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9275A - 공중 통신망을 통한 입시지원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공중 통신망을 통한 입시지원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9275A
KR20020029275A KR1020000060135A KR20000060135A KR20020029275A KR 20020029275 A KR20020029275 A KR 20020029275A KR 1020000060135 A KR1020000060135 A KR 1020000060135A KR 20000060135 A KR20000060135 A KR 20000060135A KR 20020029275 A KR20020029275 A KR 20020029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user terminal
service
server
ent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0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창성
이동주
김종대
Original Assignee
변창성
이동주
김종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창성, 이동주, 김종대 filed Critical 변창성
Priority to KR1020000060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9275A/ko
Publication of KR20020029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9275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공중 통신망을 통한 입시지원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가 개시된다. 입시지원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 및 입시지원을 받는 제휴 기관의 서버와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공중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어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공중 통신망을 통해 입시지원 이용 서비스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기로 입시지원 이용 서비스 메뉴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선택된 서비스 항목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하며, 처리결과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입시지원 서비스 서버와, 입시지원 서비스 서버에 의해 이용되며, 서비스 메뉴 항목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 및 등록된 회원들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한다. 이러한 공중 통신망을 통한 입시지원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에 의하면, 입시지원 관계자가 입시 지원율 현황정보, 입시 지원서의 작성 및 접수처리를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어 시간 공간적 제약이 완화되며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공중 통신망을 통한 입시지원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Application processing service system used for user terminal through internet and method of serving thereof}
본 발명은 공중 통신망을 통한 입시지원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입시에 관련된 지원 처리를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수행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는 공중 통신망을 통한 입시지원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내의 대학에 진학하고자 하는 수험생은 국가에서 관장하는 시험을 치르고, 시험을 통해 획득한 점수에 맞춰 지원 가능한 대학에 지원접수를 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러한 지원 접수를 수험생 또는 학부모가 직접 지원하고자 하는 대학에 방문하여 처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지원접수를 받는 대학에서는 접수처리를 해당 직원이 수작업으로 처리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대학은 지원 접수된 수험생들에 대해 점수가 높은 순으로 합력여부를 결정하고 있다. 따라서, 지원 기간동안 수험생이 지원하고자 하는 대학의 지원 계열 또는 학과에 대한 지원 경쟁률에 관한 정보가 지원 대상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러한 경쟁률 현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어 지원참고 자료로 적절히 활용할 수 없었고, 그 결과 일부 대학 또는 계열별지원 불균형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입시지원 대상자가 입시지원을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지원에 참고할 수 있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공중 통신망을 통한 입시지원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시지원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 이고,
도 2는 도 1의 입시지원 서비스 서버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 보인 블록도 이고,
도 3은 도 1의 대학서버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 보인 블록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입시지원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과정을 나타내 보인 플로우도이고,
도 5는 도 4의 선택메뉴 처리과정의 일예를 나타내 보인 플로우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이동 단말기 15: 사용자 컴퓨터
21: 기지국 23: 교환기
25: WAP 게이트웨이 서버 27: 인터넷
30: 대학서버 31, 60: 데이터 베이스
33: 지원율 현황 집계부 35: 지원서 접수 처리부
37: 지원결과 통보부 40: 입시지원 서비스 시스템
50: 입시지원 서비스 서버 51: 이용안내 처리부
53: 회원 관리부 55: 입시지원 현황 처리부
57: 지원 접수 처리부 59: 지원 결과 처리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통한 도서관 이용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 및 입시지원을 받는 제휴 기관의 서버와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공중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공중 통신망을 통해 입시지원 이용 서비스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입시지원 이용 서비스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선택된 서비스 항목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하며, 처리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입시지원 서비스 서버와; 상기 입시지원 서비스 서버에 의해 이용되며, 상기 서비스 메뉴 항목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 및 등록된 회원들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시지원 서비스 서버는 상기 제휴 기관의 서버로부터 입시지원 현황 데이터를 수신하여 집계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지원율 조회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집계된 상기 지원 현황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처리하는 입시지원 현황 처리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입시지원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시 지원 접수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사용자가 선택한 기관에서 요구하는 기재사항에 대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아 작성된 지원서 데이터를 상기 공중통신망을 통해 해당 기관의 서버로 전송처리하는 지원접수 처리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원접수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요청된 내용에 대응하는 지원접수를 처리하고, 지원 접수 기관에 대해 지불해야할 응시 요금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통신서비스를 관할하는 통신회사에서 과금할 수 있도록 상기 통신회사의 서버로 과금정보를 송출한다.
