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2498A - 유전체 듀플렉서 - Google Patents

유전체 듀플렉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2498A
KR20020022498A KR1020000055296A KR20000055296A KR20020022498A KR 20020022498 A KR20020022498 A KR 20020022498A KR 1020000055296 A KR1020000055296 A KR 1020000055296A KR 20000055296 A KR20000055296 A KR 20000055296A KR 20020022498 A KR20020022498 A KR 20020022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output electrode
dielectric block
dielectric
resona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5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월명
박두원
임정택
구자권
Original Assignee
송재인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재인,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송재인
Priority to KR1020000055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2498A/ko
Publication of KR20020022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249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01P1/2056Comb filters or interdigital filters with metallised resonator holes in a dielectric blo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10Dielectric reson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전체 듀플렉서에 관한 것으로써, 일면을 개방면으로 하고 그 면을 제외한 나머지 외부면에 외부도체가 형성되는 유전체 블록과, 상기 유전체 블록의 개방면에서 후면까지 관통되는 다수 개의 홀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각 홀의 내부면에 내부도체가 형성되어 송신단 및 수신단 대역통과필터로 동작되는 다수의 공진기와, 상기 유전체 블록의 개방면과 이웃되는 면에 걸쳐 형성되어 상기 송신단 및 수신단 대역통과필터 간에 신호 전달 기능을 수행하는 입출력 전극부와, 상기 개방면 측의 입출력 전극부와 이격되어 상기 송신단 및 수신단 대역통과필터간 전기적 격리를 위해 제공된 신호결합방지부로 구성되어,
유전체 블록의 개방면에 위치되는 입출력 전극부의 말단부에 각 필터간 전기적 격리를 위한 신호결합방지부를 형성함으로써 입출력 전극부를 공용으로 사용하는 필터들 사이에서 발생되는 불필요한 용량성 결합을 방지할 수 있고, 각 필터들이 개별적으로 설계될 수 있어 필터 설계를 용이하게 하며 필터간 거리를 줄일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유전체 듀플렉서의 크기가 소형화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전체 듀플렉서{A Dielectric Duplexer}
본 발명은 유전체 듀플렉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하지 않는 용량성 결합과 전자기 결합을 방지하고 각 필터들을 개별적으로 설계 가능하게 하여 전체적인 필터 설계를 용이하게 하며 또한 필터간의 거리를 줄일 수 있어 전체적으로 소형화된 유전체 듀플렉서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가정용 무선 전화기나 PCS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고주파 회로를 이용한 이동 통신기기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고주파 회로에 이용되는 부품들은 주파수의 혼선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고조파를 억제하기 위하여 설계상 많은 어려움을 수반하게 된다.
상기 고주파 회로에 이용되고 있는 부품 중에서 고주파 신호 중 필요한 신호만을 통과시키거나 저지시키는 대역통과 또는 대역저지필터(Band Pass Filter or Band Stop Filter)로 구성되어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듀플렉서는 무선기기의 프런트-엔드(Front-End) 송수신단에 쓰이고 있다.
