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7870A - The connecting structure of trim kit for thru the wall type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The connecting structure of trim kit for thru the wall type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7870A
KR20020027870A KR1020000058600A KR20000058600A KR20020027870A KR 20020027870 A KR20020027870 A KR 20020027870A KR 1020000058600 A KR1020000058600 A KR 1020000058600A KR 20000058600 A KR20000058600 A KR 20000058600A KR 20020027870 A KR20020027870 A KR 20020027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m kit
fastening
air conditioner
trim
ki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86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인철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58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7870A/en
Publication of KR20020027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7870A/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24F1/02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mounted in wall openings, e.g. in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trim kit connection structure is provided to prevent distortion of trim kit by increasing the strength of trim kit and improving resistance force against an external force. CONSTITUTION: A trim kit connection structure comprises a trim kit body(50)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segments; a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trim kit body; and a distortion prevention portion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portion, and which surface-contacts the coupling portion so as to prevent the trim kit body from being distorted. The coupling portion includes a coupling protrusion(62) protruded from both ends of the trim kit body; and a coupling groove(64) formed at the trim kit body,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The distortion prevention portion includes an insertion plate(70) protruded from a cross bar(52) of the trim kit; and a slot(72) formed inside a post bar(51) of the trim kit,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plate, so as to allow the insertion plate to be inserted into the slot.

Description

벽매립형 공기조화기의 트림키트 연결구조{The connecting structure of trim kit for thru the wall type air conditioner}The connecting structure of trim kit for thru the wall typ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매립형 공기조화기에서 벽체 내에 설치되는 슬리이브캐비넷과 공기조화기의 외면 사이의 틈새를 메워주는 트림키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im kit that fills a gap between a sleeve cabinet installed in a wall and an outer surface of an air conditioner in a wall-mounted air conditioner.

벽매립형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과 외부를 구획하고 있는 벽을 관통하는 관통구를 형성하고 상기 관통구 내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공기조화기의 배면만이 실외로 노출되어 배면을 통해서만 열교환을 위한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내외부로 유동되는 특징을 가진다.The wall-mounted air conditioner forms a through hole penetrating a space for air conditioning and a wall partitioning the outside, and is installed and used in the through hole. Therefore, only the rear surface of the air conditioner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air for heat exchange only flows through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air conditioner.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벽매립형 공기조화기의 요부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고로 벽매립형 공기조화기의 내부구성을 살펴보면, 공기조화기의 바닥을 베이스팬(1)이 형성한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wall-mounte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Looking at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wall-mounted air conditioner with reference to this, the base fan (1) forms the bottom of the air conditioner.

상기 베이스팬(1)의 실내측 전면에는 프론트그릴(3)이 설치된다. 상기 프론트그릴(3)은 공기조화기의 정면 외관을 형성하게 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는 아래에서 설명될 캐비넷(30)의 전면에 장착된다. 이와 같은 프론트그릴(3)의 일측에는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내부로 흡입되는 흡입부(3i)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공기조화기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다시 실내로 토출되는 토출부(3e)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흡입부(3i)에는 흡입그릴(4)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부(3e)의 하부에는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콘트롤패널부(3c)가 구비된다.The front grill 3 is installed on the indoor front surface of the base fan 1. The front grill 3 forms a front appearance of the air conditioner and is mounted on the front of the cabinet 3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substantially. One side of the front grill 3 is formed with an intake portion 3i through which air of a space for air conditioning is sucked into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er. On the other side, the air heat exchanged from the air conditioner is returned to the room. The discharge part 3e discharged is formed. On the other hand, a suction grill 4 is provided in the suction part 3i. A control panel portion 3c for manipulat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is provided below the discharge portion 3e.

상기 프론트그릴(3)의 내측에는 실내열교환기(7)가 설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7)는 상기 프론트그릴(3)의 흡입부(3i)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와 공기조화사이클의 작동유체 사이의 열교환을 위한 것으로, 보다 정확하게는 아래에서 설명될 에어가이드(9)에 설치된다.An indoor heat exchanger 7 is installed inside the front grill 3. The indoor heat exchanger (7) is for heat exchange between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art (3i) of the front grill (3) and the working fluid of the air conditioning cycle, more precisely the air guide (9) It is installed in).

