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2758A - 인터넷을 이용한 연예인지망생 실시간 평가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이용한 연예인지망생 실시간 평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2758A
KR20020032758A KR1020000063393A KR20000063393A KR20020032758A KR 20020032758 A KR20020032758 A KR 20020032758A KR 1020000063393 A KR1020000063393 A KR 1020000063393A KR 20000063393 A KR20000063393 A KR 20000063393A KR 20020032758 A KR20020032758 A KR 20020032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luation
applicant
appearance
video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3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규명
이대일
서완석
이길성
김정란
이인우
Original Assignee
최규명
이대일
이인우
이길성
김정란
서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규명, 이대일, 이인우, 이길성, 김정란, 서완석 filed Critical 최규명
Priority to KR1020000063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2758A/ko
Publication of KR20020032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275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8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for evaluating statistical data, e.g. average values, frequency distributions, probability functions, regression analy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Economics (AREA)
  • Algebr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모집 된 회원을 대상으로 컴퓨터 네트워크를 하는 방법으로써, 체계 공학적 및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설정된 파라메트릭 추정 방법과 잠재력추정관계식(Potential Estimating Relationship)에 의하여 연예인 지망생의 잠재력 평가결과를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또한 실시간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잠재력이 있는 인재를 선발하여 전속회원으로 관리 및 유지함으로써 수익을 창출하는 이른바 온라인 오프라인 연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연예인지망생 실시간 평가시스템{Realtime Evaluation System on a Candidate for Entertainer Using Internet}
본 발명은 연예인 지망생의 잠재능력을 파라메트릭방법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평가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연예인지망생 실시간 평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시스템은 체계공학적 및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설정된 파라메트릭 방법과 잠재력추정관계식(Potential Estimating Relationship)에 의하여 연예인 지망생의 잠재력 평가결과를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또한 실시간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잠재력이 있는 인재를 선발하여 전속회원으로 관리 및 유지함으로써 수익을 창출하는 이른바 온라인 오프라인 연계시스템으로서, 인터넷을 이용한 연예인지망생 실시간 평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연예인은 매우 간헐적인 오디션, 인맥이나 로드헌팅(Road Hunting)에 의하여 선발되거나 심지어 연예인 지망생이 음반회사, 기획사, 방송국 등을 직접 방문하여 오디션을 자청하는 등 문턱 높고 좁은 문을 통과하여야 하는 고충을 겪어야 했으므로 전통적인 연예인 선발방법은 인맥이나 지연, 학연 등에 의존함으로써 잠재력 있고 유능한 인재를 발굴하는 데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었으며, 또한 기존의 인터넷 캐스팅방법들은 투표에 의하여 네티즌의 판단에 맡기거나 또한 캐스팅 관계자가 주관적 판단에 의하여 평가함으로써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접근이 불가능하였다.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2000-37455호는, 통신 네트웍을 지원하는 인터넷망과, 상기 인터넷망과 연결되는 네티즌단말기, 상기 네티즌단말기와 접속되어 웹사이트를 통해 연예인의 선발 및 육성 과정에 필요한 각종 정보데이터를 제공하는 웹서버 및 상기 웹서버와 연결되어 네티즌에게 제공되는 각종 정보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부를 구비하는 인터넷 시스템 상에서의 연예인 육성 방법에 있어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특정 장소에서 공개 오디션을 실시하는 과정; 상기 공개 오디션을 통해 연예인의 소질이 있는 다수의 연예인을 선발하는 과정; 상기 선발된 연예인들을 대상으로 웹사이트 상에서 네티즌들에 의해 소수의 연예인을 선정하는 과정; 상기 선정된 연예인들을 대상으로 각 연예인 팀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각 연예인 팀을 관리하는 연예인 관리팀을 네티즌들로 선발하여 구성하는 과정; 상기 연예인 관리팀의 의견 수렴을 반영하여 각 연예인 팀의 준비과정 및 활동 상황을 웹사이트를 통해 수시로 공개함과 더불어 각종 방송매체를 통해 홍보 및 활동하는 과정; 및 상기 각 연예인 팀의 활동 기간에 따라 일정 주기로 연예인 관리팀을 재구성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는 인터넷을 이용한 연예인 육성방법에 관한 것이고,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2000-36366호는, 인터넷상에서 지원자의 특기와 신상을 영상과 음성데이터로 제공받아 공정한 심사를 통해 공개 채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인터넷을 통한 채용방법은 (a)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모집광고를 내고, 신청을 받는 단계; (b)상기 모집광고를 통해 신청을 희망하는 사람이 자신의 특기와 신상에 대한 소개를 영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로 제공하는 단계;(c)상기 신청자가 제공한 영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상기 인터넷 홈페이지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d)직원채용을 희망하는 업체로부터 요청된 적임자를 상기 서버에 저장된 신청자의 영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통해 선출하고, 상기 선출된 적임자에 대한 영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상기 업체의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 및 (e)상기업체의 컴퓨터로 제공된 영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통해 적임자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업체가 원하는 적임자일경우 상기 업체로부터 면담날짜와 시간 그리고 장소를 통보 받아 상기 적임자에게 상기 업체의 면담날짜와 시간 그리고 장소를 제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기존의 인터넷에 의한 캐스팅방법으로 제시되는 기술들은 사진, 동영상, 음악연주테이프 등을 네티즌이 직접 투표하여 점수 화하거나 캐스팅 관계자가 점수 화하는 방법을 거의 채택하고 있으므로 주관적인 판단과 감성적인 판단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이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주관적인 판단과 감성적인 판단을 벗어나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발굴방법이 요구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 직업군별 평가기준을 설정하여 온라인상의 실시간 평가가 이루어지고, 상기 실시간 평가에 준 하는 오프라인 평가 또한 이루어져, 잠재력이 높은 젊은 인재를 조기에 발굴할 수 있고 과학적인 분석과 현재의 컴퓨터 기술을 동원하여 등용의 폭을 넓히고, 자신의 능력을 평가받아 자신의 상업적 가치를 실시간으로 평가하여 자신의 진로결정에 과학적인평가결과를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연예인지망생 실시간 평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연예인지망생 실시간
평가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예인으로서의 재능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캐스팅 하려고 하는 직업의 분류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웹에 방문한 지원자의 평가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평가모델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평가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평가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실시간 용모/신체 평가 모듈의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사진을 활용한 용모/신체 평가 모듈의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문가에 의한 동영상/비디오 외모 평가
모듈의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온라인 외모평가를 위한 용모/신체
관련 입력양식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수부문에 대한 음악파일을 이용한 노래(가창력)
평가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읽기부문에 대한 평가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주/백댄서/작곡/작사/국악)에 대한
평가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예비스타평가 흐름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직업군별 평가모델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창력(노래)평가방식 일예 상세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용모의 온라인상 항목별 평가 상세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용모의 오프라인상 항목별 평가 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네트워크(10), 사용자(11), 서버(12), 데이터베이스(13), 운용관리자(14),
외모평가(1a), 라이브평가(1b), 악보/가사평가(1c), 온라인수치평가(1d),
사진평가(1e), 동영상/비디오평가(1f), 읽기평가(1g),
노래/연주/연기평가(1h), 악보평가(1i), 가사평가(1j), 용모평가(1k),
신체평가(1l), 음악파일평가(1m), 동영상/비디오평가(1n),
데모테이프평가(1o), 연기/개그(2a), 모델/미인대회(2b),
대중음악/백댄스(2c), 도우미/MC(2d), 국악(2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선발 하고자 하는 사용자 입장에서 인터넷으로 연결된 무한의 인적자원을 실시간으로 평가할 수 있고, 대규모의 적절한 연예인 선발이 가능하도록 연예인 직업군별(탤런트, 영화배우, 연극배우, 모델등..)로 실시간 평가와 오프라인평가가 가능하도록 평가항목을 설정하였다.
