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1461A - Scheduling System and Methods for the Course Registration of Remote Internet Education - Google Patents

Scheduling System and Methods for the Course Registration of Remote Internet Edu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1461A
KR20020021461A KR1020000054177A KR20000054177A KR20020021461A KR 20020021461 A KR20020021461 A KR 20020021461A KR 1020000054177 A KR1020000054177 A KR 1020000054177A KR 20000054177 A KR20000054177 A KR 20000054177A KR 20020021461 A KR20020021461 A KR 20020021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rse
user
schedule
maximum number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41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주우석
Original Assignee
김영남
주식회사 이스터디뱅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남, 주식회사 이스터디뱅크 filed Critical 김영남
Priority to KR1020000054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1461A/en
Publication of KR20020021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1461A/en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registration of remote education are provided to offer a stable service to a user and to secure the financial benefit and the highest system working ration of a provider by serving the optimized scheduling way. CONSTITUTION: A registration schedule input part(1) is a module for a student to sign up a new subject. A schedule logic part(2) is a module for checking, blocking, and scheduling registration columns. An arrow of a connection schedule table(3) means the period until the user is decreased. The schedule logic part manages the registration schedule on the basis of the sum of persons per column of the connection schedule table. In conclusion, a server system can limit the number of the user and provides more stable service to the user.

Description

인터넷 원격교육을 위한 수강신청 스케쥴링 시스템 및 방법{Scheduling System and Methods for the Course Registration of Remote Internet Education}Scheduling System and Methods for the Course Registration of Remote Internet Education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위주의 원격교육 서비스에 있어서 최대 동시 접속자 수를 제한하고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에게는 안정된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서비스 제공업체에게는 최대의 인원을 수용함으로써 수익창출에 기여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수강신청 스케쥴링 과정에서 사용자 별 수강기간, 수강 시간대를 서버 시스템의 부하와 연관시켜 제어함으로써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ble service to the user by limiting and adjusting the maximum number of concurrent users in the multimedia-oriented distance education service, and at the same time to contribute to the revenue generation by accepting the maximum number of people in the service provider. This can be done by controlling the duration of each course and the time of the course in relation to the load of the server system during the course registration schedule.

현행 인터넷 원격교육 서비스에 있어서는 멀티캐스팅(Multicasting) 방식 혹은 유니캐스팅(Unicasting) 방식 중 하나가 사용된다. 멀티캐스팅 방식에서 서버에 걸리는 부하는 상대적으로 경미하지만 식별자나 패스워드 등 유료 사용자 확인을 위한 매커니즘이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유료화를 위해서는 서버에 걸리는 높은 부하를 감수하고서라도 유니캐스팅 방식을 사용할 수밖에 없다.In the current Internet distance education service, either a multicasting method or a unicasting method is used. In multicasting, the load on the server is relatively minor, but mechanisms for paying user verification, such as identifiers and passwords, are technically impossible. As a result, unicasting is inevitable even for the high load on the server.

일반적인 인터넷 접속이 게시판이나 단순한 정보의 검색이라면 사용자로서는상대적으로 짧은 시간동안 접속하고 또 그 접속이 끊기게 되나, 유니캐스팅을 사용한 원격교육 서비스에서는 일단 한번 접속하면 강의가 끝날 때까지 상대적으로 긴 시간동안 접속이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서버로서는 통신 대역폭이나 응용 서비스 측면에서 많은 부하가 걸리게 되고, 만약 시스템이 이를 제대로 지원하지 못할 경우에 사용자로서는 화질이나 음성 등 멀티미디어 정보의 질적인 저하를 감수해야만 한다.If a general internet connection is a bulletin board or simple information search, the user will be connected for a relatively short time and then disconnected.However, in the distance learning service using unicasting, once a user connects for a relatively long time until the end of the lecture This should be maintained. Therefore, as a server, a lot of load is applied in terms of communication bandwidth and application service, and if the system does not support this properly, the user must bear the quality degradation of the multimedia information such as image quality and voice.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시간대 별로 최대 동시 접속자수를 제한하고 그 범위 내에서만 수강자를 받아들임을 전제로 한다. 최대 동시 접속자수는 강좌에 사용된 파일의 크기, 전체 서버 시스템의 성능 및 서버가 지원하는 통신 대역폭, 시스템 오버헤드 등을 감안하여 수강자 개인에게 충분히 안정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결정된다.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the present invention presupposes that the maximum number of simultaneous users is limited for each time zone and the learners are accepted only within the range. The maximum number of concurrent users is determined to provide enough stable services to individual participants considering the size of files used in the course, the performance of the entire server system, the communication bandwidth supported by the server, and the system overhead.

