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4840A - 골프 티 - Google Patents

골프 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4840A
KR20020034840A KR1020010027696A KR20010027696A KR20020034840A KR 20020034840 A KR20020034840 A KR 20020034840A KR 1020010027696 A KR1020010027696 A KR 1020010027696A KR 20010027696 A KR20010027696 A KR 20010027696A KR 20020034840 A KR20020034840 A KR 20020034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golf tee
wing plate
tee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7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기봉
Original Assignee
한기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기봉 filed Critical 한기봉
Publication of KR20020034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484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10Golf te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10Golf tees
    • A63B57/12Golf tees attached to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티그라운드에서 티샷을 할 때 골프공을 올려놓는 골프티에 관한 것으로 드라이브 샷을 정확한 방향과 정확한 임팩트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고무 등의 연성 재질로 수직날개판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날개판의 상부에 재치홈을 형성시키되 재치홈의 하부에 공재치대를 형성하며, 수직날개판의 하측 중앙에 지지봉을 형성하여 골프티를 구성하게 되는 것으로, 골프티를 세우고 공재치대에 골프공을 올려놓은 후 드라이브 샷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골프티에서 지지봉의 하단부에 받침대를 형성하지 않고 지지봉의 내측에 장착구멍을 형성하여 장착구멍의 하단부에는 핀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작은 억류구멍을 형성하고, 장착구멍의 내측에는 수직방향으로 요홈을 형성한 것으로 핀을 장착구멍에 삽입 장착하되 핀의 뾰족한 부분이 하측으로 돌출 되도록 장착하여 핀을 그라운드에 꽂아서 골프티를 세우도록 하고 골프티의 공재치대에 골프공을 올려놓은 후에 정확한 임팩트로 샷을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골프 티 {Golf tee}
본 발명은 티그라운드에서 티샷(tee shot)을 할 때 골프공을 올려놓는 골프티(Golf tee)에 관한 것으로 드라이버샷(Driver shot)을 정확한 방향과 정확한 임팩트(Impact)로 샷을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골프티(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무 또는 플라스틱으로 상부에 접시머리 형태의 공재치대(2)가 형성되고 하부로 그라운드에 꽂아 주기 위한 꽂음봉(3)이 형성되게 제작되거나, 고무 등을 이용하여 실패형태와 같은 모양으로 되어 있다.
기존 골프티(1)는 그라운드에 꽂아 사용하게 되므로 골퍼(Golfer)의 취향에 맞게 골프공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어렵고, 특히 골프공을 원하는 방향으로 날리기 위해서는 골퍼의 스탠스(stance: 공을 칠 때의 발의 위치)와 골프채 헤드로 골프공을 임팩트하는 방향이 중요하나, 골프공은 둥글어 스탠스의 기준점을 찾기가 어렵고, 골프공이 날아갈 방향으로 헤드를 스윙(swing)하여야하나 그 방향을 감각하기가 쉽지 않아 결국 원하는 방향으로 골프공을 날릴 수 없는 것이었다.
즉 골프공을 드라이버 샷할 때 정확한 방향성, 정확한 임팩트, 골프공의 일정한 높이 유지를 요구하게 되나 기존 골프티(1)로는 일정한 높이 유지가 어렵고, 샷의 방향에 대한 정확한 기준점이 없이 정확한 방향으로 정확한 임팩트를 하기가 어려운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는 국내에 선 출원되어 공고된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20-1999-160632호 “골프티용 방향지시구”가 알려져 있다.
상기 골프티용 방향지시구는 첨부도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것이다.
깔때기 형상의 원추환대(4a)와 상기 원추환대(4a)의 일측이 종단되는 터짐부(4c)가 형성되고, 상기원추환대(4a)의 상부 타단에는 일정 폭으로 된 평형부(4d)와 점점 좁아지는 쐐기부(4e)가 일체로 된 지시부(4)가 부착되어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원추환대(4a)의 하단에는 원통환대(4b)가 형성된 구성이다.
