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26Y1 - 벽판용 결착구 - Google Patents

벽판용 결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26Y1
KR200200326Y1 KR2020000011963U KR20000011963U KR200200326Y1 KR 200200326 Y1 KR200200326 Y1 KR 200200326Y1 KR 2020000011963 U KR2020000011963 U KR 2020000011963U KR 20000011963 U KR20000011963 U KR 20000011963U KR 200200326 Y1 KR200200326 Y1 KR 2002003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onstruction
fixture
fastener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19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희
Original Assignee
이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희 filed Critical 이동희
Priority to KR20200000119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03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37Anchoring of separate elements through the lining to the wal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판용 결착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벽면에 단열재와 석고벽판을 시공시 고정구와 삽착구가 탄발력에 의해 손쉽고도 견고하게 결착됨은 물론, 잘못시공시 간편하게 이탈시킬 수 있어 착탈이 용이하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매우 경제적이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서, 굴곡면을 갖는 바닥판의 타측면에 다수개의 통공과 보강돌부를 형성하고 중앙으로 돌설된 돌기봉의 끝단에 절개부를 형성 하되 첨단부 양측하단에 경사진 걸림턱부를 형성한 고정구와, 굴곡면이 형성된 바닥판의 타측면에 다수개의 통공과 보강돌부를 형성하고 중앙으로 상광하협의 삽입봉을 형성하여서 된 삽착구를 상기 고정구와 결착하여서 된 벽판용 결착구로서, 벽면에 굴곡면으로 접착제를 바른 고정구를 다수개 부착하고, 일정크기의 단열재를 고정구의 돌기봉에 끼워 삽착시킨 후, 삽착구의 삽입봉을 상기 고정구의 돌기봉 첨단부의 경사진 걸림턱부에 삽착시키면 고정구의 절개부에 의한 탄발력으로 손쉽고도 견고하게 결착되는데, 잘못 시공시 고정구의 첨단부를 잡고 절개부를 오므린뒤 삽착구를 간편하게 이탈시킬 수 있는 착탈이 용이하여 시공이 편리하도록 된 것으로, 상기 삽착구의 굴곡면에 접착제를 바른 뒤 석고벽판을 부착시켜 시공을 완료하는 것으로서 방음 및 단열효과가 뛰어남은 물론, 고정구와 삽착구가 이탈 하지 않아 부실 시공방지와 시공의 편리함과 잘못시공시 손쉽게 이탈시켜 재 결착할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적인 벽판용 결착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벽판용 결착구{SETTLING DEVICE FOR PLATE OF WALL}
본 고안은 벽판용 결착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벽면에 굴곡면으로 접착제를 바른 고정구를 다수개 부착하고, 일정크기의 단열재를 고정구의 돌기봉에 끼워 삽착시킨 후, 삽착구의 삽입봉을 상기 고정구의 돌기봉 첨단부의 경사진 걸림턱 부에 삽착시켜 탄발력으로 손쉽고도 견고하게 결착시키는 것인데, 잘못시공시 첨단부를 잡고 절개부를 오므린뒤 삽착구를 간편하게 이탈시킬 수 있는 시공이 편리한 것으로서, 상기 삽착구의 굴곡면에 접착제를 바른뒤 석고벽판을 부착시켜 시공을 완료하면 방음 및 단열효과가 뛰어나고, 고정구와 삽착구가 이탈하지 않아 견고 하게 시공되어 부실시공 방지와 시공의 편리함 및 잘못시공시 손쉽게 이탈시켜 재결착할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적이도록 된 벽판용 결착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벽면으로 