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9194A -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9194A
KR20020029194A KR1020000060016A KR20000060016A KR20020029194A KR 20020029194 A KR20020029194 A KR 20020029194A KR 1020000060016 A KR1020000060016 A KR 1020000060016A KR 20000060016 A KR20000060016 A KR 20000060016A KR 20020029194 A KR20020029194 A KR 20020029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frequency
communication network
service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0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6624B1 (ko
Inventor
정용식
Original Assignee
조정남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남,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정남
Priority to KR1020000060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6624B1/ko
Publication of KR20020029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9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6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66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26Mapping or translating multi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Abstract

신속하게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단말기내의 서비스 가능한 주파수 채널의 순서를 변경함으로서, 이기종 단말기의 서비스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는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으며, 미리 설정된 단말기 통신망의 1차 채널, 이기종 통신망의 2차 채널, 단말기 통신망의 2차 채널, 및 이기종 통신망의 2차 채널 순으로 서비스가 제공되므로, 커버리지 간의 경계에서 발생되는 핑퐁 현상을 제거할 수 있으며, 신속하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파워 온시 및 서비스 종료시 단말기의 서비스 가능한 주파수의 채널을 단말기에 설정된 순으로 서치함으로서, 통신망의 변경에 따라 발생되는 순간적인 서비스 종료가 제거되므로, 서비스 제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SERVICE METHOD USING NETWORK OF DIFFERENT TYPES OF MOBILE PHONES}
본 발명은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을 이용한 신속하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으로 통해 제공되는 이동 단말기의 서비스는 그 이동 단말기에 대응되는 기본 주파수 채널을 가지는 제어국의 제어하에 이루어진다.
즉, 각 제1 단말기(100)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제 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홈위치 등록기(101), 제1 교환국(102), 제1 제어국(103), 제1 기지국(104)로 구비되고, 제2 단말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제2 홈위치 등록기(201), 제2 교환국(202), 제2 제어국(203), 제2 기지국(204)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단말기(100)와 제2 단말기(200)는 기종이 다르게 설정된다.
서비스 가능한 모든 번호가 저장된 제1 홈위치 등록기(101)로부터 제 1단말기(100)가 요구하는 단말기의 번호를 받은 제1 교환국(102)는 단말기 간의 연결시키고, 그 단말기 간의 정보를 받은 제 1 기지국(104)은 제1 제어국(103)의 제어하에 제1 단말기(100)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서비스 가능한 모든 번호가 저장된 제2 홈위치 등록기(201)로부터 제2 단말기(200)가 요구하는 단말기의 번호를 받은 제2 교환국(202)는 단말기 간의 연결시키고, 그 단말기 간의 정보를 받은 제 2 기지국(204)은 제21 제어국(203)의 제어하에 제2 단말기(200)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상기 제1 기지국(104)이 서비스하고 있는 주파수 채널을 통해 제공된 제1 단말기(100)의 서비스는 제1 제어국(103)의 제어하에 이루어지고, 제2 기지국(204)이 서비스하고 있는 주파수 채널을 통해 제공된 제2 단말기(200)의 서비스는 제2 제어국(203)의 제어 하에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 기지국(104)과 제2 기지국(204)이 서비스하고 있는 주파수 채널과 이 각각의 주파수 채널로 서비스를 제공받는 제1 단말기(100)및 제2 단말기(200)의 기종이 다르다.
즉, 다른 주파수 대역의 두 이동 단말기 간의 상호 통합은 기본적으로 두개의 기지국이 필요하지만 통화량이 적은 지역의 경우 두개의 기지국을 설치할 경우 경제성이 떨어진다.
