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1480A -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 Google Patents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1480A
KR20020021480A KR1020000054204A KR20000054204A KR20020021480A KR 20020021480 A KR20020021480 A KR 20020021480A KR 1020000054204 A KR1020000054204 A KR 1020000054204A KR 20000054204 A KR20000054204 A KR 20000054204A KR 20020021480 A KR20020021480 A KR 20020021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 gun
ray tube
rim electrode
cathode ray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4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명덕
Original Assignee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순택
Priority to KR1020000054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1480A/ko
Publication of KR20020021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148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28Mounting or supporting arrangements for flat panel cathode ray tubes, e.g. spacers particularly relating to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48Electron guns
    • H01J2229/4824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electrodes
    • H01J2229/4831Electrode suppo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67Control electrodes for flat display tubes, e.g. of the type covered by group H01J31/123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은 캐소오드 조립체가 장착되는 림전극과, 상기 림전극의 후단부로부터 인입부가 형성되고 림전극의 전단부와 인접된 측에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인접되게 위치되며 전자총 스템의 리드와 연결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부와 지지체가 매립되는 비드 글라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Electron gun for color cathode ray tube}
본 발명은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자총의 길이를 단축할 수 있도록 제어전극이 개량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텔리비젼, 모니터 등에 이용되는 칼라 음극선과의 일예를 나타내 보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 음극선관은 적, 녹, 청색의 형광체가 도트 또는 스트라이프상의 패턴의 형광막(11)이 내면에 형성된 패널(12)과, 상기 패널(12)과 봉착되는 것으로 네크부(13a)와 콘부(13b)를 가지는 펀넬(13)과, 상기 펀넬(13)의 네크부(13a)에 봉입되는 전자총(20)과, 상기 펀넬(13)의 콘부(13b)에 걸쳐 설치되어 상기 전자총(20)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요오크(15)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칼라 음극선관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칼라 음극선관은 상기 전자총(20)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이 편향요오크(15)에 의해 선택적으로 편향되어 형광막의 주변부에 랜딩됨으로써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칼라 음극선관은 전자총의 길이 및 편향요오크(15)의 편향각에 따라 그 길이가 정하여진다. 특히 네크부(13a)의 길이는 전자총(20)의 길이에 따라 결정되므로 상기 전자총(20)의 길이를 줄임으로써 네크부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그런데, 종래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바와 같이 캐소오드 조립체(21)가 장착된 림전극(22)의 후단부에 비드 글라스(23)에 매립되는 지지부(22a)가 형성되고 이 림전극(22)의 전면에 제어전극(2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자총의 길이를 짧게 형성하는데 한계가 있다. 즉, 상기 림전극(22)의 후단부에 지지부(22a)가 형성되면 전극들을 지지하는 비이드 글라스(23)의 길이를 상기 지지부(22a)의 매립을 감안하여 림전극의 후단부로부터 소정길이 연장하여야 하고, 또한 히이터를 지지하거나 스템의 리드와 고정되는 지지체(24)를 지지부(22a)의 매립위치로부터 후퇴된 위치에 매립하여야 하므로 비이드 글라스의 길이가 길어진다.