실시간 평가는 용모, 신체, live(노래, 읽기, 연주)를 수초이내에 평가하기 위하여 체계 공학적 및 통계적 분석결과에 의한 파라메트릭 추정방법을 적용한다. 즉 용모 및 신체의 잠재력 점수를 얼굴 및 신체의 부위별 치수를 분석하여 미인의 기준과 통계적 분포를 설정하고 각 개인의 치수가 입력되면 잠재력 추정관계함수에 의하여 미인의 기준으로부터 차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즉시 제시할 수 있다. 또한 live(노래)평가를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노래의 기준 주파수와 지망생이 부르는 주파수를 비교하여 박자, 음정, 음색에 대한 점수를 실시간으로 평가한다.
사용자에게 평가기회를 다양하게 부여하기 위하여 실시간 평가 이외에 사진이나 동영상, 비디오 등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이용하여 평가받을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이때 외모 평가의 방법은 성형 외과적 측면에서 1차 평가하고 다음에 연예계 실제 종사하는 전문가에 의한 2차평가를 실시함으로써 기본 잠재력을 평가한다.
Live(읽기, 노래)평가의 경우, 실시간 평가이외의 읽기 평가는 주어진 문장을 낭독하였을 때 파일로 저장시키고 그 파일을 아나운서 경력자가 발음의 정확도, 표준말 사용능력, 읽는 속도를 평가하게 된다. 또 음악 데모 테이프이나 동영상 및 비디오를 제출할 경우에도 전문 작곡가 출신의 음악 전문가에 의하여 평가를 실시함으로써 잠재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며 실시간 평가결과와 오프라인 평가결과에 따라 연예인 지망생을 1차 선발하고(예비스타) 실제 오디션을 통하여 전속회원을 선발하여 직업군별로 관리한다.
모든 평가결과는 DB에 저장되고 개인별 평가이력이 계속 DB에 누적되어 저장될 것이며 연습결과에 따라 또 성장결과에 따라 자신의 잠재력 점수의 변동을 추적할 수 있도록 DB를 설계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DB는 표준과학연구소에서 조사한 연도별 국민체위조사중에서 성인 여성 18세~24세와 성인 남성 18~30세를 표준으로 신장, 하체길이, 상하 균형 가슴둘레,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체형 등의 각각 평균치와 표준편차 등이 입력되어 있으며, 사진은 동서양의 미인들의 측면사진과 이마크기, 코높이와 길이 인중의 길이와 넓이, 눈의 길이와 크기 및 눈과 눈 사이의 길이, 입의 크기와 넓이, 치아의 균일도와 귀의 크기와 위치 및 길이 얼굴의 전체적인 균형미 및 머리카락의 색상 및 각종 헤어스타일의 평균치와 표준편차가 입력되어 있고,
유명한 남녀아나운서의 표준말의 일정문장 낭독소리와 높낮이 등의 평균치와 표준편차와, 1000~5000여곡의 표준음정 및 박자와 표준편차 등이 입력되어 있어사용자의 용모나 문장을 읽거나, 노래를 하면, 수초 내에 자동으로 평균치와 표준편차가 계산되어 계산된 결과를 알려주도록 구축되어 있다.
모델에 의한 수익의 창출은 전속회원의 관리와 프로모션 등을 통하여 수익모델에 의하여 발생한다. 이를 위하여 지원자가 본 사이트를 방문하여 요구하는 조건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검색기능이 강력한 전속회원 검색기능을 갖춘다.
예를 들면 지원자의 요구조건이 키 175cm이상, 계약금액 1000만원 이하, 청순가련형의 얼굴 등의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회원을 검색할 수 있도록 DB를 설계하여 검색기능으로 제공하였고 지원자가 검색결과에 따라 온라인 상에서 지원을 신청 할 수 있도록 설계, 지원자가 원하는 전속회원에 대한 활동에 대하여 계약하여 수익을 창출시키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을 이용한 연예인지망생 실시간 평가시스템 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연예인지망생 실시간 평가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간략적인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예인으로서의 재능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캐스팅 하려고 하는 직업의 분류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웹에 방문한 지원자의 평가흐름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평가모델의 구성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평가 구성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평가 구성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실시간 , 용모/신체 평가 모듈의 흐름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사진을 활용한 용모/신체 평가 모듈의 흐름도,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문가에 의한 비디오/동영상 외모 평가 모듈의 흐름도,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온라인 외모평가를 위한 용모/신체 관련 입력양식,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수부문에 대한 음악 파일을 이용한 가창력(노래) 평가 흐름도,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읽기 부문에 대한 평가 흐름도,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주/백댄서/작곡/작사/국악)에 대한 평가 흐름도,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예비스타평가 흐름도, 도16은 본 발명에 따른 직업군별 평가모델,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창력(노래)평가방식 일예 상세도, 도18은 본 발명에 따른 용모의 온라인상 항목별 평가 상세도 및 도19는 본 발명에 따른 용모의 오프라인상 항목별 평가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며, 네트워크(10), 사용자(11), 서버(12), 데이터베이스(13), 운용관리자(14), 외모평가(1a), 라이브평가(1b), 악보/가사평가(1c), 온라인수치평가(1d), 사진평가(1e), 동영상/비디오평가(1f), 읽기평가(1g), 노래/연주/연기평가(1h), 악보평가(1i), 가사평가(1j), 용모평가(1k), 신체평가(1l), 음악파일평가(1m), 동영상/비디오평가(1n), 데모테이프평가(1o), 연기/개그(2a), 모델/미인대회(2b), 대중음악/백댄스(2c), 도우미/MC(2d), 국악(2e)을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도1을 살펴보면 인터넷을 이용한 연예인지망생 실시간 평가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간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사용자(11)와, 운용관리자(14), 서버(12), 데이터베이스(13) 및 이들을 연결하는 네트워크(10)로 구성되어있는데, 사용자(11)가 인터넷을 통하여 서버(12)에 접속을 하여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통한 통상적인 로그인 과정을 거친 후 상기 데이터베이스(13)에 저장된평가모델의 데이터와 상기 서버에 구축되어 있으며, 상기 데이터베이스(13)와 연동되는 평가응용프로그램(15)에 따라 과학적인 평가가 이루어지는 것이다.상기서버(10)와, 데이터베이스(13)는 반드시 분리되어 구현될 필요는 없으며, 보통의 컴퓨터 시스템과 같이 통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회원으로 등록되면 본 발명에 의한 평가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부수적인 응용 프로그램이 상기 네트워크(10)를 통하여 사용자(11)의 컴퓨터로 전송되어 설치가 가능한 것이다.