여기서, 상기 듀플렉서는 수신 필터와 송신 필터로 구성되며, 수신단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가 공진기를 거쳐 수신 전극으로 필터링된 수신 신호를 전달하여 복조하는 과정을 거치고, 송신단은 송신하고자 하는 신호를 여러 과정을 거쳐 송신 전극으로 송신하여 공진기를 거쳐 필터링하고 안테나로 송신신호를 송신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듀플렉서에서 필요한 신호만을 통과시키도록 하는 유전체 필터의 구현방법은 크게 일체형 필터와 공진기 결합형 필터로 나누어진다. 상기 일체형 필터는 하나의 블록으로 이루어진 유전체블록에 공진기 홀이 형성되어 있고, 입출력 전극부 그리고 커플링을 위한 커플링(coupling) 패턴을 형성한다. 이때, 커플링 패턴 사이에 인터디지털 커패시턴스(inter-digital capacitance)가 존재하는데 이 커패시턴스를 조절함으로써 공진기 사이의 커플링 값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공진기 결합형 필터는 여러 개의 공진기를 커플링 보드를 통해 결합시키는 구조로 보드(board) 상에 소정의 커패시턴스 값이 나타나도록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공진기 사이의 커플링을 조절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유전체 듀플렉서의 구조를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전 유도 작용을 매개하면서 전면을 개방면(2)으로 하고 그 개방면(2)을 제외한 나머지 외부면에 외부도체가 형성되는 육면체의 유전체 블록(10)과, 상기 유전체 블록(10)의 개방면(2)인 전면에서 후면(3)까지 관통되는 동일한 크기의 홀이 일정 간격으로 8개 형성되는 동시에 각 홀의 내부면에 내부도체가 형성되어 송신단 및 수신단 대역통과필터로 동작되는 제1 내지 제8 공진기(R1~R8)와, 상기 유전체 블록(10)의 개방면(2)과 이웃되는 면 중 하나인 상면(1)에 걸쳐 형성되어 상기 송신단 및 수신단 대역통과필터 간에 신호 전달 기능을 수행하는 제1 내지 제3 입출력 전극부(P1~P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공진기(R1~R8)는 유전체 블록(10)의 후면(3)에서 접지에 연결된 단락단이 되며, 그 개방면(2)은 공진기(R1~R8)의 개방단이 되는 1/4 파장 공진기로동작된다. 이때, 상기 제2 및 제3, 제4 공진기(R2, R3, R4)는 송신단 대역통과필터로 동작되며, 제5 및 제6, 제7 공진기(R5, R6, R7)는 수신단 대역통과필터로 동작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입출력 전극부(P1)는 송신단 대역통과필터의 입력포트로, 제3 입출력 전극부(P3)는 수신단 대역통과필터의 출력포트로 각각 동작되며, 제2 입출력 전극부(P2)는 송신단 대역통과필터의 출력포트와 수신단 대역통과필터의 입력포트로 공용으로 사용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8 공진기(R1, R8)는 감쇠극을 형성하는 대역저지필터로 동작되며 제1 및 제3 입출력 전극부(P1, P3)가 대역저지필터와 인접한 공진기의 홀 사이에서 공용으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유전체 듀플렉서 구조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유전체 블록(10)의 개방면(2)에 위치되어 있는 공진기(R1~R8) 주위의 전극간에, 공진기(R1~R8)의 홀 전극과 입출력 전극부(P1~P3)간에는 용량성 결합으로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제1 입출력 전극부(P1)로 입력된 신호는 상기 송신단 대역통과필터 측의 입력포트인 제1 입출력 전극부(P1)와 제2 공진기(R2) 홀 주위의 전극간의 용량성 결합으로 다음 제2 공진기(R2)에 전달되며, 제2 내지 제4 공진기(R2~R4) 사이의 신호전달은 공진기(R2~R4) 사이에서 형성되는 전자장 결합과 공진기(R2~R4) 홀 주위의 전극간의 용량성 결합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제4 공진기(R4) 홀 주위의 전극과 제2 입출력 전극부(P2)간의 용량성결합에 의해 제2 입출력 전극부(P2)로 신호 전송이 이루어지고, 그 신호는 상기 제2 입출력 전극부(P2)와 제5 공진기(R5) 홀 주위의 전극 사이의 용량성 결합으로 제5 공진기(R5)에 전달되게 된다. 한편, 제7 공진기(R7) 홀 주위의 전극과 제3 입출력 전극부(P3)간의 용량성 결합에 의해 수신단 대역통과필터로 신호 전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8 공진기(R1, R8) 홀은 어떤 특정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의 통과를 차단하는 트랩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을 통해 송신단 대역통과필터와 수신단 대역통과필터, 대역저지필터 사이에서는 신호 전달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 경우에는 제2 입출력 전극부(P2)를 공용으로 사용하는 송신단 및 수신단 대역통과필터가 그 입출력 전극부(P2)를 사이에 두고 서로 근접하게 배치되어 있어 필터간에 불필요한 용량성 결합과 전자기 결합이 발생하게 되어 필요로 하는 주파수 특성을 얻을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렇게, 