재는, 벽 패널을 위해 요구되는 크기 및 부하 지지 능력을 얻기 위해 다양한 규격 및 단면 크기를 갖는, 압연강과 같은 다양한 금속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베이스 프레임(136)이 도시되어 있다. 베이스 프레임(136)은 베이스 프레임(122)과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측부 프레임 부재(124, 126)에는 상부 프레임 부재(128)의 위치를 지나서 상방향으로 연장하는 자유 단부가 제공된다. 자유 단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증가된 높이의 조립된 벽 패널의 강성 및 구조적 일체성을 향상시키는 연장 부재(138)를 형성한다.
벽 패널(114) 및 연장된 벽 패널(120)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프레임(122, 136) 및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연장 프레임을 포함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한 쌍의 상호 이격된 신장형 측부 연장 부재(142, 144) 및 횡방향으로 배열된 신장형 상부 연장 부재 또는 연결 부재(146)로부터 연장 프레임(140)이 구성된다. 측부 및 상부 연장 부재(142, 144, 146)는 베이스 프레임(122)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측부 및 상부 프레임 부재(124, 126, 128)와 유사한 구조로 되어 있다. 측부 및 상부 연장 부재는 일반적으로 일체형인 모듈식 U자형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해서 용접 등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측부 연장 부재(142, 144) 사이의 간격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벽 패널을 조립할 때 정렬을 가능케 하기 위해 베이스 프레임(122, 136)의 측부 프레임 부재(124, 126) 사이의 간격에 대응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연장 프레임(148)은 측부 연장 부재(142, 144)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열되고 상부 연장 부재(146)로부터 이격되어 배열된 하부의 연장 또는 연결 부재(150)를 포함한다. 하부 연장 부재(150)는, 측부 연장 부재(142, 144)가 연장 프레임(140)의 길이에 비해서 더길게 되어 있는 경우에 구조적 일체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연장 프레임(148)에 통합된다. 이러한 점에서, 연장 프레임(148)의 높이는 신장형 측부 연장 부재(142, 144)에 의해서 연장 프레임(140)의 높이보다 크다. 하부 연장 부재(150)는, 베이스 프레임(136)의 측부 프레임 부재(124, 126)에 대해 개시되어 있는 것과 유사한 연장부(152)를 제공하기 위해서, 측부 연장 부재(142, 144)의 자유 단부의 내측 방향으로 위치된다. 본질적으로, 연장 프레임(148)은 베이스 프레임(136)과 형태가 거꾸로이다.
따라서, 연장 프레임(148)의 높이는 측부 연장 부재(142, 144)의 길이에 좌우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 프레임(154)은 연장 프레임(148)에 대해 개시되어 있는 것보다 길이가 긴 측부 연장 부재(142, 144)를 갖는다. 연장 프레임(154)은 연장 프레임(140, 148)과 마찬가지로, 일체형 모듈식 프레임을 제공하기 위해 용접된 구조로 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36) 및 연장 프레임(148)의 자유 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연장부(138, 152)는 베이스 프레임과 연장 프레임을 결합 조립할 때 벽 패널에 증가된 구조적 강성을 제공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연장 프레임(156)이 도시되어 있다. 측부 연장 부재(142, 148)에는 상부 연장 부재(146)의 위치를 지나 상방향으로 연장하는 자유 단부가 제공된다. 자유 단부는 측부 연장 부재(142, 144)의 대향하는 단부에서, 연장부(152)와 동일한 방식으로 연장부(158)를 형성한다. 연장 프레임(156)은 다양한 높이, 예를 들어 약 84 인치 이상의 높이를 갖는 벽 패널을 조립할 때, 중간 연장 프레임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연장 프레임(160)이 도시되어 있다. 연장 프레임(160)은 또한 일반적으로 약 102 인치 이상의 높이를 갖는 벽 패널을 조립할 때 중간 연장 프레임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연장 프레임(160)은 한 쌍의 신장형 측부 연장 부재(142, 144) 및 횡방향 배열된 신장형 연결 연장 부재(162)로부터 구성된다. 연결 연장 부재(162)는 각각의 연장부(152, 158)를 형성하는 자유 단부를 제공하기 위해서, 측부 연장 부재(142, 144)의 길이를 따라 대략 중앙에 배열된다. 그러나, 연결 연장 부재(162)는 측부 연장 부재(142, 144)의 길이를 따라 다른 위치에 배열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베이스 프레임(122, 136) 및 연장 프레임(140, 148, 154, 156, 160)은 원하는 높이 및 구성으로 벽 패널(102)을 조립하기 위해서 모듈식 건축 블록으로서 사용된다. 베이스 프레임 및 연장 프레임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장형 연결 포스트(164)를 사용함으로써 상호 강하게 연결된다. 연결 포스트는 일반적으로, 베이스 프레임(122, 136)을 구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측부 프레임 부재(124, 126)와 유사한 폭을 갖는 장방형 중공 부재의 성질을 갖는다. 연결 포스트(164)의 측부 대면하는 부재에는 복수의 관통 구멍 및 신장형 개구(132)가 제공된다. 이들 구멍 및 개구(132)는 측부 프레임 부재(124, 126) 상의 대응하는 구멍 및 신장형 개구(132)와, 그리고 측부 연장 부재(142, 144)의 구멍 및 개구와 정합하고 정렬되도록 이격되게 구성되어 있다. 연결 포스트(164)의 전방면 및 후방면에는 종방향으로 정렬되게 배열된 일반적으로 신장되어 있는 복수의 장방형 슬롯(166)이 제공된다. 슬롯(166)은 선반, 책꽂이 및 기타 사무용 가구 품목을 벽 패널(102)에 부착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종래의 브라켓의 후크부를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연결 포스트(164)는 측부 프레임 부재(124, 126)와 구조적으로 유사한, 금속 재료, 바람직하게는 냉간 압연강으로 구성된다.