이 분야에 관한 종래 기술은, 이러한 서버 시스템 및 통신 대역폭의 제약, 접속인원 및 접속시간에 대한 데이터 수집 및 이를 기반으로 한 상관관계 분석에 있어서 정확한 최대 동시접속 가능자 수를 예측하는 개념조차 없는 상태에서 무조건적으로 다수의 사용자를 유료회원으로 받아들임으로써 상대적으로 많은 사용자가 서비스 불량에 노출되어 왔던 것이 사실이다. 즉, 유료회원이라면 아무 때고 접속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수시로 통신회선 및 시스템에 장애나 과부하가 걸리게 되고, 그에 따라 사용자로서는 접속이 되지 않거나, 접속이 된 상태에서 끊기거나, 혹은 접속 중 음성, 영상 등 미디어 자료가 연속적으로 수신되지 않고 띄엄띄엄 하게 수신되는 등의 서비스의 질적 저하가 초래되어 왔다.The prior art in this field is without the concept of predicting the maximum number of concurrent users in the server system and the limitations of the communication bandwidth, data collection for the connection number and access time and correlation analysis based thereon. It is true that relatively many users have been exposed to poor service by unconditionally accepting many users as paid members. In other words, if a paid member is able to connect at any time, the communication line and the system are frequently interrupted or overloaded, and thus the user is not connected, disconnected from the connected state, or media such as voice or video during the connection. There has been a deterioration in the quality of service, such as the fact that data is received at random instead of continuously.

이처럼 결정된 최대 동시 접속자수를 기반으로 하여 본 발명에서는 수강기간, 수강시간대 별로 수강신청을 관리하고, 사용자가 희망하는 수강일정에 부합하도록 최적화된 스케쥴링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는 안정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원격교육 업체에게는 최대의 시스템 가동율과 적정 수준의 사용자 확보를 통해 수익을 보장하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maximum number of concurrent users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nages the course registration according to the course period and the time period of the course, and provides a stable service to the user by providing an optimized scheduling method to meet the course schedule desired by the user. For educators, revenues are guaranteed through maximum system uptime and the right number of users.

본 발명이 지닌 주된 목적은 원격교육의 수강신청에 있어서 최적화된 스케쥴링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원격교육업체의 수익성을 증대시키는데 있다. 기술적으로 본 발명은 수강자 개개인을 정해진 기간과 정해진 시간대에 할당하되, 시스템 사용을 최대화시킬 수 있도록 최적화된 수강신청 스케쥴을 작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profitability of the distance education company by presenting an optimized scheduling method in the course registration for distance education. Techn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assigning individual enrollees at a predetermined time period and a predetermined time period, and to create a schedule for enrolling courses optimized to maximize system usage.

도 1은 원격교육을 위한 수강신청 스케쥴링 방법Figure 1 is a schedule registration schedule for distance learning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강신청 스케쥴링을 위한 구성요소 및 구성과정은 첨부된 도면 제 1도와 같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omponents and the construction process for the course registration sche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shown in FIG. 1;

본 발명의 전제조건으로서 최대 동시 접속자 수를 가정한다. 즉, 주어진 원격 교육업체의 서버 시스템이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접속자 수를 가정하고, 모든 시간대에 걸쳐서 접속하고 있는 인원을 이 범위 안에서 제한하고 통제함으로써 사용자 개개인에게 안정된 대역폭의 서비스를 제공함을 전제로 한다.As a prerequisit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ximum number of concurrent users is assumed. In other words, it is assumed that the server system of a given distance education company can simultaneously accommodate the number of users simultaneously and limit the number of users connected in all time periods within this range and provide stable bandwidth service to each user. .

도 1의 수강일정 입력부(1)는 새로운 과목을 수강하기 원하는 사람으로부터 입력을 제공받기 위한 모듈이다. 수강자의 인적사항, 희망 수강과목, 희망 수강일정 등의 입력 데이터가 이 모듈에서 받아들여진다. 수강일정 입력부(1)에서 가장 관건이 되는 것은 수강일정이다. 종래의 원격교육 사이트와는 달리 본 발명에서의 수강일정 작성에는 제약이 가해진다. 즉, 1일 24시간 수시로 접속하도록 허용하지 않고 일정한 시간대를 정해서 그 시간대 안에서만 수강이 허용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시간대 별로 최대 사용자수를 제한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는 사용자에게 안정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course schedule input unit 1 of FIG. 1 is a module for receiving input from a person who wants to take a new course. Input data such as the student's personal information, the desired course, and the desired course schedule are accepted by this module. Course schedule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input unit 1 is the course schedule. Unlike the conventional distance learning site, the course schedule is restric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instead of allowing frequent access 24 hours a day, a certain time zone is set and the course is allowed only within that time zone. By doing so, the maximum number of users can be limited in each time zone, and as a result, a stable service can be provided to users.