도2를 살펴보면, 연예인으로서의 재능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의 종류와 구성을 나타낸다. 평가는 외모평가, 라이브평가 및 작곡/작사평가의 3종으로 대별하였는데, 평가 방법은 도 2의 1d ~ 1o 까지의 평가에 의해 웹상에 방문한 사용자(지원자)(11)가 원하는 직업군/직업에 대하여 자신의 자질을 평가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외모평가(1a)는 온라인 수치평가(1d), 사진에 의한 평가(1e) 및 동영상/비디오평가(1f)로 구성되는데, 온라인 수치평가는 미모평가(1k)와 신체평가(1l)로 되어있고, 신체평가는 사용자(지원자)(11)가 온라인 상에서 입력한 신체크기를 가지고 평가하며, 미모평가는 역시 사용자(지원자)(11)가 온라인 상에서 입력한 얼굴의 주요부위 크기와 형태를 가지고 평가한다. 외모평가의 사진평가와 동영상/비디오 평가는 지원자가 준비한 사진 동영상 파일을 온라인 상에서 서버(12)로 전송하고 이를 전문가가 평가하여 데이터베이스(13)에 평가결과를 저장하게 된다. 아울러 파일 형태가 아닌 보통의 사진을 오프라인 상에서 자신의 외모평가가 가능하도록 녹화한비디오를 제작하여 운용관리자(14)에게 송부하면 전문가가 평가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13)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외모평가는 온라인수치평가(1d), 사진평가 (1e) 및 동영상/비디오평가(1f)의 3가지 평가 중 1가지 이상의 평가를 받으면 외모평가에 의한 점수가 산출되도록 하였는데, 상기 사진이나 동영상의 경우 전면과 측면이 확인 가능해야 하며 이때 몸매가 드러나는 옷을 입고 촬영을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라이브평가는 읽기평가와 노래/연주/연기 평가로 구분하는데, 노래/연주/연기 평가는 음악파일 평가(1m), 동영상/비디오평가(1n) 및 데모테이프평가(1o)로 구성된다. WAV파일 평가는 사용자(지원자)(11)에게 반주음악파일과 이를 연주할 수 있는 플레이어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한 가창을 수행하여 실시간으로 노래의 점수를 사용자(지원자)(11)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라이브평가의 동영상/비디오평가를 위한 평가자료의 전송방법은 외모평가의 동영상/비디오평가와 동일하며, 외모평가의 경우와는 달리 사용자(지원자)(11)의 노래, 연주, 연기의 능력을 평가받을 수 있는 내용이 담겨야 한다. 데모테이프평가는 사용자(지원자)(11)가 노래의 가창력이나 연주 실력을 평가받을 경우에 해당되며, 사용자(지원자)(11)의 노래와 해당 노래의 반주가 같이 수록된 데모테이프를 제작하여 운용관리자(14)에 송부하면 전문가가 평가하여 점수를 부여한다. 읽기평가는 서버운영사의 서버에서 제공하는 평가 문장을 사용자(지원자)(11)가 낭독하면 파일로 만들어져 온라인 상으로 운용관리자(14)의 서버(12)로 전송되어 전문가가 이를 청취하여 평가하는 방식을 취한다. 라이브평가의 노래/연주/연기 평가를 받을 경우에는 (1m),(1n)및 (1o)의 3가지 평가 중 1가지 이상의 평가를 받으면 노래/연주/연기 평가에 대한 점수가 산출되어 사용자(지원자)(11)가 평가받으려고 하는 분야/직업의 자질을 평가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작곡/작사 평가는 사용자(지원자)(11)가 창작한 악보와 가사를 파일형태로 제작하여 온라인으로 운용관리자(14)에 전송하거나 또는 종이에 적힌 악보와 가사를 오프라인으로 (도 7참조)서버운영사에 송부하면 해당 분야의 전문가가 평가하여 본인에게 이메일로 통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평가하여 캐스팅 하려고 하는 직업의 종류와 분류도를 도시하였으며, 평가분야는 연기/개그(2a), 모델/미인대회(2b), 음악/백댄서(2c), 도우미/MC(2d) 및 국악(2e)의 5개 직업군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분야에 해당하는 직업으로 분류하여 평가 사이트에 방문한 지원자가 평가받으려는 분야와 직업을 선택적으로 평가받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인데, 각 직업군/직업별로 지원자의 자질을 평가하기 위해서 평가받아야 할 평가의 종류(예를 들면 연기/개그(2a)분야는 탤런트, 영화배우, 연극배우, 개그등...)를 도시하였고 지원자는 자신이 선택한 직업에 해당되는 평가를 온라인(도 6참조) 또는 오프라인(도 7참조)으로 수행하면 정량적인 점수의 형태로 평가결과와 함께 스타가 되기 위해 노력해야 할 사항 등의 도움자료 및 예비스타캐스팅 여부를 통보 받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웹에 방문한 지원자가 평가를 원하면 평가홈페이지에서 평가를 하는흐름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원하는 평가직업군(예: 연기/개그)을 선택(S41)하는 단계; 다음은 홈페이지에서 제시되는 해당직업군의 직업리스트에서 필요한 평가 항목이 디스플레이 되어 평가받기를 원하는 직업(예:탤런트, 영화배우등..)을 선택(S42)하는 단계; 평가 항목중 자신이 원하는 평가분야(예:라이브등..)를 선택(S43)단계; 다음으로는 자신이 원하는 항목(예: 읽기..)을 선택(S44)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며, 다음단계로 해당 평가를 받기 위한 평가요령과 콘텐츠가 홈페이지 상에 제시되며, 지원자는 제시된 평가요령을 따라 평가(S45)단계가 이루어지며, 평가에 필요한 평가모델은 프로그램의 형태로 만들어져 서버운영사의 서버에 저장(S46)되었다가 지원자가 선택한 해당 평가가 종료되면 평가모델에 의한 온라인 평가의 경우는 그 결과가 실시간으로 지원자 모니터에 즉시 디스플레이(S47)된다. 전문가에 의한 평가의 경우에는 전문가가 평가하여 그 결과를 서버운영사의 사이트에 방문하여 결과를 입력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갱신하고 이메일로 지원자에게 통보한다. 제시된 평가항목 중 필요한 타 평가를 수행하거나 다른 직업에 대한 평가를 원하는 경우에는 도 4에 제시된 바와 같은 흐름으로 반복적으로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해당 직업에 대한 자질을 평가받는다. 이 때 중복되는 평가는 다시 받지 않아도 자질이 평가되며, 재평가를 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를 지원자에게 알려주는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평가모델 구성도에 관한 것으로서, 외모평가, 라이브평가 및 작곡/작사평가로 구분되며, 상기 평가방법중에서 온라인평가 및 온오프평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모평가는 용모평가, 신체평가, 사진평가 및 동영상/비디오평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라이브평가는 읽기평가, 음악파일, 동영상/비디오, 연주테이프로 구성되어 있다.
온라인평가는 상기 외모평가중에서 용모평가, 신체평가, 사진평가 및 동영상평가와 상기 라이브평가중에서는 읽기평가, 음악파일, 동영상평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오프라인평가는 상기 외모평가중에서 사진평가, 동영상평가 및 비디오평가와 상기 라이브평가중에서는 음악파일, 비디오, 연주테이프와 악보/가사로 구성되어 있다.
