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6118A - 스크린 보호 기능을 갖는 영상 표시기기의 어학 학습방법 - Google Patents

스크린 보호 기능을 갖는 영상 표시기기의 어학 학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6118A
KR20020026118A KR1020000057743A KR20000057743A KR20020026118A KR 20020026118 A KR20020026118 A KR 20020026118A KR 1020000057743 A KR1020000057743 A KR 1020000057743A KR 20000057743 A KR20000057743 A KR 20000057743A KR 20020026118 A KR20020026118 A KR 20020026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ignal
learning
warning messa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7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4831B1 (ko
Inventor
이상석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57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4831B1/ko
Publication of KR20020026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6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4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48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H04N21/4325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by playing back content from the storage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4Displa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표시기기에서 화면 보호를 위한 경고 메시지를 동적으로 표시할 때, 영어 단어 등의 학습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 요지는, 동기신호의 입력 여부를 확인하여 무신호 상태를 판단하는 제1과정과; 무신호 상태로 판명될 때, 무신호 상태에 의해 화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경고 메시지가 동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출력하는 제2과정과; 무신호 상태로 판명될 때, 학습용 데이터베이스에서 학습정보를 소정 분량씩 순차적으로 읽어내어 일정 시간동안 출력하는 제3과정과; 상기 경고 메시지와 학습정보를 소정 시간씩 선택 출력하여 한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스크린 보호 기능을 갖는 영상 표시기기의 어학 학습방법{METHOD OF LEARNING LANGUAGE FOR VIDEO DISPLAY APPLIANCE HAVING SCREEN PROTECTION FUNCTION}
본 발명은 프로젝션 또는 PDP 티브이와 같은 영상 표시기기에서 스크린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학습용 화면을 출력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지화상이 장시간 디스플레이 되거나, 외부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상태에서의 계속적인 경고메시지 디스플레이 동작에 의해 스크린면의 특정 부분이 빨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온스크린 기능을 이용하여 어학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스크린 보호 기능을 갖는 영상 표시기기의 어학 학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기존의 티브이 브라운관이 프로젝션 티브이나 PDP TV 등 대형의 영상 표시기기로 빠른 속도로 대체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평상시에는 스크린 상에 계속적으로 동화상이 디스플레이되므로 스크린부의 특정 부분이 빨리 손상될 우려가 없다. 하지만, 오랜 시간동안 정지화상이 디스플레이되거나, 무신호 시에는 특정 부분에 영상 부하가 집중되어 해당 부분이 빨리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의 일예로써, 외부입력을 제공받는 모드에서 외부입력이 차단되면, 도 1에서와 같이 외부입력이 없으니 외부신호를 입력해 달라는 문자 메시지를 출력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전체적으로 상이 없는 화면 상에서 특정 부분에만 상기 경고 메시지만 계속 디스플레이되어 그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하여 빨리 손상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결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들어, 도 2와 같이 경고 메지시지를 온스크린으로 출력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즉, 영상 표시기기에 외부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상태에서 경고메시지를 온스크린으로 디스플레이할 때, 수평라인을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해당 수평라인에서 경고 메시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디스플레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영상 표시기기에 있어서는 단순히 고정된 표시동작에 의해 스크린부의 특정 부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만 구비되어 있을 뿐, 화면 서비스 차원에서 볼 때 부족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면 보호를 위해 경고 메시지를 동적으로 표시하는 모드에서 영어 단어 등의 학습정보를 제공하는 영상 표시기기의 어학 학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무신호 시 경고 메시지 출력 예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무신호 시 경고 메시지 동적 출력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어학 학습방법이 적용되는 영상 표시기기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어학 학습정보 및 경고 메시지 출력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어학 학습방법의 신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A : 티브이용 영상/음성 처리부300B : 학습정보 출력부
301 : 튜너 및 중간주파 처리부302 : 휘도/색신호 분리부