다양한 베이스 프레임(122, 136) 및 연장 프레임(140, 148, 154, 156, 160)과 연결 포스트 사이의 조립 관계로부터 구성되는 벽 패널(102)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높이가 18 내지 30 인치인 벽 패널(114a)이 도시되어 있다. 벽 패널은 측부 프레임 부재(124, 126) 중 하나의 길이를 따라서 종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연결 포스트(164)를 부착함으로써 조립된다. 이는 연결 포스트(164) 및 측부 프레임 부재(124, 126)에 제공되는 정렬된 구멍을 통해 연장하는 볼트 또는 기타 적당한 패스너를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두 개의 연결 포스트(164)가 개시되어 있지만, 단 하나의 연결 포스트가 요구된다. 이러한 점에서, 베이스 프레임 중 하나에 연결된 공통의 연결 포스트(164)를 사용하여 베이스 프레임(122, 136)이 함께 연결된다. 연결 포스트(164)는 측부 프레임 부재(124, 126)의 길이에 대체로 상응하는 길이를 갖는다. 모듈식 벽 패널(114a)은 측부 프레임 부재(124, 126)의 단부에 삽입되는 한 쌍의 푸트 플러그(foot plug; 168)에 의해 지지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연장 프레임(148)과 베이스 프레임(136)을 함께 연결시킴으로써 벽 패널(114b)이 구성된다. 연장 프레임(148)은 측부 연장 부재(142, 144)와 일직선상에 정렬되도록 배열되어 있는 대응하는 측부 프레임 부재(124, 126)와베이스 프레임(136)을 중첩시키도록 배열되어 있다. 연결 포스트(164)는 측부 프레임 부재(124, 126) 중 하나 또는 둘 모두 및 측부 연장 부재(142, 144)에, 앞서 언급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부착된다. 연결 포스트(164)는 베이스 프레임(136)의 하부로부터 연장 프레임(148)의 상부에까지 연장하는 길이를 갖는다.
베이스 프레임(136)은 베이스 프레임(122)으로 대체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측부 연장 부재(142, 144)는 베이스 프레임(136)의 자유 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연장부(138)의 생략을 수용할 수 있도록 길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연장 프레임(148)은 벽 패널(114c)에 대해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연결 포스트(164)에 의해서 가교(架橋)되는 틈새를 제공하기 위해서 베이스 프레임(136)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다시, 베이스 패널(136)은 베이스 페널(122)로 대체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벽 패널(114d)은 한 쌍의 상호 이격된 연결 포스트(164)를 사용하여 연장 프레임(148)에 베이스 프레임(136)을 연결시킴으로써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프레임(148)은 연결 포스트(164)에 의해 가교되어 있는 연장부(138, 152) 사이의 틈새를 형성하기 위해서 베이스 프레임(136)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연장 프레임(148)을 연장 프레임(154)으로 대체하는 것은 더 큰 높이의 벽 패널(114e)의 구조를 가능하게 하는데, 이에 대해서 도 19조를 참조하라. 연장 프레임(140, 148, 154)은 다양한 높이의 벽 패널을 제공하기 위해서 베이스 프레임(136) 또는 베이스 프레임(122)에 부착된다. 따라서 설명되어 있는 한도 내에서, 벽 패널(114a, 114b, 114c, 114d, 114e)은 약 30 인치 내지 약 66 인치의 범위 내에 있다. 일반적으로, 사무실 업무 공간에 많이 사용되는 벽 패널 시스템에 대해서 표준적인 높이는 66 인치이다.