도6은 온라인평가의 구성도를 직업군별로 평가하는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에서 평가하는 구성도를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용모/신체 평가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8은 온라인 상에서의 실시간 용모/신체 평가 모듈의 흐름도를 보여주며, 온라인 상에서의 실시간 외모평가에 필요한 계측자료 입력양식(도 15참조)에 사용자가 직접 계측된 자기 용모, 신체 관련 자료를 입력(S410); 하면, 입력된 자료는 서버(12)의 평가응용프로그램(15)의 산술식 즉, 본 발명의 체계 공학적 및 통계적 분석결과에 의한 파라메트릭 추정방법에 의거하여 각각 용모를 평가(S411), 하고신체를 평가 (S412)하는 것이며, 희망하는 분야에서의 외모를 가중치를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점수 화하는 등 온라인 상에서 실시간 외모평가를 정량적으로 수행하는 모듈이다. 이렇게 정량적으로 평가된 사용자의 점수를 근거로 사이버 예비스타를 선정하며, 선정된 사이버 예비스타는 추후 오프라인인 연예인 및 연예인 지망생을 홍보하고 교육시키는 연예인 매니지먼트 회사의 전속회원 선발대회 참여와 스튜디오에서 추후 홍보를 위한 예비스타 용모/신체의 전문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자격을 갖는다. 또 전속회원 선발대회에서 뽑힌 전속회원은 본격적인 연예인 진출 준비를 위한 전문 교육 기회를 통해 자신의 능력을 배양하고, 오프라인인 연예인 매니지먼트 회사에서의 홍보활동을 통해 연예계 진출의 기회를 확보케 된다.
도9는 사진을 활용한 용모/신체 평가 모듈의 흐름도를 보여주며, 흐름도의 단계(S420)에서 외모평가에 필요한 사진(파일) 5장(전신 정면 사진, 전신 측면 사진, 반신 정면 사진, 반신 측면 사진, 이미지 컷 사진)과 자기 소개서를 함께 우편이나 파일로 온 라인 관리자에게 전송(S424)하면, 외모 평가위원인 성형외과 전문의가 사용자의 외모를 다양한 각도와 포즈의 사진을 토대로 외모를 용모와 신체로 구분하여 전문적으로 평가하여 성형 외과적인 측면에서의 의견과 용모와 신체에 대한 평가점수를 산정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E_mail로 보내준다(S426). 점수를 평가할 때 신청자의 희망하는 분야를 고려하여 외모를 용모와 신체로 구분하여 점수화하고, 성형외과 전문의의 신청자에 대한 외모의견을 첨부하여 보내준다. 또 정량적으로 평가된 신청자의 점수를 근거로 사이버 예비스타를 선정하며, 선정된 사이버 예비스타는 추후 오프라인인 연예인 및 연예인 지망생을 홍보하고 교육시키는 연예인 매니지먼트 회사의 전속회원 선발대회 참여와 스튜디오에서 추후 홍보를 위한 예비스타 용모/신체의 전문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자격을 갖는다(S429). 또 전속회원 선발대회(S430)에서 뽑힌 전속회원은 본격적인 연예인 진출 준비를 위한 전문 교육 기회를 통해 자신의 능력을 배양하고, 오프라인인 연예인 매니지먼트 회사에서의 홍보활동을 통해 연예계 진출의 기회를 확보케 된다(S432).
도10은 동영상/비디오를 활용한 용모/신체 평가 모듈의 흐름도를 보여주며, 흐름도의 단계 S430에서 외모평가에 필요한 영상(파일)들 (전신 정면 영상, 전신 측면 영상, 반신 정면 영상, 반신 측면 영상, 이미지 컷 영상 등)과 자기 소개서를 함께 우편이나 파일로 온 라인 운용관리자에게 전송(S434)하면, 관리자는 외모평가 전문가인 성형외과 전문의에게 평가를 의뢰하고, 전문의는 외모를 용모와 신체로 구분하여 전문적으로 평가하여 성형 외과적인 측면에서의 의견과 용모와 신체에 대한 평가점수를 산정 하여, 그 결과를 신청자에게 이메일로 보내준다(S436). 점수를 평가할 때 신청자의 희망하는 분야를 고려하여 외모를 용모와 신체로 구분하여 점수화 하고, 성형외과 전문의의 신청자에 대한 외모의견을 첨부하여 보내준다. 또 정량적으로 평가된 신청자의 점수를 근거로 사이버 예비스타를 선정하며, 선정된 사이버 예비스타는 추후 홍보를 위한 예비스타 용모/신체의 전문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자격을 갖는다(S439). 또 전속회원 선발대회(S440)에서 뽑힌 전속회원은 본격적인 연예인 진출 준비를 위한 전문 교육 기회를 통해 자신의 능력을 배양하고, 오프라인인 연예인 매니지먼트 회사에서의 홍보활동(S442)을 통해 연예계 진출의 기회를 확보케 된다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온라인 외모평가를 위한 용모/신체관련자료를 입력하는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표준과학연구소에서 국민체위를 조사한 것을 기본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작성하며 사용자가 입력한 자료와 비교하여 평가 점수가 산출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온-오프라인 라이브(노래, 읽기, 연주) 평가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2의 가수부문에 대한 음악파일을 이용한 노래(가창력)평가 흐름도를 살펴보면 먼저 지원자가 온라인으로 평가를 수행할지 오프라인으로 평가를 수행할지 선택(SS001)단계를 거친 다음 만약에 온라인으로 선택을 한 경우 노래선택(SS100)단계를 거치게 된다. 만약에 부르고자하는 곡이 누락된 경우 새로운 곡 확보를 요청함을 서버에 통보(SS105)한다. 부르고자하는 곡을 선택하면 지원자의 회원확인을 위한 사용자 로그인 확인(SS105) 과정을 거쳐 지원자가 선택한 곡의 반주 파일과 표준음원 자료를 데이터베이스(13)에서 찾아(SS120) 검색된 자료를 지원자의 컴퓨터로 전송을 한다. 이때 상기에서 기술하였듯이 개발된 플레이어가 해당 지원자의 컴퓨터에 설치되었는지 검사하여 미설치 된 경우 평가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부수적인 응용 프로그램(플레이어)이 상기 네트워크(10)를 통하여 사용자(11)의 컴퓨터로 전송되어 설치(SS135)하고, 설치가 완료되면 평가 수행하기 위한 노래를 주어진 반주에 따라 노래(SS140)하면 그 노래를 실시간으로 파일을 만들면서 미리 설계된 평가 로직에 따라 실시간으로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SS150)를 거쳐 상기단계(SS150)에서 생성된 평가결과 코드에 맞는 연습 자료를 서버에서 검색(SS160)하는 단계와 상기단계(SS150)에서 생성된 평가결과 코드에 맞는 서술문을 서버에서 검색하는 과정(SS170)을 거쳐 (SS150)에서 도출된 평가 점수, (SS160)에서 검색한 연습자료와 (SS170)에서 검색한 평가 결과가 서술문과 노래점수 등을 지원자의 컴퓨터에 전송(SS180)하여 저장하는 단계(SS190)를 나타낸다.
