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5325A - 음향송출 기능을 갖는 공 - Google Patents

음향송출 기능을 갖는 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5325A
KR20020035325A KR1020000065569A KR20000065569A KR20020035325A KR 20020035325 A KR20020035325 A KR 20020035325A KR 1020000065569 A KR1020000065569 A KR 1020000065569A KR 20000065569 A KR20000065569 A KR 20000065569A KR 20020035325 A KR20020035325 A KR 20020035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output signal
sound
microphone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5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희
Original Assignee
김태원
유한회사 창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원, 유한회사 창일 filed Critical 김태원
Priority to KR1020000065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5325A/ko
Publication of KR20020035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532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3/00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 A63B43/002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with special configuration, e.g. non-spheric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Transmitter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향송출 기능을 갖는 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정용적을 갖는 구형 외피(11)의 내부에 소정압력으로 공기를 주입시켜서 된 공(1)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공(1)의 외피(11) 내부에 공의 외피를 통해 직접 전달되거나 그 외부에서 발생되어 외피를 통해 전달되는 각종 음향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마이크(21)와; 라디오나 TV 방송에서 사용되는 특정 주파수의 반송파를 발생시켜 주는 무선주파 발진기(22)와; 상기 마이크(21)의 출력신호를 상기 무선주파 발진기(22)의 반송파 출력신호에 실어주는 믹서부(23)와; 상기 믹서부(23)의 출력신호를 소정레벨로 증폭시켜 주는 전력 증폭부(24)와; 상기 전력 증폭부(24)의 출력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시켜 안테나(26)를 통해 공중으로 발사시켜 오디오 시스템 또는 중계방송 장비(3)에서 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변조기(25)로 구성되는 무선음향 송신기(2)를 내장시켜 경기장에서 경기를 관전하는 관중이나 원격지에서 경기를 중계방송으로 청취하는 시청자들이 해당 경기장 바로 옆에서 관전하는 것과 같은 생동감과 박진감을 맛보면서 해당 놀이 및 경기를 실감나게 관전 및 시청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음향송출 기능을 갖는 공{ball with audio outgoing function}
본 발명은 음향송출 기능을 갖는 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축구공이나 배구공, 농구공 및 럭비공 등과 같은 각종 공의 내부에는 마이크 등을 포함하는 무선음향 송신기를 설치하여 그 공을 이용한 놀이나 경기가 진행될시 발생되는 각종 음향신호(예를들어 공이 튀는 소리, 선수들의 발자국소리 및 선수들이 부딪히는 소리 등)를 무선으로 송출시켜 경기장에 설치되어 있는 오디오 시스템이나 중계방송 장비 등을 통해 이를 무선 수신하여 장내방송으로 내보내거나 중계방송시 이를 출력시켜 주는 방식을 통해 경기장의 관전자나 원격지의 중계방송 청취자들이 보다 생동감있고 실감나며 박진감 넘치게 놀이 또는 경기를 관전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소정용적을 갖는 구형 외피의 내부에 소정압력으로 공기를 주입시켜 각종 놀이나 경기에 이용하고 있는 종래 모든 공들은 해당 공으로 직접 전달 되거나 그 외부에서 발생되고 있는 각종 소리들 포집하여 외부로 송출시킬 수 있는 어떠한 장치도 구비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축구공이나 배구공, 농구공 및 럭비공 등과 같은 각종 공을 갖고 특정놀이 또는 경기를 실시할시 좁고 사람들이 많지 않은 경기장에서는 공이 튀는 소리, 선수들의 발자국소리 및 선수들이 부딪히는 소리 등을 사람들이 귀를 통해 들을 수는 있으나, 축구장과 같이 경기장 자체가 매우 크거나 관중들이 많은 경우 또는 해당 경기내용을 라디오 또는 TV 수상기 등을 통해 중계방송을 듣거나 시청할시에는 이와같은 소리를 