본 발명의 벽 패널 시스템은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66 인치 이상, 예를 들어 120 인치 이하의 높이를 갖는 벽 패널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은 벽 패널(114f)은 베이스 프레임(136)과 한 쌍의 연장 프레임(140, 156)으로 구성된다. 연장 프레임(140, 156)은 서로에 대하여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136)에 대하여 공간적으로 이격되어 있는 관계로 배열되어서 원하는 높이, 예를 들어 84 인치의 높이를 얻게 된다. 연장 프레임(140, 156)과 베이스 프레임(136) 사이의 틈새는 연결 포스트(164)에 의해 가교된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 패널(114g)은 연장 프레임(140)과 연장 프레임(156) 사이에 배열되는 연장 프레임(160)을 더 포함한다. 벽 패널(114g)의 전체 높이는 예를 들어 102 인치이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 패널의 전체 높이를 예를 들어 120 인치로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서 하부 연장 프레임(140) 아래에 제2 연장 프레임(160)이 제공된다. 이 높이에서, 벽 패널(114h)은 바닥으로부터 천정에 이르는 벽 패널인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벽 패널은 다양한 설계 및 사무실 업무 공간의 구조를 수용하기 위해 무한히 다양한 높이로 구성될 수 있다.
벽 패널의 높이가 예를 들어 66 인치 이상으로 증가할 때, 운반을 위한 전체 높이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적소에 함께 연결된 두 개의 구성 요소로서 연결 포스트(164)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개의 연결 포스트(164)를 종방향으로 정렬시켜 연결하는 것은 금속 플레이트 등과 같은 수 많은 임의의 커넥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한 가지 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고 일반적으로 참조 번호 170으로 지시되는 커넥터(170)가 도 23 내지 도 26에 도시되어 있다. 포스트 커넥터(170)는 한 쌍의 U자형 신장형 연결 부재(172, 174)로 구성된다. 연결 부재(172, 174) 중 각각은 다른 쪽보다 긴 다리를 갖는다. 연결 부재(172, 174)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포스트(164)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종방향으로 깍지 모양으로 맞물리게 될 수 있다. 포스트 커넥터(170)는 인접하는 연결 포스트(164) 사이의 이음부를 가교하게 된다.
연결 부재(172, 174)에는 상호에 대해 정렬될 수 있는 복수의 개구(176)가 제공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개구(176)가 나사 절삭된 보스(178)에 의해 둘러싸이게 되는데, 도 24를 참조하라. 나사 절삭된 보스는 연결 포스트 내의 개구를 통해 연장하는 나사 절삭된 볼트를 사용하여 연결 포스트(164)에 포스트 커넥터(170)를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더 큰 높이를 갖는 벽 패널을 수용하도록 종방향으로 정렬되게 두 개의 연결 포스트(164)가 함께 연결될 수 있다.
도 27 내지 도 34에 대해서 일련의 연장된 벽 패널(120)을 설명하도록 한다. 연장된 벽 패널(120)은 벽 패널(114)과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되지만, 폭이 더 넓고 지지 부재가 있다. 예를 들어, 벽 패널(120)은 벽 패널(114)의 폭의 두배일 수 있다. 그러나, 연장된 벽 패널(120)의 폭은 벽 패널(114)의 폭의 두배보다 클 수도 있고 작을 수도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베이스 프레임(122) 및 한 쌍의 부착된 연결 포스트(164)로 형성된 연장된 벽 패널(120a)이 도시되어 있다. 연장된 벽 패널(120b, 120c)은 도 28 및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연결 포스트(164)에 의해 연결된 베이스 패널(136) 및 연장 패널로 구성된다. 연장된 벽 패널(120d)은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연결 포스트(164)에 의해 연결된 베이스 프레임(136) 및 연장 프레임(148)을 포함하는 한편, 연장된 벽 패널(120e)은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 패널(154)을 포함한다. 연장된 벽 패널(120f)은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상호 이격된 연결 포스트(164)에 의해 함께 연결되는 베이스 프레임(136) 및 연장 프레임(140, 156)을 포함한다. 연장된 벽 패널(120g)은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연결 포스트(164)에 의해 함께 연결되는 베이스 프레임(136) 및 연장 프레임(140, 156, 160)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연장된 벽 패널(120h)은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가의 연장 프레임(160)을 포함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36)은 원하는 바에 따라서, 베이스 프레임(122)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벽 패널(114)에서와 마찬가지로, 연장 프레임(140, 148, 154, 156, 160)은 서로에 대해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122, 136)에 대해 이격되어 이들 사이에 틈새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들 틈새는 연결 포스트(164)에 의해 가교된다.
연장된 벽 패널(120)의 폭이 증가할 때, 더 큰 폭을 수용하기 위해 내부 지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5 내지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80)는, 한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키홀 형상 개구(134) 및 신장형 장방형 슬롯(166)이 구비된 전방면(182)을 갖는 신장형 U자형 개방체의 성질을 갖도록 구성된다. 지지 부재(180)의 측면(184)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내부 배선의 통과를 가능케 하는 하나 이상의 신장형 개구(132)가 제공된다. 키홀 형상 개구(134)는 하나 이상의 덮개 패널(116)의 부착을 허용하는 한편, 장방형 슬롯(166)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의 후크 브라켓의 부착을 허용한다. 이러한 점에서, 신장형 슬롯(166)은 지지 부재(180)의 중앙에서 공간적으로 다소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덮개 패널을 사용함으로써 노출될 수 있다. 그러나, 원하는 바에 따라 단일의 덮개 패널(116)이 사용되어 슬롯(166)을 피복할 수도 있다. 지지 부재(180)는 바람직하게는, 일반적으로 횡방향 배열 상태로, 각각의 상부 및 하부 측부 프레임 부재(128, 130) 및 각각의 상부 및 하부 연장 부재(146, 150)에 그 대향하는 단부에서 용접된다. 지지 부재(180)의 길이는 지지 부재에 의해 가교되는 간격에 따라서 변화하게 된다.
