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3032A - 광통신용 레이저 다이오드 칩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통신용 레이저 다이오드 칩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3032A
KR20020023032A KR1020000055702A KR20000055702A KR20020023032A KR 20020023032 A KR20020023032 A KR 20020023032A KR 1020000055702 A KR1020000055702 A KR 1020000055702A KR 20000055702 A KR20000055702 A KR 20000055702A KR 20020023032 A KR20020023032 A KR 20020023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diode
diode chip
layer
manufacturing
thi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5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기철
Original Assignee
송재인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재인,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송재인
Priority to KR1020000055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3032A/ko
Publication of KR20020023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303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30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용 레이저 다이오드 칩의 제조방법은, 일반적인 광통신용 레이저 다이오드 칩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기판(n-InP) 위에 3차 MOCVD( 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성장이 끝난 단계(활성층, 제 1 전류차단층(P-InP), 제 2 전류차단층(n-InP), 클래드층(p-InP) 및 캡층(InGaAs)이 형성된 상태)에서, 그 위에 박막을 형성하고, 포토 리소그라피(photolithography) 공정을 통하여 요철 형성을 위한 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 및 (b) 화학적 식각 방법을 이용하여 활성층의 윗면에, 광 화이버와의 정합을 위한 수동정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요철 모양의 요철 형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단계 (b) 이후에, 단계 (b)에서 형성된 요철 모양의 층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구비하며, 요철 모양의 층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으로 SiO2또는 SiNx 박막이 증착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광통신용 송수신 모듈의 레이저 다이오드 칩과 광 화이버를 정렬시킴에 있어, 정렬 시에 위치 조절이 용이하도록 요철 모양이 형성된 레이저 다이오드 칩을 사용함으로써, 레이저 다이오드 칩과 광 화이버의 수동 정렬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광통신용 레이저 다이오드 칩 및 그 제조방법{Laser diode chip for optical telecommunic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광통신용 레이저 다이오드 칩(Laser Diode chip)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통신용 송수신 모듈의 레이저 다이오드 칩과 광 화이버(Optical Fiber)를 정렬시킴에 있어, 정렬 시에 위치 조절이 용이하도록 요철 모양이 형성된 레이저 다이오드 칩을 사용함으로써, 레이저 다이오드 칩과 광 화이버의 수동 정렬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광통신용 레이저 다이오드 칩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또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바꾸어 주는 광통신용 송수신 모듈의 광원(레이저 다이오드 칩 및 포토 다이오드 칩)과 광 화이버를 정렬시키는 데에는 능동정렬방식(Active alignment method)과 수동정렬방식( Passive alignment method)의 두 방법이 이용된다.
여기서 레이저 다이오드 칩의 정렬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능동정렬방식은 레이저 다이오드가 탑재된 티오 캔(TO CAN)으로부터 나온 빛이 광 화이버에 최대한 들어갈 수 있도록 티오 캔과 광 화이버를 정렬할 때, 레이저 다이오드에 전류를 주입하고, 티오 캔으로부터 나온 빛이 광 화이버를 통해 광 검출기에 검출되게 한다. 이때, 가장 빛의 강도가 강한 지점에서 레이저 용접을 통해 레이저 다이오드를 고정시켜 정렬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능동정렬방식은 레이저 다이오드와 광 화이버를 정렬하는데 있어, 시간이 많이 소요됨으로 인하여 양산성이 떨어지며, 능동정렬을 위해 많은 부품이 소요됨으로써, 저가격화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편, 수동정렬방식은 레이저 다이오드에 전류를 주입하지 않고, 레이저 다이오드와 광 화이버를 직접 결합시켜 도 1과 같이 정렬하는 방법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광통신용 송수신 모듈에 있어서, 종래의 레이저 다이오드 칩과 광 화이버를 수동 정렬시키는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수동정렬방식은 레이저 다이오드 칩(106)의 탑재장치( SiOB:Silicon Optical Bench)(102)에 회전 조절 마크(103), 위치 조절 마크(104) 및 광축 맞춤선(105)과 같은 마커(marker)를 집어 넣고(마커를 집어 넣는 방식은 도 1에 나타낸 방식 이외에도 여러 가지 방식이 있으나, 다 같은 개념으로 작용), 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위치를 확인한 후 본딩(bonding) 처리를 통하여, 광 화이버 (101)와 레이저 다이오드 칩(106)의 활성층(107)을 정합(matching)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수동정렬방식은 정밀한 분해능을 요구하는 고가의 플립 칩 본더(flip chip bonder)를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레이저 다이오드 칩(106)과 광 화이버(101)를 정렬시키는데 있어 부품수를 줄이는 효과는 있지만, 공정시간 면에서는 능동정렬방식보다 크게 유리하지 못하며, 장비의 설치 비용도 많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광 화이버와 레이저 다이오드 칩을 정합시키기 위한 방법들이 모두 긴 공정시간과 고가격화라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는 이유는 레이저 다이오드 칩의 사이즈(size)를 1㎛ 이내로 제어하기가 곤란하기 때문이다.