전혀 들을 수 없어 경기장의 분위기를 몸소 느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실감나고 박진감 넘치는 경기 관전 또는 청취 및 시청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특정 공을 이용하여 놀이 또는 경기를 실시할시 공을 통해 전달되는 각종 소리(예를들어 공이 튀는 소리, 선수들의 발자국소리 및 선수들이 부딪히는 소리 등)들을 무선으로 경기장내 오디오 시스템 및 중계방송 장비를 통해 생생하게 전달시켜 보다 생동감있고 박진감 넘치는 가운데 해당 놀이 및 경기를 실감나게 관전 및 시청할 수 있는 음향송출 기능을 갖는 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용적을 갖는 구형 외피의 내부에 소정압력으로 공기를 주입시켜서 된 공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공의 외피 내부에 공을 통해 직접 전달되거나 그 외부에서 발생되는 각종 음향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마이크와; 라디오나 TV 방송에서 사용되는 특정 주파수를 발생시켜 주는 무선주파 발진기와; 상기 마이크의 출력신호를 상기 무선주파 발진기의 출력신호에 실어주는 믹서부와; 상기 믹서부의 출력신호를 소정레벨로 증폭시켜 주는 전력 증폭부와; 상기 전력 증폭부의 출력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시켜 안테나를 통해 공중으로 발사시켜 주는 변조기로 구성되는 무선음향 송신기를 내장시켜 주므로써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공을 이용하여 특정 놀이나 경기를 실시할시 공내의 마이크를 통해 유입되는 각종 음향신호(즉, 공 튀는 소리, 선수들의 발자국소리 및 선수들이부딪히는 소리 등)들을 무선으로 송출시켜 경기장내에 설치되어 있는 오디오 시스템 또는 중계방송 장비를 통해 장내방송 또는 원격지로 중계할 수 있어 경기장내에서 놀이 또는 경기를 관전하는 관중은 물론 원격지에서 해당 경기를 라디오나 TV를 통해 청취 및 시청하는 시청자가 경기장 분위기를 보다 생생하게 전달닫을 수 있어 생동감있고 박진감 넘치며 실감나게 놀이 및 경기를 관전 또는 시청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된 공의 개략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공에 내장된 음향신호 송신기 무선음향 수신기를 구비한 음향기기의 개략 블럭 구성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공2 : 무선음향 송신기
3 : 오디오 시스템 또는 중계방송 장비11 : 외피
20 : 회로기판21 : 마이크
22 : 무선주파 발진기23 : 믹서부
24 : 전력 증폭부25 : 변조기
26 : 안테나27 : 고무 와이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된 공의 개략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공에 내장된 음향신호 송신기 무선음향 수신기를 구비한 음향기기의 개략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소정용적을 갖는 구형 외피(11)의 내부에 소정압력으로 공기를 주입시켜서 된 공(1)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공(1)의 외피(11) 내부에 공의 외피를 통해 직접 전달되거나 그 외부에서 발생되어 외피를 통해 전달되는 각종 음향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마이크(21)와;
라디오나 TV 방송에서 사용되는 특정 주파수의 반송파를 발생시켜 주는 무선주파 발진기(22)와;
상기 마이크(21)의 출력신호를 상기 무선주파 발진기(22)의 반송파 출력신호에 실어주는 믹서부(23)와;
상기 믹서부(23)의 출력신호를 소정레벨로 증폭시켜 주는 전력 증폭부(24)와;
상기 전력 증폭부(24)의 출력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시켜 안테나(26)를 통해 공중으로 발사시켜 오디오 시스템 또는 중계방송 장비(3)에서 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변조기(25)로 구성되는 무선음향 송신기(2)를 내장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무선음향 송신기(2)는 공(1)의 외피 내벽에 몰딩재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할 수도 있고, 또 외피(11)의 내벽 일부에 주머니를 형성시켜 그 내부에 안치할 수도 있으나, 공(1) 자체를 이용하여 특정 놀이 또는 경기를 실시할시 공 자체에 많은 충격력이 전달되므로 무선음향 송신기(2)를 구성하고 있는 구성품에도 그 충격력이 전달되어 파손 또는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무선음향 송신기(2)를 구성하고 있는 구성품들 중 마이크(21)를 제외한 나머지 부품들을 하나의 회로기판(20)에 설치한 후 이를 몰딩재내에 함몰시키는 방식을 채택하고, 마이크(21)만 공(1)의 외피(11)내면에 부착 설치하되, 상기 회로기판(20)은 공(1)내부의 중심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탄력성 및 신축성이 좋은 고무 와이어(27)들을 이용하여 대략 "+"자 형상을 갖도록 하여 공의 외피에 결속시켜 주는 것이 좋다.