예를 들어, 특정지역에 017 기지국이 설치되어 있다면, 제1 단말기(100)는 제1 주파수 채널로 서비스를 받고 있으며, 이 지역에는 011 기지국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제2 단말기(200)의 서비스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내의 서비스 가능한 주파수 채널의 설정 순서를 변경함으로서, 이기종 단말기의 서비스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는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은,
a) 단말기 통신망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의 1차 채널,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의 1채널, 단말기 통신망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의 2차 채널,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의 2채널 순으로 단말기를 설정하는 단계;
b) 파워 온시 현재 서비스 중인 주파수가 단말기 통신망에 대응되는 주파수인 경우 단말기 통신망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에 대응되는 주파수인 경우 서비스 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상기 a)단계에서 설정된 주파수의 채널 순으로 서치한 후 단말기의 위치를 등록하고, 위치 등록이 완료된 후 상기 서치된 주파수 채널을 유지하는 단계;
c) 상기 단말기에게 서비스 요청이 있었는 지를 체크하여 단말기에게 서비스 요청이 있었다고 판단될 때 상기 b) 단계에서 서치된 주파수 채널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단말기의 서비스가 종료되었는 지를 체크하여 서비스 종료 요청되었다고 판단되면, 서비스 제공을 종료한 후 현재 서비스 종료된 채널이 단말기 통신망의 주파수인 경우 상기 서비스 종료된 주파수 채널을 유지하고,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의 주파수인 경우 상기 a) 단계에서 설정된 주파수 순으로 서비스 가능한 주파수 채널을 서치한 후 서치된 주파수 채널을 유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비스 가능한 단말기의 주파수 채널과 이기종 단말기의 주파수 채널의 설정 순서를 변경함으로서, 서비스 가능한 통신망의 변경으로 인한 순간적인 서비스 차단을 제거하여 호 접속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커버리지와 커버리지 사이의 경계 지역에서 발생되는 핑퐁(Ping-Pong)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이기종 단말기의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단말기 통신망의 구성을 보인 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과정을 보인 플로우 챠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 1 단말기 20 : 제 2 단말기
11 : 홈 위치 등록기 13 : 제1 교환국
15 : 제 1 제어국 17 : 제 1 기지국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단말기 통신망의 구성을 보인 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단말기(10)의 서비스 시스템은 제1 홈위치 등록기(11), 제1 교환국(13), 제1 제어국(15), 제1 기지국(17)로 구비된다.
서비스 가능한 모든 번호가 저장된 제1 홈위치 등록기(11)로부터 단말기(10)가 요구하는 단말기의 번호를 받은 제1 교환국(13)는 단말기 간의 연결시키고, 그 단말기 간의 정보를 받은 제 1 기지국(15)은 제1 제어국(15)의 제어하에 제1 단말기(10)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 1제어국(15)은 이 제 1단말기(10)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 1 주파수 의 1차 채널 및 2 차 채널이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단말기(10)가 통상 017인 경우 단말기 통신망의 1차 채널이 486 으로 셋팅되고 있고, 2차 채널은 568로 설정되어 있으며, 동시에 상기 단말기(10)와 기종(통상 011인 경우)이 다른 이기종 단말기(20)의 주파수의 1차 채널이 739, 2차 채널이 779로 각각 설정된다.
그리고, 단말기(10)로부터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제 1제어국(15)에는 제1 주파수 대역의 1차 채널, 제 2 주파수 대역의 1차 채널, 제1 주파수 대역의 2차 채널, 및 제 2 주파수 대역의 2차 채널 순으로 서비스가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비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단말기의 통신망을 이용한 단말기 서비스 과정을 보인 플로우챠트로서, 도 3 및 도 4를 기초하여 이기종 단말기의 통신망을 이용한 단말기 서비스 제공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단말기(10)는 단말기 통신망에 대응되는 주파수의 1차 채널,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에 대응되는 주파수의 1차 채널, 단말기 통신망에 대응되는 주파수의 2차 채널,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에 대응되는 주파수의 2차 채널 순으로 단말기(10)를 설정한다(단계 301).
상기 제 1 제어국(15)은 상기 단말기(10)가 파원 온 되었는 지를 판단하고(단계 303), 여기서 파워 온 되었다고 판단되면, 현재 단말기의 주파수가 단말기 통신망의 주파수인 지를 체크한다(단계 305).
상기 단계 305를 통해 현재 단말기의 주파수가 단말기 통신망의 주파수라고 판단되면, 현재 단말기(10)의 위치를 등록한 후(단계307), 현재 단말기에 유지된 단말기 통신망의 주파수의 채널로 단말기 주파수를 유지하고(단계 309), 상기 단계 305에서 현재 주파수 채널이 단말기 통신망의 주파수가 아니라고 판단되는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의 주파수인 경우 서비스 가능한 주파수의 채널을 상기 단계 301에서 설정된 주파수의 채널 순으로 서치한다.
