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6217A - Portable Safety Display Unit using sinking signal from the external acoustic apparatus - Google Patents
Portable Safety Display Unit using sinking signal from the external acoustic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36217A KR20020036217A KR1020000066282A KR20000066282A KR20020036217A KR 20020036217 A KR20020036217 A KR 20020036217A KR 1020000066282 A KR1020000066282 A KR 1020000066282A KR 20000066282 A KR20000066282 A KR 20000066282A KR 20020036217 A KR20020036217 A KR 2002003621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external sound
- display device
- safety display
- externa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8—Visual indication of individual signal leve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개인의 안전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를 표시하는 표시장치와 이를 구동하기 위한 검출장치와 검출의 목적이 되는 입력장치로 구성된 외부음향기기에서 유입되는 신호를 이용한 개인안전표시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onal safety display device using a signal flowing from an external acoustic device consisting of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 device for displaying the safety of the individual, a detection device for driving the same, and an input device for the purpose of detection.
일반적으로 안전을 표시하는 장치로서는 자동차의 야간 운전시 경운기와 기타 자전거와 같이 뒷면에 장착된 표시등의 역할을 하는 표시기나 도로의 중앙선을 표시할 수 있는 중앙선 표시기가 있다. 하지만 불 특정하게 움직이는 사람의 표시등으로는 자동차의 빛의 반사를 이용할 수 있는 야광으로 이루어진 옷을 입음으로 운전자가 사람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미연에 사고를 방지하는 것 이외에는 별 다른 개인안전표시장치가 없었다.In general, a device for indicating safety includes an indicator serving as a light indicator mounted on a rear surface such as a cultivator and other bicycles when driving a car at night, or a centerline indicator capable of displaying a centerline of a road. However, the indicators of an unintentionally moving person are personal safety indicators other than the prevention of accidents by judging whether a driver is present by wearing clothes made of luminous lights that can use the reflection of light from a car. There was no.
특히 야간에는 외부음향재생기기와 같이 음을 들을 때는 사용자가 외부의 소리를 듣지 못하므로 자동차의 운전자가 신호음을 울려도 듣지 못하여 일어나는 사고가 있었으며 불 특정한 개인에게 안전 장치를 어떤 방식으로 효과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가 라는 필요성의 인식으로 인하여 고안된 것이다.In particular, when the user hears the sound, such as an external sound reproducing device, at night, there is an accident caused by the driver of the car not hearing even if the driver hears a beeping sound. It was designed because of the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또한 표시장치에 있어서 이어폰에 이와 유사한 기능인 LED를 안착하여 단순한 외적인 미려만을 생각한 시도가 있었지만. 보편적으로 케이스에 구멍을 내어서 케이스 외부에 LED를 장착하는 경우인데 이것은 케이스에서 돌출된 LED가 발광하는 빛이 단지 LED에 의해서만 빛나는 것으로 1개의 LED로는 빛의 밝기로 인하여 실용화가 힘든 상황에 부딪혔다.In addition, there was an attempt to think of a simple external beauty by mounting a similar function LED on the earphone in the display device. In general, when the LED is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case by making a hole in the case, the light emitted by the LED protruding from the case shines only by the LED, and one LED has encountered a difficult situation due to the brightness of the light.
이을 보안하기 위해 빛의 아름다움과 1개일 때 보다 더욱 빛나게 하기 위하여 여러 개의 LED를 장착하기 위한 방법으로 안착하려 한 경우도 있었지만 LED의 폭이 ψ2 정도 이상의 크기의 LED 때문에 이어폰 케이스의 공간적 한계로 인하여 실제로는 안착하는데 있어 실용화가 힘들며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별도의 부피를 갖는 LED를 포함할 수 있는 착용하기 힘든 케이스가 필요하다.In order to secure this, there have been cases where the beauty of the light and the way of mounting several LEDs to shine even more than one is used.However, due to the limited space of the earphone case, the LED width is larger than ψ2. Is difficult to put into practice and requires a hard-to-wear case that can include LEDs with a separate volume to implement them.
또한 LED를 여러 개 연결할 경우 LED 1개가 가지고 있는 소비전력이 켜서 휴대시 사용되는 일반 건전지의 전력 소비가 커서 실제 실용화하는데 있어 상품적 가치를 가지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 왔다.In addition, when several LEDs are connected, the power consumption of one LED is turned on, so the power consumption of general batteries used in portable devices is large, and thus there is a case that it has no commercial value in practical use.
또한 이어폰을 헤드폰에 비하여 주로 사용하는 이유로는 이어폰이 헤드폰에 비하여 부피 및 소지가 간단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LED을 구동하기 위한 최소한 2V 이상의 전압이 가해져야함으로 실제 휴대시 1.5V건전지를 사용시 최소한 2개를 사용하여야 되며 이러한 2개 이상의 전원을 사용할 경우 건전지 전원의 크기로 인하여 이어폰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장점 중인 부피의 한계점 문제가 있어 왔다.In addition, the reason why the earphone is mainly used compared to the headphones has the advantage that the earphone is simpler in volume and possession than the headphones. However, at least 2V voltage should be applied to drive the LED, so when using a 1.5V battery, you should use at least two batteries. In case of using more than two power sources, the unique advantages of earphones are due to the size of battery power. There has been a problem with the limitation of the volume being worked.