물론, 상기 마이크(21)와 회로기판(2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주는 전선은 고무와이어(27)의 길이보다 비교적 길게 하여 공(1)의 외피(11)를 통해 전달되어 오는 충격에 의해, 고무와이어(27)들을 통해 공의 중심부상에 뜬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회로기판(20)이 어느 일측으로 쏠리거나 흔들릴시 늘어나는 고무와이어(27)의 길이 변화에 충분이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오디오 시스템 또는 중계방송 장비(3)는 기 알려진 것으로 수개의 무선주파 수신 채널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축구공이나 배구공, 농구공 또는 럭비공 등과 같은 각종 공(1)의 내부에 무선음향 송신기(2)를 설치하여 해당 공을 이용하여 특정놀이 또는 경기를 실시할시 공을 통해 전달되는 주변음향 소리, 예를들어 공이 튀는 소리, 선수들의 발자국소리 및 선수들이 부딪히는 소리 등을 포집하여 경기장내에 설치되어 있는 오디오 시스템 또는 중계방송 장비(3)등에 무선으로 송출하여 경기장내의 스피커나 라디오 또는 TV 수상기에 설치되어 있는 스피커를 통해 생생하게 전달시켜 보다 생동감있고 박진감 넘치는 가운데 해당 놀이 및 경기를 실감나게 관전 및 시청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무선음향 송신기(2)를 구성하는 부품 중 공(1)의 외피(11)를 통해 직접 전달되거나 그 외부에서 발생되어 외피를 통해 전달되는 각종 음향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마이크(21)는 공(1)의 외피(11) 내부에 고정 설치하고, 무선주파 발진기(22)와, 믹서부(23), 전력 증폭부(24), 변조기(25) 및 안테나(26)는 하나의 회로기판(20)에 배치시켜 몰딩재를 통해 함몰시킨 후 이를 공(1)내부의 중심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탄력성 및 신축성이 좋은 고무 와이어(27)들을 이용하여 대략 "+"자 형상을 갖도록 하여 공의 외피에 결속시키는 형태로 설치한다.
물론, 상기 무선음향 송신기(2)내에 설치되어 통상시 라디오나 TV 방송에서 사용되는 특정 주파수의 반송파를 발생시켜 주는 무선주파 발진기(22)의 반송파 발진 주파수는 경기장내의 오디오 시스템 또는 중계방송 장비(3)가 보유하고 있는 채널들 중 특정채널의 수신 주파수와 동일하도록 설정해 주어야만 된다.
따라서, 축구공이나 배구공, 농구공 또는 럭비공 등과 같은 각종 공(1)을 이용하여 특정놀이 또는 경기를 실시할시 상기 무선주파 발진기(22)는 특정 라디오나 TV 방송에서 사용되는 특정 주파수의 반송파를 계속해서 발생시키고, 공을 통해 전해오는 주변음향 소리는 마이크(21)를 통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어 믹서부(23)로 입력된다.
그러므로, 상기 믹서부(23)에서는 마이크(21)를 통해 출력되는 각종 음향신호를 상기 무선주파 발진기(22)의 반송파 출력신호에 실어주어 전력 증폭부(24)로 출력시켜 주고, 이 전력 증폭부(24)에서는 믹서부(23)의 출력신호를 소정레벨로 증폭시켜 변조기(25)로 출력시켜 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변조기(25)에서는 상기 전력 증폭부(24)의 출력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시켜 안테나(26)를 통해 공중으로 발사시켜 주게 되므로 경기장내에 설치되어 있는 오디오 시스템 또는 중계방송 장비(3)에서는 상기 무선주파 발진기(22)의 반송파 주파수와 동일힌 채널을 통해 수신하여 장내 스피커 또는 원격지의 라디오나 TV 수상기의 스피커를 통해 이를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기 알려져 있는 상기 오디오 시스템 또는 중계방송 장비(3)는 상기 무선음향 송신기(2)에서 송출되어온 신호를 수신하여 반송파신호와 음향신호를 상호 분리 및 복조시킨 후 해당 음향신호만을 정해진 레벨로 증폭시켜 장내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별도의 반송파 신호에 실어 무선화한 후 공중으로 송출시켜 원격지의 시청자가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수신기기로 이를 수신하여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축구공이나 배구공, 농구공 또는 럭비공 등을 포함하는 각종 공의 내부에 무선음향 송신기를 설치하여 해당 공을 이용하여 특정놀이 또는 경기를 실시할시 공을 통해 전달되는 주변음향 소리(예를들어 공이 튀는 소리, 선수들의 발자국소리 및 선수들이 부딪히는 소리 등)를 포집하여 무선으로 송출하는 방식을 통해 경기장내에 설치되어 있는 오디오 시스템 또는 중계방송 장비등에서 이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장내의 스피커나 원격지의 시청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라디오 또는 TV 수상기에 설치되어 있는 스피커를 통해 생생하게 전달시켜 줄 수 있도록 하므로써, 경기장에서 경기를 관전하는 관중이나 원격지에서 경기를 중계방송으로 청취하는 시청자들이 해당 경기장 바로 옆에서 관전하는 것과 같은 생동감과 박진감을 맛보면서 해당 놀이 및 경기를 실감나게 관전 및 시청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소정용적을 갖는 구형 외피(11)의 내부에 소정압력으로 공기를 주입시켜서 된 공(1)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공(1)의 외피(11) 내부에 공의 외피를 통해 직접 전달되거나 그 외부에서 발생되어 외피를 통해 전달되는 각종 음향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마이크(21)와;
    라디오나 TV 방송에서 사용되는 특정 주파수의 반송파를 발생시켜 주는 무선주파 발진기(22)와;