만약, 상기단계(SS001)에서 지원자가 온라인을 실행할 수 없는 환경이면 오프라인을 선택하는데 오프라인을 선택한 경우의 발송절차, 날짜, 형식, 요구사항 등을 안내 해주는 단계(SS210)를 거치면, 다음으로 지원자의 자료가 들어있는 평가대상물에 대하여 신뢰성이 보장되도록 지원자가 로그온(SS215)한 후에 서버에서 오프라인으로 발송할 평가대상물에 대한 고유발송ID를 부여하는 것이며, 대상을 우편 접수(SS230)하여 오프라인의 전문가가 주어진 기준과 양식에 따라 평가(SS235)가 하고 평가 결과를 해당지원자에게 통보함으로써, 상기 라이브의 가수부문의 가창력(노래)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13은 읽기에 대한 평가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데, 나레이터/MC/VJ/탤런트/영화배우/연극배우/개그맨 등이 읽기에 대한 평가에 해당되는 것이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지원자가 읽기를 선택한 다음 온라인으로 평가를 수행할지 오프라인으로 평가를 수행할지 선택(SR001)단계를 거친 다음 만약에 온라인으로 선택을한 경우 로그온(SR105)하여 지원자의 컴퓨터에 기존 자신의 읽기 파일보유(미리 저장해놓은 파일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SR100)하여 만약에 지원자가 읽기 파일을 미리 작성해 놓지 않았다면, 상기 직업별로 해당하는 대사의 읽기 평가를 수행할 내용을 선택(SR110)한다. 이때 개발된 녹음 프로그램이 해당 지원자의 컴퓨터에 설치되었는지 검사하여 미설치 된 경우 평가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부수적인 응용 프로그램이 상기 네트워크(10)를 통하여 사용자(11)의 컴퓨터로 전송되어 설치(SR115)하고, 설치가 완료되면 서버에서 지원자가 평가 수행하기 위한 읽기문을 전송(SR120)한 다음 지원자가 읽기를 수행(SR130)하면 실시간으로 파일로 생성(SR140)되어지며, 읽기파일이 완성되면 지원자의 컴퓨터에서 서버로 전송(SR150)하여 저장되어진다.
도 13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오프라인으로 읽기가 수행되어질 경우는 상기도 도12에서 기술한 가수부문에 대한 가창력(노래) 평가의 오프라인 절차와 동일한 것을 알 수가 있다.
도 14는 기타(연주/백댄서/작곡/작사/국악)에 대한 평가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데, 오프라인상태는 동일하며 온라인일 때는 미리 작성해놓은 파일을 전송(SE100)하여 전문가에게 직접 전달되어 평가되며, 나머지 과정은 상기 도 12 및 도13과 동일하다
도 15는 상기에서 기술한 외모(도8 내지 도)와 라이브(도 12 내지 도 14에서평가한 수치를 가지고 예비스타로서의 자질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최종적으로 선발하는 예비스타평가 흐름도를 도시한 것인데, 먼저 라이브에서 평가받은 점수가 우수한지(SS300)를 조건으로 내세우는데, 여기서 적절한 기준점수는 운용관리자(14)에 의해 결정되어지며, 평가결과 예비스타 기준점수 이상이면 기존의 예비스타인지 회원상태를 점검(SS400)한 다음 기존의 예비스타이면 예비스타 존속 유효기간을 수정(SS410)하고 새로운 예비스타이면 신규 예비스타가 될 수 있는 후보임을 지원자에게 통보(SS420)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다음으로 지원자가 상기(도8 지 도10 의 외모평가 단계를 거쳐 저장된 자료가 있는지 서버에서 찾는(SS500)데 해당 자료가 없으면 외모평가를 권유하는 메시지를 지원자에게 통보(SS520)하고,
해당자료(외모평가)자료가 있으면 외모점수가 예비스타의 기준점수 이상인지 비교(SS510)하여 외모점수가 예비스타 기준을 넘는 경우 예비스타로 등록하고 지원자에게 통보(SS530)하게 된다. 예비스타로 등록이 되면 예비스타에게 스튜디오를 안내하고 테스트(SS530)가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인터넷을 이용한 연예인지망생 실시간 평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원자가 선택한 해당 직업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면 도16은 직업군별 평가모델에 의해 지원자의 종합점수를 산출하는데, 작곡 및 작사가는 전문가에 의한 평가에 의해 별도로 점수가 산정된다.
상기 직업군별 평가모델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피평가자가 선택한 해당 직업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면 아래와 같은 모델에 의해피평가자의 종합점수를 산출한다.
1. 탈렌트
총점수 ~=~ 0.8 * 외모 ~+~ 0.1 * 읽기 ~+~ 0.1 * 경력~
여기서 외모 ~=~ (신체/미모 + 사진 + 외모 동영상)/ 제출자료수 ,
신체/미모 ~=~ 0.7* 미모 + 0.3* 신체
2. 영화배우
총점수 ~=~ 0.8 * 외모 ~+~ 0.1 * 읽기 ~+~ 0.1 * 경력~
여기서 외모 ~=~ (신체/미모 + 사진 + 외모 동영상)/ 제출자료수 ,
신체/미모 ~=~ 0.7* 미모 + 0.3* 신체
3. 연극배우
총점수 ~=~ 0.7 * 외모 ~+~ 0.2 * 읽기 ~+~ 0.1 * 경력~
여기서 외모 ~=~ (신체/미모 + 사진 + 외모 동영상)/ 제출자료수 ,
신체/미모 ~=~ 0.5* 미모 + 0.5* 신체
4. CF 모델
총점수 ~=~ 0.8 * 외모 ~+~ 0.1 * 읽기 ~+~ 0.1 * 경력~
여기서 외모 ~=~ (신체/미모 + 사진 + 외모 동영상)/ 제출자료수 ,
신체/미모 ~=~ 0.7* 미모 + 0.3* 신체
5. 패션 모델
총점수 ~=~ 0.9 * 외모 ~+~ 0.1 * 경력~
여기서 외모 ~=~ (신체/미모 + 사진 + 외모 동영상)/ 제출자료수 ,
신체/미모 ~=~ 0.2* 미모 + 0.8* 신체
6. 미인대회
총점수 ~=~ 0.8 * 외모 ~+~ 0.1 * 읽기 ~+~ 0.1 * 경력~
여기서 외모 ~=~ (신체/미모 + 사진 + 외모 동영상)/ 제출자료수 ,
신체/미모 ~=~ 0.4* 미모 + 0.6* 신체
7. 가수
총점수 ~=~ 0.3 * 외모 ~+~ 0.6* 라이브 ~+~ 0.1 * 경력~