또한 위와 같이 LED를 구동하는데 있어 휴대시 LED를 항상 켜놓아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와 같은 방식은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을 때도 LED가 계속방전이 된다는 전력 낭비로 인하여 별도의 회로를 두어 또 다른 전력 소비를 생각할 수밖에 없는 한계적 사항에 놓여 왔다.In addition, in order to drive the LED as described above, it is often necessary to keep the LED on when carrying it.In this way, a separate circuit can be considered due to a waste of power that the LED is continuously discharged even when the earphone is not used. There has been a limiting limitation.
또한 사고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반듯이 필요할 수 있는 개인안전표시장치의 필요성을 인지하면서도 어떻게 소비자들이 불편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개인에게 장착 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현실로 인하여 이에 대한 진전을 보이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In addition, while aware of the necessity of a personal safety display device that may be necessary to be protected from accidents,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re was no progress toward this due to the reality that consumers do not have inconvenience and there is no way to install it naturally on the individua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특히 어두울 경우 음향재생기기의 음을 청취 중에 외부소리의 단절로 인한 사고에 노출될 수 있다는 것을 타인에게 알릴 수 있는 외부음향기기에서 유입되는 신호를 이용한 개인안전 표시장치와 이를 효과적으로 구동하기 위하여 건전지 1개인 1.5V 전압보다 더 작은 1V의 전원으로 사용이 가능한 최적의 검출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표시장치가 음의 청취목적으로 사용하는 스피커와 스피커케이스와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 장착하는 사람이 의도적으로 개인 안전표시장치를 장착하게 되는 것이 아니라 외부음향기기를 청취하면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는 외부음향기기에서 유입되는 신호를 이용한 개인안전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notified to others that in the dark, especially when listening to the sound of the sound reproducing apparatus may be exposed to accidents caused by the disconnection of external sounds. It consists of a personal safety display device using signals from external sound equipment and an optimal detection device that can be used with a 1V power supply that is smaller than 1.5V voltage per battery to operate it effectively. It is integrated with the speaker and speaker case to be used as a personal safety display, and the person who installs it is not intentionally equipped with a personal safety display device. To provide a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를 통한 외부음향기기에서 유입되는 신호를 이용한 개인안전표시장치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태도이다.1 is a state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personal safety display device using a signal flowing from an external sound device through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를 통한 외부음향기기에서 유입되는 신호를 이용한 개인안전표시장치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로도이다.2 is a circuit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personal safety display device using a signal flowing from an external sound device through a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음향기기에서 유입되는 신호를 이용한 개인안전표시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태도이다.3 is a state diagr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a personal safety display device using a signal flowing from an external acoust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음향기기에서 유입되는 신호를 이용한 개인안전표시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태도이다.4 is a state diagr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a personal safety display device using a signal flowing from an external soun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음향기기에서 유입되는 신호를 이용한 개인안전표시장치의 중 안전표시장치의 일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이다.5 and 6 are state diagrams for explaining in detail an embodiment of the safety display device of the personal safety display device using a signal flowing from the external soun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음향기기에서 유입되는 신호를 이용한 개인안전표시장치의 중 안전표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이다.7 and 8 are state diagrams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afety display device of the personal safety display device using a signal flowing from the external soun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도 10, 도 11, 도 12,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음향기기에서 유입되는 신호를 이용한 개인안전표시장치 중 안전표시장치가 설치 될 수 있는가를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이다.9, 10, 11, 12, and 13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whether a safety display device can be installed among the personal safety display device using a signal flowing from the external soun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ate diagram.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in parts of drawing>
1. 입력장치 2. 검출장치 3. 안전표시장치1. Input device 2. Detection device 3. Safety indicator
4. 전원 스위치 5. 전압원 6. 음량조절부4. Power Switch 5. Voltage Source 6. Volume Control
7. 증폭부 8. 비교검출부 9. LED 구동부7. Amplification unit 8. Comparative detection unit 9. LED driver
10. LED 11. 스피커유니트 12.스피커 케이스10.LED 11.Speaker Unit 12.Speaker Case
13. 케이스 커버 14. 기준전압원 15. 상코드13. Case cover 14. Reference voltage source 15. Phase code
16. 승압부 17. 하코드 18. 외부음재생기기16. Booster 17. Harcord 18. External sound reproducing equipment
19. 코드 20. 제어스위치 21. 마이크 유니트19. Cord 20. Control switch 21. Microphone unit
22. 출력잭 23. 마이크 케이스22. Output Jack 23. Microphone Cas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외부음향기기(18)를 듣기 위해 사용되는 출력장치에 안착되어 외부에서 인식이 가능한 신호로부터 외부의 위험에서 노출이 되어 있음을 표시할 수 있는 안전표시장치(3)와;A safety display device (3) mounted on an output device used to listen to the external sound device (18) and indicating that the external sound device is exposed from an external danger signal;
이를 구동하기 위하여 외부음향기기에서 유입되는 여러 가지 형태의 동작을 외부에서 표시하는 안전표시장치(3)의 구동을 위하여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장치(2)와;A detection device (2) for detecting a signal for driving the safety display device (3) which externally displays various types of operations introduced from an external sound device to drive this;
외부에서 유입되는 여러 가지 형태의 동작을 표시할 수 있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신호와 검출장치(2)와 안전표시장치(3)로 이루어진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신호를 포함하는 입력장치(1); 로 구성된다.Input device (1) comprising a signal used for the purpose of displaying various types of operations flowing from the outside and a separate signal for driving the device consisting of the detection device (2) and the safety display device (3) ; It consists of.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외부음향기기(18)에서 유입되는 신호를 이용한 개인안전 표시장치를 이어폰과 같은 형태로 설명할 수 있는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in which a personal safety display device using a signal flowing from an external sound device 18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scribed in the form of an earphon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ame.