즉, 상기 단계 305에서 현재 단말기(10)의 주파수 채널이 단말기 통신망의 주파수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단말기 통신망의 1차 채널을 통해 서비스가 가능한 지를 체크한다(단계 311).
그러나, 상기 단계 311에서 현재 단말기의 주파수의 채널이 단말기 통신망의 주파수의 1차 채널을 통해 서비스가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서비스 가능한 단말기의 주파수의 채널이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의 주파수의 1차 채널인지를 체크한다(단계 313).
상기 단계 313에서 서비스 가능한 단말기의 주파수의 채널이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의 주파수 대역의 1차 채널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서비스 가능한 단말기의 주파수의 채널이 단말기 통신망의 주파수의 2차 채널인지를 체크한다(단계 315).
상기 단계 315 에서 서비스 가능한 단말기의 주파수의 채널이 단말기 통신망의 주파수 대역의 1차 채널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서비스 가능한 단말기의 주파수의 채널이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의 주파수의 2차 채널인지를 체크한다(단계 317).
상기 단계 317에서 서비스 가능한 단말기의 주파수 채널이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의 주파수의 2차 채널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단계311로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311에서 단말기 통신망의 1채널, 단계 313에서 이기종 단말기의 통신망의 1차 채널, 단계 315에서 단말기의 통신망의 2차 채널, 단계 317에서 이기종 단말기의 통신망의 2차 채널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망을 통해 단말기의 서비스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단계307로 진행하여 현재 단말기(10)의 위치를 등록한 후 서치된 주파수 채널을 유지한다(단계 309).
상기 상기 제 1제어국(15)은 가입자로부터 서비스 요청이 있는 지를 체크하고(단계 319), 여기서, 가입자로부터 서비스 요청이 있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단계309에서 유지된 단말기의 주파수 채널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한다(단계 321).
한편, 상기 단말기(10)로부터 서비스 제공을 종료하였는 지를 체크하고(단계 327), 여기서, 서비스 제공을 종료하였다고 판단되면, 단말기(10)의 서비스를 종료한 후(단계 329), 현재 단말기(10)의 주파수 채널이 단말기 통신망의 주파수의 채널인가를 체크한다(단계 331).
상기 단계 331를 통해 현재 서비스 종료된 단말기의 주파수 채널이 단말기 통신망의 주파수 인경우 현재 단말기에 서비스 종료된 주파수의 채널을 단말기 통신망의 기본 주파수 대역으로 유지한 후 본 프로그램을 종료하고(단계 333),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의 기본 주파수 인 경우 서비스 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상기 단계 301에서 설정된 주파수의 채널 순으로 서비스 가능한 주파수의 채널을 서치한다.
즉, 상기 단계 331에서 현재 단말기(10)의 주파수 채널이 단말기 통신망의 주파수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단말기 통신망의 1차 채널을 통해 서비스가 가능한 지를 체크한다(단계 335).
그러나, 상기 단계 335에서 현재 단말기의 주파수의 채널이 단말기 통신망의 주파수의 1차 채널을 통해 서비스가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서비스 가능한 단말기의 주파수의 채널이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의 주파수의 1차 채널인지를 체크한다(단계 337).
상기 단계 337에서 서비스 가능한 단말기의 주파수의 채널이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의 주파수 대역의 1차 채널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서비스 가능한 단말기의 주파수의 채널이 단말기 통신망의 주파수의 2차 채널인지를 체크한다(단계 339).
상기 단계 339 에서 서비스 가능한 단말기의 주파수의 채널이 단말기 통신망의 주파수 대역의 1차 채널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서비스 가능한 단말기의 주파수의 채널이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의 주파수의 2차 채널인지를 체크한다(단계 341).