상기의 방향지시구는 종래의 골프티(1)를 원추환대(4a)의 중공부에 끼워 넣으면 터짐부(4c)가 약간 벌어지면서 골프티(1)를 파지하게 되는 것이며, 골프티(1)와 방향지시구를 일체로 구성한 상태에서 티업(tee up)할 장소에 티를 꽂아 티업을 하게 되는 것이고, 이때 지시부(4)는 목적방향을 가리키도록 하여 꽂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향지시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된다.
즉, 상기의 방향지시구와 일체로 구성된 골프티는 치고자하는 방향을 지시하는 정도의 보조구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부연설명을 하자면 골프에서 정확한 임팩트는 벽을 치듯이 공을 때려야하는 것이며, 골프티에 골프공을 올려놓고 가상의 벽을 머리 속에서 그려서 쳐야 된다는 생각으로 골프를 치게 되지만 이는 고도의 기술과 많은 양의 훈련이 없이는 필드에 나가서 종래의 골프티에 골프공을 올려놓고 가상의 벽을 생각하며 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종래의 방향지시구와 일체로 구성된 골프티는 상기의 부연설명에서처럼 가상의 벽을 머리 속에서 그리기가 어렵고 단지 치고자하는 방향을 지시하는 정도에 불과한 것이다.
또한, 골퍼는 스탠스를 정확하게 자리잡고 타격을 가해야만 하며, 공을 평균 200m 이상의 목표지점으로 날려보낼 때에 스탠스가 1°만 비틀어지게 되면 목표지점에서는 약 4m 정도의 오차가 생기게 되므로 스탠스를 목표지점을 향해 정확한 각도로 자리잡는 것은 고도의 기술과 숙련이 필요하게되는데 종래의 골프티는 스탠스를 자리잡기 위한 가이드 역할을 전혀 하지 못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더욱 개선된 골프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드라이버샷을 할 때에 골프공을 일정한 높이로 놓이게 하여 일정한 감각으로 샷을 할 수 있도록 하고 골프공을 날릴 방향으로 정확히 90°각도가 되게 하여 샷의 방향성과 임팩트의 정확성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훅(Hook)이나 슬라이스의 발생을 최대한 방지해주도록 하는 골프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골프티에 골프공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가상의 벽을 머리 속에서 그리지 않고 실제의 벽체를 직접 치도록 하는 골프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골퍼로 하여금 정확한 스탠스를 가이드 할 수 있도록 하는 골프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공재치대의 하측에 지지봉을 형성한 통상의 골프티에 있어서,
재치홈을 상부 중앙에 형성한 수직날개판과,
재치홈의 하측 중앙에 공재치대를 형성시킨 것과,
수직날개판 및 공재치대는 고무와 같은 연성재질로 제작되는 것과,
상기 공재치대에 올려진 골프공은 재치홈에 위치되어 수직날개판과 접촉되지 않는 것과,
상기 수직날개판의 중앙부에 하측방향으로 지지봉을 형성하고, 지지봉의 하단 단부에는 평평한 받침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티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봉의 하단부에 받침대를 형성하지 않고 지지봉의 내측에 장착구멍을 형성하며 장착구멍의 하단부에는 핀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작은 억류구멍을 형성하고, 장착구멍의 내측에는 수직방향으로 요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티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골프티는 골프티를 그라운드에 세워놓은 상태에서 골프공을 올려놓고 임팩트하되 수직날개판을 가상의 벽으로 생각하고 머리 속에 수직날개판의 연장선을 기준으로 스탠스를 잡고 임팩트하게 됨으로서 보다 안정적인 스탠스에서 정확한 임팩트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골프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골프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티의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티의 사용상태를 보인
정면도 및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골프티의 실시예에 대한 사용상태를 보인
보인 정 단면도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도 5에 도시한 골프티의 실시예에 핀을 결합시키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골프공 10, 10a: 골프티
11: 수직날개판 12: 재치홈 13: 공재치대
14: 지지봉 15: 받침대 16: 장착구멍
17: 요홈 18: 억류구멍 19: 핀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더욱 명확하게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티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티의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티의 사용상태를 보인 정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절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정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핀을 결합시키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골프티는 드라이버샷을 위하여 골프공(5)을 그라운드에 세우는 골프티(10)에 관한 것으로, 중앙에 재치홈(12)을 구비한 수직날개판(11)을 형성하고, 재치홈(12)의 하단 중앙에는 골프공(5)이 올려지는 공재치대(13)를 형성시키고, 수직날개판(11)의 하측 중앙에 지지봉(14)을 형성시킴으로써 구성된다.