상기와 같이 전자총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며, 이 전자총의 장착되는 네크부(13a)의 길이가 길어짐으로써 음극선관(10)의 길어지게 된다. 이러한 음극선관의 길이의 연장은 음극선관의 설치면적이 넓어지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캐소오드조립체가 장착되는 림전극의 지지부 위치를 몸체측으로 이동시켜 그 길이를 줄임으로써 네크부의 길이를 줄인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음극선관의 단면도,
도 2는 종래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도 4는 캐소오드 조립체가 장착된 림전극이 비이드 글라스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은 캐소오드 조립체가 장착되는 림전극과, 상기 림전극의 후단부로부터 인입부가 형성되고 림전극의 전단부와 인접된 측에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인접되게 위치되며 전자총 스템의 리드와 연결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부와 지지체가 매립되는 비드 글라스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림전극의 외주면의 절개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비이드글라스에 고정된 지지체는 상기 인입부내에 위치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은 네크부에 장착되어 형광막을 여기시키기 위한 전자빔을 방출하는 것으로, 일 실시예를 도 3에 나타내 보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라인상으로 배열된 림전극(31)에 지지된 캐소오드 조립체(32)와, 상기 림전극(31)의 전면에 캐소오드 조립체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제어전극(33)과, 상기 제어전극(33)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보조렌즈 및 주렌즈를 이루는 복수개의 집속전극(34)들과, 상기 림전극과 전극들이 고정되는 비드글라스(3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림전극과 인접되는 비드글라스에는 스텝(36)에 지지된 리드(37)가 고정되는 지지체(38)가 매립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전자총에 있어서, 비드글라스에 대한 림전극과 지지체의 고정을 도 4에 나타내 보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림전극(31)은 스템측으로부터 절개되어 림전극(31)과 일체로 형성되어 비드글라스(35)에 매립되는 지지부(31a)가 림전극의 길이 방향에 대해 전단부측과 근접된 측에 위치됨으로써 림전극의 후단부에 인입부(31b)가 형성된다. 즉, 상기 림전극(31)에 형성된 지지부(31a)가 림전극의 길이 방향에 대해 중앙부 또는 제어전극(33)과 근접된 측에 위치됨으로써 림전극의 단부로부터 인입부(31b)가 형성되는데, 상기 인입부의 형성면적은 상기 지지부(31a)의 면적보다 넓게 형성되어 비드글라스에 고정되는 지지체(38)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 여기에서 상기 림전극(31)에 형성된 지지부(31a)는 림전극(31)과 별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림전극의 상하면은 그 후단부로부터 지지부가 장착되는 부위까지 절제하여 상기 인입부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체(38)은 림전극(31)의 지지부(31a)가 매립되는 부위와 인접되는 부위의 비이드 글라스(35)에 매립되어 상기 림전극의 인입부(31b)에 내에 위치된다. 이때에 상기 림전극(31)과 지지체(38)은 상호 접촉되지 않아야 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총은 림전극(31)의 전면측으로 지지부(31a)의 위치가 이동됨으로써 인입부(31b)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비드글라스(35)의 길이를 짧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스템(36)의 위치를 종래의 전자총에 비하여 제어전극 측으로 이동시켜 고정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전자총의 길이가 짧아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은 캐소오드 조립체를 고정하는 림전극의 지지체를 제어전극측으로 이동시키고 인입부를 형서함으로써 비이드 글라스에 대한 지지체의 위치를 제어전극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그 길이를 줄일 있다. 이 전자총 길이의 단축은 음극선관의 전장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드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캐소오드 조립체가 장착되는 림전극과, 상기 림전극의 후단부로부터 인입부가 형성되고 림전극의 전단부와 인접된 측에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인접되게 위치되며 전자총 스템의 리드와 연결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부와 지지체가 매립되는 비드 글라스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림전극의 외주면의 절개되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글라스에 고정된 지지체가 상기 인입부 내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과용 전자총.
KR1020000054204A 2000-09-15 2000-09-15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200214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4204A KR20020021480A (ko) 2000-09-15 2000-09-15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4204A KR20020021480A (ko) 2000-09-15 2000-09-15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1480A true KR20020021480A (ko) 2002-03-21

Family

ID=19688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4204A KR20020021480A (ko) 2000-09-15 2000-09-15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148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21480A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49214B1 (ko) 칼라 음극선관
KR100319100B1 (ko) 음극선관
US6373183B1 (en) Funnel having vertically long neck portion
KR100852105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777711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캐소드 구조체
KR0166014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310681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363106Y1 (ko) 음극선관의 스템과 이를 포함하는 음극선관
KR016601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250975Y1 (ko)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KR100331837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814875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97694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캐소오드 조립체
KR0123629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142908Y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00033554A (ko) 음극선관
US6307315B1 (en) Cathode ray tube
KR100339365B1 (ko) 음극선관의 텐션 새도우마스크의 조립체 구조
KR20030027613A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160917Y1 (ko)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20009797A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30027615A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30002493A (ko) 측면투사형 음극선관
KR20000066689A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캐소오드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