수강일정 입력부(1)에서 사용자는 수강신청 과목 외에 두 가지의 입력을 제공하도록 요구된다. 언제부터 수강을 시작할 것인가 하는 희망 수강개시일과 함께 수강시간대를 입력하여야 한다. 수강시간대는 원격교육업체에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조사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일 3시간 정도 연속해서 수강할 수 있는 과목이라면 수강시간대를 3시간 단위로 해서 1일 24시간 동안 8개의 수강시간대를 설정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수강자에게 수강시작을 위한 접속 및 대기시간 혹은 수강이후 복습시간으로 여분의 추가시간을 더하여 수강시간대를 설정할 수도 있다.In the schedule input unit 1, the user is required to provide two inputs in addition to the course registration course. You must enter the course timeline with the desired start date for when you will start the course. The time zone can be determined by the distance education company investigating the user's requirements. For example, if a course can be taken continuously for about 3 hours a day, 8 course hours can be set for 24 hours a day using 3 hours as a unit. If necessary, you can set up a time zone by adding extra time to the student to access and wait for the start of the course or to review after the course.

실제로 서버 시스템으로서는 1일 24시간 종일 강의용 멀티미디어 정보를 내보낼 수 있지만 사용자는 그 중에 등록된 수강시간대 만을 시청할 수 있게 통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과목별로 등록된 시간대가 아닌 시간에 접속을 시도하는 수강생은 접속이 불가능하게 하고, 또 해당 시간대를 지나서 계속해서 접속중인 수강생은 수강도중에 접속을 차단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이는 수강등록 데이터베이스의 검색에 의해 수강자별로 해당 시간대를 읽고, 정해진 시점마다 이를현재 시간과 비교하여 필요시 네트워크 연결(Network Session)을 끊거나 응용 프로그램 서비스(Application Process)를 중단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구성된다.In fact, as a server system, the multimedia information for lectures can be exported 24 hours a day, but the user is controlled to watch only the registered time zon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thod in which a student who attempts to access at a time other than the time zone registered for each subject is unable to connect, and the student who is continuously accessing the time slot is blocked from accessing the course. Specifically, it reads the corresponding time zone for each student by searching the course registration database and compares it with the current time at the specified time point to the software module that disconnects the network session or stops the application service if necessary. It is composed by.

일정 논리부(2)는 상기 등록 수강대의 확인 및 차단을 비롯하여 수강일정 입력부(1)에서 입력된 수강신청 과목과 희망 수강시간대를 바탕으로 스케쥴링을 담당하는 모듈이다. 실제로 일정 논리부(2)의 작동은 파일 혹은 데이터베이스(4)에 저장된 접속일정표(3)의 자료에 의거하여 이루어진다.The schedule logic unit 2 is a module that is responsible for scheduling based on the course enrollment subject and the desired course time period inputted from the course schedule input unit 1, including checking and blocking the enrolled course. In practice, the operation of the schedule logic section 2 is performed based on the data of the connection schedule 3 stored in the file or the database 4.

접속 인원표(3)의 좌측 열은 스트림의 종류를 나열한 것이다. 즉, S1, ..., Sm은 m개의 수강 가능한 과목들을 의미한다. 각 과목별로 T1, ..., Tn으로 표시한 것들은 수강시간대(Time Zone)를 의미한다. 또, 접속 인원표(3)의 상단 행으로 표시된 D1, D2, ...은 날짜를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접속 인원표(3)의 각 셀(Cell)은 현재 해당 과목별, 해당 일자별, 해당 시간대에 사전에 수강신청이 되어 있는 총원을 의미한다.The left column of the connection number table 3 lists the types of streams. In other words, S1, ..., Sm means m courses available. T1, ..., and Tn for each subject indicate the time zone. In addition, D1, D2, ... indicated by the upper row of the connection staff table 3 mean a date. As a result, each cell of the access number table (3) refers to all members who are currently enrolled in the course by the subject, the date, and the corresponding time.