상기 수직날개판(11) 및 공재치대(13)는 고무 등의 연성재질을 이용하여 제작하되 공재치대(13)에 골프공(5)을 올려놓았을 때 흔들리거나 찌그러지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갖도록 하며 공재치대(13)는 접시머리 형태를 갖되 골프공(5)을 올려놓을 수 있는 최소 직경을 갖도록 하였다.
상기 재치홈(12)은 공재치대(13)에 골프공(5)을 올려놓으면 골프공(5)과 수직날개판(11)사이는 일정간격이 이격 되게 하여 골프공(5)의 진행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였다.
상기 지지봉(14)의 하단에는 바닥 면에 평평한 받침대(15)를 일체로 구성하여 그라운드 또는 실내 골프연습장에서 용이하게 세울 수 있도록 하였다.
첨부도면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일 실시예의 골프티(10)에서 받침대(15)를 형성하지 않고, 지지봉(14)에 핀(19)을 장착하여 골프공을 지지하도록 하는 골프티(10a)에 관한 것이다.
즉, 골프티(10a)를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봉(14)의 하단에 중앙에 상측으로 개방되어진 장착구멍(16)을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되, 장착구멍(16)의 하단에는 핀(19)의 핀몸체(21)가 억지끼움 될 정도의 억류구멍(18)을 형성하고, 장착구멍(16)의 내측 면에는 요홈(17)을 수직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하였다.
상기 장착홈(16)에 수직방향으로 핀(19)을 끼워 넣어 핀(19)의 핀몸체(21)가 억류구멍(18)에 파지되도록 하고, 핀헤드(20)는 장착홈(16)의 내면에 밀착되어지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골프티(10a)에 핀(19)을 장착하게되면 핀(19)의 뾰족한 부분이 하단으로 돌출 되어지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그라운드에 꽂아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골프티(10)(10a)를 이용하여 드라이버샷을 할 때 그라운드에 놓고 골프공(5)을 공재치대(13)에 올려놓으면 된다.
이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골프티(10)(10a)는 수직날개판(11)이 골프공(5)이 날아갈 방향을 향하도록 세워 놓되 그 이유는 드라이버 골프채헤드(6)로 골프공(5)을 임팩트할 때 골프채헤드(6)가 날아가는 쪽에서 수직날개판(11)이 보이게 되면 골퍼의 심리 상 약간 상부를 치게 됨으로 골프채헤드(6)로 때리는 쪽에는 수직날개판(11)만 보이게 함이 유리하며, 골프티(10)(10a)는 골프공(5)이 날아갈 방향의 궤적과 수직날개판(11)이 직각이 되도록 놓는다.
그리고 수직날개판(11)의 좌, 우 연장선상에 골퍼가 스탠스를 취하게 되어 공이 날아갈 방향과 90°가 되게 스탠스 위치를 잡기가 용이하다.
즉, 기존과 같이 골프공(5)만 보일 때는 가상 선을 그려 스탠스를 잡아야하나 가상 선을 긋기가 어려우므로 본 발명은 수직날개판(11)이 보이게 되어 수직날개판(11) 연장선을 이용하여 스탠스를 취하게 됨으로 훨씬 정확한 스탠스를 취하게 된다.