상기 실내열교환기(7)가 설치되는 에어가이드(9)의 구성을 설명하면, 에어가이드(9)에는 상기 실내열교환기(7)를 통과한 공기가 안내되는 통공(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프론트그릴(3)의 토출부(3e)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토출가이드(9e)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에어가이드(9)의 바닥면에는 상기 실내열교환기(7)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조(9')가 형성되어 있다.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air guide (9) in which the indoor heat exchanger (7) is installed, the air guide (9)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10) through which the air passing through the indoor heat exchanger (7) is formed, A discharge guide 9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portion 3e of the front grill 3.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guide (9) is formed with a drainage structure (9 ') for draining the condensate generated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7).

상기 에어가이드(9)와 결합되어서는 스크롤(11)이 설치된다. 상기 스크롤(11)의 내면에는 유동가이드면(12)이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시로코팬(19)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를 안내하게 된다.In combination with the air guide 9, a scroll 11 is installed. A flow guide surface 12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croll 11 to guide the airflow formed by the sirocco fan 19 to be described below.

그리고 상기 프론트그릴(3)의 콘트롤패널부(3c)에 대응되는 상기 에어가이드(9)와 스크롤(11)의 내부를 관통하여서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를 위한 각종 전장부품이 구비되는 콘트롤박스(14)가 설치된다.The control box 14 is provided with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for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er by penetrating the interior of the air guide 9 and the scroll 11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panel part 3c of the front grill 3. ) Is installed.

다음으로 상기 스크롤(11)의 후면에 밀착되어서는 공기조화기의 실내측과 실외측을 구획하는 베리어(15)가 설치된다. 상기 베리어(15)는 공기조화기의 실내측과 실외측을 구획하여 실내측 환경과 실외측 환경이 서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다.Next,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scroll 11, a barrier 15 is formed to partition the indoor side and the outdoor side of the air conditioner. The barrier 15 divides the indoor side and the outdoor side of the air conditioner so that the indoor side and the outdoor side are not influenced by each other.

한편 상기 베리어(15)의 후단, 즉 실외측에는 모터마운트(18)가 베이스팬(1)에 안착되어 설치되고, 이에는 모터(17)가 설치된다. 상기 모터(17)는 그 축이 각각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일측 축은 상기 베리어(15)를 관통하여 실내측의 스크롤(11) 내부로 돌출 된다. 상기 실내측으로 돌출된 축에는 시로코팬(19)이 설치된다. 상기 시로코팬(19)은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실내열교환기(7)를 통과시키고 다시 상기 토출가이드(9e)로 안내하여 실내로 다시 토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at the rear end of the barrier 15, that is, the outdoor side, the motor mount 18 is mounted on the base fan 1, and the motor 17 is installed thereon. The motor 17 is formed such that its shaft protrudes to the indoor side and the outdoor side, respectively, and one side shaft penetrates the barrier 15 and protrudes into the interior scroll 11. The sirocco fan 19 is installed on the shaft protruding toward the indoor side. The sirocco fan 19 serves to suck air in the space for air conditioning and to pass the indoor heat exchanger 7 to guide the discharge guide 9e to be discharged back into the room.

상기 모터(17)의 실외측 축에는 송풍팬(21)이 설치된다. 상기 송풍팬(21)은 실외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조화기 실외측의 실외열교환기(27)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blowing fan 21 is installed on the outdoor shaft of the motor 17. The blower fan 21 sucks air from the outside to heat exchange while passing through the outdoor heat exchanger 27 outside the air conditioner.

한편, 상기 실외측에는 상기 송풍팬(22)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를 안내하는 쉬라우드(23)가 설치된다. 상기 쉬라우드(23)는 실외열교환기(27)로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고르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쉬라우드(23)에는 상기 송풍팬(21)이 설치되는 통공(23')이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utdoor side is provided with a shroud 23 for guiding the air flow formed by the blowing fan 22. The shroud 23 serves to evenly deliver the air sucked from the outside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27). The shroud 23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23 ′ in which the blowing fan 21 is installed.