도 1과 도 2는 외부음향기기(18)에서 유입되는 신호를 이용한 개인안전표시장치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과 회로이다.1 and 2 are a view and a circuit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personal safety display device using a signal flowing from the external acoustic device 18.
도 3은 외부음향기기에서 유입되는 신호를 이용한 개인안전표시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로 외부음향기기의 제어가 가능한 유선리모콘의 제어스위치(20)를 포함하고 있는 검출장치(2-1)를 나타난 외부음향기기의에서 유입되는 신호를 이용한 개인안전표시장치이다.FIG. 3 shows a detection device 2-1 including a control switch 20 of a wired remote controller capable of controlling an external sound device, as another embodiment of a personal safety display device using a signal flowing from an external sound device. It is a personal safety display device using a signal from an external sound device.
도 4는 외부음향재생기기내(18)에 검출장치(2-2)가 안착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사용이 가능한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외부음향기기의에서 유입되는 신호를 이용한 개인안전표시장치이다.FIG. 4 is a personal safety display device using a signal flowing from an external acoustic device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detection device 2-2 is seated in the external sound reproduction device 18. .
도 5는 외부음향기기의에서 유입되는 신호를 이용한 개인안전표시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안전표시장치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FIG. 5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safety display device constituting a personal safety display device using a signal flowing from an external sound device.
도 6은 도 5의 안전표시장치에 있어서 내부에서 표시장치인 스피커케이스 자체가 빛을 발하는 현상을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FIG. 6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speaker case itself, which is a display device, emits light in the safety display device of FIG. 5.
도 7은 도 5에 있어서 외부음향기기의에서 유입되는 신호를 이용한 개인안전표시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안전표시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FIG. 7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the safety display device constituting the personal safety display device using the signal flowing from the external sound device in FIG. 5.
도 8은 도 7의 안전 표시장치에 있어서 안전표시장치인 케이스커버(17) 자체가 빛을 발함으로서 스피커케이스(12)자체 또는 일부가 사용됨을 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FIG. 8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speaker case 12 itself or a part thereof is used as the case cover 17 itself as the safety display device emits light in the safety display device of FIG. 7.
도 9는 외부음향재생기기(18)가 마이크유니트(21)를 사용할 경우에 사용되는 실시예로 설명하기 이하여 나타나 외부음향기기의에서 유입되는 신호를 이용한 개인안전표시장치이다.FIG. 9 is a personal safety display device using the signal flowing from the external sound device,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in the embodiment used when the external sound playback device 18 uses the microphone unit 21.
도 10은 외부음향기기의에서 유입되는 신호를 이용한 개인안전표시장치의 안전표시장치(2)가 스피커케이스(12)에 장착되어 있는 것만이 아니라 마이크유니트(21)를 포함하는 케이스에서도 안전표시장치(3)가 사용되는 것을 실시예로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기 위한 외부음향기기의에서 유입되는 신호를 이용한 개인안전표시장치이다.10 is not only the safety display device 2 of the personal safety display device using the signal flowing from the external sound device is mounted on the speaker case 12, but also the safety display device in the case including the microphone unit 21. (3) is a personal safety display device using a signal flowing in from an external acoustic device for illustrating to use as an embodiment.
도 11은 도 10에 있어서 외부음 재생기기 중에서 한쪽의 스피커로 구성된 것을 사용할 경우에도 장착이 가능한 실시예로 설명하기 위한 외부음향기기의에서 유입되는 신호를 이용한 개인안전표시장치이다.FIG. 11 is a personal safety display device using a signal flowing from an external sound device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n external sound reproducing device configured as one speaker is used in FIG. 10.
도 12와 도 13은 도 1에 있어서 사용되는 안전표시장치가 이어폰이라는 한정된 곳에만 안착이 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헤드폰의 케이스에서도 사용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외부음향기기의에서 유입되는 신호를 이용한 개인안전표시장치이다.12 and 13 are individuals using the signal flowing from the external acoustic device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 used in the case of the headphone case not only can be seated in a limited place of the earphone is used in FIG. It is a safety indicator.