지지 부재(180)는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프레임 또는 연장 프레임의 제조중에 떨어져 있는 베이스 프레임 또는 연장 프레임에 용접된다. 이는 폐쇄 장방형 프레임과 같은 특성을 갖는 베이스 프레임(122, 136) 및 연장 프레임(148, 150, 156)에 의해 수용된다. 한편, 연장 프레임(140, 160)의 개방 프레임 특성은 제조중에 지지 부재를 용접하기에 적합하도록 하지 않는다. 또한, 연장 프레임(140, 148, 154, 156, 160)의 다양한 조합으로부터 이중의 벽 패널(120)의 구성은 인접한 연장 프레임 사이의 지지되지 않는 간격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현장에서 설치될 수 있는 지지 부재(186)가 제공된다.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장방형의 단면을 가지는 신장형 튜브형 부재로서 구성되는 지지 부재(186)가 도 38 및 도 39에 도시되어 있다. 지지 부재(186)는 지지 부재(180)와 유사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지지 부재(186)에는 한쪽 단부에 L자형 플랜지(188)가 그리고 다른쪽 단부에 U자형 플랜지(190)가 제공된다. L자형 플랜지(188)에는 단일의 외향 돌출 플랜지(192)가 제공되며, 한편 U자형 플랜지에는 두 개의 상호 이격된 외향 돌출 플랜지(194)가 제공된다. 플랜지(192, 194)에는 지지 부재(186)의 부착을 촉진하기 위해 개구가 제공될 수 있다. 한 예에 의하면, 이중 벽 패널(120f)를 참조하면, 베이스 프레임(136)과 연장 프레임(156) 사이에 지지 부재(186)가 위치된다. 연장 프레임(140, 146) 사이에 다른 지지 부재(186)가 위치된다. L자형 플랜지(188) 및 U자형 플랜지(190)는 도 39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또는 하부 프레임 부재(128, 130) 또는 상부 및 하부 연장 부재(146, 150) 중 하나를 수용한다. 현장 부착은 플랜지(192, 194) 내의 관통 구멍에 의해 나사, 볼트 등을 사용하여 행해진다.
지지 플랜지(180, 186)의 조합은 연장된 벽 패널(120)에, 일반적으로 참조 번호 196으로 지시되는 중심 배열된 종방향 스파인(spine) 부재를 제공한다. 스파인 부재(196)는 연장된 벽 패널(120)의 전체 높이를 연장하여, 내부 지지체를 제공하고 이에 의해 벽 패널의 강성 및 부하 지지 능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스파인 부재(196)는 덮개 패널(116)의 부착 및, 선반, 캐비넷 등과 같은 부착물의 부착을 촉진한다.
벽 패널(114, 120)은 다양한 구조로 조립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벽 패널(114, 120)은 나란한 관계를 갖도록 인접한 벽 패널에 부착되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벽 패널(114, 120)은 동일 선상에 정렬되도록 연결되어, 상호 직각을 이루도록 직선형 벽 섹션을 형성하고 T자형 배열로 된 세 개의 벽 패널 또는 X자형 배열로 된 네 개의 벽 패널을 형성한다. 이상의 벽 패널(114, 120) 구조는 일반적으로 사무실 업무 공간 등과 같은 곳에서 파티션을 형성하는 데에 사용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도 40 및 도 41에 포스트 연결 브라켓(198)이 개시되어 있다. 이 브라켓(198)은 일반적으로, 상부 부재(199) 및 그로부터 연장하는 측부(200)를 갖는 직사각 금속체로 구성되는데, 상부 부재 및 측부는 중앙 오목부를 갖도록 형성된다. 연결 브라켓(198)의 일부로서 형성된 각각의 오목부(202)에는 연결 플레이트(204)가 제공된다. 조립된 상태로, 복수의 벽 패널(114, 120)을 부착시키기 위해 포스트 연결 브라켓(198)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도 43 내지 도 4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2 및 도 43을 참조하면, 연결 브라켓(198)은 서로에 대해 직각인 두 개의 벽 패널(114, 120)을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복수의 연결 브라켓(198)은 연결 포스트(164)의 길이를 따라 공간적으로 이격되어 있는 상태로 용접될 수 있다. 연결 포스트(164)는 연결 플레이트(204)에 대해 접촉하는 오목부(202) 내에 수용된다. 사무실 업무 공간의 설계 및 요구 사항에 기초하여, 연결 브라켓(198)은 요구되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연결 포스트(164)에 미리 조립되게 된다. 조립 위치에서, 베이스 프레임(122, 136)의 측부 프레임 부재(124, 126) 및/또는 연장 프레임(140, 148, 154, 156, 160) 중 하나의 측부 연장 부재(142, 144)는, 연결 브라켓(198)에 미리 부착되어 있던 연결 포스트(164)에 부착되게 된다. 부착은 예를 들어 정렬된 관통 구멍을 통해 연장하는 볼트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벽패널(114, 120)은 초기에 단 하나의 연결 포스트(164)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생략된 연결 포스트는 연결 브라켓(198)에 용접된 또는 달리 부착된 연결 포스트에 의해 제공된다.