종래에는 레이저 다이오드 칩을 약 300㎛ ×300㎛ 로 자르기 위해 스크라이빙(scribing) 및 브레이킹(breaking)을 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으로는 원하는 정도의 사이즈를 제어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사이즈 제어도:300 ±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여건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광통신용 송수신 모듈의 레이저 다이오드 칩과 광 화이버를 정렬시킴에 있어, 정렬 시에 위치 조절이 용이하도록 요철 모양이 형성된 레이저 다이오드 칩을 사용함으로써, 레이저 다이오드 칩과 광 화이버의 수동 정렬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광통신용 레이저 다이오드 칩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광통신용 송수신 모듈에 있어서, 종래의 레이저 다이오드 칩과 광 화이버를 수동 정렬시키는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용 레이저 다이오드 칩의 제조방법에 따라 형성된 레이저 다이오드 칩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용 레이저 다이오드 칩을 탑재장치에 수동정렬방법을 통하여 부착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용 레이저 다이오드 칩이 수동정렬방법을 통하여 탑재장치에 부착된 상태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용 레이저 다이오드 칩에 보호층이 형성된 경우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230... 광 화이버 102, 210... 탑재장치
103... 회전 조절 마크 104... 위치 조절 마크
105... 광축 맞춤선 106, 200... 레이저 다이오드 칩
107, 204... 활성층 201... 기판
202... 제 1 전류차단층 203... 제 2 전류차단층
205... 클래드층 206... 캡층
207... 마스크 211... 탑재장치 경사면
220... 접착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용 레이저 다이오드 칩의 제조방법은, 일반적인 광통신용 레이저 다이오드 칩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기판(n-InP) 위에 3차 MOCVD(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성장이 끝난 단계(활성층, 제 1 전류차단층 (P-InP), 제 2 전류차단층(n-InP), 클래드층(p-InP) 및 캡층(InGaAs)이 형성된 상태)에서, 그 위에 박막을 형성하고, 포토 리소그라피(photolithography) 공정을 통하여 요철 형성을 위한 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 및
(b) 화학적 식각 방법을 이용하여 활성층의 윗면에, 광 화이버와의 정합을 위한 수동정렬을 용이하게 위하여, 요철 모양의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활성층의 윗면에 형성되는 박막은, SiO2의 증착을 통하여 형성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활성층의 윗면에 형성되는 박막은, SiNx의 증착을 통하여 형성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활성층의 윗면에 형성되는 박막은 <110> 방향으로 증착되어 형성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단계 (b) 이후에,
상기 단계 (b)에서 형성된 요철 모양의 층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구비하며, 상기 요철 모양의 층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으로 SiO2또는 SiNx 박막이 증착되어 형성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광통신용 송수신 모듈의 레이저 다이오드 칩과 광 화이버를 정렬시킴에 있어, 정렬 시에 위치 조절이 용이하도록 요철 모양이 형성된 레이저 다이오드 칩을 사용함으로써, 레이저 다이오드 칩과 광 화이버의 수동 정렬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용 레이저 다이오드 칩의 제조방법에 따라 형성된 레이저 다이오드 칩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용 레이저 다이오드 칩의 제조방법은, 일반적인 광통신용 레이저 다이오드 칩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기판(n-InP) (201) 위에 3차 MOCVD 성장이 끝난 단계(활성층(204), 제 1 전류차단층(P-InP)(202 ), 제 2 전류차단층(n-InP)(203), 클래드층(p-InP)(205) 및 캡층(InGaAs)(206)이 형성된 상태)에서, 그 위에 Si3N4또는 SiO2박막을 <110> 방향으로 증착하고, 포토리소그라피(photolithography) 공정을 이용하여 요철 형성을 위한 에칭용 Si3N4또는 SiO2마스크(207)를 형성한다.