상기 입시지원 서비스 서버는 상기 제휴 기관의 서버로부터 지원접수 처리된 회원의 합격여부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합격여부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 사용자의 단말기 주소로 상기 공중 통신망을 통해 전송처리하는 지원결과 처리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중 통신망을 통한 입시지원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 및 입시지원을 받는 제휴기관의 서버와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공중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입시지원 서비스 서버와, 상기 입시지원 서비스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하는 공중 통신망을 통한 입시지원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가. 상기 제휴 기관의 서버로부터 입시관련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공중 통신망을 통해 입시지원 서비스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공중 통신망을 통해 입시지원 서비스 메뉴를 전송하는 단계와; 다. 상기 서비스 메뉴중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하며, 처리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서비스 메뉴중 입시 지원 접수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기관에서 요구하는 기재사항에 대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아 작성된 지원서 데이터를 상기 공중통신망을 통해 해당 기관의 서버로 전송처리한다.
또한 상기 다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요청된 내용에 대응하는 지원접수를 상기 해당기관의 서버로 전송처리한 다음, 해당기관에 대해 지불해야할 응시 요금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통신서비스를 관할하는 통신회사에서 과금할 수 있도록 상기 통신회사의 서버로 과금정보를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중 통신망을 통한 입시지원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중 통신망을 통한 입시지원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 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공중 통신망을 통한 입시지원 서비스 시스템(40)은 공중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컴퓨터(15) 및 개인 휴대용 이동 단말기(10)와 접속되어 있다.
사용자 단말기인 사용자 컴퓨터(15)와 이동 단말기(10)는 입시지원 서비스시스템에 의해 지원되는 입시지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개인 휴대용 단말기(10)는 입시지원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메뉴 또는 입력정보를 처리하여 통신망을 거쳐 입시지원 서비스 시스템(40)에 전송되도록 처리하고, 입시지원 서비스 시스템(40)으로부터 수신된 입시지원 서비스 이용 결과인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여 표시해주는 것을 지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개인 휴대용 단말기(10)는 안테나(미도시), 송수신 처리부(미도시), 조작패널(12), 메모리(미도시), 표시장치(11)를 구비한다. 송수신 처리부는 입시지원 서비스 시스템(40)과의 접속 및 입시지원 서비스 시스템(40)으로부터 수신된 서비스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각 장치를 제어한다.
이동 단말기(10)와 입시지원 서비스 시스템(40)과의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망은 기지국(21), 교환기(23), WAP 게이트웨이 서버(25), 인터넷(27)을 구비한다. WAP 게이트웨이 서버(25)는 문자메시지를 처리하는 문자정보 처리 시스템(미도시),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관리하는 이동 단말기 위치정보 관리 시스템(미도시) 및 가입자의 요금부과를 처리하는 가입자 정보처리부(25a)를 구비한다.
기지국(21)은 개인 휴대용 이동 단말기(10)와 교환기(23) 사이의 통신을 중계한다.
교환기(23)는 기지국(21)과 WAP 게이트웨이 서버(25) 사이에서 문자메시지를 식별하고, 회선교환을 중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WAP 게이트웨이 서버(25)는 데이터 메시지 처리를 위한 게이트웨이 기능을수행하고, 교환기(23)와 인터넷(27)과의 사이에서 개인 이동 단말기(10)와 입시지원 서비스 시스템(40)과의 문자 메시지 전달을 처리한다.