제2 벽 패널(114, 120)은 그 연결 포스트(164)를 통해서, 오목부(202) 내에 수용됨으로써 복수의 연결 브라켓(198)에 부착되게 된다. 연결 포스트(164)는 연결 플레이트(204) 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연장하는 볼트 등을 사용하여 연결 브라켓에 부착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도 44 및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 개의 벽 패널(114, 120)이 T자형 배열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46 내지 도 4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 개의 벽 패널이 X자형 배열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인접한 벽 패널(114, 120)이 일직선상에 나란히 정렬되도록 조립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점에서, 단 하나의 단일 공통 연결 포스트(164)가 요구된다. 즉, 베이스 프레임(122, 136)의 측부 프레임 부재(124, 126) 및 연장 프레임(140, 148, 154, 156, 160)의 측부 연장 부재(142, 144)는 공통 연결 포스트(164)의 어느 한쪽에 부착된다.
도 48 및 도 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버튼 커넥터(206)를 사용하여 벽 패널(114, 120)에 덮개 패널(116)이 부착된다. 버튼 커넥터(206)는 덮개 패널(116) 내의 개구를 통해 부착되는 버튼 커넥터를 유지하는 플랜지(208)를 갖는다. 버튼 커넥터(206)의 다른 단부에는 측부 프레임 부재(124, 126) 및 측부 연장 부재(142, 144)에 제공되는 키홀(134)을 통해 수용되는 삼각형 단부가 제공된다. 덮개 패널(116)은 사무실 업무 공간에 대한 원하는 미적 외관을 제공하기 위해서,다양한 장식용 외표면을 가질 수도 있다. 덮개 패널(116)은 또한 방화 및 방음재로 채워질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연결 포스트(164)는 또한 방음 특성을 제공하는 발포 폴리머 재료로 채워질 수도 있다. 또한, 이는 연결 포스트(164) 내의 대향하는 키홀 사이의 투시를 방지한다.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원리 및 적용을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의 벽 패널 시스템은 그 내용이 본원 명세서에 포함되는 Carlson, Jr 등의 미국 특허 제6,019,321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내부 배선을 허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에 수 많은 다양한 수정이 가해질 수 있으며,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기타의 배열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과 같은 본원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축조되었을 때 사무실 업무 공간 등을 설계함에 있어서 구조적인 일체성을 가지게 되면서, 적소에 용이하게 운반 및 전달될 수 있는 모듈식 벽 패널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원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모듈식 벽 패널 시스템은 다양한 구조로 조립될 수 있고, 설치시 노동력 소요를 최소화 하고 기술자 숙련을 최소화하며, 간단하게 축조할 수 있고, 또한 엘리베이터, 계단통 등과 같은 것을 통해 운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조립 위치로의 전달중에 최소한의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또한, 본원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선반, 파일 캐비넷 등과 같은 지지되는가구 구성 요소를 위한 부하 지지 능력을 제공하는 벽 패널 시스템이 제공된다.