그리고 드라이버 골프채헤드(6)를 이용하여 골프공(5)을 임팩트하게 되며 이때 골퍼는 수직날개판(11)의 벽면에 돌출 되어 있는 골프공(5)을 임팩트하게 됨으로 자연스럽게 골프채헤드(6)와 수직날개판(11)이 평행을 이루는 방향으로 골프공(5)을 임팩트하게 되어 정확한 샷이 이루어지게 된다.
골프채헤드(6)는 골프공(5)을 임팩트한 후 골프티(10)(10a)를 치게 되어 골프티(10)(10a)가 퉁겨져 나가게 되나 골프티(10)(10a)의 크기가 크므로 쉽게 찾을 수 있고, 골프티(10)(10a)는 매우 가볍고 지면과 접촉되는 면적이 작아 골프공(5)을 임팩트할 때 저항감을 거의 느끼지 않게 된다.
또한,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골프티(10)는 핀(19)을 지지봉(14)에 장착한 것으로 핀(19)의 날카로운 부분은 휴대/보관할 때에 안전이 문제가 됨으로서 핀(19)을 지지봉(14)의 장착구멍(16)에서 뽑아 뒤집어서 지지봉(14)의 하단에 형성한 억류구멍(18)에 꽂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핀(19)을 다시 지지봉(14)에 장착하고자 할 때에는 억류구멍(18)에서 핀을 뽑아 뒤집어서 장착구멍(16)에 핀(19)의 날카로운 부분을 삽입시키게 되면 억류구멍(18)의 하측으로 핀몸체(20)가 노출되고 노출되어진 핀몸체(20)를 조금 더 당기게 되면 억류구멍(18)에 의해 핀몸체(20)가 억류되어 지고 이러한 상태에서 그라운드에 골프티(10a)를 꽂아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골프티(10a)를 그라운드에 꽂아 사용할 때에는 골프티(10a)를 꽂아 넣는 깊이에 따라 골프티(10a)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골프공(5)이 날아갈 방향과 수직날개판(11)이 직교되게 골프티(10)를 놓아 정확한 방향성을 갖도록 하고 골프티(10)(10a)를 그라운드에 세우게 됨으로 항상 일정한 높이로 골프공(5)을 위치시킬 수 있어 골퍼가 연습한 감각대로 샷을 할 수 있으며, 골프채헤드(6)가 골프공(5)에 임팩트될 때 수직날개판(11)과 골프채헤드(6)가 평행한 상태로 임팩트시킬 수 있어 골프공(5)을 원하는 방향으로 날리게 되므로 훅이나 슬라이스가 발생될 우려가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골프공을 일정한 높이로 올려놓을 수 있고, 샷의 정확한 방향성과 정확한 임팩트가 가능하여 드라이버샷을 할 때 훅이나 슬라이스의 발생을 최대한방지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골프티는 수직날개판을 가상의 벽체로 생각할 수 있으므로 수직날개판의 연장 면을 머리 속에서 보다 용이하게 그릴 수 있는 것이고, 가상이 아닌 실체의 벽(수직날개판)을 치게되므로 보다 정확한 임팩트를 실시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골프티는 수직날개판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인해서 미숙련자라도 보다 정확한 각도의 스탠스를 잡을 수 있게 가이드를 해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공재치대의 하측에 지지봉을 형성한 통상의 골프티에 있어서,
    재치홈(12)을 중앙에 형성하고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수직날개판(11)과,
    상기 재치홈(12)의 중앙하측으로 형성한 공재치대(13)를 형성하는 것과,
    상기 수직날개판(11)의 하측중앙에 하측방향으로 지지봉(14)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지지봉(14)의 하단에 받침대(15)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티.