먼저 도 1과 도 2를 설명하면,First, referring to Figures 1 and 2,
외부음향기기(18)에서 유입되는 여러 가지 형태의 동작을 표시할 수 있는 목적과 스피커를 구동하기 위해 사용되는 신호를 받을 수 있는 입력장치와;An input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various types of operations flowing from the external acoustic device 18 and a signal used to drive a speaker;
여기서 입력장치(1)의 입력신호로는 외부음향재생기기(18)에서 유입되는 스피커유니트(11)을 구동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음과 외부음향기기(18)가 구동하기 위해 동작과 청취하고자 하는 음이 유입됨을 알릴 수 있는 외부음향기기에서 공급해주는 별도의 주파수와 이동 가입 무선전화 장치와 휴대용 비디오 카메라를 사용하기 위해 유입되는 별도의 음성과 주파수와 전기적 크기를 갖는 신호로 검출장치(2)에서 검출이 가능하여 외부음향기기의 사항을 알 수 있는 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Here, the input signal of the input device 1 is intended for operation and listening to drive the sound and the external sound device 18 used for the purpose of driving the speaker unit 11 introduced from the external sound reproduction device 18. Detecting device as a signal having a separate voice and frequency and an electrical magnitude to be input for use of a mobile phone device and a portable video camera and a separate frequency provided by an external sound device capable of informing the incoming sound (2) It can be detected at, so it can use the signal to know the matter of external sound equipment.
여기서 입력장치의 구성은 외부음향재생기기(18)에 사용하는 ψ3.5 스테레오 플러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플러그에 있어서 ψ3.5로 2극인 모노 또는 3극인 스테레오 및 4,5,6,7극으로 이루어진 플러그와 ψ2.5로 2극인 모노 또는 3극인 스테레오 및 4,5,6,7극으로 이루어진 플러그를 사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figuration of the input device is preferably a φ 3.5 stereo plug used for the external sound reproducing apparatus 18, and a stereo or 4,5,6,7 pole of 2 or 6 poles, or 2 poles of ψ3.5, for the plug. It is possible to use a plug consisting of a plug consisting of mono or three-pole stereo and 4,5,6,7 poles with ψ2.5.
또한 연결을 목적으로 하는 입력장치(1)의 구성에 있어서 외부음향기기(18)와 직접 땜이나 기타 방법으로 연결할 수 있는 형태의 입력장치(1)로 사용 할 수도 있으며 외부음향재생기기(18)의 전압을 사용하고자 할 때는 별도의 코드연결 장치가 입력장치(1)에 설치되어야 함은 물론이다.In addition, in the configuration of the input device 1 for the purpose of connection, it may be used as the input device 1 of the type which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external sound device 18 by soldering or other methods, and the external sound reproducing device 18 Of course, when using the voltage of the separate cord connection device must be installed in the input device (1).
또한 외부음향재생기기(18)는 휴대가 가능한 미니카세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미니카세트에서 별도로 추가될 수 있는 일반이어폰과 유선리모콘을 포함하는 미니카세트와 CD-PLAYER, MP3, MD등 기타 휴대 가능한 음향재생기기로부터 음을 청취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외부음향기기와 통화를 위한 이동가입 무선전화장치와 비디오카메라의 촬영시 촬영되는 동작을 외부의 표시를 알림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목적의 기타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ternal sound reproducing apparatus 18 preferably uses a portable mini cassette, and a mini cassette including a general earphone and a wired remote control, which can be added separately from the mini cassette, and other portable media such as CD-PLAYER, MP3, MD, etc. Use a mobile subscription device for a call with an external sound device that can be used for listening to sound from a sound reproducing device, and other devices that can be used as a notification of an external indication of the action taken when the video camera is taken. Can be.
한편 외부음향기기(18)를 청취를 위해 사용되는 출력장치에 안착되어 외부에서 인식이 가능한 신호로부터 외부의 위험에서 노출이 되어 있음을 표시할 수 있는 안전표시장치(3)와;On the other hand, a safety display device (3) is mounted on the output device used for listening to the external acoustic device 18 to indicate that the external sound from the externally recognizable signal is exposed to the external danger;
여기에서 출력장치에 안착은 투명으로 이루어진 스피커 케이스(12)외부에 반투명으로 표면처리를 함으로서 내부의 1개내지 2개만의 발광 물체의 장착으로 인하여 외부에서 스피커케이스(12) 자체가 빛을 발함으로서 표시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안전표시장치(3)로 사용할 수 있는 것에 있어서 외부음향기기(18)를 청취할 수 있는 일반케이스로는 헤드폰케이스 , 마이크와 이어폰이 일체로 된 케이스, 헤드폰 케이스와 마이크가 일체로 된 케이스로 또는 이를 구성하고 있는 코드를 이용한 자바라 내부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의 모양을 갖는 음향 청취 목적의 케이스에 안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표시의 정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케이스를 투명을 하여 내부에 1개내지 다수의 LED(10)를 안착하면서 외부에서 인식을 할 수 안전표시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Here, the seating on the output device is a translucent surface treatment on the outside of the speaker case 12 made of transparent, and the speaker case 12 itself emits light from the outside due to the mounting of only one or two light emitting objects therein. It is preferable to use what can be displayed, and the general case which can listen to the external sound device 18 in the thing which can be used as the safety display apparatus 3 is a headphone case, the case which integrated the microphone and earphones, and headphones It can be used as a case in which the case and the microphone are integrated or in a case for sound listening purposes having a shape inside or similar to a bellows using a cord constituting the case. Safety display device that can be recognized from the outside while seating one or a plurality of LED (10) inside It can be used.