유전체 듀플렉서의 각 필터 사이의 불필요한 용량성 결합과 전자기 결합으로 인해 각 필터들을 개별적으로 설계한 후 듀플렉서로 통합하여 설계하기가 어려워진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상기 송신단 및 수신단 통과대역필터와 감쇠극을 형성하는 대역저지필터 사이에서도 불필요한 용량성 결합 및 전자기 결합이 발생하게 되므로 불필요한 결합을 무시할 정도로 줄이기 위해서는 송신단 및 수신단 통과대역필터간의 거리, 송신단 및 수신단 통과대역필터와 대역저지필터간의 거리를 증가시켜야 하는데, 이경우 유전체 듀플렉서의 전체 크기가 불필요하게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유전체 블록의 개방면에 위치되는 입출력 전극부의 말단부에 각 필터간 전기적 격리를 위한 신호결합방지부를 형성함으로써 입출력 전극부를 공용으로 사용하는 필터들 사이에서 발생되는 불필요한 용량성 결합 및 전자기 결합을 방지할 수 있고, 각 필터들이 개별적으로 설계될 수 있어 필터 설계를 용이하게 하며 필터간 거리를 줄일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유전체 듀플렉서의 크기가 소형화될 수 있는 유전체 듀플렉서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유전체 듀플렉서의 구조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듀플렉서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의한 단면이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듀플렉서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선에 의한 단면이 도시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듀플렉서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듀플렉서의 제4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0, 30, 40, 50 : 유전체 듀플렉서
P21, P22, P23 : 입출력 전극부
R21~R28 : 공진기
S21, S22, S23 : 신호결합방지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유전체 듀플렉서의 특징에 따르면, 일면을 개방면으로 하고 그 면을 제외한 나머지 외부면에 외부도체가 형성되는 유전체 블록과, 상기 유전체 블록의 개방면에서 후면까지 관통되는 다수 개의 홀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각 홀의 내부면에 내부도체가 형성되어 송신단 및 수신단 대역통과필터로 동작되는 다수의 공진기와, 상기 유전체 블록의 개방면과 이웃되는 면에 걸쳐 형성되어 상기 송신단 및 수신단 대역통과필터 간에 신호 전달 기능을 수행하는 입출력 전극부와, 상기 개방면 측의 입출력 전극부와 이격되어 상기 송신단 및 수신단 대역통과필터간 전기적 격리를 위해 제공된 신호결합방지부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블록의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가 도시된 도 2의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유전체 블록(20)에는, 유전체 블록(20)을 관통하며 그 내부면에 도체가 도포된 공진기(R21~R28)가 형성된다.
이들 공진기(R21~R28)는 유전체 블록(20)의 전면을 개방면(22)으로 하여 그 면(22)을 제외한 나머지 외부면에 외부도체가 형성될 수 있도록 전도성 물질이 도포된 유전체 블록(20)의 개방면(22)에서 후면(23)까지 관통한다. 따라서, 상기 공진기(R21~R28)는 유전체 블록(20)의 후면(23)에서 접지에 연결된 단락단이 되며, 개방면(22)에서 개방단이 되어 1/4 파장 공진기로 동작한다.
여기서, 상기 제2 내지 제4 공진기(R22~R24)는 수신단 대역통과필터로, 제5 내지 제7 공진기(R25~R27)는 송신단 대역통과필터로 동작되며, 나머지 제1 및 제8 공진기(R21, R28)는 대역저지필터로 동작된다.
또한 상기 유전체 블록(20)의 개방면(22)인 전면과 그 이웃되는 면 중 하나의 면, 즉, 상면(21)에 걸쳐 입출력 전극부(P21, P22, P23)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입출력 전극부(P21)는 송신단 대역통과필터의 입력포트로, 제3 입출력 전극부(P23)는 수신단 대역통과필터의 출력포트로, 제2 입출력 전극부(P22)는 안테나포트로 동작된다.
상기 개방면(22)의 공진기(R21~R28) 주위의 전극간에, 공진기(R21~R28)의 홀 전극부와 입출력 전극부(P21, P22, P23)간에는 용량성 결합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불필요한 필터간의 용량성 결합 및 전자기 결합을 막아주기 위하여 신호결합방지부(S21, S22, S23)가 제공된다.
상기 신호결합방지부(S21, S22, S23)는 도 3의 단면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개방면(22)의 후면(23) 방향으로 일자형으로 오목하게 패인 홈(H)과 상기 홈(H) 내면에 도포된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며, 입출력 전극부(P21, P22, P23)와 공진기(R21~R28)간의 불필요한 용량성 결합이 형성되지 않도록 이들은 전기적으로 격리된다.