상기 단계 341에서 서비스 가능한 단말기의 주파수 채널이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의 주파수의 2차 채널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단계335로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335에서 단말기 통신망의 1채널, 단계 337에서 이기종 단말기의 통신망의 1차 채널, 단계 339에서 단말기의 통신망의 2차 채널, 단계 341에서 이기종 단말기의 통신망의 2차 채널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망을 통해 단말기의 서비스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단계333로 진행하여 서비스 가능한 주파수 채널을 유지한 후 본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을 이용한 단말기 서비스 방법은, 미리 설정된 이기종 단말기의 주파수 대역의 1차 채널 및 2 차 채널을 이용하여 서비스가 제공되므로, 커버리지 간의 경계에서 발생되는 핑퐁 현상을 제거할 수 있으며, 신속하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파워 온시 및 서비스 종료시 단말기의 서비스 가능한 주파수의 채널을 단말기에 설정된 순으로 서치함으로서, 통신망의 변경에 따라 발생되는 순간적인 서비스 종료가 제거되므로, 서비스 제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a) 단말기 통신망에 대응되는 주파수의 1차 채널,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에 대응되는 주파수의 1채널, 단말기 통신망에 대응되는 주파수의 2차 채널,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에 대응되는 주파수의 2채널 순으로 단말기를 설정하는 단계;
    b) 파워 온시 단말기의 서비스 가능한 주파수가 단말기 통신망에 대응되는 주파수인 경우 단말기 통신망에 대응되는 주파수의 채널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에 대응되는 주파수인 경우 서비스 가능한 주파수의 채널을 상기 a)단계에서 설정된 주파수의 채널 순으로 서치한 후 단말기의 위치를 등록하고, 위치 등록이 완료된 후 상기 서치된 주파수 채널을 유지하는 단계;
    c) 상기 단말기에게 서비스 요청이 있었는 지를 체크하여 단말기에게 서비스 요청이 있었다고 판단될 때 상기 b) 단계에서 서치된 주파수 채널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단말기의 서비스가 종료되었는 지를 체크하여 서비스 종료 요청되었다고 판단되면, 서비스 제공을 종료한 후 현재 서비스 종료된 채널이 단말기 통신망의 주파수인 경우 상기 서비스 종료된 주파수 채널을 유지하고,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의 주파수인 경우 상기 a) 단계에서 설정된 주파수 순으로 서비스 가능한 주파수 채널을 서치한 후 서치된 주파수 채널을 유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단말기의 통신망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단말기의 파워 온 되었는 지를 체크하는 단계;
    b-2) 상기 b-1)단계에서 파워 온 되었다고 판단되면, 현재 단말기의 주파수가 단말기 통신망의 주파수의 채널인 지를 체크하는 단계;
    b-3) 상기 b-2) 단계를 통해 현재 단말기의 서비스 가능한 주파수의 채널이 단말기 통신망에 대응되는 주파수의 채널라고 판단되면, 단말기의 위치를 등록한 후 주파수 채널을 유지하는 단계;
    b-4) 상기 b-2) 단계에서 현재 단말기 주파수의 채널이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의 주파수의 채널인 경우 단말기에 대응되는 주파수의 1차 채널을 통해 서비스가 가능한 지를 체크하여 단말기 통신망의 1차 채널을 통해 서비스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b-3)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b-5) 상기 b-4) 단계에서 상기 단말기가 단말기에 대응되는 주파수의 1차 채널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에 대응되는 주파수의 1차 채널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지를 체크하여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의 1차 채널을 통해 서비스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b-3)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b-6) 상기 b-5) 단계에서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에 대응되는 주파수의 1차 채널을 통해 단말기의 서비스를 불가능한 경우 상기 단말기 통신망에 속하는 주파수의 2차 채널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지를 체크하여 단말기 통신망의 2차 채널을 통해 서비스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b-3)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및
    b-7) 상기 b-6) 단계에서 단말기가 단말기에 대응되는 주파수의 2차 채널을통해 단말기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의 주파수의 2차 채널을 통해 서비스를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지를 체크하여 상기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의 주파수의 2차 채널을 통해 서비스를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다고 판단되면 상기 단계 b-4)로 진행하고,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의 1차 채널을 통해 서비스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b-3)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제공을 종료하였는 지를 체크하는 단계;
    d-2) 상기 d-1)단계에서 서비스가 종료가 요청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단말기의 서비스를 종료하는 단계;
    d-3) 상기 현재 단말기의 주파수 채널이 단말기 통신망에 대응되는 주파수의 채널인 지를 체크하는 단계;
    d-4) 상기 d-3) 단계를 통해 현재 서비스 종료된 단말기의 주파수 채널이 단말기 통신망의 주파수 인경우 현재 단말기에 서비스 종료된 주파수 대역의 채널을 단말기 통신망의 기본 주파수 대역으로 유지한 후 종료하는 단계;