또한 여기서 실시예로 보이는 이어폰을 이용한 안전표시장치를 더 상세히 설명하면,Also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safety display device using the earphone shown in the embodiment,
스피커 케이스 내부에 안착이 되는 빛을 발광 LED(10)와;Light emitting LED 10 and the light that is seated inside the speaker case;
1개 또는 2개로 구성된 LED(10)를 사용하여 케이스 자체가 빛을 발하게 할 수 있는 반투명으로 표면 처리된 스피커케이스(12)와;A speaker case 12 having a semi-transparent surface treatment that allows the case itself to emit light using one or two LEDs 10;
외부음향기기(18)의 음을 출력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스피커유니트(11);로 구성되어 있다.The speaker unit 11 is used for the purpose of outputting the sound of the external sound device (18).
여기서 반투명으로 표면처리는 발광표시장치(3)내부의 LED(11)가 발광함으로 인하여 투명으로 이루어진 스피커케이스(12)를 그대로 사용할 경우 LED(11)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외부로 그대로 투과되어 버리므로 이것을 막기 위하여 반투명으로 표면 처리할 경우 LED에서 발광하는 빛이 표면 처리된 부분에서 반사 및 산란을 함으로 인하여 스피커 케이스(12) 자체가 빛을 발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투명처리 하지 않아도 됨은 물론이다.Here, the semi-transparent surface treatment is becaus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11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when the speaker case 12 made of transparent is used as the LED 11 inside the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3 emits light.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speaker case 12 itself emits light becaus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reflects and scatters at the surface-treated part when the surface is treated by translucency.
또한 여기서 투명의 스피커케이스(12)를 반투명을 만들기 위한 표면처리 방법으로는 스피커 케이스(12) 외부에 화학처리를 함으로서 반투명의 효과를 낼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반투명을 만들기 위한 표면처리는 스피커케이스(12)의 표면 자체를 특정모양 및 불규칙한 모양으로 빛의 산란을 돕게 하기 위해 거칠게 제작하거나 스프레이 등 기타 별도의 방법으로 반투명의 표면처리를 할 수 도 있으며 반투명의 정도는 빛의 산란과 케이스 구성의 장식적으로 보이게 할 수 있는 2가지 목적의 이유로 사용 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 surface treatment method for making the translucent speaker case 12 transluc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translucent effect can be obtained by chemical treatment on the outside of the speaker case 12. The surface treatment for making the translucent speaker case ( 12) The surface itself may be roughened to help scatter light in a specific shape and irregular shape, or semi-transparent surface treatment may be performed by a separate method such as spray, and the degree of translucency may be a decoration of light scattering and case composition. It can be used for two purposes that can make it appear as an enemy.
또한 안전표시장치(3)의 구성은 반투명으로 표면 처리된 투명의 스피커케이스(12)와 스피커케이스(12) 내부에 LED(10)를 안착함과 함께 외부음향기기(18) 청취 목적인 스피커유니트(11)를 포함하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6과 같이 투명이 아닌 스피커케이스(12')에 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진 반투명의 표면처리를 한 케이스커버(13)를 사용함으로서 안전표시장치(3)에 있어서 케이스 덮게 내부에 LED(10)를 장착함으로 이용할 수 있는 안전표시장치(3)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safety display device (3) is a speaker unit for the purpose of listening to the external sound device (18) while seating the LED (10) inside the transparent speaker case 12 and the speaker case 12 which is surface-transmitted translucent ( It is preferable to use the one-piece which contains 11). 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a case cover 13 having a translucent surface treatment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is used on a speaker case 12 'that is not transparent, so that the LED 10 is placed inside the case cover in the safety display device 3. It can be used as a safety indicator (3) that can be used by mounting.
또한 안전표시장치(3) 내부에 안착되는 LED(10)는 ψ3 및 ψ2의 폭을 갖는 LED(10)를 사용하는 바람직하며 칩 형태의 SMD나 램프로 외부에서 인식이 가능한 장치로 표시를 할 수 있는 기타 방법으로 사용하여 안착할 수 있으며 안착이 용이하게 하기 위한 안전표시장치(3)를 구성할 수 있는 SMD의 사용시에는 안착이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별도의 PCB에 및 빛의 밝기을 위해 다수의 SMD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LED 10 mounted inside the safety display device 3 preferably uses an LED 10 having a width of ψ3 and ψ2, and can be displayed as a device that can be recognized externally by a chip-shaped SMD or a lamp. When using SMD, which can be used by other methods, and can configure safety indicator (3) for easy installation, separate SMD for easy mounting and multiple SMD for brightness of light Of course it can be used.
또한 안전표시장치(3)내부에 안착되는 LED(10)와 스피커케이스(12)의 색에 있어서는 적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녹색, 청색, 노랑색, 자주색등 농도에 상관없이 외부에서 안착을 하였다는 인지를 할 수 있는 색을 사용함은 물론이며 색의 의미에 있어서 장애인이나 색의 판별이 어려운 경우에는 그 목적에 맞는 별도의 색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in the color of the LED 10 and the speaker case 12 mounted inside the safety display device 3, it is preferable to use red, and it was settled from the outside regardless of the density of green, blue, yellow, and purple. Of course, it is possible to use a color that can be recognized, and in the sense of color, if it is difficult for the disabled or the color to be distinguished, a separate color suitable for the purpose can be used.