방음 및 단열을 위해 석고벽판을 설치함에 있어서, 사각 형상의 고정구 중앙으로 테이퍼 형상의 돌기봉을 형성한 것을 고정구의 바닥판에 접착제를 바른 후 콘크리트벽면에 다수개 부착한 뒤 일정크기의 단열재들을 상기 테이퍼 형상의 돌기봉에 삽착하여 밀착시킨 다음, 삽착구를 눈짐작으로 확인하면서 돌기봉 끝단에 삽입시켜 주게 되는데, 다수개의 삽착구가 불규칙한 깊이로 돌기봉에 각각 삽설되므로 다수개의 삽착구의 바닥판이 시공할 때 수평이 맞지 않게 되어 상기 바닥판에 접착제를 접착한 후 석고벽판을 부착시키면 접촉되지 않는 삽착구도 발생하여 견고히 부착되지를 않아 시간이 경과하면 이탈되어 석고벽판이 추락 하므로 이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 요소가 많았으며, 상기 고정구의 돌기봉이 테이퍼 형상이므로 시간이 경과하면 삽착구가 석고벽판에 접촉이나 충격시 유동 발생으로 밀려나서 즉, 제동장치가 없으므로 자동 이탈되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석고벽판이 떨어져 나가는 부실 시공의 문제점등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인의 선 등록으로서 국내 실용신안 등록제 163407 호가 있었는데, 이는 굴곡면을 갖는 바닥판에 다수개의 통공과 보강돌부를 형성하고 중앙으로 돌설되어 첨단부를 갖는 사각돌기봉의 양측면에 각각 걸림홈부를 형성하여된 고정구와, 굴곡면이 형성된 바닥판에 다수개의 통공과 보강돌부를 형성하고 중앙으로 돌설되어 상단내부 양측면에 각각 걸림턱 부가 형성된 사각삽입봉을 형성하여서 된 삽착구를 상기 고정구와 결착하여 되는 것으로, 벽면에 굴곡면으로 접착제를 바른 고정구를 다수개 부착하고, 일정크기의 단열재를 첨단부를 이용하여 삽착시킨후, 삽착구를 고정구와 결착하되, 고정구의 사각돌기봉에 형성된 걸림홈부에 삽착구의 사각삽입봉에 형성된 걸림턱부를 억지 끼움식으로 강하게 삽착시키면 탄발력이 작용하여 간편하고도 견고하게 결착되어 이탈하지 못하도록 한 다음, 삽착구의 굴곡면에 접착제를 바른 뒤 석고벽판을 부착시켜 시공하면 되는 것으로서, 방음 및 단열효과가 뛰어남은 물론, 고정구와 삽착구가 손쉽고도 견고하게 결착 되어 이탈하지 않아 부실시공의 방지와 삽착구와 결착된 고정구의 첨단부가 돌출 되지 않아 절단작업이 필요없어 작업 공정이 줄어들어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도록 된 고안인 것이었으나, 상기 선 등록은 제작이 까다로운데 결착구의 사각삽입봉 내측 2 개의 걸림턱부가 결착시 흔들림이 발생 하여 부실시공의 원인이 되었으며, 견고하게 결착되는 장점은 있으나 한번 결착시 이탈시킬 수가 없어 잘못 결착시공시 이탈시키지 못하고 절단하거나 이탈시켜 버린 뒤 다른 제품으로 재차 시공해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고도 비경제적인 문제점등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특히, 벽면에 단열재와 석고벽판을 시공시 고정구와 삽착구가 탄발력에 의해 손쉽고도 견고하게 결착됨은 물론, 잘못시공시 간편하게 이탈시킬 수 있어 착탈이 용이하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매우 경제적이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굴곡면을 갖는 바닥판의 타측면에 다수개의 통공과 보강돌부를 형성하고 중앙으로 돌설된 돌기봉의 끝단에 절개부를 형성하되 첨단부의 양측 하단에 경사진 걸림턱부를 형성한 고정구와, 굴곡면이 형성된 바닥판의 타측면에 다수개의 통공과 보강돌부를 형성하고 중앙으로 상광하협의 삽입봉을 형성하여서된 삽착구를 상기 고정구와 결착하여서 결합된 벽판용 결착구로서, 벽면에 굴곡면으로 접착제를 바른 고정구를 다수개 부착하고, 일정크기의 단열재를 고정구의 돌기봉에 끼워 삽착시킨후, 삽착구의 상광하협으로 형성된 삽입봉을 상기 고정구의 돌기봉 첨단부의 경사진 걸림턱부에 삽착시키면 고정구의 절개부에 의한 탄발력으로 손쉽고도 견고하게 결착되는데, 잘못시공시 첨단부를 잡고 절개부를 오므린뒤 삽착구를 간편하게 이탈시킬 수 있는 착탈이 용이하여 시공이 편리하도록 된 것으로, 상기 삽착구의 굴곡면에 접착제를 바른뒤 석고벽판을 부착시켜 시공을 완료하는 것으로서 방음 및 단열효과가 뛰어남은 물론, 고정구와 삽착구가 이탈하지 않아 부실시공방지와 시공의 편리함 및 잘못시공시 손쉽게 이탈시켜 재결착 할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적인 