    상기 마이크(21)의 출력신호를 상기 무선주파 발진기(22)의 반송파 출력신호에 실어주는 믹서부(23)와;
    상기 믹서부(23)의 출력신호를 소정레벨로 증폭시켜 주는 전력 증폭부(24)와;
    상기 전력 증폭부(24)의 출력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시켜 안테나(26)를 통해 공중으로 발사시켜 오디오 시스템 또는 중계방송 장비(3)에서 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변조기(25)로 구성되는 무선음향 송신기(2)를 내장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송출 기능을 갖는 공.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음향 송신기(2)를 구성하고 있는 구성품들 중 마이크(21)를 제외한 나머지 부품들을 하나의 회로기판(20)에 설치하여 공(1) 내부의 중심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자 형상을 갖도록 배치시킨 고무 와이어(27)를 이용하여 공의 외피에 결속시키고, 상기 마이크(21)는 공(1)의 외피(11)내면에 부착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송출 기능을 갖는 공.
KR1020000065569A 2000-11-06 2000-11-06 음향송출 기능을 갖는 공 KR200200353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5569A KR20020035325A (ko) 2000-11-06 2000-11-06 음향송출 기능을 갖는 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5569A KR20020035325A (ko) 2000-11-06 2000-11-06 음향송출 기능을 갖는 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325A true KR20020035325A (ko) 2002-05-11

Family

ID=19697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5569A KR20020035325A (ko) 2000-11-06 2000-11-06 음향송출 기능을 갖는 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532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1671A (ko) * 2001-05-31 2002-12-06 서정민 스포츠 경기 중계를 위한 사운드 송수신 시스템
KR20030076909A (ko) * 2002-03-23 2003-09-29 방병민 생생한 현장음을 중계 해 주는 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1671A (ko) * 2001-05-31 2002-12-06 서정민 스포츠 경기 중계를 위한 사운드 송수신 시스템
KR20030076909A (ko) * 2002-03-23 2003-09-29 방병민 생생한 현장음을 중계 해 주는 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1250A (en) Single use radio devic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10993498B2 (en) Vibrating footwear device and entertainment system for use therewith
US7911328B2 (en) Capture and remote reproduction of haptic events in synchronous association with the video and audio capture and reproduction of those events
CN106531177B (zh) 一种音频处理的方法、移动终端以及系统
WO2009122142A1 (en) Audio or audio/visual interactive entertainment system and switching device therefor
KR100295201B1 (ko) 위치추적중계방송시스템
EP13970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synchronized activation of external devices in association with video programs
TWM309821U (en) Audio/video equipment with multi-channel wireless transmission
US7603078B2 (en) Ski goggles with digital music player
WO2005109950A1 (en) Bone conduction and wireless receiving set
KR20020035325A (ko) 음향송출 기능을 갖는 공
CN211019196U (zh) 无线共享耳机
KR200216411Y1 (ko) 심판용 무선 전자식 호루라기
KR200210343Y1 (ko) 오디오 신호 송신 기능이 구비된 공
KR20020091671A (ko) 스포츠 경기 중계를 위한 사운드 송수신 시스템
KR20020080299A (ko) 무선송신장치가 부착된 운동용구를 이용한 스포츠중계방송 시스템
KR20010054468A (ko) 스포츠 중계용 무선 송수신장치
KR200240698Y1 (ko) 무선 송신기가 장착되는 공
JPS585348B2 (ja) 野球場等における観覧装置
RU44524U1 (ru) Мяч для спортивных командных игр
KR20080038103A (ko) 구기 종목의 현장 중계 방송 장치
KR20070049319A (ko) 이어폰
KR20010066779A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실시간 경기중계장치
KR20070070895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효과음을출력하는 방법
JPH0739890U (ja) 遊技場用放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