    d-5) 상기 d-4) 단계에서 현재 단말기 주파수의 채널이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의 주파수의 채널인 경우 단말기에 대응되는 주파수의 1차 채널을 통해 서비스가 가능한 지를 체크하여 단말기 통신망의 1차 채널을 통해 서비스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d-4)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d-6) 상기 d-5) 단계에서 상기 단말기가 단말기에 대응되는 주파수의 1차 채널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에 대응되는 주파수의 1차 채널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지를 체크하여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의 1차 채널을 통해 서비스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d-4)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d-7) 상기 d-6) 단계에서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에 대응되는 주파수의 1차 채널을 통해 단말기의 서비스를 불가능한 경우 상기 단말기 통신망에 속하는 주파수의 2차 채널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지를 체크하여 단말기 통신망의 2차 채널을 통해 서비스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d-4)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및
    d-8) 상기 d-7) 단계에서 단말기가 단말기에 대응되는 주파수의 2차 채널을 통해 단말기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의 주파수의 2차 채널을 통해 서비스를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지를 체크하여 상기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의 주파수의 2차 채널을 통해 서비스를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다고 판단되면 상기 단계 d-5)로 진행하고,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의 1차 채널을 통해 서비스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d-4)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1020000060016A 2000-10-12 2000-10-12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100336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0016A KR100336624B1 (ko) 2000-10-12 2000-10-12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0016A KR100336624B1 (ko) 2000-10-12 2000-10-12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9194A true KR20020029194A (ko) 2002-04-18
KR100336624B1 KR100336624B1 (ko) 2002-05-16

Family

ID=19693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0016A KR100336624B1 (ko) 2000-10-12 2000-10-12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66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271B1 (ko) * 2007-02-15 2014-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시스템
KR102068014B1 (ko) * 2019-06-17 2020-01-20 한양전공주식회사 이기종 채널 통신용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271B1 (ko) * 2007-02-15 2014-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시스템
KR102068014B1 (ko) * 2019-06-17 2020-01-20 한양전공주식회사 이기종 채널 통신용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6624B1 (ko) 2002-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52245B2 (en) Handover arrangement for mobile station moving across the boundary of wireless cell-site stations of adjacent PBXs
US662863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mitting direct handoff between base stations in a wireless network
KR10031253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핸드 오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EP0725552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transfer between a cordless telecommunaction system and a cellular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KR100681897B1 (ko) 멀티 액세스 통신망에서의 멀티모드-멀티밴드이동통신단말의 모드 전환방법
RU2292667C2 (ru) Предоставление и синхронизация списка предпочтительного роуминга и индикатора роуминга
CA2281768A1 (en) Cellular radio access network and location updating in a cordless communications system
CN101009896A (zh) 在分组服务中有效处理休眠状态的方法以及多模式终端
WO1995011577A1 (en) Location updating in a cellular radio network
KR100319122B1 (ko) 셀룰러시스템에서이동교환국간소프트핸드오프이후의위치등록방법
CN111278035A (zh) 测量间隔配置方法、装置、设备、终端、系统及存储介质
CN100461964C (zh) 移动通信系统间切换的方法
CN107135480B (zh) 一种基于特定区域的业务锚定方法
KR100336624B1 (ko)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
US5627831A (en) Personal communication network hand over
CN108990123B (zh) 目标控制信道的锁定方法及装置、终端、存储介质
US7450956B1 (en) Paging system
KR100336626B1 (ko)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100336625B1 (ko) 이기종 단말기 통신망을 이용한 로밍 서비스 방법
JP2000188772A (ja) 無線通信端末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制御方法、無線通信端末装置の通信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KR10044226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품질 제어방법
KR20050075573A (ko) 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시스템 선택 방법
JPH0851661A (ja)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
KR10070691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자원 공유 방법과 이를 위한이동통신 단말에서의 서비스 전환 방법
KR100260093B1 (ko) 동일 개인 이동 통신 교환기에서의 핸드오프 통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