그리고, 황산, 과산화수소 및 증류수가 혼합된 용액을 이용하여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칩(200) 위에 반도체 요철 형성층을 형성한다.
그러면, 이와 같이 제조된 레이저 다이오드 칩을 수동정렬방법을 통하여 광 화이버와 정렬시키는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해 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용 레이저 다이오드 칩을 탑재장치에 수동정렬방법을 통하여 부착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용 레이저 다이오드 칩이 수동정렬방법을 통하여 탑재장치에 부착된 상태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용 레이저 다이오드 칩(200)이 부착되는 탑재장치(SiOB)(210)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칩(200)에 형성된 요철 형성층보다 약 1㎛ 정도 더 큰 요철을 갖는 탑재장치 경사면(Silicon V-Groove)(211)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칩(200)을 단순히 탑재장치(SiOB)(210) 위에 올려 놓는 것만으로도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칩( 200)의 중심부인 활성층(204)과 광 화이버(230)의 축이 정렬되게 된다.
여기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용 레이저 다이오드 칩(200)이 수동정렬방법을 통하여 탑재장치(SiOB)(210)에 부착된 상태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기 때문에, 실제로는 광 화이버(230)는 도면에서는 보이지 않아야 되지만, 상기 광 화이버(230)의 축이 상기 활성층(204)과 정렬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하여 도 4에 점선으로 나타내었다.
한편,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칩(200)을 상기 탑재장치 경사면(211) 부위에 올려 놓고, 약간의 힘을 주어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칩(200)이 제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과정에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칩(200)이 요철 끝 부분이 깨지는 현상과 미끄러지듯이 내려 가서 자리를 잡도록 하기 위한 효과, 그리고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칩(200)과 탑재장치(SiOB)(210)가 전기적으로 불필요한 부분이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칩(200)의 요철 형성층 양 끝단에 SiO2또는 SiNx 박막으로 보호층을 증착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도 5는, 이와 같은 제조공정을 통하여 형성된 하나의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용 레이저 다이오드 칩에 보호층이 형성된 경우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칩(200)의 활성층(204)과 광 화이버(230)의 중심축과의 정렬도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칩(200)의 요철 부위 및 상기 탑재장치 (SiOB)(210) 요철 부위의 사이즈 조절에 의존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선택성장에 의해 형성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칩( 200)의 요철의 크기는 ±0.5㎛ 이내에서 조절이 가능함으로써, 정확한 크기를 갖는 볼록한 요철(convex)을 형성하여, 동일한 크기의 오목한 요철(concave)을 갖는 탑재장치(SiOB)(210)의 경사면(211) 위에 올려 놓음으로써, 자동으로 수동정렬( Automatic Passive Alignment)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조공정 상에서, 수 천 개의 레이저 다이오드 칩(200)을 동시에 다이 본딩(Die Bonding)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 레이저 다이오드 칩(200)과 광 화이버(230)와의 정렬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 부호 220은 접착제를 나타낸다.