벽판용 결착구의 고안인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분리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결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이 결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을 이탈시키는 상태의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이 시공된 상태의 단면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벽판용 결착구 10 : 고정구 11 : 바닥판 12 : 굴곡면
13 : 통공 14 : 보강돌부 15 : 돌기봉 16 : 절개부
17 : 첨단부 18, 18' : 걸림턱부 20 : 삽착구 21 : 바닥판
22 : 굴곡면 23 : 통공 24 : 보강돌부 25 : 삽입봉
벽면(100)에 단열재(200)를 부착후 석고벽판(300)을 시공하는 벽판용 결착구에 있어서, 바닥판(11) 일측면에 굴곡면(12)과 타측면으로 다수개의 통공(13) 및 보강돌부(14)를 형성하며 중앙으로 돌설된 돌기봉(15)의 끝단에 절개부(16)를 형성하되 첨단부(17)의 양측 하단에 경사진 걸림턱부(18)(18')를 형성한 고정구(10)와, 바닥판(21) 일측으로 굴곡면(22)과 타측면으로 다수개의 통공(23)과 보강돌부(24)를 형성하며 중앙으로 상광하협의 삽입봉(25)을 형성하여서 된 삽착구(20)를 상기 고정구(10)에 결착시켜서 결합된 벽판용 결착구(1)의 구성이다.
미설명 부호 ' 400 ' 은 접착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벽면(100)의 다수곳에 각개의 고정구(10) 바닥판(11)의 굴곡면(12)에 접착제(400)를 바른 후 견고하게 부착시켜 준 다음, 상기 고정구(10)의 중앙부에 형성된 돌기봉(15)의 첨단부(17)에 일정규격의 두께와 크기를 갖는 단열재(200)를 삽착시켜 고정구(10)의 첨단부(17)가 돌출되도록 고정하고, 이에 삽착구(20)의 상광하협으로 형성된 삽입봉(25)을 삽입하되 도 3 과 같이 삽입봉(25) 내부로 고정구(10)의 돌기봉(15) 끝단 절개부(16)의 양측에 형성된 첨단부 (17) 하단의 경사진 걸림턱부(18)(18')가 밀려 들어가며 삽착되면 탄성력으로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고, 잘못시공시 도 4 와 같이 고정구(10)의 첨단부(17)를 눌러 절개부(16)를 오므라지게 한뒤 이탈시키면 돌기봉(15)의 첨단부(17)는 삽착구(20)의 중앙 삽입봉(25)에서 손쉽게 이탈되는 것이며, 재차 조절하여 고정구(10)에 삽착구(20)를 삽입한 다음 삽착구(20)의 굴곡면(22)에 접착제(400)를 바른뒤 석고벽판(300)을 부착 고정시켜 주면 시공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벽판용 결착구(1)는 고정구(10)와 삽착구(20)의 바닥판(11)(21)을 접착제(400)를 바를때 강한 접착력을 발휘하도록 굴곡면(12)(22)으로 형성하고, 바닥판(11)(21)에 다수개의 통공(13)(23)을 뚫어 주므로서 재질 절감에 효과적이며, 보강돌부(14)(24)를 각각 다수개씩 형성하여 견고하도록 한 것이고, 삽착구(20)의 상광하협되게 형성된 삽입봉(25) 내부를 고정구(10)에 결착함에 있어, 고정구(10) 중앙으로 돌설되어 첨단부(17)를 갖는 돌기봉(15)의 절개부(16)가 오므라지면서 삽착구(20)의 삽입봉(25)에 끼워짐과 동시에 경사진 걸림턱부(18)(18')에 상광하협의 삽입봉(25)이 견고하게 결착되는데, 잘못시공시 고정구(10)에서 삽착구(20)를 이탈시 도 4 에서와 같이 고정구(10)의 첨단부(17)를 양측에서 눌러 절개부(16)가 오므라지게 한뒤 삽착구(20)의 삽입봉(25)을 이탈시켜 주면 간단하게 이탈되는 것으로, 종래와 같이 잘못 시공된 벽판용 결착구를 절단 하거나 이탈시켜버린 뒤 새것으로 사용치 않고 간편하게 이탈시켜 재결착 하므로서 매우 간편하면서도 경제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서, 부실시공 염려가 없으며 작업공정이 들어 시공시간은 단축되고 인건비도 절약되는 등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벽면(100)에 단열재(200)를 부착후 석고벽판(300)을 시공하는 벽판용 결착구에 있어서, 바닥판(11) 일측면에 굴곡면(12)과 타측면으로 다수개의 통공(13) 및 보강돌부(14)를 형성하며 중앙으로 돌설된 돌기봉(15)의 끝단에 절개부(16)를 형성하되 첨단부(17)의 양측 하단에 경사진 걸림턱부(18)(18')를 형성한 고정구(10)와, 바닥판(21) 일측으로 굴곡면(22)과 타측면으로 다수개의 통공(23)과 보강돌부(24)를 형성하며 중앙으로 상광하협의 삽입봉(25)을 형성하여서 된 삽착구(20)를 상기 고정구(10)에 결착시켜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판용 결착구(1).