또한 안전표시장치(3)는 외부음과 청취목적으로서 사용이 가능함으로 왼쪽과 오른쪽에 귀에 안착할 수 있는 2개의 안전표시장치(3)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개의 안전표시장치(3)를 왼쪽 귀 및 오른쪽 귀의 한쪽에만 사용하게 말들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afety indicator 3 can be used for external sound and listening purposes, it is preferable to use two safety indicators 3 that can be seated on the left and right ears. It can be used for use on only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ears.
한편 안전표시장치(3)를 구동하기 위하여 외부음향기기(18)에서 유입되는 여러 가지 형태의 동작을 외부에서 표시하는 안전표시장치(3)의 구동을 위하여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장치(2);로 구성되는 외부음향기기에서 유입되는 신호를 이용한 개인안전표시장치를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detection device (2) for detecting a signal for driving the safety display device (3) for displaying the various types of operations flowing from the external acoustic device 18 to drive the safety display device (3) It consists of a personal safety display device using a signal flowing from an external acoustic device consisting of;
여기서 검출장치는 외부음향기기의 음을 청취하기 위해 사용되는 입력장치(1)와 외부음향기기에서 유입되는 신호의 상태로부터 표시할 수 있는 안전표시장치(3)의 사이를 사용자의 외부음향기기의 입력잭(22)과 귀와의 거리로 인하여 손으로 사용하기 위한 편의상 일정 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코드인 상코드(15)와 하코드(17) 사이에 검출장치(2)가 안착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detection device is provided between the input device 1 used to listen to the sound of the external sound device and the safety display device 3 which can display from the state of the signal flowing from the external sound device. Due to the distance between the input jack 22 and the ear, it is preferable that the detection device 2 be seated between the upper code 15 and the lower code 17, which are codes for securing a certain distance for convenience of use by hand. .
또한 검출장치(2)의 위치는 도 4에서와 같이 외부음향기기(18)의 내부에 안착 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외부음향기기(18)에 검출장치(2-2)와 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장치(1)와 이를 표시할 수 있는 안전표시장치(3)로 사용하기 위하여 외부음향기기(18)에 별도로 내부에 안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detection device 2 may be seated inside the external sound device 18 as shown in FIG. 4, and in this case, the detection device 2-2 may be input to the external sound device 18. In order to be used as an input device 1 and a safety display device 3 capable of displaying the same, the external acoustic device 18 may be separately mounted therein.
이럴 경우 여기에서 입력장치(1)에서 받는 신호는 안전표시장치(3)에 안착된 표시를 위해 부품을 구동할 수 있는 신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주파수의 폭 및 크기를 갖는 기타 펄스 폭을 가는 것을 특징을 갖는 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input device 1 here preferably uses a signal capable of driving a component for display on the safety display device 3, and may be narrowed to other pulse widths having a width and magnitude of frequency. It is possible to use a signal having a feature.
또한 검출장치(2)는 별도의 검출장치(2)로 음량조절기(6)와 전원스위치(4)와 전압원(5)의 수은건전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3으로 설명을 하면 외부음향기기에 별도에 부착이 된 외부음향기기(18)의 동작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플레이, 스톱, 빨리가기, 뒤로가기의 제어용도의 기능을 검출장치(2-1)의 내부에 별도의 제어스위치(20)를 두어 이를 검출장치(2)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ection device 2 is preferably a separate detection device 2 is composed of a volume controller 6, a power switch 4 and a mercury battery of the voltage source (5). Separate control switch (20) inside the detection device (2-1) to control the functions of the play, stop, fast forward, and backward used for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sound device (18) attached separately to the Can be used as the detection device (2).
여기서 도1에 있어서 실시예로 보이는 외부음향기기의 음의 청취와 외부음향기기에서 유입되는 신호를 이용한 개인안전표시장치의 검출장치(2)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Here, the detection device 2 of the personal safety display device using the sound of the external sound device and the signal flowing from the external sound device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입력장치(1)에서 유입되는 미약한 신호의 음을 기타 잡음의 간섭으로부터 강한 신호로 변환함으로서 비교검출부(8)에서 신호의 판단 및 조정이 용이하게 하여 건전지 1개인 1.5V보다 더 소전압인 1V까지의 동작 구동 전원으로 동작하는 증폭부(7);By converting the sound of the weak signal flowing from the input device 1 into the strong signal from the interference of other noises, the comparison detector 8 makes it easy to determine and adjust the signal, so that 1V, which is lower than 1.5V per battery An amplifying unit 7 operating with an operating drive power source up to;
신호의 유,무 또는 신호의 일정크기 이상일 때 제어가 가능하도록 비교 검출할 수 있는 상대가 되는 기준전압으로 전원을 건전지로 사용할 경우의 사용시 1.5V에서 1V로 소모되는 유동의 전압원(5)으로 이러한 유동을 없애기 위하여 전압원(5)의 유동에도 일정 전원을 출력하는 승압부(10)의 고정된 출력 전원을 사용한 기준전압부(14); 기준전압부(14)와 증폭부(7)에서 유입된 두 신호를 비교하여 그 결과를 표시 가능한 신호로 바꾸어주는 비교기로 이루어진 건전지 1개인 1.5V보다 더 소전압인 1V까지의 동작 구동전원을 갖는 비교검출부(8); 비교검출부(8)에서의 검출신호를 표시장치(3)내부에 안착된 LED(10)를 구동하기 위해 사용되는 LED 구동부(9); 검출장치(2)에서 귀로 안착이 되는 안전표시장치(3)까지의 일정 거리를 유지함으로서 사용자가 검출장치(2) 내부의 음량조절부(6) 및 전원스위치(4)의 조작이 용이하게 일정거리를 유지시켜주는 코드(15);As a reference voltage that can be compared and detected so that control is possible when the signal is present or absent or above a certain size, it is a voltage source 5 of 1.5V to 1V that is consumed when the power source is used as a battery. A reference voltage unit 14 using a fixed output power of the boosting