입시지원 서비스 시스템(40)은 인터넷(27)을 통해 접속되어 있으며, 개인 이동단말기(10) 또는 사용자컴퓨터(15)로 입시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입시지원 서비스 시스템(40)은 입시지원을 처리하는 제유기관 예컨대 대학의 서버(30)와 인터넷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참조부호 31은 각 대학서버(30)를 통해 이용할 수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DB)이다.
입시지원 서비스 시스템(40)은 입시지원 서비스 서버(50)와, 데이터 베이스(DB)(60)를 구비한다.
입시지원 서비스 서버(50)는 통상적인 컴퓨터를 서버로하여 구축된다. 입시지원 서비스 서버(50)는 개인 이동 단말기(10) 또는 사용자 컴퓨터(15)와의 통신접속을 지원하는 전화번호 및/또는 인터넷 IP와 같은 통신망 주소를 갖고 있다.
입시지원 서비스 서버(50)는 이동 단말기(10) 및/또는 사용자 컴퓨터(15)와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통신망과 접속되어 있으며, 지원되는 각종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기(10)(15)를 통해 사용자가 활용할 수 있는 입시지원 서비스 메뉴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10)(15)를 통해 선택된 서비스 메뉴에 대응하는 내용의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기(10)(15)에 제공한다.
데이터 베이스(60)는 입시지원 서비스 서버(50)에 의해 이용되며, 입시 지원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등록된 회원 정보, 입시 지원 서비스 정보 예컨대 합격자 정보, 지원서 작성 양식정보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입시지원 서비스 서버(50)의 각 기능 블럭의 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입시지원 서비스 서버(50)는 이용안내 처리부(51), 회원관리부(53), 입시지원 현황 처리부(55), 지원 접수 처리부(57), 지원 결과 처리부(59)를 구비한다.
이용안내 처리부(51)는 통신망을 통해 입시지원 서비스 서버(50)로 접속된 단말기 즉, 사용자 컴퓨터(15) 또는 개인 이동 단말기(10)로 입시지원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안내문 및/또는 입시지원 서비스 선택메뉴를 제공한다. 개인 이동 단말기(10)의 표시장치(11)의 화면을 통해 표시할 수 있는 문자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을 고려할 때, 이용안내 처리부(51)는 사용자 컴퓨터(15)를 통해 제공하는 이용안내 화면정보와 개인 이동 단말기(10)를 통해 제공하는 이용 안내화면정보를 다르게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용안내 처리부(49)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 메뉴 항목은, 회원등록, 입시지원율 조회, 지원접수, 지원처리, 합격정보 조회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된 각 서비스 메뉴 항목의 명칭은 서비스 기능에 맞게 적절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친숙성을 고려하여 다른 명칭으로 적절하게 바꿔 단말기(10)(15)에 표시될 수 있다.
회원 관리부(53)는 회원등록 메뉴(미도시)를 선택할 때 실행되는 것으로서, 입시지원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15)를 통해 회원등록 절차를 처리하는 회원등록 처리부(53b)와, 사용자 단말기(10)(15)를 통해 입력받은 이용자 정보로부터 등록된 회원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처리하는인증처리부(53a)를 구비한다.
입시지원 현황 처리부(55)는 이용안내 처리부(51)에서 제공하는 메뉴중 입시 지원율조회에 대한 항목이 선택될 때 실행되는 것으로서, 선택된 메뉴항목에 대응되는 서비스 절차를 수행하고, 처리결과를 검색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기(10)(15)로 전송한다.
입시지원 형황 처리부는 지원형황 집계부(55a)와, 지원율 조회 처리부(55b)를 구비한다.
지원현황 집계부(55a)는 공중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제휴 기관의 서버(30)로부터 해당 기관의 지원 현황 데이터를 수신하여 집계한다.
지원현황 집계방식은 지원현황 집계부(55a)가 주기적으로 해당 기관의 서버(30)로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방식 또는 상기 기관의 서버(30)로부터 주기적으로 자동 전송하는 방식등을 적용할 수 있다.