다음으로, 실외열교환기(27)는 상기 베이스팬(1)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실외측 가장 외곽에 설치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27)는 실외에서 흡입된 공기와 작동유체 사이에서 열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Next, the outdoor heat exchanger 27 is installed on the base fan 1 and installed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outdoor side. The outdoor heat exchanger (27) is to allow heat exchange between the air sucked outdoors and the working fluid.

그리고 상기와 같이 베이스팬(1) 상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은 차폐하도록 캐비넷(30)이 구비된다. 상기 캐비넷(30)은 상기 베이스팬(1)과 체결되어 설치되고, 공기조화기의 양측면과 상단을 차폐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abinet 30 is provided to shield various components installed on the base fan 1. The cabinet 30 is installed to be fastened with the base fan 1 to shield both sides and the top of the air conditioner.

여기서,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실외측에는 공기조화사이클의 구성요소인 압축기와 팽창밸브 등이 구비되고, 도면부호 25는 상기 에어가이드(9)와 쉬라우드(23)의 상단을 연결하여 그 설치상태를 견고하게 하는 브레이스이다.Her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outdoor side is provided with a compressor, an expansion valve, and the like, which are components of an air conditioning cycle, and the reference numeral 25 connects the upper ends of the air guide 9 and the shroud 23 to install them. It is a brace that solidifies the condition.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구성의 공기조화기를 벽체에 형성된 관통구에 설치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한다.Next, the structure for installing the air conditioner of the above structure in the through-hole formed in the wall is demonstrated.

트림키트(34)는 상기 캐비넷(30)의 외면과 아래에서 설명될 슬리이브캐비넷(40)과의 사이를 메우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실내와 실외사이의 누설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트림키트(34)의 상세한 구성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트림키트(34)는 몇개의 조각으로 구성되는데, 이들을 서로 연결시켜 주기 위한 연결부(35)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Trim kit 34 is installed to fill the gap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cabinet 30 and the sleeve cabinet 40 to be described below, and serves to prevent leakage between the indoor and outdoor.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such trim kit 34 is shown in FIG. According to this, the trim kit 34 is composed of several pieces,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on part 35 for connecting them to each other is as follows.

상기 연결부(35)의 일측에는 각각의 체결레그(37,37')가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탄성체결구(36)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체결구(36)는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부(35)의 타측에는 상기 탄성체결구(36)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리브(38,38')가 상기 탄성체결구(36)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35, each of the fastening legs (37, 37 ') formed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elastic fastener 36 is formed protruding. The elastic fasteners 36 are formed in pairs. On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part 35, fastening ribs 38 and 38 ′ through which the elastic fastener 36 is inserted and fastened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elastic fastener 36.

한편, 슬리이브캐비넷(40)은 상기 관통구의 내벽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 공기조화기가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슬리이브캐비넷(40)의 전면과 후면에는 각각 실내측과 실외측에 설치되어서 공기조화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실내와 실외를 막아주는 내측 슬리이브커버(42)와 외측 슬리이브커버(44)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슬리이브커버(42,44)는 공기조화기가 설치되면 제거된다. 상기 슬리이브캐비넷(40)의 후단에는 외부에서 공기조화기의 부품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실외열교환기(27)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위한 후방그릴(46)이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sleeve cabinet 40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the air conditioner is mounted therein. In addition, the front and rear of the sleeve cabinet 40 is installed on the indoor side and the outdoor side, respectively, the inner sleeve cover 42 and the outer sleeve cover that prevents the indoor and outdoor in the absence of an air conditioner ( 44). Such sleeve covers 42 and 44 are removed when the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The rear grille 46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sleeve cabinet 40 for the flow of air passing through the outdoor heat exchanger 27 while preventing access to the components of the air conditioner from the outside.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벽매립형 공기조화기는 상기 실내측에 해당되는 부분이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을, 상기 실외측에 해당되는 부분이 실외측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사용된다.The wall-mounted air conditioner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used so th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door side faces a space for air conditioning, and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utdoor side faces the outdoor side.