303 : 동기신호 분리부304 : 마이크로컴퓨터
305 : 이이피롬306 : 색신호 스위칭부
307 : 영상/편향 처리부308 : 씨피티
309 : 톤 제어부310 : 증폭기
311 : 스피커 312 : 학습용 데이터베이스
313 : 인터페이스부 314 : 제어부
315 : 폰트롬 316 : 데이터 슬라이서
317 : 캡션 디코더
본 발명의 목적을달성하기 위한 영상 표시기기의 어학 학습방법은, 동기신호의 입력 여부를 확인하여 무신호 상태를 판단하는 제1과정과; 무신호 상태로 판명될 때, 무신호 상태에 의해 화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경고 메시지가 동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출력하는 제2과정과; 무신호 상태로 판명될 때, 학습용 데이터베이스에서 학습정보를 소정 분량씩 순차적으로 읽어내어 일정 시간동안 출력하는 제3과정과; 상기 경고 메시지와 학습정보를 소정 시간씩 선택 출력하여 한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어학 학습방법이 적용되는 영상 표시기기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되는 고주파의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복합영상신호(CVBS)를 출력하는 튜너 및 중간주파 처리부(301)와; 상기 복합영상신호(CVBS)를 입력받아 휘도신호 및 색신호(Y,U,V)를 분리해 내는 휘도/색신호 분리부(302)와; 상기 복합영상신호(CVBS)에서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동기신호 분리부(303)와; 상기 동기신호 분리부(303)로부터 동기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때 무신호 상태로 판단하여 경고메시지를 동적인 형태로 출력하고, 그 경고 메시지가 학습정보와 한 화면에 함께 디스플레이되도록 시스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컴퓨터(304)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304)에서 출력되는 경고 메시지용 온스크린신호와 학습정보 출력부(300B)에서 출력되는 학습정보용 온스크린신호가 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스위칭하는 색신호 스위칭부(306)와; 상기 색신호 스위칭부(306)에서 합성된 온스크린 신호를 씨피티(308)에 디스플레이하는데 적당한 형태로 처리하는 영상/편향 처리부(307)와; 상기 튜너 및 중간주파 처리부(301)에서 분리 출력되는 음성신호(R/L)를 스피커(311)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데 적당하도록 처리하는 톤 제어부(309) 및 증폭기(310)로 구성된 티브이용 영상/음성 처리부(300A)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304)로부터 무신호 상태임을 통보받은 후 소정 주기로 학습정보를 변경 출력하는 학습정보 출력부(300B)로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되는 고주파의 방송신호가 튜너 및 중간주파처리부(301)를 통해 수신 처리하여 이로부터 복합영상신호(CVBS)가 출력된다. 상기 복합영상신호(CVBS)는 다음 단의 휘도/색신호 분리부(302)에서 영상처리되어 이로부터 휘도신호 및 색신호(Y,U,V)가 분리 출력된다.
이때, 동기신호 분리부(303)는 상기 튜너 및 중간주파 처리부(301)에서 출력되는 복합영상신호(CVBS)로부터 동기신호를 분리하여 마이크로컴퓨터(304)에 전달하게 되고, 그 마이크로컴퓨터(304)는 그 동기신호의 입력여부를 근거로 하여 무신호 상태인지를 판별하게 된다.
상기 마이크로컴퓨터(304)에서 무신호 상태로 판명되는 경우 색신호 스위칭부(306)의 출력이 차단된다. 이와 같은 경우 영상/편향 처리부(307)에서는 상기 휘도/색신호 분리부(302)에서 출력되는 휘도신호 및 색신호(Y,U,V)만을 이용하여 씨피티(308)에 동영상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정상적인 동영상 표시동작이 진행된다.(S1,S2)
이와 동시에, 상기 튜너 및 중간주파 처리부(301)에서 분리 출력되는 음성신호(R/L)가 톤 제어부(309) 및 증폭기(310)를 통해 스피커(311)로 출력되므로 시청자는 해당 프로그램의 오디오를 청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안테나(ANT)를 통해 방송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동기신호 분리부(303)에서 동기신호의 출력이 차단된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컴퓨터(304)는 상기 동기신호의 입력 차단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될 때 무신호 상태로 판단한 후 학습정보 출력부(300B)와 연계하여 상기 씨피티(308)에 도 4와 같은 형태로 화면이 출력되도록 시스템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화면의 상반부에는 수평라인을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외부입력 신호를 입력해 주세요"라는 경고 메시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흐르는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고, 이와 동시에 화면의 하반부에는 학습용 영어 단어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바꾸어 가면서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같은 표시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마이크로컴퓨터(304)는 상기 동기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때, 무신호 상태임을 판단하여 학습정보 출력부(300B)의 제어부(314)에 학습정보를 출력해 줄 것을 요청하고, 자신은 이이피롬(305)으로부터 경고 메시지를 읽어내어 색신호 스위칭부(306)의 제1입력단측으로 경고메시지용 온스크린 신호(TV OSD)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컴퓨터(304)는 색신호 스위칭부(306)에 구동제어신호(CS)를 출력하고, 상기 온스크린신호(TV OSD)가 도 4에서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흐르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기 위해 내부의 타이머와 레지스터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온스크린 표시 위치(출력 타이밍)를 변경하게 된다.(S3,S4)
한편, 상기 제어부(314)는 인터페이스부(313)를 통해 학습용 데이터베이스(312)로부터 학습용 정보,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이 영한사전용 단어 정보(예: Gain[gain]얻다/획득하다)를 소정 주기로 읽어 온 후, 폰트롬(315)에서 해당 폰트 정보를 읽어와 캡션 디코더(317)에 출력한다. 이때, 상기 캡션 디코더(317)는 상기 제어부(314)로부터 입력되는 학습용 폰트 정보를 디코딩하여 상기 색신호 스위칭부(306)의 제2입력단측으로 출력한다.