Claims (61)

  1. 일체적으로 함께 연결되어 상호 이격된 측부 프레임 부재와 상호 이격된 상부 및 하부 프레임 부재를 형성하는 복수의 신장형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장방형 베이스 프레임과,
    한 쌍의 상호 이격된 신장형 측부 연장 부재와, 이 측부 연장 부재에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횡방향으로 배열된 신장형 상부 연장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부재와 함께 배열되어 대응하는 측부 프레임 부재가 대응하는 측부 연장 부재와 동일 직선상에 배열되도록 하는 제1 연장 프레임과,
    각각의 상기 측부 프레임 부재의 길이보다 길이가 길게 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연장 프레임을 조립되어 있는 관계로 유지하기 위해 각각 상기 측부 프레임 부재 중 하나 및 상기 측부 연장 부재 중 하나에 부착될 수 있는 것인 한 쌍의 신장형 연결 포스트
    를 포함하는 벽 패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레임 부재는 함께 용접되고, 상기 측부 연장 부재와 상기 상부 연장 부재는 함께 용접되는 것인 벽 패널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측부 프레임 부재 각각은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의 위치를 지나서 연장하는 자유 단부를 포함하는 것인 벽 패널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 프레임은 상기 상부 연장 부재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상기 측부 연장 부재와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횡방향으로 배열된 신장형 하부 연장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인 벽 패널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프레임의 측부 연장 부재 각각은 상기 하부 연장 부재의 위치를 지나서 연장하는 자유 단부를 포함하는 것인 벽 패널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제1 연장 프레임 사이에 배열될 수 있는 제2 연장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연장 프레임은 한 쌍의 상호 이격된 신장형 측부 연장 부재와, 상기 제2 연장 프레임의 상기 측부 연장 부재에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횡방향으로 배열된 신장형 제1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연장 프레임의 측부 연장 부재는 상기 연결 포스트에 부착될 수 있는 것인 벽 패널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 프레임의 측부 연장 부재는 각각 그 양쪽 측부에서 상기 제1 연장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대향하는 자유 단부를 포함하는 것인 벽 패널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 프레임은 상기 제1 연결 부재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2 연장 프레임의 측부 연장 부재에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횡방향으로 배열된 제2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인 벽 패널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 프레임의 각 측부 연장 부재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연결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대향하는 자유 단부를 포함하는 것인 벽 패널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복수의 상기 제1 연장 프레임과, 복수의 상기 연결 포스트와, 복수의 제2 연장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연장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 연장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연장 프레임 각각은 한 쌍의 상호 이격된 신장형 측부 연장 부재와, 상기 제2 연장 프레임의 상기 측부 연장 부재에 일체적으로 연결된 횡방향으로 배열된 신장형 제1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연장 프레임의 상기 측부 연장 부재는 상기 연결 포스트에 부착될 수 있는 것인 벽 패널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복수의 베이스 프레임들을 일직선상에 있지 않게 정렬되도록 부착하기 위한 복수의 포스트 연결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벽 패널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대체로 평탄한 복수의 덮개 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덮개 패널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1 및 제2 연장 프레임에 중첩하도록 부착될 수 있는 것인 벽 패널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제2 연장 프레임들을 일직선상에 있지 않게 정렬되도록 연결시키기 위한 복수의 포스트 연결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벽 패널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포스트는 상기 측부 프레임 부재 중 하나 및 상기 측부 연장 부재 중 하나의 결합된 길이 이상의 길이를 갖는 것인 벽 패널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 부재 사이에서 연장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 부재 중 대응하는 하나에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대향하는 단부를 가지는 베이스 프레임 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벽 패널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 및 상기 제1 연장 프레임의 상기 상부 연장 부재에 연결될 수 있는 대향하는 단부를 갖는 연장프레임 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벽 패널 시스템.
  17. 일체적으로 함께 연결되어 상호 이격된 측부 프레임 부재와 상호 이격된 상부 및 하부 프레임 부재를 형성하는 복수의 신장형 프레임 부재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장방형 베이스 프레임과,
    한 쌍의 상호 이격된 신장형 측부 연장 부재 및 상기 측부 연장 부재에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횡방향으로 배열된 신장형 제1 연결 부재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함께 배열되어 대응하는 상기 프레임 부재가 대응하는 상기 측부 연장 부재와 함께 일직선상에 정렬되도록 하는 복수의 제1 연장 프레임과,
    각각의 상기 측부 프레임 부재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각각 가지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 연장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조립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측부 프레임 부재 중 하나 및 상기 측부 연장 부재 중 하나에 각각 부착되는 복수의 신장형 연결 포스트
    를 포함하는 벽 패널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중 적어도 두 개는 공통 연결 포스트에 일직선상에 정렬되도록 함께 연결되는 것인 벽 패널 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중 적어도 두 개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공통 연결 포스트에 부착된 커넥터에 의해서 일직선상에 있지 않게 정렬되도록 함께 연결되는 것인 벽 패널 시스템.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포스트는 방음재로 충전되어 있는 중공의 내부를 갖는 것인 벽 패널 시스템.
  21. 제17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 및 각각의 상기 연장 프레임은 용접된 구조의 것인 벽 패널 시스템.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연결 부재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상기 측부 연장 부재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횡방향으로 배열된 신장형 제2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벽 패널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연장 프레임의 각각의 상기 측부 연장 부재는 상기 제2 연결 부재의 위치를 지나서 연장하는 자유 단부를 포함하는 것인 벽 패널 시스템.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중 하나와 상기 제1 연장 프레임 중 하나 사이에 배열된 제2 연장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연장 프레임은 한 쌍의 상호 이격된 신장형 측부 연장 부재와, 상기 제2 연장 프레임의 상기 측부 연장 부제에 일체적으로 연결된 횡방향으로 배열된 신장형 제1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연장 프레임의 상기 측부 연장 부재는 상기 연결 포스트에 부착되는 것인 벽 패널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 프레임의 측부 연장 부재는 양쪽 측부에서 상기 제1 연결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대향하는 자유 단부를 포함하는 것인 벽 패널 시스템.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 프레임은 상기 제1 연결 부재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2 연장 프레임의 측부 연장 부재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횡방향으로 배열된 제2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인 벽 패널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2 연장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벽 패널 시스템.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 프레임의 상기 측부 연장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하는 대향하는 자유 단부를 포함하는 것인 벽 패널 시스템.