이때, 상기 슬리이브캐비넷(40)과 캐비넷(30)의 외면 둘레를 따라서는 약간의 틈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틈을 통한 실내공기의 누설과 실외공기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트림키트(34)가 사용된다.In this case, a slight gap may b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leeve cabinet 40 and the cabinet 30, and the trim kit may be provided to prevent leakage of indoor air and inflow of outdoor air through the gap. 34) is used.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integrate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상기 트림키트(3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조각으로 구성되어 연결부(35)를 통해 서로 체결되어 하나의 조립체를 형성한다. 하지만 상기 연결부(35)에서는 상기 체결레그(37,37')가 상기 체결리브(38,38')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체결리브(38,38')에 의해 눌러져 탄성변형된 상태로 서로 체결된다. 다시 말해 상기 체결레그(37,37')가 복원되려는 힘에 의해 상기 체결리브(38,38')에 밀착되면서 서로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이다.The trim kit 34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ieces, as shown in Figure 2 is fasten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35 to form one assembly. However, in the connecting portion 35, the fastening legs 37 and 37 'are inserted between the fastening ribs 38 and 38' and pressed by the fastening ribs 38 and 38 'to fasten each other in an elastically deformed state. do. In other words, the fastening legs 37 and 37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fastening ribs 38 and 38' by a force to be restored.

하지만 상기와 같은 연결구조는 체결레그(37,37')와 체결리브(38,38') 사이의 접촉면적이 상대적으로 좁고, 그 접촉방향 또는 일방향이어서 그 연결력이 약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nection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astening legs 37 and 37 'and the fastening ribs 38 and 38' is relatively narrow and its connection force is weak because it is in the contact direction or one direction.

특히 상기와 같은 연결구조는 도 2의 화살표방향의 힘과 트림키트(34)를 비트는 방향의 힘에 취약하다. 따라서 트림키트(34)의 취급중에 연결부(35)가 분리되거나, 트림키트(34)를 공기조화기의 캐비넷(30)과 슬리이브캐비넷(40)의 사이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비틀림이 발생하여 연결부(35)의 연결상태가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connection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s vulnerable to the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of Figure 2 and the direction of twisting the trim kit 34. Therefore, the connection part 35 is detached during the handling of the trim kit 34, or the torsion occurs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trim kit 34 between the cabinet 30 and the sleeve cabinet 40 of the air condition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nection state of the (35) is separat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트림키트를 보다 견고하게 구성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more robustly configure the trim kit.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벽매립형 공기조화기의 요부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wall-mounte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벽매립형 공기조화기의 트림키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rim kit of a wall-mounte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벽매립형 공기조화기의 트림키트 연결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trim kit connection structure of the wall-mounte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50: 트림키트51: 포스트바아50: trim kit 51: post bar

52: 크로스바아60: 체결몸체52: cross bar 60: fastening body

62: 체결돌기64: 체결홈62: fastening protrusion 64: fastening groove

70: 삽입판72: 삽입슬롯70: insertion plate 72: insertion slot

74: 구획판74: partition plat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수개의 조각으로 구성되는 트림키트몸체와, 상기 트림키트몸체를 서로 체결시켜 주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서로 면접촉되어 트림키트몸체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비틀림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im kit body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ieces, a fastening portion for fastening the trim kit body to each other,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portion It is formed in and in contact with each other is configured to include a torsion preventing portion for preventing the torsion of the trim kit body.

상기 체결부는 상기 트림키트몸체의 일측 양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체결돌기와, 상기 트림키트몸체의 타측에 상기 체결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돌기가 체결되는 체결요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astening part includes a fasten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both ends of one side of the trim kit body, and a fastening reces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protrusion on the other side of the trim kit body to fasten the fastening protrusion.