예를 들어 S1과목에 D24일 T1시간대에 총 a 명이 할당되었다면 해당 셀 에는 도표에 보인 것과 같이 a 라는 숫자가 들어가게 된다. 원격교육 제공업체로서는 시간대 별로 서비스 가격을 차별화 할 수도 있으며, 이는 시스템의 입장에서 사용자를 분산시킴으로써 시스템 최대의 효율을 발휘하는 방법이기도 하다.For example, if a total of a person is assigned to the S1 course in the T1 time zone on the day of D24, the cell contains the number a as shown in the chart. For distance education providers, service prices can be differentiated over time, which is the way to maximize the system's efficiency by distributing users from the system's point of view.

접속일정표(3)의 해당시간대에 화살표로 표시한 것은 사용자가 하나라도 줄어들 때까지의 기간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S1 프로그램의 T1 시간대 사용자는 D27 일에 사용자가 하나 이상 줄어든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해당과목의 강의 서비스는 D27, D28일에도 진행될 수 있으면 해당 과목의 강의 서비스를 중단한다는 의미는 아니다.The arrows indicated in the corresponding time zones of the connection schedule 3 indicate the period until the number of users decreases. For example, a T1 time zone user of the S1 program means that at least one user will be reduced on day D27. Therefore, if the lecture service of the subject can be conducted on D27 and D28, it does not mean that the lecture service of the subject is stopped.

일정 논리부(2)에서는 접속인원표(3)의 각 칼럼별 인원의 합계 데이터를 기준으로 수강신청 스케쥴을 관리하게 된다. 서버의 입장에서는 T1 시간대에 사용자가 S1 과목을 시청하든 S2 과목을 시청하든 전체적인 부하 면에서는 차이가 없다. 따라서 수강신청 스케쥴링에 있어서는 해당 칼럼의 각 셀 값의 합을 기준으로 총량규제를 가하면 된다.The schedule logic unit 2 manages the course registration schedule based on the total data of the number of persons in each column of the connection table 3. From the server's point of view, there is no difference in overall load whether the user watches the S1 course or the S2 course during the T1 time zone. Therefore, in the course registration schedule, the total amount restriction is applied based on the sum of each cell value of the corresponding column.

수강신청이 있는 경우,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시스템은 일단 희망 과목과 희망 시간대, 희망 수강일자를 물어보게 되며, 각각의 정보가 해당 S, T, D로 사상된다. 수강신청자의 희망과목은 일단 고정된 것으로 간주하고, 희망 시간대 별로 최초 사용가능 일자를 결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어떤 가입자가 S1 프로그램을 T1 시간대에 D24 일부터 몇 주간에 걸쳐서 사용한다고 하자. 이때 일정 논리부(2)에서 가해지는 최적화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다;If there is a course registration, the system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asks a desired course, a desired time period, and a desired course date, and each information is mapped to the corresponding S, T, and D. The applicant's desired course will be considered fixed and the first available date will be determined for each desired time slot. For example, suppose a subscriber uses the S1 program for several weeks starting at D24 in the T1 time zone. At this time, the optimization algorithm applied by the constant logic unit 2 is as follows;

최적화 알고리즘Optimization algorithm

I. 접속일정표(3)의 D24 칼럼의 모든 과목에 대해서 해당시간대의 셀 값을 모두 더한다. 현재의 접속일정표(3)의 예를 들면, 해당 셀 값은 a, b, c, d이고 따라서 a + b + c + d 가 현재로서 D24 일에 예약된 총원에 해당한다. 만약 이 값이 상기 최대 동시 접속자수보다 작다면 사용을 허용하되, 그보다 크거나 같다면 사용을 불허한다. 서버 시스템이 지원할 수 있는 최대 동시 접속자수를 Umax 라 할 때, 이러한 제약조건을 공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I. For all subjects in column D24 of the access schedule (3), add all the cell values of the time zone. For example, in the current connection schedule 3, the corresponding cell values are a, b, c, d and thus a + b + c + d is the current total booked on D24. If this value is less than the maximum number of concurrent users, use is allowed, but if 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it, use is not allowed. When Umax is the maximum number of concurrent users that a server system can support, this constraint is expressed as a formula;