상기 입출력 전극부(P21, P22, P2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 블록(20) 개방면(22)에 위치한 말단부가 지면(24)을 향하여 개구된 오목부 형상으로 전도성 물질이 도포되고, 상기 오목부에 수직방향으로 신호결합방지부(S21, S22, S23)가 입출력 전극부(P21, P22, P23)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가 도시된 도 4의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유전체 블록(30) 또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유전체 블록(30)을 관통하며 그 내부면에 도체가 도포된 공진기(R31~R38)가 형성되고, 입출력 전극부(P31, P32, P33)와, 필터간의 원하지 않는 용량성 결합을 막아주기 위하여 개방면(32)에 위치한 입출력 전극부(P31, P32, P33)의 말단부 인접한 곳에 신호결합방지부(S31, S32, S33)가 제공된다.
여기서 신호결합방지부(S31, S32, S33)는 도 5에 단면이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 블록(30)의 개방면(32)에 위치한 입출력 전극부(P31, P32, P33)의 말단부 인접한 곳에 일자형으로 도포된 전도성 물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입출력 전극부(P31, P32, P3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 블록(30) 개방면(32)에 위치한 말단부에 지면(34)을 향하여 개구된 오목부 형상으로 전도성 물질이 도포되고, 상기 오목부에 수직 방향으로 신호결합방지부(S31, S32, S33)가 전기적 격리를 위하여 입출력 전극부(P31, P32, P33)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부착되도록 제공된다.
그 외에도 제3 실시예가 도시된 도 6의 유전체 블록(40)은 상기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개방면(42)에 위치한 입출력 전극부(P41, P42, P43)의 말단부에 지면(44)을 향하여 개구되어 형성된 오목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곳에 개방면(42)에서 후면(43) 방향으로 ''자형으로 오목하게 패인 홈과 상기 홈 내면이 도포된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신호결합방지부(S41,S42,S43)가 제공 가능하다.
한편, 상기 신호결합방지부((S41,S42,S43)는 상기 개방면(42)에 부착 가능하게 ''자형으로 형성된 전도성 물질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1 또는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입출력 전극부(P41, P42, P43)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목부에 수직 방향으로 제공된다.
또한 전면을 개방면(42)으로 하여 그 면(42)을 제외한 나머지 외부면에 외부도체가 형성될 수 있도록 전도성 물질이 도포된 유전체 블록(40)의 개방면(42)에서 후면(43)까지 관통하며 내부면에 도체가 도포된 공진기(R41~R48)가 형성되고, 입출력 전극부(P41, P42, P43)가 유전체 블록(40)의 개방면(42)과 그 이웃되는 면, 특히 본 제3 실시예에서는 상면(41)에 걸쳐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제4 실시예의 유전체 블록(50)은 제3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게 유전체 블록(50)을 관통하는 공진기(R51~58)가 형성되고, 개방면(52) 및 개방면과 이웃하는 면 중 특히 상면(51)에 걸쳐 입출력 전극부(P51~P53)가 형성되며, 신호결합방지부(S51,S52,S53)는 십자형으로 개방면(52)에서 후면(53)으로 패인 홈과 상기 홈을 도포한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져 제공되거나, 단순히 개방면(52)에 부착 가능하도록 십자형을 형성하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져 제공된다.
한편, 각각의 실시예에서 제2 내지 제4 공진기(R22~R24, R32~R34, R42~R44, R52~R54,)는 3개의 공진기로 구성된 송신단 대역통과필터로 작동한다. 그리고 제5 내지 제7 공진기(R25~R27, R35~R37, R45~R47, R55~R57)는 3개의 공진기로 구성된 수신단 대역통과필터로 작동한다. 제1 입출력 전극부(P21, P31, P41, P51)는 송신단 대역통과필터의 입력포트로, 제3 입출력 전극부(P23, P33, P43, P53)는 수신단 대역통과필터의 출력포트로, 제2 입출력 전극부(P22, P32, P42, P52)는 송신단 대역통과필터의 입력포트와 수신단 대역통과필터의 입력포트로 공용으로 사용된다.