지원율 조회처리부(55b)는 사용자 단말기(10)(15)로부터 지원율 조회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지원현황 집계부(55a)에 의해 기관별 및 지원 계열단위별로 집계된 지원율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처리 한다.
지원접수 처리부(57)는 지원서 작성 접수부(57a) 및 응시처리 수행부(57b)를 구비한다.
지원서 작성 접수부(57)는 이용안내 처리부(51)에서 제공하는 메뉴중 지원접수에 대한 항목이 대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등록 회원여부를 식별하기 위해 회원 ID 및/또는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10)(15)에 송출처리 한다. 사용자 단말기(10)(15)로부터 수신된 ID와 비밀번호가 수신되면, 인증처리부(53a)가 회원의 진위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지원서 작성 접수부(57a)에 알려준다. 인증절차를 통과한 회원에 대해서는 지원하고자 하는 선택한 기관(30)에서 요구하는 지원서 양식을 사용자 단말기(10)(15)를 통해 제공하고, 제공된 지원서 양식의 기재란에 대해 사용자 단말기(10)(15)로부터 입력되어 작성된 지원서를 데이터 베이스(60)에 저장처리한다.
응시처리수행부(57b)는 이용안내 처리부(51)에서 제공하는 메뉴중 지원접수에 대한 항목이 선택될 때 실행되는 것으로서, 회원으로부터 기 작성되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지원서를 이를 해당 기관(30)의 서버에 접수처리가 될 수 있도록 전송처리한다.
응시처리 수행부(57)는 지원처리를 요청한 회원이 지원 접수 기관에 대해 지불해야할 응시 요금을 지불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예컨대, 응시요금을 통상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온라인 결재방식에 의해 처리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 다르게는 지원처리를 요청한 회원이 회원 등록 작성한 정보중 회원이 가입자로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의 통신서비스를 관할하는 통신회사에서 과금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즉, 이용단말기(10)를 통해 지원처리를 요청한 회원에 대해서는 가입자 정보 처리부(25a)로 과금정보를 송출한다. 사용자 컴퓨터(10)를 통해 지원처리를 요청한 회원에 대해서는 회원이 가입한 ISP(internet service provider)업체의 서버로 과금정보를 송출한다.
지원결과 처리부(59)는 지원자 관리부(59a) 및 합격정보 전달부(59b)를 구비한다.
지원자 관리부(59a)는 제휴된 기관의 서버(30)로부터 지원접수 처리된 회원을 포함한 지원자의 합격여부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데이터 베이스(60)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지원자 관리부(59a)는 저장된 지원자의 합격여부정보로부터 회원의 합격여부정보를 회원별로 처리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 또한 지원자 관리부(59a)는 합격자 정보 요청신호가 사용자 단말기(10)(15)로 입력되면 선택된 기관의 계열에 대한 합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60)로부터 찾아 사용자 단말기(10)(15)로 전송처리 한다.
합격정보 전달부(59a)는 등록된 회원의 합격 여부정보를 회원가입시 기재하여 데이터 베이스(60)에 저장된 전자메일 주소로 전송처리한다.
각 부는 선택된 메뉴 항목에 대해 필요 시 마다 인증절차를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고, 또 다르게는 최초 서버(50)에 접속 시 인증절차를 통과한 사용자 단말기(10)(15)에 대해서는 서비스 이용 과정 중에 있는 동안 후속 인증절차를 생략하도록 해도 된다.
한편, 이러한 입시지원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입시지원 서비스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제휴기관 즉, 예로든 대학 서버의 각 기능 블럭의 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대학 서버(30)는 지원율 현황 집계부(33), 지원서 접수 처리부(35), 지원결과 통보부(37)를 구비한다.
지원율 현황 집계부(33)는 통신망을 통해 전자적으로 지원 접수되거나 지원자가 직접 지원한 내역에 대해 관리자가 입력한 정보로부터 지원율 현황을 집계하여 데이터 베이스(31)에 저장하고, 설정된 주기 마다 또는 입시지원 서비스 서버(50)로부터 지원율 현황 송부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집계된 지원율 현황 데이터를 입시지원 서비스 서버(50)로 전송해준다.