상기 소정 주기란 학습정보용 온스크린 신호를 스크린 상의 어느 한 부분에계속 디스플레이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시간을 의미한다.
상기 색신호 스위칭부(306)는 한 화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1/2에 해당되는 부분까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304)에서 출력되는 경고 메시지용 온스크린신호(TV OSD)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나머지 1/2에 해당되는 부분에서는 상기 캡션 디코더(317)에서 출력되는 학습용 폰트정보를 선택하여 출력한다.(S5-S7)
상기 색신호 스위칭부(306)에 의해 합성된 두 종류의 문자 영상신호가 상기 영상/편향 처리부(307)를 통해 씨피티(308)에 디스플레이되므로, 시청자는 그 시피티(308)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도 4와 같은 경고 메시지 및 학습정보를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즉, 화면의 상반부에 수평방향으로 흐르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경고 메시지와, 화면의 하반부에 소정 시간씩 바뀌어 디스플레이되는 학습정보를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면의 상반부에 경고 메지시를 동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화면의 하반부에는 학습용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별다른 추가 비용을 유발시키지 않고도 시청자의 학습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입력신호가 차단된 무신호 상태인지 판단하는 제1과정과; 무신호 상태에 의해 화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경고 메시지가 동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처리하여 출력하는 제2과정과; 무신호 상태에서, 소정 주기로 학습정보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제3과정과; 상기 경고 메시지와 학습정보의 온스크린 신호를 합성하여 한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보호 기능을 갖는 영상 표시기기의 어학 학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무신호 상태는 동기신호의 입력 여부를 근거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보호 기능을 갖는 영상 표시기기의 어학 학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3과정은 학습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소정 주기로 학습정보를 읽어오는 제1단계와; 상기 학습정보에 상응되는 폰트 정보를 롬으로부터 읽어오는 제2단계와; 상기 폰트 정보를 캡션처리하여 출력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보호 기능을 갖는 영상 표시기기의 어학 학습방법.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소정 주기는 학습정보용 온스크린 신호를 스크린 상의 어느 한 부분에 계속 디스플레이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시간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보호 기능을 갖는 영상 표시기기의 어학 학습방법.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학습정보는 영한 사전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보호 기능을 갖는 영상 표시기기의 어학 학습방법.
KR10-2000-0057743A 2000-09-30 2000-09-30 스크린 보호 기능을 갖는 영상 표시기기의 어학 학습방법 KR100374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7743A KR100374831B1 (ko) 2000-09-30 2000-09-30 스크린 보호 기능을 갖는 영상 표시기기의 어학 학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7743A KR100374831B1 (ko) 2000-09-30 2000-09-30 스크린 보호 기능을 갖는 영상 표시기기의 어학 학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6118A true KR20020026118A (ko) 2002-04-06
KR100374831B1 KR100374831B1 (ko) 2003-03-04

Family

ID=19691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7743A KR100374831B1 (ko) 2000-09-30 2000-09-30 스크린 보호 기능을 갖는 영상 표시기기의 어학 학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483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4831B1 (ko) 2003-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9006A (en) Caption VCR and method of displaying a caption signal in the caption VCR
US6707504B2 (en) Caption display method of digital television
US7982810B2 (en) Panel-type image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television
KR0129965B1 (ko) 멀티 언어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59310A (ko) 디지털 티브이(Digital TV)의 캡션 표시장치
JPH0799616A (ja) テレビ受像機
KR20020076777A (ko) 디지털 티브이의 캡션 자동 선택 장치
KR20050058571A (ko) 화질개선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00182505A1 (en) Video receiver
KR20050003382A (ko) 클로즈드 캡셔닝 삽입을 위한 보조 신호 동기화
KR100374831B1 (ko) 스크린 보호 기능을 갖는 영상 표시기기의 어학 학습방법
KR20080036329A (ko) 캡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JP2002232802A (ja) 映像表示装置
KR100391070B1 (ko)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온스크린디스플레이장치:
KR101441689B1 (ko) 영상표시기기에서 잔상 제거 장치 및 방법
KR960043864A (ko) 더블 화면 tv에서의 캡션과 문자 방송 표시 장치 및 방법
JPH06217199A (ja) キャプションデコーダ装置
KR100292358B1 (ko) 자막 신호의 제한적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KR100370019B1 (ko) 티브이의 캡션 표시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726439B1 (ko) 자막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영상처리장치
KR100351866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영상 처리 장치
KR19990026719A (ko) 와이드 텔레비젼의 자막표시장치
KR100917480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데이터 신호 처리 방법
JPH10313447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323680B1 (ko) 티브이의 문자표시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