  29. 제17항에 있어서, 복수의 베이스 프레임을 서로 일직선상에 있지 않게 정렬되도록 부착하기 위한 복수의 포스트 연결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벽 패널 시스템.
  30. 제17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연결 포스트는 상기 측부 프레임 부재 중 하나 및 상기 측부 연장 부재 중 하나의 결합된 길이보다 더 긴 것인 벽 패널 시스템.
  31. 제17항에 있어서, 대체로 평탄한 복수의 덮개 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덮개 패널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제1 연장 프레임에 부착 가능한 것인 벽 패널 시스템.
  32. 제1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프레임 부재의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와 하부 프레임 부재 사이에서 연장하며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대향하는 단부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프레임 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벽 패널 시스템.
  3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 중 대응하는 하나와, 상기 제1 연장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연결 부재에 연결된 대향하는 단부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 프레임 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벽 패널 시스템.
  3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프레임 부재와상기 측부 연장 부재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는 상기 제1 연장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는 것이고,
    상기 틈새는 상기 연결 포스트에 의해 가교되는 것인 벽 패널 시스템.
  35.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제1 및 제2 벽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벽 패널은,
    일체적으로 함께 연결되어 상호 이격된 측부 프레임 부재와 상호 이격된 상부 및 하부 프레임 부재를 함께 형성하는 복수의 신장형 프레임 부재를 가지는 장방형 베이스 프레임과,
    한 쌍의 상호 이격된 신장형 측부 연장 부재와 상기 측부 연장 부제에 일체적으로 연결된 횡방향으로 배열된 신장형 상부 연장 부재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함께 배열되어 상기 측부 연장 부재가 대응하는 측부 프레임 부재와 일직선으로 정렬되게 하는 제1 연장 프레임과,
    각각의 상기 측부 프레임 부재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연장 프레임을 조립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측부 프레임 부재 중 하나 및 상기 측부 연장 부재 중 하나에 각각 부착되어 있는 한 쌍의 신장형 연결 포스트
    를 포함하는 것인 벽 패널 시스템.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벽 패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베이스프레임 중 하나와 상기 제1 연장 프레임 중 하나 사이에 배열되는 제2 연장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인 벽 패널 시스템.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 프레임은 한 쌍의 상호 이격된 신장형 측부 연장 부재 및 상기 제2 연장 프레임의 상기 측부 연장 부재에 일체적으로 연결된 횡방향으로 배열된 신장형 제1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연장 프레임의 상기 측부 연장 부재는 상기 연결 포스트에 부착되는 것인 벽 패널 시스템.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 프레임은 상기 제1 연결 부재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2 연장 프레임의 상기 측부 연장 부재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횡방향으로 배열된 제2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인 벽 패널 시스템.
  39.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상부 연장 부재로부터 이격되어 배열되고 상기 측부 연장 부재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횡방향으로 배열된 하부 연장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벽 패널 시스템.
  40. 제35항에 있어서, 복수의 대체로 평탄한 덮개 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덮개 패널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1 연장 프레임에 부착 가능한 것인 벽 패널 시스템.
  41.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측부 프레임 부재와 상기 측부 연장 부재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는 상기 제1 연장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며,
    상기 틈새는 상기 연결 포스트에 의해 가교되어 있는 것인 벽 패널 시스템.
  42. 상호 이격된 측부 프레임 부재와 상호 이격된 상부 및 하부 프레임 부재를 형성하는 복수의 신장형 프레임 부재를 함께 일체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장방형의 베이스 프레임을 형성하는 단계와,
    횡방향으로 배열된 신장형 상부 연장 부재에 한 쌍의 상호 이격된 신장형 측부 연장 부재를 일체적으로 함께 연결함으로써 제1 연장 프레임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함께 상기 제1 연장 프레임을 배열하여 대응하는 측부 프레임 부재가 대응하는 측부 연장 부재와 일직선상에 정렬되도록 하는 단계와,
    각각의 상기 측부 프레임 부재의 길이보다 더 긴 한 쌍의 신장형 연결 포스트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1 연장 프레임을 조립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측부 프레임 부재 중 하나 및 상기 측부 연장 부재 중 하나에 각각 상기 연결 포스트를 연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벽 패널 제조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벽 패널중 두 개를 서로 나란한 상태가 되도록 연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벽 패널은 일직선상에 있도록 정렬되는 것인 방법.
  4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벽 패널은 일직선상에 있지 않도록 정렬되는 것인 방법.