여기서 외모 ~=~ (신체/미모 + 사진 + 외모 동영상)/ 제출자료수 ,
신체/미모 ~=~ 0.5* 미모 + 0.5* 신체
라이브 = (파일 평가 + 라이브동영상 + 데모테이프)/제출자료수
8. 백댄서
총점수 ~=~ 0.4 * 외모 ~+~ 0.5 * 라이브 ~+~ 0.1 * 경력~
여기서 외모 = (신체/미모 + 사진 + 외모 동영상)/ 제출자료수 ,
신체/미모 ~=~ 0.5* 미모 + 0.5* 신체
라이브 = (파일 평가 + 라이브동영상 + 데모테이프)/제출자료수
9. 연주인
총점수 ~=~ 0.1 * 외모 ~+~ 0.8 * 라이브~+~ 0.1 * 경력~
여기서 외모 = (신체/미모+ 사진 + 외모 동영상)/ 제출자료수 ,
신체/미모 ~=~ 0.5* 미모 + 0.5* 신체
라이브 = (파일 평가 + 라이브동영상 + 데모테이프)/제출자료수
10. 도우미(나레이터)
총점수 ~=~ 0.6 * 외모 ~+~ 0.3 * 읽기 ~+~ 0.1 * 경력~
여기서 외모 ~=~ (신체/미모 + 사진 + 외모 동영상)/ 제출자료수 ,
신체/미모 ~=~ 0.7* 미모 + 0.3* 신체
라이브 = (파일 평가 + 라이브동영상 + 데모테이프)/제출자료수
11. VJ
총점수 ~=~ 0.6 * 외모 ~+~ 0.3 * 읽기 ~+~ 0.1 * 경력~
여기서 외모 ~=~ (신체/미모 + 사진 + 외모 동영상)/ 제출자료수 ,
신체/미모 ~=~ 0.7* 미모 + 0.3* 신체
라이브 = (파일 평가 + 라이브동영상 + 데모테이프)/제출자료수
12. MC
총점수 ~=~ 0.3 * 외모 ~+~ 0.6 * 읽기 ~+~ 0.1 * 경력~
여기서 외모 ~=~ (신체/미모 + 사진 + 외모 동영상)/ 제출자료수 ,
신체/미모 ~=~ 0.7* 미모 + 0.3* 신체
라이브 = (파일 평가 + 라이브동영상 + 데모테이프)/제출자료수
13. 아나운서
총점수 ~=~ 0.3 * 외모 ~+~ 0.6 * 읽기 ~+~ 0.1 * 경력~
여기서 외모 ~=~ (신체/미모 + 사진 + 외모 동영상)/ 제출자료수 ,
신체/미모 ~=~ 0.7* 미모 + 0.3* 신체
라이브 = (파일 평가 + 라이브동영상 + 데모테이프)/제출자료수
14. 판소리
총점수 ~=~ 0.3 * 외모 ~+~ 0.6 * 라이브 ~+~ 0.1 * 경력~
여기서 외모 ~=~ (신체/미모 + 사진 + 외모 동영상)/ 제출자료수 ,
신체/미모 ~=~ 0.5* 미모 + 0.5* 신체
라이브 = (파일 평가 + 라이브동영상 + 데모테이프)/제출자료수
15. 국악기
총점수 ~=~ 0.2 * 외모 ~+~ 0.6 * 라이브 ~+~ 0.1 * 경력~
여기서 외모 ~=~ (신체/미모 + 사진 + 외모 동영상)/ 제출자료수 ,
신체/미모 ~=~ 0.5* 미모 + 0.5* 신체
라이브 = (파일 평가 + 라이브동영상 + 데모테이프)/제출자료수
16. 작곡 및 작사가: 전문가에 의한 평가에 의해 별도로 점수를 산정하는 것이다.
도17은 가수부문에 대한 가창력(노래)을 평가하는 기본 원리를 도시한 것으로서, 일반인이 즐겨 부르는 애창곡을 약1000~5000곡 정도를 곡마다의 특성에 관한 체크포인트를 만든 다음, 체크포인트의 표준음원을 분석하여 체크포인트의 개수를 최소화(예를 들면: 고음 및 저음을 음높이의 전기적신호를 저장하여 고음에 해당되지 않는 곳은 고음평가에서 처리하지 않도록 하고, 저음에 해당되지 않는 곳에서는 저음평가를 하지 않도록 하여, 고음체크포인트에서는 고음부분만, 저음체크포인트 부분에서는 저음부분만 평가하도록 하여)하였고, 박자는 시작포인트부분과, 중간의 곡의 특정부분을 체크하도록 하여 음역별로 분석하여 음원(음정) 및 박자의 표준부분과 표준편차를 입력하여 연예인지망생이 노래를 부르면 음정부분 평가가 자동으로 평가되게 하여 가창력(노래)을 평가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가창력(노래)의 평가를 한 다음, 평가결과 연예인 지망생 수준에 맞는 음악을 제공하여 연습하도록 하였으며, 상기 연습자료의 제공은 온라인 상에서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가창력(노래)평가는 종래의 노래방에서 평가하는 방식과는 달리 음역별, 박자별 분포를 표준 및 표준편차를 분석하여 입력한 후에 입력된 표준과 연예인지망생이 입력한 표준편차를 정량화 하여 자동으로 평가를 하는 방법인 것이다.
도18은 본 발명에 따른 용모의 온라인상 항목별 평가 상세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19는 본 발명에 따른 용모의 오프인상 항목별 평가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버(10)에는 필요에 따라 방화벽, 제어부, 응용프로그램, DB저장을 위한 보조기억장치와 같은 각종의 주변기기가 설치될 수 있고, 서버(10)에서 회원 사용자(11)로의 일 방향성 메일서버를 별도로 둘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경하거나 수정할 수 있는 것이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외모평가에 필요한 동영상은 윈도우즈나, 미디어플레이어를 이용하였으며, 노래(작곡)는 PDF화일, 작사는 HTML화일을 사용하였으며 연주테이프는 일반 오디오테이프를 이용하였으며 라이브동영상 및 외모동영상은 디지털카메라 또는 일반비디오 방식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하여 실시간 통계적 모델에 의하여 연예계 지망생의 잠재력을 평가함으로써 우수자원의 확보를 다양화시킬 수 있으므로 기회가 없어 연예계에 등용을 못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 또한 반대로 자신의 잠재력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연예계에 진출하려고 하는 일장춘몽을 꿈꾸는 젊은이들에게는 자신의 잠재력의 수준을 통계적 차원에서 명쾌하게 답하여 줌으로써 다른 진로를 찾아보는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있는 무한의 젊은 인재를 과학적으로 평가하여 연예계에 잠재력이 있는 자만을 선별하고 이를 연예계의 수익모델과 연계시킴으로써 온라인의 과학과 오프라인의 경험을 연계시켰으며, 이것은 확률과 통계학적으로 잠재력이 높은 인재를 조기에 발굴하여 육성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수익을 많이 창출할 수 있는 온라인의 과학화된 평가모델과 오프라인의 경험을 연계시킨 모델이 될 것이다.