Umax ≥ a + b + c + dUmax ≥ a + b + c + d

Ⅱ. 반대로, 이 값이 최대 동시 접속자수보다 크거나 같다면 가입자로서는 가능한 수강개시일을 기다려야 한다. 이 경우, 최적화 알고리즘은 D24 일 이후 사용 가능한 가장 빠른 일자를 계산할 수 있다. 서버 시스템으로 보아서는 다른 과목에서라도 사용자가 하나라도 줄어들면 그 시간대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일정표(3)의 e 셀 에서 가장 먼저 S2 과목의 사용자가 줄어들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D26일에 대해 수강신청자 자신을 포함한 해당 셀 값을 합산하여 윗 공식을 만족시키는지를 판단한다.II. Conversely, if this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maximum number of concurrent users, the subscriber must wait for the start date. In this case, the optimization algorithm can calculate the earliest date available after D24. From a server system, even if there are fewer users in other subjects, you can use that time zone. For example, considering that the number of users of the S2 subject is decreasing first in the e cell of the access schedule (3),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bove formula is satisfied by summing the corresponding cell values including the course applicant himself / herself on D26.

Ⅲ. 다시 이 값이 상기 공식을 만족시키지 않으면 그 다음 날짜, 또 그 다음 날짜에 대해 순차적으로 공식의 만족여부를 판단하면 된다. 가장 단순한 방법을 사용하자면 수강신청자의 희망 일자부터 시작해서 상기 공식이 만족여부를 매일매일에 대해서 계산하면 된다. 실제로 본 발명의 시스템은 매일 매일의 수강자 수를 일관성 있게 최대 동시접속자수 이하로 통제하므로, 단 한 사람의 수강자라도 빠져나가는 날짜가 수강신청 가능일자가 된다. 현재의 접속일정표(3)를 예로 들면, 셀 e, f, g의 순서로 수강자가 빠져나가므로 가능한 수강 개시일은 D26, D27, D28 등이 된다. 수강일정 출력부(5)에서는 희망 일자부터 가장 가까운 몇 개의 날짜를 제공함으로써 수강신청자가 그중 선택할 여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III. If this value does not satisfy the above formula,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ormula is satisfied in order for the next date and the next date. The simplest method is to start with the student's desired date and calculate the satisfaction on a daily basis. Indeed,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number of attendees every day consistently below the maximum number of concurrent users, so that even a single student can leave the course. Taking the current connection schedule 3 as an example, since the students are taken out in the order of the cells e, f, and g, the possible start dates are D26, D27, D28 and the like. In the course schedule output unit 5, the course applicant may provide some choices closest to the desired date.

이러한 최적화 알고리즘을 확장 적용하면, 다양한 시간대 별로 가능한 수강 개시일을 제공할 수도 있다. 시간대를 달리하면 가능한 수강 개시일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로서는 일정 시간대에 희망 일자에 수강개시가 불가능할 경우에, 여타의 시간대에 희망 일자에 수강을 개시할 수도 있게 된다. 수강일정 출력부(5)에서 적절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이러한 수강 개시일과 수강가능 시간대를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Extending the application of such an optimization algorithm,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urse start date for various time periods. This is because different start times change the course start date. Therefore, when the user cannot start the course on the desired date at a certain time, the user can start the course on the desired date at another time. In the course schedule output unit 5, the course start date and the course available time zone are displayed using an appropriate screen interface.

본 발명은 인터넷 원격교육 서비스에 있어서 최대 동시 접속자수를 통제함을 전제로, 최적화된 수강신청 스케쥴링 시스템 및 기법을 제공한다. 이는 현장교육에서 강의장소가 제약조건인데 반해 원격교육에서는 서버의 부하가 관건인 점을 감안하여, 최대 동시접속자 수를 시간대 별로 제어함으로써 가능하다. 본 발명의 최적화 알고리즘은 시스템 성능을 최대한 발휘하게 함으로써 원격교육 서비스 제공업체로서는 최대의 수강자를 수용하면서도 안정화된 서비스를 제공케 함으로써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ptimized course registration scheduling system and technique under the premise of controlling the maximum number of concurrent users in the Internet distance education service. This is possible by controlling the maximum number of concurrent users by time zone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lecture place is a constraint in the field education, while the load of the server is the key in the distance education. The optimization algorithm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remote education service provider to generate a profit by providing a stabilized service while accommodating a maximum number of participants by maximizing system performance.