  2. 공재치대의 하측에 지지봉을 형성한 통상의 골프티에 있어서,
    재치홈(12)을 중앙에 형성하고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수직날개판(11)과,
    상기 재치홈(12)의 중앙하측으로 형성한 공재치대(13)를 형성하는 것과,
    상기 수직날개판(11)의 하측중앙에 하측방향으로 지지봉(14)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지지봉(14)의 내측에 장착구멍(16)을 형성하되, 장착구멍(16)의 하단부에는 억류구멍(18)을 형성하고, 장착구멍(16)의 내측에는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요홈(17)을 형성하여 통상의 핀(19)을 장착구멍(16)과 억류구멍(18)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수직날개판(11) 및 공재치대(13)는 연성재질의 고무로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공재치대(13)에 올려진 골프공(5)은 재치홈(12)에 위치하되, 수직날개판(11)과 골프공(5)이 접촉되지 않도록 재치홈(1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티.
KR1020010027696A 2000-11-03 2001-05-21 골프 티 KR200200348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792 2000-11-03
KR2020000030792U KR200225894Y1 (ko) 2000-11-03 2000-11-03 골프 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4840A true KR20020034840A (ko) 2002-05-09

Family

ID=1967122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792U KR200225894Y1 (ko) 2000-11-03 2000-11-03 골프 티
KR1020010027696A KR20020034840A (ko) 2000-11-03 2001-05-21 골프 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792U KR200225894Y1 (ko) 2000-11-03 2000-11-03 골프 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225894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12319A1 (ko) * 2018-05-04 2019-11-07 Choi Yong Sik 골프티
KR20190127614A (ko) * 2019-07-03 2019-11-13 최용식 골프티
KR20190127613A (ko) * 2019-07-03 2019-11-13 최용식 골프티
KR20190127631A (ko) * 2019-11-01 2019-11-13 최용식 골프티
KR20200006154A (ko) * 2020-01-08 2020-01-17 최용식 골프티 제조 방법
KR20210023545A (ko) * 2019-08-23 2021-03-04 주식회사 벤그룹 스트레이트 구질을 유도하는 골프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12319A1 (ko) * 2018-05-04 2019-11-07 Choi Yong Sik 골프티
KR20190127614A (ko) * 2019-07-03 2019-11-13 최용식 골프티
KR20190127613A (ko) * 2019-07-03 2019-11-13 최용식 골프티
KR20210023545A (ko) * 2019-08-23 2021-03-04 주식회사 벤그룹 스트레이트 구질을 유도하는 골프티
KR20190127631A (ko) * 2019-11-01 2019-11-13 최용식 골프티
KR20200006154A (ko) * 2020-01-08 2020-01-17 최용식 골프티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5894Y1 (ko) 200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8263B2 (en) Golf tee set
US8622853B1 (en) Golf training device
US7052416B2 (en) Golf range tee
US5616085A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US10695641B2 (en) Golf training aid to help golfers achieve the correct angle-of-attack
US6062989A (en) Adjustable golf teeing device
US3269733A (en) Golf putter guide
US20050130769A1 (en) Golf tee-accessory assembly
EP1894607B1 (en) Golf tee set
JP5374746B1 (ja) ゴルフ用ティ
US3529830A (en) Putter aligning device
US20220040544A1 (en) Golf tee support
US4669725A (en) Directional device for golfers
US7140971B2 (en) Practice putting and ball retrieving device
US20050064959A1 (en) Promotional golf tee including a flat, flexible upper portion, alignement means and anchoring mechanism
KR20020034840A (ko) 골프 티
US6056651A (en) Golf ball mounting device
US20090264225A1 (en) Golf tee
KR101845207B1 (ko) 수직 보정이 용이한 골프티
US7384353B2 (en) High performance flexible golf ball tee apparatus
KR200366638Y1 (ko) 골프 티
US20060205537A1 (en) Device for supporting a golf ball
US20230302338A1 (en) Golf aiming devices, golf tees for use in a golf aiming device,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KR20220000686U (ko) 에이밍 방향선 지시용 골프 티
KR100421086B1 (ko) 골프 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