Claims (13)

  1. 인터넷을 통하여 온라인으로 지원하여 평가를 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평가를 요청하는 사용자(지원자)와, 외모평가, 라이브평가 에 관한 데이터가 내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와,
    온라인 상에서 평가하거나, 오프라인 상에서 평가하거나 또는 동시에 평가하는 평가시스템이며, 평가종류는 외모평가, 라이브평가 및 작곡/작사평가로 구성되어 있고 평가를 수행하는 평가응용프로그램과,
    상기 평가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는 서버와 상기 서버를 관리하는 운용관리자와, 상기 서버에 구현되는 상기데이터베이스 및 이들을 연결하여 운용되는 컴퓨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연예인지망생 실시간 평가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상에서 평가하기 위한 평가의 종류는
    외모평가중에서 용모평가, 신체평가, 사진평가 및 동영상/비디오 평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라이브평가중에서는 읽기평가, 음악파일평가, 동영상평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연예인지망생 실시간 평가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평가는 상기 외모평가중에서 사진평가, 동영상평가 및 비디오평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라이브평가중에서 음악파일평가, 비디오평가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연예인지망생 실시간 평가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모평가는 온라인 수치평가, 사진에 의한 평가 및 동영상/비디오평가로 구성되어진 것과, 상기 온라인 수치평가는 사용자(지원자)가 온라인 상에서 입력한 얼굴의 주요부위 크기와 형태를 가지고 평가하는 것과, 상기 사진에 의한 평가 및 동영상/비디오평가는 지원자가 준비한 사진 동영상 파일을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에서 서버 또는 운용관리자에게 전송하고 이를 전문가가 평가하여 데이터베이스(13)에 평가결과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연예인지망생 실시간 평가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수치평가는, 용모평가와, 신체평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온라인 상에서의 실시간 평가에 필요한 계측자료 입력양식에 사용자가 직접 계측한 자기 용모, 신체 관련 자료를 입력하는 단계; 입력된 자료는 서버의 평가응용프로그램의 산술식 즉, 본 발명의 체계 공학적 및 통계적분석결과에 의한 파라메트릭 추정방법에 의거하여 각각 용모와 신체를 평가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연예인지망생 실시간 평가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사진에 의한 평가단계는, 평가에 필요한 사진(파일) 5장(전신 정면 사진, 전신 측면 사진, 반신 정면 사진, 반신 측면 사진, 이미지 컷 사진)과 자기 소개서를 함께 우편이나 파일로 온라인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평가위원인 성형외과 전문의가 사용자의 외모를 다양한 각도와 포즈의 사진을 토대로 외모를 용모와 신체로 구분하여 전문적으로 평가하여 성형 외과적인 측면에서의 의견과 용모와 신체에 대한 평가점수를 산정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이메일로 보내주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연예인지망생 실시간 평가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평가는 읽기평가와 노래, 연주, 연기 평가로 구성되어 있고, 노래, 연주 및 연기 평가는 음악파일평가 및 동영상/비디오평가 및 데모 테이프평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음악파일 평가는 사용자(지원자)(11)에게 반주음악파일과 이를 연주할 수 있는 플레이어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한 가창을 수행하여 실시간으로 노래의 점수를 사용자(지원자)(11)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라이브 동영상/비디오평가를 위한 평가자료의 전송방법은 외모평가의 동영상/비디오평가와 동일하며, 외모평가의 동영상/비디오평가의 경우와는 달리 사용자(지원자)(11)의 노래, 연주, 연기의 능력을 평가받을 수 있는 내용이 담겨져 있고,
    데모테이프평가단계는 사용자(지원자)(11)가 노래의 가창력이나 연주 실력을 평가받을 경우에 해당되며, 사용자(지원자)(11)의 노래와 해당 노래의 반주가 같이 수록된 데모테이프를 제작하여 서버운영사의 운용관리자(14)에게 송부하면 전문가가 평가하여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와,
    읽기평가는 서버운영사의 서버에서 제공하는 평가 문장을 사용자(지원자)(11)가 낭독하면 파일로 만들어져 온라인 상으로 운용관리자(14)의 서버(12)로 전송되어 전문가가 이를 청취하여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연예인지망생 실시간 평가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작곡/작사 평가는 사용자(지원자)(11)가 창작한 악보와 가사를 파일형태로 제작하여 온라인으로 운용관리자(14)에 전송하거나 또는 종이에 적힌 악보와 가사를 오프라인으로 서버운영사에 송부하면 해당 분야의 전문가가 평가하여 본인에게 이메일로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연예인지망생 실시간 평가시스템.
  9.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상에서의 실시간 용모/신체 평가는 온라인 상에서의 실시간 외모평가에 필요한 계측자료 입력양식에 사용자가 직접 계측된 자기 용모, 신체 관련 자료를 입력(S410)하는 단계와, 입력된 자료는 서버(12)의 평가응용프로그램(15)의 산술식 즉, 본 발명의 체계 공학적 및 통계적 분석결과에 의한 파라메트릭 추정방법에 의거하여 각각 용모를 평가(S411)하는 단계와, 신체를 평가 (S412)하는 단계와, 희망하는 분야에서의 외모를 가중치를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점수 화하는 단계와, 상기와 같이 정량적으로 평가된 사용자의 점수를 근거로 사이버 예비스타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연예인지망생 실시간 평가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부문에 대한 가창력(노래) 평가 흐름도를 살펴보면 먼저 지원자가 온라인으로 평가를 수행할지 오프라인으로 평가를 수행할지 선택(SS001)단계와, 온라인으로 선택을 한 경우 노래선택(SS100)단계와
    만약에 부르고자하는 곡이 누락된 경우 새로운 곡 확보를 요청함을 서버에 통보(SS105)하는 단계와 부르고자하는 곡을 선택을 하면 지원자의 회원확인을 위한 사용자 로그인 확인(SS105)하는 단계와, 지원자가 선택한 곡의 반주 파일과 표준음원 자료를 데이터베이스(13)에서 검색(SS120)하는 단계와 검색된 자료를 지원자의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와,
    개발된 플레이어가 해당 지원자의 컴퓨터에 설치되었는지 검사하여 미설치 된 경우 평가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부수적인 응용 프로그램(플레이어)이 상기 네트워크(10)를 통하여 사용자(11)의 컴퓨터로 전송되어 설치(SS135)하는 단계와, 설치가 완료되면 평가 수행하기 위한 노래를 주어진 반주에 따라 노래(SS140)하는 단계와, 그 노래를 실시간으로 파일을 만들면서 미리 설계된 평가 로직에 따라 실시간으로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SS150)와, 상기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SS150)에서 생성된 평가결과 코드에 맞는 연습자료를 서버에서 검색(SS160)하는 단계와 상기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SS150)에서 생성된 평가결과 코드에 맞는 서술문 을 서버에서 검색(SS170)하는 단계와, (SS160)에서 검색한 연습자료와 (SS170)에서 검색한 평가 결과가 서술문과 노래점수 등을 지원자의 컴퓨터에 전송(SS180)하는 단계와, 이를 저장하는 단계(SS190)와,
    상기단계(SS001)에서 지원자가 온라인을 실행할 수 없는 환경이면 오프라인을 선택하는데 오프라인을 선택한 경우의 발송절차, 날짜, 형식, 요구사항 등을 안내 해주는 단계(SS210)와, 지원자의 자료가 들어있는 평가대상물에 대하여 신뢰성이 보장되도록 지원자가 로그온(SS215)한 후에 서버에서 오프라인으로 발송할 평가대상물에 대한 고유발송ID를 부여하는 단계와, 우편 접수(SS230)하여 오프라인의 전문가가 주어진 기준과 양식에 따라 평가(SS235)하는 단계와 평가 결과를 해당지원자에게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연예인지망생 실시간 평가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읽기 평가는 지원자가 읽기를 선택한 다음 온라인으로 평가를 수행할지 오프라인으로 평가를 수행할지 선택(SR001)하는 단계와, 온라인으로 선택을 한 경우 로그온(SR105)하여 지원자의 컴퓨터에 기존 자신의 읽기 파일보유(미리 저장해놓은 파일이 있는 지)여부를 판단(SR100)하는 단계와, 지원자가 읽기 파일을 미리 작성해 놓지 않았다면, 상기 직업별로 해당하는 대사의 읽기 평가를 수행할 내용을 선택(SR110)하는 단계와, 이때 개발된 녹음 프로그램이 해당 지원자의 컴퓨터에 설치되었는지 검사하여 미설치 된 경우 평가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부수적인 응용 프로그램이 상기 네트워크(10)를 통하여 사용자(11)의 컴퓨터로 전송되어 설치(SR115)하는 단계와,