Claims (2)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중앙처리부,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및 가공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인터넷 교육 수강신청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In the operating method of the Internet education enrollment system comprising an input unit for receiving data from a user, a central processing unit, a database for storing the input data,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processed information, 상기 데이터 베이스의 데이터를 수강과목과 수강시간대 별로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단계;Presenting data of the database to the user for each course and time period; 사용자로부터 수강과목, 수강시간대, 및 수강개시일을 입력받는 단계;Receiving a course, course time, and course start date from a user; 상기 입력된 수강개시일과 수강시간대를 기준으로 상기 데이터 베이스의 해당일과 해당 시간대의 총 수강신청자 수를 산출하는 단계;Calculating a total number of enrollees for the corresponding day and the corresponding time zone of the database based on the input start date and time zone; (기 설정된 최대 동시 접속자 수 - 1)이 상기 총 수강신청자의 수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Determining whether (the preset maximum number of concurrent users-1) is greater than the total number of enrolled students; And (기 설정된 최대 동시 접속자 수 - 1)이 총 수강신청자의 수보다 크거나 동일하면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상기 사용자의 입력 사항을 갱신하며, (기 설정된 최대 동시 접속자 수 - 1)이 총 수강신청자의 수보다 작으면 재입력을 요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If the (maximum number of concurrent users-1)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otal number of students, the user's input is updated in the database, and (the preset maximum number of concurrent users-1) is the total number of students. If less, requesting re-entry, 수강신청단계에서 시간대별로 최대 청강자 수를 제한하는 인터넷 교육 수강신청 시스템의 운용 방법.Operation method of the Internet education enrollment system to limit the maximum number of attendees at each time during the course enrollment phas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기 설정된 최대 동시 접속자 수 - 1)이 총 수강신청자의 수보다 작으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수강과목과 수강시간대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기 설정된 최대 동시 접속자 수 - 1)이 총 수강신청자의 수보다 크거나 동일하게 되는 날짜를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터넷 교육 수강신청 시스템의 운용 방법.If the (Preset Maximum Number of Simultaneous Joiners-1) is less than the total number of students enrolled, the database is searched based on the courses and time zones entered by the user and the (Preset Maximum Number of Simultaneous Joiners-1) And presenting to the user a date tha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otal number of enrollees.
KR1020000054177A 2000-09-15 2000-09-15 Scheduling System and Methods for the Course Registration of Remote Internet Education KR2002002146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4177A KR20020021461A (en) 2000-09-15 2000-09-15 Scheduling System and Methods for the Course Registration of Remote Internet Edu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4177A KR20020021461A (en) 2000-09-15 2000-09-15 Scheduling System and Methods for the Course Registration of Remote Internet Edu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1461A true KR20020021461A (en) 2002-03-21

Family

ID=19688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4177A KR20020021461A (en) 2000-09-15 2000-09-15 Scheduling System and Methods for the Course Registration of Remote Internet Edu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146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100B1 (en) * 2006-08-10 2015-03-3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Contents download system and contents server system and operating methods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100B1 (en) * 2006-08-10 2015-03-3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Contents download system and contents server system and operating methods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1605B1 (en) Scheduler for telecommunications bridge
AU2002315876B2 (en) Education service system using communicate line and educ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US8170465B2 (en) Teacher assignment based on student/teacher ratios
US20090070181A1 (en) Method and system for an online reservation system for services selectable from multiple categories
Valta et al. Guiding companies to reduce technostress: a mixed-methods study deriving practice-oriented recommendations
WO200103342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tching a candidate with an employer
Bishop et al. Virtual reference services: Consortium versus stand-alone
KR20020021461A (en) Scheduling System and Methods for the Course Registration of Remote Internet Education
JP2007011479A (en) Schedule adjustment device, schedule adjustment method and program
JP7408109B1 (en) Training mediation device, training medi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ope Consortium-a new direction for staff development
Anawati et al. Digital Collaborative Governance of Library in Developing E-Library in the Technical Implementing Unit of Universitas Sebelas Maret’s Library
WO20010616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tching a candidate with an employer
JP2005190123A (en) Reservation management program and reservation management device
DiLeo et al. APSE’s position statement on segregated services: A background paper for advocates
Orzech Academic Computing Newsletter: Spring 2000
Steinwart Nightmare on Elm Street to It's a Wonderful Life: a port-per-pillow networking experience at Valparaiso University
Kuramoto The challenges and rewards of institutional collaboration in distance education
Zimmer A practical guide to videoconferencing
Olsen Being there: a" teach them to fish..." approach to training and support using WebEx™, videoconferencing, and the telephone
Anderson et al. Methodology of the Exemplary Technology-Supported Schooling Case Studies in the USA
Ján Past, present and perspectives of information systems at Technical university of košice
Bezzina Getting Together on the Pupil Free Day: A System Wide Response to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Needs.
Morales Do you want to leave a trail or make a path?
JP2003030343A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online lecture providing system capable of using the sam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