또, 제1 및 제8 공진기(R21-R28, R31-R38, R41-R48, R51-R58)는 감쇠극을 형성하는 대역저지필터로 작동하여 제1 및 제3 입출력 전극부(P21-P23, P31-P33,P41-P43, P51-P53)가 대역저지필터와 인접한 공진기의 홀 사이에서 공용으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제1 실시예가 도시된 도2를 참고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송신단에서 송신단 전극부인 제1 입출력 전극부(P21)로 입력된 신호는 제1 입출력 전극부(P21)와 제2 공진기(R22) 홀 주위의 전극간의 용량성 결합으로 다른 공진기(R23, R24)에 전달된다. 공진기(R22~R24)간의 신호전달은 공진기 사이에 형성되는 전자장 결합과 공진기(R22~R24) 홀 주위의 전극간의 용량성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4 공진기(R24) 홀 주의의 전극과 안테나 전극부인 제2 입출력 전극부(P22)간의 용량성 결합에 의하여 제2 입출력 전극부(P22)로 신호전송이 이루어진다. 한편, 안테나(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에서 입력된 신호는 상기 제2 입출력 전극부(P22)와 제5 공진기(R25) 홀 주위의 전극 사이의 용량성 결합으로 다른 공진기(R26, R27)에 전달되며, 이러한 경우 공진기(R25~R27)간의 신호전달은 상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공진기(R25~R27) 사이에 형성되는 전자장 결합과 공진기(R25~R27) 홀 주위의 전극간의 용량성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7 공진기(R27) 홀 주위의 전극과 수신단 전극부인 제 3 입출력 전극부(P23)간의 용량성 결합에 의하여 수신단으로 신호 전송이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제1 및 제8 공진기(R21, R28)는 어떤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 통과를 차단하는 트랩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제공된 신호결합방지부(S21~S23)는 입출력 전극부(P21~P23)와 공진기(R21~R28)간에 불필요하게 발생하는 용량성 결합 및 전자기 결합을 전지적 격리를 통하여 방지한다.
그 외의 제2 실시예는 신호결합방지부(S31~S33)가 유전체 블록(30)의 개방면(32)에 전도성 물질로 일자형으로 형성되어 입출력 전극부(P31~P33)와 공진기(R31~R38)간에 불필요하게 발생하는 용량성 결합 및 전자기 결합을 전기적 격리를 통하여 방지한다.
신호결합방지부(S41~S43)가 유전체 블록(40)의 개방면(42)에 오목하게 패인 홈과 상기 홈에 도포된 전도성 물질로 형성되거나, 개방면(42)에 부착 가능하도록 전도성 물질로만 ''자형으로 형성된 제3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결합방지부(S41~S43)는 입출력 전극부(P41~P43)와 공진기(R41~R48)간에 불필요하게 발생하는 용량성 결합 및 전자기 결합을 전기적 격리를 통하여 방지한다.
신호결합방지부(S51~S53)가 유전체 블록(50)의 개방면(52)에 오목하게 패인 홈과 상기 홈에 도포된 전도성 물질로 형성되거나, 개방면(52)에 부착 가능하도록 전도성 물질로만 십자형으로 형성된 제4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결합방지부(S51~S53)는 입출력 전극부(P51~P53)와 공진기(R51~R58)간에 불필요하게 발생하는 용량성 결합 및 전자기 결합을 전기적 격리를 통하여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유전체 듀플렉서 구조는 유전체 블록의 개방면에 위치되는 입출력 전극부의 말단부에 각 필터간 전기적 격리를 위해 신호결합방지부를 형성함으로써 입출력 전극부를 공용으로 사용하는 필터들 사이에서 발생되는 원하지 않는 용량성 결합 및 전자기 결합을 방지할 수 있고, 각 필터들이 개별적으로 설계될 수 있어 필터 설계를 용이하게 하며 필터간 거리를 줄일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유전체 듀플렉서의 크기가 소형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일면을 개방면으로 하고 그 면을 제외한 나머지 외부면에 외부도체가 형성되는 유전체 블록과; 상기 유전체 블록의 개방면에서 후면까지 관통되는 다수 개의 홀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각 홀의 내부면에 내부도체가 형성되어 송신단 및 수신단 대역통과필터로 동작되는 다수의 공진기와; 상기 유전체 블록의 개방면과 이웃되는 면에 걸쳐 형성되어 상기 송신단 및 수신단 대역통과필터 간에 신호 전달 기능을 수행하는 입출력 전극부와; 상기 개방면 측의 입출력 전극부와 이격되어 상기 송신단 및 수신단 대역통과필터간 전기적 격리를 위해 제공된 신호결합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듀플렉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결합방지부는 입출력 전극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여 유전체 블록 개방면의 후면 방향으로 오목하게 패인 홈에 전도성 물질이 도포되어 개방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듀플렉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결합방지부는 입출력 전극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여 유전체 블록 개방면에 전도성 물질로 형성되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듀플렉서.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결합방지부가 유전체 블록 개방면에 위치한 입출력 전극부의 지면 방향으로 개구된 오목부에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듀플렉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결합방지부는 일자형, ''자형, 십자형 중 하나의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듀플렉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결합방지부는 일자형, ''자형, 십자형 중 하나의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듀플렉서.