상기 비틀림방지부는 상기 트림키트몸체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삽입판과, 상기 트림키트몸체의 타측 내부의 상기 삽입판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판이 삽입되어 면접촉되게 하는 삽입슬롯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torsion preventing part includes an insertion plate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trim kit body, and an insertion slot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plate inside the other side of the trim kit body to insert the insert plate into surface contact. It is composed.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조화기의 외면과 공기조화기가 설치되는 부분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막아주는 트림키트의 강도가 크게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trength of the trim kit to prevent the gap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air conditioner and the portion where the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is greatly improved.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벽매립형 공기조화기의 트림키트 연결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 기술의 것과 동일 한 것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trim kit connection structure of the wall-mounte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as those of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트림키트 설치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trim kit moun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 실시예의 트림키트(50)는 각각 2개의 포스트바아(51)와 크로스바아(5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포스트바아(51)는 대략 'ㄷ'자 형상을 가지게 된다. 물론 트림키트(50)를 구성하는 포스트바아(51)와 크로스바아(52)의 형상은 최종적으로 사각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상관없고, 그 개수 또한 상관없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trim kit 50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wo post bars 51 and cross bars 52,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post bar 51 has an approximately 'c' shape. Of course, the shape of the post bar 51 and the cross bar 52 constituting the trim kit 50 may be any shape as long as it can finally form a rectangular frame, and the number thereof may also be used.

다음으로 상기 포스트바아(51)와 크로스바아(52)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구성을 살펴본다. 상기 포스트바아(51)와 크로스바아(52)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는 이들을 서로 체결하기 위한 구성과, 이들 사이의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된다.Next, a configuration for connecting the post bar 51 and the cross bar 52 will be described. The post bar 51 and the cross bar 5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onfiguration for fastening them to each other, there is provided a configuration for preventing the twist therebetween.

먼저, 크로스바아(52)의 일단부에는 체결몸체(60)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몸체(60)는 상기 대응되는 포스트바아(5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진다. 이때 상기 체결몸체(60)의 좌우폭은 포스트바아(51)의 내부폭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그 높이는 포스트바아(51)의 내부 높이보다는 낮게 형성된다.First, a fastening body 6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cross bar 52. The fastening body 60 is large enough to be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post bar 51. At this time, the left and right width of the fastening body 6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inner width of the post bar 51, the height is formed lower than the inner height of the post bar (51).

상기 체결몸체(60)의 양측면에는 각각 체결돌기(6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돌기(62)는 그 선단에서 후단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삽입이 용이하게 구성되고, 후단에는 수직면이 형성되어 삽입후에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체결돌기(62)는 아래에서 설명될 포스트바아(51)의 체결홈(64)에 삽입되어 크로스바아(52)와 포스트바아(51)를 체결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체결돌기(62)가 일측면에 전후로 2개씩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돌기(62)의 개수는 전체 트림키트(50)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astening protrusions 62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fastening body 60, respectively. The fastening protrusion 62 is formed to be inclined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so as to be easily inserted, and a vertical surface is formed at the rear end so that the fastening protrusion 62 does not fall out arbitrarily after insertion. The fastening protrusion 62 may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64 of the post bar 51 to be described below to fasten the cross bar 52 and the post bar 51.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figure, two fastening protrusions 62 are formed on each side of the fastening protrusion 62. The number of the fastening protrusions 62 may be appropriately form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entire trim kit 50.

그리고 상기 포스트바아(51)의 내면 양측에는 상기 체결돌기(62)가 안착되는 체결홈(6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홈(64)은 상기 체결돌기(62)와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개수만큼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체결홈(64)이 포스트바아(51)의 내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으며 상기 체결돌기(6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면 된다.In addition, fastening grooves 64 in which the fastening protrusions 62 are seated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post bar 51. The fastening groove 64 is formed by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protrusion 62. In the drawing, the fastening groove 64 is formed long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ost bar 51 vertically, but it is not necessary to do so and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protrusion 62.