지원서 접수 처리부(35)는 입시지원 서비스 서버(50)의 응시처리수행부(57b)에 의해 전송된 지원서류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지원서류데이터에 대한 접수처리를 수행하며, 지원접수처리된 내역 정보를 지원율 현황 집계부(33a)에 알려준다.
지원 결과 통보부(37)는 관리자가 입력하여 데이터 베이스(31)에 저장된 한 합격자 정보를 설정된 시기에 또는 입시지원 서비스 서버(50)로부터 합격자 현황 송부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집계된 합격자 현황 데이터를 입시지원 서비스 서버(50)로 전송해준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중 통신망을 통한 입시지원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 단말기(10)(15)로부터 접속신호가 입력 됐는지를 판단한다(단계 100). 여기서 접속신호는 입시지원 서비스 요청신호에 해당한다.
사용자 단말기(10)(15)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입시지원 서비스 요청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 단말기(10)(15)로 통신망을 통해 입시지원 서비스 메뉴를 전송한다(단계 200).
전송된 입시지원 서비스 메뉴에 대해 사용자 단말기(10)(15)로 서비스 메뉴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선택된 서비스 항목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하고, 처리결과를 해당 사용자 단말기(10)(15)로 전송한다(단계300).
일 예로서, 서비스 메뉴항목중 지원접수 및/또는 지원처리에 대응하는 지원신청요구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단계310), 설정된 인증절차를 수행한다(단계320). 상기 인증 절차단계에서는 등록 회원여부를 식별하기 위해 회원 ID 및/또는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10)(15)에 송출한다.
단계330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15)로부터 수신된 ID와 비밀번호가 회원이 등록한 ID와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한다.
단계 320 내지 330은 단계 200에서 동일 내용이 선 수행되는 경우 생략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인증절차를 통과한 한 회원에 대해서는 선택한 대학에서 요구하는 지원서 양식을 전송하여 기재란에 필요한 사항을 입력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단계 340). 이후, 입력완료되어 수신된 지원서를 해당 대학의 서버로 전송한다(단계 350).
한편, 지원처리를 요청한 회원이 지원 접수 기관에 대해 지불해야할 응시 요금 부과 정보를 제휴 업체 예컨대 회원이 가입한 통신회사의 서버로 전송한다(단계360).
이상의 설명에서는 입시지원을 받는 제휴기관으로서 대학을 예로 설명하였지만, 입사를 지원 받는 기업체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입시지원 서비스를 지원할 수있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중 통신망을 통한 입시지원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에 의하면, 입시지원 관계자가 입시 지원율 현황정보, 입시 지원서의 작성 및 접수처리를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어 시간 공간적 제약이 완화되며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Claims (9)

  1. 사용자 단말기 및 입시지원을 받는 제휴 기관의 서버와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공중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공중 통신망을 통해 입시지원 이용 서비스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입시지원 이용 서비스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선택된 서비스 항목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하며, 처리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입시지원 서비스 서버와;
    상기 입시지원 서비스 서버에 의해 이용되며, 상기 서비스 메뉴 항목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 및 등록된 회원들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통신망을 통한 입시지원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시지원 서비스 서버는
    상기 제휴 기관의 서버로부터 입시지원 현황 데이터를 수신하여 집계하고,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지원율 조회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집계된 상기 지원 현황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처리하는 입시지원 현황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통신망을 통한 입시지원 서비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시지원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시 지원 접수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사용자가 선택한 기관에서 요구하는 기재사항에 대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아 작성된 지원서 데이터를 상기 공중통신망을 통해 해당 기관의 서버로 전송처리하는 지원접수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통신망을 통한 입시지원 서비스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원접수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요청된 내용에 대응하는 지원접수를 처리하고, 지원 접수 기관에 대해 지불해야할 응시 요금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통신서비스를 관할하는 통신회사에서 과금할 수 있도록 상기 통신회사의 서버로 과금정보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통신망을 통한 입시지원 서비스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시지원 서비스 서버는
    상기 제휴 기관의 서버로부터 지원접수 처리된 회원의 합격여부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합격여부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 사용자의 단말기 주소로 상기 공중 통신망을 통해 전송처리하는 지원결과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통신망을 통한 입시지원 서비스 시스템.