  46.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벽 패널에 중첩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덮개 패널을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7. 제43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호 이격된 신장형 측부 연장 부재와 횡방향으로 배열된 제1 연결 부재를 일체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제2 연장 프레임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부재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상기 측부 연장 부재에 대해 횡방향으로 제2 연결 부재를 일체적으로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9.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 부재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 사이의 상기 연결 포스트에 상기 제2 연장 부재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포스트는 상기 제2 연장 프레임의 상기 측부 연장 부재에 부착되는 것인 방법.
  51.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프레임 부재와 대응하는 상기 측부 연장 부재 사이에 틈새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 포스트에 의해 상기 틈새를 가교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52. 일체적으로 용접된 장방형 베이스 프레임과,
    일체적으로 용접된 연장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연장 프레임을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으로 배열되도록 연결시키는 한 쌍의 포스트
    를 포함하며,
    상기 포스트의 길이는 패널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인 벽 패널 시스템.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프레임은 한 쌍의 이격된 측부 연장 부재와 횡방향으로 배열된 제1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벽 패널 시스템.
  54.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프레임은 상기 제1 연결 부재로부터 이격된 상기 측부 연장 부재들 사이에 제2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인 벽 패널 시스템.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연장 프레임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으로 배열되는 상기 포스트들 사이에 부착된 추가의 일체적으로 용접된 연장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인 벽 패널 시스템.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연장 프레임은 장방형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인 벽 패널 시스템.
  57.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연장 프레임은 I자형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인 벽 패널 시스템.
  58.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인접한 상기 포스트 중 하나에 연결된 추가의 베이스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벽 패널 시스템.
  59.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연장 프레임은 평행한 측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포스트는 상기 측부 부재에 연결되는 것인 벽 패널 시스템.
  60.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프레임은 틈새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상기 틈새는 상기 포스트에 의해 가교되는 것인 벽 패널 시스템.
  61.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는 볼트에 의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연장 프레임에 연결되는 것인 벽 패널 시스템.
KR1020010069732A 2000-11-09 2001-11-09 벽 패널 시스템 KR200200367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0919200A 2000-11-09 2000-11-09
US09/709,192 2000-11-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6757A true KR20020036757A (ko) 2002-05-16

Family

ID=24848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9732A KR20020036757A (ko) 2000-11-09 2001-11-09 벽 패널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20036757A (ko)
CA (1) CA2361208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1881A (en) * 1985-04-30 1986-12-30 Vickers Public Limited Company Office screens and partitions
JPH02125043A (ja) * 1988-10-05 1990-05-14 Horst Meru 構造体
WO1992018717A1 (en) * 1991-04-23 1992-10-29 Precision Mfg Inc. Structural panel connector for space dividing system
US5433046A (en) * 1992-07-23 1995-07-18 Steelcase Inc. Telescoping panel construction
KR0137907B1 (ko) * 1994-05-26 1998-07-01 손동창 칸막이의 조립구조
KR19980020326U (ko) * 1996-10-11 1998-07-15 권동열 칸막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1881A (en) * 1985-04-30 1986-12-30 Vickers Public Limited Company Office screens and partitions
JPH02125043A (ja) * 1988-10-05 1990-05-14 Horst Meru 構造体
WO1992018717A1 (en) * 1991-04-23 1992-10-29 Precision Mfg Inc. Structural panel connector for space dividing system
US5433046A (en) * 1992-07-23 1995-07-18 Steelcase Inc. Telescoping panel construction
KR0137907B1 (ko) * 1994-05-26 1998-07-01 손동창 칸막이의 조립구조
KR19980020326U (ko) * 1996-10-11 1998-07-15 권동열 칸막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61208A1 (en) 200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0200B1 (en) Furniture system
US5724778A (en) Furniture system
US7469512B2 (en) Fabricated wall system
US5899025A (en) Furniture system (pathways-spaceframe)
US6460470B1 (en) Modular interior furnishing system
US5950371A (en) Column mountable shelf for furniture systems
US6301846B1 (en) Knock-down portable partition system
US7165360B2 (en) Modular room system and method
AU737123B2 (en) Knock-down portable partition system
US5014861A (en) Modular system for setting up furniture, racks, frameworks and the like
CA2272718C (en) Knock-down portable partition system
US4716692A (en) Locking system for interconnecting panels
US20070251428A1 (en) Table and method
US20050263041A1 (en) Furniture construction
US6363663B1 (en) Post engaging brackets for partitions
US8769884B2 (en) Self-supporting modular panel for office furnishing
US613484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nformation
US6076474A (en) Freestanding furniture system
US6408579B1 (en) Thin panel beam
US6003275A (en) Furniture system
US6625935B1 (en) Partition system with worktools
US3885675A (en) Construction kit for the erection of storage and display structures of varying dimensions in the form of shelves, cupboards, display cases and the like
US6481163B1 (en) Partition panel
US5251413A (en) Stabilized space dividing frames and panels
KR20020036757A (ko) 벽 패널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