한편 광통신용 송수신 모듈에 있어, 포토 다이오드 칩에 대해서도 상기의 레이저 다이오드 칩의 제조방법과 같은 동일한 제조공정을 통하여 광 화이버와 용이하게 정렬을 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용 레이저 다이오드 칩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광통신용 송수신 모듈의 레이저 다이오드 칩과 광 화이버를 정렬시킴에 있어, 정렬 시에 위치 조절이 용이하도록 요철 모양이 형성된 레이저 다이오드 칩을 사용함으로써, 레이저 다이오드 칩과 광 화이버의 수동 정렬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일반적인 광통신용 레이저 다이오드 칩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기판(n-InP) 위에 3차 MOCVD 성장이 끝난 단계에서, 그 위에 박막을 형성하고, 포토 리소그라피(photolithography) 공정을 통하여 요철 형성을 위한 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 및
    (b) 화학적 식각 방법을 이용하여 활성층의 윗면에, 광 화이버와의 정합을 위한 수동정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요철 모양의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칩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활성층의 윗면에 형성되는 박막은, SiO2의 증착을 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칩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활성층의 윗면에 형성되는 박막은, SiNx의 증착을 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칩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활성층의 윗면에 형성되는 박막은 <110> 방향으로 증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칩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 이후에,
    상기 단계 (b)에서 형성된 요철 모양의 층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칩의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모양의 층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으로 SiO2박막이 증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칩의 제조방법.
  7. 제 1항 또는 제 5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레이저 다이오드 칩.
KR1020000055702A 2000-09-22 2000-09-22 광통신용 레이저 다이오드 칩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230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5702A KR20020023032A (ko) 2000-09-22 2000-09-22 광통신용 레이저 다이오드 칩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5702A KR20020023032A (ko) 2000-09-22 2000-09-22 광통신용 레이저 다이오드 칩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3032A true KR20020023032A (ko) 2002-03-28

Family

ID=19689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5702A KR20020023032A (ko) 2000-09-22 2000-09-22 광통신용 레이저 다이오드 칩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303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4960B1 (en) Flexible optic connector assembly
JP3147313B2 (ja) ダイオードレーザと光ファイバを受動的に調整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EP0898724B1 (en) Assembly of an optical component and an optical waveguide
US6344148B1 (en) Method for aligning optical devices with substrate
US6454468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aser diode chip, optical transmitting/receiving module and method for aligning positions thereof
US5659566A (en) Semiconductor laser module and method of assembling semiconductor laser module
US2014033477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assive alignment of opto-electronic components
Ye et al. Transfer print integration of waveguide-coupled germanium photodiodes onto passive silicon photonic ICs
US6360043B1 (en) Hybrid chip process
Itoh et al. Use of AuSn solder bumps in three-dimensional passive aligned packaging of LD/PD arrays on Si optical benches
US6798953B1 (en) Guides lithographically fabricated on semiconductor devices
US20020094175A1 (en) Alignment of optical assemblies
KR100361593B1 (ko) 볼록 요철을 갖는 광학집적회로 소자, 그 제조방법, 그광학집적 회로 소자를 이용하여 제조한 광통신용 송수신장치의 모듈
KR20020023032A (ko) 광통신용 레이저 다이오드 칩 및 그 제조방법
KR100396742B1 (ko) 광학집적회로 소자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그 광학집적회로 소자를 이용하여 제조한 광통신용 송수신 장치의 모듈
KR20020023465A (ko) 광통신용 레이저 다이오드 칩 및 그 제조방법
KR100280978B1 (ko) 광통신용 레이저 다이오드 칩의 제조방법
US6920267B2 (en) Optical coupl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271826B1 (ko) 레이저 다이오드 칩과 광 파이버의 정열방법
KR100276586B1 (ko) 광통신용 수신모듈의 포토다이오드의 자동정렬 장착방법
KR20020052398A (ko) 수동정렬을 이용한 수신모듈 조립장치 및 방법
Sasaki et al. Marker alignment method for passive laser coupling on silicon waferboard
KR20000065884A (ko) 광송수신 모듈 및 그 제조방법
JPH0716028B2 (ja) 光学装置の製造方法
KR19990079490A (ko) 레이저 다이오드 칩과 광 파이버의 정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