unit 10 that outputs a constant power even in the flow of the voltage source 5 to eliminate the flow; It has an operating driving power supply of up to 1V which is lower than 1.5V of one battery which is made of a comparator which compares two signals introduced from the reference voltage unit 14 and the amplifier 7 and converts the result into a displayable signal. Comparative detection unit 8; An LED driver 9 used to drive the detected signal from the comparison detection unit 8 to the LED 10 seated inside the display device 3; By maintaining a certain distance from the detection device 2 to the safety display device 3 to be seated by the ear,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volume control unit 6 and the power switch 4 inside the detection device 2. A cord 15 for maintaining distance;
검출장치(2)의 전원은 공급하는 1.5V의 수은 건전지의 사용이 바람직하며 AAA형, AA형 건전지 및 2차 축전지의 1개 또는 2개의 사용으로도 할 수 있는 전압원(5);It is preferable to use a 1.5V mercury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detection device 2, and a voltage source 5 which can also be used with one or two of AAA type, AA type batteries and secondary storage batteries;
외부음향기기(18)의 음량을 표시장치(2)의 내부에 안착된 스피커유니트(11)의 음량의 청취하는데 있어 음량을 조절할 수 있는 음량조절부(6);A volume control unit 6 capable of adjusting the volume of the volume of the speaker unit 11 seated inside the display device 2 to control the volume of the external sound device 18;
1V의 구동전압을 갖는 회로이외에 2V이상 전원으로 구동되는 LED(10)를 구동하기 위한 LED구동부(9)와 전압원(5)의 변동이 없어야 하는 기준전압부(14)의 고정 전압을 유지시켜 주어야하는 2가지를 모두 충족시켜주는 건전지 1개인 1.5V보다 더 소전압인 1V까지의 구동전원으로 사용이 가능한 소용량의 승압부(16);로 구성이 되어 있어 회로전체의 구동전압이 1.5V보다 더 소전압인 1V까지의 구동 전압원(5)으로 사용되며 2V이상의 전압으로 구동이 될 수밖에 없는 LED(10)와 변동이 없어야 하는 기준전압에만 소용량의 승압부(16) 출력 전압을 사용함으로 인하여 건전지 1개로 장시간 및 소전압 및 소전력으로 사용가능하다. 또한 비교검출부(8)에서의 검출신호가 외부음향기기(18)의 음의 유무 및 일정 전압크기에 따라 안전표시장치기(3)의 내부에 안착된 LED(10)가 발광하므로 인하여 외부음향재생기기(18)에서 입력음이 없을 때 LED(10)가 꺼지게 됨으로 불필요할 시에는 전력적 소모가 감소하는 제어장치(2);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로 인하여 외부음향재생기기(18)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불규칙적으로 깜박거리는 것과 규칙적으로 일정 주기로 점멸하는 것과 지속적으로 동작하게 되어 외부로 표시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In addition to a circuit having a driving voltage of 1 V, a fixed voltage of the LED driver 9 for driving the LED 10 driven by a power supply of 2 V or more and the reference voltage part 14 which should not be changed in the voltage source 5 should be maintained. It is composed of a small capacity booster 16 which can be used as a driving power source to a voltage of 1V which is lower than 1.5V with one battery that satisfies both of the two; It is used as a driving voltage source 5 up to 1V, which is a small voltage, and the battery 10 is used by us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booster 16 having a small capacity only for the LED 10 which must be driven with a voltage of 2V or more and the reference voltage which should not be changed. I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small voltage and small power. In addition, since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comparison detecting unit 8 emits the LED 10 mounted inside the safety display device 3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ound of the external sound device 18 and the predetermined voltage level, the external sound reproducing device When there is no input sound at (18), the LED 10 is turned off, so that when it is unnecessary, the control device (2) reduces the power consumption, which is composed of a signal input from the external sound reproduction device (18) By irregular flickering and regular flickering at regular intervals, it continuously operates and is configured to display externally.
여기서 승압기(16)는 필요한 전원으로 구동되는 회로에 가해짐으로서 2V이상으로 동작하는 LED(10)와 기준전압부(14)의 전압변동이 없는 동작을 위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승압기가 전압원(5)으로만 동작할 수 없는 비교검출부(8)와 증폭부(7)의 기타 부품과 회로를 사용할 경우 승압부(16)를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Here, the booster 16 is preferably used for operation without voltage fluctuations of the LED 10 and the reference voltage unit 14 operating at 2V or more by being applied to a circuit driven by a required power source. When using other components and circuits of the comparison detection unit 8 and the amplification unit 7 that cannot operate only by using), it can be used using the boosting unit 16.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동일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검출장치에서 구동이 필요한 1V라는 전압의 특징은 본 고안을 더욱 효과적로 실제 사용할 수 있는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전압은 1V가 아닌 2,3,4V등 이상에 관계없이 개인안전표시장치를 구동하는데 있다. 또한 실시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형상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 embodiment is only to describe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changed appropriately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For example, the characteristic of the voltage of 1V that needs to be driven in th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n embodiment that can effectively use the present invention, the voltage is not 1V, 2,3,4V, etc. Regardless of driving personal safety indicators. In addition, the shape and structure of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 can be modified.