상기 체결몸체(60)의 상단에 해당되는 상기 크로스바아(52)에는 삽입판(70)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판(70)은 상기 체결몸체(60)의 상면과 평행하게 길게 연장형성된다.An insertion plate 7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cross bar 52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fastening body 60. The insertion plate 70 extends in parallel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astening body 60.

그리고 상기 포스트바아(51)의 내부에는 상기 삽입판(70)과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슬롯(7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슬롯(72)의 폭은 상기 삽입판(70)의 폭과 대응되고 그 높이는 상기 삽입판(70)의 두께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슬롯(72)에 상기 삽입판(70)이 삽입될 때, 이들 사이에는 거의 틈이 없게 된다. 이와 같은 삽입슬롯(72)은 상기 포스트바아(51)의 내부에 있는 구획판(74)에 의해 형성된다.An insertion slot 72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plate 70 in the post bar 51. The width of the insertion slot 72 corresponds to the width of the insertion plate 70 and its height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insertion plate 70. Therefore, when the insertion plate 7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ot 72, there is almost no gap between them. This insertion slot 72 is formed by a partition plate 74 in the interior of the post bar 51.

한편, 상기와 같이 삽입몸체(60)와 삽입편(70)이 크로스바아(52)에,체결홈(64)과 삽입슬롯(72)이 포스트바아(51)에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서로 대응되게 크로스바아(52)나 포스트바아(51)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insertion body 60 and the insertion piece 70 are not necessarily formed in the cross bar 52 and the fastening groove 64 and the insertion slot 72 in the post bar 51. These may be selectively formed in the crossbar 52 or the postbar 51 to correspond to each other.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트림키트의 연결구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trim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포스트바아(51)와 크로스바아(52)가 다수개로 구성되어 서로 연결되는 본 발명의 트림키트(50)가 조립되는 것을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크로스바아(52)의 체결몸체(60)를 상기 포스트바아(51)의 내부로 삽입하게 되면, 전방에 있는 체결돌기(62)가 체결홈(64)에 삽입된다. 그 상태에서 계속하여 체결몸체(60)를 밀어주면, 상기 체결돌기(62)의 경사면이 상기 체결홈(64)을 타고 넘어 다음의 체결홈(64)에 안착된다.First, it will be described that the trim kit 50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ost bars 51 and cross bars 52 and connected to each other, is assembled. In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cross bars 52 are illustrated. When the fastening body 60 is inserted into the post bar 51, the fastening protrusion 62 in the front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64. If it continues to push the fastening body 60 in that state,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astening protrusion 62 is seated in the next fastening groove (64) over the fastening groove (64).

그리고 후방에 있는 체결돌기(62)도 상기 체결홈(64)에 안착되어 체결된다. 물론 상기 2개의 체결돌기(62)가 각각 2개의 체결홈(64)에 체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체결몸체(60)와 크로스바아(52)가 연결되는 부분이 상기 포스트바아(51)의 선단에 걸려 상기 체결몸체(60)의 삽입이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And the fastening protrusion 62 at the rear is also seated in the fastening groove 64 is fastened. Of course, in the state in which the two fastening protrusions 62 are fastened to the two fastening grooves 64, respectively, a portion where the fastening body 60 and the cross bar 52 are connected is caught by the tip of the post bar 51. Insertion of the fastening body 60 is no longer made.

한편, 상기 체결몸체(60)의 삽입과 동시에 상기 삽입판(70)의 삽입도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삽입판(70)은 상기 포스트바아(51)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삽입슬롯(72)에 삽입되는데, 상기 삽입판(70)의 두께와 폭이 상기 삽입슬롯(72)의 높이와 폭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어, 이들 사이에는 거의 틈이 없게 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비틀림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포스트바아(51)와 크로스바아(52)가 비틀어지지 않고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insertion plate 70 is also inserted at the same time as the fastening body 60 is inserted. That is, the insertion plate 7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ot 72 formed in the post bar 51, and the thickness and width of the insertion plate 70 are in the height and width of the insertion slot 72. Correspondingly formed, there is almost no gap between them. Therefore, even if a torsional forc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post bar 51 and the cross bar 52 can be maintained without being twisted.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벽매립형 공기조화기의 트림키트 연결구조는 체결돌기가 체결홈에 안착되어 서로의 체결이 이루어지고 삽입판이 삽입슬롯에 삽입되어 서로의 접촉면적을 넓혀주므로 트림키트 전체의 강도가 커지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외부로부터의 임의의 힘에 의해 연결상태가 분리되거나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The trim kit connection structure of the wall-mounte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is a trim kit because the fastening protrusions are seated in the fastening grooves, and the fastening protrusions are inserted into each other, and the insertion plat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ot to widen the contact area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overall strength,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nection state is not separated or twisted by any force from the outside.