    설치가 완료되면 서버에서 지원자가 평가 수행하기 위한 읽기문을 전송(SR120)하는 단계와, 지원자가 읽기를 수행(SR130)하면 실시간으로 파일로 생성(SR140)되는 단계와, 읽기파일이 완성되면 지원자의 컴퓨터에서 서버로 전송(SR150)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연예인지망생 실시간 평가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모평가, 라이브평가 및 작곡/작사평가는 오프라인상태는 동일하며 온라인일 때는 미리 작성해놓은 파일을 전송(SE100)하는 단계와, 전문가에게 직접 전달되어 평가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연예인지망생 실시간 평가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관리시스템은 종합적인 평가에 의해 선발된 연예인으로서 운용관리자(14)에 의해 결정되어지는 단계와, 평가결과 예비스타 기준점수 이상이면 기존의 예비스타인지 회원상태를 점검(SS400)하는 단계와,
    기존의 예비스타이면 예비스타 존속 유효기간을 수정(SS410)하는 단계와, 새로운 예비스타이면 신규 예비스타가 될 수 있는 후보임을 지원자에게 통보(SS420)하는 단계와, 평가 단계를 거쳐 저장된 자료가 있는지 서버에서 찾는(SS500)은 단계와, 해당 자료가 없으면 외모평가를 권유하는 메시지를 지원자에게 통보(SS520)하는 단계와, 해당자료(외모평가)자료가 있으면 외모점수가 예비스타의 기준점수 이상인지 비교(SS510)하는 단계와, 외모점수가 예비스타 기준을 넘는 경우 예비스타로 등록하고 지원자에게 통보(SS530)하는 단계와
    예비스타로 등록이 되면 예비스타에게 스튜디오를 안내하고 테스트(SS530)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연예인지망생 실시간 평가시스템.
KR1020000063393A 2000-10-27 2000-10-27 인터넷을 이용한 연예인지망생 실시간 평가시스템 KR200200327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3393A KR20020032758A (ko) 2000-10-27 2000-10-27 인터넷을 이용한 연예인지망생 실시간 평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3393A KR20020032758A (ko) 2000-10-27 2000-10-27 인터넷을 이용한 연예인지망생 실시간 평가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2758A true KR20020032758A (ko) 2002-05-04

Family

ID=19695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3393A KR20020032758A (ko) 2000-10-27 2000-10-27 인터넷을 이용한 연예인지망생 실시간 평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275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5367A (ko) * 2001-02-07 2001-05-07 박기고 실시간 외모평가 시스템을 이용한 개인점수별 시뮬레이션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4745A (ja) * 1995-01-13 1996-07-30 Hitachi Tohoku Software Kk 人材情報管理方法および人材情報管理システム
JPH11194787A (ja) * 1997-10-23 1999-07-21 Yamaha Corp カラオケオーディション装置およびカラオケ審査装置
KR20000036565A (ko) * 2000-03-22 2000-07-05 정영근 인터넷을 이용한 노래실력 평가 및 가수 선발시스템과 그선발방법
KR20000036366A (ko) * 2000-02-25 2000-07-05 서정은 인터넷을 통한 연예인 채용 및 가수, 사이버 가수, 영화제작, 감독 발굴방법
KR20000064208A (ko) * 2000-08-29 2000-11-06 김도영 인터넷으로 하는 스타 지망생을 위한 온라인 컨설팅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4745A (ja) * 1995-01-13 1996-07-30 Hitachi Tohoku Software Kk 人材情報管理方法および人材情報管理システム
JPH11194787A (ja) * 1997-10-23 1999-07-21 Yamaha Corp カラオケオーディション装置およびカラオケ審査装置
KR20000036366A (ko) * 2000-02-25 2000-07-05 서정은 인터넷을 통한 연예인 채용 및 가수, 사이버 가수, 영화제작, 감독 발굴방법
KR20000036565A (ko) * 2000-03-22 2000-07-05 정영근 인터넷을 이용한 노래실력 평가 및 가수 선발시스템과 그선발방법
KR20000064208A (ko) * 2000-08-29 2000-11-06 김도영 인터넷으로 하는 스타 지망생을 위한 온라인 컨설팅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5367A (ko) * 2001-02-07 2001-05-07 박기고 실시간 외모평가 시스템을 이용한 개인점수별 시뮬레이션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rrouy-Maestri et al. The mistuning perception test: A new measurement instrument
Turley Max Weber and the sociology of music
KR100368599B1 (ko) 인터넷을 통한 연예인 채용 및 가수, 사이버 가수, 영화제작, 감독 발굴방법
Lingo Entrepreneurial leadership as creative brokering: The process and practice of co‐creating and advancing opportunity
KR20130131032A (ko) 컨텐츠 협력작업의 수익배분 방법
Steininger et al. Digitally forecasting new music product success via active crowdsourcing
Stark The performance complex
Duinker Diversification and Post-Regionalism in North American Hip-Hop Flow
Bartlett Sing out loud, sing out long: A profile of professional contemporary gig singers in the Australian context
Nelson et al. “If I Could Turn Back Time”: Occupational Dynamics, Technology Trajectories, and the Reemergence of the Analog Music Synthesizer
Smith The Dynamics of Composer-Performer Relationships: A Study of Long-Term Creative Collaboration
Weiss et al. Improvisation is a novel tool to study musicality
KR20020032758A (ko) 인터넷을 이용한 연예인지망생 실시간 평가시스템
Harrison et al. A computational cognitive model for the analysis and generation of voice leadings
Thorkildsen et al. Showcase Festivals: Gatekeepers and Bridge Builders in the Music Industries
Gulz et al. Developing a method for identifying improvisation strategies in jazz duos
Gordon Marimbas in South African schools: gateway instruments for the indigenous African music curriculum
US200802220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Musical Works
Neal Song structure determinants: Poetic narrative, phrase structure, and hypermeter in the music of Jimmie Rodgers
Kindle Characteristics of the high school varsity mixed show choir
Peyton Collaborative Information Behavior: Storefront Church Gospel Communities of Musical Practice
JP7146868B2 (ja) ウェブページに広告宣伝機能を付与するサウンドコンテンツを評価するシステム
Gander Performing music production: creating music product
Woodward Understanding saxophone solos in recorded popular music 1972-1995
KR20090065084A (ko) 온라인을 이용한 암기학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