또한, 본 고안은 별도로 이와 같은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는 각종 휴대용 전기, 전자제품에 널리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idely used in a variety of portable electric, electronic products that are not equipped with such a device separately.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명은 착용자의 위치 및 외부음향재생기기(18)로부터 유입되는 신호로 인하여 현상을 외부에서 인지함으로서 사용자가 외부로부터 위험에 노출되어 있음을 알리는 안전표시장치이며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또한 꼭 사용해야 하는 외부음향재생기기(18)의 음을 청취할 수 있는 외부음향재생기기의 출력 장치을 이용한 개인안전 표시장치를 장착함과 안전표시장치가 빛을 발하거나 깜박이게 함으로서 사용자가 장식적인 미려와 호기심으로 딱딱한 개인안전장치의 필요성을 인지시키지 않아도 구입에 대한 의욕을 높여 줌으로 인하여 위험적인 사고를 방지하는 외부음향기기에서 유입되는 신호를 이용한 개인안전표시장치에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safety display device which indicates that the user is exposed to danger from the outside by recognizing the phenomenon due to the position of the wearer and the signal flowing from the external sound reproducing apparatus 18 and is generally used. In addition, it is equipped with a personal safety display device using the output device of the external sound playback device that can listen to the sound of the external sound playback device 18 that must be used, and the safety display device shines or flashes, the user is decorative beautiful It is in a personal safety display device that uses signals from external acoustic devices to prevent dangerous accidents by raising the motivation to purchase even if it does not recognize the necessity of a hard personal safety device with curiosity.
또한 건전지 1개인 1.5V보다 적은 소전압의 구동 전압으로 인하여 각종 휴대형 전기, 전자제품에 셋팅이 용이한 제품으로 제품의 호완성 및 고품질화로 경쟁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easy to set in various portable electric and electronic products due to the low voltage driving voltage of less than 1.5V per battery, and it is competitive with the product's perfection and high quality.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66282A KR100415103B1 (en) | 2000-11-08 | 2000-11-08 | Safety Display Unit Attaching Head S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66282A KR100415103B1 (en) | 2000-11-08 | 2000-11-08 | Safety Display Unit Attaching Head Se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36217A true KR20020036217A (en) | 2002-05-16 |
KR100415103B1 KR100415103B1 (en) | 2004-01-13 |
Family
ID=19697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66282A KR100415103B1 (en) | 2000-11-08 | 2000-11-08 | Safety Display Unit Attaching Head Se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15103B1 (en)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28005Y1 (en) * | 1995-03-24 | 1998-11-02 | 이한석 | Luminous earphone |
-
2000
- 2000-11-08 KR KR10-2000-0066282A patent/KR100415103B1/en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415103B1 (en) | 2004-01-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319762B2 (en) | Headset with flashing light emitting diodes | |
US9112958B2 (en) | Wireless headset and battery status indication method thereof | |
US20040179694A1 (en) | Safety apparatus for audio device that mutes and controls audio output | |
US20120044085A1 (en) | Multifunctional doorbell with controllable lighting | |
US6164792A (en) | Sound responsive decorative illumination apparatus | |
JP4989214B2 (en) | Crime prevention device, ligh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lighting fixture | |
US20050175210A1 (en) | Color illuminating earphone | |
CN207855117U (en) | A kind of multifunctional alarming intelligent helmet | |
WO2008036818A1 (en) | Sound meter for portable audio headphones | |
CN203120121U (en) | An earphone device capable of emitting light and glittering with audio change | |
JP2008193189A (en) | Sound reproducing apparatus with illumination, and sound reproducing system with illumination | |
US20020186129A1 (en) | Noise level indicator for providing feedback of noise level to pers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noise | |
US20030197620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indicating headset usage | |
KR20020036217A (en) | Portable Safety Display Unit using sinking signal from the external acoustic apparatus | |
US20140211956A1 (en) | Earpiece set variably emitting light and flashing according to changing of acoustic frequency | |
KR101133811B1 (en) | Earphone apparatus having display function | |
US20070019821A1 (en) | Illuminating headphones | |
US7251334B1 (en) | Remote sound monitor and receiver therefor | |
JPH037433A (en) | Radio selective call receiver | |
KR101174397B1 (en) | In door broadcating speaker for a hearing impaired person | |
US6643373B1 (en) | Speaker volume indicator for telephone handsets | |
JP2005508115A (en) | Sensitivity control lighting controller and system | |
JP2006281965A (en) | Audio device of motorcycle | |
KR101597132B1 (en) | Apparatus for using speaker and lamp as same time | |
KR20200033863A (en) | Road safety electronic sound system for quiet vehicl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AMND | Amendment | ||
B701 | Decision to gr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05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04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1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1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