  6. 사용자 단말기 및 입시지원을 받는 제휴기관의 서버와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공중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입시지원 서비스 서버와, 상기 입시지원 서비스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하는 공중 통신망을 통한 입시지원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가. 상기 제휴 기관의 서버로부터 입시관련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공중 통신망을 통해 입시지원 서비스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공중 통신망을 통해 입시지원 서비스 메뉴를 전송하는 단계와;
    다. 상기 서비스 메뉴중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하며, 처리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통신망을 통한 입시지원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입시관련 데이터는
    지원현황 데이터, 합격자 정보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통신망을 통한 입시지원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다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서비스 메뉴중 입시 지원 접수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기관에서 요구하는 기재사항에 대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아 작성된 지원서 데이터를 상기 공중통신망을 통해 해당 기관의 서버로 전송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통신망을 통한 입시지원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다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요청된 내용에 대응하는 지원접수를 상기 해당기관의 서버로 전송처리한 다음, 해당기관에 대해 지불해야할 응시 요금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통신서비스를 관할하는 통신회사에서 과금할 수 있도록 상기 통신회사의 서버로 과금정보를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통신망을 통한 입시지원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
KR1020000060135A 2000-10-12 2000-10-12 공중 통신망을 통한 입시지원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200200292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0135A KR20020029275A (ko) 2000-10-12 2000-10-12 공중 통신망을 통한 입시지원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0135A KR20020029275A (ko) 2000-10-12 2000-10-12 공중 통신망을 통한 입시지원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9275A true KR20020029275A (ko) 2002-04-18

Family

ID=19693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0135A KR20020029275A (ko) 2000-10-12 2000-10-12 공중 통신망을 통한 입시지원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927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315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diating between callers and receivers using mobile phones
TW587225B (en) Portable device service payments by multiple means
EP2100425B1 (en) Communication system
US20060089887A1 (en)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JP2003512767A (ja) インターネット加入サービスへの1回使用および短期間のアクセスのために発信者払い式サービスを利用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00215143A (ja) 加入者に自動的にメッセ―ジを送る方法
CA2578690A1 (en) Telephone background screensaver with live internet content
JP2005524912A (ja) 支払い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4372936B2 (ja) 代行管理方法及びエージェント装置
KR101068022B1 (ko) 휴대폰 결제를 위한 인증 처리 시스템 및 휴대폰 결제 처리 방법
US6944646B2 (en) Server apparatus for user data transfer
JP2001352583A (ja) 課金システム
KR20110023009A (ko) 무선 인터넷 서비스 요금을 과금하기 위한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
JP2010206341A (ja) 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基盤アクセス方法
KR20020085155A (ko)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및 과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29275A (ko) 공중 통신망을 통한 입시지원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RU2312393C2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приема платежей за услуги связи
KR20020027433A (ko)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유무선 인스턴트 메시지 전송방법
KR100563679B1 (ko) 통신단말기를 통한 부가정보 제공방법
KR20010055470A (ko) 다른 통신 서비스 업체 가입자에 대한 통신 서비스 방법
KR20030012420A (ko) Sms, vms 동보메시지에 관한 역과금 체계 및 그 처리 방법
JP4113038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機器の機能設定方法及びセンタ装置並びにユーザ装置
KR20020089820A (ko) 디지털 컨텐츠 고유번호 부여를 통한 결제 방법 및시스템
KR20010091637A (ko) 인터넷전화국을 이용한 음성,문자,데이터 단말기간의통화방법
KR20020070660A (ko) 웹투폰 무선인터넷 직접 접속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