Claims (3)

다수개의 조각으로 구성되는 트림키트몸체와,Trim kit body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ieces, 상기 트림키트몸체를 서로 체결시켜 주는 체결부와,A fastening part for fastening the trim kit body to each other; 상기 체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서로 면접촉되어 트림키트몸체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비틀림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매립형 공기조화기의 트림키트 연결구조.And a torsion preventing portion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portion and being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to prevent torsion of the trim kit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트림키트몸체의 일측 양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체결돌기와,The fastening part of claim 1, wherein the fastening part protrudes from both ends of one side of the trim kit body; 상기 트림키트몸체의 타측에 상기 체결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돌기가 체결되는 체결요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매립형 공기조화기의 트림키트 연결구조.Trim kit connection structure of the wall-mounted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side of the trim kit body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projection comprises a fastening groove for fastening the fastening projectio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방지부는 상기 트림키트몸체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삽입판과,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torsion preventing portion and the insertion plate protruding on one side of the trim kit body, 상기 트림키트몸체의 타측 내부의 상기 삽입판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판이 삽입되어 면접촉되게 하는 삽입슬롯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매립형 공기조화기의 트림키트 연결구조.And an insertion slot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plate inside the other side of the trim kit body to insert the insertion plate into surface contact with the trim kit body.
KR1020000058600A 2000-10-05 2000-10-05 The connecting structure of trim kit for thru the wall type air conditioner KR2002002787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8600A KR20020027870A (en) 2000-10-05 2000-10-05 The connecting structure of trim kit for thru the wall type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8600A KR20020027870A (en) 2000-10-05 2000-10-05 The connecting structure of trim kit for thru the wall type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7870A true KR20020027870A (en) 2002-04-15

Family

ID=19692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8600A KR20020027870A (en) 2000-10-05 2000-10-05 The connecting structure of trim kit for thru the wall type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787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39054A (en) An outdoor unit for a an air conditioner
US7260953B2 (en) Air conditioner
KR20020027870A (en) The connecting structure of trim kit for thru the wall type air conditioner
KR100441001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ing system
KR100389426B1 (en) The outterior air flow structure for thru the wall type air conditioner
KR100437393B1 (en) Control box mounting apparatus for air conditioner
KR100612098B1 (en) Air conditioner
KR100757482B1 (en) The motor mounting structure for air conditioner
KR20020015566A (en) A front grille mounting structure for airconditioner
KR100366516B1 (en) An orifice mounting structure for air conditioner
KR100347046B1 (en) The outterior air flow structure for thru the wall type air conditioner
KR100577120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0312147Y1 (en) Structure of room air-conditioner
KR200299992Y1 (en) Structure for installing filter of room air-conditioner
KR20040068815A (en) Curtain assembly mounting structure for air conditioner
KR100353373B1 (en) The heater mounting structure for air conditioner
KR20020027868A (en) A mounting structure of trim kit for thru the wall type air conditioner
KR200222813Y1 (en) Fan case for air conditioning system
KR20020025515A (en) The air-guide mounting structure for air conditioner
KR20020018474A (en) The control box mounting structure for air conditioner
KR200151337Y1 (en) Window type airconditioner
KR20020035980A (en) The airguide for air conditioner
KR0128732Y1 (en) Control box mounting device of window type airconditioner
KR100392401B1 (en) An air conditioning system
KR20050047180A (en) The outterior air flow structure for through the wall type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