KR2020000011963U 2000-04-27 2000-04-27 벽판용 결착구 KR2002003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963U KR200200326Y1 (ko) 2000-04-27 2000-04-27 벽판용 결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963U KR200200326Y1 (ko) 2000-04-27 2000-04-27 벽판용 결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26Y1 true KR200200326Y1 (ko) 2000-10-16

Family

ID=19653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1963U KR200200326Y1 (ko) 2000-04-27 2000-04-27 벽판용 결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2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131A (ko) * 2001-04-11 2002-10-23 주식회사 벽산 지지핀 캡을 이용한 압출발포폴리스티렌의 단열벽체 공법
KR20180052332A (ko) * 2016-11-10 2018-05-18 이주연 건물의 건축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131A (ko) * 2001-04-11 2002-10-23 주식회사 벽산 지지핀 캡을 이용한 압출발포폴리스티렌의 단열벽체 공법
KR20180052332A (ko) * 2016-11-10 2018-05-18 이주연 건물의 건축 방법
KR101960678B1 (ko) * 2016-11-10 2019-03-21 이주연 건물의 건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9030A (ko)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을 이용한 슬래브용 클린 캡 구조체
KR200200326Y1 (ko) 벽판용 결착구
AU2020344087A1 (en) Anchoring element and method for mounting an anchor rail in a construction element made of concrete
KR200321381Y1 (ko) 벽판용 결착구
KR200321754Y1 (ko) 벽판용 결착구
KR200333026Y1 (ko) 벽판용 결착구
KR200163407Y1 (ko) 벽판용결착구
KR100591248B1 (ko) 벽판고정용 결착구
KR200168632Y1 (ko) 벽판용결착구
CZ65099A3 (cs) Spojovací prvek ke spojování dřeva a betonu
KR200157886Y1 (ko) 벽판용 결착구
WO1985003560A1 (en) Clips, fastener for pipes, cables etc. in porous materials, e.g. plaster board
KR200238701Y1 (ko)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
KR200389495Y1 (ko) 콘크리트 방식판 설치구조
KR20050108951A (ko) 벽판고정용 결착구
JP3009259B2 (ja) 硬質壁材の取付構造
JPH054482Y2 (ko)
KR101142661B1 (ko) 벽패널 부착용 엠-바의 체결장치
JPH0142599Y2 (ko)
JP2540846Y2 (ja) 建物の壁構造
KR200405962Y1 (ko) 콘크리트 박스 결합구조
KR200246056Y1 (ko) 거푸집 간격유지용 지지대 받침구
KR0127294Y1 (ko) 귀퉁이 선반
JPH0712530Y2 (ja) 建築用陶磁器質タイル型枠付装置
KR200325430Y1 (ko) 천정 마감패널의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3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