KR1020000055296A 2000-09-20 2000-09-20 유전체 듀플렉서 KR200200224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5296A KR20020022498A (ko) 2000-09-20 2000-09-20 유전체 듀플렉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5296A KR20020022498A (ko) 2000-09-20 2000-09-20 유전체 듀플렉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2498A true KR20020022498A (ko) 2002-03-27

Family

ID=19689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5296A KR20020022498A (ko) 2000-09-20 2000-09-20 유전체 듀플렉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249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237B1 (ko) * 2000-11-30 2004-02-19 주식회사 케이이씨 듀플렉서의 주파수 격리회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8527A (en) * 1992-07-17 1994-01-11 Motorola, Inc. Dielectric filter and shield therefor
US5745018A (en) * 1996-07-09 1998-04-28 Motorola Inc. Ceramic filter with a coplanar shield
KR19980024757A (ko) * 1996-09-19 1998-07-06 무라따 미치히로 유전체 필터, 송수신 공용기 및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8527A (en) * 1992-07-17 1994-01-11 Motorola, Inc. Dielectric filter and shield therefor
US5745018A (en) * 1996-07-09 1998-04-28 Motorola Inc. Ceramic filter with a coplanar shield
KR19980024757A (ko) * 1996-09-19 1998-07-06 무라따 미치히로 유전체 필터, 송수신 공용기 및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237B1 (ko) * 2000-11-30 2004-02-19 주식회사 케이이씨 듀플렉서의 주파수 격리회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8607B1 (ko) 대역필터, 듀플렉서, 고주파 모듈 및 통신장치
EP0840390B1 (en) Multi-passband filter
KR100353593B1 (ko) 유전체 필터,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JP2002151908A (ja) 高周波フィル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フィルタ装置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電子装置
KR20020022498A (ko) 유전체 듀플렉서
CN107690727A (zh) 多频带rf单块滤波器
US6741149B2 (en) Dielectric filter, dielectric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JP2003087014A (ja) 非可逆回路素子および通信装置
CN205621824U (zh) 一种基于新型频率分离结构的低通-带通五工器
KR100369211B1 (ko) 일체형 유전체 듀플렉서
KR100388051B1 (ko) 일체형 이중대역 듀플렉서
JP2004023188A (ja) 誘電体デュプレクサー
JP2001136003A (ja) 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機
KR100388052B1 (ko) 일체형 이중대역 듀플렉서
KR20020022500A (ko) 유전체 듀플렉서
KR100419237B1 (ko) 듀플렉서의 주파수 격리회로
KR20030063633A (ko) 유전체 듀플렉서
JP2000165106A (ja) 誘電体フィルタ、デュプレクサ及び通信機装置
KR100431938B1 (ko) 일체형 이중대역 듀플렉서
KR100431939B1 (ko) 일체형 이중밴드 듀플렉서
KR20030064531A (ko) 유전체 듀플렉서
KR100504813B1 (ko) 듀얼모드 단말기의 프런트 엔드 송수신 장치
RU2248074C1 (ru) Полосно-пропускающий фильтр
JP2001144504A (ja) 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及び通信機装置
KR20030034637A (ko) 유전체 듀플렉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